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851B1 - 선박용 탑승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탑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851B1
KR101140851B1 KR1020100007680A KR20100007680A KR101140851B1 KR 101140851 B1 KR101140851 B1 KR 101140851B1 KR 1020100007680 A KR1020100007680 A KR 1020100007680A KR 20100007680 A KR20100007680 A KR 20100007680A KR 101140851 B1 KR101140851 B1 KR 10114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essel
leg
pier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982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8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선박과 부두를 연결할 수 있는 선박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두와 선박 사이에 배치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선박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탑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탑승장치 {BRIDGE APPARATUS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선박과 부두를 연결할 수 있는 선박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선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며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가공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선공정에 사용되는 연료 및 원료는 대형 선박에 의해 이송되며, 제철소가 있는 부두를 통해 연료 및 원료가 입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선박용 탑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두와 선박 사이에 배치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선박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탑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리부의 일측은 상기 부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의 타측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부두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싱부는, 상기 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박에 접촉되는 센싱패널; 및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패널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싱패널에는 상기 다리부의 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센서에 접촉되어 제어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서는, 상기 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홀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는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높이가 달라지는 선박의 높이에 따라 선박에 연결되는 다리부의 높이가 가변되므로 별도의 제어작업 없이 작업자가 선박 또는 부두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하역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장치가 설치된 부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의 조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선박의 상승을 감지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선박의 하강을 감지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장치가 설치된 부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의 조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는 부두(3)와 선박(5) 사이에 배치되는 다리부(10)와, 다리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30)와, 선박(5)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50)와, 센싱부(5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한다.
부두(3)에 선박(5)이 정박하면 작업자가 구동부(30)를 조작하여 다리부(10)를 선박(5)과 부두(3) 사이에 배치시켜 작업자가 선박(5)에 오르거나 내리는 이동을 행하면서 하역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때, 선박(5)은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갑판의 위치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는데, 센싱부(50)에 의해 선박(5)의 높이가 감지되므로 센싱부(50)로부터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다리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리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별도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연속적인 하역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용이한 하역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리부(10)의 일측은 부두(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리부(10)의 타측은 구동부(30)에 의해 승강되므로 선박(5)이 부두(3)에 정박하면 구동부(30)에 의해 다리부(10)의 타측이 하강하면서 선박(5)에 놓여진다.
구동부(30)는 다리부(10)에 연결되는 와이어(32)와, 와이어(32)를 권취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4)를 포함하므로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32)가 권취되면 다리부(10)의 타측이 상승되면서 부두(3)와 선박(5)이 분리되고, 모터(34)에 의해 와이어(32)가 기둥(36)으로부터 풀리면 다리부(10)의 타측이 하강하면서 부두(3)와 선박(5)을 연결하게 된다.
센싱부(50)는 다리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박(5)에 접촉되는 센싱패널(52)과, 다리부(10)에 설치되고 센싱패널(52)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센서(54)를 포함한다.
센싱패널(52)은 다리부(10) 타측 단부에 센싱패널(52)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싱패널(5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52a)가 다리부(10)에 형성된 홀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다리부(10)가 선박(5)에 놓인 후에 선박(5)의 위치가 높아지면 센싱패널(52)의 외측 단부가 상승하면서 센싱패널(52)의 내측 단부가 하강하므로 접촉부(52a)가 센서(54)와 접촉되면서 센서(54)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송신된다.
센서(54)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제어부(56)에 수신되고, 제어부(56)로부터 모터(34)의 구동신호가 송신되므로 와이어(32)가 권취되어 다리부(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센서(54)는 홀부(14)의 하측에 설치되어 선박(5)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센서(54a)와, 홀부(14)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박(5)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센서(5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접촉부(52a)가 하강하면 제1센서(54a)와 접촉부(52a)가 접촉되면서 선박(5)의 상승을 감지하고, 접촉부(52a)가 상승하면 제2센서(54b)와 접촉부(52a)가 접촉되어 선박(5)의 하강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선박의 상승을 감지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선박의 하강을 감지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부두(3)에 선박(5)이 정박하여 다리부(10)가 선박(5)과 부두(3)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다리부(10)를 통해 선박(5)과 부두(3)를 오가면서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선박(5)의 높이가 높아지면, 센싱패널(52)의 외측 단부가 선박(5)과 함께 상승하므로 센싱패널(52)의 내측 단부는 하강하게 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센싱패널(52)의 접촉부(52a)는 제1센서(54a)와 접촉되어 제어부(56)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56)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34)가 구동되어 와이어(32)를 기둥(36)에 권취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다리부(10)의 타측이 설정 높이만큼 상승하므로 다리부(10)는 부두(3)와 선박(5)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3 참조)
반대로,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선박(5)의 높이가 낮아지면, 선박(5)과 센싱패널(52)이 이격되므로 자체 하중에 의해 센싱패널(52)의 외측 단부가 하강하고 센싱패널(52)의 내측 단부가 상승하여 접촉부(52a)가 제2센서(54b)와 접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발생되는 제2센서(54b)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56)에서 모터(34)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모터(34) 구동에 의해 와이어(32)가 기둥(36)으로부터 풀리면서 다리부(10)의 타측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10)가 부두(3)와 선박(5)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다리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별도의 작업을 행하지 않고 하역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선박용 탑승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탑승장치의 다리부(110)는 부두(103)에 설치되는 지지대(11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대(112)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부두(103)와 선박(10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에는 지지대(11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다리부(110)를 부두(103)로부터 더 돌출시키므로 부두(103)로부터 멀어진 선박(105)에 인접하게 다리부(110)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선박용 탑승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선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탑승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다리부 30 : 구동부
32 : 와이어 34 : 모터
36 : 기둥 50 : 센싱부
52 : 센싱패널 54 : 센서
56 : 제어부

Claims (7)

  1. 부두와 선박 사이에 배치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선박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다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박에 접촉되는 센싱패널; 및
    상기 다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패널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패널에는 상기 다리부의 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센서에 접촉되어 제어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홀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패널은 상기 다리부 타측 단부에 상기 센싱패널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싱패널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상기 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탑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일측은 상기 부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의 타측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탑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부두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탑승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07680A 2010-01-28 2010-01-28 선박용 탑승장치 KR10114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80A KR101140851B1 (ko) 2010-01-28 2010-01-28 선박용 탑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80A KR101140851B1 (ko) 2010-01-28 2010-01-28 선박용 탑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82A KR20110087982A (ko) 2011-08-03
KR101140851B1 true KR101140851B1 (ko) 2012-05-03

Family

ID=4492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80A KR101140851B1 (ko) 2010-01-28 2010-01-28 선박용 탑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98B1 (ko) * 2012-08-09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의 브릿지 설치 시스템 및 설치 방법
KR101487997B1 (ko) 2013-04-19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993A (zh) * 2019-03-21 2019-07-26 江苏亨通海洋光网***有限公司 码头输缆自动对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508U (ko) * 1984-11-21 1986-06-17
KR100347383B1 (ko) * 2000-08-21 2002-08-07 주식회사 호룡 선박의 승하선장치
KR20080101307A (ko) * 2007-05-17 2008-11-21 전철산 선박의 승하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508U (ko) * 1984-11-21 1986-06-17
KR100347383B1 (ko) * 2000-08-21 2002-08-07 주식회사 호룡 선박의 승하선장치
KR20080101307A (ko) * 2007-05-17 2008-11-21 전철산 선박의 승하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98B1 (ko) * 2012-08-09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의 브릿지 설치 시스템 및 설치 방법
KR101487997B1 (ko) 2013-04-19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82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851B1 (ko) 선박용 탑승장치
KR20160105428A (ko) 큰 단면을 갖는 긴 주괴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플랜트
CN110369697A (zh) 铸造用的自动压箱装置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704082B (zh) 采用平衡油缸自动检测、控制扇形段辊缝的方法
JP5900215B2 (ja) 連続鋳造鋳片の凝固完了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CN101890494B (zh) 镉锭自动浇铸机
KR101756457B1 (ko) 턴디쉬 스컬 제거 및 클램핑 장치
CN108436046B (zh) 一种超大规格圆坯的立式连铸生产设备及方法
KR101510286B1 (ko) 슬래그 제거장치
KR20110010492A (ko) 슬라브용 스카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320306B1 (ko) 쉬라우드노즐 체결용 자동제어 로봇장치
CN214666704U (zh) 一种自动测量水下混凝土浇筑高度的装置及混凝土浇筑装置
KR101424465B1 (ko) 연원료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16708A (ja) 自動注湯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100854858B1 (ko)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KR101086057B1 (ko)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
KR101024750B1 (ko) 런 아웃 롤러테이블의 리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59878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2784657U (zh) 原料输送装置
JP5821632B2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圧力制御方法
KR101299093B1 (ko) 압하설비의 자동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