KR101153707B1 - 지혈 클립 - Google Patents

지혈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707B1
KR101153707B1 KR1020110098438A KR20110098438A KR101153707B1 KR 101153707 B1 KR101153707 B1 KR 101153707B1 KR 1020110098438 A KR1020110098438 A KR 1020110098438A KR 20110098438 A KR20110098438 A KR 20110098438A KR 101153707 B1 KR101153707 B1 KR 10115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cancer
clip
bleeding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668A (ko
Inventor
조성연
박상재
김성훈
한성식
김영규
김광기
김형태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1009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혈 클립은 혈관의 출혈 부위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1 지혈암과, 상기 출혈 부위의 타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2 지혈암과, 상기 제 1 지혈암 및 제 2 지혈암이 상기 출혈 부위의 외곽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혈관 내의 혈류를 유지한 채 상기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제 2 지혈암 사이에 구비되어 변형되는 굽힙부를 포함하여,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의 일부분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 전체를 폐색시키지 않고 출혈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클리핑하여 지혈시킴으로써, 혈관의 기능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혈 클립{HEMOSTATIC CLIP}
본 발명은 지혈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복, 복강경 및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 시 중?대구경 혈관에 부분적인 출혈이 발생한 경우, 혈관 표면의 출혈 부위를 신속하게 지혈하기 위한 지혈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대구경의 혈관은 미세한 손상에 의한 출혈 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하는데, 개복 및 복강경 시술 도중에 실수 혹은 사고로 인해 중?대구경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혈관 표면의 출혈 부위를 지혈하기 위한 지혈 클립과, 이 지혈 클립을 장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지혈 클립 장치는, "외과용 지혈 클립"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104973호), "SPRING ACTIVATED HEMOSTATIC CLIP APPLICATOR" (미국등록특허 US04611595) 및 "HEMOSTATIC CLIPS" (미국등록특허 US06346112)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혈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중?대구경의 혈관의 출혈 부위를 지혈할 경우에 출혈 부위뿐만 아니라 혈관 전체를 폐색시켜 지혈하게 되므로 혈류 순환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대구경 혈관에서 부분적인 출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 전체를 폐색시키지 않으면서도 출혈 부위를 신속히 지혈시킬 수 있는 새로운 지혈 클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복 복강경 및 내시경 수술 시 중?대구경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 전체를 폐색시키지 않으면서도 출혈 부위를 신속히 지혈시킬 수 있는 지혈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클립은 혈관의 출혈 부위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1 지혈암과, 상기 출혈 부위의 타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2 지혈암과, 상기 제 1 지혈암 및 제 2 지혈암이 상기 출혈 부위의 외곽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혈관 내의 혈류를 유지한 채 상기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제 2 지혈암 사이에 구비되어 변형되는 굽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제 1 지혈암의 단부와 상기 제 2 지혈암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굽힘부와 상기 제 2 지혈암이 연결된 형상은 폐루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 상기 제 2 지혈암 및 상기 굽힘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은 내측에 상기 출혈 부위를 포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제 2 지혈암은 상기 출혈 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혈암은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폭이 상기 제 1 지혈암의 두께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혈암은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폭이 상기 제 2 지혈암의 두께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는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을 지지한 채 가압하는 한 쌍의 집게부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 1 지혈암 및 제 2 지혈암이 상기 출혈 부위를 지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혈 클립을 상기 혈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에는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 면에 돌출 형성된 걸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의 일부분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 전체를 폐색시키지 않고 출혈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클리핑하여 지혈시킴으로써, 혈관의 기능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혈 클립은 출혈 발생 시 전체 폐색이 곤란한 중?대구경 혈관의 지혈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 클립은 혈관 출혈 부위의 지혈을 위해 클리핑하는 기능 이외에도 클립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클리핑된 지혈 클립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혈 클립의 평면도,
도 3은 다각형상을 가지는 지혈 클립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을 이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C부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4의 C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에 지혈 클립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D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E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제 1 동작에 따른 제 1 집게부의 지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도 13의 F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G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제 2 동작에 따른 제 2 집게부의 클리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도 16의 H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I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의 클립 조작 장치에 의해 지혈 클립이 혈관의 출혈 부위를 클리핑하여 지혈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J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 및 이를 사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혈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10)은 클립 몸체(11), 굽힘부(13a,13b) 및 걸치부(15a,15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몸체(11)는 제 1 지혈암(11a)과 제 2 지혈암(1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지혈암(11a)은 출혈 부위(3; 도 19 및 도 20 참고)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여 해당 부위를 가압하고, 제 2 지혈암(11b)은 출혈 부위(3)의 타측 둘레에 위치하여 해당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혈 부위(3)의 외곽 둘레는 제 1 지혈암(11a)과 제 2 지혈암(11b)에 의해 포위되고, 클리핑되어 출혈 부위(3)가 지혈될 수 있다.
제 1 지혈암(11a)과 제 2 지혈암(11b)은 후술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의 제 2 집게부(220)에 파지된 상태에서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1)의 출혈 부위(3)의 외곽 둘레를 클리핑할 수 있다.
클립 몸체(11)는 좌우 대칭으로 원형의 폐루프(closed-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형태의 클립 몸체(11)를 예시하였으나, 클립 몸체(11)의 모양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대칭의 사각형(미도시), 육각형(도 3 참조) 등 다각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립 몸체(11)로 사용되는 재질은 생체적합성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부(13a,13b)는 클립 몸체(11)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굽혀지도록 클립 몸체(11)의 대칭 중심선 상의 상하측 부위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굽힘부(13a,13b)는 후술하는 제 2 집게부(220)의 클립굽힘부(220c,220d)에 의해 가압되어 굽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소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치부(15a,15b)는 혈관(1)의 출혈 부위(3)에 클리핑된 지혈 클립(10)을 별도의 클립 제거 장치(30, 도 21 및 22 참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클립 몸체(11)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치부(15a,15b)는 제 1 지혈암(11a)과 제 2 지혈암(11b)에서 출혈 부위(3)와 대향되는 반대측면의 좌우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치부(15a,15b)는 제 1 지혈암(11a)과 제 2 지혈암(11b)의 외측에 원두정 형태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연장부의 직경 보다 단부의 헤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 제거 장치(30)에서 걸치부(15a,15b)와 체결되는 체결부재(31)는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1a)의 앞쪽이 넓고 뒤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클립 제거 장치(30)의 체결부재(31)와 지혈 클립(10)의 걸치부(15a,15b)가 쉽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치부(15a,15b)의 형태는 클립 제거 장치(30)와 손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파지되어 있는 지혈 클립(10)을 제거하기 위해서 양쪽 바깥 방향으로 당겨지는 외력에 의한 힘을 충분히 견디어 지혈 클립(10)을 벌릴 수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치부(15a,15b)는 클립 몸체(11)에 별개의 부재로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치부(15a,15b)는 클립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을 사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A부분 및 B부분을 각각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4의 C부분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는 손잡이부(100), 제 1 집게부(210), 제 2 집게부(220) 및 집게구동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집게부(210,220)의 지혈 및 클리핑 동작을 위해 후술하는 집게구동부(300)에 직접적인 외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부(100)는 손잡이본체(110)와, 손잡이본체(110)의 양측에 안쪽 및 바깥쪽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본체(110)는 선단부에 후술하는 푸시로드(310), 제 2 링크부재(330) 및 가이드케이스(370) 등이 삽입되는 구멍(111)이 형성되고, 양측부에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이 안쪽으로 회전하여 수용되도록 개방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핸들(121,122)의 전단부는 손잡이본체(110)와 힌지 결합되고, 조작핸들(121,122)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제 1 링크부재(320)에 의해 푸시로드(310)와 링크 연결된다. 또한, 조작핸들(121,122)의 후단부에는 시술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삽입부(121a,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집게부(210)는 혈관(1)의 출혈 부위(3)를 1차적으로 지혈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중간 정도 회동시키면, 제 1 작동로드(35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1 집게부(210)의 외곽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 1 집게부(210)가 출혈 부위(3)를 1차적으로 지혈하도록 닫히게 된다.
제 1 집게부(210)는 후술하는 제 2 링크부재(330)의 선단에 좌우로 벌어지고 닫히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211,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집게부(21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후술하는 제 1 작동로드(350)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제 1 집게부(210)의 외측 폭은 출혈 부위 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고, 제 1 작동로드(350)의 내측 폭은 제 1 집게부(210)의 가장 넓은 외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집게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루프 형태의 지혈 클립(10)을 대칭되게 굽혀서 제 1 집게부(210)에 의해 지혈된 출혈 부위(3)의 외곽 둘레를 2차적으로 클리핑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제 2 작동로드(36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2 집게부(220)의 외곽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 2 집게부(220)가 출혈 부위(3)의 외곽 둘레를 2차적으로 클리핑하도록 닫히게 된다.
제 2 집게부(220)는 제 1 집게부(210)의 후방 부위의 후술하는 제 2 링크부재(330)에 제 1 집게부(210)를 수용하면서 좌우로 벌어지고 닫히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221,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집게부(220)는 한 쌍의 집게부재(221,222)가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되게 +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중심 교차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벌어지고 닫힐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 2 집게부(220)는 제 1 집게부(210)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 2 집게부(220)는 좌우로 닫힐 때 제 1 집게부(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집게부(210)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 1 집게부(210)와 대향되는 전면에 제 1 집게부 수용홈(221a,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집게부(220)는 지혈 클립(10)의 좌우측을 파지하도록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클립파지부(220a,220b)와, 지혈 클립(10)의 상하측을 가압하여 굽히도록 상측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클립굽힘부(220c,220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립파지부(220a, 220b)와 클립굽힙부(220c,220d)는 지혈 클립(10)이 파지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 2 집게부(220)에 단차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게구동부(300)는 손잡이부(100)의 조작과 연동하여 제 1 집게부(210) 및 제 2 집게부(220)의 순차적인 지혈 및 클리핑 동작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집게구동부(300)는 손잡이부(100)와 제 1 및 제 2 집게부(210,22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집게구동부(300)는 푸시로드(310), 제 1 링크부재(320), 제 2 링크부재(330), 제 1 작동로드(350), 제 2 작동로드(360) 및 가이드케이스(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로드(310)는 손잡이본체(110) 내에 위치하고 손잡이본체(1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111)을 통해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푸시로드(310)는 헤드부(311)와, 헤드부(31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연장부(3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킬 때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가 제 2 작동로드(360)를 전방으로 밀 수 있도록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와 제 2 작동로드(360)의 상호 접촉 부위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로드(310)는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회동시키면 제 1 링크부재(320)에 의해 전진하고 조작핸들(121,122)을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면 제 1 링크부재(320)에 의해 후진하도록 푸시로드(310)의 로드연장부(312)가 제 1 링크부재(320)에 힌지(312a)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푸시로드(310)는 후술하는 제 2 링크부재(330)가 중심을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멍(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부재(320)는 조작핸들(121,122)의 회동에 따라 푸시로드(3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조작핸들(121,122)과 푸시로드(310)를 링크 연결한다.
이때, 푸시로드(310)와 제 1 작동로드(350) 사이에 스프링(34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1,122)과 제 1 링크부재(320)는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321)가 조작핸들(121,12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면서 제 2 작동로드(360)를 밀게 되는 동안 스프링(340)이 압축되어 제 1 작동로드(350)를 밀지 않게 된다.
혹은, 푸시로드(310)와 제 1 작동로드(350) 사이에 스프링(340)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1,122)과 제 1 링크부재(320)는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322)가 조작핸들(121,122)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홈(323)에 삽입되어 조작핸들(121,122)의 회동 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면서 제 2 작동로드(360)를 밀게 되는 동안에 힌지 결합부(322)가 슬라이드 가이드홈(323)을 따라 후진하게 되어 제 1 작동로드(350)를 밀지 않게 된다.
제 2 링크부재(330)는 길이가 긴 판형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푸시로드(310), 스프링(340) 및 제 1 작동로드(35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제 2 링크부재(330)의 길이는 푸시로드(310), 스프링(340) 및 제 1 작동로드(350)의 일직선 전체 길이보다는 적어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링크부재(330)는 선단에 제 1 집게부(210)와 제 2 집게부(220)가 각각 링크 연결되도록 2개의 링크홀(331,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작동로드(350)는 푸시로드(310)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전진하면서 제 1 집게부(210)의 지혈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작동로드(350)는 내부에 제 2 링크부재(330)가 삽입되도록 공간이 비어 있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작동로드(350)의 선단에는 장공(351)이 형성되어 제 2 집게부(220)가 제 2 링크부재(330)의 링크홀(332)에 장공(351)을 통해 링크핀(33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푸시로드(310)와 제 1 작동로드(350) 사이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작동로드(350)의 후단에는 밀봉부재(341)가 마련되어 탄성부재(340)의 선단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40)는,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중간 정도 회동시키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 1 작동로드(350)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압축되면서 제 1 작동로드(350)를 더 이상 전방으로 밀지 않게 되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이하, 참조부호 340으로 설명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중간 정도 회동시키면,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스프링(340)이 제 1 작동로드(350)를 밀게 되고, 제 1 작동로드(35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1 집게부(210)의 후방 외곽면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제 1 집게부(210)가 닫히게 된다. 또한,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동시키면, 스프링(340)이 압축되면서 푸시로드(310)가 전진하게 되어 제 2 작동로드(360)를 밀게 되고, 제 2 작동로드(36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2 집게부(220)의 후방 외곽면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제 2 집게부(220)가 닫히게 된다.
제 2 작동로드(360)는 제 1 작동로드(35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푸시로드(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 2 작동로드(360)는 제 1 집게부(210)의 지혈 동작이 완료되면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전진하면서 제 2 집게부(220)의 클리핑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작동로드(360)는 내부에 제 1 작동로드(350)가 삽입되도록 공간이 비어 있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핸들(121,122)을 완전히 안쪽으로 회동시킬 때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가 제 2 작동로드(360)를 전방으로 밀수 있도록 제 2 작동로드(360)의 후단부와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의 상호 접촉 부위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작동로드(360)는 전진하게 되면서 제 2 집게부(220)의 외곽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 2 집게부(220)를 닫는 동시에 닫혀진 상태의 제 2 집게부(220)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2 집게부(220)와 대향되는 선단부가 영문자 V자형의 홈(361)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집게부(220)의 선단부가 V자형의 홈 형태를 가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문자 U자형의 홈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가이드케이스(370)는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 및 제 2 작동로드(360)가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손잡이본체(110)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1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케이스(370)의 내면은 푸시로드(310)의 헤드부(311) 및 제 2 작동로드(360)의 외곽과 대략 일치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케이스(370)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사각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의 봉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클립을 사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에 지혈 클립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D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E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혈 클립(10)은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의 손잡이부(100)의 조작핸들(121,122)을 바깥쪽으로 회동시켜 제 1 집게부(210)와 제 2 집게부(220)가 모두 벌어진 상태에서 지혈 클립(10)을 제 2 집게부(220)에 파지한다. 즉, 지혈 클립(10)이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1 집게부(210)와 제 2 집게부(220) 모두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2 집게부(220)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형성된 클립파지부(220a,220b)가 클립 몸체(11)의 제 1 지혈암(11a) 및 제 2 지혈암(llb)을 각각 파지하게 되고, 제 2 집게부(220)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 형성된 클립굽힘부(220c,220d)가 클립 몸체(11)의 굽힘부(13a, 13b)을 각각 가압하여 굽힐 수 있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 1 집게부(210)는 벌어진 제 2 집게부(220)의 내측에 위치하고 클립 몸체(11)의 중심 개방면을 향하게 된다.
시술자는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1)의 일부분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의 손잡이부(100)를 단계적으로 움켜쥐는 동작만으로 제 1 집게부(210)와 제 2 집게부(22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지혈 클립(10)이 출혈 부위(3)를 클리핑하여 지혈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의 순차적인 작동 순서에 따른 출혈 부위(3)의 클리핑 동작은 도 13 내지 도 1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제 1 동작에 따른 제 1 집게부의 지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도 13의 F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G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의 손잡이부(100)를 안쪽으로 중간 정도 움켜쥐면 제 1 집게부(210)가 닫히면서 혈관(1)의 출혈 부위(3)를 1차적으로 지혈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100)에 마련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중간 정도 회전시키면, 조작핸들(121,122)과 연결된 제 1 링크부재(320)에 의해 손잡이부(100)의 눌려지는 힘이 전달되고, 그 힘에 의해 푸시로드(310)가 전진하게 된다. 푸시로드(310)의 전방에는 스프링(340)이 있어서 푸시로드(31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서 스프링(340)이 제 1 작동로드(350)를 먼저 밀게 되고, 제 1 작동로드(35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1 집게부(210)의 외곽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 힘에 의해서 제 1 집게부(210)가 닫히게 되어 출혈 부위(3)를 1차적으로 지혈하게 된다. 이때, 제 1 집게부(210)의 외측 폭은 출혈 부위(3) 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고, 제 1 작동로드(350)의 내측 폭은 제 1 집게부(210)의 가장 넓은 외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 1 집게부(21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제 1 작동로드(350)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의 제 2 동작에 따른 제 2 집게부의 클리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도 16의 H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I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집게부(210)를 완전히 모아지게 하여 출혈 부위(3)를 1차적으로 지혈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힘을 주어 손잡이부(100)를 안쪽으로 완전히 움켜쥐면 제 2 집게부(220)가 지혈 클립(10)을 굽힘과 함께 출혈 부위(3)의 외곽 둘레를 2차적으로 클리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집게부(210)가 출혈 부위(3)를 지혈한 상태에서 한 쌍의 조작핸들(121,122)을 안쪽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제 1 작동로드(350)는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기 때문에 제 1 작동로드(350)를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340)이 압축되면서 푸시로드(310)는 계속 전진하게 되어 제 2 작동로드(36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제 2 작동로드(360)는 제 2 집게부(220)와 맞닿는 부분이 영문자 V자형 또는 U자형 등의 요홈(361)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2 작동로드(360)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 2 집게부(220)의 후방 외곽면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렇게 작용한 힘에 의해서 제 2 집게부(220)가 닫히게 되면서 지혈 클립(10)을 좌우 대칭되게 굽히게 되어 출혈 부위(3)를 2차적으로 지혈하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에 의해 지혈 클립이 혈관의 출혈 부위를 클리핑하여 지혈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1)의 일부분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 전체를 폐색시키지 않고 출혈 부위(3)만을 부분적으로 클리핑하여 지혈시킴으로써, 혈관(1)의 기능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혈 클립(10) 및 이를 이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는 중?대구경 혈관과 같은 중요한 혈관(1)의 출혈 시 전체 폐색이 곤란한 혈관의 지혈 용도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혈 클립 조작 장치(20)는 단순히 지혈 클립(10)을 클리핑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지 않고 지혈 클립(10)을 정확한 출혈 위치에 클리핑할 수 있도록 제 1 집게부(210)와 제 2 집게부(220)의 다중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혈 클립(10)은 혈관(1)의 출혈 부위(3)의 지혈을 위해 클리핑하는 기능 이외에도 클립 제거 장치(30)를 사용하여 클리핑된 지혈 클립(10)을 다시 제거하는 기능까지 추가로 가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혈 클립 20 : 지혈 클립 조작 장치
100 : 손잡이부 110 : 손잡이본체
121,122 : 조작핸들 210 : 제 1 집게부
220 : 제 2 집게부 300 : 집게구동부
310 : 푸시로드 320 : 제 1 링크부재
330 : 제 2 링크부재 340 : 탄성부재
350 : 제 1 작동로드 360 : 제 2 작동로드
370 : 가이드케이스

Claims (11)

  1. 혈관의 출혈 부위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1 지혈암;
    상기 출혈 부위의 타측 둘레에 위치하는 제 2 지혈암; 및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이 상기 출혈 부위의 외곽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혈관 내의 혈류를 유지한 채 상기 출혈 부위를 지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제 2 지혈암 사이에 상기 제 1 지혈암의 단부와 상기 제 2 지혈암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변형되는 굽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굽힘부와 상기 제 2 지혈암이 연결된 형상이 폐루프가 되도록 형성되는 지혈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혈암, 상기 제 2 지혈암 및 상기 굽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은 내측에 상기 출혈 부위를 포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바(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혈암과 상기 제 2 지혈암은 상기 출혈 부위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혈암은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폭이 상기 제 1 지혈암의 두께보다 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혈암은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폭이 상기 제 2 지혈암의 두께보다 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을 지지한 채 가압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집게부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 1 지혈암 및 제 2 지혈암이 상기 출혈 부위를 지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 클립을 상기 혈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혈암 및 상기 제 2 지혈암에는 상기 혈관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 면에 돌출 형성된 걸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클립.
KR1020110098438A 2011-09-28 2011-09-28 지혈 클립 KR10115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38A KR101153707B1 (ko) 2011-09-28 2011-09-28 지혈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38A KR101153707B1 (ko) 2011-09-28 2011-09-28 지혈 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286A Division KR101075531B1 (ko) 2009-09-14 2009-09-14 지혈 클립 및 이를 이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668A KR20110121668A (ko) 2011-11-08
KR101153707B1 true KR101153707B1 (ko) 2012-06-07

Family

ID=4539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38A KR101153707B1 (ko) 2011-09-28 2011-09-28 지혈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829A (zh) * 2021-09-17 2021-12-03 杨清艳 一种智能化股动脉穿刺点压迫固定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2130A1 (en) 1999-11-18 2002-05-23 Jugenheimer Kristen A.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JP2007195968A (ja) 2006-01-23 2007-08-09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止血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2130A1 (en) 1999-11-18 2002-05-23 Jugenheimer Kristen A.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JP2007195968A (ja) 2006-01-23 2007-08-09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止血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668A (ko)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531B1 (ko) 지혈 클립 및 이를 이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
US10130373B2 (en) Automatic surgical ligation clip applier
US11134956B2 (en) Surgical clip applier with integrated cutter
US10709455B2 (en) Endoscopic surgical clip applier
KR101820517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이펙터 구조
US71319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clip
CN108652697B (zh) 手术施夹器
US20160317155A1 (en) Atrial-appendage ligation treatment tool and atrial-appendage ligation system
KR101063579B1 (ko) 지혈 클립 및 이를 이용하는 지혈 클립 조작 장치
KR20160136280A (ko) 수술 클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WO1997038634A1 (en) Malleable clip applier and method
US20200138443A1 (en) A surgical clamp for clamping an organ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10478164B2 (en) Jaw for a surgical tubular shaft instrument
KR101511086B1 (ko) 속집게가 내장된 폐루프형 지혈클립 장치
KR101153707B1 (ko) 지혈 클립
CN209826824U (zh) 腹腔镜组织夹
CN203506788U (zh) 心脏微创手术针持
CN117414171B (zh) 具有侧滑式可更换夹仓的施夹钳工作头
CN220158344U (zh) 一种钳头组件及应用其的双臂钳
KR102609326B1 (ko)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
CN216455168U (zh) 施夹钳
CN214549514U (zh) 一种双组织夹施夹器
CN113349864A (zh) 一种腹腔镜下肝静脉阻断钳
CN115444490A (zh) 一种除夹钳及其钳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