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66B1 -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66B1
KR101142566B1 KR1020100051677A KR20100051677A KR101142566B1 KR 101142566 B1 KR101142566 B1 KR 101142566B1 KR 1020100051677 A KR1020100051677 A KR 1020100051677A KR 20100051677 A KR20100051677 A KR 20100051677A KR 101142566 B1 KR101142566 B1 KR 10114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tterns
electrode layer
touch screen
patterns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57A (ko
Inventor
곽원규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66B1/ko
Priority to JP2010232349A priority patent/JP2011253519A/ja
Priority to TW099146337A priority patent/TWI525487B/zh
Priority to US12/980,615 priority patent/US20110291994A1/en
Publication of KR2011013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킨 터치스크린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은, 터치활성영역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 및 제2 감지패턴들과, 상기 터치활성영역의 외곽에 정의되는 터치비활성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위치검출라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킨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저항막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물체가 접촉될 때 각각 저항의 변화 및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입력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패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패턴들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므로, 하부에 위치된 표시패널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투과율이 확보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일반적으로 투명하게 구현된다.
이를 위해, 감지패턴들은 인듐주석산화물(Induim Tin Oxide, 이하 ITO)이나 인듐아연산화물(Induim Zinc Oxide, 이하 IZO)과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된다.
하지만, ITO나 IZ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은 높은 면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로 감지패턴들을 형성하는 경우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패턴들의 저항을 감소시킴에 의해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킨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치활성영역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 및 제2 감지패턴들과, 상기 터치활성영역의 외곽에 정의되는 터치비활성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위치검출라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 금(Au), 마그네슘(M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10Å 내지 12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200Å 내지 50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및 인듐아연산화물(IZO) 중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는, 두 개의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두 개의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는, 두 개의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두 개의 제2 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구조는, 각각 두 개 이상의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모두,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상기 터치활성영역에 교호적으로 다수 분산되어 배치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감지셀 형태로 구현되되, 동일한 열 라인 또는 동일한 행 라인에 위치된 상기 제1 감지패턴들은, 상기 열 라인 또는 행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1 연결패턴들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동일한 행 라인 또는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상기 행 라인 또는 열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2 연결패턴들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각각 가로 또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 방향 및 이에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저항막 방식의 접촉전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이 그 하부에 위치되는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터치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 및 제2 감지패턴들을 포함한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일체화되어 구현되되,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감지패턴들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을,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투과도가 확보되도록 두께가 한정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의 표시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투과도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감지패턴들의 저항을 감소시켜,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패널의 제1 감지패턴들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을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함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과 표시패널을 일체화하면, 빛의 투과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패널 내장형 영상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패턴들 및 연결패턴들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 및 Ⅱ-Ⅱ'선 방향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은, 투명기판(10)과, 상기 투명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에 형성된 감지패턴들(12) 및 연결패턴들(13)과, 상기 터치활성영역 외곽의 터치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감지패턴들(12)을 패드부(2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는 위치검출라인들(15)을 포함한다.
감지패턴들(12)은, 터치활성영역에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12a)과, 상기 터치활성영역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예컨대,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패턴들(12b)을 포함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터치활성영역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감지셀 형태로 구현된다.
즉, 제1 감지패턴들(12a)은 열 라인 및/또는 행 라인을 따라 각각 다수 개씩 배치되되, 동일한 열 라인 또는 행 라인(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제1 감지패턴들(12a)은 상기 동일한 열 라인 또는 행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1 연결패턴들(13a)에 의해 제1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열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감지패턴들(12a)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라인 단위로 각각의 위치검출라인(15)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감지패턴들(12b)은 행 라인 및/또는 열 라인을 따라 각각 다수 개씩 배치되되, 동일한 행 라인 또는 열 라인(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행 라인)에 위치된 제2 감지패턴들(12b)은 상기 동일한 행 라인 또는 열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2 연결패턴들(13b)에 의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행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감지패턴들(12b)은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라인 단위로 각각의 위치검출라인(15)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패널(미도시)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갖도록 투명하게 구현된다.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적어도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패턴들(13)은, 제1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제1 감지패턴들(12a)을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연결패턴들(13a)과, 제2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제2 감지패턴들(12b)을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다수의 제2 연결패턴들(13b)을 포함한다.
위치검출라인들(15)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라인 단위의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2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이러한 위치검출라인들(15)은 영상이 표시되는 터치활성영역을 피해 상기 터치활성영역의 외곽에 정의되는 터치비활성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감지패턴들(12)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패턴들(12)로부터 위치검출라인들(15) 및 패드부(2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패턴들 및 연결패턴들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이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는 1 layer 구조의 터치스크린패널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이 상이한 레이어에 배치되는 2 layer 구조의 터치스크린패널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동일한 레이어에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각각 제1 연결패턴들(13a) 및 제2 연결패턴들(13b)에 의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패턴들(13a) 및 제2 연결패턴들(13b) 사이의 안정성(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연결패턴들(13a) 및 제2 연결패턴들(13b)은 사이에 절연막(미도시)을 개재하고 상이한 레이어에 위치된다.
예컨대, 제1 연결패턴들(13a)은,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이 위치되는 레이어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이어에 위치되어 컨택홀이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제1 감지패턴들(12a)과 연결되고, 제2 연결패턴들(13b)은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이 위치되는 레이어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어 제2 감지패턴들(12b)과 일체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패턴들(12a)은 각각이 독립된 패턴을 갖도록 분리되어 패터닝되되, 자신과 상이한 레이어에 위치된 제1 연결패턴들(13a)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감지패턴들(12a)과 제2 감지패턴들(12b)이 반드시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이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패턴들(13a)은 제1 감지패턴들(12a)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감지패턴들(12a)과 일체로 패터닝되고, 제2 연결패턴들(13b)은 제2 감지패턴들(12b)이 위치되는 레이어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감지패턴들(12b)과 일체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1 연결패턴들(13a)이 형성된 레이어와, 제2 감지패턴들(12b) 및 제2 연결패턴들(13b)이 형성된 레이어 사이에는 터치활성영역 전면적으로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3a, 13b)이 서로 교차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연결패턴들(13a)이 인접한 제2 감지셀(12b)과 중첩되는 경로로 우회하여 제2 연결패턴들(13b)과 교차되지 않으면서 제1 감지셀들(12a)을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패턴들(13a)과 제2 감지셀(12b)의 사이에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 및 Ⅱ-Ⅱ'선 방향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로서, 특히, 도 3의 (a)는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활성영역(101)에는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과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3a, 13b)이 형성되며, 제1 연결패턴들(13a)과 제2 연결패턴들(13b)의 사이에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막(14)이 개재된다. 그리고, 터치활성영역 외곽의 터치비활성영역(102)에는 저저항 물질로 형성된 위치검출라인들(15)이 형성된다.
절연막(14)은, 제1 연결패턴들(13a)의 일 영역,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a)과 연결되는 제1 연결패턴들(13a)의 양측 단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된 제1 연결패턴들(13a)의 양측 단부가 제1 감지패턴들(12a)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12a)이 제1 방향(예컨대, 열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패턴들(13b)은 절연막(14)의 상부를 경유하면서 제2 방향(예컨대, 행 방향)을 따라 제2 감지패턴들(12b)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패터닝된다. 이에 의해, 제2 감지패턴들(12b)이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1 layer 구조의 터치스크린패널에 구비되는 감지패턴들 및 연결패턴들의 단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편의상 제1 연결패턴들(13a) 및 제2 연결패턴들(13b)의 교차부에만 국부적으로 절연막(14)이 개재되는 실시예를 개시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터치활성영역에 전면적으로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상이한 레이어에 위치된 감지패턴들(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a))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패턴들(예컨대, 제1 연결패턴들(13a))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연결패턴들(13a)이 절연막(14)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 연결패턴들(13b)이 절연막(14)의 상부에 위치되는 일례를 도시하였지만, 제1 연결패턴들(13a) 및 제2 연결패턴들(13b)의 위치가 반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터치활성영역(101)은 터치스크린패널 하부의 표시패널(미도시) 등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현된다. 즉,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 및 제2 연결패턴들(13b), 절연막(14) 등은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갖는 투명성 재료로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이란 100% 투명함은 물론,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 정도로 투명함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 및 제2 연결패턴들(13b)은 ITO나 IZO 등의 투명전극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절연막(14)은 실리콘 산화막(SiO2) 등의 투명성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패턴들(12a1)은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 및 제2 연결패턴들(13b)과 같이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위치검출라인들(15)과 같이 불투명 저저항 금속 등으로 형성되되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선폭이나 길이, 두께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단, ITO나 IZ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은 높은 면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로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을 형성하는 경우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을, ITO나 IZ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Transparent Conductive Object, 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은(Ag)과 같은 불투명전극물질(Non-Transparent Conductive Object, N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함에 의해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을, 투명전극물질(TCO)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제1 전극층과, 상기 두 개의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며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이루어진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공정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적층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패턴들(12a) 및 제2 감지패턴들(12b)은 상이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화면의 장변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보다 저항에 민감한 제1 감지패턴들(12a)은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하고, 제2 감지패턴들(12b)은 하나의 제1 전극층으로 구성되는 단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패턴들(12a)과 제2 감지패턴들(12b) 모두를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하되, 이들의 적층구조나 그 물질이 상이하게 변경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 저저항의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의 두께는 투과도 확보를 위해 소정의 범위 이내로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극층이 은(Ag)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500Å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감지패턴들(12a, 12b)의 저항을 낮추면서도 높은 투과율을 유지해야하는 경우, 한 층의 제2 전극층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가 120Å 이하가 되도록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a)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혹은, 제2 감지패턴들(12b)과 동일한 물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패턴들(13b)도 포함)이 제1 전극층 / 제2 전극층 / 제1 전극층의 순서로 적층되는 3층의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ITO(300Å) / Ag(10~120Å) / ITO(300Å)의 적층구조로 제1 감지패턴들(12a)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패턴들(12a)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에서의 광 투과율을 90% 이상 확보하면서 면저항을 10Ω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을 다소 낮추더라도 보다 낮은 면저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ITO(300Å) / Ag(200~500Å) / ITO(300Å)의 적층구조로 제1 감지패턴들(12a)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반투과형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거울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패널에 요구되는 특성조건 및 그 용도 등에 맞춰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제2 전극층의 두께를 조절하되, 하부의 표시패널에 의한 빛이 소정의 투과도 이상(예컨대, 반투과형을 포함하여 50% 이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제2 전극층의 두께를 한정할 수 있다.
즉, 투과도 확보를 위해 제2 전극층의 두께는 한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감지패턴들(12a)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을, 투명전극물질(TCO)로 이루어진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투과도가 확보되도록 두께가 한정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하부의 표시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투과도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감지패턴들(12a, 12b)의 저항을 감소시켜,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와 더불어 정밀도 및 출력주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 즉 제1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투명전극물질(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12a1)과,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한다.
예컨대,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각각 하나의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하되,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제2 전극층(12a2) 및 제1 전극층(12a1)의 순서로 적층되거나, 혹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즉,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제1 전극층(12a1)과 상기 제1 전극층(12a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제1 전극층(12a1)과 상기 제1 전극층(12a1)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12a1) 및/또는 제2 전극층(12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전극층(12a1)과 상기 두 개의 제1 전극층(12a1) 사이에 개재된 하나의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혹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전극층(12a2)과 상기 두 개의 제2 전극층(12a2) 사이에 개재된 하나의 제1 전극층(12a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각각 두 개 이상의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예컨대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의 (e)는 하부로부터 제1 전극층(12a1), 제2 전극층(12a2),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의 위치는 반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전극층(12a1)은 ITO나 IZO, 혹은 ITZO와 같은 기타 투명전극물질(TCO) 중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층(12a2)은 은(Ag), 금(Au), 마그네슘(M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저저항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층(12a2)은 소정의 투과도가 확보되도록 예컨대 제1 전극층(12a1)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두께가 한정된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층(12a2)이 은(Ag)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면, 각각의 제2 전극층(12a2)의 두께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투과도 확보를 위해 10Å 내지 12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거나, 혹은 보다 면저항을 낮추면서 반투과형 터치스크린패널이 구현될 수 있도록 200Å 내지 50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 외에도 감지패턴들의 적층구조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12a1) 및 제2 전극층(12a2)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의 표시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소정의 투과도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감지패턴들의 저항을 감소시켜,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은, 터치활성영역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110) 및 제2 감지패턴들(210)과, 터치활성영역의 외곽에 정의되는 터치비활성영역에 위치되며, 제1 감지패턴들(110) 및 제2 감지패턴들(210)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위치검출라인들(120, 220)을 포함한다.
특히,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제1 감지패턴들(110) 및 제2 감지패턴들(210)은, 각각 가로 또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제1 방향(예컨대, 행 방향) 및 이에 교차되는 제2 방향(예컨대, 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저항막 방식의 접촉전극 형태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감지패턴들(110)과 상기 제1 감지패턴들(110)에 연결되는 제1 위치검출라인들(120)이 형성된 상부기판(100)과,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감지패턴들(210)과 상기 제2 감지패턴들(210)에 연결되는 제2 위치검출라인들(220)이 형성된 하부기판(200)과, 제1 감지패턴들(110)과 제2 감지패턴들(210)의 사이에 위치되며 터치입력이 제공될 시 터치 지점에서의 제1 감지패턴(110)과 제2 감지패턴(210)을 통전시키는 다수의 도트 스페이서(300)와, 상부기판(100)과 하부기판(200)을 접착시키는 접착제(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감지패턴들(110)과 제2 감지패턴들(21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중첩되며, 터치입력이 제공되지 않을 시에는 이들 간에 절연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터치입력에 의해 터치 지점이 가압되면, 상기 터치 지점에서 도트 스페이서(300)에 의해 제1 감지패턴(110)과 제2 감지패턴(210)이 통전된다. 이때, 제1 감지패턴(110)에 연결된 제1 위치검출라인(120)과, 제2 감지패턴(210)에 연결된 제2 위치검출라인(220)을 통하여 감지되는 전압을 통하여 터치 여부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도, 제1 감지패턴들(110) 및 제2 감지패턴들(210)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적층구조에 대한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 즉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에 구비된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의 적층구조에서 다양하게 기재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터치스크린패널의 구현을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감지패턴들(110)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210)을, 투명전극물질(TCO)로 이루어진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NTCO)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투과도가 확보되도록 두께가 한정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함에 의해, 터치입력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패널은, 독립적인 기판에 형성되어 영상표시장치 등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혹은 영상표시장치의 표시패널과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Display)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터치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12a, 110) 및 제2 감지패턴들(12b, 210)을 포함한 터치스크린패널(TSP)을 구비하되,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제1 감지패턴들(12a, 110)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 210)을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함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TSP)과 표시패널(Display)을 일체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layer 구조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패널(TSP1)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a, 12b)과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3a, 13b) 등을 표시패널(Display)의 상부기판(10) 상에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2 layer 구조의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제1 또는 제2 감지패턴들(12a, 12b)을 표시패널의 상부기판(10) 상에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패널(TSP2)에 구비되는 감지패턴들 중 일부, 예컨대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패널의 하부기판에 구비되는 제2 감지패턴들(210)을 표시패널(Display)의 상부기판(200) 상에 형성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의 하부기판을 표시패널의 상부기판(200)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패널의 제1 감지패턴들(12a, 110) 및/또는 제2 감지패턴들(12b, 210)을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함에 의해 터치스크린패널(TSP)과 표시패널(Display)을 일체화함으로써, 터치스크린패널(TSP)과 표시패널(Display) 사이의 에어갭을 제거하여 빛의 투과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패널 내장형 영상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편의상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하부에 구비되는 표시패널(Display)을 액정표시패널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개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패널(Display)은 액정표시패널 외에도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 등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서, 도면부호 500은 액정표시패널의 하부기판, 510 및 520은 각각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530은 액정층, 540은 컬러필터, 560은 오버코팅막이다.
단, 액정표시패널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 7에서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구성을 비교적 단순하게 도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TSP)과 표시패널(Display)을 일체화하면, 빛의 투과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터치스크린패널 내장형 영상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12a, 12b, 110, 210: 감지패턴 12a1: 제1 전극층
12b1: 제2 전극층 13, 13a, 13b: 연결패턴
14: 절연막 15, 120, 220: 위치검출라인

Claims (20)

  1. 터치활성영역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 및 제2 감지패턴들과,
    상기 터치활성영역의 외곽에 정의되는 터치비활성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위치검출라인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터치스크린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 금(Au), 마그네슘(M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10Å 내지 12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터치스크린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200Å 내지 50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터치스크린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및 인듐아연산화물(IZO) 중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두 개의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두 개의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두 개의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두 개의 제2 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전극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치스크린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각각 두 개 이상의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모두,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동일한 적층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상기 터치활성영역에 교호적으로 다수 분산되어 배치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감지셀 형태로 구현되되,
    동일한 열 라인 또는 동일한 행 라인에 위치된 상기 제1 감지패턴들은, 상기 열 라인 또는 행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1 연결패턴들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동일한 행 라인 또는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상기 행 라인 또는 열 라인을 따라 다수 배치된 제2 연결패턴들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은, 각각 가로 또는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 방향 및 이에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저항막 방식의 접촉전극 형태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이 그 하부에 위치되는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일체화되어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
  17.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터치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 및 제2 감지패턴들을 포함한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일체화되어 구현되되,
    상기 제1 감지패턴들 및 상기 제2 감지패턴들 중 하나 이상의 감지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층과, 불투명전극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영상표시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 금(Au), 마그네슘(M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영상표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10Å 내지 120Å의 범위 또는 200Å 내지 500Å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영상표시장치.
KR1020100051677A 2010-06-01 2010-06-01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114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77A KR101142566B1 (ko) 2010-06-01 2010-06-01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JP2010232349A JP2011253519A (ja) 2010-06-01 2010-10-15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TW099146337A TWI525487B (zh) 2010-06-01 2010-12-28 觸控螢幕面板及具有其之顯示裝置
US12/980,615 US20110291994A1 (en) 2010-06-01 2010-12-29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77A KR101142566B1 (ko) 2010-06-01 2010-06-01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57A KR20110131957A (ko) 2011-12-07
KR101142566B1 true KR101142566B1 (ko) 2012-05-03

Family

ID=4502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77A KR101142566B1 (ko) 2010-06-01 2010-06-01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91994A1 (ko)
JP (1) JP2011253519A (ko)
KR (1) KR101142566B1 (ko)
TW (1) TWI5254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501B1 (ko) * 2011-12-07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75292A (ko) * 2011-12-27 2013-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101407877B1 (ko) * 2011-12-28 2014-06-17 (주)엘지하우시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KR20130114820A (ko) * 2012-04-10 2013-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WO2014005218A1 (en) * 2012-07-05 2014-01-09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TWI503721B (zh) * 2013-05-09 2015-10-11 Henghao Technology Co Ltd 觸控電極裝置
CN104516614A (zh) * 2013-09-26 2015-04-15 业鑫科技顾问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
CN103677413B (zh) * 2013-12-09 2016-09-2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4765481B (zh) * 2014-01-06 2019-05-2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06030483B (zh) 2014-02-18 2019-12-17 剑桥触控科技有限公司 使用压感触摸的触摸屏的功率模式的动态切换
CN106062684B (zh) 2014-03-05 2019-03-12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251775B1 (ko) 2014-07-18 202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접촉 감지 센서
KR102263975B1 (ko) 2014-12-16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0003B1 (ko) 2014-12-23 2022-12-21 케임브리지 터치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압력감지 방식 터치 패널
GB2533667B (en) 2014-12-23 2017-07-19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CN105045452B (zh) * 2015-08-19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设备及其阵列基板
JP3203140U (ja) * 2015-09-11 2016-03-17 鼎展電子股▲分▼有限公司 タッチ機能を有する映写幕
GB2544307B (en) 2015-11-12 2018-02-07 Cambridge Touch Tech Ltd Processing signals from a touchscreen panel
KR102513362B1 (ko) * 2015-12-11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GB2544353B (en) 2015-12-23 2018-02-21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US10282046B2 (en) 2015-12-23 2019-05-0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47031B (en) 2016-02-05 2019-09-25 Cambridge Touch Tech Ltd Touchscreen panel signal processing
KR102075065B1 (ko) * 2017-02-16 2020-02-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GB2565305A (en) 2017-08-08 2019-02-13 Cambridge Touch Tech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US11093088B2 (en) 2017-08-08 2021-08-1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KR102409433B1 (ko) 2017-11-03 2022-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314A (ko) * 2003-12-16 2005-06-22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안보이는 전극을 지닌 투명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8310551A (ja) 2007-06-14 2008-12-25 Epson Imaging Devices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
KR20100067236A (ko) * 2008-12-11 2010-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892A (ja) * 1995-08-24 1997-03-04 Mitsui Toatsu Chem Inc 透明導電性積層体
JPH1024520A (ja) * 1996-07-11 1998-01-27 Mitsui Petrochem Ind Ltd 透明導電性積層体
JPH10278159A (ja) * 1997-04-08 1998-10-20 Mitsui Chem Inc 透明導電性薄膜積層体の製造方法
JPH11167097A (ja) * 1997-12-03 1999-06-22 Seiko Epson Corp 入力機能付液晶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入力機能付液晶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272259A (ja) * 2004-04-08 2007-10-18 Gunze Ltd 透明タッチスイッチ
JP5103944B2 (ja) * 2007-03-02 2012-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力機能付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216726A (ja) * 2007-03-06 2008-09-1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8624845B2 (en) * 2008-09-26 2014-01-0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ance touch screen
KR20100119321A (ko) * 2009-04-30 2010-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8730184B2 (en) * 2009-12-16 2014-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itive device with multilayer electrode having improved optical and electrical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314A (ko) * 2003-12-16 2005-06-22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안보이는 전극을 지닌 투명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8310551A (ja) 2007-06-14 2008-12-25 Epson Imaging Devices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
KR20100067236A (ko) * 2008-12-11 2010-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1994A1 (en) 2011-12-01
KR20110131957A (ko) 2011-12-07
JP2011253519A (ja) 2011-12-15
TWI525487B (zh) 2016-03-11
TW201145111A (en)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566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TWI466600B (zh) 可撓式印刷電路板以及具有其之觸控螢幕面板設備
KR10104088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42664B1 (ko)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5007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2208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602275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KR10111347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4937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197608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5639473B2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表示装置
KR10102218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4825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623894B2 (ja) タッチパネル
TWI417779B (zh) 觸控式面板以及具有該面板之液晶顯示裝置
WO2011013279A1 (ja) 電極基板、電極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10094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40070103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8749514B2 (en) Touch screen panel
KR2012002807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033966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10242019A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562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085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520103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