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49B1 -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 Google Patents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49B1
KR101099049B1 KR1020090120824A KR20090120824A KR101099049B1 KR 101099049 B1 KR101099049 B1 KR 101099049B1 KR 1020090120824 A KR1020090120824 A KR 1020090120824A KR 20090120824 A KR20090120824 A KR 20090120824A KR 101099049 B1 KR101099049 B1 KR 10109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ouch
space
accommodating spac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187A (ko
Inventor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젠
Publication of KR2011005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는, 일측 개구를 갖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파우치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을 남겨두고 상기 제1 파우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팩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팩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팩은,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내용물 수용공간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반응기체 유입개구를 갖는 구획부와; 상호 접촉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 및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상기 발열공간 내에 수용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팩, 파우치, 증기, 배출, 가열, 발열

Description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PACK AND PACKAGE FOR HEATING CONT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팩(PACK) 중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팩이 있다. 발열팩은 액상의 반응액체와 고상의 발열체의 발열반응에 의해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도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는 팩으로서, 간편히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 등의 가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과정에서 상기 반응액체가 기화되어 반응기체(증기 또는 스팀)가 생성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을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용물 가열키트에 있어서, 일측 개구를 갖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파우치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을 남겨두고 상기 제1 파우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팩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팩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팩은,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내용물 수용공간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반응기체 유입개구를 갖는 구획부와; 상호 접촉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 및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상기 발열공간 내에 수용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하도록 상기 반응기체 유입개구에 배치된 반응기체 통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10)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는 팩(10)과, 팩(10)에 수용되는 발열팩(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팩(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우치(20)와 제1 개폐부(30)를 포함한다.
제1 파우치(20)는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이 상호 접착되어 구성된다. 물론, 제1 파우치(20)는 일체형으로 하나의 필름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필름(20a)과 제2 필름(20b)은 일측 개구를 제외한 테두리 영역이 상호 접착되어 그 내부에 제1 수용공간(S1)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21)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발열팩(100)이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 파우치(2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팩(100) 주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용물(A, B)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파우치(20)는 내부에 수용될 다른 내용물(A, B) 및 발열팩(100)의 부피에 대응하는 제1 수용공간(S1)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른 내용물(A, B)은 후술하는 발열팩(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도 5의 C참조)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내용물(A, B)의 일례로서 반찬, 양념 또는 소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열팩(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C)의 일례로서 밥 등의 조리된 음식물일 수 있다.
제1 파우치(20)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파우치(20)는 외부의 충격에도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파우치(20)의 개구에는 제1 개폐부(3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제1 수용공간(S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폐부(30)는 지퍼부(30a, 30b)로 마련된다.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따라 제1 파우치(20)를 구성하는 제1 필름(20a)의 내측에 접착되는 암지퍼(30a)와, 제2 필름(20b)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암지퍼(30a)에 결합되는 수지퍼(30b)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30)는 제1파우치(20) 의 개구(21) 전체 영역에 마련된다.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21) 중 개방구간(O)을 제외한 구간을 개폐한다.
개방구간(O)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영역을 제1 파우치(20)의 내측에 접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암지퍼(30a)와 수지퍼(30b)가 상호 체결되더라도 개방구간(O)을 통하여 제1 파우치(20)의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와 제1 파우치(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지퍼(30b)와 제1 파우치(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제1 파우치(20)와 암지퍼(30a)의 사이, 제1 파우치(20)와 수지퍼(30b) 사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지퍼부(30a, 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방구간(O)을 통하여 암지퍼(30a)와 수지퍼(30b)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발열팩(100)의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팩(10)은 개구(21)를 따라 지퍼부(30a, 30b)의 외측에서 제1 파우치(20)의 일면과 타면이 접착되어 개구(21)를 폐쇄하는 실링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25)는 도 1을 기준으로 지퍼부(30a, 30b)의 상부로 외측 에 형성되어 개구(21)를 폐쇄한다. 실링부(25)는 지퍼부(30a, 30b)를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실링부(25)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O)를 따라 최상단 영역 및 그 양측 가장자리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다.
실링부(25)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파우치(20)로부터 실링부(25)의 제거를 위한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파우치(20)의 개구(21)에 개방구간(O)이 형성되더라도 외부로부터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제1 파우치(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절취홈(27)을 따라 실링부(25)를 제1 파우치(20)로부터 절취하여 제거한 후, 제1 개폐부(30)을 조작하여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구간(O)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를 연속 설치하되, 개구(21)에 비하여 짧게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와 수지퍼(30b) 중 적어도 하나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수지퍼(30b)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를 모두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따라 암지퍼(30a)와 수지퍼(30b)의 길이를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발열팩(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수용공간(S2) 및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되는 개구(115)를 갖는 제2 파우치(110)와, 파우치(110) 내에 배치되어 제2 수용공간(S2)을 내용물 수용공간(S3)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S4, S5)으로 구획하는 구획부(120)와, 발열공간(S4, S5) 내에 수용되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실시예에서는 발열공간이 2개의 복수의 발열공간(S4, S5)으로 구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파우치(110)는 제2 수용공간(S2) 및 개구(115)를 형성하는 제1 필름(111) 및 제2 필름(112)를 포함한다.
내용물 수용공간(S3)에는 개구(115)를 통해 투입 또는 취출되는 내용물(C)이 수용된다.
한편, 구획부(120)는 발열공간(S4, S5)을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121) 및 제2구획부재(123)를 포함한다.
구획부(120)는 발열공간(S4, S5)에서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증기 또는 스팀)가 발열공간(S4, S5)에서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구획부(120)는, 반응기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구획 부(120) 자체를 기체만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마련하는 경우, 굳이 별도의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체만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못하는 구획부(120)의 일례로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반응기체 투과성 및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의 비투과성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의 평량(g/㎡)은 대략 70이상 110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4회에 걸친 반복테스트 결과, 평량(g/㎡) 70미만의 부직포의 경우, 1회 이상 반응액체인 물이 부직포를 투과한 것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평량 70이상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액체의 비투과성을 높은 신뢰도로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액체가 내용물(C)까지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내용물(C)을 수용공간(S3)에서부터 취출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또한, 평량(g/㎡) 110을 초과하는 부직포의 경우, 반응기체를 투과하는 정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반응기체의 원활한 배출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평량(g/㎡) 110이하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반응기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는 제1구획부재(121) 및 제2구획부재(122)의 일단을 제2 파우치(100)에 실링하지 않고 자유단으로 둠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구획부재가 아니라 하나의 구획부재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구획부(120)는 반응기체 유입개구(122)에 배치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발열공간(S4, S5)에서 발열반응 시 반응액체는 그 자중 때문에 밑으로 발열공간(S4, S5)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발열팩(100)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반응액체가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통과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발열부(130)가 발열체 및 발열체와 발열반응하는 반응액체 중 어느 하나만을 갖는 경우에는 반응기체 통과부재(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열팩(100)을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홀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파우치(20)를 단열재질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홀더 없이도 사용자가 제1 파우치(20)를 손으로 잡아서 그 내부의 발열팩(100)을 기립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발열공간(S4, S5)에서의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기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되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억제한다'는 용어는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100%막는다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나마 반응액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통기성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반응기체만을 투과시키는 소정 범위의 평량을 갖는 폴리프로 필렌 재질의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후술할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반응을 위한 반응액체 또는 발열체가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반응액체 또는 발열체를 용이하게 발열공간(S4, S5)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역 U"자 또는 "역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로 경사진 "역 U"자 또는 "역 V"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부(113)를 통해 투입되는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가 용이하게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발열부(130)는 서로 접촉하는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체 및 반응액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는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는 반응액체와 발열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예로든 것 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발열부(130)가 발열체만을 갖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발열체 대신에 반응액체(예를 들어, '물')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130)가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는 제2 파우치(110)에 형성된 투입부(113)를 통해 나머지 다른 하나를 투입함으로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액체인 물을 투입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반대로, 발열부(130)가 반응액체만을 구비한 경우,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체를 투입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발열부(130)는 발열체와, 발열체와 발열반응하는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액체 수용기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반응액체 수용기를 깨트리커나 터뜨리거나 찢거나 하는 등의 외력을 가하여 반응액체를 반응액체 수용기로부터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를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투입부(113)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파우치(110)는 투입부(113)를 개폐 가능한 제2 개폐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부(11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개폐방식은 일례에 불과하고, 밸크로 타입 또는 접착식 타입, 기타 공지된 다양한 개폐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14)는 제1 개폐부(30)와 달리 개방구간 없이 제2 파우치(110)의 투입부(113) 전체 영역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 개폐부(114)는 투입부(113)를 폐쇄하는 경우,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공간(S4, S5)으로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액체가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반응액체가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사이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통구(121a, 123a)가 각각의 구획부재(121, 123)의 측면 하부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투입부(113)를 통해 투입되는 반응액체가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발열공간(S4, S5) 중 어느 하나의 발열공간에만 집중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데, 그렇게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반응액체가 연통구(121a, 123a)를 통해 다른 하나의 발열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과 제2 필름(20b)은 그 내부에 발열팩(100)을 수용하면서 개구(21)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그리고, 개구(21)에는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개폐부(30)가 부착되어 있다.
제2 파우치(110)의 제1 필름(111)과 제1구획부재(121)는, 그 내부에 발열부(130)를 수용하면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제1구획부재(121)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제2 파우치(110)의 제2 필름(111)과 제2구획부재(123)도 그 내부에 발열부(130)를 수용하면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제2구획부재(123)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제2 파우치(110)의 제1 필름(111) 및 제2 필름(112)은 측면 테두리끼리만 서 로 실링된다. 이에 따라, 투입부(113)가 형성된다.
제1 구획부재(121)와 제2 구획부재(122) 사이의 공간이 내용물 수용공간(S3)이 된다. 제1 구획부재(121)와 제2 구획부재(122)는,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내용물(C)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115)와, 반응기체의 발열공간(S4, S5)에서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의 유입을 위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형성되도록 서로 실링된다. 여기서, 개구(115)의 너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2)의 실링되지 않는 하부구간(w)이 된다.
도 5 및 6은 상술한 실시예의 내용물 가열키트(1)의 내용물(C) 및 다른 내용물(A, B)을 가열할 때 반응기체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시한 것이다.
발열반응이 일어나면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에서 반응기체가 발생한다.
발생한 반응기체는 제2 개폐부(114)가 투입부(113)를 밀폐하고 있는 바, 투입부(11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를 통과하여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반응기체는 내용물(C)을 가열한다. 물론, 내용물(C)은 좌우에 인접한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에서 생성되는 열이 전도됨으로써 가열된다. 내용물(C)은 열전도 및 반응기체에 의해 이중으로 가열될 수 있는 바,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내용물(C)에 내용물 수용공간(S3)이 넓어 내용물(C1)과 각각의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3)가 비접촉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발열공간(S3, S4)의 열 이 열전도에 의해 내용물(C)을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내용물(C)과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3)간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C)을 통과한 반응기체는 발열팩(100) 주변의 제1 수용공간(S1)에 배치된 다른 내용물(A, B)을 통과하면서 다른 내용물(A, B)을 가열한다.
그 후, 반응기체는 제1 파우치(20)에 형성된 개방구간(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1 파우치(20)가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이 단열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의 내면 또는 외면에 단열성을 갖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내용물 수용공간(S3)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발열공간(S4, S5)이 형성된 발열팩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의 발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내용물 수용공간을 형성한 구조의 발열팩으로도 변경가능하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팩(10)과, 제1 파우치(20)에 결합되어 제1 수용공간(S1)과 구획되는 제2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공간(S1)에는 가열될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2 수용공간(S2')에는 발열부(50)가 수용된다. 발열부(5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130)와 동일하다.
제2 파우치(40)는 하나의 필름으로 마련되며,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에 테두리 영역이 접착되어 제1 파우치(20)와의 사이에 제2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2 파우치(40)는 제1 파우치(2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필름으로 마련되어 제1 파우치(20)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파우치(20)의 제1 수용공간(S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30)를 마련함으로써, 팩(10)의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방구간(O)만을 남겨두고 제1 개폐부(30)가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폐쇄한 상태에서 발열반응을 일으키면,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개구(21)를 통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좁은 개방구간(O)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제1 파우치(20)의 내부에서 증기가 오래 체류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의 가열효율이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 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의 실링부를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실링부를 절취한 상태에서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팩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내용물 가열키트 10 : 팩
20 : 제1 파우치 30 : 제1 개폐부
30a : 암지퍼 30b : 수지퍼
40 : 제2 파우치 50 : 발열부
100 : 발열팩 110: 파우치
113: 투입부 114: 개폐부
120 : 구획부 121:제1 구획부재
122: 반응기체 유입개구 123: 제2구획부재
125: 반응기체 통과부재 130: 발열부
O : 개방구간 S1 : 제1 수용공간
S2, S2' : 제2 수용공간 S3 : 내용물 수용공간
S4, S5 : 발열공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용물 가열키트에 있어서,
    일측 개구를 갖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파우치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을 남겨두고 상기 제1 파우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팩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팩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팩은,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내용물 수용공간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반응기체 유입개구를 갖는 구획부와;
    상호 접촉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 및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상기 발열공간 내에 수용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하도록 상기 반응기체 유입개구에 배치된 반응기체 통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8. 삭제
  9. 삭제
KR1020090120824A 2009-11-20 2009-12-07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1099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27 2009-11-20
KR20090112827 2009-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87A KR20110056187A (ko) 2011-05-26
KR101099049B1 true KR101099049B1 (ko) 2011-12-26

Family

ID=4436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24A KR101099049B1 (ko) 2009-11-20 2009-12-07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039A (zh) * 2018-09-26 2019-02-26 合肥中农科泓智营养健康有限公司 一种双层嵌套结构的食品发热包
KR20210097425A (ko) 2020-01-30 2021-08-09 유영규 식품 가열용 급식상자
KR20220146187A (ko) 2021-04-23 2022-11-01 신현주 휴대용 발열 지퍼 팩 및 그 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9845B2 (ja) * 2017-11-29 2021-11-05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外部との通気可能な包装袋
KR102233269B1 (ko) 2019-06-28 2021-03-2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조리용 파우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7Y1 (ko) * 2005-06-08 2005-08-18 이영식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7Y1 (ko) * 2005-06-08 2005-08-18 이영식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039A (zh) * 2018-09-26 2019-02-26 合肥中农科泓智营养健康有限公司 一种双层嵌套结构的食品发热包
CN109381039B (zh) * 2018-09-26 2020-07-07 合肥中农科泓智营养健康有限公司 一种双层嵌套结构的食品发热包
KR20210097425A (ko) 2020-01-30 2021-08-09 유영규 식품 가열용 급식상자
KR20220146187A (ko) 2021-04-23 2022-11-01 신현주 휴대용 발열 지퍼 팩 및 그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87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49B1 (ko)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US9334087B2 (en) Standing pouch
JP3657914B2 (ja) 1回使用使い捨て型飲料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EP1986533B1 (en) Pouch pack with controlled temperature
KR100949175B1 (ko) 가열효율을 향상시킨 발열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1135433B1 (ko) 반응기체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내용물 가열키트
JP2013540662A (ja) 内蔵式自動加熱エレメントまたは自動冷却エレメント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容器
CN103608269A (zh) 冷热袋及其制造方法
KR20090125996A (ko) 가압배출구가 구비된 파우치팩
CN101730648A (zh) 具有流体充注室闭合件的包装
KR20160110420A (ko) 파우치
KR101314292B1 (ko) 파우치
JP6922366B2 (ja) 通蒸型パウチ
KR101286510B1 (ko) 파우치
KR20130004016A (ko) 파우치
KR200396320Y1 (ko) 폴리올레핀 부직포로 만들어진 드라이아이스 보관용 주머니
KR101018831B1 (ko) 가열팩유니트
JP6710144B2 (ja) 加熱処理パック
KR100967452B1 (ko) 발열팩
KR20140054577A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KR100577317B1 (ko) 수분 유출/유입방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식품가열용기
KR20230084733A (ko) 가열 팩 유닛
KR20140023177A (ko) 발열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
JP6894935B2 (ja) 包装袋
KR100523185B1 (ko) 가열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