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330B1 -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330B1
KR101103330B1 KR1020100060404A KR20100060404A KR101103330B1 KR 101103330 B1 KR101103330 B1 KR 101103330B1 KR 1020100060404 A KR1020100060404 A KR 1020100060404A KR 20100060404 A KR20100060404 A KR 20100060404A KR 101103330 B1 KR101103330 B1 KR 10110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quantum dot
inp
doped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198A (ko
Inventor
김경중
홍승휘
박재희
이우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30B1/ko
Priority to US13/806,313 priority patent/US8865513B2/en
Priority to PCT/KR2010/004307 priority patent/WO2011162433A1/ko
Priority to CN201080067722.9A priority patent/CN102959722B/zh
Priority to JP2013516484A priority patent/JP5603490B2/ja
Priority to DE112010005699T priority patent/DE112010005699T5/de
Publication of KR2012000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H01L31/1864Ann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0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31/0304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1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d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active layers comprising only AIIIBV compounds, e.g. GaAs, In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4Solar cells from Group III-V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부에 4족 원소 및 InP를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층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In(Indium)을 제거하고 P(phosphorus)가 도핑된 4족 원소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을 형성하는 양자점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Solar Cell with P-doped Quantum Do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기반의 양자점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매우 고 농도로 P가 도핑된 반도체 양자점이 형성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소자의 경우 제작 비용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이외의 다양한 소재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반도체 원리를 이용하는 태양광 소자의 특성으로 인해 실리콘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 소자에 비해 효율이 매우 낮고 열화에 의한 수명이 짧아 실제 시장 점유 비율은 3% 내외로 미미한 실정이다.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 소자의 경우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태양광 시스템 구축 시 실리콘 소재 및 웨이퍼가 차지하는 비용이 전체 구축 비용의 40 %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현실적 해결책으로 실리콘 양자점을 통해 광전효율을 높임으로서 단위 전력 생산에 필요한 실리콘의 양을 줄이는 노력과 박막형 소자로 실리콘 소모를 최소화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 및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제작에 있어서 반도체 원소가 도핑된 실리콘 박막 성장이 태양전지 성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기존 방법인 열확산법 및 화학증기증착법을 이용할 경우 도핑 농도 조절에 제한이 있어 고농도 도핑을 위한 특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 타겟을 이용하여 고농도로 n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n형 반도체 양자점 기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재현성 있는 불순물 원소 도핑이 가능하며,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에 의해 높은 효율을 갖는 n형 반도체 양자점 기반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자점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기판 상부에 4족 원소 및 InP를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층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In을 제거하고 P(phosphorus)가 도핑된 4족 원소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을 형성하는 양자점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열처리시 In의 제거는 휘발(고체에서 기체로의 휘발)에 의한 제거인 특징이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반도체층은 4족 원소; 또는 4족 원소의 화합물;에 상기 InP가 물리적으로 도핑된 것이다.
특징적으로,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비정질상(amorphous phase)을 포함하며, 상기 InP가 도핑된 비정질상은 In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비정질상,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산화물의 비정질상,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질화물의 비정질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질화물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산화물의 박막,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이다.
상기 4족 원소 및 InP를 함유하는 반도체층은 물리적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상세하게, 상기 물리적 증착은 스퍼터링(sputtering)이며, 상기 스퍼터링은 4족 원소의 타겟; 및 InP 타겟;을 이온빔으로 동시스퍼터링하여 증착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4족 원소는 Si 및 Ge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원소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양자점 형성단계에서 수행되는 열처리의 온도는 900 내지 1150℃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p형 반도체 기판 상부에 매질층과 상기 반도체층을 교번 적층하여 복합적층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적층층을 열처리하여 반도체질화물, 반도체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매질 내 P(phosphorus) 도핑된 반도체 양자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P(phosphorus) 도핑된 반도체 양자점의 비결합 전자를 수소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질화물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산화물의 박막,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이며, 상기 매질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독립적으로 4족 원소의 질화물, 4족 원소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매질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으로 0.5 nm 내지 5 nm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양자점 형성 단계 이후, 상기 기판 및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전극인 두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3족 또는 5족 원소가 도핑된 다결정체의 4족 반도체층인 다결정반도체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n형 반도체 양자점을 제조하기 위한 n형 불순물로 InP 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물리적인 강제 주입에 의해 P의 도핑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매우 고농도로 P가 도핑된 n형 반도체 양자점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 In이 완전히 제거되어 고순도의 P 도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p-n 정션(junction)을 이루는 n형 영역에 다양한 크기의 n형 반도체 양자점을 함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n형 도핑을 위해 상온에서 안정한 화합물 타겟(target)을 사용함에 따라 재현성 있는 불순물 원소 도핑이 가능하며, 완화된 공정조건에서 불순물 원소 도핑이 가능하며, 스퍼터링 및 열처리라는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에 의해 매우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n형 반도체 양자점이 구비된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광 흡수 효율이 우수한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일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다른 일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일 공정도이며,
도 4는 반도체 층의 열처리 전 및 열처리 후의 O, Si 및 P에 대한 SIMS 깊이분포도 분석 결과이며,
도 5는 반도체층의 열처리 전 및 열처리 후의 O, Si 및 In에 대한 SIMS 깊이분포도 분석 결과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로, 표면 산화막을 제거한 후 다결정실리콘층 위에 바로 전극을 올려 제조된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측정 결과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한 결과로, 표면 산화막을 제거한 후 다결정실리콘층 위에 투명전도막으로 80 nm의 ITO 박막을 형성한 태양전지 소자의 광전 효율 측정한 결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20: 복합적층층, 121: 매질층, 122, 123: 반도체층,
130: 양자점층, 131: 매질, 132: 양자점층,
133: 4족원소층, 134 : 표면산화물층
210 : 투명전도막, 310, 320 : 전극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양자점 형성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의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 상부에 InP 및 4족 원소를 함유하는 반도체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층(120)이 형성된 기판(110)을 열처리하고 수소화처리하여 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이 4족 원소를 함유하는 매질(matrix, 131)에 함입된 반도체 양자점층(130)이 제조된다.
상세하게, 상기 반도체층(120)은 4족 원소, 4족 원소의 산화물, 4족 원소의 질화물,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에 불순물로 InP가 강제 도핑된 막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20)에 함유된 4족 원소, 4족 원소의 산화물, 4족 원소의 질화물, 이들의 혼합물이 비정질 상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20)의 열처리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에 함유된 InP중 In이 선택적으로 증발(고상에서 기상으로의 증발) 제거되며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 상기 InP가 강제 도핑된 막인 반도체층(120)의 열처리시, 반도체층(120)에서 증기압의 차이에 의해 In만이 선택적으로 증발 제거되며, 순수하게 P로 도핑된 4족 원소의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InP는 상온에서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InP 타겟(target) 및 4족 원소의 타겟(target)을 이용한 물리적 증착법에 의해 불순물로 InP가 강제 도핑된 막인 반도체층(120)이 제조되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20)에 매우 고농도로 InP를 도핑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정밀하게 제어된 농도로 InP를 도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 상기 반도체층(120)은 물리적 증착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물리적 증착은 스퍼터링인 특징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반도체층(120)을 형성하는 스퍼터링은 박형의 InP 타겟과 박형의 4족 원소 타겟을 동시에 스퍼터링하여 증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기판(110)에 형성되는 반도체층(120)에 함유된 InP의 농도는 스퍼터링시 사용되는 상기 InP 타겟과 상기 4족 원소 타겟의 상대적인 스퍼터링 면적 또는 이온빔 세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상기 4족 원소는 Si, Ge 또는 SiGe화합물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기판은 p형 반도체 기판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은 상기 반도체층(120)에 함유된 4족 원소와 동일한 원소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도체층(120)은 4족 원소의 산화물, 4족 원소의 질화물,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에 불순물로 InP가 강제 도핑된 4족 원소 박막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는 상기 반도체 양자점층(130)은 4족 원소의 산화물, 4족 원소의 질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매질(131)에 다수개의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이 어레이를 이루며 상기 매질에 함입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바람직한 일 공정도로, 기판(110), 바람직하게 p형 반도체 기판 상부에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매질층(121)과 도 1을 기반으로 상술한 반도체층(122)을 번갈아 증착하여 다층 박막구조의 복합적층층(120')을 제조하는데 향 후 투명전도막 증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순수한 4족 원소층 (123)을 증착하고 그 위에 4족 원소 산화물층(124)을 증착한다.
상기 매질층(121)은 4족 원소의 산화물, 4족 원소의 질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복합적층층(120')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매질층(121)은 막 별로 서로 다른 물질(반도체산화물, 반도체질화물, 반도체산화물과 반도체질화물의 혼합물) 및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도체층(122)의 4족 원소가 산화물 상인 경우, 상기 매질층(121) 또한 산화물 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도체층(122)의 4족 원소가 질화물 상인 경우, 상기 매질층(121) 또한 질화물 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도체층(122)의 열처리를 통해 P 도핑된 4족 원소의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이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반도체 층(122)의 두께, 상기 반도체 층(122)의 조성, 상기 복합적층층(120')을 구성하는 반도체 층(122)의 수 등에 의해, 매질(131) 내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이 제어된다.
상세하게, 복합적층층(120')의 증착시, 상기 매질층(121) 및 반도체 층(122)의 두께를 각각 0.5 내지 5 nm가 되도록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적층층(120')의 두께를 수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로 제조하여, 복합적층층(120')의 열처리에 의해 제조되는 반도체 양자점층(130)의 두께가 수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1을 기반으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복합적층층(120')을 열처리하여 매질(131)내 다수개의 n형 반도체 양자점(132)과 표면에 다결정체의 4족원소층(133)이 형성된 반도체 양자점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In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며, 응력 완화 및 계면 에너지의 최소화를 구동력으로 매질에 둘러싸인 n형 반도체 양자점(132) 어레이가 제조되며, n형 반도체 양자점(132) 어레이를 형성한 후, 수소분위기에서 재 열처리하여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의 비결합 전자들을 수소와 결합시킨다.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을 형성시키기 위한 상기 열처리는 In의 선택적인 증발 제거, 매질의 물질, 반도체층의 물질, 제조하고자 하는 양자점의 크기 및 밀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나, 주된 고려 요소는 In의 선택적인 제거 및 양자구속효과를 갖는 n형 반도체 양자점의 생성으로, 이를 위해,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을 형성시키기 위한 상기 열처리는 900 내지 1150oC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의 제조시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아지는 경우 In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물질 이동이 어려워 반도체 양자점 형상을 얻기 어려우며, 열처리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In 뿐만 아니라 P 또한 제거될 위험이 있으며 반도체 양자점의 크기가 매우 불균일해질 위험 및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가 미미한 조립 입자가 생성될 위험이 있다.
상세하게, n형 반도체 양자점(132)을 형성시키기 위한 상기 열처리는 4족 원소의 산화물, 바람직하게 산화실리콘(SiO2)이 매질인 경우 1100 내지 1150 oC에서 수행되며, 반도체질화물, 바람직하게 질화실리콘(Si3N4)이 매질의 경우 900 내지 1100 oC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처리는 1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의 비결합 전자를 수소와 결합시키는 수소화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수소화단계의 열처리온도는 반도체 양자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반도체 양자점이 실리콘 양자점인 경우 포밍가스(forming gas; 95% Ar - 5% H2)를 이용한 수소분위기 하 600 내지 700oC 온도에서 30분 내지 90분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처리된 반도체층(130) 상부로 투명전도막 (210)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전도막(210) 위와 기판 아래쪽에 전극 (310, 320)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310, 320)은 도전성 금속 페이스트를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스텐실 프린팅 등의 통상의 프린팅 방법 또는 PVD/CVD를 이용한 증착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보다 바람직한 일 공정도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복합적층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복합적층층(120')상부로 4족 원소층(123)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4족 원소층(123) 상부로 4족 원소의 산화물층인 표면산화물층(124)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족 원소층(123)은 산화 또는 질화되지 않은 순수한 4족 원소의 매트릭스에 3족 또는 5족 원소가 불순물로 도핑된 박막이며, 상세하게, 비정질상의 4족 원소 박막 또는 다결정체의 4족 원소 박막이다. 일 예로, 상기 4족 원소층은 다결정 실리콘층이다. 이때, 상기 기판(110)이 p형 기판인 경우, 상기 4족 원소층(123)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족 원소층(123)은 양자점(132)에서 형성된 전자 및 정공의 흐름을 원활하게 전극으로 이동시키고 투명전도막(210)의 증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활한 광전하의 흐름 및 광전하의 재결합에 의한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4족 원소층(123)은 30 nm 내지 50 nm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산화물층(124)은 화학정량의 산소와 결합한 4족 원소의 완전한 산화물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열처리시 태양전지의 광 활성 영역 및 광전하 이동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표면 산화물층(124)은 열처리 이후에 제거되어야 하므로 20 nm 이상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20 nm 내지 50 nm의 두께이다.
이후, 도 2를 기반으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4족 원소층(123) 및 표면 산화물층(124)이 형성된 복합적층층(120')을 열처리 및 수소화 한 후, 상기 산화물층(124)은 식각액을 이용한 습식 에칭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물층(124)을 제거한 후, 표면에 노출된 4족 원소층(133)과 접하도록 상기 4족 원소층(133) 상부에 투명전도막 (210)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전도막(210) 위와 기판 아래쪽에 전극 (310, 3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제조된 복합적층층을 1100℃에서 20분간 열처리한 후,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O, Si, P 원소에 대한 SIMS 깊이분포분석 결과이며, 도 5는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O, Si, In 원소에 대한 SIMS 깊이분포분석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열처리에 의해 In은 증착된 양의 분석기가 검출할 수 있는 정도로 완전히 제거되고 P는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InP가 도핑된 비정질 Si 막을 반도체 층(1 nm)으로, 실리콘 산화물을 매질층(2 nm)으로,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매질층을 33회 반복 적층하여 복합적층층을 생성한 후, InP가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층(30 nm) 및 실리콘 산화물층(20 nm)을 형성 한 후, 1100℃에서 20분간 열처리하고 수소분위기에서 600℃에서 30분간 수소화처리하여 제조된 양자점 태양전지에 대하여 BOE 용액으로 표면 산화막(134)을 제거한 후 4족 원소층(133) 위에 바로 전극을 올린 태양전지의 효율측정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은 도 6과 유사한 소자에서 다4족 원소층(133) 위에 투명전도막으로서 80 nm 정도의 ITO박막을 적용한 태양전지 소자의 광전 효율을 측정한 결과로 투명전도막을 도입할 경우 약 25%의 효율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반도체 양자점 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기판 상부에 4족 원소 및 InP를 함유하는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층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In(Indium)을 제거하고 P(phosphorus)가 도핑된 4족 원소 양자점인 n형 반도체 양자점을 형성하는 양자점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4족 원소; 또는 4족 원소의 화합물;에 상기 InP가 물리적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비정질상(amorphous phas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질화물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산화물의 박막,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족 원소 및 InP를 함유하는 반도체층은 물리적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증착은 스퍼터링(sputtering)이며, 상기 스퍼터링은 4족 원소의 타겟; 및 InP 타겟;을 이온빔으로 동시스퍼터링하여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a) p형 반도체 기판 상부에 매질층과 상기 반도체층을 교번 적층하여 복합적층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합적층층을 열처리하여 반도체질화물, 반도체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매질 내 P(phosphorus) 도핑된 반도체 양자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P(phosphorus) 도핑된 반도체 양자점의 비결합 전자를 수소와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InP가 도핑된 4족 원소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질화물의 박막, InP가 도핑된 4족 원소 산화물의 박막, 또는 이들의 적층박막이며, 상기 매질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독립적으로 4족 원소의 질화물, 4족 원소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으로 0.5 nm 내지 5 n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형성 단계 이후, 상기 기판 및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며,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전극인 두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반도체 양자점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3족 또는 5족 원소가 도핑된 다결정체의 4족 반도체층인 다결정반도체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900 내지 11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족 원소는 Si 및 Ge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00060404A 2010-06-25 2010-06-25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KR10110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04A KR101103330B1 (ko) 2010-06-25 2010-06-25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US13/806,313 US8865513B2 (en) 2010-06-25 2010-07-02 High-density P-doped quantum dot solar cell obtained by the active doping of InP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PCT/KR2010/004307 WO2011162433A1 (ko) 2010-06-25 2010-07-02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CN201080067722.9A CN102959722B (zh) 2010-06-25 2010-07-02 Inp强制掺杂的高浓度掺p量子点太阳能电池及制造方法
JP2013516484A JP5603490B2 (ja) 2010-06-25 2010-07-02 Inpの強制ドーピングによる高濃度pドープ量子ドット太陽電池及び製造方法
DE112010005699T DE112010005699T5 (de) 2010-06-25 2010-07-02 Hochkonzentrierte P-Dotierte durch aktives Dotieren von INP erhaltene Quantenpunkt-Solarzell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v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04A KR101103330B1 (ko) 2010-06-25 2010-06-25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98A KR20120000198A (ko) 2012-01-02
KR101103330B1 true KR101103330B1 (ko) 2012-01-11

Family

ID=4537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04A KR101103330B1 (ko) 2010-06-25 2010-06-25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5513B2 (ko)
JP (1) JP5603490B2 (ko)
KR (1) KR101103330B1 (ko)
CN (1) CN102959722B (ko)
DE (1) DE112010005699T5 (ko)
WO (1) WO2011162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431A1 (ja) * 2011-10-14 2013-04-1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源装置
KR101257492B1 (ko) * 2011-10-17 2013-04-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b 또는 InP 도핑을 이용한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E102013219561A1 (de) * 2013-09-27 2015-04-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hotovoltaischen Solarzelle mit zumindest einem Heteroübergang
JP2016100576A (ja) * 2014-11-26 2016-05-30 京セラ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CN104810159B (zh) * 2015-05-12 2017-04-19 中国工程物理研究院材料研究所 一种锡掺杂磷化铟量子点敏化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KR101701192B1 (ko) * 2016-12-05 2017-02-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광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7300B1 (ko) * 2016-12-15 2018-11-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실리콘 양자점 정밀제어 및 활성화에 의한 광활성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1856B1 (ko) * 2017-12-18 2023-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양자점층을 포함하는 광전 소자
KR101976673B1 (ko) * 2017-12-19 2019-05-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리콘 태양전지
KR102166074B1 (ko) * 2018-12-03 2020-10-16 한국세라믹기술원 양자점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6802A1 (en) * 2006-03-23 2008-03-20 Solexant Corp. Photovoltaic device containing nanoparticle sensitized carbon nanotubes
US20090217967A1 (en) * 2008-02-29 2009-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ous silicon quantum dot photodetector
KR20090103114A (ko) * 2008-03-27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검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9722A (ko) * 2008-08-11 2010-02-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점나노선 어레이 태양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367A (en) * 1983-10-31 1985-02-19 At&T Bell Laboratories LPE Growth on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s containing phosphorus
US6372582B1 (en) * 1999-08-18 2002-04-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dium retrograde channel doping for improved gate oxide reliability
JP3753605B2 (ja) * 2000-11-01 2006-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751805A4 (en) * 2004-04-30 2007-07-04 Newsouth Innovations Pty Ltd ARTIFICIAL AMORPH SEMICONDUCTORS AND APPLICATIONS TO SOLAR CELLS
KR20070044981A (ko) * 2005-10-26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 구동형 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8294137B2 (en) * 2009-01-02 2012-10-23 Faquir Chand Jain Twin-drain spatial wavefunction switched field-effect transistors
US20110146766A1 (en) * 2008-02-26 2011-06-23 Solar Cells Based On Quantum Dot Or Colloidal Nanocrystal Films Solar cells based on quantum dot or colloidal nanocrystal films
KR101060014B1 (ko) * 2008-08-28 2011-08-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점 태양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067801A (ja) * 2008-09-11 2010-03-25 Seiko Epson Corp 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6802A1 (en) * 2006-03-23 2008-03-20 Solexant Corp. Photovoltaic device containing nanoparticle sensitized carbon nanotubes
US20090217967A1 (en) * 2008-02-29 2009-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ous silicon quantum dot photodetector
KR20090103114A (ko) * 2008-03-27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검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9722A (ko) * 2008-08-11 2010-02-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점나노선 어레이 태양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9722A (zh) 2013-03-06
CN102959722B (zh) 2015-10-07
US8865513B2 (en) 2014-10-21
KR20120000198A (ko) 2012-01-02
DE112010005699T5 (de) 2013-04-25
JP2013530539A (ja) 2013-07-25
US20130122640A1 (en) 2013-05-16
JP5603490B2 (ja) 2014-10-08
WO2011162433A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330B1 (ko) InP의 강제도핑에 의한 고농도 P 도핑 양자점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JP6139599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TWI395034B (zh) 薄膜電晶體陣列基板、顯示面板、液晶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US9425336B2 (en) Photo active layer by silicon quantum do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768907B1 (ko) 태양 전지 제조 방법
KR20160061369A (ko) 수분 장벽을 가진 에피택셜 규소 태양 전지
KR101676750B1 (ko) 기판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59681B1 (ko)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및 유기발광소자
TWI424582B (zh) 太陽能電池的製造方法
CN106252458B (zh) 制造太阳能电池的方法
KR20090028883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14169A1 (en) Nanostring mats, multi-junc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TW201234614A (en)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40166091A1 (en) Photovoltaic device with double-junction
KR20110130191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152205A (ja) 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67975A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61346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03677B1 (ko) Cis계 태양전지 제조방법
KR20160122467A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WO2013069492A1 (ja) バイパスダイオード
KR20160111623A (ko) 태양 전지
CN114744053B (zh) 太阳能电池及生产方法、光伏组件
US9012314B2 (en) Method for forming patterned doping regions
KR101854237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