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229B1 -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229B1
KR101136229B1 KR1020110007326A KR20110007326A KR101136229B1 KR 101136229 B1 KR101136229 B1 KR 101136229B1 KR 1020110007326 A KR1020110007326 A KR 1020110007326A KR 20110007326 A KR20110007326 A KR 20110007326A KR 101136229 B1 KR101136229 B1 KR 10113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herbal
herb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회
손미원
전준호
최상진
백남준
유자영
조영웅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366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362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61K36/505Coryda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은 생약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현호색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중금속이 제거되어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위장관 운동 장해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The process for producing herbal extract, the herbal extract manufactured by the proces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약재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공급량과 가격경쟁력 문제로 인해 중국산 한약재가 대량 수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산 한약재의 수확, 수집, 가공, 운반 등의 과정에서 중금속 오염 등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어, 한약재의 안정성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물 한약재의 경우 토양 같은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자라기 때문에 주변 환경오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토양오염이 예상되는 공업지대에서 재배된 중국산 한약재의 중금속 오염이 심각하다(박문기 등, 경북북부지역 한약재와 재배토양 중의 중금속과의 상관관계, Haemo Park,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Kor.J.Env.Hlth, 32, 2, pp.186-191, 2006).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614380000호에는 백개자, 현호색, 흑축 및 보두 등의 한약재를 에탄올 등으로 추출한 생약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5-HT3 길항작용 및 5-HT4 효능작용 기전을 통하여 위장관의 운동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킴으로, 위장관운동장애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임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약추출물은 한약재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을 우려가 높아, 중금속이 제거된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중금속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중금속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위장관 운동 개선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생약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a); 및 상기 추출물에 활성탄 또는 수지제 중 하나 이상의 중금속 흡착제를 첨가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중금속과의 흡착력이 좋은 중금속 흡착제를 첨가함으로, 생약 추출물 내에 함유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약의 약리활적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계(a)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생약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생약을 절단, 분쇄하여, 상기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생약을 절단한 후, 분쇄기로 분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약이 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생약을 분쇄한 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물 또는 혼합분쇄물을 약 1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의 추출온도에서 약 1 시간 내지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80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로 추출한 후, 규토조 또는 기타 흡착제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단계(b)를 거쳐 중금속이 제거되며, 생약추출물의 활성이 증가된다.
상기 단계(b)는,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활성탄 또는 수지제 중 하나 이상의 중금속 흡착제를 첨가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활성탄, 수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활성탄은,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흡착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며, 상기 수지제는 중금속 이온과 이온 결합 혹은 킬레이트 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활성탄과 수지제는 생약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할 뿐 아니라, 생약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지제는 양이온교환수지, 음이온교환수지, 양쪽성이온교환수지 및 킬레이트 수지를 모두 포함하며, 킬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미노다이아세트산염(iminodiacetate)을 교환기로 사용하여 중금속과 킬레이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톱밥, 목재, 야자각 등 식물을 원료로한 식물계 활성탄, 이탄, 갈탄, 역청탄등을 원료로한 석탄계 활성탄 및 석유계 등의 활성탄을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식물계 활성탄으로써 증기로 활성화한 활성탄일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수지제 및 활성탄을 0.5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제는 가장 높은 흡착능력을 나타내는 pH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킬레이트기를 가진 레진은 산성에서 사용할 경우 중금속과의 흡착능력이 우수하며, 특히 pH 1 내지 5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킬레이트기를 가진 레진을 수지제로 사용하는 경우, 활성탄 및 염산과 함께 교반한 후, 여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는 규토조 또는 기타 흡착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감압농축일 수 있으며,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생약'은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속생약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생약추출물'은 다른 수식어구가 없는 한 생약추출물 및 혼합 생약 추출물, 중금속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추출물 및 연조엑스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생약은 흑축(Pharbitidis seed), 현호색(Corydalis Tuber)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생약이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물일 경우,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흑축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을 각각 수득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흑측과 현호색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흑축 (Pharbitidis seed, 견우자)은 메꽃과 (Convolvulaceae)의 나팔꽃 (Pharbitis nil Choisy)의 씨로 지방유 약 11%와 수지성 배당체인 파비틴(pharbitin)을 2% 함유하고 있고, 사하작용과 이뇨작용, 살충작용이 알려져 있다 (대한약전 V 제2부 pp651).
현호색 (Corydalis Tuber)은 양귀비과 (Papaveraceae)의 들현호색 (Corydalis ternata Nakai)과 그 밖의 동속식물의 덩이줄기로, 베르베린 (Berberine)과 1-카나딘 (1-Canadine), 프로토핀 (Protopine), 1-테트라히드로코프티신(1-Tetrahydrocoptisine)을 함유하고, 진통작용과 진정, 진경, 진토, ACTH 분비항진작용을 한다(대한약전 V 제2부 pp664).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모두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5-HT3수용체 과다활성 및/또는 5-HT4수용체 길항활성에 기인한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은, 증상을 유발시킨 원인이 명백한 경우도 있지만, 그 원인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원인이 명백하지 않은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은 조직 병리적 및 생화학적인 기질적 병변이 아닌 기능성 증상으로 질환이 정의되는 바, 증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켜 기능성 위장 장애에서 나타나는 많은 증상들이 치료될 수 있다.
상기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은 조기포만감, 통증, 상복부 불쾌감, 헛배부름, 가슴앓이, 오심, 구토 등의 기능성 소화불량, 궤양성 소화불량, 비궤양성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위무력증, 거짓장폐색, 위운동 마비, 변비, 일반적인 과민성 대장염, 변비를 수반하는 과민성 대장염 또는 설사를 수반하는 과민성 대장염과 같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쇄증 및 근긴장성 이영양증 (myotonic dystrophy)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장애, 비심인성흉통을 포함한다.
상기 위장관 장애 운동 장애 질환 중, 상기 기능성 소화불량은 조직 병리적 및 생화학적인 기질적 병변이 아닌 기능적 증상으로 상복부에 지속적인 불쾌감 또는 통증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서 의학적으로 지속 및 반복적으로 상복부에 국한하여 불쾌감이나 통증 등에 따르는 제반 증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은 식후 포만감, 식용부진, 복부 팽만감, 조기 포만감, 트림, 상복부 불쾌감 또는 통증, 속쓰림, 오심(메스꺼움), 구토, 위산 역류, 가슴앓이(heart burn) 등의 소화기계증상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소화불량을 가지는 환자들의 약 30%는 위의 유문부를 통해 음식물이 소장으로 넘어가는 위배출 시간이 지연되는 등 위장의 운동장애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식물을 섭취 했을 때 위가 적절히 늘어나 위장 내 압력을 유지시켜주는 위순응도가 떨어져서 적은 양의 음식 섭취만으로도 조기 포만감이 발생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복통과 배변습관의 변화 즉, 설사, 변비, 또는 설사와 변비의 반복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증상은 간헐적이지만 때로 지속적이기도 하고 최소 3개월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대개 3가지 양상을 보이는데 변비가 주로 생기는 형, 설사가 주로 생기는 형, 또는 이 2가지의 증상이 교대로 반복되는 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는 배변습관의 변화와 복통 이외에도 그 외 상복부의 더부룩함, 소화불량, 오심, 구토, 두통, 월경불순, 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과민성 대장장후군은 과민성 대장염을 포함한 일반적인 대장염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구조적, 생화학적, 또는 감염성 원인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기능적 장애에 의한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능적 이상은 장관의 감각 및 운동 기능의 장애와 관련 있다. 치료로는 설사를 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항콜린제 또는 항경련제가 사용되고, 변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위장운동 촉진제를 사용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 또는 십이지장 내용물이 식도 내로 역류되어 증상 또는 조식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흉골 뒷 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과 역류 증상 즉, 위액이나 위내용물이 인두로 역류하는 현상, 흉통, 연하곤란, 연하통, 만성적인 후두증상, 목부위 이물감, 기침, 목쉰 소리 등이 있다.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력이 약해지거나 위내 또는 복강내 압력이 높아져서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력을 넘어서게 되면 위산 또는 위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하부식도를 자극하게 되고 여러 관련 증상들이 발생하게 된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약물 치료는 제산제, H2 수용체 차단제, 소화관운동촉진제, 위산분비 억제제가 사용된다. 제산제는 가끔 나타나는 가벼운 역류 증상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H2 수용체 차단제는 약 1/3이상에서는 증상 완화 효과를 보지 못하며 특히 식도염을 동반한 경우에는 반 이상에서 점막치유가 완전히 되지 못한다. 소화관운동촉진제는 하부식도 괄약근압을 증가시키고, 식도연동운동을 증가시키며 위장의 배출시간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어 도움이 된다. 또한, 위산분비 억제제로 중증의 식도염과 합병증을 동반한 심한 식도염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위무력증은 위벽의 근긴장이 쇠약해진 상태를 가리키는 질환으로써, 일반적으로 연동운동도 동시에 쇠약해진다. 독립된 신경증으로는 신경쇠약, 전신신경증의 한 증후로서, 또 반사성 신경증으로서 성기질환이 있을 때에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 밖의 위하수증, 만성위염, 소화불량증, 만성충수염 등 각종 질환의 속발증으로 일어나는 수도 있으며 자각증세로는 위부의 팽만감이 있다. 식욕에 이상은 없으나 식사 후의 위부 팽만을 두려워하여 절식을 하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줄어든다. 늘 트림이 나고 구역질을 느끼게 되며 동시에 장관도 무력상태가 될 때가 많은데, 이 때는 변비가 되며 중증은 두통과 어지럼증 등을 유발한다. 위무력증의 치료는 대체로 위장관운동촉진제가 사용된다.
변비는 전체적으로 장운동이 떨어져 있는 이완성 변비, 장운동이 항진되어 있지만 변을 밀어내지 못하는 경련성 변비, 장운동은 정상적이지만 직장 항문에 걸려서 배변을 하지 못하는 직장형 변비로 나눌 수 있다. 변비의 치료에는 위장운동촉진제를 사용한다.
상기 열거된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들은 개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동시에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약 1/3은 과민성 대상 증후군이 동반되며, 이외에도 위식도 역류 질환, 공기 연하증, 담석증 등 질환이 기능성 소화불량에 흔히 동반된다. 또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약 90%가 기능성 소화불량을 동반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음식물의 위배출능, 위순응도 및 위장관 전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위장관 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위장관의 과민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에 비하여 음식물의 위배출을 훨씬 더 원활하게 촉진시킬 수 있으며, 위장 전이 지연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위순응 반응을 억제하여 음식물 섭취 시, 위팽창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내장 과민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특히, 위-식도 역류질환, 비심인성흉통, 기능성소화불량, 위무력증, 거짓장 폐색, 변비, 과민성대장증후군와 같은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복수의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에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심장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등의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위배출능, 위순응도 및 위장관 전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위장관 운동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 자명하고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 목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흑축과 현호색의 동속 생약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은 위장관 운동 장애의 다양한 증상들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약 0.01 내지 약 8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 외에 추가로 기능성 소화불량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 치료 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돔페리돈 (Domperidone), 메토클로프라마이드 (metoclopramide), 레보설프라이드 (levosulpiride), 모사프라이드 (mosapride), 이토프리드 (itopride), 에리트로마이신 (erythromycin), 시사프리드(cisaprid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외의 다른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약제학적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단독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추출물, 현호색 추출물 또는 흑축과 현호색의 혼합 추출물 외에 추가로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액제, 현탁액제, 에멀전제, 페이스트제 (pastes),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 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를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또는 좌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정제, 피복정제, 캡술제, 환제 또는 과립제와 같은 고형제로 제형화 하는 경우, (a) 전분, 락토오스(lactose), 수크로오스(sucrose), 글루코오스, 만니톨 또는 규산과 같은 충전제 및 중량제, (b)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에틸렌글리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천연검, 합성검, 포비돈, 코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c) 글리세롤과 같은 흡습제, (d) 한천,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과 같은 붕해제, (e) 파라핀과 같은 용해 지연제, (f) 4급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흡수 촉진제, (g) 세틸알코올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과 같은 습윤제, (h) 고령토 또는 벤토나이트 같은 흡착제 또는 (i) 활석,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및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또는 상기 (a) 내지 (i)에서 기재한 물질의 혼합물들을 첨가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에 물, 리퀴드 파라핀과 같은 단순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방부제, 착색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형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 조성물에 박하유, 유칼리유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를 더 첨가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좌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카오 지방 등의 지방, 고급 에스테르 (예: C16 -지방산을 갖는 C14 -알코올),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라우린지 및 글리세롤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수용성 또는 불용성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현탁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물, 에틸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 트라가칸트,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면실유, 낙화생유, 옥수수 배종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또는 참깨유오일과 같은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연고제, 페이스트제, 크림제 또는 겔제 등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타르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산화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산제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락토오스, 활석, 규산, 수산화 알루미늄, 규산 칼슘, 폴리아미드 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과 같은 통상의 포사제를 추가적으로 더 사용할 수 있으며, 피이지-4000과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비강분무제로도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서방성 또는 속방성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특정 부위에 방출할 수 있도록 서방성 또는 속방성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서방성 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 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또는 친수성 고분자등의 중합성 물질 또는 왁스와 같은 봉매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서방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정제, 캡술제, 환제 또는 과립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외부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서방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 첨가되는 담체,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또는 희석제 등의 부형제 및 첨가제의 함량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통상의 제형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성질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이 추출되기 전의 혼합 분쇄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g/kg,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g/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 횟수는 일일 1 회 내지 수회로 나우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은 중금속이 제거되어,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 제조방법은 생약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축, 현호색 또는 이들의 혼합추출물은 중금속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복용시 안전할 뿐 아니라,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에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위장관 운동 장해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흑축, 현호색 및 이들이 혼합추출물의 TLC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위배출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유발된 위장관 운동성 지연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사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실험예의 실험결과는 ANOV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tudent-Newman-Keuls Test를 사용하여 p<0.05또는 p<0.01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호색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의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현호색(Corydalis Tuber)을 구입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뒤 사용하였다. 상기 건조된 현호색을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현호색 60g에 50%의 에탄올 수용액 480mL을 가해 상온에서 48시간 냉침하고, 규조토(celite 545)와 1-3um의 여과지로 감압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에, 입상 활성탄(NORIT GAC 1240 plus) 1g과 0.01N HCl 30-50ml을 첨가하여 1시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는 공정을 통해 활성을 높인 수지제(DIAION CR-11)(제조사: 일본 Mitsubishi 화학, 구입처: 가야상사) 2g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뒤, 규조토(celite 545)와 1-3um의 여과지로 다시 감압여과하였다. 그 후, 45-55℃ 조건에서 감압농축하여 중금속을 제거한 현호색 추출물 연조엑스 3.13g을 수득하였다(수율: 5.22%, (고형분 80.6%)).
<실시예 2>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축 추출물의 제조
상기 현호색(Corydalis Tuber) 대신 흑축(Pharbitis seed)을 사용한 점과, 상기 입상 활성탄(NORIT GAC 1240 plus) 및 상기 수지제(DIAION CR-11)를 각각 2g, 4g 씩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한 흑축 추출물 연조엑스 3.02g을 수득하였다(수율: 5.03% (고형분 80.7%)).
<실시예 3>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호색과 흑축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현호색(Corydalis Tuber) 대신, 건조된 현호색 100g과 건조된 흑축 20g을 혼합하여 사용한 점과, 상기 에탄올 수용액, 상기 입상 활성탄(NORIT GAC 1240 plus) 및 상기 수지제(DIAION CR-11)를 각각 960ml, 2g, 4g 씩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한 현호색과 흑축의 혼합추출물 연조엑스 6.14g을 수득하였다(수율: 5.12% (고형분78.9%)).
<비교예 1>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호색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의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현호색(Corydalis Tuber)을 구입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뒤 사용하였다. 상기 건조한 현호색을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현호색 60g에 50%의 에탄올 수용액 480mL을 가해 상온에서 48시간 냉침하고, 규조토(celite 545)와 1-3um의 여과지로 감압여과한 후, 45-55℃ 조건에서 감압농축하여 현호색 추출물 연조 엑스 3.32g를 수득하였다(수율: 5.53% (고형분 81.2%)).
<비교예 2>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축 추출물의 제조
상기 현호색(Corydalis Tuber) 대신, 흑축(Pharbitis seed)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흑축 추출물 연조엑스 3.45g을 수득하였다(수율: 5.75% (고형분 79.8%)).
<비교예 3> : 중금속 제거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호색과 흑축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현호색(Corydalis Tuber) 대신, 현호색 100g과 흑축 20g을 혼합하여 사용한 점과,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960ml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현호색과 흑축 혼합추출물 연조엑스 6.08g을 수득하였다(수율: 5.06% (고형분 79.3%)).
<실험예 1>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 TLC)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각각 50% 에탄올을 10mL가한 후, 원심분리(13,000rpm, 3분)하여 상층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상기 검액을 각각 10㎕씩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프용실리카겔을 써서 만든 박층판에 점적하였다. 이때 현호색과 흑축의 혼합추출물에 대한 실시예 3의 검액은 3세트를 제조하였다((1), (2), (3)). 그 후 n-부탄올, 물 및 빙초산을 7 : 2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전개용매로 하여 약 10cm 전개한 다음 박층판을 바람에 말렸다. 여기에 자외선(254, 365nm)을 쪼일 때 검액과 표준액의 Rf값 및 색상을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을 3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254nm 및 365nm에서 TLC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혼합추출물은 현호색 추출물과는 4개 정도의 spot이 확연하게 동일하며, 흑축 추출물과는 1개 의 spot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을 참고하면, 254nm에서 Rf 0.48 부근에 흑회색의 spot이 확인되며, 이는 클로로겐산 (chlorogen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도 1b를 참고하며, 365nm에서 약 Rf 0.37부근에 노란색의 spot이 확인되며, 이는 팔마틴(palmatine)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중금속 제거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중금속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중금속 및 개별 중금속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 실험예 2-1> 총 중금속 제거 효과 확인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중금속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각각 0.1~0.5g 씩 극초단파 시료 전처리장치 전용용기에 넣고 질산 12mL를 첨가하였다. 분해가 잘 되지 않는 경우 염산 또는 30% 과산화수소 1~2mL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용기를 후드 안에 정치하여 발생 가스를 제거하고 극초단파 시료 전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분해하였다. 분해 후 분해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적절하게 표준액의 농도 범위로 희석한 것을 검액으로 하여, 각 검액에 포함된 총 중금속을 대한약전 일반 시험법 중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2-2> 개별 중금속 제거 효과 확인
플라즈마 발광 분석장치(ICP)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에 포함된 개별 중금속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검액을 대상으로, 플라즈마 발광분광분석장치(ICP)를 이용하여 각 검액에 포함된 Cd, Pb, As, Sn, Cr 및 Al의 개별 중금속을 측정하였다. Cd, Pb, As, Sn, Cr 및 Al에 대한, 각 중금속의 원자흡광분석용 표준 원액(1000mg/L)을 0.5mol/L 질산을 사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공시험액으로 보정하여 검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1006037035-pat00001
< 실험예 3> 위배출 ( gastric empty ) 향상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의 위배출(gastric empty)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논문에 기재된 위 배출지연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Calatayud S, Garcia-Zaragoza E, Hernandez C, Quintana E, Felipo V, Esplugues JV, Barrachina MD. Downregulation of nNOS and synthesis of PGs associated with endotoxin-induced delay in gastric emptying.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2ol. 2002 Dec;283(6):G1360-7)).
200~250g의 웅성 SD 쥐를 일주일간 온도 22-24 ℃, 습도 60-80 % 상태에서 표준 식이와 물을 공급하며 순화 사육한 후, 체중을 기준으로 그룹 분리하고,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절식기간 동안 음수를 공급하였고, 실험 3시간 전부터는 음수 공급도 중단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또는 비교예 3의 혼합추출물을 정해진 용량만큼의 생리식염수 또는 3%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에 4 mg/mL의 농도로 현탁시켜 마리당 하기 표 2에 나타낸 용량씩 경구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45분 후에 동물사료를 물에 넣고 분쇄하여 만든 반고형식이 (semisolid test meal, 0.05 % phenol red solution containing 1.5 % MC)를 마리 당 2mL 씩 경구 투여하고, 35분 후에 동물을 희생시켜 위를 적출하여 반고형식이가 남아있는 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난 후 증류수로 위를 세척하여 위 안쪽의 내용물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다시 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위장 배출율은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의 대조군은 3% HPMC을 마리당 1mL씩 경구 투여한 음성대조군을 나타낸다.
[식 1]
위배출율(gastric emptying, %) = [1?(위에 잔존하는 반고형식이 무게/0-시간의 반고형식이 무게)]x100
(0-시간 반고형식이 무게는 반고형식이 투여 즉시 희생하여 위에 잔존하는 반고형식이의 측정값)
[표 2]
Figure 112011006037035-pat00002
상기 표 2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3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약추출물은 모두 대조군 대비 위배출지연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중금속을 제거한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3 보다 적은 용량을 투여했음에도 비교예 3 보다 우수한 위배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이 기존의 방법으로 추출된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위장관 운동의 지연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유발된 위장관 운동성 지연에 대한 치료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추출물의 유발된 위장관 운동성 지연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220~230g의 웅성 SD 쥐를 주간 온도 22-24 ℃, 습도 60-80 % 상태에서 표준 식이와 물을 공급하며 순화사육한 후, 체중을 기준으로 그룹 분리 후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절식기간 동안 음수를 공급하였고, 실험 3시간 전부터는 음수 공급도 중단하였다. 위장관운동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아트로핀 (Atropine, 50 ℃ 생리식염수에 녹여 투여 전에 37 ℃로 식힌 후 사용)을 1㎎/㎏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실시예 3 및 비교예 3 각각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용량씩 생리식염수 또는 3%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Hydroxy prophyl methy cellulose, HPMC)에 현탁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3 투여로부터 1시간 경과 후, 형광표지덱스트란((fluorescein isocyanate)-labeled dextran, FITC, 5mM 용액을 생리식염수에 10배 희석하여 사용)을 1ml 씩 투여하고 15분 후 부검하여 위유분부부터 맹장 전까지의 소장을 적출하여 10 등분으로 균등분할하였다. 상기 균등분할된 조직에 1mL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1일간 냉장 보관한 후, 각 상등액에 대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상기 형광 측정값으로부터 하기 식 2 및 3을 이용하여 균등분할 된 소장의 각 부위에 대한 형광표지 덱스트란의 분포비율을 구하고 위장관 전이를 형광덱스트란의 분포에 대한 기하 중심(geomertic center)로 나타내었다(Miller, M.S., J.J. Galligan, and T.F. Burks, Accurate measurement of intestinal transit in the rat. J Pharmacol Methods, 1981. 6(3): p. 211- 하). 상기 결과는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위를 분리하여 무게를 재어, 위배출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3의 대조군은 3% HPMC을 마리당 1mL씩 경구 투여한 음성대조군을 나타내고, 비투여군은 어떠한 약물도 투여하지 않은 군을 나타낸다.
[식 2]
각 소장부분의 형광분포 비율(%)=(각 부분의 형광값/총 형광값)×100
[식 3]
기하중심(Geometric center)={(각 소장 부분의 형광비율(%)×구간값)의 총합}÷100
[표 3]
Figure 112011006037035-pat00003
상기 표 3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3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생약추출물은 모두 대조군 대비 우수한 기하중심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중금속을 제거한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3 보다 적은 용량을 투여했음에도 비교예 3 보다 기하중심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이 기존의 방법으로 추출된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위장관 운동의 지연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흑축과 현호색으로부터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a); 및
    상기 추출물에 활성탄 또는 수지제 중 하나 이상의 흡착제를 첨가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상기 흡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하는 단계인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는, 활성탄 및 염산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교반한 후, 여과한 것인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수지제 및 활성탄을 0.5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07326A 2011-01-25 2011-01-25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10113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26A KR101136229B1 (ko) 2011-01-25 2011-01-25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26A KR101136229B1 (ko) 2011-01-25 2011-01-25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229B1 true KR101136229B1 (ko) 2012-04-17

Family

ID=4614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326A KR101136229B1 (ko) 2011-01-25 2011-01-25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46B1 (ko) * 2012-07-12 2012-11-12 김현민 현호색 및 흑축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장애질환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623A (ko) * 2006-02-28 2007-08-31 동아제약주식회사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623A (ko) * 2006-02-28 2007-08-31 동아제약주식회사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Chemistry, Vol.4, No.1, May 2000, 173-176 *
Applied Chemistry, Vol.4, No.1, May 2000, 173-176*
대한환경공학회 2006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p.1733-1738 *
대한환경공학회 2006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p.1733-173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46B1 (ko) * 2012-07-12 2012-11-12 김현민 현호색 및 흑축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장애질환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2093B (zh) 黄酮苷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6376682B1 (en) Compound with α-glucosidase inhibiting a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79219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747307A (zh) 去甘草酸甘草黄酮及其药物组合物
KR100414453B1 (ko) 염증성장질환치료제용쑥추출물
KR101136285B1 (ko) 생약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101136229B1 (ko) 생약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추출물 및 상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CN102786417A (zh) 绿原酸晶iii型表征及制备方法与在药品和保健品中应用
KR101396134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81751B1 (ko)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CN102827001A (zh) 一种苦丁茶冬青提取物
KR101327282B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US2024011564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CN102786418B (zh) 绿原酸晶ii型表征及制备方法与在药品和保健品中应用
WO2014133276A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7680C (zh) 澳洲茄胺盐酸盐及其生产方法和在医药上的应用
KR101420268B1 (ko) 오배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374890B (zh) 一种苦丁茶冬青提取物
KR101199946B1 (ko) 현호색 및 흑축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장애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02499913A (zh) 精制纯化的丹皮酚制剂的制备方法
KR101422673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3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125646B (zh) 一种中药组合物在治疗胃部慢性炎症伴肠上皮化生、上皮内瘤变的应用
CN101190288B (zh) 一种治疗胃溃疡的中药缓释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028865B1 (ko) 무로부터 설포라펜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