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33B1 -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33B1
KR101138333B1 KR1020100085988A KR20100085988A KR101138333B1 KR 101138333 B1 KR101138333 B1 KR 101138333B1 KR 1020100085988 A KR1020100085988 A KR 1020100085988A KR 20100085988 A KR20100085988 A KR 20100085988A KR 101138333 B1 KR101138333 B1 KR 10113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terminal
portable
hing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408A (ko
Inventor
신두일
Original Assignee
신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일 filed Critical 신두일
Priority to KR102010008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들을 거치부에 거치한 후,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 단말기들이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 통합 운용 장치 및 힌지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합 운용을 지원한다. 그리고 힌지부는 통합 운용 장치를 감싸며 단말기 거치부들을 연결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고,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처리 및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 더하여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 휴대 단말기는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지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탑재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파일 업로드나 파일 전송 및 운용을 위하여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간 데이터 전송이나 공유를 위하여 별도의 통신 모듈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개인 컴퓨터에 저장하였다가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뿐만 아니라 각 휴대 단말기들의 사용자 기능을 보다 쉽게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들을 거치부에 거치한 후,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 단말기들이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 통합 운용 장치 및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합 운용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를 감싸며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을 연결한다.
특히 상기 단말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과 대면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통합 운용에 필요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상기 휴대 단말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상기 보조 메모리, 상기 인터페이스, 상기 입출력 장치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 이동 및 삭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스피커, 상기 통화 기능에 필요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보조 마이크, 상기 통화 기능 및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에 필요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보조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달이나 공유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되 휴대 단말기끼리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두 기종의 단말기나 구형 단말기와 신형 단말기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적인 통신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2개의 휴대 단말기를 마치 하나의 휴대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폭넓은 표시창을 제공하여 사용환경을 고양시키며, 신형 단말기와 구형 단말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거치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이나 기타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거치되는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하고 2개의 와이드한 표시창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멀티작업, 증권거래, 모바일 오피스 등의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휴대 단말기들이 거치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추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통합 운용 장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제2 단말기 거치부(120) 및 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으며, 기능 지원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특정 단말기 거치부에 더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특정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1 바닥판(111), 제1 바닥판(1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신장되어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되며,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는 휴대 단말기의 삽입 후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제11 지지부(112) 또는 상기 제11 지지부(112)의 탄성 부재를 일정 길이만큼 밀어 내면서 삽입되었다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에 형성되는 탄성 구조물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의 안착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제11 지지부(112)와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는 각각 제1 바닥판(111)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은 제1 바닥판(111)의 각 가장자리 영역에 4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상기 제11 지지부(112) 또는 상기 제12 지지부(11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접속 포트 예를 들면 USB 접속 포트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커넥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제12 지지부(114)에 상기 제1 커넥터(1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커넥터(115)가 배치되는 제12 지지부(114) 내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11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이나 케이블이 마련되고, 이 케이블은 상기 힌지부(13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유사하게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2 바닥판(121), 상기 제2 바닥판(121)의 가장자리 영역들에 형성되며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의 탄성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상기 제22 지지부(124) 일정 영역에 제2 커넥터(125)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125)는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커넥터(125)가 배치되는 제22 지지부(124)는 상기 제2 커넥터(12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이 내측에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일측에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를 외부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 접속 포트(126)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는 접속되는 외부케이블을 통하여 타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 간의 직렬 통신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는 상기 제22 지지부(124)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4)에 마련된 제2 커넥터(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를 운용하는 사용자는 타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해서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에 접속이 가능한 커넥터를 가지는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 단말기, 케이블, 커넥터, 외부 접속 포트(126), 제2 커넥터(125)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 사이의 통신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접속 포트(126)에 접속되는 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컴퓨터를 포함하며, 그 외 외부 접속 포트(126)에는 충전 커넥터가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측벽들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130)는 회전 기능을 지지하는 힌지 기둥부(131)와,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를 지탱하는 제11 힌지 연결부(132) 및 제12 힌지 연결부(133),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를 지탱하는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힌지 연결부(132), 제12 힌지 연결부(133),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는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0도에서 360도 사이의 힌지 동작이 되도록 일정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힌지 연결부(133)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들은 제1 커넥터(115) 및 제2 커넥터(125)가 배치되는 지지부 예를 들면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의 내측에 마련된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되는 통합 운용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을 마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에 마련된 제1 커넥터(115) 및 제2 커넥터(12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은 상기 제12 지지부(114)와 제22 지지부(124) 내측 및 상기 제12 힌지 연결부(133)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과 연계하여 상기 힌지 기둥부(131)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1 힌지 연결부(132), 제12 힌지 연결부(133),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들을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상측과 하측 및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우측 측벽 중 적어도 한 영역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좌측 측벽 중 적어도 한 영역에서 상기 힌지 기둥부(131)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들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들은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힌지 동작을 지원하는 한편,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들과의 신호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되는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상기 휴대 단말기들의 사용자 기능 운용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보조 제어 처리부, 보조 메모리, 보조 배터리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상대측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특정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충전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130) 일정 영역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에 형성되는 커넥터들(115, 125)은 일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들(115, 125)은 상기 바닥판이 있는 경우, 상기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삽입 시 커넥터들(115, 12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분리 시 커넥터들(115, 12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말기 거치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만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되는 지지부 형태는 전술한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지지부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2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마련된 제11 지지부(112)와 하측에 마련된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제1 바닥판(1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제1 지지벽(12)과, 상기 제1 지지벽(12)의 양 끝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탄성 구조물(13)과 제12 탄성 구조물(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지지부(114) 또한 상기 제11 지지부(112)와 유사하게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제2 지지벽(22)과, 상기 제2 지지벽(22)의 양 끝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 탄성 구조물(23)과 제22 탄성 구조물(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은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부(31)와, 접촉부(31)를 지지하는 접촉 지지대(33), 상기 접촉 지지대(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35) 예를 들면 스프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1)는 휴대 단말기의 모서리 긁힘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쿠션 기능을 가지는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35)는 상기 접촉부(31)의 두 측벽에 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은 제1 바닥판(11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밀렸다가 거치된 휴대 단말기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을 가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휴대 단말기를 제12 지지부(114)에 마련된 제1 커넥터(115)에 연결하면서 밀어 넣었다가 이후 제11 지지부(112) 방향으로 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도 단말기 거치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만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되는 지지부 형태는 전술한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지지부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3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111)과,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지지부(112),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지지벽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만을 포함하는 제11 지지부(112)의 상면은 휴대 단말기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303 및 3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200)의 가장자리 영역과 대면되는 대면부(41), 상기 대면부(41)를 지지하며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 삽입 시 상기 대면부(41)는 휴대 단말기(200) 삽입 방향으로 밀렸다가 고정되면, 밀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견고하기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부의 모서리 영역에 지지부들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해당 지지부들에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후, 지지부들 내측에 마련된 탄성 부재들(35, 4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서 탄성 부재들(35, 43)은 상기 지지부들 이외의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들(35, 43)은 상기 힌지부(130) 중 힌지 기둥부(131)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들 중 지지벽과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벽은 상기 탄성 부재(35, 4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휴대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동안 제1 바닥판(111) 상측에 마련된 제11 지지부(112) 및 하측에 마련된 제12 지지부(114)가 전체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탄성 운동을 하면서 이동하였다가,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이후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이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휴대 단말기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는 제1 휴대 단말기(201)가 거치되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는 제2 휴대 단말기(202)가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서로 동일한 기종의 단말기이거나 또는 다른 기종의 단말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된 제1 커넥터(115)에 접속되면서 제1 바닥판(111)과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에 의하여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거치된다. 그리고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형성된 제2 커넥터(125)에 접속되면서 제2 바닥판(121)과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에 의하여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제1 커넥터(115)와 제2 단말기 거치부의 제2 커넥터(125)는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에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를 기반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각각 안착되는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간의 데이터 공유나 이동 및 삭제 등을 통합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전달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후,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간의 데이터 공유나 이동 및 삭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당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401 및 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예를 들면 180도 힌지 동작 및 360도 힌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도 힌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휴대 단말기(201)와 제2 휴대 단말기(202)가 상호 포개어져 일정 두께를 가지되 넓이가 축소됨으로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추가되는 구성을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 도 5에서 설명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추가 구성은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추가 구성은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 5에서 501은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이 힌지부(130)를 기준으로 180도 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503은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의 안쪽면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505는 503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제2 바닥판(121) 배면에 배치되는 보조 스피커(127), 보조 표시부(128) 및 보조 마이크(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힌지부(130)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가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특정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보조 표시부(128) 또한 상기 통합 운용 장치가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 특정 이미지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특정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시받거나,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지시받거나, 특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의 통합 제어 또는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추가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중 어느 하나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된 이후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해당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면,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특정 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휴대 단말기가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여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제어하여 특정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 신호는 통합 운용 장치를 통하여 상기 보조 스피커(127)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에 상기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에 따라 기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중계역할과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녹음을 위한 오디오 신호 수집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의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경우, 전달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달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통합 운용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통합 운용 장치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보조 표시부(128)에 포함된 터치 패널을 기반으로 특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여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단말기 거치뿐만 아니라,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보조 스피커(127), 보조 마이크(129) 및 보조 표시부(128)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통화 기능 등의 사용자 기능을 직접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힌지 연결부를 기반으로 힌지부(130)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연결부의 구성을 제거하고,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힌지 기둥부(131)에 직접적으로 대면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의 구성이 생략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를 가지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힌지부(130)와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1 거치부(50) 및 제12 거치부(60)를 포함하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힌지부(130)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1 거치부(70) 및 제22 거치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거치부(50)와 제12 거치부(60) 및 제21 거치부(70) 및 제22 거치부(80)는 각각 힌지부(13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들(50, 60, 70, 80)은 양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 안착 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의 형태는 도 2에서 설명한 구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의 두께는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거치부(60) 및 제22 거치부(80) 일측에는 제1 커넥터(115)와 제2 커넥터(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15)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삽입되며, 제2 커넥터(125)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중 힌지부(130)에 위치하여 데이터 제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운용 장치(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운용 장치(300)는 보조 제어 처리부(360), 보조 메모리(320), 보조 배터리(310), 인터페이스(330) 및 입출력 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보조 배터리(310), 상기 보조 메모리(320), 상기 입출력 장치(350), 상기 인터페이스(330) 제어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보조 배터리(310)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술한 각 구성들을 초기화하고, 각 구성들의 운용을 위해 마련된 운영체제를 부팅하여 각 구성들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면서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형성된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입출력 장치(350)에서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휴대 단말기들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각 휴대 단말기들과 유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들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목록이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메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들 간의 파일 이동이나 공유 및 특정 휴대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특정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휴대 단말기에게 제어 권한을 넘길 수 있다. 이후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파일의 이동이나 공유,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이나 전송, 출력 및 신호 수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모리(32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LiveOS 등을 저장하고,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 제어에 따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메모리(320)는 휴대 단말기들 간에 데이터 송수신 시 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이나 자료 분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메모리(320)는 휴대 단말기들과의 통신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장치관리를 위한 데이터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입출력 장치(35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을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기들과의 전원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마련된 커넥터들(115, 125)을 이용하여 각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와 전원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330)는 휴대 단말기들과 연결되는 USB 등의 유선 통신 연결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330)는 USB뿐만 아니라 직렬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신호를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보조 메모리(320)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의 운용에 따라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보조 스피커(127), 보조 마이크(129), 보조 표시부(128)의 구성을 포함하며, 추가로 키 버튼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 입력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표시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하며, 전원부(280)와 접속 포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접속 포트(270)가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접속 포트(270)와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를 통하여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기타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가 활성화되어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통합 운용 장치(300)에 마련된 입출력 장치(350)를 기반으로 통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가 활성화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나 화상 데이터를 통합 운용 장치(300)의 입출력 장치(350)에 전달하며, 상기 입출력 장치(35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통하여 전달받고 이를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220)는 통합 운용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한 경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합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특정 파일을 공유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 특정 파일을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전송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중심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이 운용되는 경우, 오디오 처리 기능이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에 전달될 신호들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2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휴대 단말기 종료 화면,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표시 패널(241)과 터치 패널(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24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후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와 접속 포트(270)가 결합하면,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된 경우, 그에 대응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에 마련된 보조 표시부(128)가 활성화되고 특정 이미지나 데이터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통하여 보조 표시부(128)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240)는 전원 절약을 위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240)는 통합 운용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정보, 사용자 기능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보조 메모리(320)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 정보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이동, 데이터 삭제,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240)는 이러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 기능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표시부(2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터치 락 부분 해제 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수신되거나 웹 서버 및 기타 다양한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는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기반으로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되는 타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이동, 삭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2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타 휴대 단말기와 공유할 파일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파일이나 데이터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삭제 및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전원부(280)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각 구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경우, 커넥터 결합에 따른 통신 채널 형성, 사용자 제어에 따른 데이터 공유나 삭제 및 이동을 제어하고,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및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가 커넥터에 연결되면 통합 운용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특정 데이터 공유나 데이터 이동에 관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명령어가 지시하는 파일이나 데이터를 다른 휴대 단말기와 공유하거나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활성화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무선주파수부(210)를 활성화하고 통화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60)는 통합 운용에 관한 제어권이 통합 운용 장치(300)에 있는 경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통합 운용에 관한 제어권이 자신에게 있는 경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110 : 제1 단말기 거치부
111 : 제1 바닥판 112, 114, 122, 124 : 지지부
115 : 제1 커넥터 120 : 제2 단말기 거치부
121 : 제2 바닥판 125 : 제2 커넥터
126 : 외부 접속 포트 127 : 보조 스피커
128 : 보조 표시부 129 : 보조 마이크
130 : 힌지부 131 : 힌지 기둥부
132, 133, 135, 136 : 힌지 연결부
200, 201, 202 : 휴대 단말기 210 : 무선주파수부
220 : 입력부 230 : 오디오 처리부
240 : 표시부 241 : 표시 패널
243 : 터치 패널 250 : 저장부
260 : 제어부 270 : 접속 포트
280 : 전원부 300 : 통합 운용 장치
310 : 보조 배터리 320 : 보조 메모리
330 : 인터페이스 350 : 입출력 장치
360 : 보조 제어 처리부

Claims (10)

  1. 서로 독립된 두 개의 휴대 단말기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거치부;
    상기 한 쌍의 거치부를 일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힌지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휴대단말기의 접속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
    상기 두 개의 휴대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커넥터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힌지부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신호라인은,
    상기 두 개의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두 개의 휴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합 운용 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기둥부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를 외부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 접속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85988A 2010-09-02 2010-09-02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KR10113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ko) 2010-09-02 2010-09-02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ko) 2010-09-02 2010-09-02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08A KR20120022408A (ko) 2012-03-12
KR101138333B1 true KR101138333B1 (ko) 2012-04-25

Family

ID=4613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ko) 2010-09-02 2010-09-02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133B1 (ko) *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2172216B1 (ko) * 2014-07-17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58U (ko) * 1999-02-05 2000-09-25 박원섭 휴대폰용 입력정보 이체장치
KR200353977Y1 (ko) * 2004-03-31 2004-06-23 팅크웨어(주)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58U (ko) * 1999-02-05 2000-09-25 박원섭 휴대폰용 입력정보 이체장치
KR200353977Y1 (ko) * 2004-03-31 2004-06-23 팅크웨어(주)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08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687B2 (en)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login system
JP2019502141A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端末、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TWI397302B (zh)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US2009021081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31713B1 (ko) 휴대폰 착탈방식 멀티미디어 기능 지원 시스템
US20130077228A1 (en) Portable computer assembly
KR20100132302A (ko) 휴대 단말기, 호스트 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제어방법
TWM449288U (zh) 用於固定可持電子器件至配件器件之裝置
IL199906A (en) Wireless modular communicator
KR2009001629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JP7146951B2 (ja) 移動端末機および移動端末機を備える電子機器
US20090082061A1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WO2011129049A1 (ja) ユーザ支援システム、ユーザ支援方法、管理サーバ及び携帯情報端末
KR1006953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게임 조작을 위한 지원 장치
KR101138333B1 (ko)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KR20120017615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US20090069918A1 (en) Portable digital device
KR1020191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3908A (ko) 이중회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CN101356489B (zh) 键盘以及管理键盘与手持媒体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KR200465121Y1 (ko)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KR10211757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30447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454761A (zh) 与移动媒体设备一起使用的个人计算机***设备
KR1017880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