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95B1 -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95B1
KR101132895B1 KR1020057009653A KR20057009653A KR101132895B1 KR 101132895 B1 KR101132895 B1 KR 101132895B1 KR 1020057009653 A KR1020057009653 A KR 1020057009653A KR 20057009653 A KR20057009653 A KR 20057009653A KR 101132895 B1 KR101132895 B1 KR 10113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layer
roll
film
do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036A (ko
Inventor
야스오 하야시
가즈야 야노
즈토무 아와무라
가즈요시 스데지
Original Assignee
규큐 야쿠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155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4472B2/ja
Application filed by 규큐 야쿠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규큐 야쿠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Abstract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한 쌍의 압압 롤에 인입하여 각 수지 필름 이면으로부터 가압하여 각 투여제층을 밀착시키고,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킨다. 이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에 의해, 밀착된 복수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2장의 수지 필름중 한 쪽만을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복수 투여제층을 유지한 또 다른 한 쪽의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중첩시킨 2장의 수지 필름중 한 쪽만을 박리한다. 얻어진 압착 제품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 장치{PROCESS FOR PRODUCING EDIBLE ORALLY ADMINISTERED AGENT OF LAMINATE FILM FORM AND COMPRESSION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식품 등중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물의 매우 얇은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신규하면서 개량된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 및 식품 첨가물로서 인정되고 있는 물질 및/또는 경구 투여가 인정되고 있는 의약품 및 의약품 첨가물만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위턱 및 잇몸의 점막이나 비강 점막 등의 구강내에 있어서의 경점막 접착제, 구강내의 환부에 접착하여 치료?보호를 행하는 구강내 질환 예방 접착제, 구강내 치료 접착제, 구취 예방 접착제, 구취 방지 접착제 및 구강내에서 용해되어 주로 소화관에서 흡수시키는 경구 투여용의 의약 제제, 나아가서는 소취 작용이나 건강 유지 효과 등의 작용을 갖는 의약부외품, 식품 등의 구강내 투여물에 있어서, 매우 얇은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생산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신규하면서 개량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형 가 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식품 등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물을 시트형 또는 필름형으로 하여 구강내 투여제화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필름형이나 시트형 등의 얇은 층 형상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필름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2559301호 공보에는 필름 형성제, 겔 형성제, 활성 물질, 불활성 충전제, 극성 용매를 혼합한 구강내 투여제 조제액을 도포 장치에 의해 실리콘화 종이 위에 펼쳐, 80℃에서 10~15 분간 건조하여, 시트형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구강내 투여제층이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는 아니다.
일본 특허 공표 2001-504106호 공보에는, 구강내 투여제 조제액을 적당한 담체 재료 위에 피복하여 건조시킨 후, 얻어진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를 담체 재료로부터 떼어내어 필름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담체 재료로서는 비실리콘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비실리콘화 크라프트지, 폴리에틸렌 함침 크라프트지, 또는 비실리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 피복 기술로서는 나이프?오버?롤?코팅 헤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강내 투여제층이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의 필름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WO 98/5626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2002-191343호 공보에는 칸막이판으로 구획된 호퍼에 종류나 배합이 상이한 가식성 소재를 각각 투입하여, 호퍼하의 제1차 압연 롤로 띠형의 제1차 압연 시트를 복수 형성하고, 그것을 반송(搬送) 과정에서 시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중첩시키고, 제2차 롤로 압연 접착함으로써 다층체 구조의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압연 가소성을 갖는 쿠키 반죽, 파이 반죽, 크래커 반죽과 같은 두꺼운 다층 시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두께가 수백 ㎛~수십 ㎛의 매우 얇은 복수층의 가식성 소재를 압착하여 전체의 두께가 수천 ㎛~수십 ㎛ 정도인 얇은 다층체 구조를 형성하는 식품 등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천 ㎛~수십 ㎛ 두께의 필름형 가식성 다층 구조를 얻는 것에 관계한 특허 문헌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2001-506640호 공보에는 구강 점막부에 부프레놀핀을 투여하기 위한 시트형 또는 테이프형의 구강내 투여제가 기재되어 있으며, 부프레놀 핀을 포함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을 도포한 복수의 시트형 또는 테이프형 재료를 다층 재료를 형성하도록 조합하여 다층으로 하는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다층 구조의 제조 방법 및 다층 구조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 장치에 대해서는 일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상기한 일본 특허 공표 2001-506640호 공보에는 구강내 투여제층 제조액 을 테이프, 시트 또는 호일로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을 그대로 투약 단위 또는 복수 투약 단위로 절단 또는 구멍을 냄으로써 분리하고 있기 때문에, 구강내에 투여할 때에 그 절단물로부터 테이프, 시트 또는 호일을 벗겨내는 것이 번거로우며, 또한 테이프, 시트, 호일 등의 구강내에서 위화감을 갖는 소재를 벗겨내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는 자연히 사용하는 용도도 한정되며, 또한, 가식성이 아닌 소재인 경우에는 그 용도는 한층 더 한정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공개 평 9-235220호 공보에는 약품 함유층과 비접착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그 제조 방법으로서는 폴리사불화에틸렌(등록 상표: 테플론)제 샬레 위에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의 도포 또는 분무와, 도포 또는 분무한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의 건조를 행한 후에 샬레로부터 박리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고, 소요의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를 얻는 방법이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제조 방법은 실험실 규모로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공업적으로는 채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게다가 다층으로 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강내 투여제층 위에 별도의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을 손으로 도포 또는 분무할 경우에는 조제액을 양적으로 정확히 도포 또는 분무하는 것이 곤란하며, 약제 성분 등의 정확한 양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얻어진 다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는 의약 제제에 요구되는 양적 정밀도를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제조 장치에 대해서는 일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 공개 2001-288074호 공보에는 피복층(a), 약물층 I(b), 약물층 II(c)의 3종의 층을 a, b, c, b, a의 순서로 적층 하여 이루어지는 필름형 트로키제(가식성 구강내 투여제)가 제안되어 있다. 이 필름형 트로키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의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상에서의 전연(展延) 건조를 반복함으로써, 소망의 다층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1-288074호 공보에 기재된 다층 적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할 때에 출원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수지 필름 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을 연속적으로 도포 건조하는 도공 장치(200)를 채용하고 있다. 이 도공 장치(200)는 수지 필름 권출(卷出) 축(201)에 세트한 수지 필름(202)을 가이드 롤(203)과 닥터 롤(204)의 사이를 통해 건조 로(爐)(205) 안으로 유도하고, 수지 필름 권취 축(206)으로 권취함으로써, 수지 필름(202)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이 사이에 가식성 구강내투여제층 조제액 공급용 댐부(207)에 공급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208)이 수지 필름상에 도포되고, 이 때, 가이드 롤(203)상의 수지 필름(202)과 닥터 롤(204)과의 간극을 소정 치수로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도포량으로 할 수 있다 (부분 확대도 참조). 이렇게 하여 형성된 수지 필름(202)상의 도포층(208a)은 건조 로(205)를 통과함으로써, 열풍 분출 장치(209)로부터 균일하게 분출된 열풍에 의해 건조되고,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210)이 권취 축(206)에 롤형으로 권취된다.
다음으로, 이 권취 축(206)에 롤형으로 권취한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을 재차 권출 축(201)에 장착하고, 동일한 조성 또는 상이한 조성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208)을 댐부(207)에 공급하여 재차 도포와 건조를 실시하고, 권취 축(206)에 권취함으로써, 2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적층 형성된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포와 건조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소요 의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상기한 종래 방법보다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공 방법을 채용하여도, 상기 종래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포와 건조를 반복하여 행하여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할 경우에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208)의 도포량의 정확한 제어가 곤란해지며, 의약 제제에 요구되는 양적 정밀도를 충족시킬 수 없음이 판명되었다.
즉, 1회째의 도포는 닥터 롤(204)과 수지 필름(202)의 간극을 소정 치수로 함으로써 소정의 도포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1회째의 도포 후의 건조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두께가 건조 단계의 미세한 조건 변동이나 그 날의 기온, 습도 등의 외란에 의해 변동된다. 그 결과, 2회째의 도포에 있어서는 닥터 롤(204)과 수지 필름(202)의 간극 치수를 아무리 정확하게 하여도 실제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208)이 도포되는 두께는 1회째에 형성된 건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상면과 닥터 롤(204)과의 간극이 되기 때문에, 2회째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도포 두께는 1회째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도포 두께의 변동에 의해 더욱 변동하게 된다. 1회째에 도포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208a)의 건조 단계 후의 두께 변동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의 도포량의 부정확함은 도포?건조의 횟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이 도포?건조의 횟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며, 2회째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건조에는 제1회째의 1.5배의 시간이 걸리며, 3회째에는 2배의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출원인은 복수의 얇은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층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얻기 위해,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을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전연하여 건조함으로써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수지 필름을 제조하고, 이들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하여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압착시키고, 서로 밀착시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2장의 수지 필름의 한 쪽을 벗겨내는 것을 시험하였다.
시험을 행하자, 복수층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그것만으로 자립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벗겨낸 수지 필름 쪽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장착되어 버리고,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 쪽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복수층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소정의 형상으로 제제화하는 데에는 수지 필름 표면상에 다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할 때의 도공, 건조 및 압착의 반복 단계는 가능한 한 폭이 넓은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행하고, 이것을 소정의 가는 폭으로 잘라서 나눈 후에,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제제화 단계에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표면상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폭이 넓은 수지 필름을 함부로 가는 폭으로 절단하면, 수지 필름에 유지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에 왜곡, 주름, 균열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할 때에도 의약 제제 등에 요구되는 양적 정밀도를 충족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단계 등에도 시간적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생산성이 우수한, 매우 얇은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신규하면서 개량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두께 수백 ㎛~수십 ㎛의 매우 얇은 복수층을 압착하여 전체의 두께가 수천 ㎛~수십 ㎛ 정도의 얇은 다층체 구조를 형성할 때에, 압착시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2장의 수지 필름의 한 쪽만 박리하고, 의도한 다른 쪽(다른 한 쪽)의 수지 필름상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폭이 넓은 수지 필름을 제제화 단계로 공급할 때에 가는 폭으로 절단할 경우에, 수지 필름에 유지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에 왜곡, 주름, 균열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생산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복수층을 압착시켜 다층 구조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제조할 때에, 다종류의 투여제층을 소망의 수만큼 적층 압착시켜 각종 용도에 적응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얻을 수 있는 융통성을 갖추며, 또한 장치 전체로서 콤팩트한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 상기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두개의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押壓)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및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그것만으로 자립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부착되어 버려,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생산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압압 롤에 의해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본 발명의 압착법을 이용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구조는,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 18의 단면 현미경 사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으로 얻어진 적층 구조에서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과의 경계(X)가 명료하게 보여,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포?건조를 반복하여 적층하는 종래의 적 층 도포법으로 얻어진 적층 구조에서는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경계(Y)가 불명료하고 희미하게 보여,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명확히 판별할 수 없다. 즉,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는 적층 구조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에 의해 처음으로 얻어지는 신규한 적층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다수의 소망의 수만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항에 따라,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 상기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두개의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단계, 상기 수지 필름 박리 단계에서 얻어진 밀착된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에, 상기 밀착된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과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된 또 하나의 수지 필름을,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더욱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다중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및 서로 밀착된 다중 층의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다중 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다중 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소망의 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다중 적층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압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구강내투여제층 형성 단계와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와 수지 필름 박리 단계, 또한, 필요에 따라 다중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와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를, 일련의 단계로 하여 연속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중간 단계에서 얻어진 단층 또는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지 필름을 각각 롤형으로 감아 일단 롤 필름으로 하고, 이 롤 필름을 다음 단계의 출발 재료로서 사용하는 데에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중간 단계에서 롤 필름을 형성하는 배치 방식으로 실시하는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3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 상기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을 형성하는 롤 필름 형성 단계, 상기 롤 필름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두개의 롤 필름을 각각 되감으면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롤 필름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및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배치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수의 소망의 수만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4항에 따라,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 상기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을 형성하는 롤 필름 형성 단계, 상기 롤 필름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두개의 롤 필름을 각각 되감으면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롤 필름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에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단계, 상기 수지 필름 박리 단계에서 얻어진 밀착된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을 형성하는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 형성 단계, 상기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 형성 단계에서 얻어진 밀착된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과, 상기 밀착된 복수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과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또 하나의 롤 필름을 각각 되감으면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롤 필름 다중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단계, 및 서로 밀착된 다중 층의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 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다중 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다중 층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소망의 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다중 적층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압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5항 및 청구의 범위 제6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박리 단계에서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 및 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에서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에는, 적어도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되는 표면에 미리 박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원활하고 확실하게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3항 또는 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박리 단계에서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 및 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에서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에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되는 표면과 그 반대측의 이면과의 양면에 미리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상기 수지 필름 박리 단계 또는 상기 수지 필름 박리 제거 단계에서 박리되지 않고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는, 적어도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이면에 미리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원활하고 확실하게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중간 단계에서 롤 필름을 형성하는 배치 방식으로 실시하기 위해,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을 형성하여도 이면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장착되지 않고, 그 롤 필름을 원활하게 되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9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할 때의 압력을 0.05~1.5 MPa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과도하게 압밀화되지 않고,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층형으로 형성 유지된 채로 필름형 제제로서 확실하게 밀착되어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식성 구강내 투 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할 때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온도를 50℃~18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용융하지 않고, 약간 연화시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과도한 가열은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용융하여 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며, 피복층, 약물층, 지지층 등의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각각의 목적의 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되며, 제제 설계대로의 용출 특성, 점막 접착성, 보존 중의 방습 특성 등의 투여제를 목적으로 하는 물리 화학적 특성을 달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을 상기의 한정한 온도 범위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회피하면서 확실하게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확실하게 밀착시켜 층형 형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킨 후, 수지 필름을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으로부터 박리할 때까지,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상기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할 때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온도보다 1O℃ 이상 냉각하고, 또한, 그 냉각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물품 온도가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원활하고 확실하게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할 수 있고,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서로 밀착시키는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각 층에는 가식성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가압시의 가열 온도에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보다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가식성의 열가소성 물질로서는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한 바와 같은 아밀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알긴산알킬에스테르, 알긴산나트륨, 에틸셀룰로오스, 유드라짓,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한천, 젤라틴, 셸락, 덱스트란, 덱스트린, 전분, 트래거캔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4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의 압착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에 있어서의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두께가 각각 1~30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경구 투여제로 하였을 때는 물 없이 복용할 수 있는 속용성이 높은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구강내 점막의 접착제로 하였을 때는 구강내에 접착하여도 위화감이 없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5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항~4중 어느 1항에 있어서, 밀착시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은 자립성 적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6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의 범위 제15항에 있어서,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최종적으로 박리하는 것이다. 적층 필름이 자립성을 갖기 때문에, 이 적층 필름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박리하기 쉬워지고, 이것에 의해, 수지 필름을 붙인 상태로 복용하는 오식(誤食)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용하기 쉬운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하는 한 쌍의 압압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송출 방향(하류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킨 위치에 설치된 직경 6 cm 이하의 박리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여 송출되어 서로 밀착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2장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는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 박리를 행하는 권취 축과,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박리할 때에,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박리 롤을 향하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17항의 발명에 의하면,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그것만으로자립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부착되어 버려, 의도한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지만, 한 쌍의 압압 롤의 하류 위치(송출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속 방향에 대략 일치시킨 위치에 박리 롤을 설치하고, 그 박리 롤의 직경을 6 cm 이하로 작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는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하여 박리시킴으로써,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생산성이 우수한 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8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롤은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의 이동에 따라 동반 회전하도록 회동 자유자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18항의 발명에 의하면,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의 이동에 따라 박리 롤이 동반 회전함으로써, 다른 쪽의 수지 필름만의 박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19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항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롤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 인입하는 위치에 권취 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19항의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위치에 권취 축을 설치함으로써,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의 박리를 보다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0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상기 2장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권출 롤과,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롤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권출 롤과 권취 롤은 치수 및 구조가 대략 동일하여,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0항의 발명에 의하면, 권취 롤과 권출 롤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압착 장치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수지 필름을 권취 롤에 권취하여 일단 롤 필름으로 한 것을, 그대로 재차 압착 장치의 출발 재료로 하고, 또 하나의 롤 필름과 압착시킴으로써 다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형성을 배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압착 장치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수지 필름을 일단 권취 롤에 배치 방식으로 권취하여 롤 필름으로 하고, 이 롤 필름을 그대로 권출 롤에 권취된 원료 롤 필름으로 하여 압착 장치에 세트하고, 이것과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수지 필름을 권출 롤에 권취한 또 하나의 원료 롤 필름을 마찬가지로 압착 장치에 세트하고, 각각의 롤 필름으로부터 권취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한 쌍의 압압 롤에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다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다중으로 밀착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배치 방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배치 조작을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조합함으로써,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다종류의 다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제조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갖춘 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1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슬리터, 및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권취 릴은 그 플랜지부를 제외한 권취 축부가 간극 없이 전후로 번갈아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1항의 발명에 의하면,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 분할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각각 대응하는 권취 릴로 1개씩 개별로 권취할 때에, 전후로 번갈아 열을 이루어 배치된 권취 릴의 권취 축부를 간극 없이 배열하기 때문에, 복수개로 절단 분할된 가는 폭의 수지 필름끼리의 간격을 둘 필요가 없으므로, 수지 필름에 유지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에 왜곡, 주름, 균열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는 폭으로 절단 분할된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또한, 원활하게 권취 릴에 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2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온(on) 상태와, 절단을 행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 가능한 슬리터가 설치됨과 동시에, 온 상태의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軸支)하는 샤프트와, 오프 상태의 상기 슬리터를 통과하여 절단되지 않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롤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2항의 발명에 의하면, 슬리터를 기능시켜 가는 폭의 복수개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를,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폭이 넓은 수지 필름을 배치 방식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로 교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슬리터에 의한 수지 필름의 절단 분할 조작과, 슬리터를 기능시키지 않는 배치식의 압착 조작을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장치 전체가 컴팩트하고 설치 면적도 적게 드는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3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의 범위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는 그 양단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한 쪽에 한 쪽으로 지지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한 쪽으로 지지된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다른 쪽의 프레임은 일으키고 쓰러뜨리는 것이 자유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3항의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의 일단을 프레임에 한 쪽으로 지지시키고, 타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쓰러뜨림으로써, 샤프트를 한 쪽으로 지지시킨 상태로 샤프트에 축지시키는 권취 릴의 샤프트에 대한 장착 및 제거를 간편하면서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고 있는 샤프트마다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좋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24항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상기한 청구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 릴은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일단측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각 권취 릴 측벽이 압압되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측에 편향되고, 이 스프링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샤프트의 회전이 권취 릴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4항의 발명에 의하면, 권취 릴 측벽을 압압하는 스프링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샤프트의 회전이 권취 릴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 스프링의 편향력을 조정함으로써, 권취 릴이 샤프트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스프링의 편향력을 강화함으로써, 권취 릴과 샤프트의 사이의 슬라이드가 적어지기 때문에, 샤프트의 회전의 권취 릴로의 전달이 커지며, 권취 릴에 의한 수지 필름의 권취력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스프링의 편향력을 약하게 한 경우에는, 권취 릴과 샤프트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샤프트의 회전의 권취 릴로의 전달이 작아지며, 권취 릴에 의한 수지 필름의 권취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권취 릴로의 수지 필름 권취량의 변동에 따른 권취력의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어, 고가의 제어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청구의 범위 제21항에 기재된 슬리터와 권취 릴을 구비하는 구조를 불가결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기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하는 한 쌍의 압압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송출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킨 위치에 설치된 박리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여 송출되어 서로 밀착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2장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는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 박리를 행하는 권취 축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박리 기구와,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박리할 때에,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박리 롤을 향하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수지 필름 박리 기구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슬리터와,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권취 릴은 그 플랜지부를 제외한 권취 축부가 간극 없이 전후로 번갈아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청구의 범위 제22항에 기재된 슬리터와 권취 릴을 구비하는 구조를 불가결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기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는,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로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하는 한 쌍의 압압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송출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킨 위치에 설치된 박리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여 송출되어 서로 밀착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2장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상기 박리 롤을 향하는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 박리를 행하는 권취 축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박리 기구와,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박리할 때에,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박리 롤을 향하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온 상태와, 절단을 행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슬리터가 설치됨과 동시에, 온 상태의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와, 오프 상태의 상기 슬리터를 통과하여 절단되지 않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롤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수지 필름상에 도포하여 형성하기 위한 도공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압착 장치에 있어서의 압압 롤로부터 송출되는 압착품의 반송 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압착 장치에 있어서의 박리되는 필름의 박리 롤과 권취 축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압착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의 압착 장치의 슬리터를 기능시킨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슬리터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슬리터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 절결(切缺) 입면도이다.
도 9는 2개의 샤프트에 각각 축지된 복수의 권취 릴의 권취 축부가 간극 없이 전후로 번갈아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샤프트에 대하여 복수의 권취 릴을 세트하는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샤프트의 우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베어링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샤프트의 좌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베어링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좌측 베어링 프레임을 쓰러뜨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얻어진 최종 압착 제품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는 투여제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얻어진 최종 압착 제품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는 투여제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압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a~도 1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적층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 얻어진 최종 압착 제품 및 종래의 적층 도포법으로 얻어진 동일한 적층 제품의 단면을 도시한 현미경 사진(800배)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수지 필름의 표면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하 「투여제층」이라고 약기함)을 형성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공 장치(200)를 바람 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도공 장치(200)는 수지 필름 권출 롤(201)에 세트한 수지 필름(202)을 가이드 롤(203)과 닥터 롤(204)의 사이를 통하여 건조 로(205) 안으로 유도하여 수지 필름 권취 롤(206)로 권취함으로써, 수지 필름(202)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이 사이에 투여제층 조제액 공급용 댐부(207)에 공급한 투여제층 조제액(208)이 수지 필름상에 도포되고, 이 때, 가이드 롤(203)상의 수지 필름(202)과 닥터 롤(204)과의 간극을 소정 치수로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도포량으로 할 수 있다(부분 확대도 참조). 이렇게 하여 형성된 수지 필름(202)상의 도포층(208a)은 건조 로(205)를 통과함으로써, 열풍 분출 장치(209)로부터 균일하게 분출된 열풍에 의해 건조되고, 투여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210)이 권취 롤(206)에 롤형으로 권취된다.
이어서, 이 권취 롤(206)에 롤형으로 권취한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을 재차 권출 롤(201)에 장착하고,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투여제층 조제액(208)을 댐부(207)에 공급하여 재차 도포와 건조를 실시하고, 권취 롤(206)에 권취함으로써, 2층의 투여제층이 적층 형성된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포와 건조를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동일 성분의 투여제층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각종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투여제층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건조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투여제층 조제액의 도포량이 부정확해짐과 동시에,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도포?건조의 반복 횟수는 2~3회 정도, 바람직하게는 1회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회의 도포로 수지 필름 표면상에 형성하는 투여제층의 두께는 1~30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회의 도포 두께를 300 ㎛보다 두껍게 한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너무 길어져 생산성이 나빠진다.
도 1의 도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단일의 도포 또는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에 의한 복수의 도포를 실시하여,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투여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210)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여러 종류의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은 각각 권취 롤(206)에서 롤형으로 감겨 롤 필름으로 된 후,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압착 장치(10)를 이용하여 2장의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압착하여, 얇은 층이 다수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형의 투여제층을 수지 필름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착 장치(1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예컨대 도 1의 도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정 두께의 투여제층이 표면상에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하는 한 쌍의 압압 롤(11, 11)과, 압압 롤로부터 송출되어 서로 밀착된 복수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2장의 수지 필름(압착품)(12)중 1장(12a)만을 박리하는 박리 롤(13)과, 박리한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축(14)과, 박리 후에 남겨지는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압착 제품)(12b)을 권취하는 권취 롤(15)을 구비하고 있다.
이 권취 롤(15)을 구동 롤로 함과 동시에, 압압 롤(11, 11)중 하나의 롤을 구동 롤로 하고, 또한, 박리 롤(13)과 권취 롤(15)의 사이에 별도 구동 롤(16)을 배치하여, 이들 3개의 구동 롤이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의 반송 기구가 되 어, 압압 롤(11, 11)로부터 송출된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를 권취 롤(15)로 반송할 수 있다.
반송 기구에 의해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이 반송되는 방향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과 일치시키고 있지만, 반드시 접선 방향과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아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선 방향(T)과 반송 방향(C)과의 어긋남이 30° 이내, 바람직하게는 15°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내 정도로 대략 일치시키면 좋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방향을 도 3의 화살표 Y1과 화살표 Y2의 사이의 범위 내로 하면 좋다.
박리 롤(13)은 압압 롤(11, 11)로부터 송출되는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따른 위치, 즉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송출 방향에서, 압압 롤(11, 11)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킨, 도 3의 화살표 Y1과 화살표 Y2의 사이의 범위 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밀착된 복수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2장의 수지 필름(12)중 1장(12a)만을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의 반송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하는 권취 축(14)으로 권취함으로써 박리할 수 있다. 이 박리 롤(13)은 박리되는 수지 필름(12a)의 이동에 따라 동반 회전하도록 회동 자유자재로 설치된다.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투여제층은 그것만으로 자립한 필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리해야 하는 한 쪽의 수지 필름(12a)에 투여제층이 장착되어버려, 다른 쪽(다른 한 쪽)의 수지 필름(12b) 쪽에 투여제층을 유지시킬 수 없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롤(13)의 직경(D)을 6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cm 이하로 작게 하고, 직경이 작은 박리 롤(13)의 주위면을 따라 가능한 한 급각도로 박리함으로써,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12b)에 복수 투여제층이 확실하게 유지 잔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박리되는 수지 필름(12a)을 권취하는 권취 축(14)은 박리 롤(13)을 기점으로 하고, 박리되는 수지 필름(12a)을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의 반송 방향(C)과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 인입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반송 방향(C)과 약 80°의 각도로 박리 필름(12a)을 인입하는 위치에 권취 축(14)을 설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압착 장치(10)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표면상에 투여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의 롤 필름(17)(예컨대 도 1의 권취 롤(206)에 감긴 롤 필름)을 압착 장치(10)의 상부 권출 롤(18)에 세트하고, 또 하나의 롤 필름(19)을 하부 권출 롤(20)에 세트한다. 이들 롤 필름(17, 19)을 각각 소정 속도로 권출하고, 각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되어 투여제층 서로가 밀착된다.
압압 롤(11, 11)에 의해 가압할 때에는 압압 롤(11, 11)이나 상기 압압 롤(11, 11)의 전단의 가이드 롤을 상기 롤 안에 내장한 전기 히터나 스팀 히터 등에 의해 가열하고, 가압시의 투여제의 온도를 50~180℃, 바람직하게는 50~80℃로 한다. 이 온도는 수지 필름의 종류나 투여제층에 사용하는 물질의 종류 등에 의해 적 절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지만, 투여제층이 약간 연화되어 밀착하기 쉬워지는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고온은 투여제층이 용융하여 투여제층 내의 용매가 휘발하여 갑자기 끓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하며,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밀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압압 롤에 의한 가압 압력은 0.05~1.5 MPa, 바람직하게는 0.1~0.7 MPa로 한다. 과도한 압력은 투여제층이 전연되어 버려 단위 면적당의 양적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압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한 밀착를 얻을 수 없다.
압압 롤(11, 11)을 통과한 압착품(12)은 그 양면이 수지 필름으로 덮이고 이들 사이에 복수 투여제층이 밀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압착품(12)이 박리 롤(13)을 통과한 시점에서, 상면을 덮고 있는 수지 필름(12a)만을 박리하고, 박리한 수지 필름(12a)을 박리 필름 권취 축(14)에 의해 권취함으로써, 압착품(12)으로부터 수지 필름(12a)을 연속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또한,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킨 후, 밀착된 복수 투여제층으로부터 수지 필름(12a)을 박리할 때까지, 서로 밀착된 투여제층의 온도를 압압 롤(11, 11)로 가압할 때(각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할 때)의 투여제층의 온도보다, 1O℃ 이상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은 과도히 행할 필요는 없고, 그 냉각된 투여제층의 물품 온도가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상온(또는 실온)을 밑돌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 냉각은 압압 롤(11, 11)과 필름 박리 롤(13)과의 거리를 길게 하여 방열에 의한 자연 냉각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무균 공기 등의 상온의 공기나 냉각된 공기를 내뿜 어 적극적으로 냉각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압착품(12)으로부터 수지 필름(12a)을 확실하게 연속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압착 제품(12b), 즉 표면상에 복수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은 권취 롤(15)에 의해 롤형으로 권취되고, 복수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12c),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보유하는 롤 필름이 형성된다.
이 복수 투여제층 유지 필름(압착 제품)(12b)에 추가로 다른 투여제층을 적층할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한다. 즉, 상기에서 얻어진 복수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12c)을 권취 롤(15)로부터 떼어내서 도 2의 상부 권출 롤(18)에 세트하고, 마찬가지로 형성된 다른 복수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12c)을 하부 권출 롤(20)에 세트하고, 전술한 압착 조작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면 좋다. 이 때, 권취 롤(15)과 권출 롤(18, 20)을 치수 및 구조가 대략 동일하고, 서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권취 롤(15)에 권취한 롤 필름(12c)을, 그대로 번호 18, 20의 위치에 세트하여 재차 압착 장치(10)의 출발 재료로서 복수 회의 압착 조작을 반복할 수 있고, 보다 다수의 투여제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배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투여제층을 유지한 두개의 수지 필름을 압압 롤(11, 11)의 사이를 통하여 압착할 때에, 두개의 수지 필름의 사이에 공기를 권입한 경우에는 접합되어 불량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압착 장치(10)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압압 롤(11, 11)의 하류에 설치한 한 쌍의 롤(21, 21)의 간극을 좁혀 폐쇄함과 동시에, 압압 롤(11, 11)의 간극을 열어 개방한다. 이 조작에 의해, 두개의 수지 필름 사이에 권입된 공기는 폐쇄된 롤(21, 21)에 의해 용이하게 압출되어 제거된다. 공기가 제거된 후에 압압 롤(11, 11)을 폐쇄하여 롤(21, 21)을 개방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상적인 압착 운전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의 압착 장치(10)에 있어서의 권출 롤(18, 20)과 권취 롤(15)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권출 및 권취시의 장력 제어에는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파우더 브레이크와 파우더 클러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권출 롤(18, 20)측에 설치한 파우더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는 감기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파우더 브레이크에 가하는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힘을 약하게 하고, 장력을 절감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권취 롤(15)측에 설치한 파우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는 감기 직경을 자동 감시하고, 감기 직경에 따른 전압으로 파우더 클러치의 전달력을 제어함으로써, 권취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즉, 감기 직경이 커짐에 따라 파우더 클러치로의 인가 전압을 크게 하여, 파우더 클러치의 전달력을 크게 하도록 제어한다.
투여제층을 유지한 수지 필름을 압압 롤(11, 11)에 의해 압착하는 전술한 압착 조작은, 가능한 한 폭이 넓은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행하고, 이것을 소정의 가는 폭으로 절단 분할한 후에,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제제화 단계에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압착 장치(10)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압 롤(11, 11)로부터 송출되는 압착품중 상면을 덮고 있는 수지 필름 (12a)만을 박리 롤(13)에 의해 박리한 후,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의 반송 방향에 따른 위치에서,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을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슬리터(3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슬리터(30)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롤(16)과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 롤(16)에 대향하여 설치한 복수의 원반 형상의 날(31)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12b)을 권취 롤(15)로 권취할 때에는 원반 형상의 날(31)이 상측 위치에 있으며, 원반 형상의 날(31)과 그 아래의 구동 롤(16)과의 간극이 열려 개방된 상태가 되어 슬리터(30)는 기능하지 않는다. 한편, 최종 압착 제품이 되는 복수 투여제층 유지 수지 필름을 가는 폭으로 절단할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의 날(3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원반 형상의 날(31)과 그 아래의 구동 롤(16)과의 간극이 폐쇄되고, 이곳을 통과하는 폭이 넓은 최종 압착 제품(넓은 폭 압착 제품)(32a)이 가는 폭의 압착 제품(가는 폭 압착 제품)(32b)으로 절단 분할된다. 가는 폭으로 절단 분할된 복수개의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은 1개씩 개별로 복수의 권취 릴(33a, 33b)에 각각 권취된다.
넓은 폭 압착 제품(32a)의 복수 투여제층의 폭이 예컨대 460 mm이며, 이것을 슬리터(30)에 의해 폭 36 mm의 12개의 가는 폭 압착 제품(32b)으로 절단하는 경우, 투여제층의 폭 방향으로 13장의 원반 형상의 날(31)을 36 mm 간격으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병렬시켜 설치한다. 투여제층 양단부의 절단 카스(32c)는 카스 권취 축(35)에서 권취되어 제거된다.
슬리터(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개(예컨대 13개)의 슬리터 유닛(36, 36)을 투여제층의 폭 방향, 즉 구동 롤(16)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병렬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슬리터 유닛(36)에는 각각 1장씩 원반 형상의 날(31)이 삽입되고, 인접하는 슬리터 유닛의 날(31)이 예컨대 36 mm 간격(도 7의 w)으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는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구동 롤(16)의 폭방향으로 병렬시킨 2개의 슬리터 유닛(36, 36)만 도시되어 있다. 각 슬리터 유닛(36)에 있어서는 원반 형상의 날(31)의 회전축(31a)은 베어링(37)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고, 날(31)과 베어링(37)은 2장의 측벽(38, 38)의 사이에 상하 이동 자유자재(화살표 Y3)로 수납되고, 날(31)의 회전 방향(도 8의 화살표 Y4) 전방 하단에 이르는 날의 일부분(31b)이 측벽(38)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측벽(38) 정상부에는 에어백 수납부(39)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에어 튜브(40)와 접속된 유연성 에어백(41)이 수납되어 있으며, 에어백(41)의 팽창, 수축에 따라 베어링(37) 및 원반 형상의 날(31)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38) 후단부(가는 폭으로 절단된 압착 제품이 슬리터(30)에서 송출되는 측)에는 구동 롤(16)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슬리터 프레임(42)에 대하여 각 슬리터 유닛(36)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43)가 장착되어 있고, 나사(43a)의 체결에 의해 슬리터 유닛(36)을 1개씩 슬리터 프레임(42)의 소정 위치에 장착 고정하여 병렬 배치시킨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슬리터(30)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슬리터(30)가 기능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에어백(41) 내의 공기가 에어 튜브(4O)를 통해 빠져 편평 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때 날은 상측 위치로 들어 올린 위치에 유지되고, 구동 롤(16)과의 간극이 열려 있다(도 2 참조). 즉, 절단을 행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으며, 반송되어 오는 넓은 폭 압착품(12b)은 절단되는 일 없이 폭이 넓은 상태로 권취 롤(15)에 권취할 수 있다.
에어 튜브(40)로부터 에어백(41) 내에 공기를 주입하면, 에어백(41)이 팽창하고, 이에 따라 베어링(37)이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가기 때문에, 날(31)은 구동 롤(16)의 주위면에 접촉되어 압박된다(도 6 참조). 즉,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반송되어 오는 넓은 폭 압착품(32a)은 인접하는 슬리터 유닛(36, 36)의 날(31)과 날(31)의 사이의 폭(w)에 해당하는 가는 폭 압착 제품(32b)으로 절단되게 된다.
슬리터(30)에 의해, 예컨대 폭 36 mm로 12개로 절단된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은 홀수 열의 6개의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이 전방에 배치한 샤프트(34a)에 동축형으로 축지된 6개의 권취 릴(33a)에 각각 1개씩 개별로 권취되고, 짝수열의 6개의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이 후방에 배치한 샤프트(34b)에 동축형으로 축지된 6개의 권취 릴(33b)에 각각 1개씩 개별로 권취된다(도 6 참조).
샤프트(34a)에 축지된 6개의 권취 릴(33a)과, 샤프트(34b)에 축지된 6개의 권취 릴(33b)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번갈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샤프트(34a 및 34b)에 축지된 인접하는 권취 릴(33, 33)의 사이에 소정 폭의 릴 플레이트(50, 50)와 스페이서(51)를 삽입함으로써, 전열의 샤프트(34a)의 권취 릴(33a)의 플랜지부(45a)를 제외한 권취 축부(46a)와, 후열의 샤프트(34b)의 권 취 릴(33b)의 플랜지부(45b)를 제외한 권취 축부(46b)가 간극 없이 번갈아 배열되도록 한다. 권취 축부(46)의 폭은 거기에 권취되는 가는 폭 압착 제품 1개의 폭(w)(36 mm)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터(30)에 의해 폭 36 mm으로 절단 분할된 12개의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은 12개의 합계 폭(432 mm)이 넓어지지 않고, 권취 릴(33)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반송되어 1개씩 별개의 권취 릴(33)에 권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 분할된 인접하는 가는 폭 압착 제품의 사이의 간격이 폭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1개씩 별개의 권취 릴에 권취하는 경우에 보여지는 것과 같은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의 투여제층의 왜곡, 주름, 균열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권취 릴(33)을 축지하는 샤프트(34a, 34b)는 전후 2열로 배치하고 있지만, 권취 릴(33)의 개수에 따라, 전후로 3열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샤프트(34)에 대하여 복수의 권취 릴(33)을 세트하는 기구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있어서는 샤프트(34)의 상반부를 단면도, 하반부를 정면도로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샤프트(34)의 일단부(도면의 우측 단부)의 가는 직경 부분(34c)에는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모두 원환형 스토퍼(52), 베어링(53), 톱니바퀴(54) 및 베어링(55)이 각각 칼라(56, 57, 58)를 통하여 끼워 맞추어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의 가는 직경 부분(34c)에 계속되는 굵은 직경 부분(34d)에는 그 우측 단부에 원환형의 스토퍼(60)가 끼워 맞춰져 고정 볼트(60a)로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60)의 좌측에는 모두 원환형의 릴 플레이트(50), 권취 릴(33), 릴 플레이트(50), 스페이 서(51), 릴 플레이트(50), 권취 릴(33), 릴 플레이트(50), 스페이서(51)…가 이 순서대로 잇달아 끼워 맞춰지고, 예컨대 6개의 권취 릴(33)이 끼워 맞춰진다. 6개째의 권취 릴(33)을 위치 결정하는 릴 플레이트(50)의 좌측에는 모두 원환형의 스프링 받침(61), 스프링(62) 및 외주에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한 슬로팅 부싱(63)이 이 순서대로 끼워 맞춰지고, 슬로팅 부싱(63)이 고정 볼트(63a)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로팅 부싱(63)에는 그 외주의 나사 홈에 나사 결합하는 압입 나사(64)가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샤프트(34)의 타단부(도면의 좌측 단부)의 가는 직경 부분(34e)에는 모두 원환형의 베어링(65)과 스토퍼(66)가 칼라(67, 68)를 통하여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의 굵은 직경 부분(34d)의 길이 방향에는 가늘고 긴 돌기로 이루어지는 키(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에 끼워 맞춰지는 원환형 끼워 맞춤 부재인 릴 플레이트(50), 스페이서(51), 스프링 받침(61), 슬로팅 부싱(63)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 홈이 키(69)와 결합하여 샤프트(34)의 회전이 이들 원환형 끼워 맞춤 부재에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권취 릴(33)은 폴리사불화에틸렌(등록 상표: 테플론)제의 권취 축부(46)와, 권취 축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신장하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플랜지부(45)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취 릴(33)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둔 한 쌍의 원환형 릴 플레이트(50, 50)는 권취 축부(46)의 측면과 면 접촉하고 있다. 릴 플레이트(50)의 중심 부근에는 원환형의 권취 축부(46)의 중앙 구멍부(46c)에 끼워 맞추는 소직경의 원환형 돌기(50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환형 돌기(50c)를 권취 축부 (46)의 중앙 구멍부(46c)에 끼워 맞춤으로써 권취 릴(33)의 위치 결정을 간편하면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각 권취 릴(33)은 권취 축부(46)와 그 축부(46)를 협지하는 원환형 릴 플레이트(50, 50)와의 접촉면(접동면)을 통해, 샤프트(3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샤프트(34)의 좌측 단부에 배치된 스프링(62)에 의해 각 권취 릴(33)의 권취 축부(46) 측벽이 압압되어 샤프트(34)의 우측에 편향되어, 이 스프링(62)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샤프트(34)의 회전이 원환형 릴 플레이트(50, 50)를 통해 권취 릴(3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작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에 배열된 권취 릴(33a)의 권취 축부(46a)와, 후열에 배열된 권취 릴(33b)의 권취 축부(46b)가 간극 없이 번갈아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한 스페이서(51)의 폭과 그 양측에 배치되는 릴 플레이트(50, 50) 및 릴 플랜지부(45, 45)의 폭과의 합계(w)가 릴 권취 축부(46)의 폭(w)(즉, 가는 폭 압착품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34)를 소정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프레임을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샤프트(34)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우측 베어링프레임(70)이며, 전체로서 세로 길이의 박스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정상부 개구면 에는 개폐가 자유자재인 덮개(71)를 구비하고 있다. 대향하는 2개의 측벽(72a, 72b) 정상부에는 U자형의 절결 구멍(73a, 73b)이 형성되고, 이들 U자형 절결 구멍보다 아래쪽의 측벽(72a, 72b)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 톱니바퀴(74)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덮개(71)를 개방하여, 샤프트(34)의 우측 단 부를 베어링 프레임(70)에 적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샤프트(34)에 장착한 2개의 베어링(53, 55)을 베어링 프레임(70)의 2개의 U자형 절결 구멍(73a, 73b)에 끼워 맞추고, 톱니바퀴(54)를 구동 톱니바퀴(74)와 결합시킴으로써, 구동 톱니바퀴(74)의 회전이 톱니바퀴(54)를 통해 샤프트(34)에 전달된다. 덮개(71)를 폐쇄할 때에는 덮개(71)를 쓰러뜨려 정상부 개구면을 막고, 고정 나사(75)를 나사 구멍(76)에 삽입하여 고정 나사 핸들(77)을 돌림으로써 덮개(71)를 폐지할 수 있다. 이 때, 덮개(71)의 양측부에 장착한 베어링 누름 공구(78a, 78b)로 U자형 절결 구멍(73a, 73b)에 끼워진 베어링(53, 55)의 정상부를 눌러서 베어링이 U자형 절결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샤프트(34)의 좌측 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베어링 프레임(80)이며, 1장의 측벽(81)과 덮개(82)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81) 정상부에는 U자형의 절결 구멍(83)이 형성되고, 덮개(82)는 개폐 자유자재로 측벽(8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측벽(81) 바닥부에는 대판(臺板)(84) 측면이 접촉되어 있고, 측벽(81)과 대판(84)은 힌지(85, 85)로 연결되어 있다. 대판(84)에 구멍을 뚫어서 만든 관통 구멍에 고정 나사(86)를 관통시켜 고정 나사 핸들(87)을 돌리고, 고정 나사(86) 선단부를 측벽(81) 하부에 형성한 나사 구멍(88)(도 13참조)에 나사 결합시켜 나사 고정함으로써, 측벽(81)을 도 12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덮개(82)를 개방하여, 샤프트(34)의 좌측 단부를 베어링 프레임(80)에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샤프트(34)에 장착한 하나의 베어링(65)이 베어링 프레임(80)의 U자형 절결 구멍(83)에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82)를 쓰러뜨리고, 고정 나사 (89)를 나사 구멍(90)에 삽입하여 고정 나사 핸들(91)을 돌림으로써 덮개(82)를 폐지할 수 있다. 이 때, 덮개(82)의 측부에 장착한 베어링 누름 공구(92)로 U자형 절결 구멍(83)에 끼워 맞춰진 베어링(65)의 정상부를 눌러서 베어링이 U자형 절결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의 좌측 베어링 프레임(80)은 그 측벽(81)을 화살표(Y5) 방향으로 쓰러뜨릴 수 있으며, 쓰러뜨린 상태를 도 13에 도시한다. 측벽(81)을 쓰러뜨리는 데에 고정 나사(89)(도 12)가 나사 구멍(90)과의 나사 결합을 풀어 고정 나사(89)가 나사 구멍(9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고정 나사 핸들(91)(도 12)을 돌리고, 덮개(82)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 계속해서 나사 핸들(87)을 돌려 고정 나사(86)와 나사 구멍(88)과의 나사 결합을 하여 힌지 부분(85)(도 12)에서 측벽(81)을 절곡하면 좋다.
복수의 권취 릴(33)을 도 10과 같이 세트한 샤프트(34)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샤프트(34)의 양단부를 도 11 및 도 12의 베어링 프레임(70, 80)에 각각 적치하면, 우측 베어링 프레임(70)(도 11)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톱니바퀴(74)와 샤프트의 톱니바퀴(54)가 맞물리고, 구동 톱니바퀴(74)의 회전이 샤프트(34)에 전달된다. 샤프트의 회전은 전술한 키(69)와 키 홈의 결합에 의해 각 원환형 끼워 맞춤 부재에 확실하게 전달되고, 릴 플레이트(50), 스페이서(51), 스프링 받침(61), 슬로팅 부싱(63) 등의 원환형 끼워 맞춤 부재가 샤프트(34)의 회전과 함께 확실하게 회전한다.
그러나, 권취 릴(33)의 권취 축부(46)를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사불화에틸렌 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축부(46)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는 릴 플레이트(50, 50)와의 접촉면(도 10에 있어서 굵은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면)에서 슬라이드가 발생하는 결과, 권취 릴(33)에는 샤프트(34)의 회전이 그대에 전달되지 않는다.
샤프트(34)의 회전의 권취 릴(33)로의 전달은 릴의 권취 축부(46)와 릴 플레이트(50)와의 슬라이드 정도에 의해 변화된다. 이 슬라이드의 정도는 샤프트(34)의 좌측에 끼워 맞춰져 있는 스프링(62)의 강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즉, 슬로팅 부싱(63)에 나사 결합시킨 압입 나사(64)를 샤프트(34)의 우측 방향으로 압입하면, 스프링(62)에 의해 릴 플레이트(50) 및 스페이서(51)가 압압되고 샤프트의 우측 방향에 편향된다. 스프링(62)에 의한 편향력이 강한 경우에는 릴의 권취 축부(46)와 릴 플레이트(50)와의 슬라이드가 저감되며, 샤프트(34)의 회전이 권취 릴(33)에 전달되기 쉬워진다. 한편, 스프링(62)에 의한 편향력이 약한 경우에는 릴의 권취 축부(46)와 릴 플레이트(50)와의 슬라이드가 커지며, 권취 릴(33)에는 샤프트(34)의 회전이 전달되기 어려워지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권취 릴(33)에는 슬리터(30)에 의해 절단 분할된 가는 폭 압착 제품이 1개씩 개별로 권취되기 때문에, 권취가 진행됨에 따라 권취 직경이 커지며, 또한, 그에 따라 동일한 길이의 가는 폭 압착 제품을 권취하는데 필요한 권취 릴(33)의 회전수는 저감된다. 또한, 1개의 샤프트(34)에 축지되어 있는 복수의 권취 릴(33)은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권취 직경으로는 되지 않으며, 권취 직경이 상이한 것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62)에 의한 편향력을 조정함으로써, 권취 릴(33)의 권취 직경의 변화에 대응한 자유로운 회전수로 개개의 권취 릴(33)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샤프트(34)에 세트한 복수의 권취 릴(33)에 대한 가는 폭 압착 제품(32b)의 권취 조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도 11의 우측 베어링 프레임(70)의 구동 톱니바퀴(74)를 정지하여 샤프트(34)의 회전을 정지하고, 권취 릴(33)을 샤프트(34)로부터 떼어낸다. 권취 릴(33)을 제거할 때에는 샤프트(34)의 우측 단부를 도 11의 우측 베어링 프레임(70)에 세트한 상태로, 도 12의 좌측 베어링 프레임(80)의 덮개(82)를 개방하여 측벽(81)을 쓰러뜨리고, 우측 베어링 프레임(70)으로 샤프트(34)를 한 쪽으로 지지한 상태로 한다. 이 한 쪽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샤프트(34)의 좌측 단부로부터 원환형 끼워 맞춤 부재인 스토퍼(66), 베어링(65), 슬로팅 부싱(63), 스프링(62), 스프링 받침(61)을 순서대로 벗기면, 릴 플레이트(50) 및 스페이서(51)와 동시에 잇달아 권취 릴(33)을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34)를 한 쪽으로 지지한 상태로 하여 권취 릴(33)을 잇달아 샤프트(34)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복수의 권취 릴(33)이 축지된 무거운 샤프트(34)를 복수인의 작업원으로 베어링 프레임(70, 80)으로부터 벗기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 끝낼 수 있으며, 1인의 작업원으로 복수의 권취 릴(33)을 용이하면서 신속히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압착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슬리터(30)를 기능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넓은 폭 압착 제품을 권취 롤(15)에 권 취하는 조작을 행하고, 슬리터(30)를 기능시켜 가는 폭 압착 제품으로 절단 분할하는 경우에는 가는 폭 압착 제품을 1개씩 복수의 권취 릴(33)로 권취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베어링 프레임(70, 80)에, 권취 릴(33)을 축지하는 샤프트(34)와 권취 롤(15)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세트될 수 있도록 해둠으로써, 넓은 폭 압착 제품의 압착 조작과 가는 폭 압착 제품으로의 절단 분할 조작을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재단된 가는 폭 압착 제품(32b)(폭 36 mm)은 예컨대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여제화 장치를 이용하여 예컨대 원형의 적층 필름형의 투여제로 할 수 있다.
도 14의 투여제화 장치(90)에 있어서는 도 6의 릴(33a, 33b)에 롤형으로 감긴 가는 폭 압착 제품(32b), 즉, 한 쪽의 수지 필름이 박리되고, 남은 수지 필름(91)의 표면에 복수 투여제층(92)이 유지되어 있는 압착 제품이 간헐적으로 권출되고, 남은 수지 필름(91)을 필름 박리 롤(93)에 의해 박리하여 투여제층(92)만으로 한다. 이어서 이 복수 투여제층(92)은 펀칭 장치(94)에 의해 예컨대 직경 15 mm의 원형으로 펀칭된다. 펀칭 장치(94)는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절단 날(94a)과 이 절단 날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고정판(94b)으로 이루어지며, 간헐 이동하여 온 투여제층(92)이 펀칭 장치(94)의 위치에서 정치하였을 때, 절단 날(94a)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판(94b)의 관통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투여제층(92)으로부터 직경 15 mm의 원형이 펀칭된다. 펀칭된 원형 투여제층은 고정판(94b)의 상측에 배치된 흡착 패드(95)에 의해 흡수되고,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위에 떨어져 포장 단계로 보내진다. 원형 투여제층이 떼어진 후의 나머지 투여제층 카스(92b)는 카스 권취 롤(96)로서 권취된다.
도 15의 투여제화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6의 릴(33a, 33b)에 롤형으로 감 긴 가는 폭 압착 제품(32b), 즉, 한 쪽의 수지 필름이 박리되고, 남은 수지 필름(91)의 표면에 복수 투여제층(92)이 유지되어 있는 압착 제품이 연속하여 권출되어 펀칭 장치(101)로 보내진다. 펀칭 장치(101)는 회전하는 롤 외주면에 예컨대, 직경 15 mm의 원형의 절단 날(102a)이 돌출되어 있는 절단 날 롤(102)과, 앤빌 롤(103)로 이루어지며, 이들 롤(102, 103)의 사이에 압착 제품이 연속하여 삽입되고, 롤(102와 103)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압착 제품이 정지하였을 때, 절단 날 롤(102)로부터 돌출하는 절단 날(102a)에 의해 수지 필름(91)의 이면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투여제층(92)만을 펀칭한다. 절단 날(102a)에 의한 절단 깊이는 절단 날 롤(102)과 앤빌 롤(103)과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절단 날 롤(102)과 앤빌 롤(103)과의 거리를 떨어뜨려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절단 동작은 절단 날 롤(102)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하여 행해진다. 절단 날(102a)에서 투여제층만이 펀칭된 상태에서는 절단 날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절단부(92a)가 투여제층(92)에 형성되어 있을 뿐, 투여제층(92)은 수지 필름(91) 표면에 유지된 상태 그대로이다. 이 상태에서, 수지 필름과 투여제층이 앤빌 롤(103)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고, 흡착 패드(104)의 배치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흡착 패드(104)가 앤빌 롤(103)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형의 절단부(92a)로 둘러싸인 투여제층(92)을 흡수하여 수지 필름(91)으로부터 떼어내고,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위에 떨어져 포장 단계로 보내진다. 원형 투여제층이 벗겨진 후의 나머지 투여제층 카스(92b)는 수지 필름(91)과 함께 카스 권취 롤(105)로서 권취된다.
투여제화 장치(90이나 100)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 필름형 투여제의 최종 제품은 그 양면으로부터 수지 필름이 박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 단계에서 중첩된 두개의 수지 필름은 최종적으로 그 양쪽이 박리되게 된다.
그러나, 적층 필름형 투여제의 최종 제품 형상으로서는 소정 치수의 복수 투여제층이 수지 필름 표면상에 부착되어 있어, 투여제 복용자가 수지 필름으로부터 투여제층을 벗겨내서 복용하도록 하는 제품 형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한 최종 제품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압착 단계에서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만을 박리 제거하면 충분하게 된다.
투여제층을 유지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이 되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트리아세테이트, 불소 수지(ETFE, PFA, FEP)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착 장치로 압착한 후에, 박리 롤로 박리되는 수지 필름에는, 적어도 투여제층이 형성되는 면(표면)에 소수성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미리 박리 처리를 실시하여, 투여제층으로부터 수지 필름을 박리하기 쉽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으로 하는 경우는, 롤형으로 감은 상태에서는 투여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수지 필름면(이 면)도 투여제층과 접하게 된다. 이 때, 수지 필름 이면이 투여제층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으면 롤 필름을 권출하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을 롤 필름으로 하는 경우, 박리되는 수지 필름에는 투여제층이 형성되는 표면과 그 반대측의 이면과의 양면에 미리 박리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박리되지 않고 투여제층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 필름에는, 적어도 투여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이면에 미리 박리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할 때, 수지 필름에 코팅하는 소수성 물질로서는 식품 첨가물의 규격 기준에 적합한 실리콘 수지나 왁스(밀랍 등이 사용 가능한 외에, 알루미늄박 및 주석박 등의 금속박으로 코팅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층 또는 복수층의 투여제층을 유지한 수지 필름을 일단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으로 한 것끼리를 압착하는 배치식 조작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각 도공 장치에서 얻어진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롤 필름으로 하지 않고 그대로 압착하거나, 나아가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복수층의 투여제층을 유지한 수지 필름을 롤 필름으로 하지 않고 그대로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투여제층이 형성된 또 하나의 수지 필름과 압착하는 연속식 조작에 의해서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공 장치(200)에서 얻어진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을 권취 롤(206)로 일단 롤형으로 권취하여 롤 필름으로 한 후, 도 2의 압착 장치(10)로 또 하나의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과 압착시키고 있다. 그러 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공 장치(200)의 건조 로(205)로부터 송출되는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을 롤형으로 권취하기 전에, 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과 또 하나의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1)을 건조 로(205)의 출구 근방에서 직접 압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두개의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210, 211)을 이들의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도공 장치의 건조 로(205) 출구 근방에 설치한 한 쌍의 압압 롤(212, 212)을 통해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직접 압착품을 얻을 수 있다. 이 압착품을 박리 롤(213)에 통과시켜 상면의 수지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한 수지 필름을 권취 축(214)에 의해 권취하여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박리한 후, 권취 롤(206)에 의해 롤형으로 권취함으로써 복수 투여제층 유지 롤 필름(215),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유지하는 롤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의 적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망의 약효 또는 기능을 발현시키는데 적합한 각종의 층을 적절한 수로 적층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의 적층 구조는 최외층을 구성하는 피복층, 투여제의 기제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층, 추가로 필요하면 지지층 등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식성"을 식품 및 식품 첨가물로서 인정되고 있는 물질 및/또는 경구 투여가 인정되고 있는 의약품 및 의약품 첨가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가식성 피복층, 가식성의 약물층, 가식성 지지층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또는 그것을 생략하여 단순히 "투여제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가식성 피복층은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 또는 접착제로서 사용할 경우의 구강내 점막에의 점착 기능을 가져오는 것이며, 예컨대, 하기와 같은 물질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전분, 크산탄검, 카라야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불용성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염화트리메틸암모늄에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상품명: 카보폴), 트래거캔스, 아라비아 고부,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덱스트린, 덱스트란, 아밀로오스, 풀런, 키토산, 카제인, 알긴산알킬에스테르산 등.
가식성의 약물층에 있어서 유효 성분과 함께 사용하는 기제로서는 예컨대, 하기한 물질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 크산탄검, 카라야검, 알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한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 아세트산프탈산셀룰로오스(별칭: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CAP),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CMEC),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상품명: 카보폴), 트래거캔스, 아라비아고무,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가라기난(가라게난), 덱스트린, 덱스트란, 아밀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풀런, 키토산, 전분,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 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플란타고 종피, 갈락토만난, 유드라짓, 카제인, 알긴산알킬에스테르 등.
가식성 지지층은 구강내의 비타겟 부분에 유효 성분이 용출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예컨대, 하기와 같은 물질을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강내에서 난용해성 또는 불용해성 층으로 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한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HPMCP),아세트산프탈산셀룰로오스(별칭: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CAP),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CMEC),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가라기난(가라게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셸락계 수지(셸락, 백색 투명 셸락), 전분,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플란타고 종피, 갈락토만난, 유드라짓 등.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에 있어서는, 서로 밀착시키는 각 투여제층(가식성 피복층, 약물층, 지지층 등)의 각 층에는 전술과 같은 가식성 물질중, 적어도 열가소성의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을 1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가온에 의해 투여제층이 약간 연화되어 확실하게 밀착하게 된다. 특히 열가소성이 현저한 가식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하기와 같은 물질을 들 수 있고, 이들 가식성의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선택하여 단독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밀착시키는 상호의 각 투여제층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밀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알긴산알킬에스테르, 알긴산나트륨, 에틸셀룰로오스, 유드라짓,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한천, 젤라틴, 셸락, 덱스트란, 덱스트린, 전분, 트래거캔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에 있어서, 가식성의 약물층에 함유시키는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의 예로서는 하기와 같은 약제를 들 수 있다.
중추 신경계용 약(최면 진정제, 항불안제, 항간질제, 해열 진통 소염제, 흥분제, 각성제, 항파킨슨제, 정신신경용제, 종합감기약 등), 말초 신경계용 약(국소마취제, 골격근육 이완제, 자율 신경제, 진경제 등), 감각 기관용 약(안과용제, 진훈제 등), 순환기관용 약(강심제, 부정맥용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혈관수축제, 혈관확장제, 고지혈증용제 등), 호흡기관용 약(호흡 촉진제, 진핵제, 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함수제 등), 소화기관용 약(지사제, 정장제, 소화성 궤양용제, 설사약, 완장제 등), 호르몬제(타액선 호르몬제, 갑상선?부갑상선 호르몬제, 단백동화 스테로이드제, 부신 호르몬제, 난포 호르몬 및 황체 호르몬제, 혼합 호르몬제 등), 비뇨생식기 및 간문용 약(자궁수축제, 피임제, 치질용제 등), 외피용 약(메톡살렌 등), 치과구강용 약(치과용 항생 물질 제제 등), 비타민제, 자양 강장약(무기질 제제 등), 혈액?체액용 약(혈액응고저지제 등), 간장질환용제, 해독제, 통풍치료제, 당뇨병용제, 세포부활용 약, 종양용 약(알킬화제, 대사길항제 등), 알레르기용 약(항히스타민제 등), 생약, 한방 제제, 항생 물질 제제, 항바이러스제, 구충제, 알카로이드계 마약(아편알카로이드계 제제, 코가알카로이드계 제제 등), 비알카로이드계 마약(시트르산펜타닐 등의 합성 마약) 등.
또한, 약물층에 함유시키는 유효 성분으로서는 소취 작용이나 건강 유지 효과 등의 작용을 갖는 의약부외품, 화장품, 건강 식품 등의 구강내 투여물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의 각 투여제층인 가식성 피복층, 약물층, 지지층은 전술한 성분을 예컨대 하기와 같은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것을 사용하여 투여제층 형성 단계에 있어서 도포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물, 에탄올, 아세트산, 아세톤, 아니솔, 1-부탄올, 2-부탄올, 아세트산 n-부틸, t-부틸메틸에티르, 쿠멘,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트산에틸, 디에틸에테르, 포름산에틸, 포름산, 헵탄,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메틸, 3-메틸-1-부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메틸-1-프로판올, 펜탄, 1-펜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아세트산프로필,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1,2-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1,2-디메 톡시에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4-디옥산, 2-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포름아미드, 헥산, 메탄올, 2-메톡시에탄올, 메틸부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산, N-메틸피롤리돈, 니트로메탄, 피리딘, 술포란, 테트랄린, 톨루엔, 1,1,2-트리클로로에텐, 크실렌, 1,1-디에톡시프로판, 1,1-디메톡시메탄, 2,2-디메톡시프로판, 이소옥탄, 이소프로필에테르,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석유에테르,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화메틸렌 등. 이들 용매 중에서는 에탄올, 물, 아세트산에틸 또는 이들 용매를 조합시킨 것(예컨대, 에탄올-수 혼합물, 에탄올-아세트산에틸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 필름형 구강내 투여제의 각 투여제층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글리콜(매크로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가소제, 교미제, 교취제, 착색제 등의 가식성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교미제로서는 사카린, 글리틸리틴산, 백당, 과당, 만니톨 등의 감미제, 멘톨, 박하유 등의 청량화제,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 등의 산미를 부여하는 유기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교취제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의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식용 레이크 등의 통상 제제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매우 얇은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필름형 트로키제의 제조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피복층 조제액의 조제)
적량의 정제수에 풀루란 20.0 중량부 및 D-소르비톨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 반 용해하여 가식성 피복층 조제액으로 하였다.
〈약물층 I 조제액의 조제〉
적량의 에탄올에 염화세틸피리듐 1.5 중량부, 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1.5 중량부, 매크로골 400 4.5 중량부, 1-멘톨 2.5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K90 22.5 중량부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9.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용해하고, 여기에 적량의 정제수에 글리시리진산이칼륨 3.8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 혼합하여 가식성의 약물층 I 조제 액으로 하였다.
(약물층 II 조제액의 조제)
적량의 에탄올에 염화세틸피리디늄 4.5 중량부,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4.5 중량부, 탄닌산 7.0 중량부, 매크로골 400 13.5 중량부, 1-멘톨 7.5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K90 67.5 중량부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8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여기에 적량의 정제수에 글리시리진산이칼륨 11.2 중량부, 사카린나트륨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또한, 교반 혼합하여 가식성의 약물층 II 조제액으로 하였다.
〈투여제층 형성 단계〉
(1) 피복층+약물층Ⅰ의 도포
(1)-1: 피복층의 형성
도 1의 도공 장치(200)의 권출 롤(201)에 이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폴리에 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세트하고, 댐부(207)에 피복층 조제액을 공급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실리콘 박리 처리하지 않은 면)에 가식성의 피복층 조제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의 닥터 롤(204)과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 필름과의 간극을 30 ㎛, 도공량을 30 g/㎡, 건조 로(205)에서의 건조 온도를 60℃로 하고, 두께 8~12 ㎛의 피복층을 형성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200 m+α(손실 길이 상당분)를 권취 롤(206)에 롤형으로 권취하였다.
(1)-2: 피복층 위로의 약물층 I의 도포
상기 (1)-1에서 얻어진 롤형으로 감긴 피복층 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도 1의 도공 장치(200)의 권출 롤(201)에 세트하고, 댐부(207)에 약물층 I 조제액을 공급하여, 피복층 위에 가식성의 약물층 I 조제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의 닥터 롤(204)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간극을 500 ㎛, 도공량을 280 g/㎡로 하고, 두께 55~75 ㎛의 약물층 I을 형성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약 200 m를 권취 롤(206)에 롤형으로 권취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간품 A의 적층 구조를 도 17a에 도시한다.
(2) 약물층 II의 도포
도 1의 도공 장치(200)의 권출 롤(201)에 양면을 실리콘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세트하고, 댐부(207)에 약물층 II 조제액을 공급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가식성의 약물층 II 조제액을 도포하였다. 이 때의 닥터 롤(204)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간극을 550 ㎛, 도공량을 320 g/㎡로 하고, 두께 55~75 ㎛의 약물층 II를 형성한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 필름 400 m+β(손실 길이 상당분)를 권취 롤(206)에 롤형으로 권취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간품 B의 적층 구조를 도 17b에 도시한다.
〈투여제층 밀착 가공 단계〉
(1) 제1 단계
도 2의 압착 장치(10)의 상부 권출 롤(18)에 롤형으로 감긴 중간품 B(약 400 m)를 세트하고, 하부 권출 롤(20)에 롤형으로 감긴 중간품 A(약 200 m)를 세트하고, 권출한 중간품 A의 투여제층과 중간품 B의 투여제층이 대향하도록 하여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사이로 통과시키고, 투여제층의 압착 온도 65℃, 압력 0.3 MPa에서 투여제층끼리를 밀착시켜 적층하였다.
압압 롤(11, 11)을 통과한 후의 압착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간품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만을 박리 롤(13)의 주위면을 따라 인입하고, 박리 필름 권취 축(14)에 의해 권취하여 적층품으로부터 박리한 후, 압착품을 권취 롤(15)로 롤형으로 권취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였을 때의 압착품의 온도는 자연 방열에 의해 50℃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간품 C(약 200 m)의 적층 구조를 도 17c에 도시한다.
이 제 1 단계 종료시에는 상부 권출 롤(18)에는 중간품 B 약 400 m중 200 m가 세트된 상태로 남으며, 하부 권출 롤(20)에는 중간품 A 약 200 m의 전량이 권출된 상태로 되어있다.
(2)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 종료 후, 얻어진 롤형으로 감긴 중간품 C(약 200 m)를 도 2의 압착 장치(10)의 하부 권출 롤(20)에 세트하였다. 상부 권출 롤(18)에는 롤형으로 감긴 중간품 B의 나머지 약 200 m가 세트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권출한 중간품 B의 투여제층과 중간품 C의 투여제층이 대향하도록 하여, 제1 단계와 동일한 온도 압력 조건으로,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사이로 통과시키고, 투여제층끼리를 밀착시켜 적층하였다.
압압 롤(11, 11)을 통과한 후의 압착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간품 B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만을 박리 롤(13)의 주위면을 따라 인입하고, 박리 필름 권취 축(14)에 의해 권취하여 압착품으로부터 박리한 후, 압착품을 권취 롤(15)로 롤형으로 권취하였다. 박리할 때의 압착품의 온도도 제1 단계와 거의 동일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압착품을 1OO m씩 따로따로 롤형으로 감고, 중간품 D(100 m)와 중간품 D'(100 m)로 하였다. 이들 중간품 D와 D'는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어진 롤형으로 감긴 동일한 구성의 중간품 D(100 m)와 중간품 D'(100 m)를 도 6과 같이 압착 장치(10)의 상부 권출 롤(18)과 하부 권출 롤(20)에 각각 세트하고, 권출한 중간품 D와 D'의 투여제층이 대향하도록 하여, 제1 단계와 동일한 온도 압력 조건으로, 한 쌍의 압압 롤(11, 11)의 사이로 통과시키고, 투여제층을 밀착시켜 적층하였다.
압압 롤(11, 11)을 통과한 후의 압착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간품 D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만을 박리 롤(13)의 주위면을 따라 인입하고, 박리 필름 권취 축(14)에 의해 권취하여 압착품으로부터 박리한 후, 롤(16)에 접하고 있는 슬리터(31)를 통과시켜 재단하고, 그 재단된 가는 폭 압착품을 교대로 샤프트(34a)에 세트한 권취 릴(33a)과 샤프트(34b)에 세트한 권취 릴(33b)에 각각 권취하였다. 박리할 때의 압착품의 온도도 제1 단계와 거의 동일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간품 E의 적층구조를 도 17e에 도시한다.
〈투여제 펀칭 단계〉
상기 중간품 E로서 얻어진 필름형 적층품인 적층 필름형 가식성 투여제를 도 15에 도시한 투여제화 장치(100)를 이용하고, 직경 15 mm의 원형 절단 날(102a)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면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적층 투여제층만을 펀칭하는 방법, 또는 중간품 E로서 얻어진 필름형 적층품으로부터 이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적층 투여제층만으로 한 후, 도 14에 도시한 투여제화 장치(90)를 이용하여 원형 절단 날(94a)로 펀칭하는 방법에 의해, 원형의 필름형 트로키제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형 트로키제의 단면을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BS-D8000Ⅱ」(소닉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을 이용하여 관찰한 현미경 사진을 도 18에 「본 발명법」으로서 도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도 1의 도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적층 투여제층을 갖는 종래의 필름형 적층품의 단면을 마찬가지로 관찰한 결과를 도 18에 「적층 도포법」으로서 도시하였다. 본 발명법에 의해 얻어진 단면은 각 투여제층의 경계(X, X)가 명료하게 보여, 적층된 투여제층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데 반해, 종래의 「적층 도포법」에 의해 얻어진 단면은 각 투여제층의 경계(Y, Y)가 불명료하고 희미하게 보여, 적층된 투여제층을 판별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도포?건조한 하층의 투여제층 위에, 추가로 투여제층 조제액을 적층 도포한 경우, 덧칠한 투여제층 조제액의 용매가 하층의 투여제층에 침투하여 용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덧칠한 투여제층 조제액의 용매가 하층의 투여제층에 침투하면, 용매와 함께 조제액 중의 유효 성분이 하층의 투여제층으로 이행하는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예컨대, 동일한 유효 성분을 각 투여제층마다 농도를 바꾸어 함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장애가 된다. 즉, 적층 구조의 외측에 저농도, 내측에 고농도의 유효 성분을 함유시키도록 적층 도포하는 각 투여제층 조제액 중의 유효 성분 함유량을 조정하여도 이들의 경계면에서 용매의 침투에 따른 유효 성분의 이행이 발생하면, 각 투여제층에서의 유효 성분 농도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압착법으로의 적층 구조는 각 투여제층이 경계면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용매의 침투나 그에 따른 유효 성분의 이행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각 투여제층에서의 유효 성분 농도의 제어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착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조제액의 도포?건조를 반복하여 행하여 다층 구조로 하는 종래의 적층 도포법에 비하여, 의약 제제 등에 요구되는 양적 정밀도가 향상되며, 게다가 건조 단계 등에 도 시간적 제약이 발생하는 일 없어, 생산성이 우수한, 매우 얇은 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적층 도포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 구조가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경계가 불명료하고 희미하게 보이는데 반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적층 구조는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경계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고, 이러한 적층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얻어지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신규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의 경계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은,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그 경계 부근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에서의 유효 성분 농도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그것만으로 자립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부착되어 버리고, 의도한 다른 쪽(다른 한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지만,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대략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 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착 장치에 의하면,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만으로 자립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리해야 하는 한 쪽의 수지 필름 쪽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부착되어 버리는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지만,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송출되는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른 위치에 박리 롤을 설치하고, 그 박리 롤의 직경을 6 cm 이하로 작게 하여, 박리해야 하는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하여 박리시킴으로써, 의도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우수한 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의 이동에 따라 상기한 박리 롤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거나, 박리 롤을 기점으로 하여 박리되는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 인입하는 위치에 상기한 권취 축을 설치함으로써, 박리해야 하는 수지 필름의 박리를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을 한 쌍의 압압 롤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권출 롤과 압착품을 권취하는 권취 롤의 양쪽을, 치수 및 구조가 대략 동일하고 서로 교환 가능하게 하면, 압착품을 권취 롤에 권취하여 일단 롤 필름으로 한 것을 그대로 재차 압착 장치의 출발 재료로 하여 권출 롤의 위치에 세트함으로써, 다층 구조의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형성을 배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 분할된 압착 제품을 각각 대응하는 권취 릴로 1개씩 개별로 권취할 때에, 전후로 번갈아 열을 이루어 배치된 권취 릴의 권취 축부를 간극 없이 나열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개로 절단 분할된 가는 폭의 압착 제품의 간격을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착 제품에 유지된 구강내 투여제층에 왜곡, 주름, 균열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는 폭으로 절단 분할된 압착 제품을 1개씩 개별로, 또한, 원활히 권취 릴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슬리터를 기능시켜 가는 폭의 복수개의 압착 제품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와 압착품을 권취하는 권취 롤을 서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리터에 의한 압착 제품의 절단 분할 조작과, 슬리터를 기능시키지 않는 배치식의 압착 조작을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장치 전체가 콤팩트하고 설치 면적도 적게 드는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의 양단을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고, 샤프트의 일단을 한 쪽의 프레임에 한쪽으로 지지시키고, 타단을 지지하는 다른 쪽의 프레임을 일으키고 쓰러뜨리는 것을 자유자재로 함으로써, 샤프트를 한쪽으로 지지시킨 상태로 샤프트에 축지시키는 권취 릴의 샤프트에 대한 장착이나 떼어냄을 간편하면서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고 있는 샤프트마다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좋다.
상기한 각 권취 릴을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샤프트의 일단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각 권취 릴 측벽이 압압되어 샤프트의 타단측에 편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권취 릴 측벽을 압압하는 스프링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샤프트의 회전이 권취 릴에 전달되기 때문에, 이 스프링의 편향력을 조정함으로써, 권취 릴이 샤프트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취 릴로의 수지 필름의 권취량의 변동에 따른 권취력의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고가의 제어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수지 필름의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공정,
    상기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구강내 투여제층 형성 수지 필름을 롤형으로 감아 롤 필름을 형성하는 롤 필름 형성 공정,
    상기 롤 필름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동일 성분 또는 이종 성분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형성한 두개의 롤 필름을 각각 되감으면서, 각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켜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한 쌍의 압압 롤로 가압함으로써,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 서로를 밀착시키는 한편, 두개의 수지 필름을 압착할 때에, 두개의 수지 필름 사이에 공기를 권입한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지 않고, 압압 롤 하류에 설치한 1조의 롤의 간격을 좁혀 폐쇄하는 동시에, 압압 롤의 간격을 벌여 개방하고, 두개의 수지 필름 사이에 권입된 공기를 폐쇄된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출하여 제거하며, 공기가 제거된 후에 압압 롤을 폐쇄하여 1조의 롤을 개방하여, 정상적인 운전으로 복귀되는 롤 필름 구강내 투여제층 압착 공정,
    서로 밀착된 상기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두개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에 어긋남이 30°이내로 일치시켜 반송시키면서, 그 반송 방향에 설치한 박리 롤의 주위면을 따라, 서로 밀착된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두개의 수지 필름 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한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계속하여 반송함으로써, 상기 중첩시킨 두개의 수지 필름 중 한 쪽의 수지 필름만을 박리하는 수지 필름 박리 공정, 및
    수지 필름의 한쪽 면상에 형성된 소정 두께의 구강 내 투여제층을 소정 제형으로 펀칭하는 절단 날을, 구간내 투여 제층 측으로부터 상기 수지 필름의 이면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이동시켜, 구강내 투여 제층만을 소정 제형으로 슬릿을 넣고,
    흡인 패드의 배치 위치에 슬릿을 넣은 소정 제형의 구강내 투여제층을 상기 흡인 패드에 의해 흡수하여 소정 제형의 구강내 투여제층을 상기 수지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구강내 투여제층 펀칭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2장의 수지 필름끼리를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중첩시킨 상태에서 인입하고, 각 수지 필름의 이면으로부터 50℃~80℃의 온도에 의해 가압하는 한 쌍의 압압 롤과,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 송출된 서로 밀착된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2장의 수지 필름 중 한 쪽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의 가압부에서의 접선 방향과의 어긋남이 30°이내로 일치시켜 반송시키는 반송 기구와,
    상기 한 쌍의 압압 롤로부터의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른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2장의 수지 필름 중 다른 쪽 수지 필름의 이동에 수반하여 동반 회전하도록 회동 자유자재로 설치된 직경 5 ㎝ 이하의 박리 롤과,
    이 박리 롤 주변을 따라, 서로 밀착된 복수 구강내 투여제층을 사이에 둔 상기 2장의 수지 필름 중 다른 쪽 수지 필름만을, 상기 한 쪽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인입하는 권취 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롤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만을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 인입하는 위치에 상기 권취 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표면상에 소정 두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이 각각 형성된 상기 2장의 수지 필름을 상기 한 쌍의 압압 롤에 각각 공급하는 한 쌍의 권출 롤과,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롤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권출 롤과 권취 롤은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슬리터와,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권취 릴은 그 플랜지부를 제외한 권취 축부가 간극 없이 전후로 번갈아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수지 필름이 상기 박리 롤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에 대하여,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가는 폭으로 절단하는 온 상태와, 절단을 행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슬리터가 설치됨과 동시에,
    온 상태의 상기 슬리터에 의해 복수개로 절단된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가는 폭의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1개씩 개별로 권취하는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와, 오프 상태의 상기 슬리터를 통과하여 절단되지 않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나온 복수의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층을 유지하는 상기 한 쪽의 수지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 롤이 서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권취 릴을 축지하는 샤프트는 그 양단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한 쪽에 한쪽으로 지지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한쪽으로 지지된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다른 쪽의 프레임은 그 측벽 바닥부에 대판 측면이 접촉되어 있고 측벽과 대판은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일으키고 쓰러뜨리는 것이 자유자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 릴은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일단측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각 권취 릴 측벽이 압압되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측에 편향되고, 이 스프링에 의한 편향력에 의해 샤프트의 회전이 권취 릴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압착 장치.
KR1020057009653A 2002-12-02 2003-12-01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장치 KR101132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9908 2002-12-02
JPJP-P-2002-00349908 2002-12-02
JP2003315503A JP4604472B2 (ja) 2003-09-08 2003-09-08 フィルム状口腔内投与剤の圧着装置
JPJP-P-2003-00315503 2003-09-08
PCT/JP2003/015338 WO2004050008A1 (ja) 2002-12-02 2003-12-01 積層フィルム状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圧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36A KR20050075036A (ko) 2005-07-19
KR101132895B1 true KR101132895B1 (ko) 2012-04-03

Family

ID=3247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653A KR101132895B1 (ko) 2002-12-02 2003-12-01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71123B2 (ko)
EP (1) EP1568346B1 (ko)
KR (1) KR101132895B1 (ko)
AU (1) AU2003302589A1 (ko)
CA (1) CA2504814A1 (ko)
HK (1) HK1087005A1 (ko)
WO (1) WO20040500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72B1 (ko) * 2012-12-07 2014-05-28 주식회사 엔이케이 가식성 필름 제조용 베이스필름 교환장치
KR101398973B1 (ko) 2012-12-07 2014-06-30 주식회사 엔이케이 이종 가식성 필름 코팅 및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471A (ja) * 2004-03-17 2005-10-27 Lintec Corp 薬剤の製造方法
JP4547994B2 (ja) * 2004-06-02 2010-09-22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および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
PT2332909E (pt) 2005-04-13 2014-12-17 Astex Therapeutics Ltd Derivados de hidroxibenzamida e sua utilização como inibidores de hsp90
EP2073803B1 (en) 2006-10-12 2018-09-19 Astex Therapeut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US8883790B2 (en) 2006-10-12 2014-11-11 Astex Therapeut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US8367306B1 (en) * 2009-07-13 2013-02-05 Hrl Laboratories, Llc Method of continuous or batch fabrication of large area polymer micro-truss structured materials
JP4952823B2 (ja) * 2010-05-27 2012-06-13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
CN101937115B (zh) * 2010-07-13 2013-11-20 苏州苏大维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膜制作装置
KR20160014720A (ko) 2013-06-04 2016-02-11 모노졸, 엘엘씨 수용성 필름 밀봉 용액, 관련된 방법 및 관련된 물품
WO2016086095A1 (en) * 2014-11-25 2016-06-02 Biodelivery Sciences International, Inc. Patches, methods for forming and testing pharmaceutical agent delivery patches
IT201900005584A1 (it) * 2019-04-11 2020-10-11 Cosimo Maria Palopoli Materiale multistrato edibil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e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utilizzante detto materiale
CN112472593B (zh) * 2020-11-24 2022-06-10 牡丹江医学院 一种加入甜味剂掩盖苦味的口腔溃疡药膜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011B2 (ja) * 1986-06-30 1994-06-22 大正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
JP2959833B2 (ja) * 1990-11-06 1999-10-06 ライオン株式会社 徐放性口腔内疾患治療剤およびその製法
JP2001176751A (ja) * 1999-12-17 2001-06-29 Murata Mfg Co Ltd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02000182A2 (en) * 2000-06-28 2002-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s and compositions increasing the stability of peroxide activ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0603A1 (de) * 1986-09-09 1988-03-10 Desitin Arzneimittel Gmbh Darreichungs- und dosierungsform fuer arzneimittelwirkstoffe, reagentien oder dergleich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7106554B2 (ja) 1987-07-20 1995-11-15 武人 伊藤 自動裁断結束装置
DE4018247A1 (de) 1990-06-07 1991-12-12 Lohmann Therapie Syst Lts Herstellungsverfahren fuer schnellzerfallende folienfoermige darreichungsformen
JP3041977B2 (ja) 1991-01-16 2000-05-15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791317B2 (ja) * 1995-12-26 1998-08-27 株式会社三和化学研究所 多層フィルム製剤
DE19646392A1 (de) 1996-11-11 1998-05-14 Lohmann Therapie Syst Lts Zubereitung zur Anwendung in der Mundhöhle mit einer an der Schleimhaut haftklebenden, Pharmazeutika oder Kosmetika zur dosierten Abgabe enthaltenden Schicht
DE19652188C2 (de) 1996-12-16 2002-02-14 Lohmann Therapie Syst Lts Flache Arzneizubereitung zur Applikation und Freisetzung von Buprenorphin oder einer pharmakologisch vergleichbaren Substanz in der Mundhöh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041977U (ja) * 1997-03-31 1997-10-03 株式会社マシンテックス 複数帯状体の巻取装置
JP2002191343A (ja) 1997-06-09 2002-07-09 Meiji Seika Kaisha Ltd 積層体構造食品の製造方法
DE19909493C1 (de) * 1999-03-04 2000-11-02 Ecs Environment Care Sy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ächigen Zubereitung mit wenigstens einer einschichtigen Wirkstoffmatrix
JP2001130142A (ja) 1999-11-02 2001-05-15 Konica Corp 熱転写記録用イン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JP3730081B2 (ja) * 2000-04-10 2005-12-21 大鵬薬品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状トローチ
JP2001341397A (ja) 2000-05-31 2001-12-11 Konica Corp レーザー溶融熱転写記録媒体のスリッティング方法
JP4533542B2 (ja) 2001-02-07 2010-09-01 出光興産株式会社 マイクロ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CN1462194B (zh) * 2001-04-24 2013-04-24 琳得科株式会社 口服给药制剂及口服给药制剂保持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011B2 (ja) * 1986-06-30 1994-06-22 大正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
JP2959833B2 (ja) * 1990-11-06 1999-10-06 ライオン株式会社 徐放性口腔内疾患治療剤およびその製法
JP2001176751A (ja) * 1999-12-17 2001-06-29 Murata Mfg Co Ltd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02000182A2 (en) * 2000-06-28 2002-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s and compositions increasing the stability of peroxide activ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72B1 (ko) * 2012-12-07 2014-05-28 주식회사 엔이케이 가식성 필름 제조용 베이스필름 교환장치
KR101398973B1 (ko) 2012-12-07 2014-06-30 주식회사 엔이케이 이종 가식성 필름 코팅 및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1123B2 (en) 2011-12-06
EP1568346A4 (en) 2009-04-15
KR20050075036A (ko) 2005-07-19
EP1568346B1 (en) 2016-06-22
US20060062830A1 (en) 2006-03-23
AU2003302589A1 (en) 2004-06-23
EP1568346A1 (en) 2005-08-31
WO2004050008A1 (ja) 2004-06-17
CA2504814A1 (en) 2004-06-17
HK1087005A1 (en) 200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895B1 (ko) 적층 필름형 가식성 구강내 투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압착장치
EP1752127B1 (en) Process for producing edible oral administration preparation of aggregated substance-containing laminated film, and edible oral administration preparation of aggregated substance-containing laminated film
US4031200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US4072551A (en) Novel dosage form
US4128445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US4029757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US4349531A (en) Novel dosage form
US4197289A (en) Novel dosage forms
US4307555A (en) System for producing dosage forms
CN1747656B (zh) 速溶剂型的包装和分配
US4332789A (en)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US4126503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dosage forms
CA1085295A (en) Dosage form
TWI394593B (zh) Methods of making pharmaceuticals for oral administration
JP2005342154A5 (ko)
US4083741A (en) Novel dosage form
JP4427981B2 (ja) フィルム状口腔内投与剤の打ち抜き成型方法
JP5053341B2 (ja) 積層フィルム状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
JP2010207613A (ja) 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
US4165998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dosage forms
JP4443903B2 (ja) 積層フィルム状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
JP4604472B2 (ja) フィルム状口腔内投与剤の圧着装置
US4128444A (en)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unit dosage forms
JP5249845B2 (ja) 口腔内投与剤層の形成方法
JP2007277190A (ja) 固形製剤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230

Effective date: 2012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