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591B1 -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 Google Patents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591B1
KR101136591B1 KR1020100005223A KR20100005223A KR101136591B1 KR 101136591 B1 KR101136591 B1 KR 101136591B1 KR 1020100005223 A KR1020100005223 A KR 1020100005223A KR 20100005223 A KR20100005223 A KR 20100005223A KR 101136591 B1 KR101136591 B1 KR 10113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rd member
filler cap
fuel tank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351A (ko
Inventor
요코 사쿠라이
다이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5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량에 있어서도, 차량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서 코드 부재의 양호한 처리를 확보할 수 있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연료 탱크(25)의 상방에 배치되는 시트(22)의 전단부에 시트 힌지(26)를 마련하고, 시트 힌지(26)의 하부 힌지 플레이트(34)를 연료 탱크(25)에 고정한다. 코드 부재(33)의 일단부에 필러 캡(31)을 부착한다.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에 지지 스테이(56)를 부착하고, 지지 스테이(56)에 코드 부재(33)의 타단부를 걸어 고정시킨다.

Description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STRUCTURE OF CONFINING PART OF FILLER CAP}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급유구(給油口)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는, 통상 차량의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탱크 본체에 연장되어 마련된 필러 튜브의 선단부에 필러 캡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연료 탱크의 필러 캡 부분의 구조로서, 필러 캡과 필러 튜브를 코드 부재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연료 급유시 등에 필러 캡이 연료 탱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43171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구조는, 자동차와 같이 연료 탱크가 필러 튜브를 구비하고, 급유구 주위에 어느 정도 이상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코드 부재의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 등의 소형 차량에 있어서는, 코드 부재의 처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충분한 처리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면 차량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량에 있어서도, 차량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서 코드 부재의 양호한 처리를 확보할 수 있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연료 탱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연료 탱크(25)]의 급유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급유구(29)]에 필러 캡[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필러 캡(31)]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필러 캡이, 상기 급유구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코드 부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코드 부재(33)]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차량의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로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시트(22)]가 배치되고, 이 시트가 상기 연료 탱크의 일단부에 시트 힌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시트 힌지(26)]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코드 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필러 캡이 부착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시트 힌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힌지는, 급유구와 마찬가지로 연료 탱크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러 캡을 급유구에 부착한 상태에서 코드 부재가 연료 탱크의 상면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큰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코드 부재의 충분한 길이가 확보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 선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대략 S자형의 스테이[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스테이(56)]의 일단측이 고정되고, 이 스테이의 타단측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 타단측을 통해 상기 스테이에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드 부재의 타단부를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대략 S자형의 스테이의 상방측을 향하는 타단측으로부터 코드 부재를 결합시키고, 스테이의 만곡된 중간 영역에 코드 부재를 걸어 고정시킨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타단측이 상기 시트 힌지의 회동 중심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트 힌지의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스테이에 타단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링 형상의 연결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연결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드 부재의 타단부는, 링 형상의 연결부를 스테이의 타단측으로부터 결합하고, 스테이의 대략 S자형의 만곡 형상을 따르게 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스테이의 중간 영역에 걸린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 중의, 상기 급유구를 사이에 두고서 힌지 회전 중심[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힌지 축(51)]의 반대측 위치에, 상기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시트 지지부(58)]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길이는, 상기 필러 캡을 상기 시트 지지부 상에 둘 수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러 캡은, 코드 부재에 구속되어 시트 지지부 상에 둘 수 없게 되고, 시트를 닫은 상태에서의 코드 부재의 느슨해짐이 억제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는, 상방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U자형의 헬멧 홀더[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헬멧 홀더(59)]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를 열어 필러 캡을 급유구로부터 분리했을 때에는, 헬멧 홀더에 의해 필러 캡이 유지되고, 코드 부재의 변위가 헬멧 홀더에 의해 가이드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필러 캡을 급유구에 부착한 상태에서 코드 부재가 연료 탱크의 상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량에 있어서도, 큰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코드 부재의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서 코드 부재의 양호한 처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드 부재의 타단부가 시트 힌지에 부착되기 때문에, 밀폐 관리가 엄격한 연료 탱크에 코드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선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대략 S자형의 스테이의 타단측으로부터 코드 부재를 결합하고, 스테이의 만곡된 중간 영역에 코드 부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임에도 코드 부재를 시트 힌지의 고정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코드 부재의 링 형상의 연결부를 스테이의 타단측으로부터 결합시키고, 그대로 스테이의 중간 영역까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코드 부재를 스테이의 중간 영역에 용이하게 걸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테이의 타단측이 시트 힌지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불시의 취급에 의해 코드 부재가 스테이의 타단부로부터 빠지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필러 캡이 코드 부재에 구속되어 시트 지지부 상에 둘 수 없어지기 때문에, 필러 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시트가 닫혀도 필러 캡이 시트와 시트 지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일이 없어지며, 또한 시트를 닫은 상태에서의 코드 부재의 느슨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코드 부재의 시트 하방의 수납 공간을 저감하여,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 마련한 헬멧 홀더에 의해 필러 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 헬멧 홀더에 의해 코드 부재의 변위를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필러 캡을 급유 작업자가 보기 쉬워 취급이 용이한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를 닫았을 때의 연료 탱크 부분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를 열었을 때의 연료 탱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를 열었을 때의 연료 탱크 부분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를 열었을 때의 연료 탱크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필러 캡 구속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필러 캡의 부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코드 부재의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도 8의 (a), 도 8의 (b)는 도 7의 A-A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의 (c)는 도 8의 (b)의 B-B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량 진행 방향을 전(前), 차량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後)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형태의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가 채용되는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10)는, 프론트 포크(13)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에, 차량의 하부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23)가 부착되고, 메인 파이프(23)의 하부측에 엔진(17)과 트랜스미션(18)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16)이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포크(13)의 상단부에는 핸들(14)이 부착되고, 하단측에는 전륜(1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23)와 파워 유닛(16)의 후방부측에는 스윙 아암(19)의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윙 아암(19)의 타단에는 후륜(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륜(20)은 도시하지 않은 체인을 통해 파워 유닛(16)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메인 파이프(23)에는, 차량의 상부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21)이 접속되고, 리어 프레임(21)에는, 연료를 저류하기 위한 연료 탱크(25)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22)가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25)는 리어 프레임(21)의 전방부측 영역의 상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를 통해 고정 설치되고, 시트(22)는, 연료 탱크(25)의 전단부(前端部)에 시트 힌지(26)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시트(22)는, 연료 탱크(25)의 전단측을 회동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되며, 닫힌 상태에서 연료 탱크(25)의 상방을 덮고 있고,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시트(22)가 대략 직립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연료 탱크(25)의 전방부와 양측부는 차체 커버(27)에 의해 덮여 있고, 차체 커버(27)의 상방의 개구는 시트(22)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폐색된다.
도 2는 시트(22)를 닫은 상태의 차체의 대략 중앙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시트(22)를 연 상태의 차체의 대략 중앙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료 탱크(25)의 전방부 쪽의 상면에는, 차 폭 방향에 걸쳐 상방으로 팽출하는 팽출부(28)가 마련되고, 이 팽출부(28)의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원통형의 급유구(29)가 형성되어 있다. 급유구(29)에는, 상면에 파지 돌기(30)를 구비한 필러 캡(31)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필러 캡(31)은 좌우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급유구(29)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된다.
필러 캡(31)에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캡 결합 부재(32)가 부착되고, 이 캡 결합 부재(32)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정 길이의 코드 부재(33)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코드 부재(33)의 타단부는, 시트 힌지(26)의 연료 탱크(25)의 상면측에 접합되는 하부 힌지 플레이트(34)(고정 부재)에 걸려 있다. 또한, 도 2 중 도면 부호 50은, 시트(22)의 전단부 이면에 접합되는 시트 힌지(26)의 상부 힌지 플레이트이고, 도면 부호 51은, 상부 힌지 플레이트(50)와 하부 힌지 플레이트(34)를 연결하는 힌지 축(힌지 회전 중심)이다.
도 6은 코드 부재(33)를 중심으로 하여 필러 캡(31)의 구속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캡 결합 부재(32)와 필러 캡(31)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캡 결합 부재(32)에 대한 코드 부재(33)의 조립 공정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러 캡(31)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캡 본체(35)의 내측에, 급유구(29)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볼록부(36)가 마련되고, 캡 본체(35)의 꼭대기부 상면에 상기 파지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캡 결합 부재(32)는, 필러 캡(31)의 캡 본체(35)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원통형의 둘레벽(37)을 구비하고, 둘레벽(37)의 상하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부에, 각각 상부 걸림 클로(38)와 하부 걸림 클로(39)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상부 걸림 클로(38)와 하부 걸림 클로(39)는 모두 둘레벽(37)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고, 둘레벽(37)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들 상부 걸림 클로(38)와 하부 걸림 클로(39)는, 둘레벽(37)이 캡 본체(35)의 외주면에 결합되었을 때에, 캡 본체(35)의 상하의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필러 캡(31)과 캡 결합 부재(32)의 축 방향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한, 둘레벽(37)의 외주면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걸림 플랜지(40)가 돌출 형성되고, 이 걸림 플랜지(40)에 코드 부재(33)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 플랜지(40)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코드 부재(33)는, 원형 단면의 코드 본체부(41)의 일단측에 대략 T자형의 걸림 블록(42)(도 7 참조)이 일체로 마련되고, 코드 본체부(41)의 타단측에 링 형상의 연결부(4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 블록(42)을 이루는 T자의 교차부로부터 하방으로 내려오는 부분을 다리부(42a)라고 하고, 교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헤드부(42b)라고 하면, 코드 본체부(41)의 일단부는 다리부(42a)의 연장단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헤드부(42b)는 캡 결합 부재(32)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결합 부재(32)의 둘레벽(37)에는, 코드 부재(33)의 걸림 블록(42)의 헤드부(42b)를 삽입 가능한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 구멍(44)이 형성되고, 삽입 구멍(44)의 바로 아래 위치에, 둘레벽(37)의 내주면으로부터 걸림 플랜지(40)의 선단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슬릿(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릿(45)의 하방에는 걸림 플랜지(40)의 선단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며, 걸림 블록(42)의 헤드부(42b)와 다리부(42a)가 최종적으로 끼워 맞춤 상태로 걸리는 걸림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슬릿(45)은, 대부분이 코드 본체(41)의 직경보다도 약간 넓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가이드 슬릿(45)의 종단부 근방에는 한 쌍의 지지 돌기(47, 47)가 마련되고, 이들 지지 돌기(47, 47)에 의해 가이드 슬릿(45)에 코드 본체(41)의 직경보다도 좁은 부분이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캡 결합 부재(32)에 대한 코드 부재(33)의 부착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드 부재(33)는, 캡 결합 부재(32)를 필러 캡(31)에 장착하기 전의 단계에서 캡 결합 부재(32)에 대하여 부착한다.
처음으로,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드 부재(33)의 대략 T자형의 걸림 블록(42)을 캡 결합 부재(32)의 둘레벽(37)의 삽입 구멍(44)을 통해 둘레벽(37)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이 상태로부터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블록(42)의 자세를 변화시켜, 코드 본체부(41)를 가이드 슬릿(45) 부분을 통해 인출하고, 코드 본체부(41)를 가이드 슬릿(45)을 따르게 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블록(42)을 걸림 홈(46) 내에 슬라이드시켜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코드 본체부(41)가 가이드 슬릿(45) 내를 소정량 이동하면, 코드 본체부(41)가 지지 돌기(47, 47)를 타고 넘어 가이드 슬릿(45)의 종단부에 끼워 맞춰지고, 걸림 블록(42)이 걸림 홈(46)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이때 걸림 블록(42)은 완전히 걸림 홈(46) 내에 끼워 맞춰지며, 둘레벽(37)의 내주면 방향으로는 돌출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코드 부재(33)가 부착된 후에 캡 결합 부재(32)가 필러 캡(31)에 장착되면, 코드 부재(33)의 걸림 블록(42)이 둘레벽(37)의 내주 방향으로 빠지려고 해도, 걸림 블록(42)의 이동이 필러 캡(31)의 외주면에 의해 저지된다.
그런데, 하부 힌지 플레이트(34)는, 연료 탱크(25)의 전단부의 상면에 돌출 마련된 스터드 볼트(52, 52)에 플레이트 본체부(53)가 체결 고정되고, 플레이트 본체부(53)의 양측부에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측부 플랜지(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부(53)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스터드 볼트(52)에 의한 두 부위의 체결부의 중간 위치]에는, 융기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빔벽(beam wall: 5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빔벽(55)의 상면 중앙에는, 대략 S자형의 금속 막대로 이루어지는 지지 스테이(56)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56)는, S자의 일단측의 가장자리부(56a)가 빔벽(55)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고, S자의 타단측의 가장자리부(56b)가 상방을 향하여 세워지며, 이 타단측의 기립 기부(基部)와 빔벽(55)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56)의 타단측(개방측)의 가장자리부(56b)는, 일단측의 가장자리부(56a)에 대하여 힌지 축(51)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스테이(56)에는 코드 부재(33)의 타단부의 링 형상의 연결부(43)가 걸려 있다. 코드 부재(33)의 연결부(43)는, 지지 스테이(56)의 타단측의 상방으로 세워진 단부로부터 결합되고, 전술한 기립 기부로 들어가 지지 스테이(56)의 만곡된 중간 영역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22)는, 전단부측의 시트 힌지(26)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개폐 조작되지만, 시트(22)의 이면의 대략 중앙의 좌우 양측에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57)가 부착되고, 시트(22)의 폐쇄 조작 시에 그 쿠션 부재(57)가 연료 탱크(25) 상의 시트 지지부(58)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 지지부(58)는, 연료 탱크(25)의 상면에 있어서 급유구(29)가 마련되는 팽출부(28)의 후방측의 좌우 양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코드 부재(33)는, 지지 스테이(56)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급유구(29)에 대한 필러 캡(31)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길이일 필요가 있으나, 도 3 중의 가상선 (A),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캡(31)을 급유구(29)로부터 분리하여 최대로 늘리더라도, 시트 지지부(58) 상에 둘 수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의 양측의 측부 플랜지(54)에는, 상방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U자형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헬멧 홀더(59)가 각각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각 헬멧 홀더(59)의 U자로 만곡된 선단부(59a)는, 닫힌 시트(22)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부의 경사진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굴곡부(59b)에 헬멧의 링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시트(22)를 로크(lock)함으로써, 헬멧을 차체에 대하여 로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헬멧 홀더(59)는 하부 힌지 플레이트(34) 상의 후방부 쪽의 위치[급유구(29)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각 헬멧 홀더(59)의 선단부(59a)는, 하부 힌지 플레이트(34)보다도 충분히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10)의 연료 탱크(25)에 급유를 행하는 경우에는, 시트(22)의 로크를 해제한 후에 시트 힌지(26)를 중심으로 하여 시트(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고(도 2 참조), 그 상태에서 필러 캡(31)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러 캡(31)을 급유구(29)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필러 캡(31)을 회전시켜 급유구(29)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필러 캡(31)은 캡 결합 부재(3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급유구로부터 분리한 필러 캡(31)은, 예컨대 가이드 돌기(35)를 상향으로 하여, 도 3 중의 가상선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25)의 팽출부(28)와 한쪽의 헬멧 홀더(59)에 걸리도록 필러 캡(31)의 일부를 헬멧 홀더(59)에 접촉시켜 연료 탱크(25)에 경사지게 해서 놓으며, 그 상태에서 급유 노즐을 급유구(29)에 삽입하여 연료 탱크(25)에 대하여 급유를 행한다. 이 동안에, 필러 캡(31)은, 코드 부재(33)를 통해 연료 탱크(25)의 전방부의 하부 힌지 플레이트(34) 부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팽출부(28)와 헬멧 홀더(59) 상에 얹어 놓을 수 없는 경우라도, 급유구(29)에 근접하는 일정 범위 내로 구속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급유를 완료한 후에는 급유구(29)를 필러 캡(31)에 의해 폐색하고, 시트(22)를 닫아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의 필러 캡(31)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는, 필러 캡(31)에 걸린 코드 부재(33)의 타단부가 연료 탱크(25) 상의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에 지지 스테이(56)를 통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러 캡(31)을 급유구(29)에 부착한 상태에서 코드 부재(33)가 연료 탱크(25)의 상면을 대략 따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25)의 상방에 시트(22)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임에도 불구하고, 높이 방향으로 큰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서도 코드 부재(33)의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서, 코드 부재(33)의 양호한 처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는, 코드 부재(33)의 타단측의 지지부를 연료 탱크(25)의 상면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 힌지(26)의 하부 힌지 플레이트(34) 상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엄격한 밀폐 관리가 필요한 연료 탱크(25) 상에 코드 부재(33)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전용의 구조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구속부 구조에 있어서는, 하부 힌지 플레이트(34) 상에 대략 S자형의 금속 막대로 이루어지는 지지 스테이(56)의 일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타단부측을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시키며, 그 타단부측으로부터 코드 부재(33)의 연결부(43)를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임에도 코드 부재(33)를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한번 부착한 코드 부재(33)는 지지 스테이(56)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해 제조 비용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 지지 스테이(56)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타단부가 시트 힌지(26)의 힌지 축(51)측에 위치되도록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에 고정되고, 지지 스테이(56)에 걸린 코드 부재(33)의 연결부(43)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 부재(33)의 링 형상의 연결부(43)를 지지 스테이(56)의 타단측으로부터 들어가게 하여 중간 영역에 용이하게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56)의 타단부가 시트 힌지(26)의 힌지 축(51)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시트(22)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22)가 대략 직립 상태로 유지되면, 코드 부재(33)는 지지 스테이(56)의 타단측, 즉 시트(22)측으로 인장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는, 불시의 취급에 의해 코드 부재(33)가 지지 스테이(56)로부터 빠지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는, 급유구(29)를 사이에 두고서 연료 탱크(25) 상의 힌지 축(51)의 반대측 위치에, 시트(22)의 하면을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58)가 마련되고, 코드 부재(33)의 길이가 필러 캡(31)을 시트 지지부(58)에 얹어 놓을 수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러 캡(31)을 분리한 상태에서 만일 시트(22)가 닫히는 경우가 있어도, 필러 캡(31)이 시트(22)와 시트 지지부(58) 사이에 끼워질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시트(22)를 닫은 상태에서 코드 부재(33)가 불필요하게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22)의 하방의 쓸데없는 공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구속부 구조의 경우, 지지 스테이(56)가 부착되는 하부 힌지 플레이트(34)의 양측부에, 상방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U자형의 헬멧 홀더(59)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헬멧 홀더(59)와 연료 탱크(25)의 팽출부(28)를 이용하여, 급유구(29)로부터 분리한 필러 캡(31)을 이들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얹어 놓을 수 있고, 헬멧 홀더(59)의 굴곡부(59b)로부터 선단부(59a)에 걸친 부위에 의해 코드 부재(33)를 가이드함으로써, 필러 캡(31)을 항상 급유 작업자가 보기 쉬운 취급이 용이한 위치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를 자동 이륜차에 적용하였으나, 이 구속부 구조의 적용은, 개폐 가능한 시트가 연료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차량이면, 사륜 버기(buggy) 등의 자동 이륜차 이외의 소형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22: 시트
25: 연료 탱크
26: 시트 힌지
29: 급유구
31: 필러 캡
33: 코드 부재
43: 연결부
51: 힌지 축(힌지 회전 중심)
56: 지지 스테이(스테이)
58: 시트 지지부
59: 헬멧 홀더

Claims (5)

  1. 연료 탱크의 급유구(給油口)에 필러 캡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필러 캡이, 상기 급유구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코드 부재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차량의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로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방에 시트가 배치되고,
    이 시트가 상기 연료 탱크의 일단부에 시트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코드 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필러 캡이 부착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시트 힌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 선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S자형의 스테이의 일단측이 고정되고, 이 스테이의 타단측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 타단측을 통해 상기 스테이에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타단측이 상기 시트 힌지의 회동 중심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시트 힌지의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스테이에 타단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링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 중의, 상기 급유구를 사이에 두고서 힌지 회전 중심의 반대측 위치에, 상기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 부재의 길이는, 상기 필러 캡을 상기 급유구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코드 부재를 최대로 늘렸을 때 상기 필러 캡을 상기 시트 지지부 상에 둘 수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힌지의 연료 탱크측의 고정부에는, 상방측으로 개구되는 U자형의 헬멧 홀더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KR1020100005223A 2009-02-17 2010-01-20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KR101136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4013 2009-02-17
JP2009034013A JP5345413B2 (ja) 2009-02-17 2009-02-17 フィラーキャップの拘束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51A KR20100094351A (ko) 2010-08-26
KR101136591B1 true KR101136591B1 (ko) 2012-04-18

Family

ID=4260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223A KR101136591B1 (ko) 2009-02-17 2010-01-20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45413B2 (ko)
KR (1) KR101136591B1 (ko)
CN (1) CN101804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620B2 (ja) * 2011-12-22 2015-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フィラキャップの拘束構造
TWI426033B (zh) * 2012-05-29 2014-02-11 Yamaha Motor Co Ltd Locomotive cushion structure and its cushion hinge
DE102016203941A1 (de) * 2016-03-10 2017-09-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schlusssystem für ein Druckbehältersystem eines Kraftfahrzeugs
JP7050539B2 (ja) * 2018-03-15 202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および車体構造
JP7178392B2 (ja) * 2020-09-30 2022-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6053A1 (en) * 1997-12-25 1999-06-30 Suzuki Motor Corporation Fuel tank structure for motorcycle
US20020063004A1 (en) 2000-11-29 2002-05-30 Suzuki Kabushiki Kaisha Fuel tank unit of motorcycle
KR20080006631A (ko) * 2005-05-11 2008-01-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JP2008213844A (ja)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873Y2 (ko) * 1981-01-08 1986-11-08
DE3735038A1 (de) * 1987-10-16 1989-04-27 Philips Patentverwaltung An einem stecker bzw. einer kupplung einer steckverbindung anordbare schutzkappe
JP4116799B2 (ja) * 2002-03-08 2008-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4608401B2 (ja) * 2005-09-14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エルキャップのテザ−支持構造
DE602007000785D1 (de) * 2006-01-20 2009-05-14 Bemis Mfg Co Verfahren zur Montage eines modularen Sperrverschluss
JP2008162516A (ja) * 2006-12-28 2008-07-1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6053A1 (en) * 1997-12-25 1999-06-30 Suzuki Motor Corporation Fuel tank structure for motorcycle
US20020063004A1 (en) 2000-11-29 2002-05-30 Suzuki Kabushiki Kaisha Fuel tank unit of motorcycle
KR20080006631A (ko) * 2005-05-11 2008-01-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JP2008213844A (ja)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4783B (zh) 2013-03-27
KR20100094351A (ko) 2010-08-26
CN101804783A (zh) 2010-08-18
JP2010188812A (ja) 2010-09-02
JP5345413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591B1 (ko) 필러 캡의 구속부 구조
JP5173259B2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JP5053000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取付構造
EP3015351B1 (en) Harness routing structure for saddled vehicle
WO2012093528A1 (ja) リッド締結構造
US20130320737A1 (en)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JP5629245B2 (ja) ステップフロアを有する車両
EP3006316A1 (en)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US20120234619A1 (en) Saddle-ride vehicle
JP6244607B2 (ja) 鞍乗り型車両のシュラウド構造
JP4549916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2007261392A (ja) 車両用リトラクタブルルーフシステム
JP5047521B2 (ja) 車両用ルーフロック装置
JP2011213152A (ja) 車両の燃料給油部構造
EP2727805B1 (en) Housing structure in saddle type vehicle
JP2012056332A (ja) 鞍乗り型車両の燃料装置
JP5681620B2 (ja) 自動二輪車用フィラキャップの拘束構造
US20230090359A1 (en) Side case attachment structure
JP4691179B2 (ja) 車体後部構造
JP7177766B2 (ja)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JP6855517B2 (ja) 鞍乗型車両の給油口構造
JP7351803B2 (ja) 作業車
JP2017119504A (ja) 荷籠の取付構造
JP5311222B2 (ja) ハーネス用のクランプ及び車両のサイドシル構造
KR200438001Y1 (ko) 커버링 셸프 기어타입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