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502B1 -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502B1
KR101138502B1 KR1020100083381A KR20100083381A KR101138502B1 KR 101138502 B1 KR101138502 B1 KR 101138502B1 KR 1020100083381 A KR1020100083381 A KR 1020100083381A KR 20100083381 A KR20100083381 A KR 20100083381A KR 101138502 B1 KR101138502 B1 KR 10113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cathode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849A (ko
Inventor
최동혁
김배균
김학관
윤호진
민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02B1/ko
Priority to US13/025,883 priority patent/US8465554B2/en
Priority to JP2011034248A priority patent/JP2012049500A/ja
Publication of KR2012001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음극 및 리튬 공급원을 도핑 전해액에 함침하여 상기 음극에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하는 단계;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상기 리튬 이온이 프리도핑된 음극과 양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단자들을 융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단자를 노출하며 상기 전극 셀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capacitor}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 접촉하여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공정을 수행한 후, 단자의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모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완제품 기기의 핵심부품이다. 또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미래형 전기자동차 및 휴대용 전자장치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고품질 에너지원으로써 확실하게 사용될 것이다.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와 전기화학적 산환-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Hybrid supercapacitor)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출력 에너지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작은 용량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을 개선할 새로운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 중 리튬 이온 커패시터(Lithium ion capacitor; LIC)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비해 3 내지 4배 정도의 축적용량을 가질 수 있다.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은 시트형태를 갖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공정, 양극의 단자들과 음극의 단자들을 각각 용접하는 용접공정, 전극 적층체를 전해액에 함침하여 음극에 리튬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한 전처리 도핑공정 및 전극 적층체를 알루미늄으로 실링하는 실링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에 리튬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한 공정은 전극 적층체의 최상단층과 최하단층에 각각 리튬 금속막을 구비시킨 후, 전해질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이때, 프리 도핑 공정에서 리튬 이온이 음극에 원활하게 공급되기 위해, 양극 및 음극에 구비된 집전체는 메쉬형태로 가질 수 밖에 없어, 리튬 이온 캐패시터의 내부 저항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튬 금속막은 전극 적층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므로, 적층된 음극 전체에 리튬이온이 균일하게 도핑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리튬이온이 전극 적층체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에 균일하게 도핑되기 까지의 시간이 20일 정도가 소요되어, 양산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 접촉하여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공정을 수행한 후, 단자의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음극 및 리튬 공급원을 도핑 전해액에 함침하여 상기 음극에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하는 단계;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상기 리튬 이온이 프리도핑된 음극과 양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단자들을 융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단자를 노출하며 상기 전극 셀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셀을 세정액에 함침한 후 초음파 세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은 아세톤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자에 흡착된 염을 제거하는 제 1 차 초음파 세정 단계; 및 상기 단자에 흡착된 용매를 제거하는 제 2 차 초음파 세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공급원은 리튬 메탈, 리튬을 함유하는 산화물 및 리튬을 함유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음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음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상기 리튬 공급원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이후에 상기 전극 셀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킴으로써, 프리도핑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양산적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킴으로써, 집전체를 무공의 형태로 가져갈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킨 후 적층셀을 형성함에 따라, 각 음극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이온의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한 후, 단자의 세척 공정을 통해 단자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제거함에 따라, 단자의 융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음극(120) 및 리튬 공급원(130)을 서로 접촉시킨다.
여기서, 음극(120)은 음극 집전체(121)와 음극 집전체(121)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121)는 구리 및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음극 집전체(121)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내저항을 낮추기 위해 메쉬형태가 아닌, 즉 무공(無孔)의 시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극 활물질층(122)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그라파이터(graphi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음극 활물질층(122)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극(120)은 외부전원과 접촉되는 음극 단자(1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단자(123)는 음극 집전체(12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튬 공급원(130)은 음극(120)으로 리튬 이온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튬 공급원(130)은 리튬 메탈,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리튬 산화물 및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리튬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120)은 음극 집전체(121)의 양면에 음극 활물질층(122)을 구비할 경우, 리튬 공급원(130)은 음극(120)의 양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적층 지그를 이용하여, 음극(120)과 리튬 공급원(130)을 교대로 적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음극(120)에 한번의 공정으로 리튬이온을 프리도핑할 수 있다.
한편, 도핑 전해액(210)을 수용하고 있는 도핑배스(200)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핑 전해액(210)은 리튬이온의 프리도핑공정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핑 전해액(210)은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염의 상태로, 예컨대 리튬염 또는 암모늄염등일 수 있다.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술포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등일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핑 전해액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이후, 서로 접촉하고 있는 음극(120) 및 리튬 공급원(130)을 도핑 전해액(210)에 함침한다. 여기서, 음극(120)과 리튬 공급원(130)은 전위차를 가짐에 따라, 음극(120)과 리튬 공급원(130)이 서로 접촉, 즉 전기적으로 단락될 경우 리튬 이온은 리튬 공급원(130)으로부터 음극(120)으로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음극(120)과 리튬 공급원(130)은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종래 충방전을 통한 리튬이온의 프리도핑공정보다 도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음극(120)에 각각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한 후 전극 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전극 셀을 형성한 후 리튬 이온을 음극에 프리도핑하는 경우보다 음극(120)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할 수 있다.
이후, 음극(120)에 리튬 이온의 프리도핑 공정을 완료한 후, 리튬 공급원(130)이 잔존할 경우 음극으로부터 리튬 공급원(130)을 분리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음극(120)에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한 후, 사이에 세퍼레이터(150)를 두고 리튬 이온이 프리도핑된 음극(120)과 양극(14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셀(100a)을 형성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150)는 음극(120)과 양극(140)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50)는 종이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150)의 종류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극(140)은 양극 집전체(141)와 양극 집전체(141)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집전체(141)는 알루미늄, 티탄, 니오브 및 탄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양극 집전체(141)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내저항을 낮추기 위해 메쉬형태가 아닌, 즉 무공(無孔)의 시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층(142)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료, 즉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 활물질층(142)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14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양극 단자(1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양극 단자(143)는 양극 집전체(1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셀(100a)을 형성하기 위한 양극(140) 및 음극(120)의 적층으로, 양극 단자(143)들과 음극 단자(123)들은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양극 단자(143)들과 음극 단자(123)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단자(123)에 음극(120)의 프리도핑공정에서 도핑 전해액이 흡착될 수 있다. 후속공정인 단자들의 융착공정에서 도핑 전해액으로 인해 음극 단자(123)들의 융착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셀(100a)의 음극 단자(123)들을 초음파 세정하여 음극 단자(123)들에 흡착되어 있는 도핑 전해액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세정은 전극 셀(100a)의 음극 단자(123)들을 세정배스(300)에 수용된 세정액(310)에 함침시킨후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세정액(310)은 아세톤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초음파 세정은 적어도 2회, 예컨대 제 1 차 초음파 세정 공정과 제 2 차 초음파 세정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 초음파 세정 공정은 도핑 전해액의 염을 제거하기 위해 음극 단자(123)들을 디에틸 카보네이트에 함침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차 초음파 세정 공정은 도핑 전해액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음극 단자(123)들을 아세톤에 함침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초음파 세정은 양극 단자(143)들에도 동시에 수행되어, 양극 단자(143)들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도 함께 제거될 수 있어, 오염물질로 인한 양극 단자들의 융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전극 셀(100a)의 단자들을 초음파 세정후 단자들에 흡착된 세정액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세정을 통해 음극 단자(123)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제거한 후, 다수로 적층된 음극 단자(123)들 및 다수로 적층된 양극 단자(143)들을 각각 융착하여 일체화시킨다. 초음파 세정으로 음극 단자(123)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제거함에 따라, 음극 단자(123)들의 융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융착공정 방법의 예로서는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스폿 용접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을 이용하여 전극 셀(100a)을 밀봉한다. 여기서,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전극 셀의 밀봉 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극 셀(100a)을 사이에 두고 상, 하부에 각각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을 제공한다. 이후, 두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을 열융착함으로써, 전극 셀(100a)은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이때, 융착된 양극 단자(143)들 및 음극 단자(123)들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열 융착 공정은 두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의 에지를 따라 진행하되, 두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160)사이에 개재된 전극 셀(100a)에 전해액을 투입하기 위한 틈새를 남겨두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전해액은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전압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지 않아 리튬 이온을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은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염의 상태로, 예컨대 리튬염 또는 암모늄염등일 수 있다.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술포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등일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해액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전해액은 리튬 이온의 프리 도핑공정에서 사용된 도핑 전해액과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틈새로 전해액을 투입한 후, 틈새를 진공 밀봉시킴으로써,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킴으로써, 프리도핑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양산적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킴으로써, 집전체를 무공의 형태로 가져갈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킨 후 적층셀을 형성함에 따라, 각 음극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이온의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한 후, 단자의 세척 공정을 통해 단자에 흡착된 전해액을 제거함에 따라, 단자의 융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리튬 이온 커패시터 120 : 음극
123 : 음극 단자 130 : 리튬 공급원
140 : 양극 143 : 양극 단자
150 : 세퍼레이터 160 : 외장 라미네이트 필름
200 : 도핑 배스 210 : 도핑 전해액
300 : 세정 배스 310 : 세정액

Claims (9)

  1.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음극 및 리튬 공급원을 도핑 전해액에 함침하여 상기 음극에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하는 단계;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상기 리튬 이온이 프리도핑된 음극과 양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 셀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단자들을 융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단자를 노출하며 상기 전극 셀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 셀을 세정액에 함침한 후 초음파 세정을 통해 수행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아세톤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셀의 단자들에 흡착된 도핑 전해액을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자에 흡착된 염을 제거하는 제 1 차 초음파 세정 단계; 및
    상기 단자에 흡착된 용매를 제거하는 제 2 차 초음파 세정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공급원은 리튬 메탈, 리튬을 함유하는 산화물 및 리튬을 함유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음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음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에 리튬 공급원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상기 리튬 공급원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00083381A 2010-08-27 2010-08-27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113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81A KR101138502B1 (ko) 2010-08-27 2010-08-27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US13/025,883 US8465554B2 (en) 2010-08-27 2011-02-11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capacitor
JP2011034248A JP2012049500A (ja) 2010-08-27 2011-02-21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81A KR101138502B1 (ko) 2010-08-27 2010-08-27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49A KR20120019849A (ko) 2012-03-07
KR101138502B1 true KR101138502B1 (ko) 2012-04-25

Family

ID=4569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81A KR101138502B1 (ko) 2010-08-27 2010-08-27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5554B2 (ko)
JP (1) JP2012049500A (ko)
KR (1) KR101138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99B1 (ko) * 2010-05-28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USD758328S1 (en) * 2012-12-18 2016-06-07 Jm Energy Corporation Lithium ion capacitor
KR101416813B1 (ko) * 2012-12-31 2014-07-15 비나텍주식회사 전해액 함침장치, 이를 이용한 슈퍼 커패시터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US20150380176A1 (en) * 2013-02-08 2015-12-31 Lg Electronics Inc. Graphene lithium ion capacitor
CN104701031B (zh) * 2014-12-12 2018-01-09 宁波中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容器的制作方法及锂离子电容器
CN104681311B (zh) * 2014-12-12 2017-12-19 宁波中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容器的新型预嵌锂方法
JP6425562B2 (ja) * 2015-01-26 2018-11-21 イビデン株式会社 ドープ電極体の製造方法
CN113921287B (zh) 2016-02-26 2023-06-13 武藏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掺杂***、以及电极、电池和电容器的制造方法
JP2018006369A (ja) * 2016-06-27 2018-01-11 ニチコン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186957B1 (ko) * 2019-01-03 2020-12-04 (주) 엠에이케이 원통형 이차전지 전극탭 세정방법
JP7319307B2 (ja) * 2019-01-23 2023-08-01 武蔵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ドーピングシステム及びドーピン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291A (ko) * 2005-10-17 2008-06-24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리튬이온 커패시터
JP2008305648A (ja) 2007-06-06 2008-12-18 Fdk Corp 非水系蓄電デバイス
JP2009076372A (ja) * 2007-09-21 2009-04-09 Shin Etsu Chem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2010062299A (ja) * 2008-09-03 2010-03-18 Fdk Corp 蓄電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882A (en) * 1987-07-08 1989-01-19 Mitsubishi Gas Chemical Co Secondary battery
JPH0541249A (ja) * 1991-08-01 1993-02-19 Toyo Takasago Kandenchi Kk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れに使用する負極構造体へのリチウムイオンの注入方法
JPH09232190A (ja) * 1996-02-21 1997-09-05 Asahi Glass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3051294A (ja) 2001-08-06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CN100578700C (zh) * 2005-03-31 2010-01-06 富士重工业株式会社 锂离子电容器
EP1865521A4 (en) * 2005-03-31 2011-02-23 Fuji Heavy Ind Ltd LITHIUM ION CAPACITOR
JP2009059774A (ja) * 2007-08-30 2009-03-19 Jsr Corp 電気化学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JP2009187752A (ja) * 2008-02-05 2009-08-20 Fdk Corp 蓄電素子
JP2009224623A (ja) * 2008-03-17 2009-10-01 Nippon Zeon Co Ltd ハイブリッドキャパシタ用電極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15974A (ja) * 2008-03-28 2010-01-21 Fuji Heavy Ind Ltd 電極の製造方法、蓄電デバイス、および中間積層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291A (ko) * 2005-10-17 2008-06-24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리튬이온 커패시터
JP2008305648A (ja) 2007-06-06 2008-12-18 Fdk Corp 非水系蓄電デバイス
JP2009076372A (ja) * 2007-09-21 2009-04-09 Shin Etsu Chem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2010062299A (ja) * 2008-09-03 2010-03-18 Fdk Corp 蓄電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49A (ko) 2012-03-07
JP2012049500A (ja) 2012-03-08
US8465554B2 (en) 2013-06-18
US20120047720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02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US852036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capacitor and lithium ion capacito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413774B1 (ko) 도포 전극 및 유기 전해질 캐패시터
KR101128654B1 (ko)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US8526166B2 (en) Lithium ion capacitor
KR101138521B1 (ko)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JP2021501961A (ja) 多層電極膜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11027683A1 (ja) 扁平巻回形電力貯蔵デバイスセルおよび扁平巻回形電力貯蔵デバイスモジュール
US20140287277A1 (en) Energy storage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US7198654B1 (en) Separator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same
JP2008243888A (ja) 電気化学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た電気化学キャパシタ
JP2015088605A (ja)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
JP2006186220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180109703A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US20120050949A1 (en) Lithium ion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49538A (ja) スーパーキャパシタ
JP2011228552A (ja)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50942A1 (en) Electrochemical capacitor
JP5150687B2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JP2007019211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55164A1 (ja) キャパシタ
WO2013076762A1 (ja) キャパシタ
JP5868158B2 (ja) 蓄電デバイス
US2012005094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230174090A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스택 구조 및 이의 스태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