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063B1 -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 Google Patents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063B1
KR101103063B1 KR1020090112707A KR20090112707A KR101103063B1 KR 101103063 B1 KR101103063 B1 KR 101103063B1 KR 1020090112707 A KR1020090112707 A KR 1020090112707A KR 20090112707 A KR20090112707 A KR 20090112707A KR 101103063 B1 KR101103063 B1 KR 10110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arch
user
modu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6034A (en
Inventor
공승남
Original Assignee
(주)오피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피엔 filed Critical (주)오피엔
Priority to KR102009011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06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보호와 검색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진행한 인터넷 검색 이력을 직접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서, 각종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검색 이력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저장수단(111)과,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검색사이트별로 저장하는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을 구비한 저장모듈(110); 웹브라우저(200)의 인터넷통신모듈(220)과 연계하면서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검색사이트와 키워드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사이트확인수단(121)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을 구비한 로그인모듈(120); 및 웹브라우저(200)의 출력창관리모듈(210)과 연계하면서 인터넷 창(10)에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생성시키되, 키워드저장수단(111)을 검색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하는 키워드게시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arch operatio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o directly manage and use the Internet search history, which is provided by various websit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the use efficiency of an Internet search service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search history, wherein the keyword storage means 111 stores a keyword entered by a user in a search box of a search site; A storage module 110 having search history storing means 112 for storing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posted by the search site for each search site according to a keywor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web browser 200, the site verification means 121 to check the search sit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keyword to pass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the search site posted A login module 120 having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which check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among the results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generating a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window 10 while being linked with the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210 of the web browser 200, searching for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and outputting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is included.

Description

개인정보 보호와 검색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본 발명은 개인정보 보호와 검색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진행한 인터넷 검색 이력을 직접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서, 각종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검색 이력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arch operatio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o directly manage and use the Internet search history, which is provided by various websit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the use efficiency of an Internet search service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n a search history.

인터넷은 인간생활의 필수 통신매체이고, 인간은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정보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되었다.The Internet is an essential communication medium for human life, and humans can easily and quickly obtain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t any time and place.

상기 정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검색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상기 검색사이트는 키워드 검색에 대한 작업 효율을 개선하거나 검색환경을 새롭게 해서, 많은 사용자가 자신의 검색사이트에서 키워드 검색 작업을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검색사이트는 특정한 키워드 검색에 대해서는 다른 검색사이트와의 차별성을 두어서, 특정한 사용자의 접속을 유도하기도 한다.The information is generally provided by various search sites, and the search site improves work efficiency for keyword search or refreshes the search environment, thereby inducing many users to conduct keyword search work on their search sites. In addition, a search site may distinguish a particular keyword search from other search sites to induce a specific user's access.

그런데,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검색사이트의 제공 정보가 많아지고, 각 검색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의 질적 차이도 대동소이해지면서, 사용자는 오히려 수많은 검색결과물에 의한 혼란을 받게 되었다.However, a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numerous search sites providing keyword search services increases and the quality difference between the search services provided by each search site becomes largely similar, users are rather confused by numerous search results.

게다가,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횟수가 증가하고 이러한 인터넷 검색이 일상화되면서, 사용자는 자신이 검색한 동일 키워드에 대해 반복적으로 재검색을 하는 것이 당연시되었고, 이는 동일한 키워드 검색을 위해 동일한 검색사이트에서 동일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동일한 검색결과물을 클릭해 확인하는 획일적이고 비효율적인 방식을 반복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information searches on the Internet has increased and these Internet searches have become commonplace, it is natural for users to repeatedly search for the same keyword they searched for, which means that the same keyword can be searched on the same search site for the same keyword search. This creates a problem of repeating a uniform and inefficient way of typing and clicking on the same search results.

물론, 이러한 비효율은 수많은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인터넷에서, 사용자가 제한된 범위의 정보만을 얻게 되는 불합리함을 야기시켰고, 이를 통해 키워드 검색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켰다.Of course, this inefficiency has caused an irrationality in which the user obtains only a limited range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hich ha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reby causing another problem of low user confidence in keyword search.

한편, 가정 또는 학교 등에서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한 대의 컴퓨터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임의 사용자가 작업한 검색 이력이 미처 삭제되거나 편집되지 못한 채 당해 컴퓨터에 남아 기록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남은 기록은 다른 사용자가 확인해 개인정보를 유출시킬 수도 있고, 범죄 등에 악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t home or school, many users can jointly use one computer to access the Internet. However, the search history of any user may be recorded in the computer without being deleted or edited. Of course, the remaining records may be leaked by other users to leak personal information, or may be misused.

따라서, 공동으로 사용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검색 이력 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개인정보 또한 보호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earch history management using a common computer must be systematic as well as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protec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키워드 검색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서, 동일한 키워드 검색시에도 다양한 검색사이트 이용 및 검색방식을 활용해 폭넓은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고, 개인적인 검색 이력에 대해서는 타인의 접근을 방지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와 검색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ffectively manages the user's keyword search history, so that a wide range of 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using various search sites and search methods even when searching for the same keyword. For the personal search history, the technical task i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by preventing other people's access and to provide a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arch work.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저장수단과,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검색사이트별로 저장하는 검색이력저장수단을 구비한 저장모듈;A storage module including keywor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keyword input by a user in a search box of a search site and search history storage means for storing link information of a search result posted by a search site for each search site according to the keyword;

웹브라우저의 인터넷통신모듈과 연계하면서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검색사이트와 키워드를 확인해서 저장모듈로 전달하는 사이트확인수단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확인해서 저장모듈로 전달하는 클릭정보확인수단을 구비한 로그인모듈; 및It is linked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web browser and checks the search site where the user inputs the keyword and the keyword and sends it to the storage modul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among the search results posted by the search site. A login module having a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for checking and delivering to the storage module; And

웹브라우저의 출력창관리모듈과 연계하면서 인터넷 창에 키워드게시프레임을 생성시키되, 키워드저장수단을 검색해 키워드게시프레임에 출력하는 키워드게시모듈;A keyword posting module which generates a keyword posting frame in an internet window while being associated with an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of a web browser, and searches for keyword storing means and outputs the keyword posting frame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을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이다.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시한 인터넷 검색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서, 사용자가 자신이 검색한 키워드별 접근 웹사이트의 이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키워드에 대한 검색작업시에는 상기 이력 정보를 통해 미처 확인해보지 못한 영역에서의 검색작업을 진행해서 보다 폭넓은 검색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임의 사용자가 행한 검색 이력 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ry of the Internet search performed by the user is systematically managed so that the user can efficiently check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access website for each keyword searched by the user, and the history information when searching for the same keyword is performed. Through the search operation in the area that has not been confirmed through the can obtain a wider search results, while protec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by preventing the unauthorized leakage of search history information performed by any us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00)은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10)과, 키워드 검색결과물 정보와 상기 검색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여부 등을 확인하는 로그모듈(120)과,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 목록을 인터넷 창(10; 도 2 참조)에 게시하는 키워드게시모듈(130)과, 사용자가 인터넷 창(10)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창편집모듈(140)과, 사용자 자신이 검색한 키워드 및 검색 이력 등을 확인해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을 포함한다.Th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odule 110 for storing a keyword and search related information for the keyword, and a log module for checking keyword search result information and whether a user accesses the search result. 120, a keyword posting module 130 for posting a list of keywords searched by the user to the internet window 10 (see FIG. 2), and an output window editing module 140 for allowing the user to edit the internet window 10. And a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for checking and editing the keyword and the search history searched by the user.

상기 각 모듈(110, 120, 130, 140, 150)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Each module 110, 120, 130, 140,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저장모듈(110)은 키워드저장수단(111)과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을 포함한다.The storage module 110 includes a keyword storing means 111 and a search history storing means 112.

키워드저장수단(111)은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위해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키워드는 검색 이력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 ①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한 후 검색을 실시해 검색결과물이 출력된 것, 또는 ②출력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링크된 웹사이트에 접근한 적이 있는 것 등으로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stores the keyword entered by the user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site for keyword searching. At this time, the stored keyword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earch history, ① the user inputs in the search box to perform a search result is output, or ②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of the output search results linked It may be limited to having access to the website.

예를 들어 설명하면, ①의 경우는 사용자가 임의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특허'라는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을 시도해서 상기 검색사이트가 검색결과물을 출력했다면, 당해 키워드를 저장하는 것이고, ②의 경우는 사용자가 '특허'라는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해 검색을 시도해서 상기 검색사이트가 검색결과물을 출력해야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출력된 검색결과물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해 해당 웹사이트로 접근해야 당해 키워드를 저장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①, if a user inputs the keyword 'patent' into a search box of an arbitrary search site and attempts to search and the search site outputs a search result, the keyword is stored.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the keyword 'patent' into the search box to search and the search site not only outputs the search results, but also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of the search results and accesses the corresponding website. To save it.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은 키워드의 검색결과물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검색결과물 정보는 검색을 진행한 검색사이트의 종류, 검색을 진행한 시간, 검색된 검색결과물 등에 대한 정보가 될 것이다. 참고로,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이 저장하는 검색결과물은 사용자가 클릭하지 않아도 해당 검색사이트가 검색한 모든 검색결과물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클릭해서 접근한 검색결과물로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earch history storage unit 112 stores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of the keyword, and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search site which performed the search, the time when the search is performed, the searched search result, and the like. For reference, the search results stored by the search history storage unit 112 may be all search results searched by the corresponding search site without the user clicking, or may be limited to search results accessed by the user clicking.

로그모듈(120)은 사이트확인수단(121)과,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을 포함한다.The log module 120 includes a site checking means 121 and a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사이트확인수단(121)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키워드 검색을 진행한 검색사이트 및 검색 시간 등을 확인한다.The site checking means 121 checks the keyword input by the user, the search site where the keyword is searched, the search time, and the like.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은 웹브라우저(200)의 인터넷통신모듈(220)과 연계해서 검색결과물에 대한 웹사이트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확인 대상이 되는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검색한 모든 검색결과물의 링크 사이트 정보, 또는 게시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해 접근한 검색결과물의 링크 사이트 등이 될 것이다.The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checks the website information on the search result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web browser 200. The website to be checked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keyword input by the user. Link site information of all the search results searched by the site, or the link site of the search result that a user clicks from the published search results.

참고로, 상기 웹사이트 정보는,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웹페이지의 스크립트 정보 확인, 또는 게시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의 클릭 후 해당 웹사이트로 접근하면서 확인되는 URL 및 링크 정보 확인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websit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through checking the script information of the web page where the search results are posted or checking the URL and link information which is confirmed by accessing the website after the user clicks among the posted search results. have.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사용자가 검색을 위해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인터넷 창(10)에 출력하는 것으로, 출력방식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outputs a keyword inputted in a search box of a search site to the internet window 10 for searching, and the output method may be very diverse.

도 2 내지 도 4(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 실행시 출력되는 인터넷 창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를 참조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는 인터넷 창(10)의 일 지점을 점유하는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된다. 즉, 사용자가 웹브라우저(200)를 실행하면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웹브라우저(200)의 출력창관리모듈(210)과 연동해서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생성시키고, 이와 동시에 키워드저장수단(111)에서 키워드를 검색한 후, 상기 키워드를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2 to 4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window output whe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e keyword searched by the user is a keyword publication occupying a point of the Internet window 10. Posted in frame 12. That is, when the user executes the web browser 200, 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generates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in conjunction with the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210 of the web browser 200, and at the same time, keyword storage means. After the keyword is searched at 111, the keyword is posted in the keyword post frame 12.

결국,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 웹브라우저(200)를 실행하면, 웹브라우 저(200)가 출력하는 인터넷 창(10)에 사용자 자신이 검색했던 키워드가 게시되어서, 동일한 키워드 검색에 대한 편의가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주업무 또는 최근 관심에 대해 반복적으로 인터넷 검색을 진행하는 성향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게시 기술은 이러한 성향을 고려해 개발된 것이라 할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user executes the web browser 200 to access the Internet, the keyword searched by the user himself is posted on the Internet window 10 output by the web browser 20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same keyword search. do. In general, a user tends to repeatedly search the Internet for his or her main work or recent interests, and the keyword post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such a tendency.

한편, 키워드게시모듈(13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키워드를 게시할 수 있는데, 도 2(a)와 같이 메뉴프레임(11)과 웹페이지프레임(13) 사이에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만을 게시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 이외에 별도의 키워드제공장치(300)가 제공하는 키워드를 함께 게시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별도의 보조창(20)을 통해 게시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웹페이지프레임(13') 내에 상기 키워드를 게시하기 위한 이력정보 게시부(14)를 추가해서 게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may post keywords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keyword is displayed between the menu frame 11 and the web page frame 13 as shown in FIG. After the post frame 12 is formed, only the keyword searched by the user may be posted. In addition to the keyword searched by the user in the keyword post frame 12 'as shown in FIG. The provided keywords may be posted together, or may be posted through a separate auxiliary window 20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4, a history information posting unit for posting the keyword in the web page frame 13 ′ ( You can also post by adding 14).

기타,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키워드게시프레임(12, 12')은 인터넷 창(10)의 좌측, 우측 또는 하단에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키워드게시프레임(12, 12')의 위치는 관리시스템(100)의 출력창편집모듈(14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keyword posting frames 12 and 12 'may be located at the left, right, or bottom of the Internet window 10, and the position of the keyword posting frames 12 and 12' is determined by the management system ( Through the output window editing module 140 of 100 may be adjusted directly by the user.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해 키워드게시모듈(130)을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사용자가 행하는 키워드 검색과정에 대응해서 키워드게시프레임(12, 12')에 게시되는 키워드의 내용을 조정할 수 있다.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may adjust the content of the keyword posted in the keyword posting frames 12 and 12 'in response to a keyword search process performed by the user.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200)를 실행시키면, URL 및 각종 메뉴가 게시되는 메뉴프레임(11)과 웹페이지프레임(13)과 키워드게시프레임(12)이 포함된 인터넷 창(10)이 출력되고,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진행한 인터넷 검색에 대한 키워드가 게시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executes the web browser 200 as illustrated in FIG. 2 (a), a menu frame 11, a web page frame 13, and a keyword post that publish a URL and various menus are posted. The internet window 10 including the frame 12 is outputted, and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posts a keyword for an internet search previously performed by the user.

물론, 사용자는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된 키워드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진행했던 검색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검색이 빈번한 키워드에 대해서는 검색창에 당해 키워드를 입력하는 수고 없이 마우스 커서(10a)의 활용을 통한 손쉬운 검색작업 진행을 할 수 있다.Of course, the user can check the search history that he / she proceeded while checking the keywords posted in the keyword post frame 12, and for the keywords frequently searched, the mouse cursor 10a without the trouble of inputting the keyword in the search box. You can easily proceed through the search operation.

계속해서, 사용자가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된 키워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인터넷 창(10)의 웹페이지프레임(13)에는 검색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결과물이 게시될 수 있다. 즉, 키워드게시모듈(130)은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서 사용자가 클릭한 키워드를 확인해 웹브라우저(2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검색사이트에 입력함으로서, 사용자가 마치 상기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상기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을 진행하는 것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keywords posted in the keyword post frame 12, as shown in FIG. 2 (b), the web page frame 13 of the corresponding Internet window 10 is provided in the search site. Search results can be posted. That is, 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checks the keyword clicked by the user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nd inputs it to the search site to which the web browser 200 is currently connected, so that the user can enter the search box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site. Entering a keyword is the same as doing a search.

계속해서,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는 사용자가 클릭한 키워드와 관련한 상세 키워드가 게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키워드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근에 검색한 검색 이력과, 별도의 키워드제공장치(300)가 제공하는 추천 검색 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Subsequently, detailed keyword related to the keyword clicked by the user may be posted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Here, the detailed keyword may include a search history recently searched by the user and a recommended search history provided by the separate keyword providing apparatus 300 as shown in FIG. 2 (b).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대출'에 관심이 있어서 임의 검색사이트에서 '대출'을 키워드로 하는 검색을 진행한 경험이 있을 수 있다. 로그인모 듈(120)의 사이트확인수단(121)은 사용자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검색사이트와,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인 '대출' 등을 확인하고, 저장모듈(110)의 키워드저장수단(111)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상기 검색사이트에서 검색한 검색결과물 중 하나를 선택하면,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은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결과물과 링크된 정보(이하 링크정보)를 확인한 후 검색이력저장수단(112)에 저장한다. 물론, 상기 링크정보는 키워드저장수단(111)에 저장된 키워드와 링크돼 저장될 것이다.In more detail, the user may be interested in 'loaning' and may have experience in performing a search using 'loan' as a keyword on any search site. The site checking means 121 of the login module 120 checks the search site to which the user is currently connected, 'loan', which is a keyword input into the search box, and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of the storage module 110. ). 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earch results searched on the search site, the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checks th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nk information) linked with the search resul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n the search history storing means 112 ). Of course, the link information will be stored in link with the keyword stored in the keyword storage means 111.

참고로, 상기 링크정보는 해당 검색결과물과 링크된 웹사이트의 주소, 검색시간 등으로, 상기 웹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정보가 될 것이다.For reference, the link information may be public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website, such as the address of the websit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the search time, and the like.

한편, 검색이력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상기 링크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2(a)의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서 '대출'을 클릭할 때 출력되는 도 2(b)의 키워드게시프레임(12)의 '최근검색'에 게시된다. 즉, 사용자가 이전에 진행한 키워드 검색 결과를 당해 사용자가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link information stored in the search history storing unit 112 may be output when the user clicks 'loan' in the keyword post frame 12 of FIG. 2 (a). Posted in the 'recent search' of the keyword post frame (12). In other words, the user can reuse the keyword search results previously performed by the user.

이와 더불어, 별도의 키워드제공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검색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추천검색' 란을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추가시켜서, 사용자가 직접 확인한 검색결과물은 물론, 기타 다양한 루트를 통한 검색결과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도 2(a)에서 '대출'을 클릭함으로서, 해당 검색사이트가 웹페이지프레임(13)을 통해 제공하는 검색결과물은 물론, 자신의 검색 이력과 별도의 키워드제공장치(300)가 제공하는 검색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dding a 'recommended search' field to post the search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parate keyword providing device 300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s well as various other routes as well as the search results confirmed by the user Provide search results through For reference, the user clicks on 'loan' in FIG. 2 (a), and the search result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search site through the web page frame 13, as well as his or her search history and keyword providing apparatus 300. You can check the search results provided by.

여기서, 키워드제공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00)과 인터넷으로 연결된 별도의 광고물 제공서버(미도시함)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 치되어서 주기적으로 광고물 데이터를 갱신받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keyword providing device 300 may be a separate advertisem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periodically to the advertisement data It may be an updated program.

도 3을 참조해 키워드게시모듈(130)을 계속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keyword publishing module 130.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사용자가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된 키워드를 클릭하면서 동작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10a)를 키워드게시프레임(12)의 임의 키워드에 근접시키면, 별도의 보조창(20)을 출력시켜서 사용자가 곧바로 원하는 검색결과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may operate while the user clicks on a keyword posted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or the user may move the cursor 10a to an arbitrary keyword of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so, a separate auxiliary window 20 may b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desired search result.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대출' 키워드에 커서(10a)를 근접시키면, 상기 '추천검색' 및 '최근검색'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력을 게시한 보조창(20)이 출력되면서,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moves the cursor 10a to the 'loan' keyword, an auxiliary window 20 is displayed in which one or more of the 'recommended search' and 'recent search' are posted. One or more of the choices.

물론, 보조창(20)은 커서(10a)의 근접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마우스의 오른쪽 또는 왼쪽 버튼으로 지정된 공지,공용의 기능키를 클릭함으로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auxiliary window 20 may be output in proximity to the cursor 10a, or may be output by clicking a public function key designated by a right or left button of a mouse.

도 4를 참조해 키워드게시모듈(130)을 계속 설명한다.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사용자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서 '대출' 키워드를 클릭하면, 현재의 검색사이트는 '대출'과 관련한 검색결과물을 웹페이지프레임(13')에 출력하되, 키워드게시프레임(12)은 변동없이 웹페이지프레임(13')에 이력정보 게시부(14)가 출력되면서 상기 '추천검색' 및 '최근검색'을 별도로 게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on the 'loan' keyword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s shown in FIG. 2 (a), the current search site outputs the search result related to 'loan' to the webpage frame 13 '. In addition, the keyword post frame 12 may post the 'recommended search' and 'recent search' separately while the history information posting unit 14 is output to the web page frame 13 'without change.

결국, 사용자는 웹페이지프레임(13')에 출력되는 검색결과물에 상관없이 일정한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의 전환 을 손쉽게 이룰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check the predetermined keyword post frame 12 irrespective of the search result output to the web page frame 13 ',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witch the keyword to searc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은 탭관리수단(151)과 식별수단(152)을 포함한다.The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 management means 151 and an identification means 152.

탭관리수단(151)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되고 있는 관리툴 메뉴(12a)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인터넷 창(10)과는 별도의 관리창(30)을 출력해서 사용자 자신이 행한 검색 이력을 편집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clicks on the management tool menu 12a outputted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separates the management window from the Internet window 10. 30) can be printed to allow the user to edit and manage his or her search history.

이를 위해 탭관리수단(151)이 출력하는 관리창(30)은 정보게시프레임(31)과 기능선택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nagement window 30 output by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may include an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and a function selection frame 32.

정보게시프레임(31)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검색사이트에서 행한 검색 정보를 게시하는 것으로, 상기 검색 정보에는 검색시 입력된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작업을 진행한 검색사이트와, 검색사이트가 제공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접속한 접속사이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b),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posts search information performed by a user on a specific search site. The search information includes a keyword inputted during a search and a sear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keyword. The search site and the search results provided by the search sit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site accessed by the user.

한편, 사용자는 동일한 키워드를 가지고 다양한 검색사이트에서 검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검색사이트별로 그 검색결과물이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검색결과물 중 접속하는 사이트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게시프레임(3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해 선택함으로서 재확인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user may perform a search operation on various search sites with the same keyword, the search results may vary for each search site, and the site that the user accesses among the search results may also vary. Therefore, as shown in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reconfirm by selecting and selecting a variety of information.

계속해서, 기능선택프레임(32)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정보게시프레임(31)의 출력형식을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정보게시프레임(31)에 게시되는 키워드의 배열을 조정할 수 있는 '키워드 정렬 옵션'과, 사용자가 검색한 이력에 대해 타인이 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생활 보호 설정' 등이 포함되었다.Subsequently, the function selection frame 32 allows the output format of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to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keyword posted on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is used. It includes 'keyword sorting options' that let you adjust the arrangement, and 'privacy settings' that let you limit what others see on your search history.

참고로, '키워드 정렬 옵션'은 최근검색 순, 검색사이트 순, 키워드 순 등이 제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최근검색 순이 선택되면 정보게시프레임(31)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식으로 검색 이력을 출력하고, 검색사이트 순이 선택되면 키워드와 검색사이트의 순서가 뒤바뀌면서 검색사이트를 기준으로 키워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될 것이다. 물론, 키워드 순이 선택되면 도 5(b)에 도시한 형식으로 출력될 것이다.For reference, 'keyword sorting options' may be presented in order of recent search, search site, keyword,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recent search order is selected,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is shown in FIG. 5 (b). If the search history is output in the form as shown, and the search site order is selected, the keywords and the search site are reversed so that the keywords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search site. Of course, if the keyword order is selected, it will be output in the format shown in FIG.

한편, '사생활 보호 설정'은 브라우저 종료시 자동삭제, 성인키워드 패스워드 잠금, 컴퓨터 종료시 자동삭제 등이 제시될 수 있는데, 브라우저 종료시 자동삭제와 컴퓨터 종료시 자동삭제가 선택되면 기재된 바와 같이 당해 사용자의 검색 이력이 해당 조건 충족시 삭제될 것이고, 성인키워드 패스워드 잠금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진행한 검색 이력 중 성인키워드 관련 이력은 타인이 볼 수 없도록 잠금 처리되도록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Privacy Settings' may be presented when the browser is closed, adult keyword password lock, and when the computer is shut down automatically. When the corresponding condition is satisfied, it will be deleted, and if the adult keyword password lock is selected, the adult keyword related history among the search history progressed by the user will be locked so that others cannot see it.

상기 성인키워드 패스워드 잠금과 관련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dult keyword password l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이 성인키워드를 관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dult keyword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은 키워드확인수단(153)을 더 포함한다.The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eyword checking means 153.

키워드확인수단(153)은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에 입력한 키워드 중 성인키워드로 지정된 키워드가 확인되면, 상기 키워드와 검색결과물 및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을 별도 관리하고, 이후 사용자가 기능선택프레임(32)의 '성인키워드 패스워드 잠금'을 선택하면, 상기 키워드와 검색결과물 및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이하 성인 검색결과물)의 정보게시프레임(31) 내 출력을 제한토록 한다. The keyword checking means 153 separately manages the keyword and the search result and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when a keyword designated as an adult keyword is identified among the keywords input by the user on the search site, and then the user selects a function selection frame 32. If the 'adult keyword password lock' is selected, the output in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of the keyword and the search result and the search resul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ult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is restricted.

참고로, 성인키워드의 지정은 본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별도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the adult keyword can be designated by yourself or may be set separately.

한편, 성인 검색결과물은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므로, 검색을 직접 진행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은 식별수단(152)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dult search results are not to be seen by others, the user who has performed the search should be able to confirm this, the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means 152 for this purpose. do.

식별수단(152)은 관리창(30)을 출력시킨 후 '성인키워드 패스워드 잠금'을 선택한 사용자를 지정하기 위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생성창(40)을 출력한다. The identification means 152 outputs the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as shown in FIG. 7A to designate a user who has selected 'adult keyword password lock' after outputting the management window 30.

사용자는 출력된 비밀번호 생성창(40)의 지시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관리수단(151)은 성인키워드로 지정된 '누드' 및 관련 성인 검색결과물을 잠금상태로 표시한다. 즉, 비밀번호를 설정한 사용자 이외에는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the tap management means 151 locks the 'nude' designated by the adult keyword and related adult search results as shown in FIG. Display as status. That is, only the user who has set a password can see the related information.

이후, 사용자가 잠금상태로 있는 성인 검색결과물에 커서(10a)를 인접시키거나 클릭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수단(152)은 비밀번호 입력창(50)을 출력한다. 물론, 비밀번호 입력창(50)에 옳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식별수단(152)은 이를 확인해 탭관리수단(151)에 전송하고, 탭관리수단(151)은 잠금상태로 있는 성인 검색결과물을 정상적으로 출력 게시할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places or clicks the cursor 10a adjacent to the locked adult search result, the identification means 152 outputs the password input window 50 as shown in FIG. Of course, if the correct password is input to the password input window 50, the identification means 152 checks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outputs the adult search results in a locked state normally Will pos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관리창(30)은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검색 이력을 개별 관리하면서 개인정보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nagement window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terminal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while individually managing their own search histor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탭관리수단(151)은 사용자가 자신의 전용 탭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탭생성창(6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탭생성창(60)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상기 기능키를 선택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커서(10a)를 관리창(30) 내에 배치한 후 마우스의 기능키를 클릭하면 탭생성창(60)이 출력되면서 일반 탭 또는 보호 탭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o this end,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orm his own dedicated tab, through which the user can output the tab creation window 60 as shown in FIG. have. In this case, in order to output the tab generation window 60, the user may select the function key of the mouse. 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10a in the management window 30 and clicks a function key of the mouse, the tab generation window 60 may be output and the general tab or the protection tab may be generated.

사용자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탭 생성'을 클릭하면, 탭관리수 단(151)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게시프레임(31')에 새로운 탭이 생성되도록 한다. 물론, 새로운 탭의 이름은 공지,공용으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user clicks on 'Generate General Tab' as shown in FIG. 8 (a), the tab management step 151 displays a new tab in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as shown in FIG. 8 (b). To be created. Of course, the name of the new tab may be entered by the user in public notice.

한편,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게시프레임(31')은 다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최근검색' 탭과, '철이'라는 사용자가 생성해 사용하는 탭과, 이번에 '순이'라는 사용자가 생성해 사용하는 탭을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해서 키워드 검색을 진행하면, 관련 검색 이력은 선택된 탭으로만 입력될 것이다. 즉,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이 '순이'로 선택되면, 관리창(30)을 닫고 키워드 검색을 진행하더라도, 검색 이력은 '순이' 탭에 기록돼 저장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b),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the recent search' tab that is used jointly by a plurality of users, the tab that is created and used by the user 'cheol', and this time ' The tabs are created and used by the user, and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em and performs a keyword search, the relevant search history will be entered only in the selected tab. That is, if the tab is selected as 'sun' as shown in FIG. 8 (b), even if the management window 30 is closed and the keyword search is performed, the search history will be recorded and stored in the 'sun' tab.

참고로, 관리창(30)의 기능선택프레임(32)은 선택된 탭에 한정해서 그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 selection frame 32 of the management window 30 be limited to the selected tab and proceed with the opera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8을 참조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은 사용자가 본인만의 검색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그 보안이 요구될 때가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tab is for the user to effectively manage his or her own search history, and sometimes the security is required.

따라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생성창(60)의 '보안 탭 생성'을 선택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수단(152)은 비밀번호 생성창(40)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생성하면 해당 탭은 비밀번호 확인 후에만 접근이 가능하 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selecting the 'create security tab' of the tab generation window 60 as shown in Fig. 9 (a), as shown in Fig. 9 (b), the identification means 152 is a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If the user creates a password, the tab can be accessed only after confirming the password.

결국, 사용자가 보안이 설정된 탭인 '순이' 탭에 접근을 시도하면, 식별수단(152)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입력창(50)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옳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탭관리수단(151)은 해당 탭의 내용을 출력할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user attempts to access the tab 'Seonyi' which is a security tab, the identification means 152 outputs the password input window 50 as shown in Fig. 9 (c), and the user inputs the correct password. If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will output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tab.

한편, 기능선택 프레임(32)에서 '브라우저 종료시 자동삭제' 또는 '컴퓨터 종료시 자동 삭제'가 비밀번호가 설정된 탭에 설정되어 있다면, 비밀번호 지정 여부에 상관없이 조건이 충족되면 탭은 자동 삭제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function selection frame 32, if 'automatically delete when the browser ends' or 'automatically deleted when the computer is shut down' is set on the tab where the password is set, the tab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when the condition is me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assword is specifi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 실행시 출력되는 인터넷 창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2 to 4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window output when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이 성인키워드를 관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ystem managing an adult key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의 관리창에 대한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agement window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삭제delete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저장수단(111)과,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검색사이트별로 저장하는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을 구비한 저장모듈(110); 웹브라우저(200)의 인터넷통신모듈(220)과 연계하면서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검색사이트와 키워드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사이트확인수단(121)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을 구비한 로그인모듈(120); 및 웹브라우저(200)의 출력창관리모듈(210)과 연계하면서 인터넷 창(10)에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생성시키되, 키워드저장수단(111)을 검색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하는 키워드게시모듈(130);을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Keyword storage means 111 for storing the keyword entered by the user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site, and search history storage means 112 for storing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s posted by the search site for each search site according to the keyword; A storage module 110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web browser 200, the site verification means 121 to check the search sit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keyword to pass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the search site posted A login module 120 having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which check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among the results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generating a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window 10 while being linked with the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210 of the web browser 200, searching for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and outputting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keyword publishing module 130, 상기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사용자가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된 키워드 선택시, 검색이력저장수단(112)에서 상기 키워드의 링크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링크정보를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retrieve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keyword from the search history storing unit 112 when the user selects the keyword output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nd converts the link information in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osted on.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저장수단(111)과,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검색사이트별로 저장하는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을 구비한 저장모듈(110); 웹브라우저(200)의 인터넷통신모듈(220)과 연계하면서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검색사이트와 키워드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사이트확인수단(121)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을 구비한 로그인모듈(120); 및 웹브라우저(200)의 출력창관리모듈(210)과 연계하면서 인터넷 창(10)에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생성시키되, 키워드저장수단(111)을 검색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하는 키워드게시모듈(130);을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Keyword storage means 111 for storing the keyword entered by the user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site, and search history storage means 112 for storing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s posted by the search site for each search site according to the keyword; A storage module 110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web browser 200, the site verification means 121 to check the search sit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keyword to pass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the search site posted A login module 120 having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which check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among the results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generating a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window 10 while being linked with the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210 of the web browser 200, searching for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and outputting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keyword publishing module 130, 상기 키워드게시모듈(130)은 사용자가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된 키워드 선택시, 검색이력저장수단(112)에서 상기 키워드의 링크정보를 검색하고, 별도로 출력한 보조창(20)에 상기 링크정보를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The keyword posting module 130 searches for the link information of the keyword in the search history storage unit 112 when the user selects the keyword output in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and the link in the auxiliary window 20 separately outputted.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osting information.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저장수단(111)과, 상기 키워드에 따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검색사이트별로 저장하는 검색이력저장수단(112)을 구비한 저장모듈(110); 웹브라우저(200)의 인터넷통신모듈(220)과 연계하면서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검색사이트와 키워드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사이트확인수단(121)과, 검색사이트가 게시한 검색결과물 중 사용자가 클릭한 검색결과물의 링크정보를 확인해서 저장모듈(110)로 전달하는 클릭정보확인수단(122)을 구비한 로그인모듈(120); 및 웹브라우저(200)의 출력창관리모듈(210)과 연계하면서 인터넷 창(10)에 키워드게시프레임(12)을 생성시키되, 키워드저장수단(111)을 검색해 키워드게시프레임(12)에 출력하는 키워드게시모듈(130);을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Keyword storage means 111 for storing the keyword entered by the user in the search box of the search site, and search history storage means 112 for storing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s posted by the search site for each search site according to the keyword; A storage module 110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220 of the web browser 200, the site verification means 121 to check the search sit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keyword to pass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the search site posted A login module 120 having click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2 which check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licked by the user among the results and transmits it to the storage module 110; And generating a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window 10 while being linked with the output window management module 210 of the web browser 200, searching for the keyword storing means 111 and outputting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to the keyword posting frame 12. In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keyword publishing module 130, 상기 인터넷 창(10)에 출력된 관리툴 메뉴(12a)의 선택으로, 키워드, 검색사이트 및 링크정보를 저장모듈(110)에서 검색하고, 별도로 출력한 관리창(30)의 정보게시프레임(31)에 상기 키워드, 검색사이트 및 링크정보가 게시되도록 처리하는 탭관리수단(151)을 구비한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By selecting the management tool menu 12a output on the Internet window 10, the keyword, search site, and link information are searched in the storage module 110, and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of the management window 30 is separately output.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having a tab management means (151) for processing the keyword, search site and link information to be post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탭관리수단(151)은 정보게시프레임(31)이 생성 및 삭제 가능한 다수의 탭으로 구성되도록 관리창(30)을 출력하되, 사용자가 진행한 키워드 검색과정에서 발생한 키워드, 검색사이트 및 링크정보는 상기 키워드 검색과정시 선택된 탭에 게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The tab management means 151 outputs the management window 30 so that the information posting frame 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abs that can be created and deleted, and the keyword, search site, and link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keyword search process performed by the user. Internet process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to be posted on the selected tab during the keyword search proces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은, 탭관리수단(151)에 의한 탭 생성 시 비밀번호 생성을 위한 비밀번호생성창(40)을 출력하고; 탭에 게시된 키워드, 검색사이트 및 링크정보의 확인 또는 상기 탭 삭제 시, 권한 여부 확인을 위해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비밀번호입력창(50)을 출력하며; 비밀번호생성창(40) 및 비밀번호입력창(50)에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 확인 후, 탭관리수단(151)의 동작을 허하는 식별수단(1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The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outputs a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for generating a password when a tab is generated by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Outputting a password input window (50) through which the password is input for checking the keyword, search site and link information posted on the tab or deleting the tab; Internet search history further comprises an identification means 152 for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after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entered in the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and the password input window 50 match. Management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탭관리수단(151)은 성인 키워드의 출력 제한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갖춘 기능선택프레임(32)을 관리창(30)에 보강 출력하고;The tab management means (151) reinforces and outputs a function selection frame (32) having a menu selectable by a user to restrict the output of an adult keyword to the management window (30); 키워드관리창모듈(150)은, 기능선택프레임(32)의 상기 메뉴 선택시, 키워드저장수단(111)에 저장된 키워드 중 성인 키워드를 분류해 관리하는 키워드확인수단(153); 및The keyword management window module 150 includes keyword identification means 153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adult keywords among keywords stored in the keyword storage means 111 when the menu of the function selection frame 32 is selected; And 기능선택프레임(32)의 상기 메뉴 선택시 비밀번호 생성을 위한 비밀번호생성창(40)을 출력하고, 관리창(30)에 게시된 성인 키워드 열람 시 그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비밀번호입력창(50)을 출력하며, 비밀번호생성창(40) 및 비밀번호입력창(50)에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 확인 후 탭관리수단(151)의 동작을 허여하는 식별수단(152);When the menu of the function selection frame 32 is selected, the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for generating a password is outputted, and the password is inputted to check whether the authority is checked when viewing the adult keyword posted on the management window 30. An identification means 152 which outputs an input window 50 and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tab management means 151 after checking whether the password generated in the password generation window 40 and the password input window 50 matches;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시스템.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KR1020090112707A 2009-11-20 2009-11-20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KR101103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07A KR101103063B1 (en) 2009-11-20 2009-11-20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07A KR101103063B1 (en) 2009-11-20 2009-11-20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34A KR20110056034A (en) 2011-05-26
KR101103063B1 true KR101103063B1 (en) 2012-01-06

Family

ID=4436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07A KR101103063B1 (en) 2009-11-20 2009-11-20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0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19B1 (en) * 2007-08-21 2008-06-25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KR20090112256A (en)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earch history service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19B1 (en) * 2007-08-21 2008-06-25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KR20090112256A (en)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earch history service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34A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090B2 (en) System and method to capture and manage input values for automatic form fill
US200800825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KR101580344B1 (en) Providing recent history with search results
Li et al. Here's what I did: Sharing and reusing web activity with ActionShot
US8285717B2 (en) Storage of advertisements in a personal account at an online service
US20070276810A1 (en) Search Engine for Presenting User-Editable Search Listings and Ranking Search Results Based on the Same
US10122830B2 (en) Validation associated with a form
US2005027854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alidating an identity claimed by a subject
US20080065649A1 (en) Method of associating independently-provided content with webpages
CN101124576A (en) Search system and methods with integration of user annotations from a trust network
US20060069690A1 (en) Electronic file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101610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ntities Through Content
US20060235886A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centralized generation and storage of individualized requests and results
US11755678B1 (en) Data extraction and optimiz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JP5552582B2 (en) Content search device
US20030126140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custom databases
US2016004208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and Sharing User Accessed Content
US201400825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query and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resource
US8954861B1 (en) Administrator configurable gadget directory for personalized start pages
KR101103063B1 (en)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JP2020077039A (en) Suggestion keyword provid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Yunu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Commerce system in a rapid organized way
US20140115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query and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resource
US20140089335A1 (en) System for verifying a place where business data are browsed
JP4428604B2 (en) WEB page edi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