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072B1 -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072B1
KR101145072B1 KR1020090125893A KR20090125893A KR101145072B1 KR 101145072 B1 KR101145072 B1 KR 101145072B1 KR 1020090125893 A KR1020090125893 A KR 1020090125893A KR 20090125893 A KR20090125893 A KR 20090125893A KR 101145072 B1 KR101145072 B1 KR 10114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block
propylene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246A (ko
Inventor
김승혁
김종범
유영우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0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90~95중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5~10중량%, 과산화물 200~500ppm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산화물을 이용하여 저온 내충격성, 오렌지필 현상, 내열성, 박리강도 및 외관 등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과산화물, 충격강도, 오렌지필, 내열성, 박리강도.

Description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OLYPROPYLENE-ETHYLENE BLOCK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FOR FILM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ORANGE PEEL BY USING ORGANIC-PEROXIDES}
본 발명은 레토르트 포장 필름의 충격강도, 오렌지필 및 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에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은 살균처리 후 백화, 열융착, 열변형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높은 충격강도와 오렌지필 현상에 있어서 그 성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과산화물이 적용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관이 우수하고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내열성 및 살균 후 탁월한 박리강도를 가진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탁월한 외관, 기계적 특성, 포장적합성 등을 지니기 때문에, 식품 포장, 섬유 포장 등과 같은 포장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각각 포함하는 연신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각각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포장용도에 사용하나, 통상의 연신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각각의 필름에 대해 사용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따라 외관,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내열성, 박리강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이 불충분하다. 따라서 각각의 필름은 그 사용에 있어서 한정된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외관 및 내열성이 탁월하지만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불량하며,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외관,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불량하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내충격성은 양호하나 피쉬아이의 발현으로 외관이 불량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필름은 그 사용이 제한 되어진다.
또한 상기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저결정성 EPR(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과의 공중합체를 배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시도는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 면에서 여전히 미진한 상태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7044호는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80~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공중합체 5~20중량%로 이루어지고, 절대점도 비율이 0.09~0.33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 및 핵제 0.05~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융지수가 80~120 g/10min 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하여 제안하였으나, 이는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제품의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내열성, 오렌지필 및 박리강도가 개선된 제품은 아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183418호는 융점이 150~168℃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 되는 필름이고, 그 필름의 3차 기초표면 거칠기(중심 면 평균 거칠기)가 0.08~0.50㎛, 표면 거칠기 변형율이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개선 제품의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충격강도 및 박리강도가 개선된 제품은 아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55510호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 75~90중량% 및 프로필렌 함유량이 75~85중량%의 프로필렌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 10~2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다. 바람직한 것은, 공중합체 성분의 극한 점도가 2~4(dl/g) 이고 조성물의 MFR(용융지수)이 0.5~10g/10min인 프로필렌 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로 내충격성이 개선된 제품의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내열성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제품이 아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95251호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 프로필렌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B) 및 에틸렌 α-올레핀랜덤 공중합체 성분(C)으로 구성되고, 용융지수(230℃)가, 0.01g/min 이상이면서 2g/10min미만의 조성물이며, 여기에서, (A)/(B)이 85/15~97/3(중량비)이고, (B)의 극한점도가 2.5~4.5dl/g 및 프로필렌 함유량이 65~80중량%이고,(C)의 밀도가 0.865~0.910g/㎤으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개선된 제품의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으나, 피쉬아이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제품이 아니다.
위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과산화물을 배합하여 외관, 내충격성, 내열성, 박리강도 등이 매우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저온 내충격성 및 오렌지필 현상, 내열성 및 박리강도 그리고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레토르트 식품포장용 필름, 냉동 식품 포장용 필름, 보호용 필름 등 내열성, 저온 내충격성 및 오렌지필 개선 현상이 필요한 필름 용도에 특히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 85~99.5중량% 및 에틸렌 0.5~15중량%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90~95중량%; 프로필렌 70~85중량%를 포함하는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5~10중량%; 및 과산화물 200~500ppm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150~165℃이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부분은 극한점도가 2.0~3.0dl/g,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은 극한점도가 2.0~3.5dl/g 및 C2 함량이 40~70중량%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필름의 충격강도가 4030~5250g, 박리강도가 24~30N/15mm 및 상기 필름 외관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0~5.0g/10min이고, 호모 부분의 용융지수가 1.0~5.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밀도가 0.910g/㎤ 이하, 용융지수가 1~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산화물은 밀도가 0.95~1.10g/㎤, 반응온도가 90~220℃인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에 함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4.7~8.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포장용 필름으로, 상기 필름의 충격강도가 4030~5250g, 박리강도가 24~30N/15mm 및 상기 필름 외관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산화물을 이용하여 저온 내충격성, 오렌지필 현상, 내열성, 박리강도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토르트 식품포장용 필름, 냉동 식품 포장용 필름, 보호용 필름 등 내열성, 저온 내충격성 및 오렌지필 개선 현상이 필요한 필름 용도에 특히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프로필렌 85~99.5중량%, 에틸렌 0.5~15중량%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90~95중량% (B)지글러 나타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프로필렌 함량 70~85중량%인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5~10중량% (C)수지 제품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과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이다.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로 용융 온도가 150~165℃,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1.0~5.0g/10min(230℃, 2.16kg), 프로필렌의 극한점도가 2.0~3.0dl/g, 크실렌에의 가용분은 6~8%, 노르말헥산 추출시 4% 이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극한점도는 2.0~3.5dl/g,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C2 함량은 40~70중량%를 함유하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호모 부분의 용융지수가 1.0~5.0g/10min(230℃, 2.16kg)을 가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이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온도가 150℃이하이면, 필름 제품의 살균 후의 필름 표면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고, 용융온도가 165℃ 이상이면, 열접착성이 열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은 본 발명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총량 대비 90~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의 함량이 전체 수지 성분 중에 90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며, 95중량%를 초과하면 필름 살균시 오렌지필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 가공성이 열세하다.
또한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극한점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C2 함량이 알맞지 않으면 오렌지 필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필름 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 지글러 나타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프로필렌 함량 70~85중량%인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며, 밀도가 0.910g/㎤ 이하이고,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융용지수가 1~10g/10min(190℃,2.16kg)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함량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총량 대비 5~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수지 성분 중에 5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를 보완하는 효과가 적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오렌지필 현상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과산화물
본 발명에 사용된 과산화물의 경우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중 폴리프로필렌의 고분자 사슬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프로필렌-에틸렌 고무의 성분 중 에틸렌 성분을 가교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과산화물의 경우 주로 폴리프로필렌의 고분자 사슬의 절단을 통해 수지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며, 1종 이상의 안정한 자유라디칼을 점성 상태의 상기 수지에 혼입시켜 유동 지수가 증가된 생성물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고무 성분의 점도 비를 낮춰 주어 고무의 분산성이 높아져 충격강도를 보완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상기 과산화물의 경우 밀도는 0.95~1.10g/㎤의 범위를 가지며, 반응 온도는 90~220℃사이의 제품을 사용하며, 제품의 안정성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에 함침시킨 컴파운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과산화물 기준으로 그 함량은 200~500ppm인 것이 바람직하며, 200pm 미만시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가공성이 저하되어 필름의 주름 생성으로 필름의 성형이 어렵고 박리강도도 저하되며, 500ppm을 초과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들의 가교로 인하여 오렌지필 현상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필름 수지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열안정제, 슬립제, 중화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이점은 압출기의 스크류 속도와 압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다. 즉, 압출기의 스크류 속도 및 압출 온도가 적정 수준이상으로 수지를 제조하게 되면, 오렌지필 현상이 현저히 나타나게 되므로 적정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물성 측정 방법]
- 용용지수 : ASTM D1238 (230℃,2.16kg)
- 융점(Tm) : 차동 주사 열량계[상표명 DSC, 퍼킨-엘머 캄파니(Perkin-Elmer Co.)에서 제조함]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하에 220℃에서 5분동안 시험편 10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5℃/min의 감온 속도로 40℃로 강하시킨다. 그후, 온도를 5℃/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고, 수득된 용융 흡열 곡선의 최대 피크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서 정의한다.
또한, 5℃/min의 승온 속도에서 상기한 측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인듐(In)의 융점은 156.6℃이다.
[필름 특성]
두께가 70㎛인 각각의 필름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 오렌지필 : 필름의 외관형태를 가시적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필름 표면의 형상이 귤껍질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 필름을 불량하다고 하며, 일반 CPP형태의 매끈한 표면을 가진 것을 우수하다고 정의한다.
- 충격 강도 : 70~80㎛로 성형된 필름을 20㎝*30㎝ 규격으로 재단한 다음 각각의 충격 강도를 도요세끼 세이사꾸 쇼 LTD에서 제조한 필름 충격 시험기에 의해 직경이 15mm인 반구형 충격 헤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내열성 테스트 : 살균 전의 완제품 필름을 고압 살균솥에서 고온(140℃), 고압(1.5kg/㎠)하에서 5분동안 가열 후 필름의 외형의 변형 정도를 측정함.
- 박리강도 : 살균된 완제품의 필름으로 열접착을 시키고 접착된 필름을 폭 15mm로 재단하여 필름의 계면 박리강도를 23℃에서 200mm/min의 박리속도로 180°의 박리각에서 서로 박리강도를 측정함.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5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5중량%, C)과산화물 2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4.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0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10중량%, C)과산화물 2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4.7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5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5중량%, C)과산화물 3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6.1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3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7중량%, C)과산화물 3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6.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0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10중량%, C)과산화물 3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6.2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5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5중량%, C)과산화물 5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7.9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0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10중량%, C)과산화물 5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8.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8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2중량%, C)과산화물 3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4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 2.16kg) 2.0g/10min] 85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15중량%, C)과산화물 3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6.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3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7중량%, C)과산화물 1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3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7중량%, C)과산화물 500ppm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10.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3중량%, B)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min] 7중량%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98중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2중량%, 과산화물을 300ppm 사용시 충격강도 및 내열성은 양호하나 오렌지필 및 살균 후 박리강도가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85중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15중량%, 과산화물을 300ppm 사용시 충격강도, 내열성, 오렌지필 및 살균 후 박리강도가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93 중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7중량%, 과산화물을 100ppm 사용시 오렌지필성은 양호하나 충격강도, 내열성 및 오렌지필은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93 중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7중량%, 과산화물을 500ppm 사용시 충격강도, 내열성, 오렌지필 및 살균 후 박리강도가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93 중량 %,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7중량%만 사용시 충격강도, 내열성, 오렌지필 및 살균 후 박리강도가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과산화물의 조성비를 각각 90~95중량%, 5~10중량%, 200~500ppm로 조정하여 사용시 충격강도, 오렌지필, 내열성 및 살균 후 박리강도 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충격강도, 외관, 오렌지필성 및 열봉합성이 우수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구분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중량%)
과산화물
(ppm)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중량%)
용융지수
(g/10min)
실시예 1 95 200 5 4.7
실시예 2 90 200 10 4.7
실시예 3 95 300 5 6.1
실시예 4 93 300 7 6.0
실시예 5 90 300 10 6.2
실시예 6 95 500 5 7.9
실시예 7 90 500 10 8.0
비교예 1 98 300 2 2.4
비교예 2 85 300 15 6.0
비교예 3 93 100 7 3.5
비교예 4 93 500 7 10.0
비교예 5 93 0 7 3.0
필름 물성
구분 충격강도
(g)
오렌지필 내열성
테스트
살균후 박리강도
(N/15mm)
실시예 1 480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30
실시예 2 403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8
실시예 3 525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8
실시예 4 500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9
실시예 5 470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4
실시예 6 501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5
실시예 7 4600 양호(미발생) 양호(변형없음) 27
비교예 1 4400 발생 양호(변형없음) 19
비교예 2 3500 발생 발생(변형) 24
비교예 3 3200 양호(미발생) 발생(변형) 22
비교예 4 3880 발생 발생(변형) 16
비교예 5 2600 발생 발생(변형) 20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 85~99.5중량% 및 에틸렌 0.5~15중량%를 포함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90~95중량%;
    프로필렌 70~85중량%를 포함하는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5~10중량%; 및
    과산화물 200~500ppm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150~165℃이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부분은 극한점도가 2.0~3.0dl/g,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은 극한점도가 2.0~3.5dl/g 및 C2 함량이 40~70중량%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필름의 충격강도가 4030~5250g, 박리강도가 24~30N/15mm 및 상기 필름 외관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0~5.0g/10min이고, 호모 부분의 용융지수가 1.0~5.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밀도가 0.910g/㎤ 이하, 용융지수가 1~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밀도가 0.95~1.10g/㎤, 반응온도가 90~220℃인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에 함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4.7~8.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포장용 필름으로, 상기 필름의 충격강도가 4030~5250g, 박리강도가 24~30N/15mm 및 상기 필름 외관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KR1020090125893A 2009-12-17 2009-12-17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14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93A KR101145072B1 (ko) 2009-12-17 2009-12-17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93A KR101145072B1 (ko) 2009-12-17 2009-12-17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46A KR20110069246A (ko) 2011-06-23
KR101145072B1 true KR101145072B1 (ko) 2012-05-11

Family

ID=4440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893A KR101145072B1 (ko) 2009-12-17 2009-12-17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7832B2 (en) 2021-02-15 2024-01-09 Keysight Technologies, Inc. Separating receive and transmit antennas of a radar tes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578A (ko) * 1995-11-24 1999-09-27 고또오 슈운기찌 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성형품
KR20000062800A (ko) * 1999-03-09 2000-10-25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다층 필름
KR20070089820A (ko) * 2004-11-29 2007-09-03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적층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1578A (ko) * 1995-11-24 1999-09-27 고또오 슈운기찌 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성형품
KR20000062800A (ko) * 1999-03-09 2000-10-25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다층 필름
KR20070089820A (ko) * 2004-11-29 2007-09-03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46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196B2 (ja)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110063439A (ko) 열가소성 전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JP7411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TW202003245A (zh) 聚丙烯系複合薄膜及使用其之包裝材料
JP201217212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7480401B2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2020513430A (ja) 接着剤用途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JP202204257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KR10190208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접착 필름
KR100784983B1 (ko)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145072B1 (ko)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2106711B1 (ko) 이지필 필름의 밀봉층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밀봉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US20190218380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on applications
KR100550313B1 (ko)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H0241539B2 (ko)
JP2013023647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チューブ容器
JPH0714999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20170090927A (ko)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2021055050A (ja) レトルト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1498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2918409A1 (en) Stretch wrapping film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WO2014083131A1 (en) Soft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low n-hexane solubles
JP7470502B2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