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94B1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94B1
KR101106794B1 KR1020090136052A KR20090136052A KR101106794B1 KR 101106794 B1 KR101106794 B1 KR 101106794B1 KR 1020090136052 A KR1020090136052 A KR 1020090136052A KR 20090136052 A KR20090136052 A KR 20090136052A KR 101106794 B1 KR101106794 B1 KR 10110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unit
media
roto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089A (ko
Inventor
차진환
이원준
이동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94B1/ko
Priority to CN201080059780.7A priority patent/CN102713985B/zh
Priority to RU2012131685/08A priority patent/RU2510531C1/ru
Priority to US13/519,121 priority patent/US8807423B2/en
Priority to PCT/KR2010/009617 priority patent/WO2011081497A2/ko
Priority to EP10841329.5A priority patent/EP2511886B1/en
Publication of KR2011007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캐리지의 내부에 종이매체들을 일시 스택할 수 있고, 로터가 캐리지를 회전시켜 캐리지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캐리지가 이동 경로들을 따라 복수개의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로 종이매체들을 출금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136052
금융자동화기기, 매체 이송 유닛, 매체 검사 유닛, 캐리지, 로터, 매체 회수 유닛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매체의 잼 발생이 적고 내부 구조 및 출금 동작이 간단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현금, 수표, 티켓, 상품권 등과 같은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매체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매체 이송 경로는 복수개의 롤러와 벨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이송 경로의 구조 및 제어는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매체 이송 경로의 전체적인 크기도 큰 편이다. 그로 인하여,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송부에 종이매체가 걸리는 잼(jam)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 경로를 간소화시키고, 종이매체들을 번들 형태로 출금부까지 간편하게 출금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종이매체들이 일시 스택된 캐리지를 출금부로 직접 이송시켜 종이매체들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출금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캐리지가 삽입된 로터를 회전시켜 캐리지의 진행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고, 복수개의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를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출금부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종이매체들이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 상기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종이매체들을 한 장씩 이송시키는 매체 이송 유닛,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들을 감지하는 매체 검사 유닛,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들이 내부에 적재되고 상기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종이매체들을 출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출금부들과 연결된 이동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제1 포지션 및 상기 캐리지가 상기 이동 경로들로 이동되는 제2 포지션들 중 어느 한 포지션으로 상기 캐리지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 및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와 상기 로터를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회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매체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정상으로 판단된 종이매체들은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고, 상기 로터에 의해 상기 이동 경로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캐리지의 인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캐리지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출금부를 통해 상기 캐리지 내의 종이매체들이 출금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단된 종이매체는 상기 매체 회수 유닛에 실시간으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작동 모드가 불필요하며,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종이매체를 적재하는 작동도 비정상의 종이매체에 의해 방해 받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체 저장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이송 유닛은 상기 매체 저장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출금부들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출금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출금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상면 출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경로들은, 상기 전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전면 이동 경로, 상기 후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후면 이동 경로, 및 상기 상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상면 이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출금부와 이동 경로의 개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들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기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이동 기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기어에 의해 상기 레일 기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이동 기어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 상기 제1 캐리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종이매체들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캐리지부, 및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 기어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캐리지부에는 상기 종이매체들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 이송 벨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캐리지부에는 상기 종이매체들의 타면에 밀착되는 제2 이송 벨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는 상기 캐리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이송 벨트와 상기 제2 이송 벨트가 구동되면,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구동부는, 상기 이동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 캐리지 구동부, 및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캐리지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지 구동부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부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캐리지 구동부 및 상기 제2 캐리지 구동부의 작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결 방식은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게 형성된 케이블 또는 탄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캐리지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접촉 부위가 통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캐리지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벌어져 상기 종이매체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접혀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벌어지면 상기 적재 공간의 내부에 상기 종이매체가 적재될 수 있고,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접히면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캐리지부에는,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걸려 상기 제2 캐리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개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양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가 안착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체 회수 유닛은,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상기 종이매체를 수용하는 리젝트 박스, 및 상기 리젝트 박스와 상기 매체 이송 유닛 사이에 상기 로터와 상기 캐리지를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되고 상기 리젝트 박스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리젝트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들 중에서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는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적재되지 않고 상기 리젝트 이송부를 따라 리젝트 박스의 내부에 회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매체 이송 유닛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고,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종이매체가 계속적으로 적재될 수 있 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출금부로 출금된 종이매체들의 미수취시 상기 출금부로부터 회수한 상기 종이매체들을 저장하는 리트렉트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는 상기 로터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가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를 향해 상기 캐리지를 회전시키면, 상기 캐리지가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로 이동되어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내부로 상기 종이매체들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 이송 유닛과 상기 매체 회수 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캐리지에 의해 종이매체들이 번들 형태로 출금부에 직접 이송되므로, 종이매체들을 이송하는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이매체들의 이송시 발생되는 종이매체의 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이매체들의 잼 현상으로 인한 금융자동화기기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를 적재한 캐리지가 케이스의 이동 경로들을 따라 복수개의 출금부들로 직접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제어가 단순해질 수 있고, 종이매체의 출금 시간을 단 축시킬 수 있으며, 종이매체들의 출금 동작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이송 경로들을 따라 복수개의 출금부들로 캐리지가 이동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다양한 위치로 종이매체들의 출금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로터에 의해 캐리지의 이동 방향이 간단하게 조정되므로, 매체 이송 유닛과 출금부들 및 리트렉트 박스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를 간편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캐리지의 이송 경로가 간편하게 선택 및 전환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제어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검사 유닛의 감지값에 따라 캐리지 또는 매체 회수 유닛으로 종이매체가 이송되므로, 종이매체들 중 정상적인 매체들은 캐리지로 이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매체들 중 비정상적인 매체들은 매체 회수 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종이매체들이 캐리지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적재되는 과정에서,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는 캐리지의 내부에 적재되기 이전에 매체 회수 유닛으로 회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작동 모드가 필요 없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케이스(110), 매체 저장 유닛(120), 매체 이송 유닛(130), 매체 검사 유닛(140), 캐리지(150), 로터(160), 및 매체 회수 유닛(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100)가 출금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입금기 및 입출금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상기 매체 저장 유닛(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130), 매체 검사 유닛(140), 캐리지(150), 로터(160), 매체 회수 유닛(170), 출금부(111)(112)(113)들, 및 이동 경로(114)(115)(116)들이 배치될 수 있다.
출금부(111)(112)(113)들은 케이스(110)의 상부에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출금부(111)(112)(113)들은, 케이스(11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출금부(111), 케이스(110)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출금부(112), 및 케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된 상면 출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114)(115)(116)들은, 전면 출금부(111)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출금부(112)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후면 이동 경로(115), 및 상면 출금부(113)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상면 이동 경로(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출금부(111)(112)(113)들과 이동 경로(114)(115)(116)들의 개수와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출금부(111)(112)(113)와 이동 경로(114)(115)(116)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114)(115)(116)들은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캐리지(15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 및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기어(114b)(115b)(116b)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은 후술하는 캐리지(150)의 가이드 롤러(157)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레일 기어(114b)(115b)(116b)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을 따라 형성된 렉기어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캐리지(150)의 이동 기어(158)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저장 유닛(120)는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종이매체(P)들로는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이매체(P)들이 지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매체 저장 유닛(12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다. 예들 들면, 매체 저장 유닛(120)은 카세트와 같이 착탈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저장 유닛(120)의 내부에는 종이매체(P)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저장 유닛(120)은 케이스(110)의 하부에 복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매체 저장 유닛(120)들의 내부에는 동일한 종류의 종이매체(P)가 저장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종이매체(P)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이송 유닛(130)은 매체 저장 유닛(120)들에 저장된 종이매체(P)들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종이매체(P)들을 선택적으로 한 장씩 이송하는 장치이다. 매체 이송 유닛(130)는 매체 저장 유닛(120)과 로터(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160)에 배치된 캐리지(150)의 내부로 종이매체(P)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이송 유닛(130)은 복수개의 롤러와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이송 유닛(130)의 출구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를 캐리지(150)의 내부로 한 장씩 투입시키는 시트 롤러(13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검사 유닛(140)은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가 정상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매체 검사 유닛(1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종이매체(P)의 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체 검사 유닛(140)은 초음파 센서 또는 복수개의 광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검사 유닛(140)이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의 두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종이매체(P)의 낱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매체 검사 유닛(140)은 종이매체가 통과되는 두 개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접촉부들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종이매체(P)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매체 검사 유닛(140)은 복수개의 접촉부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시켜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의 스큐(skew) 여부도 판별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캐리지(150)는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을 출금부(111)(112)(113)들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즉, 캐리지(150)의 내부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들 중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이 일시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지(150)의 내부에 종이매체(P)들의 적재가 완료되면, 이동 경로(114)(115)(116)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캐리지(150)가 이동된 후 출금부(111)(112)(113)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캐리지(150)가 종이매체(P)들을 출금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150)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이 번들(bundle) 형상으로 출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캐리지(150)는 제1 캐리지부(152), 제2 캐리지부(154), 및 캐리지 구동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캐리지부(152)는 종이매체(P)들의 일면에 밀착 가능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150)가 로터(16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 로터(160)의 회전 시 제1 캐리지부(152)는 로터(16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매체 이송 유닛(130)의 작동시에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종이매체(P)들이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는 적재된 종이매체(P)들을 번들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1 이송 풀리(15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리지부(15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57)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부재이고, 이동 기어(158)는 레일 기어(114b)(115b)(116b)와 결합되어 회전시 레일 기어(114b)(115b)(116b)를 따라 이동되는 부재이다. 이동 기어(158)는 렉기어로 형성된 레일 기어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는 제1 캐리지부(152)의 양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캐리지(150)는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동 기어(158)에 의해 레일 기어(114b)(115b)(116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캐리지부(154)는 종이매체(P)들의 타면에 밀착 가능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리지부(154)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캐리지 구동부(156)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은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의 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는 제1 캐리지부(152)에 제2 캐리지부(154)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에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을 번들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이송 벨트(154a)와 제2 이송 풀리(15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 벨트(154a)와 제1 이송 벨트(152a)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캐리지부(154)의 일측에는 개방 돌기(159)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 돌기(135)는 로터(160)의 회전시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을 구속하는 부재이다. 즉, 로터(160)가 매체 이송 유닛(130)의 방향으로 캐리지(150)와 함께 회전되면, 개방 돌기(135)가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캐리지부(154)는 개방 돌기(135)에 의해 정지된 상태이나, 제1 캐리지부(152)는 로터(160)와 함께 계속 회전되므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의 사이가 로터(160)의 회전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구동부(156)는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를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벌어지면,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들이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접히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 사이에 종이매체(P)들이 번들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 구동부(156)는 이동 기어(158)와 제1 이송 벨트(152a) 및 제2 이 송 벨트(154a)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캐리지 구동부(156)는, 이동 기어(158)에 연결되어 이동 기어(158)를 구동시키는 제1 캐리지 구동부(미도시), 및 제1 이송 풀리(152b) 및 제2 이송 풀리(154b)에 연결되어 제1 이송 벨트(152a)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154a)를 구동시키는 제2 캐리지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접힌 상태에서 캐리지 구동부(156)에 의해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구동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P)들이 캐리지(15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캐리지 구동부(156)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제어부(미도시)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캐리지 구동부 및 제2 캐리지 구동부의 작동이 제어부에 의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캐리지 구동부(156)와 제어부의 연결 방식은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지 구동부(156)와 제어부가 길게 형성된 케이블 또는 탄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캐리지 구동부(156)와 제어부가 가이드 레일(114a)(115a)(116a)과 가이드 롤러(157)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16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리지(150)의 인출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장치이다. 즉, 로터(160)의 내부에는 캐리지(150)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160)는 매체 이송 유닛(130),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이동 경로(115), 상면 이동 경로(116), 또는 후술하는 리트렉트 박스(180)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캐리지(15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160)는 제1 포지션, 제2 포지션들, 또는 제3 포지션 중 어느 하나의 포지션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포지션은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캐리지(150)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 위치이고, 제2 포지션들은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이동 경로(115), 또는 상면 이동 경로(116)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는 위치들이며, 제3 포지션은 캐리지(15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80)의 입구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이다.
여기서,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 배치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즉, 로터(160)가 제1 포지션을 향해 회전되면, 개방 돌기(159)가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 로터(160)가 제1 포지션으로 더 회전되면,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캐리지부(152)가 로터(160)와 함께 계속 회전되므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벌어지면서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160)가 제1 포지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서로 접힐 수 있다. 즉,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서부터 다른 포지션으로 회전되면, 제1 캐리지부(152)가 제2 캐리지부와 밀착된 후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는 서로 접힌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 의해 적재 공간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로터(160)는 회전부(162)와 연결부(164)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로터(160)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62)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6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62)의 내측면에는 이동 경로(114)(115)(116)들과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캐리지(15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캐리지 이동 경로(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 이동 경로(162a)에는 캐리지(15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 이동 경로(162a)는 로터(160)의 외측으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회전부(162)의 외주를 향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160)가 제2 포지션들에 배치되면, 캐리지 이동 경로(162a)는 전면 이동 경로(114), 상면 이동 경로(116), 또는 후면 이동 경로(115) 중 어느 한 경로와 일치되어 캐리지(150)가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164)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162)들에 양측이 연결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162)들은 연결부(164)에 의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고, 로터(160)의 내부에 배치된 캐리지(15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회수 유닛(170)은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을 캐리지(150)와 로터(160)를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회수하는 장치이다. 매체 회수 유닛(17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매체 회수 유닛(170)은,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를 수용하는 리젝트 박스(172), 및 리젝트 박스(172)와 매체 이송 유닛(130) 사이에 로터(160)와 캐리지(150)를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되고 리젝트 박스(172)로 종이매체(P)를 이송하는 리젝트 이송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는, 캐리지(150)의 내부에 적재되지 않고 리젝트 이송부(174)를 따라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매체 이송 유닛(130)의 작동은 정지되지 않으므로, 캐리지(150)의 내부에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는 동작은 계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리젝트 박스(172)는 매체 검사 유닛(13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복수매의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박스 형상의 부재이다.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는 로터(160)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는 종이매체(P)들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 부재(172b)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리젝트 이송부(174)는 매체 검사 유닛(140)에서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를 매체 이송 유닛(130)에서 리젝트 박스(172)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리젝트 이송부(174)는 로터(160) 및 캐리지(15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로터(160) 및 이동 경로(114)(115)(116)들을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젝트 이송부(174)는 매체 이송 유닛(130)과 동일 유사하게 벨트와 풀리로 구성될 수 있 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이송부(174)가 로터(160)의 하부를 따라 하측으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매체 검사 유닛(140)의 감지값에 따라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를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 또는 리젝트 이송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매체 검사 유닛(140)의 출구, 로터(160), 및 리젝트 이송부(174)의 입구 사이에 게이트 부재(134)가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 부재(134)는 매체 검사 유닛(140)의 감지값에 따라 종이매체(P)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게이트 부재(13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가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로 이송될 수 있고, 게이트 부재(134)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가 리젝트 이송부(174)의 입구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출금부(111)(112)(113)로 출금된 종이매체(P)들의 미수취시 출금부(111)(112)(113)로부터 회수한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리트렉트 박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트렉트 박스(180)는 로터(160)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10)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에 리트렉트 박스(180)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케이스(110) 내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로터(160)가 리트렉트 박스(180)의 입구를 향해 회전되어 제3 포지션에 배치되면, 리트렉트 박스(180)의 입구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고, 캐리지(15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8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리트렉트 박스(180)는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향해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리젝트 박스(17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금부(111)(112)(113)에서 수취되지 않은 번들 형상의 종이매체(P)들이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 투입되면, 리트렉트 박스(180)의 입구(180a)가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향해 이동 또는 회전되어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통해 들어온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80)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트렉트 박스(180)의 하부가 리젝트 박스(17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리트렉트 박스(18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케이스(110)에 구비되어 매체 이송 유닛(130)와 매체 회수 유닛(1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매체 이송 유닛(130)과 리젝트 이송부(174) 및 리젝트 박스(172)의 리젝트 롤러(172b)는, 메인 구동부(19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구동되는 구조이다. 반면에, 로터(160)는 별도의 구동부(192)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체 이송 유닛(130)이 매체 저장 유닛(12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낱장의 종이매체(P)를 전달받아 로터(160)로 이송한다. 이때, 매체 검사 유닛(140)은 매체 이송 유닛(130)을 따라 이송되는 종이매체(P)를 감지하여 종이매체(P)가 정상 상태인지를 판별한다. 즉, 매체 검사 유닛(140)은 매체 이송 유닛(130)을 따라 이송되는 종이매체(P)의 이매 여부 및 스큐 여부를 감지하고, 종이매체(P)가 이매 이상이거나 스큐된 상태이면 종이매체(P)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터(160)는 제1 포지션으로 회전하고, 매체 이송 유닛(130)의 출구를 향해 캐리지(150)를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로터(160)가 회전되면, 매체 이송 유닛(130)의 제2 캐리지부(154)에 형성된 개방 돌기(159)가 매체 이송 유닛(130) 또는 케이스(11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하지만, 매체 이송 유닛(130)의 제1 캐리지부(152)는 로터(160)와 함께 계속 회전되므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는 로터(160)가 회전됨에 따라 벌어져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종이매체(P)가 정상으로 판정되면, 게이트 부재(134)가 일방향으로 작동하여 종이매체(P)를 로터(160)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때, 시트 롤러(132)가 캐리지(150) 내의 적재 공간으로 종이매체(P)를 적재한다. 따라서, 캐리지(150)의 내부에는 복수매의 종이매체(P)들이 상하방향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캐리지(150)의 내부에 원하는 매수의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면,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들로 회전하고, 로터(16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152)는 제2 캐리지부(154)에 접힌다. 따라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 의해 번들 형상의 종이매체(P)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종이매체(P)들이 출금될 출금부(111)(112)(113)의 위치에 따라 제2 포지션들 중 어느 하나로 로터(160)를 회전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60)의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전면 이동 경로(114)가 연통되는 위치로 로터(160)가 회전되면,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가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전면 이동 경로(114)를 따라 전면 출금부(111)로 이동되고, 전면 출금부(111)로 이동된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작동되어 전면 출금부(111)를 통해 종이매체(P)가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60)의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상면 이동 경로(116)가 연통되는 위치로 로터(160)가 회전되면,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가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상면 이동 경로(116)를 따라 상면 출금부(113)로 이동되고, 상면 출금부(113)로 이동된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작동되어 상면 출금부(113)를 통해 종이매체(P)가 케이스(110)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60)의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후면 이동 경로(115)가 연통되는 위치로 로터(160)가 회전되면,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가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후면 이동 경로(115)를 따라 후면 출금부(112)로 이동되고, 후면 출금부(112)로 이동된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작동되어 후면 출금부(112)를 통해 종이매체(P)가 케이스(110)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만약, 출금부(111)(112)(113)들을 통해 출금된 종이매체(P)들이 고객에 의해 미수취되면,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번들 형상의 종이매체(P)들을 캐리지(150)의 내부로 회수한다. 그리고, 캐리지(150)는 이동 경로(114)(115)(116)들과 캐리지 이동 경로(162a)를 따라 로터(160)의 내부로 복귀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캐리지(150)가 복귀된 로터(160)는 제3 포지션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캐리지(150)는 매체 회수 유닛(170)의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62a)를 향해 배치된다. 그리고, 캐리지(150)가 캐리지 이동 경로(162a)를 따라 인출된 후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번들 형상의 종이매체(P)들을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 삽입시킨다.
이때, 리트렉트 박스(180)는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향해 회전되고,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 구비된 리젝트 롤러(172b)가 구동된다. 따라서, 리젝트 롤러(172b)가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로 삽입된 종이매체(P)들을 회수하여 리트렉트 박스(180)의 입구(180a)로 안내한다.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80)의 내부로 투입되면, 리트렉트 박스(18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캐리지(150)는 로터(160)의 내부로 복귀하고, 로터(160)는 제1 포지션으로 회전한다.
한편,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종이매체(P)가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게이트 부재(134)가 작동하여 비정상의 종이매체(P)를 리젝트 이송부(174)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러면, 리젝트 이송부(174)는 비정상의 종이매체(P)를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로 이송하고, 리젝트 롤러(172b)가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로 이송된 종이매체(P)를 회수하여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에 수용한다. 따라서,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을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로 회수하는 작동 과정은, 캐리지(150)와 로터(160)의 작동 과정과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는 도 2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금융자동화기기 110: 케이스
120: 매체 저장 유닛 130: 매체 이송 유닛
140: 매체 검사 유닛 150: 캐리지
160: 로터 170: 매제 회수 유닛
180: 리트렉트 박스 190: 메인 구동부

Claims (14)

  1. 복수개의 출금부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종이매체들이 저장되는 매체 저장 유닛;
    상기 매체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종이매체들을 한 장씩 이송시키는 매체 이송 유닛;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들을 감지하는 매체 검사 유닛;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들이 내부에 적재되고, 상기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종이매체들을 출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출금부들과 연결된 이동 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제1 포지션 및 상기 캐리지가 상기 이동 경로들로 이동되는 제2 포지션들 중 어느 한 포지션으로 상기 캐리지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 및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와 상기 로터를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회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매체 회수 유닛;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저장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매체 이송 유닛은 상기 매체 저장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부들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출금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출금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상면 출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들은, 상기 전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전면 이동 경로; 상기 후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후면 이동 경로; 및 상기 상면 출금부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상면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들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 된 레일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기어가 각각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이동 기어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
    상기 제1 캐리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종이매체들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캐리지부; 및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 기어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구동부;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부에는 상기 종이매체들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 이송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캐리지부에는 상기 종이매체들의 타면에 밀착되는 제2 이송 벨 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는 상기 캐리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구동부는,
    상기 이동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 캐리지 구동부; 및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 벨트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캐리지 구동부;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에서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으로부터 상기 캐리지에 상기 종이매체들이 적재되도록 상기 캐리지가 상기 매체 이송 유닛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벌어져 상기 종이매체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가 서로 접혀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된 상기 종이매체들을 고정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지부에는, 상기 로터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걸려 상기 제2 캐리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개방 돌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양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가 안착되는 연결부;
    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회수 유닛은,
    상기 매체 검사 유닛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상기 종이매체를 수용하는 리젝트 박스; 및
    상기 리젝트 박스와 상기 매체 이송 유닛 사이에 상기 로터와 상기 캐리지를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되고, 상기 리젝트 박스로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리젝트 이송부;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출금부로 출금된 종이매체들의 미수취시 상기 출금부로부터 회수한 상기 종이매체들을 저장하는 리트렉트 박스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는 상기 로터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로터가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를 향해 상기 캐리지를 회전시키면, 상기 캐리지가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입구로 이동되어 상기 리트렉트 박스의 내부로 상기 종이매체들을 삽입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 이송 유닛와 상기 매체 회수 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90136052A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KR10110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52A KR101106794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CN201080059780.7A CN102713985B (zh) 2009-12-31 2010-12-31 金融自动化设备
RU2012131685/08A RU2510531C1 (ru) 2009-12-31 2010-12-31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US13/519,121 US8807423B2 (en) 2009-12-31 2010-12-31 Automatic teller machine
PCT/KR2010/009617 WO2011081497A2 (ko) 2009-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
EP10841329.5A EP2511886B1 (en) 2009-12-31 2010-12-31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52A KR101106794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089A KR20110079089A (ko) 2011-07-07
KR101106794B1 true KR101106794B1 (ko) 2012-01-18

Family

ID=4491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052A KR101106794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13B1 (ko) * 2012-12-27 2019-11-1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082A (ko) * 2005-11-25 2007-05-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79664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082A (ko) * 2005-11-25 2007-05-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79664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089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26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JP5286178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
EP251188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10079092A (ko)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JP4366434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06863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4423344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06794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0244288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12087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41149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049321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102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1007926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초기화 방법
KR10112086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030513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10079263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10079206A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종이매체 이송 제어 방법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