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007B1 -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 Google Patents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007B1
KR101127007B1 KR1020100007986A KR20100007986A KR101127007B1 KR 101127007 B1 KR101127007 B1 KR 101127007B1 KR 1020100007986 A KR1020100007986 A KR 1020100007986A KR 20100007986 A KR20100007986 A KR 20100007986A KR 101127007 B1 KR101127007 B1 KR 10112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ook
housing
retain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195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0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방수를 위해 블럭시일을 사용하는 것이다.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하우징(10)에는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형성된 요입부(13)로 개방된다. 상기 요입부(13)에는 블럭시일(20)이 안착되는데, 상기 블럭시일(20)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블럭시일(20)중 상기 하우징(10)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하우징가이드요철(14)과 결합된다. 상기 블럭시일(20)은 시일리테이너(30)에 의해 상기 요입부(13) 내에 고정된다. 상기 시일리테이너(30)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요입부(13) 내면 일측에 형성된 지지걸이홈(18)에 걸어지는 걸이턱(36)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36)이 형성된 반대쪽의 시일리테이너(30)의 양측에는 걸이후크(3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38)는 상기 요입부(13)의 양측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는 단부리브(16)의 걸이윈도우(16)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후크(38)는 상기 걸이윈도우(16)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걸어져 상기 시일리테이너(30)가 상기 블럭시일(20)을 하우징(10)에 밀착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Connector having block seal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블럭시일을 하우징내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것인데, 사용환경에 따라 방수 타입과 비방수 타입이 있다. 방수타입의 경우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인데,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시일을 사용한다.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시일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각각의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에 구비되어 방수를 수행하는 원통형상의 와이어시일이 있고, 다수개의 터미널의 다수개의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커넥터의 후단에서 방수를 담당하는 육면체 블럭 형상의 블럭시일이 있다. 그리고, 커넥터의 하우징과 하우징 사이에서 방수를 수행하도록 링형상 또는 하우징의 외면이나 내면 형상에 맞게 만들어진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시일중에서 상기 블럭시일은 일반적으로 납작한 육면체의 판형상으로 되는데, 다수개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시일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블럭시일의 고정 위치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와이어통공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면서 방수가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시일은 시일리테이너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시일리테이너는 상기 블럭시일과 최소한 같은 면적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리테이너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곳에서 상기 시일리테이너가 하우징에 걸어져야 하므로, 시일리테이너의 장착과 분리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시일리테이너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에 걸어지는 부분이 탄성변형이 쉽게 일어나도록 만드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럭시일이 하우징내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조를 하우징, 블럭시일 및 시일리테이너에 두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럭시일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시일리테이너를 하우징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일리테이너가 블럭시일을 하우징에 밀착되게 눌러주는 방향과 평행하게 시일리테이너에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걸이후크가 연장되게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후단에 요입되게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후단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는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하는 시일통공이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외측면을 둘러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가 형성된 블럭시일과, 상기 시일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리테이너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걸어져 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에 구비된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블럭시일을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밀착시키는 시일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시일에는 제1시일가이드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가이드요철이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과 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블럭시일에는 제2가이드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리테이너에는 상기 제2가이드요철에 결합되는 리테이너가이드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 일측 내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양측을 따라서는 나란히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단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리브에는 상기 시일리테이너의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걸어지는 걸이윈도우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시일리테이너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에서 양단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윈도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에서 상기 걸이후크가 형성된 양측면과 나란하게 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몸체를 관통하여서는 탄성변형슬릿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변형슬릿의 중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이후크가 위치된다.
상기 단부리브에 형성된 걸이윈도우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요부에는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후크의 돌출단이 안착된다.
상기 블럭시일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시일가이드요철은 요홈형태이고, 상기 하우징과 시일리테이너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가이드요철과 리테이너가이드요철은 각각 돌기형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지는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블럭시일과 이에 대응되는 하우징 및 시일리테이너에 각각 블럭시일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요철구조를 두었다. 따라서, 블럭시일이 상기 하우징과 시일리테이너에 대해 유동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블럭시일의 시일통공 내에 와이어가 정확하게 안착되어 방수가 보다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시일리테이너 일단부의 걸이턱이 하우징의 지지걸이홈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시일리테이너가 회전되면서 시일리테이너의 걸이후크가 하우징의 걸이윈도우에 걸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일리테이너를 하우징에 고정 및 분리하는 것이 매우 쉽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일리테이너의 걸이후크는 하우징의 걸이윈도우에 걸어지면서 시일리테이너가 블럭시일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되어 시일리테이너, 블럭시일 및 와이어의 일면을 보다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보다 쉽게 걸이후크를 하우징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럭시일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일리테이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된 하우징(10)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그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12)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요입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3)는 상기 하우징(10)을 후방에서 보았을 때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후단이 하우징(10)의 후방과 연통되게 개방된다. 상기 요입부(13)의 깊이가 중간쯤 되는 부분을 둘러서는 단턱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일리테이너(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블럭시일(20)이 지나치게 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턱부(13')는 그 높이가 블럭시일(20)의 두께보다는 약간 낮게 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13)의 내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가 개방되어 있고, 그 사이사이에 하우징가이드요철(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가이드요철(14)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판상이다. 상기 요입부(13)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면 양측에는 나란히 단부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리브(16)는 하우징(10)의 후면 양측을 가로질러 길게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리브(16)의 일단에는 걸이윈도우(1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윈도우(16')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이윈도우(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38)의 걸이부(39') 상단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윈도우(16')에 인접한 상기 요입부(13)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요부(1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요부(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일리테이너(30)의 돌출단(40)이 안착되어 시일리테이너(30)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입부(13)중 일측 내측면에는 지지걸이홈(18)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걸이홈(18)은 상기 단부리브(16)의 걸이윈도우(16')가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걸이홈(18)이 한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일리테이너(30)를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요입부(13)에는 블럭시일(20)이 안착된다. 상기 블럭시일(20)은 상기 요입부(13)의 단턱부(13')보다 약간 더 돌출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되는데,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럭시일(20)의 골격을 시일몸체(21)가 형성하는데, 상기 시일몸체(21)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와 대응되는 갯수의 시일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시일통공(22)의 양단 형상은 대략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형상과 대응되게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되나, 그 중간부분에서는 와이어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은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원형홀형상으로 된다.
상기 시일몸체(21)중 일면, 상기 하우징(10)의 후단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일몸체(21)의 일측 표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가이드요철(1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만 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가이드요철(14)이 상기 하우징(10)에 돌출되게 형성되었으므로,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은 요입되게 형성되나,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시일몸체(21)중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이 형성된 반대쪽 면에는 제2시일가이드요철(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시일가이드요철(24')도 요입된 홈의 형태이다. 상기 제2시일가이드요철(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시일리테이너(3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시일몸체(21)중 측면을 둘러서는 밀착리브(26)가 다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리브(26) 3개가 나란히 상기 시일몸체(21)의 측면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밀착리브(26)는 상기 요입부(13)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역할을 한다.
상기 시일몸체(21)중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이 형성된 면에는 시일요홈(2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시일요홈(28)은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시일요홈(28)은 시일몸체(2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시일리테이너(30)는 납작한 육면체인 판형상의 리테이너몸체(31)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시일리테이너(30)는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재질과 같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리테이너몸체(31)에는 다수개의 리테이너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통공(32)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 및 시일통공(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형상과 같다. 상기 리테이너통공(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일면, 즉 상기 블럭시일(20)과 마주보는 면에는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은 본 실시예에서 돌출된 돌기형상이어서, 상기 제2시일가이드요철(24')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일단부, 즉 상기 하우징(10)의 지지걸이홈(1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이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은 두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6)과 상기 하우징(10)의 지지걸이홈(18)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양측면에는 걸이후크(3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8)는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된다. 특히 상기 걸이후크(38)중 돌출부(39)는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양측면에서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는데, 상기 돌출부(39)의 선단에는 양측의 걸이후크(38)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걸이부(39')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39')는 상기 돌출부(39)의 연장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39')의 선단이 상기 단부리브(16)의 걸이윈도우(16')내면에 걸어지면 상기 걸이후크(38)는 약간 눌러지면서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부(39')는 상기 걸이윈도우(16') 내면의 폭의 절반 정도에만 걸어질 수 있도록 길이가 설계된다. 이는 상기 걸이후크(38)를 상대적으로 쉽게 걸이윈도우(16')에서 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후크(38)의 돌출부(39)는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측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돌출단(40)을 형성한다.
상기 걸이후크(38)가 형성된 상기 리테이너몸체(31)의 양측면과 나란히 탄성변형슬릿(4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42)은 상기 걸이후크(38)가 형성된 위치에 그 중심부가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이후크(38)의 탄성변형 또는 걸이후크(38)가 형성된 리테이너몸체(31) 부분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지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블럭시일(20)은 상기 하우징(10)의 요입부(13)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시일리테이너(30)에 의해 압착되어 하우징(10)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럭시일(20)은 상기 하우징(10)의 요입부(13)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블럭시일(20)의 제1시일가이드요철(24)이 하우징(10)의 하우징가이드요철(14)과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24)에 상기 하우징가이드요철(14)이 삽입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블럭시일(20)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시일리테이너(30)를 지렛대 형태로 회전시키면서 하우징(10)에 결합시키더라도 블럭시일(20)이 시일리테이너(30)에 의해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요입부(13)에 상기 블럭시일(20)을 삽입시키면 상기 밀착리브(26)는 상기 요입부(13)의 내면에 약간 압착되면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블럭시일(20)의 측면과 요입부(13)의 내면 사이를 통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블럭시일(20)이 요입부(13)에 안착되면, 상기 시일리테이너(3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일리테이너(30)의 걸이턱(36)을 상기 하우징(10)의 지지걸이홈(18)에 걸어준다. 이때,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지지걸이홈(18)에 경사지게 삽입된다. 즉, 상기 시일리테이너(30)를 경사지게 하여 일단부, 즉 상기 걸이턱(36)이 형성된 부분이 먼저 상기 요입부(13)로 들어가 상기 지지걸이홈(18)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이턱(36)이 지지걸이홈(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후크(38)가 상기 단부리브(16)의 걸이윈도우(16')에 걸어지도록 시일리테이너(30)를 상기 걸이턱(36)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걸이후크(38)는 상기 단부리브(16)의 측면에 닿게 되면 약간 탄성변형되어 양단의 것이 약간 서로 가까와지도록 된다.
상기 시일리테이너(30)의 회전이 계속되면 상기 걸이후크(38)의 걸이부(39')가 상기 단부리브(16)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윈도우(16')를 만나면 복원되고 상기 걸이부(39')는 상기 걸이윈도우(16')의 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39')는 상기 걸이윈도우(16')의 내면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걸이후크(38)가 전체적으로 약간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시일리테이너(30)는 상기 걸이윈도우(16')의 내면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38)가 눌러짐에 의해 상기 블럭시일(20)을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게 밀어준다.
상기 시일리테이너(30)가 상기 요입부(13)에 안착되면 그 가장자리가 상기 단턱부(13')에 안착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블럭시일(20)은 상기 시일리테이너(30)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시일리테이너(30)의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은 상기 블럭시일(20)의 제2시일가이드요철(2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가이드요철(14), 블럭시일(20)의 제1 및 제2 시일가이드요철(24,24') 그리고 시일리테이너(30)의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은 서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럭시일(20)이 임의로 유동되지 않아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와 상기 블럭시일(20)의 시일통공(22), 시일리테이너(30)의 리테이너통공(32)이 서로 일치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럭시일(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시일가이드요철(24,24')은 요홈형태이고, 상기 하우징(10)과 시일리테이너(30)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가이드요철(14)과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은 각각 돌기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하우징(10)과 시일리테이너(30)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에 형성된 하우징가이드요철(14)과 리테이너가이드요철(34)을 돌기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럭시일(20)을 필요에 의해 분리하고자 할 때는 상기 시일리테이너(3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먼저 분리해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 걸이윈도우(16')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걸이후크(38)의 돌출부(39)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걸이후크(38)의 걸이부(39')는 상기 걸이윈도우(16')의 내면 폭의 절반정도에만 걸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공구로 상기 걸이후크(38)의 돌출부(39)를 밀어주면 상기 걸이부(39')는 쉽게 상기 걸이윈도우(16')에서 빠져나온다. 상기 걸이부(39')가 상기 걸이윈도우(16')에서 빠져나오면 탄성변형되었던 것이 복원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되어, 상기 돌출부(39)에 공구에 의해 작용하던 힘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걸이부(39')가 다시 걸이윈도우(16')에 걸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양단의 걸이후크(38)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시키면, 상기 걸이후크(38)는 각각 상기 단부리브(16)의 측면에 상기 걸이부(39')의 선단이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고, 물론 상기 리테이너몸체(31)는 상기 요입부(13)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걸이후크(38)가 상기 단부리브(16)의 걸이윈도우(16')에서 빠지게 되면 상기 시일리테이너(30)는 상기 요입부(13)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일리테이너(30)가 분리되고 나면 상기 블럭시일(20)을 상기 요입부(13)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안착부
13: 요입부 13': 단턱부
14: 하우징가이드요철 16: 단부리브
16': 걸이윈도우 18: 지지걸이홈
20: 블럭시일 21: 시일몸체
22: 시일통공 24: 제1시일가이드요철
24': 제2시일가이드요철 26: 밀착리브
28: 시일요홈 30: 시일리테이너
31: 리테이너몸체 32: 리테이너통공
34: 리테이너가이드요철 36: 걸이턱
38: 걸이후크 39: 돌출부
39': 걸이부 40: 돌출단
42: 탄성변형슬릿

Claims (6)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후단에 요입되게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후단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되는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하는 시일통공이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외측면을 둘러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가 형성된 블럭시일과,
    상기 시일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리테이너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걸어져 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측에 구비된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블럭시일을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밀착시키는 시일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시일에는 제1시일가이드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가이드요철이 상기 제1시일가이드요철과 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블럭시일에는 제2가이드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리테이너에는 상기 제2가이드요철에 결합되는 리테이너가이드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 일측 내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양측을 따라서는 나란히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단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리브에는 상기 시일리테이너의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걸어지는 걸이윈도우가 형성되는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시일리테이너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에서 양단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윈도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몸체에서 상기 걸이후크가 형성된 양측면과 나란하게 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몸체를 관통하여서는 탄성변형슬릿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변형슬릿의 중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이후크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리브에 형성된 걸이윈도우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요입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요부에는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후크의 돌출단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시일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시일가이드요철은 요홈형태이고, 상기 하우징과 시일리테이너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가이드요철과 리테이너가이드요철은 각각 돌기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KR1020100007986A 2010-01-28 2010-01-28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KR1011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986A KR101127007B1 (ko) 2010-01-28 2010-01-28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986A KR101127007B1 (ko) 2010-01-28 2010-01-28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95A KR20110088195A (ko) 2011-08-03
KR101127007B1 true KR101127007B1 (ko) 2012-03-26

Family

ID=4492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986A KR101127007B1 (ko) 2010-01-28 2010-01-28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175A (ko) 2019-11-19 2021-05-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블럭시일이 구비된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66A (ko) * 1989-07-19 1991-02-28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코넥터
JPH11354196A (ja) 1998-06-08 1999-12-24 Harness Syst Tech Res Ltd 防水コネクタ
KR20060047522A (ko) * 2004-04-28 2006-05-1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방수형 커넥터용 시일부재 및 방수형 커넥터
WO2009074850A1 (en) * 2007-12-13 2009-06-18 Fci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sealing m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66A (ko) * 1989-07-19 1991-02-28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코넥터
JPH11354196A (ja) 1998-06-08 1999-12-24 Harness Syst Tech Res Ltd 防水コネクタ
KR20060047522A (ko) * 2004-04-28 2006-05-1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방수형 커넥터용 시일부재 및 방수형 커넥터
WO2009074850A1 (en) * 2007-12-13 2009-06-18 Fci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sealing m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175A (ko) 2019-11-19 2021-05-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블럭시일이 구비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195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708B2 (ja) 取付具
JP5391308B2 (ja) 防水コネクタ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KR20140038563A (ko) 플러그형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101127007B1 (ko)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KR20130057054A (ko) 방수시일
KR20110139439A (ko) 커넥터용 블록시일
KR20110109444A (ko) 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101810132B1 (ko) 커넥터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29694Y1 (ko) 방수커넥터
KR20110024845A (ko) 커넥터 조립체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0470913Y1 (ko) 커넥터용 리어홀더
KR20130006956U (ko) 커넥터
KR20120073696A (ko) 커넥터
JP5825560B2 (ja) 電気接続箱
CN220791671U (zh) 拼接条和拼接式零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