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36B1 -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36B1
KR101135036B1 KR1020110143084A KR20110143084A KR101135036B1 KR 101135036 B1 KR101135036 B1 KR 101135036B1 KR 1020110143084 A KR1020110143084 A KR 1020110143084A KR 20110143084 A KR20110143084 A KR 20110143084A KR 101135036 B1 KR101135036 B1 KR 10113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mart device
semantic
application
semantic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to KR102011014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36B1/ko
Priority to JP2014549971A priority patent/JP5903169B2/ja
Priority to US14/369,557 priority patent/US9734233B2/en
Priority to CN201280065138.9A priority patent/CN104067210B/zh
Priority to PCT/KR2012/011126 priority patent/WO2013100480A1/ko
Priority to IN4889CHN2014 priority patent/IN2014CN048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구성 방법은 (a)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 (b) 스마트 기기에서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연결되는 단계; (c)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 (d) 스마트 기기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는 단계; 및 (e) 스마트 기기 상으로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성을 시멘틱 방식으로 구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축적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뉴가 지능적으로 분류되어 구성되며, 유저의 입장에서는 메뉴 조작성 및 어플리케이션 검색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유저 경험(UX;User eXperience)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o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 상에서 유저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시멘틱 메뉴 방식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단말기나 콘텐츠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다양한 기능들이 컨버전스(convergence) 되면서 스마트하게 발전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으로 대별되는 소위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가장 유용한 장점 중 하나는 유저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의미의)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통상 어플리케이션 제공자(provider)는 마켓 또는 스토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 포털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판매한다. 예를 들어, 애플 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는 여러 등록자들에 의해 80여만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다. 유저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나 정보검색도구를 실행시켜 어플리케이션 포탈에 접속하고,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스마트 기기에 설치한다.
스마트 기기의 유저가 특정 스토어나 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고 다운로드 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 시작되고 다운로드가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유저의 스마트 기기 화면에 표시된다. 유저는 이 아이콘을 탭(tap) 등의 터치 행위로 활성화함으로써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저가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 유저가 접속한 사이트의 수, 검색을 통하여 축적된 정보 등이 방대해진다. 특히, 유저가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많을수록 유저의 관리는 그만큼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일반적인 유저가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평균수가 100여 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될 때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도 함께 다운로드 되며 이 아이콘들이 유저의 스마트기기 상에서 주된 메뉴를 형성한다. 스마트 기기의 일반적인 유저가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 음악, 스케쥴 관리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되어 있고, 그것들의 아이콘 또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도 1은 스마트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메뉴 표시를 보여준다. 도 1에서와 같이 현재 스마트 기기 상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운로드 될 때 아이콘들이 의미적 분류 없이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된다. 이때, 도 1에서 '소셜 미디어', '금융', 및 '인터넷TV' 등의 아이콘은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그룹화한 폴더로서, 종래 스마트 기기의 유저는 이러한 폴더 기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아이콘들을 그룹 메뉴 구성으로 분류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도 2는 PC 상에서 유저가 즐겨찾기 기능으로 북마크한 사이트 내의 특정 정보 리스트를 보여준다. 도 2에서와 같은 종래의 즐겨찾기 기능 역시 수동으로 즐겨찾기 리스트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1에서 유저가 수동으로 아이콘을 그룹화하여 폴더를 구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증가할수록 유저는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에 대한 이해나 인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 상에서 메뉴들이 무질서하게 형성된다. 즉, 종래와 같은 단순한 메뉴 구성 환경에서는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할수록 유저의 어플리케이션 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시멘틱 방식을 활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에 축적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메뉴가 지능적으로 분류되어 구성되고, 유저의 입장에서는 메뉴 조작성이 양호하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및 검색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 (b) 스마트 기기에서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연결되는 단계; (c)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 (d) 스마트 기기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는 단계; 및 (e) 스마트 기기 상으로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PC, IP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특정 장소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마켓,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및 웹서비스 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a)의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복합적인 접속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a)의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는, 음성인식 입력방식, 문자 입력방식, 및 터치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b)의 스마트 기기에서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연결되는 단계는, 스마트 기기의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달성되거나, 스마트 기기에서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다운로드 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응용소프트웨어, 웹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게임, 음악, 사진, 동영상, 텍스트 데이터, 및 컴퓨터 처리 가능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되는 타이틀명,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제공하는 분류 디렉토리명이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c)는, (c-1) 상기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형태소 처리하는 단계; 및 (c-2) 형태소 처리에 의해 얻어진 명사 단어를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c)는,(c-1) 상기 설명문을 오픈하는 단계; (c-2) 상기 설명문을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취득하는 단계; (c-3) 취득된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형태소 처리하는 단계; 및 (c-4) 형태소 처리에 의해 얻어진 명사 단어를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 (d)의 스마트 기기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는 단계는, (d-1) 시멘틱 메뉴 사전을 오픈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c)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을 검색하는 단계; (d-3)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으로부터 상기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d-4) 추출된 시멘틱 메뉴 네임 요소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시켜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은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유저 지정이 가능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 및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의 정보 요소를 가진 TRIE 구조로 구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d-4)의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은 트리 구조 또는 네트워크 구조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시멘틱 메뉴 네임의 수는 7개 내지 12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e)에 의해 개시되는 시멘틱 메뉴는 액세스를 제한 및 해제하는 잠금 해제 기능이 부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시멘틱 메뉴 중 일부 선택된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시멘틱 메뉴 개별에 대한 개별 잠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특정 패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턴 방식,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스워드 방식, 및 음성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생체신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e)는, (e-1) 상기 시멘틱 메뉴를 시멘틱 메뉴 아이콘 형태로 나타내는 단계; 및 (e-2)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을 스마트 기기 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단계(e-1)은 시멘틱 메뉴 아이콘들을 스마트 기기 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아이콘을 특정 시멘틱 메뉴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그래픽 그림 또는 사진의 형태로 형성되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양 및 크기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가 특정 장소에 접속하여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하고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다운로드 관리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멘틱 메뉴를 분류하는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 ; 및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상기 스마트 기기 상으로 개시하는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PC, IP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특정 장소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마켓,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및 웹서비스 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것은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복합적인 접속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것은 음성인식 입력방식, 문자 입력방식, 및 터치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다운로드 관리 모듈은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 및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응용소프트웨어, 웹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게임, 음악, 사진, 동영상, 텍스트 데이터, 및 컴퓨터 처리 가능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하는 타이틀명,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제공하는 분류 디렉토리명이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형태소 처리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설명문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취득하고 형태소 처리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은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을 검색하고, 시멘틱 메뉴 사전으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하여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은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유저 지정이 가능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 및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의 정보 요소를 가진 TRIE 구조로 구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은 트리 구조 또는 네트워크 구조로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네임의 수는 7개 내지 12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시멘틱 메뉴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 및 해제하는 잠금 해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시멘틱 메뉴 중 일부 선택된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시멘틱 메뉴 개별에 대한 개별 잠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특정 패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턴 방식,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스워드 방식, 및 음성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생체신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시멘틱 메뉴를 아이콘 형태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내어 스마트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유저에 의해 지정된 아이콘을 특정 시멘틱 메뉴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은,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그래픽 그림 또는 사진의 형태로 형성되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양 및 크기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성을 시멘틱 방식으로 구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축적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뉴가 지능적으로 분류되어 구성되며, 유저의 입장에서는 메뉴 조작성 및 어플리케이션 검색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유저 경험(UX;User eXperience)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틱 메뉴를 개별적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어, 유저가 중요도 높은 시멘틱 메뉴에 대해서 다중 보안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 기기의 다른 기능(예컨대, 통화 기능 등과 같은)은 잠금 없이 이용하면서도 중요도 높은 시멘틱 메뉴에 대해서만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유저 지향적인 어플리케이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마트폰 상에서의 메뉴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PC 상에서의 즐겨찾기 메뉴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구성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구성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키워드 추출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HTML로 기술한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안드로이드 마켓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으로부터의 키워드 추출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시멘틱 메뉴 분류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10a 및 10b는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시멘틱 메뉴 사전을 테이블 형태로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시멘틱 메뉴 개시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13은 시멘틱 메뉴 개시의 잠금 해제 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즐겨찾기 메뉴 구성을 예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을 이용한 즐겨보기 메뉴 구성을 예시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을 이용한 즐겨실행하기 메뉴 구성을 예시한 흐름도, 및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시멘틱 메뉴 표시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스마트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무의미하게 분류되며 유저가 수동으로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그룹화하는 방식과 달리, 시멘틱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지능적이며 유의미하게 분류하여 시멘틱 메뉴를 구성하고 개시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은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의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라 함은 통상 스마트 기기로 불리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의 단말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된 PC, IPTV, 내비게이션 장치, 기타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응용소프트웨어와 같은 협의의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웹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게임, 음악, 사진, 동영상, 텍스트 데이터, 및 컴퓨터 처리 가능한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정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2), 스마트패드(104), 스마트TV(106)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웹사이트(302) 또는 어플리케이션 마켓(304)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특정 장소'라 함은 스마트 기기에서 접속 가능한 웹사이트(302), 어플리케이션 마켓(304)뿐만 아니라,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웹서비스 사이트 등을 포함한다. 즉, 특정 장소는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스마트 기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특정 장소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리고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스마트 기기 상에서 메뉴를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는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 키워드 추출 모듈(125),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를 구비한다. 또한, 스마트 기기는 선택적으로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110)를 구비한다.
스마트 기기의 입력 방식은 터치 입력방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물리적인 키패드나 키보드 등에 의한 문자 입력방식, 또는, 음성인식 입력방식 등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지정이나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 기기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다른 형태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나열된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은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하고,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예로서, 스마트패드(104)나 PC에서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은 즐겨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웹사이트(302)의 특정 웹페이지 등을 지정한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TV(106)에서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은 즐겨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들을 지정한다. 또 다른 예로서, 스마트폰(102)이나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예컨대, 아이팟이나 갤럭시 플레이어 등과 같은)에서 즐겨실행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이나 동영상 등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정한다.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예로서,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은 어플리케이션 마켓(304)에 개시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수행하여 미리 지정된 저장 위치에 저장한다. 또한,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설명문 등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러한 정보들을 복합적으로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되는 타이틀명으로부터 타이틀이나 키워드를 추출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태그에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제공하는 분류 디렉토리명이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키워드를 형태소 처리하여 명사 단어를 얻고, 이를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되어 확정된 키워드는 시멘틱 메뉴 분류에 이용된다.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키워드 추출 모듈(125)에 의해 추출되어 확정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멘틱 메뉴를 분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시멘틱 메뉴 분류를 위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310)을 이용한다. 시멘틱 메뉴 사전(310)은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등의 정보 요소를 가진 TRIE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은 유저에 의해 지정이 가능하다. 즉,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대로 시멘틱 메뉴 네임 및 그룹들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가 많을수록 유저의 사용이 빈번한 어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키워드 추출 모듈(125)에서 추출되어 확정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310)을 검색한다. 그리고 시멘틱 메뉴 사전(310)으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하여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한다.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은 트리 구조 또는 네트워크 구조로 구성된다.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에 의해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스마트 기기의 화면으로 개시한다.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시멘틱 메뉴를 개시함에 있어, 시멘틱 메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잠금 해제 기능은 패턴 방식, 패스워드 방식, 음성이나 지문 등의 생체 신호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메뉴 잠금 해제는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일부 시멘틱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개별 시멘틱 메뉴에 대한 개별 잠금이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이하, 도 4의 흐름도 및 이하의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에 접속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T100). 도 4의 예시에서 특정 장소는 어플리케이션 마켓(304)이다. 일예로서, 유저는 스마트폰(304)에서 제공하는 WiFi,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켓(304)에 접속한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TV 또는 일반 가정용 PC에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 방송채널이나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도 있다. 물론,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가 복합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는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T110).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2)에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110)가 설치된 경우, 유저는 어플리케이션 마켓(304)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터치로 탭(tap, 손가락 하나를 화면에 터치한 뒤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은 채로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릴 때 발생하는 이벤트) 한다. 이러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이 수행된다. 어플리케이션의 지정은 예컨대, 앞서 언급한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등에 의해 실행된다.
만약, 상기 단계 ST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 요청되었다면, 다음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 수행된다(ST120).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앞서 언급한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지정이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운로드 관리 모듈(120)은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 상으로 표시한다(ST130). 도 4에서는 스마트폰(102)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화면(314)을 예시하였다.
단계 ST100 내지 ST130은 종래 스마트 기기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표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에서는, 다음 단계에서 키워드 추출 모듈(125)이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다(ST140). 그리고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추출된 키워드로 시멘틱 메뉴를 분류한다(ST150).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스마트 기기의 화면으로 개시한다(ST160). 도 4의 예시에서 단계 ST160에 의해 최종으로 화면 표시되는 시멘틱 메뉴 표시화면(324)이 예시되어 있다.
단계 ST140 내지 ST16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키워드 추출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또는 지정이) 완료되면(ST200), 이후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취득한다(ST210).
통상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시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된다.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디렉토리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된다.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취득된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형태소 처리한다(ST220). 그리고 형태소 처리된 단어가 명사 단어인지를 판단한다(ST230). 형태소 처리는 일반적으로 국어의 문장형태를 분석하는 도구로서 쓰이는 상용 형태소 엔진을 이용한다. 형태소 엔진에는 국어별 어휘에 대하여 품사 등을 기본 정보로 하여 구성된 전자사전이 포함되며, 예컨대 이 전자사전은 도 5에서 예시된 형태소 사전(320)이다.
만약, 단계 ST230에서 명사 단어가 아니라면, 단계 ST220으로 복귀하여 수집된 다른 키워드를 다시 형태로 처리한다. 만약, 단계 ST230에서 명사 단어임이 확인되면, 해당 키워드를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로 확정한다(ST240). 그리고 시멘틱 메뉴 분류 단계로 이동한다(ST40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이 어플리케이션의 용도를 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타이틀명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명칭일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으로는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어떤 종류이며 용도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디렉토리명은 통례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용도가 무엇인지를 객관화하여 분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틱 메뉴 분류를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분류 디렉토리명이 키워드 추출에 더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디렉토리명 역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의 주관적 분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유저의 입장에서 시멘틱 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취지에는 반할 수 있다. 나아가,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이 따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은 위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테이블 형식의 일반문서 또는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설명문을 첨부한다. 그리고, 이러한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하고 유저에게 친숙한 메뉴 이름을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HTML로 기술한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요소 택 속성 title에 값 "jQuery의 기초"가 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틀 값은 쉽게 검색하여 취득할 수 있는 값이다. 이 타이틀 값은 단어일 수도 있고 문장일 수도 있으며, 추후 형태소 처리를 거쳐 품사가 명사인 단어만을 추출하여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안드로이드 마켓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설명문의 첫 번째 줄에 "Neopad English"와 같은 타이틀명이 기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의 내용으로부터도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을 취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가(또는 지정이) 완료되면(ST200), 이후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어플리케이션에 첨부된 설명문을 오픈한다(ST31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설명문을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취득한다(ST320).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에서는 타이틀명 "JQuery의 기초"가 추출된다. 도 7의 예시에서는 "Neopad English"라는 타이틀명이 추출될 것이다. 이러한 타이틀명에 부가하여 분류 디렉토리명 및 키워드 태그 등이 추가로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취득된 요소들을 형태소 처리한다(ST330). 형태소 처리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형태소 엔진이 이용되며 형태소 사전(320)이 참조된다. 형태소 처리 이후에는, 취득한 단어 요소들이 단어만으로 구성된 것인지를 판단하며(ST340), 단어만으로 구성된 경우 여기서 명사를 추출한다(ST350).
이후, 형태소 처리에 의해 추출된 명사를 키워드로 확정하고(ST360), 시멘틱 메뉴 분류 단계로 이동한다(ST400).
이러한 일련의 키워드 추출 과정은 단계 ST320에서 취득된 모든 요소들에 대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단일 키워드가 아닌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확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에서는 상기한 "jQuery의 기초"를 형태소 처리한 후, 최종적으로 명사 "jQuery"와 "기초"를 키워드로 확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시멘틱 메뉴 분류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시멘틱 메뉴 사전(310)을 오픈하여 시멘틱 메뉴 분류 과정을 시작한다(ST410). 그리고, 키워드 추출 과정에서 추출되어 확정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310)을 검색한다(ST420). 시멘틱 메뉴 사전(310)의 검색 결과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한다(ST430). 이때 복수의 키워드가 존재하면, 각각의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복수의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추출 과정에서 명사 "jQuery"와 "기초"가 키워드로 확정되었다면, 이 두 검색 키워드로 시멘틱 메뉴 사전을 검색한다. 만약,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멘틱 메뉴 사전(310)에 "jQuery"만 존재한다면, "jQuery"는 시멘틱 메뉴 네임으로 추출하며, "기초"는 파기된다.
이후,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130)은 추출된 시멘틱 메뉴 네임으로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한다(ST440). 그리고 시멘틱 메뉴 개시 단계로 이동한다(ST500).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은 도 10a와 같은 트리 구조를 갖거나 도 10b에서와 같은 네트워크(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은 시멘틱 메뉴 네임에 소속하는 요소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되며, 단수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시멘틱 메뉴 네임 아래의 요소들로 위치하여 시멘틱 메뉴 파일을 구성한다.
도 11은 시멘틱 메뉴 사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시멘틱 메뉴 사전은 설명의 편의상 테이블 형태로 예시하였지만, 실제 구현 방법은 TRIE라는 데이터 구조를 가진 S/W 등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시멘틱 메뉴 사전(310)의 데이터 구조는 TRIE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에 예시된 시멘틱 메뉴 네임은 시멘틱 메뉴 사전에 등록된 메뉴 네임이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틱 메뉴 네임은 유저의 인지과학 측면에서 한 세트당 7개에서 12개 정도로 구성된다. 또한, 시멘틱 메뉴 네임은 유저가 임의로 명명하거나 정의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는 시멘틱 메뉴 네임이 'U'(User Interface), 'N'(News), 'M'(Music), 'A'(Album), 'D'(Daily to do), 'F'(Favorites), 'E'(Education) 등으로 정의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틸리티, input 등의 키워드는 시멘틱 메뉴 네임 'U'로 분류된다. jQuery, English 등의 키워드는 시멘틱 메뉴 네임 'E'로 분류된다.
여기서, 시멘틱 메뉴 네임은 복수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유틸리티라는 키워드는 시멘틱 메뉴 네임1에서는 'U'로 분류되며, 시멘틱 메뉴 네임2에서는 '장미'로 분류된다.
또한, 시멘틱 메뉴 네임은 유저에 의해 지정되거나 정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유저 지정 및 정의는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실시간으로 지정, 정의되어 시멘틱 메뉴 사전(31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은유적인 표현으로 가족 이름, 꽃 이름, 도시 이름 등 유저가 스스로 시멘틱 메뉴 네임을 정의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저 지정 방식의 시멘틱 메뉴 네임은 유저의 기호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노출시키지 않는데 유용하다.
도 11의 예시를 참조하면, 도 8의 키워드 추출 과정에서 "jQuery"와 "기초"라는 명사가 키워드로 추출되었을 때, 도 9의 시멘틱 메뉴 분류 과정에서 "jQuery"의 시멘틱 메뉴 네임은 "E"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멘틱 메뉴 네임으로 "E"를 추출한다. 한편 또 하나의 키워드 "기초"는 시멘틱 메뉴 사전(310)의 검색결과, 해당하는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파기된다.
한편, 도 11의 시멘틱 메뉴 사전(310)에는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가 포함된다.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는 예컨대 '작성년월일'날자 정보이다. 이 속성 정보는 시멘틱 메뉴의 요소들, 즉 어플리케이션이 언제 이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2는 시멘틱 메뉴 개시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시멘틱 메뉴의 화면 표시를 위하여 시멘틱 메뉴 네임을 아이콘 형태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미리 작성된 그래픽 아이콘들이 저장된 시멘틱 메뉴 아이콘 DB(330)가 구비된다.
유저가 시멘틱 메뉴 아이콘 DB(330)로부터 시멘틱 메뉴 파일의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지정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T510).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꽃, 풍선, 별 등과 같은 자연물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한 그림 또는 사진이다. 이러한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시멘틱 메뉴 분류 과정을 통해 시멘틱 메뉴 네임이 추출되면, 단계 ST510에서 시멘틱 메뉴 파일 아이콘이 자동으로 설정된다(ST520). 그리고 설정된 시멘틱 메뉴 파일 아이콘이 스마트 기기에 개시된다(ST530).
이어서 유저가 시멘틱 메뉴 개시 입력을 선택하면(ST540), 설정된 아이콘으로 시멘틱 메뉴 파일이 스마트 기기에 개시된다(ST550). 여기서, 유저가 시멘틱 메뉴 개시 입력을 하는 행위는 상기한 다양한 입력방식(터치 입력방식, 문자 입력방식, 음성인식 입력방식 등과 같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일예로서, 유저는 단계 ST530에서 시멘틱 메뉴 파일 아이콘이 스마트 기기에 개시되면, 해당 아이콘을 터치로 탭(tap) 하는 것으로 시멘틱 메뉴 구성을 최종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시멘틱 메뉴 파일을 개시할 때 별도로 잠금 해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기능은 스마트 기기 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구성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으로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시멘틱 메뉴 개시에서의 잠금 해제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시멘틱 메뉴 파일 개시 단계(ST550) 이전에, 도 13의 잠금 해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유저에 의해 스마트 기기에서 시멘틱 메뉴의 잠금 해제 기능이 선택되면,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잠금 범위를 선택한다(ST570). 이 단계에서,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시멘틱 메뉴 중 일부 선택된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개별 시멘틱 메뉴에 대한 개별 잠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부분 잠금이나 개별 잠금이 선택되면,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잠금할 시멘틱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창과 함께 시멘틱 메뉴 파일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부분 잠금 또는 개별 잠금 될 시멘틱 메뉴 파일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방법을 선택한다(ST580). 예컨대, 해제 방법은 특정 패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턴 방식,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스워드 방식, 음성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생체신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각 해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면,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135)은 특정 패턴을 입력하는 창,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창, 또는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화면 출력하여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은 시멘틱 메뉴 개시에 있어서, 시멘틱 메뉴 파일에 대하여 잠금 해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개인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개별 보호 장치는 스마트폰 등에서 전체 이용에 보안을 설정하는 것과는 차별되는 기술적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분실 한 유저가 전체 잠금으로 액세스를 불가능하게 했다면 습득한 사람으로부터 연락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희박하다. 반면에 잠금 장치를 걸어두지 않았다면, 개인 정보가 유출될 위험성이 높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중요 개인정보가 들어있는 시멘틱 메뉴 파일에 대하여만 잠금을 설정한다면, 스마트폰의 통화 기능이 유지되어 분실시 습득자로부터 연락을 받을 수 있으면서 중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중요도 높은 시멘틱 메뉴 파일에 대해서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잠금과 다른 해제 방법으로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다중 보안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의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의 예시는,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이 웹사이트의 즐겨찾기 메뉴 구성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일반 가정용 PC 등에서 URL에 의한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T610). 그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에서 제공하는 즐겨찾기 기능으로 연결을 희망하는 웹페이지를 지정한다(ST620). 그러면,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지정된 웹페이지로부터 페이지 타이틀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ST630). 그리고,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고(ST640), 추출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고(ST650),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한다(ST660). 웹페이지의 타이틀 수집, 키워드 추출, 시멘틱 메뉴 분류, 및 시멘틱 메뉴 개시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과정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이 스마트TV의 즐겨보기 채널 선택 메뉴 구성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스마트TV에서 채널을 선택한다(ST710). 그리고, 스마트TV에서 제공하는 즐겨보기 기능으로 채널을 지정한다(ST720). 그러면,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지정된 채널부터 타이틀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ST730). 그리고,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고(ST740), 추출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고(ST750),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한다(ST760). 즐겨보기 채널의 타이틀 수집, 키워드 추출, 시멘틱 메뉴 분류, 및 시멘틱 메뉴 개시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과정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이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예컨대, 웹서비스를 통하여 콘텐츠 재생이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하는 경우 등과 같은)의 즐겨실행하기 메뉴 구성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스마트패드나 기타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PC 등에서 URL에 의한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T810). 그리고, 웹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웹서비스 등을 즐겨실행하기 기능으로 지정한다(ST820). 그러면,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 모듈(125)은 지정된 웹서비스로부터 서비스 타이틀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ST830). 그리고,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고(ST840), 추출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고(ST850),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한다(ST860). 웹서비스의 타이틀 수집, 키워드 추출, 시멘틱 메뉴 분류, 및 시멘틱 메뉴 개시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과정과 동일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등과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여 메뉴를 구성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와 비교하여 초기 접속대상 및 다운로드 여부만 차이가 있을 뿐, 시멘틱 메뉴 구성을 위한 처리 과정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이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등의 메뉴 구성에 적용된다면, 종래 사용자가 수동으로 폴더를 만들어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등에서 지정한 웹사이트들을 수동으로 관리하던 것과 달리, 사용자가 지정한 웹사이트, TV 채널, 웹서비스 등으로부터 키워드가 자동 추출되고 시멘틱 메뉴가 자동으로 분류되어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메뉴가 관리된다. 따라서, 사용자 지향적이며 사용자의 유저 경험에 기반한 독창적인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메뉴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시멘틱 메뉴 표시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예시는 시멘틱 메뉴 아이콘을 꽃 종류로 표시하고, 시멘틱 메뉴 사전(310)에서 시멘틱 메뉴 네임으로 'U', 'N', 'M', 'A', 'D', 'F', 'E' 가 정의된 파일 구성을 예로 들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멘틱 메뉴 구성은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키워드가 추출되고, 시멘틱 메뉴 분류가 이루어지며, 도 17에서와 같은 시멘틱 메뉴가 개시된다. 도 17에 개시된 시멘틱 메뉴 표시화면(32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멘틱 메뉴 구성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메뉴 구성과 달리, 유저의 지정이나 설정에 의해 유저 경험 기반으로 유저 개인에 특화된 메뉴 구성이다. 또한, 이러한 시멘틱 메뉴 구성은 유저가 수동으로 메뉴를 구성할 필요 없이 시멘틱 메뉴 네임 및 아이콘 지정 등과 같은 몇가지 설정에 의해 지능적으로 분류되는 메뉴로서, 유저 개인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조작성, 검색 편의성, 어플리케이션 관리성이 높은 메뉴 구성이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2 : 스마트폰 104 : 스마트패드
106 : 스마트TV 110 :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120 : 다운로드 관리 모듈 125 : 키워드 추출 모듈
130 :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 135 :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
200 : 네트워크 302 : 웹사이트
304 : 어플리케이션 마켓 310 : 시멘틱 메뉴 사전
314 :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화면 320 : 형태소 사전
324 : 시멘틱 메뉴 표시화면 330 : 시멘틱 메뉴 아이콘 DB

Claims (42)

  1.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
    (b) 스마트 기기에서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연결되는 단계;
    (c)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
    (d) 스마트 기기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는 단계; 및
    (e) 스마트 기기 상으로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PC, IP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마켓,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및 웹서비스 사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복합적인 접속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스마트 기기에서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단계는, 음성인식 입력방식, 문자 입력방식, 및 터치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스마트 기기에서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연결되는 단계는, 스마트 기기의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것으로 달성되거나, 스마트 기기에서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스마트 기기로 다운로드 되는 것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응용소프트웨어, 웹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게임, 음악, 사진, 동영상, 텍스트 데이터, 및 컴퓨터 처리 가능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되는 타이틀명,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제공하는 분류 디렉토리명이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상기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형태소 처리하는 단계; 및
    (c-2) 형태소 처리에 의해 얻어진 명사 단어를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상기 설명문을 오픈하는 단계;
    (c-2) 상기 설명문을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취득하는 단계;
    (c-3) 취득된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형태소 처리하는 단계; 및
    (c-4) 형태소 처리에 의해 얻어진 명사 단어를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스마트 기기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시멘틱 메뉴로 분류하는 단계는,
    (d-1) 시멘틱 메뉴 사전을 오픈하는 단계;
    (d-2) 상기 단계 (c)에서 확정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을 검색하는 단계;
    (d-3)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으로부터 상기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d-4) 추출된 시멘틱 메뉴 네임 요소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시켜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은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유저 지정이 가능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 및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의 정보 요소를 가진 TRIE 구조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4)의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은 트리 구조 또는 네트워크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네임의 수는 7개 내지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 의해 개시되는 시멘틱 메뉴는 액세스를 제한 및 해제하는 잠금 해제 기능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시멘틱 메뉴 중 일부 선택된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시멘틱 메뉴 개별에 대한 개별 잠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특정 패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턴 방식,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스워드 방식, 및 음성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생체신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e-1) 상기 시멘틱 메뉴를 시멘틱 메뉴 아이콘 형태로 나타내는 단계; 및
    (e-2)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을 스마트 기기 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1)은 시멘틱 메뉴 아이콘들을 스마트 기기 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아이콘을 특정 시멘틱 메뉴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그래픽 그림 또는 사진의 형태로 형성되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양 및 크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22. 정보통신 단말기 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가 특정 장소에 접속하여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스마트 기기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구성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하고 지정되거나 다운로드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다운로드 관리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확정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시멘틱 메뉴를 분류하는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 ; 및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시멘틱 메뉴를 상기 스마트 기기 상으로 개시하는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PC, IP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 기능을 가진 정보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마켓, 스토어, 콘텐츠 저장장소, 및 웹서비스 사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것은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 또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복합적인 접속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특정 장소로 접속하는 것은 음성인식 입력방식, 문자 입력방식, 및 터치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방식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관리 모듈은 즐겨찾기, 즐겨보기, 즐겨실행하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거나, 상기 특정 장소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 및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응용소프트웨어, 웹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게임, 음악, 사진, 동영상, 텍스트 데이터, 및 컴퓨터 처리 가능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특정 장소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함께 제공하는 타이틀명,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제공하는 분류 디렉토리명이나 설명문으로부터 키워드, 타이틀, 및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타이틀명 또는 분류 디렉토리명을 형태소 처리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은 상기 설명문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명, 분류 디렉토리명, 또는 키워드 태그를 취득하고 형태소 처리하여 시멘틱 메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은 상기 키워드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검색 키워드로 하여 시멘틱 메뉴 사전을 검색하고, 시멘틱 메뉴 사전으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매칭하는 시멘틱 메뉴 네임을 추출하여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사전은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 유저 지정이 가능한 시멘틱 메뉴 네임 그룹, 및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의 정보 요소를 가진 TRIE 구조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작성일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분류 모듈은 트리 구조 또는 네트워크 구조로 시멘틱 메뉴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네임의 수는 7개 내지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시멘틱 메뉴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 및 해제하는 잠금 해제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시멘틱 메뉴 전체에 대한 전체 잠금, 시멘틱 메뉴 중 일부 선택된 메뉴에 대한 부분 잠금, 시멘틱 메뉴 개별에 대한 개별 잠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기능은 특정 패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턴 방식,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패스워드 방식, 및 음성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생체신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4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시멘틱 메뉴를 아이콘 형태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내어 스마트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개시 모듈은 유저에 의해 지정된 아이콘을 특정 시멘틱 메뉴의 시멘틱 메뉴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메뉴 아이콘은 그래픽 그림 또는 사진의 형태로 형성되며,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양 및 크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시스템.
KR1020110143084A 2011-12-27 2011-12-27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13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84A KR101135036B1 (ko) 2011-12-27 2011-12-27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JP2014549971A JP5903169B2 (ja) 2011-12-27 2012-12-20 スマート機器におけるメニュー構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4/369,557 US9734233B2 (en) 2011-12-27 2012-12-20 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of smart device
CN201280065138.9A CN104067210B (zh) 2011-12-27 2012-12-20 智能设备的菜单配置方法和***
PCT/KR2012/011126 WO2013100480A1 (ko) 2011-12-27 2012-12-20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IN4889CHN2014 IN2014CN04889A (ko) 2011-12-27 2014-06-2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84A KR101135036B1 (ko) 2011-12-27 2011-12-27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036B1 true KR101135036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084A KR101135036B1 (ko) 2011-12-27 2011-12-27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4233B2 (ko)
JP (1) JP5903169B2 (ko)
KR (1) KR101135036B1 (ko)
CN (1) CN104067210B (ko)
IN (1) IN2014CN04889A (ko)
WO (1) WO2013100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182B2 (en) * 2013-06-07 2017-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grouping in search
KR102199460B1 (ko) 2013-11-18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741343B1 (en) * 2013-12-19 2017-08-22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interaction application selection
US9785316B1 (en) * 2014-01-22 2017-10-10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ssages
WO2016039529A1 (ko) * 2014-09-11 2016-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CN104217151B (zh) * 2014-09-11 2017-10-2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智能终端应用程序的加锁方法及智能终端
KR101727549B1 (ko) * 2015-06-18 2017-04-17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CN105094923B (zh) * 2015-08-18 2019-01-0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显示终端加载菜单的方法及装置
US20170286479A1 (en) * 2016-04-01 2017-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renaming or augmented naming based on common use
CN107422945A (zh) * 2016-05-24 2017-12-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界面信息交互方法、装置以及电子终端
US10366173B2 (en) * 2016-09-09 2019-07-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of simultaneous interpretation based on real-time extraction of interpretation unit
US11138240B2 (en) 2017-09-05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ed automatic tagging
CN108714302A (zh) * 2018-05-11 2018-10-3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和装置、终端、可读存储介质
CN110543341B (zh) * 2018-05-29 2022-11-18 贵州白山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透出web页面模块的方法及装置
CN109165053B (zh) * 2018-08-15 2022-04-01 康美健康云服务有限公司 应用软件菜单配置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70035B2 (en) * 2019-03-29 2021-11-09 Snap Inc. Context based media curation
US11089109B1 (en) * 2019-11-20 2021-08-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mart device management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privacy preferen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392A (ja) 2003-05-29 2004-12-16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画面自律最適化装置、最適化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
KR100804744B1 (ko) 2001-10-11 2008-02-19 (주) 엘지텔레콤 검색메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1083803B1 (ko) 2009-07-02 2011-11-18 주식회사 솔트룩스 온톨로지에 기반한 동적 네비게이션 메뉴 출력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451A (ja) * 2000-08-03 2002-02-15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メニュー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の記憶媒体
JP2003216630A (ja) * 2002-01-23 2003-07-31 Canon Inc メニュー制御方法、装置及び媒体
JP4016033B2 (ja) * 2003-02-06 2007-12-05 富士通株式会社 階層的なメニュー項目を有する情報端末、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165497A1 (en) * 2003-02-06 2005-07-28 Fujitsu Limited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hierarchical menu items, method thereof, and program thereof
WO2004109557A1 (en) * 2003-06-03 2004-12-16 Forbes Holten Norris, Iii Flexible, dynamic menu-based web-page architecture
FR2861937A1 (fr) * 2003-10-30 2005-05-06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navigation affichant une fenetre mobile, recepteur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KR100754211B1 (ko) * 2006-03-15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WI345179B (en) * 2006-07-14 2011-07-11 Egi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fingerprint, setting a login method of an application, and logining in the application
US20080016371A1 (en) * 2006-07-14 2008-01-17 Arachnoid Biometrics Identification Group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Fingerprint, for Setting a Login Method of an Application, and for Logining in the Application
US8539101B2 (en) * 2008-08-12 2013-09-1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tecting carrier-controlled requests for a web site
KR101549558B1 (ko) * 2009-03-18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18530B2 (en) * 2010-11-04 2015-12-22 Digimarc Corporation Smartphone-based methods and systems
KR20110064341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60543B1 (ko) * 2010-02-26 2012-06-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단말기
KR101719265B1 (ko) * 2010-10-26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744B1 (ko) 2001-10-11 2008-02-19 (주) 엘지텔레콤 검색메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JP2004355392A (ja) 2003-05-29 2004-12-16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画面自律最適化装置、最適化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
KR101083803B1 (ko) 2009-07-02 2011-11-18 주식회사 솔트룩스 온톨로지에 기반한 동적 네비게이션 메뉴 출력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3169B2 (ja) 2016-04-13
US20140365496A1 (en) 2014-12-11
CN104067210A (zh) 2014-09-24
CN104067210B (zh) 2017-09-22
JP2015507801A (ja) 2015-03-12
WO2013100480A1 (ko) 2013-07-04
US9734233B2 (en) 2017-08-15
IN2014CN04889A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36B1 (ko)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US10318111B2 (en) Identif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significant to a user
CN102024064B (zh) 快速搜索方法和移动通信终端
US200903272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Multiple Data Types
US20140089314A1 (en) Function-presenting system,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program and function-presenting method
JP2018504727A (ja) 参考文書の推薦方法及び装置
CN104462030B (zh) 字符转换装置、字符转换方法
CN101945234A (zh) 基于用户使用频率制定个性化菜单的方法及电视终端
JP547296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853434B2 (e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search results
CN102799650B (zh) 一种移动通讯终端及其字符串搜索方法
US10303262B2 (en) Method and input device for setting function keys
JP2011053996A (ja) Webブラウザ選択方法および装置
JP2011175453A (ja) キーワード検索システム
KR101117172B1 (ko)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키워드와 연관되어 있는 다른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76806B1 (ko)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4228685B2 (ja) 情報検索端末
KR101300474B1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와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6189979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701126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1022724A (ja) ウェブサイト情報提供装置およびウェブサイト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090105556A (ko) 데이터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검색시스템
JP2010033240A (ja) 情報アクセス装置
JP20231255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4030465A (ja) 検索端末装置、検索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