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210B1 -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210B1
KR101114210B1 KR1020040059511A KR20040059511A KR101114210B1 KR 101114210 B1 KR101114210 B1 KR 101114210B1 KR 1020040059511 A KR1020040059511 A KR 1020040059511A KR 20040059511 A KR20040059511 A KR 20040059511A KR 101114210 B1 KR101114210 B1 KR 10111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gth
mobile phone
side cov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913A (ko
Inventor
신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210B1/ko
Priority to CNB2004100983432A priority patent/CN100440928C/zh
Priority to US11/047,102 priority patent/US7477315B2/en
Publication of KR2006001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 시에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또는 수납될 수 있고, 카메라가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자체 회전하는 경우 연성회로기판이 카메라부와 휴대폰 메인보드를 안정적으로 전기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팝업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촬상 소자 및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장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로부터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 사이드 커버와, 사이드 커버와 카메라부 사이를 연결하고,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 변경 장치와, 길이 변경 장치의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 양측 단부로부터 당김이 없이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으며 일정한 거리를 가진 축방향 변위부를 구비하고, 외부 회로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안정성 있게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카메라부를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일측단부와, 사이드 커버와 결합되는 타측단부를 구비하고, 길이 변경 장치가 내부에 카메라부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관통되는 베이스 커버가 형성되고, 축방향 변위부는 베이스 커버와 길이 변경 장치 사이의 직진 가이드 공간에서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된 팝업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Pop-up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 구성 요소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직선 가이드 공간에 대응되는 연성회로기판과 길이 변경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1의 회전 가이드 공간에 대응되는 카메라부와 연성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베이스 커버와 사이드 커버를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연성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팝업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를 확대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 모듈 20: 카메라부
21: 제1가이드 원통부 22: 제2가이드 원통부
23: 돌기턱 25: 카메라 수납부
26: 카메라 30: 사이드 커버
34: 제1슬릿 40: 길이 변경 장치
41: 고정봉 42: 변위봉
50: 연성회로기판 50a: 축방향 변위부
50b: 회전 변위부 50c: 변위 연결부
60: 베이스 커버 64: 제2슬릿
70: 외부 회로기판 84: 관통홀
100: 휴대폰 111: 휴대폰 본체
121: 본체 케이스부 131: 힌지부
141: 폴더부 170: 휴대폰 메인보드
Ss: 직진 가이드 공간 Sr: 회전 가이드 공간
Z: 연결 축 Zh: 힌지 축
본 발명은 팝업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되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LCD의 소형화, 전자회로의 초 집적화 기술 발달과 함께 데이터 전송 속도의 발달에 힘입어 휴대폰은 음성뿐만 아니라 화상까지도 전송할 수 있다.
통상적인 폴더형(folder-type) 휴대폰은 본체 하우징과, 폴더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과 폴더 사이에는 각각 본체 연결부 및 폴더 연결부로 이루어진 힌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에서는 본체 연결부 및 폴더 연결부가 힌지 연결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이 상기 본체 연결부 또는 폴더 연결부에 장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180°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서, 피사체의 위치에 맞추어 회전하여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힌지부에 결합된 카메라 모듈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가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을 조작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로부터 일정부분 돌출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휴대폰이 박형화 되는데 한계를 가지게 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카메라가 낙하 시 상기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충격이 카메라로 전달됨으로써 카메라 파손이 쉽게 일어난다.
또한, 포켓이나 휴대폰 주머니 등의 휴대폰 수납 수단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나, 상기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됨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폰 수납 수단에 맞추어 수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미감 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더욱이 휴대폰의 일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서 디자인이 우수하지 않게 되어 서 소비자의 만족도가 작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가 간편하게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팝업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가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및 회전하는 경우에도 연성회로기판이 상기 카메라 및 휴대폰 메인보드 사이를 안정적으로 전기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진 팝업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와, 길이 변경 장치와,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카메라부는 촬상 소자 및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장한다. 사이드 커버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길이 변경 장치는 사이드 커버와 카메라부 사이를 연결하는데, 상기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연성회로기판은 외부 회로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축방향 변위부를 구비한다.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길이 변경 장치의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 양측 단부로부터 당김이 없이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는 일정한 거리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일측단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와 결합되는 타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가 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관통되는 베이스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상기 길이 변경 장치 사이의 직진 가이드 공간에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길이 변경 장치는 고정봉과 변위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봉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고정된 일측부를 구비한다. 변위봉은 상기 카메라부에 고정된 일측부 및 상기 고정봉 내측으로 수납된 길이가 변경하도록 상기 고정봉에 결합된 타측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길이 변경 장치가 상기 카메라부를 회전 축 방향으로 일회 누르는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토글(toggle)식 누름 장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메라부는 수납부와, 제1가이드 원통부와, 제2가이드 원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수납부는 카메라를 수납한다. 제1가이드 원통부는 상기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수납부로부터 상기 사이드 커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 형상이다. 제2가이드 원통부는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보다 작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제1가이드 원통부 사이에 회전 가이드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회전 가이드 공간에 회전 변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변위부는 양 단부 쪽에서 당김이 없이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적층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팝업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은, 팝업 카메라 모듈과 함께 휴대폰 본체를 구비한다.
휴대폰 본체는, 휴대폰 메인보드를 실장한 본체 케이스부와, 중공 원통형의 카메라 케이스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팝업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와, 길이 변경 장치와,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카메라부는 촬상 소자 및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일측에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사이드 커버는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타측에 이격 배치된다. 길이 변경 장치는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내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와 카메라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길이 변경 장치의 연결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 양 단부로부터 당겨짐이 없이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는 일정한 거리의 축방향 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폰 메인보드와 상기 촬상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일측단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와 결합되는 타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가 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관통되는 베이스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상기 길이 변경 장치 사이의 직진 가이드 공간에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휴대폰 본체는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부와 힌지 결합되는 폴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이 도시되고, 도 2에는 카메라 모듈의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팝업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부(20)와, 사이드 커버(30)와, 길이 변경 장치(40)와, 연성회로기판(50)을 구비한다.
카메라부(20)는 카메라(26)를 내장한다. 이 경우, 카메라부(20)는 카메라 수납부(25), 제1가이드 원통부(21) 및 제2가이드 원통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수납부(25)는 통상 카메라를 수납하는 하측 카메라 수납부(25a) 및 상기 카메라를 덮는 상측 카메라 수납부(25b)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하, 상측 카메라 수납부(25a, 25b)간을 고정하는 수납 고정부(29)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26)는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28) 및 렌즈(27)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화상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20)는 사이드 커버(30)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30)와 카메라부(20)는 길이 변경 장치(4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는 그 연결 축(Z) 방향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카메라부(20)와 사이드 커버(30) 사이에는 베이스 커버(60)가 형성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커버(60)는 중공 원통형으로서, 상기 베이스 커버 일측단부(60') 쪽으로는 카메라부(20)가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 타측단부(60")에는 사이드 커버(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카메라부(20)가 베이스 커버(60)에 수납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카메라부(20)가 상기 베이스 커버 일측단부(60')로부터 돌출 된다.
이 경우, 길이 변경 장치(40)는 베이스 커버(60) 내측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와 베이스 커버(60) 사이에는 직진 가이드 공간(Ss)을 가지도록 일정한 유격을 가지게 된다. 상기 직진 가이드 공간(Ss)에 축방향 변위부(5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베이스 커버(60)가 축방향 변위부(50a)의 폭이 과도하게 커져서 외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50)이 보호되기 때문이다.
상기 카메라부(20)는 연성회로기판(50)을 통하여 외부 회로기판(70)과 연결된다. 이 연성회로기판(50)은 일측이 카메라부의 촬상 소자(28)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회로기판과 결합되어서, 외부 회로기판(70)과 촬상 소자(28)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 연성회로기판(50)은 축방향 변위부(50a)를 구비한다. 즉, 도 1과 함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축방향 변위부(50a)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길이 변경 장치(40)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축방향 변위부(50a) 양단으로부터 당김이 발생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가 연결 축(Z) 방향으로 길어져서 전체적인 팝업 카메라 모듈(10)이 길어지더라도, 축방향 변위부(50a)가 카메라부(20) 측이나 외부 회로기판(70) 측으로부터 당겨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부(20) 측이나 외부 회로기판(70) 측으로부터 당겨짐으로 인한 연성회로기판(50)이 찢어지거나, 카메라부(20) 또는 외부 회로기판(70)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서, 연성회로기판(50)이 안정적으로 외부 회로기판(70)과 카메라부(20)를 전기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길이 변경 장치(40)는 고정봉(41)과, 변위봉(4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봉(41)은, 상기 사이드 커버(30)에 고정된 일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축(Z)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변위봉(42)은 일측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고정봉(41)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변위봉(42)의 고정봉(41) 내측으로 수납된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위봉(42)이 고정봉(41)에 수납된 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서 카메라부(20)가 베이스 커버(60)에서 돌출되고, 이와 달리 상기 변위봉(42)이 고정봉(41)에 수납된 길이가 큰 경우에는,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서 카메라부(20)가 베이스 커버(60)에 수납된다.
이 경우,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가 베이스 커버(60)에 수납된 카메라부(20)를 연결 축(Z) 방향으로 일회 누르는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에서 돌출되고, 베 이스 커버 일측부(41a)로부터 돌출된 카메라부(20)를 재차 누르는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에 수납되는 것이 반복되는 토글(toggle)식 누름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 도 1참조)와 결합된 변위봉(42)을 연결 축 방향으로 일회 누르는 경우, 고정봉에 삽입된 변위봉(42)이 고정봉(41)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변위봉(42)를 상기 연결 축(Z) 방향으로 재차 누르게 되면 변위봉(42)이 고정봉(41)에 삽입된 길이가 커지게 된다.
토글(toggle)식 누름 장치의 하나의 예로서는, 상기 고정봉(41) 내의 사이드 커버(30)와 변위봉(42) 사이에 스프링을 삽입시키고, 상기 고정봉(41)의 측면에 서로 이격 형성된 고정 돌기부들을 형성시킨다. 상기 변위봉(42) 타측단부에 원주 상으로 상기 고정 돌기부에 걸릴 수 있는 변위 돌기부들이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위봉(42)이 고정봉(41) 내에 인입되면 변위 돌기부가 고정 돌기부 사이로 통과한 다음, 상기 변위 돌기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변위봉(42)이 고정봉(41)에 수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변위봉(42)을 회전 축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변위 돌기부가 약간 회전을 하게 되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 사이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변위봉이 고정봉(4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부(20)를 베이스 케이스(60)에서 돌출 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끄집어낼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베이스 커버(60)에 돌출 않으며 카메라부(20)가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20)는 카메라 수납부(25) 와, 제1가이드 원통부(21)와, 제2가이드 원통부(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 원통부(2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카메라(26)를 수납하는 카메라 수납부(25)로부터 연장 축(Z)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수납부(25)의 사이드 커버 쪽 측면에는 내측 기저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내측 기저부(23)에 상기 변위봉(42)의 일측부가 고정된다.
카메라 수납부(25)에는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와 동일하게 연결 축(Z)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제2가이드 원통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카메라부(20)에 내측 기저부(23)가 형성될 경우, 상기 내측 기저부(23)로부터 제2가이드 원통부(22)가 사이드 커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와 제2가이드 원통부(22) 사이에는 일정한 유격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유격 공간이 회전 가이드 공간(Sr)이다.
이 경우,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Sr)에서 복수 층으로 적층되어 감기도록 형성된 회전 변위부(50b)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 변위부(50b)가 복수 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 사이 및 제2가이드 원통부(22)과의 사이에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적층됨으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부(20)가 회전 시에 연성회로기판(50)이 양측에서 당겨지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를 보장하여 주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 변위부(50b)와 축방향 변위부(50a)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회전 변위부(50a)는 연결 축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연결 축에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변위부(50b)와 축방향 변위부(50a)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카메라부(20)가 회전 시에 축방향 변위부(50a)의 거리가 변경되거나, 카메라부(20)가 돌출 또는 수납 시에 회전 변위부(50b)의 길이가 변경된다면 연성회로기판에 당겨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50)이, 연결 축(Z)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변위부(50a)와 회전 변위부(50b) 사이를 연결하는 변위 연결부(50c)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22)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연결 축 방향으로 돌기된 복수의 돌기턱(23)이 형성되고, 회전 변위부(50b)가 상기 돌기턱(23)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 변위부(50b)가 상기 돌기턱(23) 사이의 오목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회전 변위부(50b)가 느슨하게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22) 외측면을 감도록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의 내측면 중 회전 가이드 공간(Sr)의 사이드 커버(30;도 2참조) 측 경계면에는 복수의 돌기 가이드부(2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돌기 가이드부(24)가 상기 회전 변위부(50b)가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Sr) 내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30)는 베이스 커버(60)의 카메라부가 삽입되지 않은 측단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 커버(30)는 상기 베이스 커버(60) 내측에 접하도록 삽입되고 연성회로기판(50)이 끼워지는 제1슬릿(34)이 형성된 측부(32)가 구비되고, 베이스 커버(60)의 상기 제1슬릿(34)과 동일한 위치에는 제2슬릿(64)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슬릿(34)과 제2슬릿(64)은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홀(84)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연성회로기판 중 축방향 변위부(50a; 도 2참조)가 길이 변경 장치(40)를 나선방향으로 감은 뒤에 상기 제1슬릿(34)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60)와 사이드 커버(30)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이 상기 제1슬릿(34) 및 제2슬릿(64)으로 이루어진 관통홀(84)을 관통하게 되어서 안정적으로 외부로 관통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50)이, 회전 가이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연결 축(Z)의 원주 방향을 가진 회전 변위부(50b)와, 직진 가이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연결 축(Z)과 경사지게 형성된 축방향 변위부(50a)와, 상기 회전 변위부와 축방향 변위부를 연결하는 변위 연결부(50c) 외에, 카메라부와 결합된 카메라 결합부(50d) 및 외부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외부 회로기판 결합부(50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팝업 카메라 모듈(10)을 구비한 휴대폰(100)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B부를 확대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 모듈(10)을 구비한 휴대폰(100)은, 휴대폰 본체(111)로부터 돌출 되도록 수납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으로서, 카메라부(20)와, 휴대폰 본체(111)와, 사이드 커버(20)와, 길이 변경 장치(40)와, 연성회로기판(50)을 구비한다.
휴대폰 본체(111)는, 휴대폰 메인보드(170)를 실장한 본체 케이스부(121)와, 상기 카메라부(10)를 일측단부로부터 수납하는 카메라 케이스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132)에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본체 케이스부(121)는 그 내부에 휴대폰 메인보드(170)를 실장하고, 통상 그 상면에는 복수개의 키 버튼(123)들이 설치된다. 상기 키 버튼(123)은 문자 키, 숫자 키, 삭제 키, 종료 키 및 특수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이 핸드폰 본체에는 폴더부(14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더부(141)는 LCD, OLED 등의 창(143)이 배치되어서 전화번호, 문자, 및 동영상 등의 화상이 이를 통하여 구현된다.
상기 폴더부(141)와 본체 케이스부(121)는 힌지부(13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 케이스부(121)의 일측에는 상호 대향 이격된 카메라 케이스부(132)들이 형성되고, 상기 폴더부(141)에는,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132)들 사이에 끼워지는 가이드 아암(135)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132) 및 가이드 아암(135)이 힌지 축(Zh)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폴더부(141)는 힌지 축(Zh)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부(121)에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형의 휴대폰인 경우, 카메라부(20)가 상기 상호 이격 설치된 카메라 케이스부(132) 중 하나에 형성된다.
카메라 케이스 타측단부(132b)에는 사이드 케이스(30)가 결합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132) 내측에는 중공의 원통형인 베이스 커버(6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카메라부(20)는 상기 베이스 커버(60) 일측단부(60')에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30)는 베이스 커버 타측단부(60")에 결합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상기 베이스 커버(60)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30)와 카메라부(20)는 길이 변경 장치(4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1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140)의 연결 축(Z) 방향, 폴더형 카메라의 경우 힌지 축(Zh)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는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부(20)가 간단하게 카메라 케이스부(132)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는 고정봉(41)과, 변위봉(42)을 구비하는 토글방식의 누름 장치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봉(41)과 변위봉(42)은 상기한 본 발명인 팝업 카메라 모듈(10)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6)를 수납하는 카메라 수납부(25)와, 상기 연결 축(Z)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수납부(25)로부터 상기 사이드 커버(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제1가이드 원통부(21)와,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보다 작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40)보다 큰 반경을 가진 제2가이드 원통부(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와 제2가이드 원통부(22) 사이에는 일정 유격을 가진 회전 가이드 공간(Sr)이 형성된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50)은 회전 변위부(50a)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전 변위부(50a)는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Sr)에서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22)의 원주 방향에 복수 층으로 적층되어 감기도록 형성되고, 양 단부 쪽에서 당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층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21)의 내측면 중 회전 가이드 공간(Sr)의 사이드 커버(30) 측 경계면에는 복수의 돌기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돌기부(24)가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Sr) 내에 상기 회전 변위부(50b)가 안착되고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커버(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커버(60) 내측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측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32)에는 제1슬릿(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60)는, 상기 제1슬릿(34)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릿(34)과 함께 관통홀을 이루는 제2슬릿(64)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슬릿(34) 및 제2슬릿(64)이 관통홀(84)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성회로기판(50)은 상기 제1슬릿(34)에 끼워져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게 된다.
본 발명인 휴대폰(100)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카메라부(20)와 휴대폰 메인보드(170)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성회로기판(50)이 회전 가이드 공간(Sr) 내에 배치되며 연결 축(Z)의 원주 방향을 가진 회전 변위부(50b)와, 직진 가이드 공간(Ss) 내에 배치되며 연결 축(Z)과 경사지게 형성된 축방향 변위부(50a)를 구비하여서, 상기 카메라 부(2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 변위부(50b)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카메라부(20)와 휴대폰 메인보드(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휴대폰 본체(111)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되는 경우 축방향 변위부(50a)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카메라부(20)와 휴대폰 메인보드(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작용을 가진 본 발명인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에 돌출 되지 않는 상태로 수납되고, 사용자가 카메라 사용을 원할 경우에만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됨으로써 휴대폰이 박형화되고, 통상 사각형상인 여러 가지 휴대폰 수납 수단에 맞추어 수납될 수 있으며, 미감 상으로도 우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 또는 회전하는 경우에도 카메라부와 휴대폰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이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카메라 모듈과 메인보드 사이를 전기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촬상 소자 및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 사이드 커버;
    상기 사이드 커버와 카메라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 길이 변경 장치; 및
    상기 길이 변경 장치의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 양측 단부로부터 당김이 없이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는 일정한 거리의 축방향 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외부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일측단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와 결합되는 타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가 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관통되는 베이스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상기 길이 변경 장치 사이의 직진 가이드 공간에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베이스 커버 내측에 접하도록 삽입되고 제1슬릿이 형성된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제1슬릿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릿과 함께 관통홀을 이루는 제2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슬릿에 끼워져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 고정된 일측부를 구비한 고정봉과; 상기 카메라부에 고정된 일측부 및 상기 고정봉 내측으로 수납된 길이가 변경하도록 상기 고정봉에 결합된 타측부를 구비한 변위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를 수납하는 카메라 수납부와; 상기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수납부로부터 상기 사이드 커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제1가이드 원통부 및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보다 작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보다 큰 반경을 가진 제2가이드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와 제2가이드 원통부 사이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 공간에 배치되고, 양 단부 쪽에서 당겨짐이 없이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적층 형성된 회전 변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의 내측면 중 회전 가이드 공간의 사이드 커버 측 경계면에는 상기 회전 변위부가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 내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돌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의 상기 회전 변위부가 안착되는 면에는 상기 연결 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기된 복수의 돌기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축방향 변위부와 상기 회전 변위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으로 형성된 변위 연결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를 회전 축 방향으로 일회 누르는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토글(toggle)식 누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휴대폰 메인보드를 실장한 본체 케이스부와, 중공 원통형의 카메라 케이스부를 구비한 휴대폰 본체;
    촬상 소자 및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일측에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타측에 이격 배치된 사이드 커버와;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 내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와 카메라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 길이 변경 장치; 및
    상기 길이 변경 장치의 연결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 양 단부로부터 당겨짐이 없이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는 일정한 거리의 축방향 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폰 메인보드와 상기 촬상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부를 돌출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일측단부와, 상기 사이드 커버와 결합되는 타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가 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관통되는 베이스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변위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상기 길이 변경 장치 사이의 직진 가이드 공간에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를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변경 장치는 상기 사이드 커버에 고정된 일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봉과; 상기 카메라부에 고정된 일측부 및 상기 고정봉 내측으로 수납 및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한 타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변위봉을 구비하여서, 상기 카메라부를 연결 축 방향으로 일회 누르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베이스 커버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토글(toggle) 방식의 누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를 수납하는 카메라 수납부와; 상기 연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 수납부로부터 상기 사이드 커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제1가이드 원통부 및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보다 작고 상기 길이 변경 장치보다 큰 반경을 가진 제2가이드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 및 제2가이드 원통부 사이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 공간에서, 양 단부 쪽에서 당김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2가이드 원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적층되어 감기도록 형성된 회전 변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원통부의 내측면 중 회전 가이드 공간의 사이드 커버 측 경 계면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공간 내에 상기 회전 변위부가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베이스 커버 내측에 접하도록 삽입되고 제1슬릿이 형성된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제1슬릿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릿과 함께 관통홀을 이루는 제2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슬릿에 끼워져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는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부와 힌지 결합되는 폴더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20040059511A 2004-07-29 2004-07-29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10111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11A KR101114210B1 (ko) 2004-07-29 2004-07-29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CNB2004100983432A CN100440928C (zh) 2004-07-29 2004-12-03 弹出式照相机组件和包括这种照相机组件的移动电话
US11/047,102 US7477315B2 (en) 2004-07-29 2005-01-31 Pop-up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11A KR101114210B1 (ko) 2004-07-29 2004-07-29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13A KR20060010913A (ko) 2006-02-03
KR101114210B1 true KR101114210B1 (ko) 2012-03-07

Family

ID=3579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511A KR101114210B1 (ko) 2004-07-29 2004-07-29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77315B2 (ko)
KR (1) KR101114210B1 (ko)
CN (1) CN1004409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339B1 (ko) * 2003-04-3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8537661A (ja) * 2005-03-30 2008-09-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回転カメラ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型電子装置
KR100703353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77475B1 (ko) * 2005-07-1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에프피시비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50733B1 (ko) * 2006-03-2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JP4919755B2 (ja) 2006-10-02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および電子機器
US7677815B2 (en) * 2006-10-10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Photographic device with retractable lens
CN101165527A (zh) * 2006-10-18 2008-04-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7796883B2 (en) * 2007-04-09 2010-09-14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connection
KR101635205B1 (ko) * 2009-08-19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FI124625B (fi) * 2010-10-15 2014-11-14 Perlos Oyj Elektroniikkalaite, kuori ja menetelmä
US9042089B2 (en) * 2011-07-08 2015-05-26 Apple Inc. Computer hinge with hollow and partially annular clutch
EP2844560B1 (en) 2013-03-31 2019-05-15 SZ DJI Technology Co., Ltd. Payload mounting platform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579108B2 (en) 2016-03-20 2020-03-03 Case Cam LLC Phone case with camera
US10298728B2 (en) 2016-03-20 2019-05-21 Case Cam LLC Phone case with camera
EP3433936B1 (en) 2016-03-20 2020-09-02 Case Cam LLC Phone case with camera
CN107295298B (zh) * 2016-04-11 2020-12-15 罗伯特·博世有限公司 摄像机
US10165162B2 (en) 2016-06-27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 camera device
US10462338B2 (en) 2016-06-29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oating camera module
KR102350914B1 (ko) * 2016-07-05 2022-01-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10317779B2 (en)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CN106850896B (zh) 2017-03-07 2019-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107071102A (zh) * 2017-03-28 2017-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及拍摄方法
US10101777B1 (en) * 2017-04-08 2018-10-16 Lenovo (Singapore) Pte. Ltd. Retractable camera
US10218942B2 (en) 2017-04-08 2019-02-26 Lenovo (Singapore) Pte. Ltd. Positionable camera
EP3481035B1 (en) * 2017-11-03 2020-07-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phone camera slidable by electromagnetic force
CN113206933B (zh) 2017-11-30 2023-04-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的控制方法
CN209860953U (zh) 2018-11-30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图像采集模块
CN110290295B (zh) * 2019-04-10 2021-08-17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CN111835887B (zh) * 2019-04-16 2022-04-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结构和电子设备
TWI789562B (zh) * 2019-06-04 2023-01-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10006249A (ko) * 2019-07-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1152025U (zh) * 2019-12-03 2020-07-31 富港电子(昆山)有限公司 应用于笔记型计算机的磁吸式摄像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287A (ja) *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JP2000039655A (ja) * 1998-05-20 2000-02-08 Nikon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が用いられる機器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KR100459543B1 (ko) * 2002-07-10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80434B1 (ko) * 2002-11-1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184803B2 (en) * 2005-01-21 2007-02-27 Inven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jecting or retracting lens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apparatus being opened or clo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77315B2 (en) 2009-01-13
CN100440928C (zh) 2008-12-03
KR20060010913A (ko) 2006-02-03
US20060033832A1 (en) 2006-02-16
CN1728774A (zh)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210B1 (ko)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100604323B1 (ko)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10048043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N100525326C (zh) 具有垂直和水平轴的折叠式电子设备
US2007001355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7209086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677300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10068807A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US6975273B1 (en)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TWI383648B (zh) 具攝影功能之攜帶式電子裝置
JP4096735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442689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5232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안테나 장치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100959729B1 (ko)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809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결합 구조
KR2003063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576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652629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08397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357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