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964B1 -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964B1
KR101150964B1 KR1020080079843A KR20080079843A KR101150964B1 KR 101150964 B1 KR101150964 B1 KR 101150964B1 KR 1020080079843 A KR1020080079843 A KR 1020080079843A KR 20080079843 A KR20080079843 A KR 20080079843A KR 101150964 B1 KR101150964 B1 KR 10115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absorbing member
nanofiber
nanofibers
exu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108A (ko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메디
Priority to KR102008007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9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2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containing metals, e.g. porphyrins, vitamin B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 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부재가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경이 1μm 미만인 웹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섬유, 은 나노입자, 전기방사, 드레싱, 상처, 습윤환경

Description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wound dressing lamin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상, 화상, 욕창, 외상 등에 의한 손상된 피부조직이나 상처를 덮어 내부의 상처 분비물을 흡수 제거하고, 외부로부터 세균이나 이물질에 의한 2차 감염을 방지하고, 습윤 환경을 유지시켜 상처가 보다 효율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레싱(dressing)은 화상이나 창상, 욕창 및 외상에 의한 피부결손 부위인 상처면을 피복하여 치유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드레싱 방법에 있어서 거즈 등을 이용하여 상처면을 건조시켜 가피(딱지)가 형성되게 하는 건조드레싱(dry dressing) 방법이 일반화 되어 있었으나, 1962년 Winter에 의한 돼지 창상의 상피형성 속도가 습윤 환경이 건조 환경에 비해 2배 이상 빠르다는 발표 이후 습윤 드레싱재(wet dressing)가 속속 개발, 출시되고 상처의 처치 방법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습윤 드레싱은 상처면을 밀폐시켜 습윤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밀폐할 때 상처면 뿐만 아니라 주위 정상 피부까지도 밀폐하기 때문에 과량의 삼출 액 및 정상피부의 수분 등이 모이게 되면 정상피부 주위에 침연(짓무름)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처부위의 상태와 드레싱재의 흡수성과 투습성을 고려하여 드레싱재를 선택하여야 한다.
습윤 드레싱재에 요구되는 조건으로는 (1) 상피세포가 원활하게 상처면을 유주 전개(migration)할 수 있는 습윤 환경 조성, (2) 습윤 환경시 균의 증식이 빠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세균 침입방지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감염방지, (3) 상처면과 드레싱재 부착에 따른 신생 상피조직의 손상방지, (4) 보온효과에 따르는 고농도의 산소 공급에 의한 치료 효율 향상, (5)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 작용, (6) 적절한 투습성과 흡수성으로 상처면의 건조 및 주변 정상 피부의 침연 방지, (7) 상처면의 치유상태를 관찰 할 수 있는 시인성, 무자극, 사용의 용이성 및 경제성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을 충족시킨 드레싱재는 아직 출현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드레싱재의 출시를 위해 친수성 고분자 및 소수성 고분자를 다양하게 개발 조합하여 필름상(film), 시트상(sheet), 부직포상, 폼상, 로프상, 펠렛상(pellet), 분말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1972년 Smith & Nephew사에 의해 최초로 제조, 판매된 폴리우레탄 필름(film)상의 습윤 드레싱재인 OpSite™의 경우, 상처부위를 습윤 환경으로 유지시켜 상처 치유를 촉진시켰으나 지나치게 많은 삼출물이 고여 주위피부가 짓무르거나 삼출물이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되어 임의로 배출시켜야 하는 단점과 두께가 30~60㎛ 정도 되어 사용시 잘 찢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1982년 발표된 Convatec사의 DuoDERM™의 경우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드레싱으로써 부착시 삼출물과 반응하여 겔(gel)을 형성시켜 습윤 환경을 조성하여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나 산소나 수분을 통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과다한 삼출물이 고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발표에 의하면, 각종 항생제의 오남용에 따른 세균의 내성이 매우 심각한 상태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써 MRSA(Methicillin Resistant Str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나 VRA 또는 VRE(Vancomycine-resistant enterococcus) 등은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병원성 세균으로서 대부분 피부감염 형태로 나타나는데, 수술환자나 노약자, 면역시스템이 약한 사람의 경우 혈류감염, 뼈 감염, 폐렴, 뇌막염 등으로 발전하게 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인구의 1/3 이상이 피부나 코 점막 등에 포도상 구균 등의 박테리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균은 타인에게 전염성이 있으므로, 화상이나 창상, 외상 등에 의한 상처를 입은 경우, 그러한 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러한 균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인 경우 드레싱을 하여도 치료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넓은 범위의 항균, 항진균 및 살균작용이 있어 모든 유형의 상처에 대해 우수한 항균 방어효과를 제공하는 은(silver, Ag)을 이용한 드레싱재 제품이 연이어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Ferris Mfg사의 PolyMem® Silver™, AcryMED사의 SilvaSorb® Convatec사의 Aquacel® Ag 등 다양한 형태의 은 나노입자 입자를 이용한 드레싱재가 개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은 나노 입자를 이용한 드레싱재의 경우, 폼 드레싱 형태로서 은 나노입자의 표면 균일 분포가 어렵고, 수십 ~ 수백㎛로 형성된 거대한 세공구조로 상처조직의 균일한 수분관리 및 보온 관리가 어려우며, 폼 형상으로 형태의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은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국소적으로 응집되어 농도가 높을 경우 또는 드레싱재 표면으로부터 은 나노 입자가 탈리할 경우, 정상조직을 손상 내지는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고분자 용융물에 고전압의 전계를 이용해 섬유의 직경을 수십㎚에서 수백㎚로 제조하는 전기방사법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는 방사와 동시에 나노미터 수준의 섬유를 3차원 부직포상으로 제조하므로 섬유에 비해 촉감이 우수하고, 표면적이 극대화된 새로운 형태이기 때문에 상처 치료용 드레싱재, 메디컬 섬유로서 가능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228는 폴리에스터 나노섬유에 단백질 성분을 함유시킨 친수화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상처피복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10-0791039은 항산화제 함유 나노섬유를 이용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의 경우, 나노섬유를 이용함으로서 체적대비 비표면적이 우수하고, 상처의 치유시 단백질, 항산화제 등의 기능에 의해 상처의 회복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고, 천연폴리에스터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기 어려우며, 삼출물의 흡수에 의한 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노섬유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균일하게 분산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나노섬유 부재를 상처면과 접촉부위에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한 항균력을 가지는 반면, 은 나노입자의 탈리로 인한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며,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며; 또한, 적층체를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하여 상처치유를 위한 최적의 습도 조건을 충족시키고,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가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경이 1μm 미만인 웹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 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압착, 롤링, 열접합, 초음파 접합, 슬림 실링 테이프(slim sealing tape)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적층체로 제조하는 단계; 및 5 kGy~2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멸균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위치에 미리 삼출물 흡수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상기 방사용액의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를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직접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드레싱 적층체는 나노섬유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균일하게 분산된 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나노섬유부재를 상처면과 접촉부위에 포함함으로써, 광범위한 항균력을 가지는 반면, 은 나노입자의 탈리로 인한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며,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삼출물 흡수부재, 지지층부재, 보호층부재, 커버부재 등의 조합에 의하여 상처치유를 위한 최적의 습도 조건을 충족시키고 외부로부 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상처치유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가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경이 1μm 미만인 웹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를 구성하는 나노섬유는 전체 나노섬유부재 중량에 대하여 은 나노입자를 0.5ppm ~ 5ppm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항균효과가 광범위하게 발휘되며, 은 나노입자의 과다한 분포로 인한 정상조직에 대한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의 두께는 10~300㎛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기의 범위에서 드레싱재의 조립 및 성형시 취급상 불편이 최소화되고, 너무 두꺼워서 방사시 포집판의 전도도 등에 영향을 주어 균일하면서 원할한 나노섬유의 제조를 어렵게 만들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에 포 함되는 섬유형성 고분자로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생체 친화성 고분자 및 의료용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polyacrylnitrile, PAN), 셀룰로오스계 고분자(cellulose),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메틸메타아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비닐 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락틱계 고분자(polylaticacid, PLA), 폴리카프로락탐(polycarpolactone), 폴리비닐알콜(polyvinylachol, PV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나일론계 고분자(nylon), 폴리설폰계 고분자(poly sulfo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폴리글리콜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은 금속염으로는 질산은(AgNO3), 염화은(AgCl), 황화은(Ag2S)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전기방사 용매로는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성분이나 다 성분을 블렌드하는 경우에 용해시 고화나 상 분리 (phase sepaation)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용매로는, DMF, DMAc, THF, 아세톤, 알코올류, 클로로포름, DMSO, 디클로로메탄(DCM), 초산, 불소계 알콜류,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화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기방사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사용액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방사 노즐에 연결하고, 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고전압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고전계(高電界, 10kV~100kV)를 형성시켜 실시한다. 전계의 크기는 노즐과 집전체 사이의 거리와 관계가 있으며, 전기방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 때, 사용되는 전기방사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렉트로-브로운법이나 원심전기방사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는 직경이 대부분 1㎛미만으로 구성된 부직포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는 은 입자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균일하게 분산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를 구성하는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 섬유부재는 섬유 직경이 1㎛ 미만으로 제조되므로, 체적대비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세균, 미세오염원의 통과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며, 물을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는 습윤력이 우수하여 습윤 드레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는 삼출액을 흡수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예컨대, 수분의 형태)하며 지속적인 흡수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는 친수성 나노섬유, 연질 우레탄 폼, 마이크로 섬유 직포,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처의 유형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삼출물이 과다한 경우에는 연질 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삼출물이 적은 경우에는 우레탄 폼 대신 나노섬유부재나 마이크로 섬유로 구성된 직포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가 친수성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마이크로 섬유 직포나 부직포로 구성된 지지층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는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고 삼출물 흡수부재의 삼출액을 수분의 형태로 외부로 방출하는 보호층부재를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부재로는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가 바람직하나 상처의 형태나 유형에 따라 마이크로 섬유로 구성된 직물이나 부직포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반투막 필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부재는 적절한 투습도를 갖고 있어야 하며, 10 ~ 100g/㎡/hr 정도의 투습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너무 낮을 경우 삼출액을 수분의 형태로 방출하지 못하고, 상처에 삼출물이 고여 주변의 정상 조직까지 짓무름이 발 생할 수 있으며, 투습도가 너무 높을 경우 상처면이 건조하게 되어 가피가 형성되고, 괴사조직 등이 발생하여 상처 치유가 지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부재로서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로는 연질 우레탄 폼, 마이크로 섬유 직포 또는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은 나노함유 나노섬유부재와 보호층부재가 2중으로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는 드레싱재를 상처 주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점착테이프로서 신축성 및 우수한 고투습성이 요구된다. 상기 반투과 필름은 고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칠렌 넷트 필름, 또는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에서, 상기 항균 드레싱 적층체의 멸균 공정은 고압수증기 멸균(steam sterilization)법, 에틸렌 옥사이드(EtO) 멸균법, 방사선 동위원소인 코발트 60(60Co)으로부터 발생하는 감마선 조사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5 kGy~ 2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항균 드레싱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멸균공정에서 감마선 조사에 의 해 항균 드레싱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혈액에 대한 용해 저항성이 향상되고, 인장강도 및 접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는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및/또는 삼출물 흡수부재에 치료약물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또는 삼출물 흡수부재에 치료 약물을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또는 삼출물 흡수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방사용액 등 원료에 치료 약물을 포함시켜 제조하는 방법,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또는 삼출물 흡수부재를 치료 약물이 포함된 용액 내로 함침시켜 제조하는 방법,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또는 삼출물 흡수부재에 치료 약물을 분사하거나 표면에 코팅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는 항균 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형태의 의료용 패치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압착, 롤링, 열접합, 초음파 접합, 슬림 실링 테이프(slim sealing tape)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적층체로 제조하는 단계; 및 5 kGy~2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멸균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위치에 미리 삼출물 흡수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상기 방사용액의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를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직접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위에 삼출물 흡수부재를 방사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와 삼출물 흡수부재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와 삼출물 흡수부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PLA를 DMF와 클로로포름(Chloroform) 용매(30/70 wt.%)에 15중량%(고형분 기준)가 되도록 용해하고, 여기에 PLA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gNO3를 0.0001 중량부로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사용액을 방사구에 연결하고, 인가전압 50 kV이하, 방사구와 집전체간의 거리 25 cm, 홀당 0.1 내지 1 cc/g으로 토출하면서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를 얻었다. 이때 PLA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도 3 (a)에서와 같이 약 700~900㎚ 정도였으며, 단면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3 (b)에 나타내었다.
도 4에는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화농균인 (a)포도상 구균과 폐혈증의 원인균인 (b)CNS를 사용하여 KS 0593:2008의 방법으로 ㎖당 세균수로 정균감소율(%)을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는 (a)포도상 구균 및 (b)CNS에 대하여 99.99%의 항균력을 나타냈다.
실시예 2.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DMF와 THF 혼합용매(40/60 중량%)에 15중량%(고형분 기준)가 되도록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사용액을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 부직포 상에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복합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도 5에 상기에서 전기방사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 을 나타냈다. 상기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의 직경분포는 약 300~500㎚이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와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의 복합부직포의 투습도를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여 P값으로 나타냈으며[P = CaCl2증가량/투과영역 X 시간 (mg/cm2h)], 측정조건은 온도 40(±2)℃ 및 습도 90(±5)%이었으며, 5회 측정된 값을 평균하여 나타냈다. 그 결과 두께에 따라 편차가 있었으나 P값은 약 5,000~8,000정도였다.
실시예 3.
나노섬유 지지체로서 흡수성 섬유인 폴리(이소부틸-co-말레산)염(Poly(isobutyl-co-maleic acid)-salt)으로 구성된 직물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를 슬림 실링 테이프(slim sealing tape)법을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도 6(a)에는 흡수성 섬유의 단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6 (b)에는 상기에서 접합된 복합체의 단면형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항균 드레싱 적층체의 단면도 (a) 및 사시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항균 드레싱 적층체의 각 구성요소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a) 표면, (b) 단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의 항균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a) 포도상 구균, (b) CN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투방습 PU 나노섬유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a) x1K, (b) x 30K].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흡수성 섬유인 폴리(이소부틸-co-말레산)염으로 구성된 직물과 은 나노입자 함유 PLA 나노섬유 복합체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a) 흡수성 섬유의 단면, (b) 복합체의 단면].
*도면 부호의 설명*
100: 항균 드레싱 적층체 10: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20: 삼출물 흡수부재 30: 보호층부재
40: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는 커버부재

Claims (13)

  1.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는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경이 1μm 미만인 웹 형태로 제조된 나노섬유이며,
    외부로부터 병원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고 삼출물 흡수부재의 삼출액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10 ~ 100g/㎡/hr의 투습도를 갖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보호층부재를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가 친수성 나노섬유, 연질 우레탄 폼, 마이크로 섬유 직포 또는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가 친수성 나노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마이크로 섬유 직포 또는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로 구성된 지지층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가 연질 우레탄 폼, 마이크로 섬유 직포 또는 마이크로 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필름이 고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칠렌 넷트 필름, 또는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를 구성하는 나노섬유가 전체 나노섬유 중량에 대하여 은 나노입자를 0.5ppm ~ 5ppm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에 포함되는 섬유 형성 고분자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 및 생체 친화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에 포함되는 상기 은 금속염이 질산은(AgNO3), 염화은(AgCl) 및 황화은(Ag2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에 치료약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드래싱 적층체.
  12.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삼출물 흡수부재;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의 상부로 적층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보호층부재; 및 반투과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층부재 상부로 적층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을 압착, 롤링, 열접합, 초음파 접합, 및 슬림 실링 테이프(slim sealing tape)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적층체로 제조하는 단계; 및 5 kGy~2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멸균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
  13. 섬유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위치에 미리 삼출물 흡수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상기 방사용액의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부재를 삼출물 흡수부재 위에 직접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항균 드래싱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20080079843A 2008-08-14 2008-08-14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43A KR101150964B1 (ko) 2008-08-14 2008-08-14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43A KR101150964B1 (ko) 2008-08-14 2008-08-14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08A KR20100021108A (ko) 2010-02-24
KR101150964B1 true KR101150964B1 (ko) 2012-07-09

Family

ID=4209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43A KR101150964B1 (ko) 2008-08-14 2008-08-14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646A (ko) 2015-07-09 2017-01-18 오광일 화상환자용 피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59Y1 (ko) * 2010-03-02 2012-06-20 씨앤텍 주식회사 수족 미용 또는 수족질환 치료용 포대
ITBA20120029A1 (it) * 2012-05-08 2013-11-09 Chia-Chun Tien Materiale antisettico con un'elevata capacita' di assorbimento di olio essenziale
CN103446621B (zh) * 2013-05-07 2015-06-1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含纳米银的海藻酸钠基抗菌医用敷料的制备方法
CN103768650A (zh) * 2014-01-26 2014-05-07 深圳市博立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伤口再生修复绷带及其制作方法
KR101648083B1 (ko) * 2014-02-19 2016-08-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809B1 (ko) * 2014-07-15 2017-01-16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KR101628205B1 (ko) 2014-09-26 2016-06-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일방향 전이 기능을 갖는 창상 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0079B1 (ko) * 2015-06-01 2017-12-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균 드레싱
CN108135861B (zh) 2015-10-16 2021-02-02 阿莫生命科学有限公司 干式贴
CN106310345A (zh) * 2016-09-21 2017-01-11 天津工业大学 一种载银多级结构纳米纤维伤口抗菌敷料
KR101866343B1 (ko) * 2016-10-05 2018-06-12 (주)에프티이앤이 생산성이 향상된 나노섬유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210B1 (ko) 2017-01-10 2018-11-26 (주) 삼보 무광촉매를 포함하는 세균 흡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576B1 (ko) * 2018-02-26 2020-03-18 주식회사 엔도비전 상처치료용 다층 드레싱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39B1 (ko) 2006-07-28 2008-01-0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상처드레싱용 항산화제 함유 나노섬유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JP2008000551A (ja) * 2006-06-26 2008-01-10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hung Shan Inst Of Science & Technology 銀ナノ医療湿布材
KR100839088B1 (ko) * 2007-05-04 2008-06-19 (주) 아모센스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551A (ja) * 2006-06-26 2008-01-10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hung Shan Inst Of Science & Technology 銀ナノ医療湿布材
KR100791039B1 (ko) 2006-07-28 2008-01-0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상처드레싱용 항산화제 함유 나노섬유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100839088B1 (ko) * 2007-05-04 2008-06-19 (주) 아모센스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646A (ko) 2015-07-09 2017-01-18 오광일 화상환자용 피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08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964B1 (ko)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3206725B1 (en) "device for wound dressing"
Gupta et al. Textile-based smart wound dressings
KR101130879B1 (ko) 부직포 섬유 집합체
WO2019040729A1 (en) BIO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BIOMATERIAL
WO2014182536A1 (en) Biopolymer multi-layer multi-functional medical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oshi et al. Advances in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Micro to nanofibrous structures
Li et al. Multiscale composite nanofiber membranes with asymmetric wetability: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in wound dressings
Ramazan Advances in fabric structures for wound care
Kuddushi et al. Recent advances in novel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transparent wound dressings
JP5417571B2 (ja) 創傷被覆材
KR20100024122A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417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균성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Zhong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wound management: Tailoring superwettable bio-interfaces
KR101927855B1 (ko) 건식 패드
Mao et al. Nonwoven wound dressings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2268976B1 (ko) 항균 부직포 드레싱
KR20200059342A (ko) 항균 부직포 드레싱
CN214679180U (zh) 一种具有藻酸盐的功能性敷料
JP2000175958A (ja) 創傷用包帯
JPH0751139B2 (ja) 創傷被覆材
Song et al. Nonwoven materials and technologies for medical applications
KR20090034173A (ko) 실크 드레싱재
KR100896793B1 (ko) 의료용 항균 상처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