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19B1 -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 Google Patents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619B1
KR100839619B1 KR1020070084122A KR20070084122A KR100839619B1 KR 100839619 B1 KR100839619 B1 KR 100839619B1 KR 1020070084122 A KR1020070084122 A KR 1020070084122A KR 20070084122 A KR20070084122 A KR 20070084122A KR 100839619 B1 KR100839619 B1 KR 10083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window
internet
keywor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재영
Original Assignee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filed Critical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Priority to KR102007008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345Summarisation for human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an Internet search history is provided to facilitate search and processing for frequent search easily/conveniently without any unnecessary procedure by enabling a user to easily check/select search results suitable for a search purpose, easily select a list of the search results, and easily manage the search history. A search engine searches the Internet by receiving a keyword and outputs a list of search results in a search result output window of a web browser(S24).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is divided into a search result webpage window and a search item window when a user selects one search result from the list. The search result webpage window outputs a webpage linked with the clicked search result and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s the list. A URL(Uniform Resource Locator) and a name of the linked webpage and a keyword related to the search results are stored in a user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a storage menu in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S30). A search history window is output separately from a web browser window, and the URL, the name, and the related keyword of the webpage are displayed in the search history window when the user selects a search history setting menu(S36).

Description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터넷 검색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반복되는 검색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재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의 검색 이력을 쉽게 조회해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검색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user's Internet search history to quickly and efficiently re-search for repeated searches, make it easy to query the user's own search history, while making it easier to search A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인터넷은 현대인에게 많은 정보를 빠르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전자상거래ㆍ예약 및 예매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각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로 활용되므로, 현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서비스로서 그 위치를 굳건히 하고 있다.The Internet is used as a medium to provide a lot of information to the modern people quickly and quickly, and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in real life such as e-commerce, reservations, and advance reservations, thus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n indispensable service in modern life. Doing.

하지만, 인터넷의 이용량 증대와 더불어 이용방식 및 내용이 다양화되면서, 오히려 인터넷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면, 어느 사용자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상기 업무와 관련한 웹페이지를 찾아 접속해야 하는데, 상기 업무와 관련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증가하면서 사용자는 필요한 웹페이지를 찾아 검색하는 것이 새로운 수고로 요구되어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s the usage methods and contents are diversifi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use of the Internet, the use of the Internet becomes inconvenient. For example, when a user uses the Internet to perform a specific task, he or she needs to find and access a webpage related to the task. As the number of webpages providing information or services related to the task increases, the user may need a webpage. Finding and searching was required for new labor, which was inconvenient.

또한, 과잉공급되는 서비스들 중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찾아 접속한 후 다음에 재접속을 시도할 경우, 해당 웹페이지를 찾을 때 더불어 검색한 다른 웹페이지의 이력정보와 혼동되면서 앞서 해당 웹페이지를 찾던 번거로운 검색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user attempts to reconnect after searching and accessing a webpage that provides an optimal service among oversupply services, the webpage is confused with the history information of other webpages searched for when the webpage is searched. There was an inefficiency in having to repeat the cumbersome search of pages.

한편, 인터넷에서 특정 키워드를 이용해 검색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사이트의 웹페이지에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결과에 대한 결과물들을 제공받은 후 상기 결과물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상기 결과물들이 출력되는 웹페이지가 전환되어 클릭한 해당 리스트와 링크된 웹페이지가 출력되거나, 새로운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클릭한 해당 리스트와 링크된 웹페이지가 별도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리스트의 웹페이지가 흡족하지 않아 앞선 상기 결과물들을 다시 보려면, 전자의 경우 웹브라우저의 메뉴 중 '뒤로 가기'를 선택해야 하고, 후자의 경우 활성화된 해당 리스트의 웹페이지를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Meanwhile, in a method of searching using a specific keyword on the Internet, when a user inputs a keyword into a webpage of a search site and receives the results of the search results, and clicks any one of the results, the results are output. The web page is switched to output the web page linked with the clicked list, or a new web browser is executed and the web page linked with the clicked list is output separately. Therefore, the user must select 'Back' in the menu of the web browser in the former case and close the web page of the active list in the latter case in order to see the previous results again because the web page of the list is not satisfactory. There was a hassle.

이외에도, 주요한 포털사이트의 검색엔진은 입력된 키워드와 관련한 인터넷 검색 결과물들의 출력순위가 매번 바뀌도록 구축되면서, 사용자가 이전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검색절차를 진행하여도 사용자가 원하는 동일한 웹페이지의 검색 및 접속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를 웹브라우저의 기능인 '즐겨찾기'를 이용해 별도로 링크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earch engines of major portal sites are constructed so that the output rankings of Internet 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entered keywords are changed every time, so that the user can search and search the same web page that the user wants even if the user proceeds the same search path as the previous path. Since the connection is not guaranteed, the user has to link the webpage separately using the 'Favorites' function of the web brow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검색 결과물들을 쉽게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고, 출력된 검색 결과물들의 리스트 선택이 용이하며, 검색 결과물들에 대한 검색 이력관리 또한 용이하므로, 검색작업이 쉽고 간편하며 반복적인 검색작업에 있어 불필요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인터넷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can easily check and select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to search, it is easy to select the list of output search results, the search results It is also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that enables an efficient internet search because the search history management is also easy, and thus, a search operation is easy and simple, and unnecessary procedures can be omitted in a repetitive search opera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색엔진이 키워드에 따라 인터넷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물을 웹브라우저의 검색결과 출력창에 리스트로 출력하는 제1단계;
인터넷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검색결과물을 클릭하면, 상기 검색결과 출력창은 검색결과 웹페이지창과 검색항목창으로 분할되되, 상기 검색결과 웹페이지창에는 클릭한 해당 검색결과물에 링크된 웹페이지가 출력되고, 상기 검색항목창에는 상기 리스트가 출력되는 제2단계;
인터넷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검색결과물을 선택하여 저장기능 선택창을 출력하고, 저장기능 선택창에 포함된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검색결과물과 링크된 웹페이지의 주소 및 이름과 해당 검색결과물과 관련된 키워드가 인터넷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되는 제3단계; 및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the search engine search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keyword and outputting the search results as a list i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of the web browser;
When an Internet user clicks on a search result of one of the lists,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is divided into a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and a search item window, and the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includes a web pag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A second step of outputting the list to the search item window;
When an internet user selects one of the above search results and outputs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and selects a storage menu included in 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the address and name of the web pag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and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and A third step of storing the related keyword in the terminal of the Internet user; And

저장기능 선택창에 포함된 검색 히스토리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웹브라우저의 창과는 별도로 검색이력창이 출력되되, 검색이력창은 웹페이지의 주소 및 이름과 관련 키워드가 출력되는 제4단계;Selecting a search history setting menu included in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to output a search history window separately from a window of a web browser, wherein the search history window outputs an address and a name of a webpage and related keywor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를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이다.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웹브라우저와는 별도로 실행되는 검색이력창을 통해 인터넷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확인하여 찾아볼 수 있고, 자주 접속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신속한 접속이 가능하며, 다양한 검색이력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인터넷 검색으로 습득한 정보의 반복적인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earch history window that is executed separately from the web browser, the Internet user can easily find and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ccess the frequently accessed web pages, various search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history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repetitive use of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를 위한 이력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은, 도시한 이력 관리시스템(30)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력 관리시스템(30)은, 검색엔진1,2,3(11, 12, 13)을 각각 구비한 웹서버와 접속 통신하는 웹브라우저(20)에 연결되고,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과, 검색엔진 접속모듈(32)과, 검색결과 필터링모듈(33)을 포함한다.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ade based o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show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is connected to a web browser 20 in communication with a web server provided with search engines 1, 2, 3 (11, 12, 13), respectively, and a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And a search engine connection module 32 and a search result filtering module 33.

여기서, 상기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은 웹브라우저의 창 내에 별도의 공간(이하 '검색항목창')을 확보하여서, 상기 검색항목창으로 인터넷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의 해당 검색결과물을 출력하고, 출력된 검색결과물 및 각종 메뉴에 링크된 내용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Here,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secures a separate space (hereinafter 'search item window') in a window of a web brow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earch result of a keyword input by an internet user to the search item window. Control the execution of the output search results and the contents linked to the various menus.

상기 검색엔진 접속모듈(32)은 인터넷사용자가 검색항목창에 생성된 검색엔진 선택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선택된 검색엔진을 갖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당해 검색엔진을 통한 키워드 검색을 실행시키고, 그 결과를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search engine access module 32 selects and clicks a search engine selection menu generated in a search item window, the search engine access module 32 accesses a web server having the selected search engine and executes a keyword search through the search engine. The result is output through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상기 검색결과 필터링모듈(33)은 검색엔진으로부터 전송된 각종 검색결과물 중 필요한 부분만을 분리하여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로 전송한다. 이때, 검색엔진과 더불어 전송된 웹페이지의 다른 구성들(광고물, 해당 웹페이지 소개문 등)도 해당 키워드의 검색결과물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상기 검색결과 필터링모듈(33)에 의해 분리된다.The search result filtering module 33 separates only a necessary part of the various search results transmitted from the search engine and transmits it to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At this time, other components of the web page (advertisement, corresponding web page introduction, etc.) transmitted along with the search engine are also separated from the search result of the keyword, and are separated by the search result filtering module 3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일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모습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Figure 3 and Figure 4 is a scree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S10 ; 웹브라우저 구동단계S10; Web browser driving stage

인터넷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통신을 중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웹브라우저(20)라 한다.In order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terminal of an Internet user, an application for mediating Internet communication is required. Such an application is referred to as a web browser 20.

인터넷사용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 웹브라우저(20)를 실행한다.The Internet user runs a web browser 20 for internet access.

본 발명에 따른 이력 관리시스템(30)은 웹브라우저(20)의 실행과 함께 실행될 수도 있고, 특정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페이지 내 검색창(102)에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서 실행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웹브라우저(20)의 실행과 더불어 이력 관리시스템(30)이 실행되도록 하여서, 검색창(102)에 키워드가 입력될 경우 신속히 검색결과물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together with the execution of the web browser 20 or may be executed by entering a keyword in a search box 102 in a web page by accessing a specific web server. However, preferably,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is executed together with the execution of the web browser 20 so that a search result can be output quickly when a keyword is input to the search box 102.

S12 ; 검색항목창 출력단계S12; Search column output step

상기 이력 관리시스템(30)이 실행된다는 것은, 검색항목창(101)이 웹브라우저의 창(100)에 반드시 출력되고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력 관리시스템(30)이 실행되면 상기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은 검색항목창(101)을 웹브라우저의 창(100) 내에 생성시킬 수도 있고, 인터넷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비로소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execu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does not mean that the search item window 101 must be output to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That is, whe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is executed,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may generate the search item window 101 in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and may be gen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user. You ma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색항목창(101)이 이력 관리시스템(30)의 실행과 더불어 출력되는 모습과, 인터넷사용자가 검색창(102)에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에 출력되는 모습을 각각 설명한다. 이외에도 인터넷사용자가 별도의 아이콘이나 메뉴를 클릭함으로서 검색항목창(101)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outputted along with the execu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and when the Internet user inputs a keyword into the search box 102, respectively. Explain. In addition, the Internet user may click the separate icon or menu to output the search item window 101.

S14 ; 검색엔진 확인단계, S16 ; 검색엔진 변경단계, S18 ; 검색엔진 재확인단계S14; Search engine verification step, S16; Search engine change step, S18; Search engine revalidation stage

인터넷사용자는 키워드를 입력할 검색엔진을 확인한다.Internet users identify search engines for entering keywords.

검색엔진 확인단계(S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항목창(101)의 출력여부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rch engine checking step S14 may proce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output.

우선, 검색항목창(101)이 웹브라우저의 창(100) 내에 출력된 경우, 인터넷사용자는 검색항목창(101) 내에 배치된 검색엔진메뉴(105)를 클릭하여 하나의 검색엔진(11, 12, 13)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엔진 접속모듈(32)은 상기 검색엔진메뉴(105)를 제어하면서 다른 검색엔진(11, 12, 13)이 인터넷사용자의 조작으로 선택되면 웹브라우저(20)를 해당 검색엔진(11, 12, 13)의 웹서버와 접속시킨다. First, when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output in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the Internet user clicks the search engine menu 105 disposed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to select one search engine 11, 12. , 13). At this time, the search engine access module 32 controls the search engine menu 105 and when the other search engines 11, 12, and 13 are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user, the search engine 11 , 12, 13).

한편, 검색항목창(101)에는 검색창(102')이 형성 배치되고, 인터넷사용자는 상기 검색창(102')에 키워드를 입력하여서 선택한 검색엔진(11, 12, 13)에 검색을 명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earch box 102 'is formed and arranged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and an internet user can input a keyword in the search box 102' to instruct a selected search engine 11, 12, 13 to search. Can be.

다음으로, 검색항목창(101)이 웹브라우저의 창(100) 내에 출력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사용자는 일반적인 웹브라우저의 사용법에 따라 검색엔진(11, 12, 13)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웹브라우저의 사용법이란, URL입력창에 검색엔진(11, 12, 13)을 갖춘 웹서버의 주소를 입력하여서, 해당 웹서버에 접속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력 관리시스템(30)과는 별도로 웹브라우저(20)에서 웹서버로의 접속이 이루어진다.Next, when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not output in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the Internet user may select the search engines 11, 12, and 13 according to the usage of the general web browser. The general web browser is used to access a web server by inputting the address of a web server having search engines 11, 12, and 13 into a URL input window. That is, the web browser 20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separately from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결국, 웹브라우저의 창(100)에는 선택한 웹서버의 메인 웹페이지가 출력되고, 상기 메인 웹페이지의 검색창(102)에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명령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the main web page of the selected web server is output to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and a search may be input by entering a keyword in the search box 102 of the main web page.

S20 ; 검색어 입력단계S20; Query entry stage

인터넷사용자는 웹페이지에 형성 배치된 검색창(102) 또는 검색항목창(101)에 형성 배치된 검색창(102') 중, 한 곳에 키워드를 입력한다.The Internet user inputs a keyword in one of the search window 102 formed on the web page or the search window 102 'formed on the search item window 10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검색엔진을 '네이버'로 선택하였고, 키워드는 '정수기'로 하였다. As shown in FIG. 3, the search engine is selected as 'naver' and the keyword is 'water purifier'.

S22 ; 검색단계S22; Search level

선택된 검색엔진인 '네이버'는 '정수기'를 키워드로 한 검색을 실행한다.The selected search engine 'Naver' executes a search using the keyword 'water purifier'.

S24 ; 검색결과물 전송단계S24; Send search results

선택된 검색엔진인 '네이버'는 당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물을 인터넷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를 전환하여서, 검색결과 출력창(103)에 다양한 검색결과물 리스트를 출력한다.'Naver', the selected search engine, transmits the search results for the keyword to a terminal of an Internet user, switches web pages as shown in FIG. 3, and outputs various search result lists i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103. do.

S26 ; 필터링 단계S26; Filtering step

이렇게 출력된 검색결과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해당 검색결과물과 하이퍼링크된 웹서버로 접속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웹서버의 웹페이지가 출력된다.(여기서, 도 4에서 보이는 웹페이지는 '정수기'를 키워드로 한 검색결과물이 아니며, 단지 검색결과물 중 하나를 클릭함으로서 다음에 이루어질 상황 을 보이기 위해 보인 실시예에 불과하다.)If one of the search results is selected and clicked, the web server linked to the search results is hyperlinked, and the web page of the web server is output as shown in FIG. 4. The web page is not a search result with the keyword 'water purifier', it is merely an example shown to show what will happen next by clicking on one of the search results.)

이때, 검색항목창(101)이 이미 웹브라우저의 창(100) 내에 출력된 상태라면, 당해 웹서버의 웹페이지는 웹브라우저의 창(100)에 새롭게 형성 구획된 검색결과 웹페이지창(104)에 출력되고, 도 3의 검색결과 출력창(103)의 검색결과물 리스트는 상기 검색항목창(101)에 출력된다. 한편, 검색항목창(101)이 웹브라우저의 창(100)에 출력된 상태가 아니라면, 검색항목창(101)을 출력한 후, 검색결과 웹페이지창(104)과 상기 검색항목창(101)에 각각 당해 웹서버의 웹페이지와 검색결과물 리스트를 출력한다. In this case, if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already output in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the web page of the web server is newly formed and divided into a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104 in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The search result list of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103 of FIG. 3 is output to the search item window 101. On the other hand, if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not output to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after outputting the search item window 101, the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104 and the search item window 101 Outputs a web page of the web server and a list of search results, respectively.

이때, 상기 검색결과 출력창(103) 내의 모든 텍스트와 검색결과물이 검색항목창(101) 내에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 중 선택된 검색결과물만이 제한적으로 출력된다. 이는 검색항목창(101)의 면적이 모든 검색결과물과 기타 텍스트를 수용할만큼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필터링 과정을 통해 지정된 몇 가지의 검색결과물 만이 검색항목창(101) 내에 우선적으로 배치 출력될 것이다.At this time, not all the text and the search results i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103 are output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but only the selected search results are limitedly output.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search item window 101 is not large enough to accommodate all the search results and other text. As a result, only a few search results designated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will be preferentially outputted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상기 검색결과 필터링모듈(33)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지정된 문구만을 확인한 후, 해당 문구와 연관된 검색결과물만이 검색항목창(101) 내에 출력되도록 편집한다. The search result filtering module 33 parses a script constituting a web page, checks only a specified phrase, and edits the search result related to the phrase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S28 ; 검색항목 게시단계S28; Post search step

필터링이 완료되면, 검색결과 출력창(103)에 출력되었던 검색결과물 리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검색항목창(101)에 출력되고, 새롭게 형성된 검색결과 웹페이 지창(104)에는 상기 검색결과물 리스트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련 웹페이지가 출력된다.When the filtering is completed, all or part of the search result list output o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103 is output to the search item window 101, and the newly formed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104 is selected from the search result list. One related web page is displayed.

한편, 검색항목창(101)에 출력되는 검색결과물 리스트는 카테고리별로 소팅하여서, 입력된 키워드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검색결과물을 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고, 시사, 사전, 블로그 등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키워드와 연관이 있는 검색결과물을 해당 카테고리에 배치 출력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sort the search result list displayed on the search item window 101 by category so that search results of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input keyword can be checked on one page. That is, categories are classified into advertisements, current affairs, dictionaries, blogs, and the like, and the 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keywords are arranged and output in the corresponding categories.

계속해서, 인터넷사용자가 '네이버'의 검색엔진이 검색한 검색결과물에 대해 불만족스러울 경우, 검색항목창(101)의 검색창(102')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엔진 메뉴(105)에서 다른 검색엔진을 선택한다. 상기 검색엔진 접속모듈(32)은 상기 키워드를 새로운 검색엔진의 웹서버로 전송하고, 해당 검색엔진의 웹서버는 상기 키워드의 검색결과물을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모든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검색결과 필터링모듈(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검색엔진의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 및 정보를 필터링하여서 검색결과물에 관한 것만을 분류하고, 이를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로 전송한다. 검색항목창 출력모듈(31)은 검색항목창(101)에 상기 검색결과물을 출력한다. 인터넷사용자는 이렇게 출력된 검색결과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해당 검색결과물에 링크된 웹페이지가 검색결과 웹페이지창(104)에 출력되어서, 인터넷사용자는 웹브라우저의 창(100)을 일일이 닫거나 열 필요없이 키워드 관련한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세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 검색항목창(101)에 기재된 검색결과물 중 다른 것을 선택 클릭하면, 해당 검색결과물의 웹페이지로 접근하여 해당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Subsequently, if an Internet user is dissatisfied with the search results searched by the search engine of 'Naver', enter a keyword in the search box 102 'of the search item window 101 and then select another keyword from the search engine menu 105. Select a search engine. The search engine access module 32 transmits the keyword to the web server of the new search engine, and the web server of the search engine transmits all the information of the web page including the search results of the keyword to the terminal. Of course, the search result filtering module 33 filters only the search result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of the corresponding search engine as described above, and classifies only the search result and returns the search result to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send. The search item window output module 31 outputs the search result to the search item window 101. When an internet user selects and clicks one of the output results, the web pag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is output in the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104, and the internet user closes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one by one. You don't need to open it, you can access the web pages related to keywords and get detailed information. Of course,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web page, if you click on another of the search results described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access to the web page of the search result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를 위한 이력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다른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 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It is a flowchart and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이력 관리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웹브라우저(20)와는 별도로 인터넷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서, 인터넷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물 등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데이터를 확인하여 원하는 검색결과물을 신속히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이력 관리시스템(30')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Another embodiment of the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Internet user separately from the web browser 20, and stores the keyword previously searched by the Internet user, the search results for the keyword as data In the future, the data is made based on a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that allows the user to quickly check the corresponding data and quickly find the desired search result.

S10 내지 S28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Since S10 to S28 have been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S30 ; 검색항목정보 저장단계S30; Search item information saving step

도 7(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모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항목창(101)에 기재된 검색결과물 리스트 중 임의의 검색결과물에 마우스 커서를 근접시키고, 마우스의 기능선택버튼(마우스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버튼을 갖추며, 이중 하나는 아이콘 또는 메뉴 등을 클릭하여 실행시 키는 버튼이고, 다른 하나는 해당 아이콘 또는 메뉴의 기능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을 클릭하면, 메뉴선택창(106)이 출력된다.As shown in FIG. 7 (a scree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se cursor is brought close to any search result in the search result list described in the search item window 101, Function selection button of mouse (Mouse generally has two buttons, one of which is a button to execute by clicking an icon or menu, and the other is a button to select a function of an icon or menu. If.) Is clicked, the menu selection window 106 is output.

검색항목정보 저장모듈(34)은 상기 마우스의 커서 이동을 확인하여서 기능선택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메뉴선택창(106)을 출력하고, 해당 기능을 실행시킨다.The search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34 checks the cursor movement of the mouse, outputs the menu selection window 106 when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 is clicked,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계속해서, 검색항목정보 저장모듈(34)은 인터넷사용자가 메뉴선택창(106) 내에 제시된 '저장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저장기능 선택창(107)을 출력시킨다. 저장기능 선택창(107)은 해당 검색결과물에 대한 저장기간과 인터넷사용자의 검색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가늠할 수 있는 적합성 정도를 선택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즉, 인터넷사용자는 검색결과물을 클릭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확인하고, 해당 웹페이지의 내용에 만족할 경우 이를 별도로 저장하기 위해 그 저장기간을 선택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의 만족도를 적합성으로 하여 선택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arch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34 outputs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107 when the Internet user selects the 'save' menu presented in the menu selection window 106. 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107 includes a menu for selecting a degree of suitability for estimating the storage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earch result of the Internet user. That is, the Internet user clicks the search results to check the web page, and if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selects the storage period for storing it separately and selects the satisfaction of the web page as appropriate. Can be.

검색이력 관리모듈(35)은 인터넷사용자가 선택한 저장기간 및 적합성을 확인하여서, 상기 웹페이지를 검색하게 된 근거인 키워드와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를 서로 링크시켜 검색항목정보 저장모듈(34)에 저장한다.The search history management module 35 checks the storage period and suitability selected by the Internet user, and links the keyword, which is the basis for searching the web page, with the address of the web page, to be stored in the search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34. do.

또한, 상기 메뉴선택창(106)에는 이메일을 발송할 수 있는 메뉴가 있는데, 인터넷사용자가 이를 클릭하면 이메일 발송모듈(36)은 메일전송창(108)을 출력시킨다. 상기 메일전송창(108)은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를 첨부하여서, 이메일의 내용과 더불어 다른 사람에게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자의 이메일주소와 내용 및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가 기재되면 상기 이메일 발송모듈(36)은 이메일을 수신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한다.In addition, the menu selection window 106 has a menu for sending an email. When the Internet user clicks on it, the email sending module 36 outputs the mail sending window 108. The mail transmission window 108 is attached to the address of the web page, so that it can be sent to other people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email, the email address and contents of the recipient and the address of the web page is described, the email sending module ( 36) sends the email to the recipient's email address.

S32 ; 검색이력창 출력단계S32; Search history window output stage

상기 저장기능 선택창(107)에는 저장기간 및 적합성에 대한 선택 메뉴 이외에 검색히스토리를 게시하는 검색이력창(109) 출력 여부에 대한 선택 메뉴가 포함된다.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107 includes a selection menu for outputting a search history window 109 for posting a search history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menu for storage period and suitability.

도 8(본 발명에 따른 검색이력관리창의 모습을 도시한 화면 모습)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색이력창(109)은 웹브라우저(20)가 제어하는 웹브라우저의 창(100)과는 별도로 상기 이력 관리시스템(30')이 제어하는 창이고, 저장기능 선택창(107)의 검색 히스토리 설정(보기, 안보기) 메뉴의 선택으로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보기'를 선택하면 검색이력창(109)이 검색창(102, 102')에서 검색한 관련키워드 목록을 보여주면서 별도로 팝업된다.)As shown in FIG. 8 (a screen view showing a state of a search history managemen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history window 109 is separately from the window 100 of the web browser controlled by the web browser 20. It is a window controlled by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an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selecting the search history setting (view, view) menu of 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107. (If' View 'is selected, the search history is selected. The window 109 pops up separately, showing a list of relevant keywords found in the search boxes 102, 102 '.)

상기 검색이력창(109)은 '등록일' 또는 '중요도' 순으로의 게시를 선택할 수 있고, '보기' 선택을 통해 한번에 몇 개의 검색결과물을 게시할지 선택할 수 있다.The search history window 109 may select posting in the order of 'registration date' or 'importance', and may select how many search results to be posted at one time by selecting 'view'.

도 8의 실시예를 보면, 이력 관리시스템(30')에서 저장하고 있는 키워드는 '재테크', '블로그', '데스크탑', 인터넷비지니스' 및 '마케팅'이고, 해당 키워드에 따라 저장된 웹페이지의 수는 순서대로, '12', '6', '7', '6', '7'이다.8, keywords stored i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30 are 're-tech', 'blog', 'desktop', internet business, and 'marketing', The numbers are '12', '6', '7', '6' and '7' in order.

한편, 상기 검색이력창(109)은 검색창(102")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창(102")은 단말기에 저장된 키워드를 인터넷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인터넷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키워드를 상기 검색창(102")에 입력하여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이전에 저장된 키워드 목록이 검색이력창(109)에 출력 게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rch history window 109 includes a search box 102 ". The search box 102" allows an internet user to quickly and easily search for a keyword stored in the terminal. If a keyword is entered in the search box 102 "and the search button is clicked, a list of previously stored keywords is output and posted in the search history window 109.

S34 ; 검색항목 선택단계, S36 ; 링크웹페이지 출력단계S34; Search item selection step, S36; Link web page output stage

인터넷사용자는 해당 키워드 중 하나(재테크)를 선택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키워드와 관련한 웹페이지의 리스트들이 출력된다. 물론, 인터넷사용자는 해당 웹페이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할 수 있고, 선택된 웹페이지는 웹브라우저(20)가 해당 웹서버로 접속함으로서 출력된다.When an internet user selects one of the keywords (re-tech), a list of web pages related to the keyword is output as shown. Of course, the Internet user can select and click one of the web pages, and the selected web page is output as the web browser 20 accesses the web server.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색항목창(101)은 계산기 기능을 갖추어서, 인터넷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search item window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lculator function, i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Internet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를 위한 이력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일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2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모습이고,3 and 4 are screen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를 위한 이력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다른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6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 모습이고,Figure 7 is a scree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이력관리창의 모습을 도시한 화면 모습이다.8 is a screen showing a state of the search history managemen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검색엔진이 키워드에 따라 인터넷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물을 웹브라우저의 검색결과 출력창에 리스트로 출력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the search engine search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keyword and outputting the search results as a list i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of the web browser; 인터넷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검색결과물을 클릭하면, 상기 검색결과 출력창은 검색결과 웹페이지창과 검색항목창으로 분할되되, 상기 검색결과 웹페이지창에는 클릭한 해당 검색결과물에 링크된 웹페이지가 출력되고, 상기 검색항목창에는 상기 리스트가 출력되는 제2단계;When an Internet user clicks on a search result of one of the lists,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is divided into a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and a search item window, and the search result web page window includes a web pag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A second step of outputting the list to the search item window; 인터넷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검색결과물을 선택하여 저장기능 선택창을 출력하고, 저장기능 선택창에 포함된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검색결과물과 링크된 웹페이지의 주소 및 이름과 해당 검색결과물과 관련된 키워드가 인터넷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되는 제3단계; 및When an internet user selects one of the above search results and outputs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and selects a storage menu included in 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the address and name of the web page linked to the search result and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and A third step of storing the related keyword in the terminal of the Internet user; And 저장기능 선택창에 포함된 검색 히스토리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웹브라우저의 창과는 별도로 검색이력창이 출력되되, 검색이력창은 웹페이지의 주소 및 이름과 관련 키워드가 출력되는 제4단계;Selecting a search history setting menu included in a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to output a search history window separately from a window of a web browser, wherein the search history window outputs an address and a name of a webpage and related keyword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상기 검색항목창에 검색결과물이 출력되기 전, 상기 검색결과 출력창에 출력된 웹페이지의 구성 스크립트를 파싱해서,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검색결과물의 스크립트만을 상기 검색항목창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Before the search result is output in the search item window, the configuration script of the web page output in the search result output window is parsed, and only the script of the search result associated with the keyword is placed in the search item window. How to manage search histor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hird step 상기 검색항목창에 위치한 검색결과물의 선택 시, 웹페이지의 주소 및 이름에 대한 단말기로의 저장 기간을 인터넷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저장기능 선택창은 저장기간을 게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When selecting a search result located in the search item window, the storage function selection window includes a menu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storage period so that an internet user can determine a storage period of the web page for the address and name of the terminal.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검색이력창은 키워드별로 웹페이지에 링크된 이름이 구분되게 배치되고, 단말기에 저장된 등록일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도록 메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The search history window is arranged to distinguish the names linked to the web page for each keyword,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nu to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date stored in th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검색항목창에는 키워드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이 구비되고, 상기 검색창을 통한 키워드 검색 시에는 검색엔진이 키워드에 따라 인터넷을 검색한 후, 검색결과물을 상기 검색항목창에 리스트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The search item window is provided with a search box for inputting a keyword, and when the keyword is searched through the search box, a search engine searches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keyword, and then outputs the search results as a list in the search item window.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fth step 상기 검색항목창에 검색결과물이 출력되기 전, 상기 검색엔진에 의한 검색결과물이 리스트로 출력되는 웹페이지의 구성 스크립트를 파싱해서,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검색결과물의 스크립트만을 상기 검색항목창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Before the search results are output in the search item window, parsing the configuration script of the web page where the search results by the search engine are output as a list, and placing only the scripts of the 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keyword in the search item window.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검색항목창에는 검색엔진을 교체 선택할 수 있는 검색엔진메뉴가 구비되고, 상기 검색창에 키워드가 입력되면 웹브라우저는 선택된 검색엔진의 웹서버로 상기 키워드를 발송하는 제6단계; 및A search engine menu for replacing and selecting a search engine in the search item window, and if a keyword is input in the search box, the web browser sends the keyword to the web server of the selected search engine; And 해당 검색엔진이 키워드에 따라 인터넷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물을 상기 검색항목창에 리스트로 출력하는 제7단계;A seventh step in which the corresponding search engine searches the Internet according to a keyword and outputs a search result as a list in the search item window;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검색 이력 관리방법.Internet search histor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KR1020070084122A 2007-08-21 2007-08-21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KR100839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22A KR100839619B1 (en) 2007-08-21 2007-08-21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22A KR100839619B1 (en) 2007-08-21 2007-08-21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19B1 true KR100839619B1 (en) 2008-06-25

Family

ID=3977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22A KR100839619B1 (en) 2007-08-21 2007-08-21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63B1 (en) * 2009-11-20 2012-01-06 (주)오피엔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KR20210111458A (en) * 2020-03-03 2021-09-13 리걸테크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084A (en) * 2000-03-21 2001-09-29 심우석 Home-page preview at search site
KR20010111859A (en) * 2000-06-13 2001-12-20 구현사 the Internet Searching method Opening the plural results searched by Internet Search Engine in a window divided by two and e-business method
KR20020017863A (en) * 2000-08-31 2002-03-07 송찬호 Method for searching keyword by using connection statistics materials in internet u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084A (en) * 2000-03-21 2001-09-29 심우석 Home-page preview at search site
KR20010111859A (en) * 2000-06-13 2001-12-20 구현사 the Internet Searching method Opening the plural results searched by Internet Search Engine in a window divided by two and e-business method
KR20020017863A (en) * 2000-08-31 2002-03-07 송찬호 Method for searching keyword by using connection statistics materials in internet u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63B1 (en) * 2009-11-20 2012-01-06 (주)오피엔 Internet 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arch
KR20210111458A (en) * 2020-03-03 2021-09-13 리걸테크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367145B1 (en) 2020-03-03 2022-02-25 리걸테크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832B2 (en) Search document generation and use to provide recommendations
US8060830B2 (en) News feed browser
CN108563750B (en) Identifying matching applications based on browsing activity
RU2433469C2 (en) Simultaneous indication of multiple searches through multiple suppliers
US7818659B2 (en) News feed viewer
US20090300476A1 (en) Internet Guide Link Matching System
KR100366120B1 (en) Web site search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whose search result includes advertisement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CN102930057A (en) Search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US8892552B1 (en) Dynamic specification of custom search engines at query-time,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10238653A1 (en) Parsing and indexing dynamic reports
US102620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255362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search,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KR100839619B1 (en) Internet search history managing method
KR20030051577A (en) Display method for research result in internet site
US202203429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319954A1 (en) Command driven web site browsing
Buivys et al. Pienapple search: an integrated search interface to support finding, refinding and sharing
KR20090123102A (en) Method for outputting eletronic program guide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KR20030071346A (en) Bookmark management method in web browser
KR100726824B1 (en) Smart search system and smart search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Hardaha et al. Data Mashup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lobal Network
KR20040071604A (en) Dynamic Keyword Extraction and Processing System
Mr Content Evaluation of Jawaharlal Nehru University and Banaras Hindu University Library Websites in India
US20130212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 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