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851B1 -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851B1
KR101118851B1 KR1020090124073A KR20090124073A KR101118851B1 KR 101118851 B1 KR101118851 B1 KR 101118851B1 KR 1020090124073 A KR1020090124073 A KR 1020090124073A KR 20090124073 A KR20090124073 A KR 20090124073A KR 101118851 B1 KR101118851 B1 KR 10111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ntegrated module
switches
modul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463A (ko
Inventor
오창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9012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8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8Anti-vandal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독립적 작동 및 착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각각 내장한 모듈형 부재들로서 턴시그널스위치, 와이퍼-워셔스위치, 기어스위치, 폰 리모트컨트롤스위치, 오디오 리모트컨트롤스위치 및 리타더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모듈스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축 주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로서 상기 다수의 모듈스위치들을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이 마련되고 각 슬롯의 내부에 와이어가 각각 대응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배선 처리된 통합모듈브래킷;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다기능 스위치를 통합 모듈화하여 그 일측에 리모트컨트롤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위치를 단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 의해 통합 제어할 수 있다.
통합모듈스위치유닛, 통합모듈브래킷, 리모트컨트롤스위치

Description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Multi-function stalk module switch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기능 스위치를 통합 모듈화하여 그 일측에 리모트컨트롤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위치를 단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에 의해 통합 제어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휠, 휠축, 스티어링롤커넥터(Steering Roll Connector ; SRC)유닛 및 다기능 스위치유닛 등으로 구성된다.
즉, 스티어링휠의 축 상에, 턴시그널(방향지시신호), 와이퍼, 워셔, 기어, 또는 리타더(대형차량용 보조브레이크) 등의 각종 스위치들을 통합시켜 동작하기 위한 다기능 스위치유닛이 장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다기능 스위치유닛은, 스티어링휠 주변에 설치된 단일 스위치브래킷의 외부로, 각각의 스위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및 와이어커넥터가, 그 접속스위치 개수만큼 다수 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진시키기 위하여, 스티어링휠에는 폰 또는 라 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 등이 별도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기능 스위치유닛은, 스티어링휠의 축상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스티어링휠에 설치되는 스위치로 이원화된 배치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스위치 및 리모트컨트롤스위치는 스티어링휠의 축 주변 및 스티어링휠에 각각 별개로 결합되는 분리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각 유닛간에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상호 독립적인 차량 전자제어유닛(ECU, BCM) 등 각각 별도의 회로 구성이 마련되어야 하고, 그 개수만큼 별도로 인출된 와이어커넥터를 각각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기능 스위치는 각 스위치박스의 조립 위치를 파악하기 곤란하여 그 조립공정이 원활하지 못하고, 오조립이 빈번하여 커넥터의 핀 부위가 휘거나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기능 스위치를 통합 모듈화하여 그 일측에 리모트컨트롤스위치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위치를 단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에 의해 통합 제어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은, 독립적 작동 및 착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각각 내장한 모듈형 부재들로서 턴시그널스위치, 와이퍼-워셔스위치, 기어스위치, 폰 리모트컨트롤스위치, 오디오 리모트컨트롤스위치 및 리타더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다수의 모듈스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축 주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로서 상기 다수의 모듈스위치들을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이 마련되고 각 슬롯의 내부에 와이어가 각각 대응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배선 처리된 통합모듈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이 실장된 각 PCB로부터 인출된 PCB커넥터 및 상기 PCB커넥터와 결합되는 조인트커넥터로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상기 슬롯의 내?외측으로의 안정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전?후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끼워 맞춰지는 슬라이더 및 안내홈으로 구성된 한 쌍의 결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촉 선단부에는, 해당 모듈스위치와 슬롯간의 조립위치를 쉽게 일치시켜 단시간 내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 맞춰지는 프리가이더 및 지지돌기로 구성된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해당 모듈스위치와 슬롯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 및 안착홈으로 구성된 한 쌍의 안착수단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의하면, 일일이 와이어커넥터를 연결시켜 접속하여야 하는 기존의 경우와 달리, 안내 및 결합수단이 마련된 슬롯 내에 밀어 넣거나 빼내어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이러한 슬롯을 하나의 통합모듈브래킷 내에 다수 개 형성하여 턴시그널스위치, 와이퍼스위치, 워셔스위치, 기어스위치, 리타더스위치 등은 물론이고 기존의 스티어링휠에 장착되던 폰 또는 라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까지도 단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를 통해 총괄적으로 출력하여 통합모듈브래킷 내에서 결합 및 조작 가능케 함으로써 고집적화와 함께 사용 편의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스위치박스 및 그 대응되는 슬롯간의 조립시 양쪽 접촉 선단부에 프리가이더 및 지지돌기가 대응되어 형성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조립위치를 일치시켜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터치 조립이 수월하여 커넥터 핀 부위가 휘거나 파손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휠 주변의 대부분의 조작 스위치를 통합된 형태로 모듈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롤커넥터에 대한 입력신호통로(Channel)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커넥터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통합모듈브래킷의 각 슬롯 내에 수용되므로 외관이 미려하며, 내수성시험(IP Test) 결과에서도 방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적용되는 통합모듈브래킷(10)의 사시도, 도 5는 통합모듈브래킷(10)에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2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통합모듈브래킷(10)에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20)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통합모듈브래킷(10)의 일측 슬롯(15)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통합모듈브래킷(10)의 일측 슬롯(15)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통합모듈브래킷(10)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통합모듈브래킷(10)에 리타더스위치(50)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통합모듈브래킷(10)에 리타더스위치(50)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은, 종전의 다기능 스위치브래킷(미도시)의 외부로 노출되었던 다수의 와이어(미도시) 및 와이어커넥터(미도시)를 제거하고, 통합모듈브래킷(10)의 각 슬롯(13)(14)(15)(16) 내에 다수의 와이어(17a)를 각각 배치하여 간결한 내장형으로 배선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통합모듈브래킷(10)의 슬롯(13)(14)(15)(16) 일측에 조인트커넥터(17)를 조립해둔 상태에 서, 상기 각 슬롯(13)(14)(15)(16) 내에 모듈화된 다수의 모듈스위치(20)(30)(40)(50)들을 각각 조립하는 단일통합모듈형 착탈결합식의 구조를 이룬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휠(1) 쪽에 리모트컨트롤스위치(미도시)가 부착되었던 종전의 이원화된 스위치어셈블리 구조와 달리,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 등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도 통합모듈브래킷(10) 내에 일원화된 스위치어셈블리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의 축 주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은, 독립적 작동 및 착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각각 내장한 모듈형 부재들로서 턴시그널스위치(20), 와이퍼-워셔스위치(20), 기어스위치(30), 폰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 오디오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 및 리타더스위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모듈스위치와, 스티어링휠(1)의 축 주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로서 상기 다수의 모듈스위치(20)(30)(40)(50)들을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13)(14)(15)(16)이 마련되고 각 슬롯(13)(14)(15)(16)의 내부에 와이어(17a)가 각각 대응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배선 처리된 통합모듈브래킷(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합모듈브래킷(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의 축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스티어링롤커넥터(11)와 조향각 신호전달센서(SAS)(12)가 설 치되며, 그 외측으로 다수의 모듈스위치(20)(30)(40)(50)들을 조립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13)(14)(15)(16)이 구비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스티어링롤커넥터(Steering Roll Connector ; SRC)(11)는 스티어링휠(1)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그 스티어링휠(1)에 장착된 혼, 에어백 또는 오디오 리모트컨트롤러 등의 전기적 회로가 끊어지지 않도록 전원을 공급해주는 접속장치로서, 내부에는 플랫형의 와이어(17a)가 연결되어 스티어링휠(1)의 회전시에 와이어(17a)가 정?역방향으로 각각 3.5회 정도 권취되면서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여유 길이로 배선되어 있다.
상기 각 와이어(17a)는 앞에서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통합모듈브래킷(10)의 각 슬롯(13)(14)(15)(16)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각 와이어(17a)들은 별도 조립되는 다수의 조인트커넥터(17)들에 의해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13)(14)(15)(16)의 주변에는, 각 모듈스위치(20)(30)(40)(50)의 초기 조립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 중 일측 구성요소인 지지돌기(19)와, 각 모듈스위치(20)(30)(40)(5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착탈시켜주는 한 쌍의 결합수단 중 일측 구성요소인 안내홈(18)과, 각 모듈스위치(20)(30)(40)(50)와 슬롯(13)(14)(15)(16)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한 쌍의 안착수단 중 일측 구성요소인 안착홈(13a)(16a)(도 5 또는 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스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지시신호 를 조작하기 위한 턴시그널스위치(20), 차량의 전방 윈도우 등을 닦을 수 있도록 와이퍼를 조작하거나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한 와이퍼-워셔스위치(20), 변속기어를 조작하기 위한 기어스위치(30), 휴대폰을 무선조작하기 위한 폰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 라디오나 오디오를 무선조작하기 위한 라디오(오디오)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 대형차량의 보조브레이크(엔진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리타더스위치(50) 등 일 수 있다. 단,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듈스위치의 종류가 상기한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들의 복수 조합 또는 앞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스위치의 조합도 가능하다.
여기서, 리타더(Retarder)는 트럭 등의 대형자동차에 적용되어 상용 브레이크의 보조로 사용되는 브레이크를 총칭하는 부품장치이다.
상기 각 모듈스위치(20)(30)(40)(50)들은, 각각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이 실장된 PCB를 내장한 본체부인 스위치박스(21)(31)(51)(단,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스위치박스는 도면부호 미도시)와, 각 스위치박스로부터 인출된 조작부인 스위치레버(도면부호 미도시)(단,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조작부는 통상적으로 버튼일 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모듈스위치(20)(30)(40)(50)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10)의 슬롯(13)(14)(15)(16)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한 쌍의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한 쌍의 커넥터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이 실장된 각 PCB(미도시)로부터 인출된 핀커넥터(PCB커넥터)(41)와, 핀커넥터(41)와 결합되는 통합모듈브래킷(10)의 상기 조인트커넥터(17)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커넥터간에 반대로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20)(30)(40)(50)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10)의 슬롯(13)(14)(15)(16)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한 쌍의 결합수단에 의해 안정적인 착탈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한 쌍의 결합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롯(15)의 내?외측으로의 안정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전?후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끼워 맞춰지는 조립 후 지지용의 슬라이더(42)와, 슬라이더(42)와 결합되는 통합모듈브래킷(10)의 상기 안내홈(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결합수단간에 반대로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20)(30)(40)(50)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10)의 슬롯(13)(14)(15)(16)간 대응되는 양쪽 접촉 선단부에는,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에 의해 정조립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모듈스위치(40)와 슬롯(15)간의 조립위치를 쉽게 일치시켜 단시간 내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 맞춰지는 조립시 정렬용의 프리가이더(43)와, 프리가이더(43)와 결합되는 통합모듈브래킷(10)의 상기 지지돌기(19)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간에 반대로 형성 된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모듈스위치(20)(30)(40)(50)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10)의 슬롯(13)(14)(15)(16)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한 쌍의 안착수단에 의해 긴밀한 조립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즉, 상기 한 쌍의 안착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2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모듈스위치(20)와 슬롯(13)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21a) 및 안착홈(1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해당 모듈스위치가 기어스위치(30)인 경우에도 그 슬롯(14)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 및 안착홈(도면부호 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도 한 쌍의 안착수단간에 반대로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또는 다른 예로서, 상기 한 쌍의 안착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모트컨트롤스위치(4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모듈스위치(40)와 슬롯(15)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44) 및 안착홈(도면부호 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안착수단간에 반대로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또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한 쌍의 안착수단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리타더스위치(50)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 모듈스위치(50)와 슬롯(16)간의 긴밀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52) 및 안착홈(16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도 한 쌍의 안착수단간에 반대로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에 적용되는 통합모듈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모듈브래킷에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모듈브래킷에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통합모듈브래킷의 일측 슬롯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통합모듈브래킷의 일측 슬롯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통합모듈브래킷에 폰 또는 라디오(오디오)용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합모듈브래킷에 리타더스위치가 조립되기 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통합모듈브래킷에 리타더스위치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티어링휠 10 ; 통합모듈브래킷
11 ; 스티어링롤커넥터(SRC) 12 ; 조향각 신호전달센서(SAS)
13, 14, 15, 16 ; 슬롯 13a, 16a ; 안착홈
17 ; 조인트커넥터 17a ; 와이어
18 ; 안내홈 19 ; 지지돌기
20 ; 턴시그널스위치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
21 ; 턴시그널스위치박스 (또는 와이퍼-워셔스위치박스)
21a ; 안착돌기 30 ; 기어스위치
31 ; 기어스위치박스
40 ; (폰 또는 라디오 등의) 리모트컨트롤스위치
41 ; 핀커넥터(PCB커넥터) 42 ; (조립 후 지지용의) 슬라이더
43 ; (조립시 정렬용의) 프리가이더(Pre-guider)
44, 52 ; 안착돌기 50 ; 리타더스위치
51 ; 리타더스위치박스

Claims (5)

  1. 독립적 작동 및 착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을 각각 내장한 모듈형 부재들로서 턴시그널스위치, 와이퍼-워셔스위치, 기어스위치, 폰 리모트컨트롤스위치, 오디오 리모트컨트롤스위치 및 리타더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모듈스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축 외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로서 상기 다수의 모듈스위치들을 각각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슬롯이 마련되고 각 슬롯의 내부에 와이어가 각각 대응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배선 처리된 통합모듈브래킷;을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이 실장된 각 PCB로부터 인출된 PCB커넥터 및 상기 PCB커넥터와 결합되는 조인트커넥터로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상기 슬롯의 내?외측으로의 안정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그 전?후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끼워 맞춰지는 슬라이더 및 안내홈으로 구성된 한 쌍의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촉 선단부에는, 해당 모듈스위치와 슬롯간의 조립위치를 일치시켜 단시간 내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워 맞춰지는 프리가이더 및 지지돌기로 구성된 한 쌍의 정합안내수단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듈스위치와 상기 통합모듈브래킷 슬롯간 대응되는 양쪽 접속부에는, 해당 모듈스위치와 슬롯간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돌기 및 안착홈으로 구성된 한 쌍의 안착수단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KR1020090124073A 2009-12-14 2009-12-14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KR10111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73A KR101118851B1 (ko) 2009-12-14 2009-12-14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73A KR101118851B1 (ko) 2009-12-14 2009-12-14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63A KR20110067463A (ko) 2011-06-22
KR101118851B1 true KR101118851B1 (ko) 2012-03-16

Family

ID=4439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73A KR101118851B1 (ko) 2009-12-14 2009-12-14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86B1 (ko) * 2011-12-02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6937A1 (en) 2000-10-20 2002-04-25 Tsuyoshi Matsumoto Combination switch
JP2005262945A (ja) 2004-03-17 2005-09-29 Nile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その組立方法
KR100792904B1 (ko) 2006-12-14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제어 와이퍼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441533Y1 (ko) 2007-02-26 2008-08-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6937A1 (en) 2000-10-20 2002-04-25 Tsuyoshi Matsumoto Combination switch
JP2005262945A (ja) 2004-03-17 2005-09-29 Nile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その組立方法
KR100792904B1 (ko) 2006-12-14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제어 와이퍼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441533Y1 (ko) 2007-02-26 2008-08-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6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8592A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entralized control system
TWI709505B (zh) 用於無線驅動自行車之至少一組件的驅動裝置
KR100989768B1 (ko) 모듈형 장난감 자동차
US20100200376A1 (en) Steering switch for vehicle
WO2007018878A8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ist
CN104487701A (zh) 开关装置
JP3765550B2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EP2349784A1 (en) Mirror adjustment unit provided with an electric accessory
KR20140118037A (ko) 전자 파킹 브레이크용 액튜에이터의 모터 결합장치
KR101118851B1 (ko) 차량용 다기능 통합모듈스위치유닛
US8919814B2 (en) Operation unit
KR101521430B1 (ko)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200467435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장치
KR100628626B1 (ko) 수동모드 겸용 자동변속 레버의 노브 결합구조
FR2870633A1 (fr) Ensemble de commutateur d&#39;equipement electrique de vehicule et ensemble de levier d&#39;actionnement pour celui-ci
KR20180090074A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KR100628625B1 (ko) 자동변속차량의 수동모드 겸용 노브의 스냅스위치 구조
WO2015137239A1 (ja)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02166833A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101118813B1 (ko) 차량용 다기능 레버스위치
WO2019097805A1 (ja) 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内視鏡
JP2009012624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5311648B2 (ja) 自動二輪車用プッシュ式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CN212220355U (zh) 转向盘以及具有其的车辆
KR20120004082U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