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985B1 -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985B1
KR101116985B1 KR1020090102162A KR20090102162A KR101116985B1 KR 101116985 B1 KR101116985 B1 KR 101116985B1 KR 1020090102162 A KR1020090102162 A KR 1020090102162A KR 20090102162 A KR20090102162 A KR 20090102162A KR 101116985 B1 KR101116985 B1 KR 10111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housing
slide body
cam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807A (ko
Inventor
도루 삼봄마츠
야스시 우에키
슈이치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4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04Automatic release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걸어맞춤체의 걸림력이나 강성력을 극력 유지하면서 보다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하여 용도를 확대한다.
(해결수단) 하우징(1)과, 피걸림부재(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걸어맞춤체(3)는 돌조부(32) 및 이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드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부(35)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33)를 가지며,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지지되되 상기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32)와 돌출부(33)와의 사이에 맞닿음부(22)가 위치하고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래치장치{Latch device}
본 발명은 제 1 부재{예를 들면, 상자형상 기체(基體)}에 제 2 부재{예를 들면, 덮개 등의 가동체}를 개폐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고자 할 때에 이용되는 래치장치 중, 특히 최초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제 2 부재측의 피걸림부재를 걸고,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피걸림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푸시ㆍ푸시 걸림기구(이것은 "푸시로크ㆍ푸시오픈 기구"라 칭하거나 "푸시식"이라 약칭하는 것도 있다. 이하 같다)에 최적한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푸시식 래치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하우징(2)과; 피걸림부재인 스트라이커(62)와 맞닿는 맞닿음부(32) 및 캠홈(5)을 가지며,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압압 이동되는 슬라이드체(30)와; 선단측의 돌조부(39) 및 기단측의 볼록부(38c)를 가지며, 슬라이드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걸어맞춤체(37)와; 트레이스용 핀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그 중 걸어맞춤체(37)는 슬라이드체(30)의 축구멍부 에 대해서 양측에 돌출형성된 축부(37a)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라이드체(30)의 위치이동에 따라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9)를 맞닿음부(32) 위로 돌출시켜서 스트라이커(62)를 거는 걸림위치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9)를 맞닿음부(3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된다.
걸림해제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30)가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의해서 하우징(2)의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어맞춤체(37)는 그 볼록부(38c)가 하우징(2) 내에 형성된 융기부(28)에 올라타도록 한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30)가 스트라이커(62)의 누름력에 의해서 스프링부재(4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되되,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캠홈(5)과 핀부재(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유지되고, 걸어맞춤체(37)는 그 볼록부(38c)가 융기부(28)에서 저부{하우징(2)의 내면}로 이동함에 의해서 경동(傾動)함으로써, 돌조부(39)를 슬라이드체(30)의 개구부(33) 내에서 돌출시킨다.
환언하면, 상기 래치장치는 슬라이드체(30)에 대한 스트라이커(62)의 누름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37)를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슬라이드체(30)에 대한 스트라이커(62)의 다음의 누름력에 의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다. 이 때, 스프링부재(45)는 그 선단이 걸어맞춤체(37)의 하측 중간에 형성된 돌출편부에 걸려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체(30)가 하우징(2)의 내측으로 압압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지력을 축적하면서 걸어맞춤체(37)를 축부(37a)를 지지점으로 하여 도 8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 로 전환 가능하게 한다.
사용형태로서는, 기기류(機器類) 본체(7)측에 래치장치를 부착하고 도어(61)측에 스트라이커(62)를 부착한 경우라면, 도 8(b)는 도어(61)를 기기류 본체(7)에 유지(로크)시킨 상태가 되며, 도어(61)측의 스트라이커(62)가 기기류 본체(7)측의 래치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체(37)에 의해서 걸리게 된다. 이 걸림은 도어(61)가 다시 기기류 본체(7)측으로 눌려짐에 의해서 핀부재(6)가 캠홈(5)의 걸림홈에서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허문헌 2나 3의 래치장치에서도 같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4-13772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1-262915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6-22543호 공보
상기한 래치장치는 크고 작은 각종 기기류에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소형 경량화의 요구에 따라 전체 치수가 30~40mm 정도의 것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구조에서는 한층 더 컴팩트화(예를 들면, 하우징의 길이 치수로서 10~15mm 정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부재끼리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형상을 단순히 작게 하면 걸어맞춤체의 강성력이 부족하게 되고, 또 걸어맞춤체만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은 스페이스적으로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걸어맞춤체의 걸림력이나 강성력을 극력 유지하면서 보다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하여 용도를 확대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피걸림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 및 캠홈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의 돌조부를 상기 맞닿음부 위로 돌출시켜서{여기서 "맞닿음부 위로 돌출시켜서"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장치를 가로 배치로 한 경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를 상기 맞닿음부에 접근하도록 돌출시키는 태양을 포함한다} 피걸림부재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상기 맞닿음부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 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와,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피걸림부재에 의해서 압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상기 캠홈 및 핀부재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는 상기 돌조부와, 상기 돌조부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지지되되 상기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돌조부와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상기 맞닿음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이 걸어맞춤체의 구성의 특징을 특정한 것에 대해서 슬라이드체의 구성의 특징을 특정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피걸림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 및 캠홈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의 돌조부를 상기 맞닿음부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상기 맞닿음부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와,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피걸림부재에 의해서 압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상기 캠홈 및 핀부재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하우 징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캠홈과,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캠홈과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는 역 오목형상의 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폭이 좁게 된 개소에 상기 캠홈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본체의 역 오목형상의 전단면을 상기 맞닿음부로 하고, 양 측면에 회전지지부용의 축구멍 또는 축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체는 상기 돌조부가 형성된 전판부와, 상기 전판부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와, 상기 후편부의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후방 연장부의 폭이 좁게 된 개소로 이행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융기부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종래 구조에 대해서, 걸어맞춤체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 및 이 돌조부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를 가지며,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지지되되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와 돌출부와의 사이에 맞닿음부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래치장치로서는 걸어맞춤체를 슬라이드체의 내측에 그 대응부를 보다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여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걸어맞춤체를 지지한 상태, 즉 걸어맞춤체가 조립된 슬라이드체의 폭방향 내지는 두께방향의 치수, 더 나아가서는 하우징의 두께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또한, 하우징의 길이는 실시형태와 같이 걸어맞춤체의 걸림해제위치에서 슬라이드체를 하우징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치수만큼 전체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걸어맞춤체의 회전지지부를 맞닿음부의 후방 내지는 직하에 배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걸어맞춤체의 형상(예를 들면, 걸어맞춤체의 회전지지부에서 돌조부까지, 회전지지부에서 볼록부까지의 각각의 거리)으로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서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종래 구조에 대해서, 슬라이드체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맞닿음부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캠홈과, 맞닿음부와 캠홈과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걸어맞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래치장치로서는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걸어맞춤체를 슬라이드체의 내측에 그 대응부를 보다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여, 걸어맞춤체가 조립된 슬라이드체의 폭방향 내지는 두께방향의 치수, 더 나아가서는 하우징의 두께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 경우도 하우징의 길이는 슬라이드체를 하우징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치수만큼 전체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걸어맞춤체의 회전지지부를 맞닿음부의 후방 내지는 직하에 배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걸어맞춤체의 형상으로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서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체 및 걸어맞춤체의 구체적인 형상을 분명하게 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청구항 1이나 청구항 2의 발명을 실시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래치장치를 확대(예를 들면, 하우징의 길이 치수는 약 15mm 이하로 되어 있다)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또 도 5~도 7의 부품도를 제외하고 세세한 부분을 간략화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구조)
본 실시형태의 래치장치는, 일단측을 개구한 하우징(1)과; 피걸림부재인 스트라이커(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스트라이커(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돌조부(32)를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하며, 슬라이드체(2)가 스트라이커(9)에 의해서 압압되어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캠홈(27) 및 핀부재(5)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걸어맞춤체(3)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푸시ㆍ푸시 걸림기구 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래치장치는, 예를 들면, 도 1(b)의 일점쇄선 및 도 2에 나타낸 기기류 본체(7)에 형성된 부착틀(7a)에 부착되어 도 4(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도어(8)에 부착된 스트라이커(9)를 걸거나 벗기는 사용예라면, 도어(8)가 탄지수단(도시생략)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도어(8)를 스트라이커(9)를 통해서 걸고, 도어(8)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 눌려지면 스트라이커(9)에 대한 걸림을 해제한다. 물론, 사용방법으로서는 래치장치를 도어 등의 가동체측에 부착하여 기기류 본체측에 부착되는 피걸림부재를 걸고 벗기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재질은 하우징(1), 슬라이드체(2), 걸어맞춤체(3)가 수지 성형체로 되어 있지만 수지 이외의 것이어도 지장없다.
여기서, 하우징(1)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상하벽(10,11)과 양 측벽(12)과 저벽(13)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며, 일단측을 개구한 폐관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은 양 측벽(12)의 일단측을 구성하고 있는 외면(15)이 외측으로 일단(一段)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류 본체(7)의 부착틀(7a)에 빠짐방지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벽(10)의 내면에는 핀규제용 세로 리브(14)가 핀부재(5)의 U자형상에 대응하여 1쌍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리브(14)는 저벽(13)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되 그 후단측이 크게 융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상의 핀부재(5)의 양 측부(5b)의 위치를 규제한다.
하벽(11)에는 전후 중간에 위치하여 슬라이드체(2)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관통된 가이드홈(11a)과, 가이드홈(11a)의 일단측에 연이어 통하여 있는 얕은 도입홈(11b)과, 내면 양측에서 돌출형성되며 걸어맞춤체(3)를 걸림해제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융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12)에는 출입구측에 있어서의 양 측면을 외측으로 일단(一段) 돌출시키되 하벽(11)측에 있는 모서리부를 잘라낸 테이퍼부(15a)를 가지는 외면(15)과, ㄷ자형상의 슬릿(12a)에 의해서 구획되며 선단측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부착용 탄성걸림돌조(17)와,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상벽(10)측에 있는 모서리부를 전후 대략 중간부에서 외면(15) 앞까지 잘라낸 테이퍼부(10a), 테이퍼부(10a)의 타단측에서 후측으로 잘라낸 절결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12)의 일단측의 내면에는 도피용 오목부(12c)가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피용 오목부(12c)는 탄성걸림돌조(17) 등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용 도피부이다.
저벽(13)에는 하부 양측에 관통된 형빼기구멍(13a)과, 상부 양측에 관통된 대략 L자형상의 핀삽입구멍(13b)과, 양 핀삽입구멍(13b)의 사이에 작은 슬릿(13c)을 통해서 구획 형성된 탄성 협지편(13d,13e)과, 내면에 돌출된 스프링용 지지축(18) 등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삽입구멍(13b)은 핀부재(5)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구멍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U자형상의 핀부재(5)를 이 핀삽입구멍(13b)에서 하우징(1)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한다. 탄성 협지편(13d,13e)은 작은 틈새를 두고서 대향 배치되며, 핀부재(5)의 중간부(5a)가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소정의 협지력에 의해서 유지 가능하게 된다. 지지축(18)은 좌우 중간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협지편(13d,13e)에는 핀부재(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축(18)에는 스프링부재(4)가 유지된다. 스프링부재(4)는 코일 스프링이며, 그 기단이 지지축(18)에 장착되고 선단이 후술하는 슬라이드체(2)의 원통부(26) 내에서 걸어맞춤체(3)의 돌출편부(34)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이상의 하우징(1)은 컴팩트화의 관점에서 기기류 본체(7)에 대한 부착구조로서 다음과 같이 고안되어 있다.
즉, 종래 구조(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에서는, 하우징이 기기류 본체의 부착틀에 삽입조작에 의해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출입구측 외주를 외측으로 일단 돌출시킨 빠짐방지용 틀부와, 대향 벽면에 형성한 탄성걸림돌조{상기한 탄성걸림돌조(17)과 같은 것}를 가지고 있고, 또 각 특허문헌 1~3에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위치결정용으로서 단면 볼록형상의 볼록부를 길이방향(후측에서 빠짐방지용 틀부 앞까지)으로 형성하고, 이 볼록부를 부착틀측에 형성한 오목형상의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종래의 빠짐방지용 틀부 대신에, 하우징(1)의 출입구측 틀부 중 양 측면(12,12)만을 외측으로 일단 돌출시킴과 아울러 테이퍼부(15a)를 형성한 외면(15)으로 함으로써 상하면(10,11)의 슬림(slim)화를 도모하였다. 또, 종래의 위치결정용으로서 형성되는 볼록부 대신에, 하우징(1)을 구획하고 있는 통형상부 중 대향 측벽의 일방측의 각 모서리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벽(10)의 양 모서리부}를 외면(15) 앞까지 잘라낸 위치결정용 테이퍼부(10a)를 형성함으로써 외주의 슬림화를 도모하였다. 물론, 이 구조에서는 부착틀(7a)이 하우징(1)의 단면과 대응한 끼워맞춤구멍(6), 즉 테이퍼부(10a)에 대응하는 위치결정용의 테이퍼형상 코너부(6a)를 필수로 하고 있다.
슬라이드체(2)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대략 역 오목형상의 슬라이드 본체(20)와, 슬라이드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슬라이드 본체(20)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는 후방 연장부(21)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본체(20)는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역 오목형상의 공동부(24)를 구획하고 있으며, 전단면을 맞닿음부(22)로서 설정하고, 또한 이 전단면의 하측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틀부(23)와, 공동부(24)를 구획하고 있는 양 측면(20b)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형성한 회전지지부용 축구멍(24a)과, 맞닿음부(22)와 대향하는 후면측 중 후방 연장부(21)를 돌출시키고 있는 부분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20d)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슬라이드 본체(20)의 공동부(24)는 맞닿음부(22)와 상면(20a)과 양 측면(20b)과 후방 연장부(21)의 전단측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상면(20a)은 전측 리브와 후측 리브를 가지며, 이것들에 의해서 하우징(1)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양호한 슬라이드 특성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틀부(23)는 후술하는 걸어맞춤체(3)의 돌조부(32)가 여유있게 출몰할 수 있는 개구부(23a)를 형성하고 있다.
후방 연장부(21)는 양측에 하트형상의 캠홈(27)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부분(25)과, 이 상측 부분(25)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의 원통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캠홈(27)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돌출된 섬형상 캠(28)의 주위에 형성되되 후측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 되는 유도홈(27a)과, 이 유도홈(27a)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걸림용 유도홈(27b) 및 해제용 유도홈(27d)과, 이들 유도홈(27b,27d) 사이에 또한 후측에 위치한 오목형상 걸림홈(27c)과, 상기 해제용 유도홈(27d)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복귀홈(27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원통부(26)는 그 내부가 상기한 지지축(18) 및 스프링부재(4)의 선단을 헐겁게 끼울 수 있는 원통형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방 하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26a)와, 후방 상측에서 양측으로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용 작은 날개부(29)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상의 슬라이드체(2)는 컴팩트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고안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우선 슬라이드체(2)가 하우징(1)에 대해서 후술하는 걸어맞춤체(3)의 걸림해제위치에서 하우징(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1)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단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2)는 슬라이드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슬라이드 본체(20)보다 폭이 좁게 되도록 잘라낸 도피부 및 캠홈(28)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 연장부(21)를 가지고 있다. 또, 슬라이드 본체(20)는 맞닿음부(22)의 후방측에 형성되되 적어도 양 측면(20b)에 의해서 구획된 공동부(24)와, 각 측면(20b)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용 축구멍(24a)을 가지고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회전지지부용 축구멍(24a){축구멍(24a) 대신에 축부로 하여도 된다)이 맞닿음부(22)의 후방 내지는 직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의 내측에 그 대응부를 보다 깊숙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 며,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체(2)에 걸어맞춤체(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의 폭방향 내지는 두께방향의 치수를 단축 가능하게 하거나 걸어맞춤체(3)의 크기나 형상에 자유도를 확대함으로써 컴팩트화하기 쉽게 하고 있다.
U자형상의 핀부재(5)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5a)와, 양 측부(5b)와, 각 측부(5b)의 자유단측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린 선단(5c)으로 이루어지며, U형상의 상측 폭의 치수가 하측 폭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폭의 치수는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양 측벽(21)의 내면 간의 폭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걸어맞춤체(3)는 도 3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판부(30)와, 이 전판부(30)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31,31)로 이루어진다. 전판부(3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조부(32)와, 이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33)와, 후단면의 좌우 중간에 돌출되어 상기한 원통부(26) 내에 끼워지는 돌출편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32)는 상기 슬라이드체(2)측의 개구부(23a)에 진입 또는 퇴행 가능한 크기로 되어고 있다. 양 돌출부(33)에는 회전지지부용 축부(35)가 동일 축선상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양 후편부(31)의 후측 외측면에는 볼록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의 걸어맞춤체(3)는 컴팩트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고안되어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돌조부(32)와, 이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지지부용 축부(35)(축부 대신에 축구멍으로 하여도 된다)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33)를 가지며, 슬라이드 체(2)의 슬라이드 본체(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부(35)와 축구멍(24)의 끼워맞춤}되되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32)와 돌출부(33)와의 사이에 맞닿음부(22)를 위치시키고, 걸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체(2)의 후방 연장부(21)의 폭이 좁게 된 부분, 즉 상기한 도피부{도 6(c) 참조}에 후편부(31) 및 볼록부(36)를 도피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래치장치로서는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의 내측에 그 대응부를 보다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여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걸어맞춤체(3)를 지지한 상태에서의 폭방향 내지는 두께방향의 치수를 용이하게 단축시키거나, 걸어맞춤체(3)의 회전지지부{축구멍(24)에 끼워맞춰지는 축부(35)}를 맞닿음부(22)의 후방 내지는 직하에 설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걸어맞춤체(3)의 형상으로서 회전지지부용 축부(35)와 돌조부(32)와의 사이의 거리, 축부(35)와 볼록부(36)와의 사이의 거리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컴팩트화하기 쉽게 하고 있다.
(조립)
이상의 각부재는 예를 들면, 우선 걸어맞춤체(3)가 슬라이드체(2)에 조립된다. 이 작업에서는 도 3의 상태에서 걸어맞춤체(3)의 양 축부(35)를 슬라이드체(2)의 공동부(24) 내측에서 축구멍(24a)에 삽입한다. 그러면, 걸어맞춤체(3)가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만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돌조부(32)가 도 2(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 내에 수납된 걸림해제위치와 도 2(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에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9)의 돌기(9a)를 위에서 누르는 걸림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걸어 맞춤체(3)는 슬라이드체(2)의 슬라이드 본체(20)에 대해서 축구멍(24a)과 축부(35)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돌조부(32)가 개구부(23a)에서 맞닿음부(22) 위로 돌출되는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32)와 돌출부(33)의 사이에 맞닿음부(22)를 위치시키고, 돌조부(32)가 개구부(23a) 내로 퇴행되는 걸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 연장부(21)의 폭이 좁게 형성된 도피부로 대응부를 도피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어맞춤체(3)가 조립된 슬라이드체(2)는 하우징(1) 내에 조립된다. 이 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부재(4)가 지지축(18)에 장착되고 또한 핀부재(5)가 저벽(13)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미리 하우징(1) 내에 각각 배치하여 둔다. U자형상의 핀부재(5)는 양 선단(5c)을 각 핀삽입구멍(13b)을 통해서 하우징(1) 내로 삽입하되 중간부(5a)를 양 탄성 협지편(13d,13e) 사이로 강제적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이들 탄성 협지편((13d,13e)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협지된다. 이 협지상태에서는 핀부재(5)가 하우징(1) 내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양 측부(5b)가 규제용 세로 리브(14)와 대응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위치 규제된다.
이어서, 걸어맞춤체(3)가 조립된 슬라이드체(2)를 하우징(1) 내로 압입하면, 돌기(26a)가 도입홈(11b)을 통해서 가이드홈(11a) 내로 들어가서 끼워맞춰짐으로써, 하우징(1)에 대해서 빠짐 방지되게 조립된다. 이 압입과정에서는 스프링부재(4)의 선단이 원통부(26) 내로 들어가서 걸어맞춤체(3)의 돌출편부(3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4)는 슬라이드체(2)가 내측으로 압압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지력이 증대되게 되며, 이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3)를 축부(35)를 지지점 으로 하여 걸림위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 핀부재(5)의 양 선단(5c)은 대응하는 캠홈(27)의 입구에 끼워진다.
(작동)
완성된 래치장치는 그 사용상태로서,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에 부착된 스트라이커(9)에 대응하여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류 본체(7)에 형성된 부착틀(7a)에 삽입되며, 탄성걸림돌조(17) 등을 통해서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는, 래치장치는 통상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체(2)가 스프링부재(4)에 의해서 돌출방향으로 탄지 이동{이 이동은 돌기(26a)가 가이드홈(11a)의 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됨과 아울러, 돌조부(32)가 슬라이드 본체(20)의 개구부(23a)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이 회전은 볼록부(36)가 융기부(16)의 가장 높은 개소에 올라타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되어 있다. 이 상태가 "걸어맞춤체(3)의 걸림해제위치"이다.
그리고, 도어(8)를 폐쇄방향인 도 4(a)의 좌향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슬라이드체(2)가 스트라이커(9)에 의해서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1)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압압 이동된다. 그 이동과정에서는 걸어맞춤체(3)가 축부(35)를 지지점으로 하여 걸림위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걸어맞춤체(3)는 그 볼록부(36)가 융기부(16)의 낮은 측으로 탄성적으로 이행하고, 동시에 돌조부(32)에 의해서 스트라이커(9)의 돌기(9a)가 빠짐 방지되게 된다. 이 때, 걸어맞춤체(3)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5)의 각 선단(5c)이 슬라 이드체(2) 및 걸어맞춤체(3)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유도홈(27a)에서 걸림용 유도홈(27b)으로 들어가고, 좌향 화살표 방향의 누름력을 해제한 때에 걸림홈(27c)에 걸리게 된다. 이 걸림에 의해서 도어(8)가 폐쇄상태로 유지(로크)된다.
상기 도어(8)의 유지상태에서 도 4(c)의 해제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를 폐쇄방향으로 누른 후, 이 누름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핀부재(5)의 양 선단(5c)이 상기 걸림홈(27c)에서 상기 해제용 유도홈(27d)과 복귀홈(27e)을 거쳐서 다시 유도홈(27a)의 입구로 되돌아감과 동시에, 걸어맞춤체(3)가 당초의 해제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종래의 래치장치에서는 한랭지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 이용될 경우, 걸어맞춤체의 걸림위치에 있어서 걸어맞춤체의 돌조부를 슬라이드체의 개구부 내면에 마찰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결로 등에 의해서 회전이 나빠지게 되어 정상적인 걸림작동, 즉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걸어맞춤체(3)가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이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지지부용 축부(35)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33)를 가지며,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조부(32)와 돌출부(33)와의 사이에 맞닿음부(22)가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슬라이드체(2)가 하우징(1)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맞닿음부(22)와, 하우징(1)의 내측에 배치되는 캠홈(27)과, 맞닿음부(22)와 캠홈(27)과의 사이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용 축구멍(24a)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래치장치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의 폐쇄상태{걸어맞춤체(3)가 걸림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8)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외력, 즉 도 4(a)의 우향 화살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때에,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3)를 걸림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응력이 종래 구조에 비해서 가해지기 어려워진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3)의 걸림위치에서 도어(8)에 대해서 도어개방방향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때, 돌조부(32)가 맞닿음부(22) 상에서 퇴행하도록 걸어맞춤체(3)를 회전시키는, 즉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하는 이른바 "강제 발출(拔出)"에 대응하는 래치장치로 할 경우, 스트라이커(9)의 돌기(9a)에 대한 돌조부(32)의 맞닿음면 또는/및 돌조부(32)에 대한 스트라이커(9)의 돌기(9a)의 맞닿음면에 강제 발출정도에 대응하여 쉽게 빠지게 되는 방향의 구배를 설정함으로써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하등 제약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에서 특정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으면,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의 구조로서는, 걸어맞춤체(3)에는 축부(35) 대신에 축구멍을 형성하고, 슬라이드체(2)에는 축구멍(24a) 대신에 축부를 형성하고, 이들 축부 및 축구멍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슬라이드체(2) 및 걸어맞춤체(3)에 모두 축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축구멍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통해서 걸어맞춤체(3)를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래치장치를 걸어맞춤체의 걸림위치에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d)는 배면도
도 2에 있어서, (a)는 도 1의 래치장치를 기기류 본체의 부착틀과 함께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b)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상기 래치장치의 부재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
도 4는 상기 래치장치의 통상 작동을 도 1(a)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할 때의 상태에서의 단면도, (c)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d)는 스트라이커가 발출방향으로 외력을 받아서 강제로 빠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래치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b)의 C-C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래치장치의 슬라이드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배면도, (e)는 (d)의 D-D선 단면도
도 7은 상기 래치장치의 걸어맞춤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하면도
도 8에 있어서의 (a),(b)는 종래의 래치장치를 걸림해제위치 및 걸림위치에서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1a - 가이드홈
13 - 저벽 16 - 융기부
18 - 지지축 2 - 슬라이드체
20 - 슬라이드 본체 22 - 맞닿음부
23 - 틀부 24a - 축구멍(회전지지부)
3 - 걸어맞춤체 30 - 전판부
31 - 후편부 32 - 돌조부
33 - 돌출부 4 - 스프링부재
5 - 핀부재 5a - 중간부
5b - 측부 5c - 선단
7 - 기기류 본체 7a - 부착틀
8 - 도어 9 - 스트라이커(피걸림부재)
21 - 후방 연장부 25 - 상측 부분
26 - 원통부 27 - 캠홈
27c - 걸림홈 35 - 축부(회전지지부)

Claims (3)

  1. 하우징(1)과; 피걸림부재(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상기 슬라이드체(2)를 상기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상기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의 돌조부(32)를 상기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상기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상기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2)가 상기 피걸림부재(9)에 의해서 압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상기 캠홈(27) 및 핀부재(5)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3)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2)는 역 오목형상의 슬라이드 본체(20)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폭이 좁게 된 개소에 상기 캠홈(27)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 연장부(21)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본체(20)의 역 오목형상의 전단면을 상기 맞닿음부(22)로 하고, 양 측면(20b)에 회전지지부(35)용 축구멍 또는 축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체(3)는 상기 돌조부(32)와, 상기 돌조부(32)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조부(3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부(35)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33)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지지되되 상기 걸림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돌조부(32)와 상기 돌출부(33)와의 사이에 상기 맞닿음부(22)가 위치하고,
    이 걸어맞춤체(3)는 상기 돌조부(32)가 형성된 전판부(30)와, 상기 전판부(30)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31,31)와, 상기 후편부(31)의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36)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36)가 상기 후방 연장부(21)의 폭이 좁게 된 개소로 이행하면서 상기 하우징(1) 내에 형성된 융기부(16)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하우징(1)과; 피걸림부재(9)와 맞닿는 맞닿음부(22) 및 캠홈(27)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체(2)와; 상기 슬라이드체(2)를 상기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와; 상기 슬라이드체(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단측의 돌조부(32)를 상기 맞닿음부(22) 위로 돌출시켜서 피걸림부재(9)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위치 및 상기 맞닿음부(22) 위에서 퇴행시키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3)와; 상기 캠홈(27)을 트레이스하는 핀부재(5);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2)가 상기 피걸림부재(9)에 의해서 압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면, 이 이동후의 위치에서 상기 캠홈(27) 및 핀부재(5)를 통해서 유지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3)가 걸림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전환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2)는 상기 하우징(1)의 출입구측에 배치되는 상기 맞닿음부(22)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캠홈(27)과, 상기 맞닿음부(22)와 상기 캠홈(27)과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체(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3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2)는 역 오목형상의 슬라이드 본체(20)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폭이 좁게 된 개소에 상기 캠홈(27)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 연장부(21)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본체(20)의 역 오목형상의 전단면을 상기 맞닿음부(22)로 하고, 양 측면(20b)에 회전지지부(35)용 축구멍 또는 축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체(3)는 상기 돌조부(32)가 형성된 전판부(30)와, 상기 전판부(30)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편부(31,31)와, 상기 후편부(31)의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36)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36)가 상기 후방 연장부(21)의 폭이 좁게 된 개소로 이행하면서 상기 하우징(1) 내에 형성된 융기부(16)에 올라탐으로써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KR1020090102162A 2008-10-29 2009-10-27 래치장치 KR101116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77549 2008-10-29
JP2008277549A JP5171547B2 (ja) 2008-10-29 2008-10-29 ラ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807A KR20100047807A (ko) 2010-05-10
KR101116985B1 true KR101116985B1 (ko) 2012-03-14

Family

ID=4227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162A KR101116985B1 (ko) 2008-10-29 2009-10-27 래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71547B2 (ko)
KR (1) KR101116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64A (ko) * 2014-04-24 2015-11-0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7185B (zh) * 2008-10-29 2014-03-26 株式会社利富高 闩锁装置
JP4922437B2 (ja) * 2010-03-05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ラッチ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5789438B2 (ja) * 2011-07-13 2015-10-07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5789437B2 (ja) * 2011-07-13 2015-10-07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KR101315492B1 (ko) 2012-07-18 2013-10-07 동우정밀(주) 도어래치장치
KR101629132B1 (ko) * 2015-01-05 2016-06-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TWI786932B (zh) * 2021-11-04 2022-12-1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器固定結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2A (ja) 1997-08-01 1999-02-23 Nifco Inc ラッチ具
JP2004332218A (ja) * 2003-04-30 2004-11-25 Kokuyo Co Ltd ラッチ装置
KR100505890B1 (ko) * 2002-10-17 2005-08-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2A (ja) 1997-08-01 1999-02-23 Nifco Inc ラッチ具
KR100505890B1 (ko) * 2002-10-17 2005-08-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JP2004332218A (ja) * 2003-04-30 2004-11-25 Kokuyo Co Ltd ラッ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64A (ko) * 2014-04-24 2015-11-0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101655667B1 (ko) 2014-04-24 2016-09-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06479A (ja) 2010-05-13
JP5171547B2 (ja) 2013-03-27
KR20100047807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KR101103977B1 (ko) 래치장치
KR101031856B1 (ko) 푸쉬 래치 장치를 구비한 서랍 슬라이드
WO2010050560A1 (ja) ラッチ装置
KR101067150B1 (ko) 보유 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유닛
JP5756873B2 (ja) 開閉装置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CN105264157A (zh) 双门式内门的按钮锁闩装置
JP5789438B2 (ja) ラッチ装置
JP6746828B1 (ja) パ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と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アセンブリ
JP7078828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3925887B2 (ja) 抽斗の閉止装置
JP4446553B2 (ja) 磁石利用のロック装置
JP5089645B2 (ja) ラッチ装置
JP5789437B2 (ja) ラッチ装置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KR101808850B1 (ko) 래치 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 로킹 장치
JP4920267B2 (ja) ドア
KR100773299B1 (ko) 슬라이딩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JP6746133B2 (ja) ドアストッパー
KR20140032780A (ko) 도어락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JP2773229B2 (ja) 蓋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