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895B1 -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895B1
KR101096895B1 KR1020077020908A KR20077020908A KR101096895B1 KR 101096895 B1 KR101096895 B1 KR 101096895B1 KR 1020077020908 A KR1020077020908 A KR 1020077020908A KR 20077020908 A KR20077020908 A KR 20077020908A KR 101096895 B1 KR101096895 B1 KR 10109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unit
banknotes
path
conveyanc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588A (ko
Inventor
요시로 오이에
히로시 도네
류이치 다바타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2Orientation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321Standing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8Diverting
    • B65H2301/4482Diverting to multiple paths, i.e. more than 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40Shafts, cylinders, drums,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2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4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eciprocating perpendicularly to face of material, e.g. p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1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의 입출금 등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유니트(A∼G)와,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도 큰 주회 길이를 가진 반송 드럼(1)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복수의 누름 롤러(3)가 눌려져 있다. 드럼의 외주에는 식별 센서(5)가 배치된 지폐의 주회 반송로(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니트(A∼G)와 주회 반송로의 사이가 지폐의 접속 반송로(6a∼6g)로 접속되어 있다. 주회 반송로와 각 접속 반송로의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유니트(B∼D)에 지폐를 들여 보낸 때와,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그들과는 반대측의 유니트(A, E∼G)에 지폐를 들여 보낸 때에는, 회전 드럼(1a)의 회전방향도 상호 반대로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BANKNOTE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의 반송계(搬送系) 노상(路上)에 지폐의 금종(金鐘)을 식별하는 센서를 구비한, 지폐의 입출금을 수행하기 위한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지폐 취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길게 설치된 탄성 벨트에 의해 지폐를 수납 유니트 등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본건 출원인에 따른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43128호 공보에는 대략 동일 직경의 풀리(pulley) 사이에서 직선 형상으로 길게 설치된 탄성 벨트에 의한 지폐의 반송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벨트식의 반송 수단을 이용하는 종래의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반송되는 지폐가 미끄러지지 않는 것과 같은 그립력이 얻어질 정도로 탄 성벨트에 장력을 가하면서 구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장력 부하에 저항해서 탄성 벨트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고출력의 구동장치(예컨대, 모터)가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구동장치가 대형화되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고 있다.
다음에, 반송 경로 상에서 지폐의 금종 식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한 식별 센서(예컨대, 광학센서)의 위치를 지폐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통과하도록 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지폐의 식별 센서와 수납 유니트 사이의 반송 경로 길이를 「가장 긴 지폐」의 길이(길이 방향의 치수) 보다 길게 취한다는 요건이 부과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해, 직선 형상으로 길게 설치된 탄성 벨트에 의한 지폐의 반송 수단에서는 반송 경로도 직선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데에는 상당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또 장치 내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도 생기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탄성 벨트를 직선 형상으로 길게 설치하지 않고서 굴곡시켜 길게 설치한다고 하는 대책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idle roller) 등으로 탄성 벨트를 굴곡 지지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반송 부하의 증대에 의해 구동장치의 한층 더 대형화를 초래하는 것으로도 된다. 따라서, 이 대책도 유효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대체로 종래에 비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되는 것과 같은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취급 대상 지폐 중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도 큰 주회 길이를 가진 반송 드럼과, 상기 반송 드럼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반송 드럼의 주회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당해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복수의 누름 롤러와, 상기 반송 드럼의 외주에 형성되고, 당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회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회 가이드 부재와, 이 주회 반송로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하는 식별 센서와, 입금 지폐가 도입되는 지폐 도입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를 금종 별로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취출된 출금 지폐가 방출되는 지폐 방출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회수된 회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회수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 및 상기 출금 지폐 중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수납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의 사이를 각각 접속한 지폐의 접속 반송로를 형성하는 접속 가이드 부재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 각 접속 반송로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와, 적어도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가, 상기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상기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i) 상기 수납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보낸다 때에는 상기 반송 드럼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ⅱ) 상기 방출 유니트와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낸다 때에는 상기 반송 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폐 취급 장치에 의하면, 회전 구동 장치로 반송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지폐를 반송 드럼과 누름 롤러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면서 주회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회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 센서에 의해 식별하는 수가 있다. 더욱이, 경로 전환 기구(passage switching mechanism)에 의해 지폐의 반송 경로를 주회 반송로(circumferential conveyance passage; 周回搬送路)와 각 접속 반송로(connection conveyance passage)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도입 유니트, 수납 유니트, 방출 유니트트, 회수 유니트 및, 리젝트 유니트(reject unit)와, 주회 반송로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선택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반송 드럼 및 누름 롤러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것으로, 벨트식의 반송 수단과 같은 장력 부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고출력의 구동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식별 센서와 수납 유니트와의 사이의 반송 경로 길이를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 길고 취한다는 요건에 관해서도, 환상(環狀)의 주회 반송로에서 식별 센서에 의한 지폐의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직선 형상의 반송 경로에서의 식별의 경우 보다도 장치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장치의 소형화나 장치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의해 종래에 비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도입 유니트, 방출 유니트, 회수 유니트 및, 리젝트 유니트가,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수납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낼 때와,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된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낼 때에는 반송 드럼의 회전방향도 상호 반대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내의 구성요소를 보다 합리적으로 집약해서 레이아웃 할 수가 있어, 장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이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각 수납 유니트가, 수납할 지폐를 상기 주회 반송로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접속 반송로를 통해 받아들이는 대기 상태와, 그 이외의 비대기 상태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수납할 지폐에 대응하는 상기 수납 유니트가 상기 비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수납 유니트가 상기 대기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지폐의 상기 주회 반송로에서의 반송이 계속 되도록,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당해 수납 유니트가 대기 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서 입금 지폐를 도입 유니트로부터 주회 반송로로 들여 보내 식별 센서로 식별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입금 처리를 보다 신속히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식별 센서에 의한 상기 입금 지폐의 식별 결과가 정상이 아니었던 경우, 상기 반송 드럼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전환하고, 당해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상기 리젝트 유니트에 들여 보내도록,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식별 결과가 정상이 아니었던 입금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리젝트 유니트로 즉시 들여 보낼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리젝트 지폐가 발생한 경우라도 입금 처리의 신속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취급 대상 지폐 중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도 큰 주회 길이를 가진 반송 드럼과, 상기 반송 드럼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반송 드럼의 주회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당해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복수의 누름 롤러와, 상기 반송 드럼의 외주에 형성되고, 당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회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회 가이드 부재와, 이 주회 반송로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하는 식별 센서와, 입금 지폐가 도입되는 지폐 도입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를 금종 별로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취출된 출금 지폐가 방출되는 지폐 방출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회수된 회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회수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 및 상기 출금 지폐 중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수납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의 사이를 각각 접속한 지폐의 접속 반송로를 형성하는 접속 가이드 부재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 각 접속 반송로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와, 상기 주회 반송로에 설치되고,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주회 통과 센서와, 각 수납 유니트에 접속된 상기 접속 반송로에 각각 설치되고,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접속 통과 센서 및, 적어도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주회 통과 센서 및 상기 접속 통과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반송 중의 지폐의 잼을 검지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가, 상기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상기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입금 지폐의 잼을 검지한 때에는, 상기 반송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켜 당해 잼을 해제 한 후, 상기 반송 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지폐를 상기 리젝트 유니트에 들여 보내도록,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도, 도입 유니트, 방출 유니트, 회수 유니트 및, 리젝트 유니트는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어, 장치 내의 구성요소를 보다 합리적으로 집약해서 레이아웃 하는 것으로, 장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 따르면, 입금 지폐의 잼(jam)을 검지한 때에는 반송 드럼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반송 드럼에 의한 지폐의 반송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당해 잼을 보다 확실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취급 대상 지폐 중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도 크고, 가장 짧은 지폐의 길이의 2배 보다 작은 주회 길이를 가진 반송 드럼과, 상기 반송 드럼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반송 드럼의 주회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당해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복수의 누름 롤러와, 상기 반송 드럼의 외주에 형성되고, 당해 드럼과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회 반송로를 형성하는 주회 가이드 부재와, 이 주회 반송로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하는 식별 센서와, 입금 지폐가 도입되는 지폐 도입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를 금종 별로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취출된 출금 지폐가 방출되는 지폐 방출 유니트와, 상기 수납 유니트로부터 회수된 회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회수 유니트와, 상기 입금 지폐 및 상기 출금 지폐 중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수납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의 사이를 각각 접속한 지폐의 접속 반송로를 형성하는 접속 가이드 부재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 각 접속 반송로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로서, 상기 리젝트 유니트에 접속된 상기 접속 반송로와 상기 주회 반송로 사이의 분기 위치에 설치되고, 당해 접속 반송로와 상기 주회 반송로의 어느 하나로 지폐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요동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경로 전환 기구와, 상기 주회 반송로에 설치되고,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주회 통과 센서 및, 적어도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통과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주회 반송로에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 및 당해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을 검지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 유니트, 상기 방출 유니트, 상기 회수 유니트 및, 상기 리젝트 유니트가, 상기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상기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를 검지한 때에는, (i) 검지되는 상기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상기 요동 가이드 부재에 의한 상기 접속 반송로로의 지폐의 안내가 가능하게 되는 최소 간격 미만인 경우, 당해 2매의 지폐의 상기 주회 반송로에서의 반송이 계속되고, (ⅱ) 검지되는 상기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상기 최소 간격 이상인 경우, 상기 반송 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2매의 지폐를 순차로 상기 요동 가이드 부재에 의한 상기 접속 반송로로의 안내에 의해 상기 리젝트 유니트에 들여 보내도록, 상기 회전 구동 장치 및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도, 도입 유니트, 방출 유니트, 회수 유니트 및, 리젝트 유니트는 반송 드럼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어, 장치 내의 구성요소를 보다 합리적으로 집약해서 레이아웃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반송 드럼의 주회 길이(circumferential length)는 가장 짧은 지폐의 길이의 2배 보다 작기 때문에, 주회 반송로에 2매의 지폐가 이어져 진입한 경우, 그들의 지폐는 반드시 겹쳐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당해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상기 최소 간격 미만인 경우에는 당해 2매의 지폐의 주회 반송로에서의 반송이 계속된다. 그 때, 겹쳐진 당해 지폐끼리의 사이에서 주회 속도의 차이가 생김으로써, 당해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변화되어, 상기 최소 간격에 도달하는 때가 오는 것으로 된다. 그렇게 된 경우에는, 반송 드럼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2매의 지폐를 순차로 요동 가이드 부재에 의한 접속 반송로로의 안내에 의해 리젝트 유니트에 들여 보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동전 취급 장치와 조합된 상태의 외관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장치에서 반송 드럼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에서 요동 가이드 부재의 하나와 이동 가이드 부재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에서 경로 전환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기구의 원리를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수납 유니트의 하나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누름 부재가 (a) 대기위치, (b) 퇴피 위치, (c) 인출 위치 및, (d) 중복 이송 방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기구에서 누름 부재가 대기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기구에서 누름 부재의 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확대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주회 반송로에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것 보다도 반송 드럼(주회 반송로)의 주회 길이가 대폭적으로 긴 경우를 고려해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2매의 지폐와, 반송 드럼 및, 누름 롤러와의 관계를 확대해서 나타낸 수평단면도이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지폐 취급 장치의 전체 구성, 경로 전환 기구, 수납 유니트, 제어계, 전체 동작, 작용 효과 및, 변형예에 대해 순차로 설명한다. 한편, 경로 전환 기구 및 수납 유니트에 대해서는 그들의 항목 내에서 다시 상세한 구성, 고유의 작용 효과 및 변형예에 대해 소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먼저, 도 1∼도 4를 참조해서 지폐의 입출금을 수행하기 위한 지폐 취급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지폐 취급 장치(1B)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전의 입출금을 수행하기 위한 동전 취급 장치(1A)와 조합된 상태로 이용된다. 그 경우,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POS 레지스터 등과 조합시켜, 동전 취급 장치(1A) 및 지폐 취급 장치(1B)가 각각 동전 거스름돈기 및 지폐 거스름돈기로서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폐 취급 장치(1B)는 틀체(10) 내의 대략 중앙부에 축선을 수직으로 해서 배치된 대략 원통형의 반송 드럼(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틀체(10) 내에는 지폐 도입 유니트(A), 지폐 수납 유니트(B, C, D), 지폐 회수 유니트(E), 지폐 방출 유니트(G) 및, 리젝트 유니트(F)가 반송 드럼(1)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 중, 각 수납 유니트(B, C, D)는 틀체(10)의 후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입 유니트(A), 리젝트 유니트(F), 방출 유니트(G) 및, 회수 유니트(E)는 반송 드럼(1)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B, C, D)와는 반대의 측인 틀체(10)의 전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틀체(10)의 전면(前面)에는 도입 유니트(A)에 대응한 입금구(12)와, 방출 유니트(G)에 대응한 출금구(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틀체(10)의 전면에는 회수 유니트(E)의 전면이 노출되어 있다. 회수 유니트(E)는 해정(解錠)에 의해 틀체(10)로부터 전방으로 취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틀체(10)의 앞부분 상부면에는 표시 조작 유니트(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입 유니트(A)는 입금구(12)에 삽입된 입금 지폐를 도입해서, 그들 지폐를 반송 드럼(1) 측으로 계속 내보내기 위한 것이다. 또, 각 수납 유니트(B, C, D)는 입금 지폐를 금종 별로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천엔 권 수납 유니트(B), 2천엔/5천엔 권(혼합) 수납 유니트(C) 및, 만엔 권 수납 유니트(D)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방출 유니트(G)는 각 수납 유니트(B, C, D)로부터 취출된 출금 지폐를 방출하고, 그들 지폐를 출금구(14)로부터의 추출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리젝트 유니트(F)는 뒤에 설명하는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또, 회수 유니트(E)는 각 수납 유니트(B, C, D)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 회수 유니트(E)는 어느 수납 유니트(B, C, D)가 가득 차서 대응하는 입금 지폐를 수납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입금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한편, 도입 유니트(A), 방출 유니트(G), 리젝트 유니트(F) 및, 회수 유니트(E)의 내부 구성으로는 주지 내지 공지인 것을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수납 유니트(B, C, D)의 상세한 설명은 별도의 항목에서 행한다.
반송 드럼(1)의 외주에는 원형을 이루는 지폐의 주회 반송로(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입 유니트(A), 각 수납 유니트(B, C, D), 회수 유니트(E), 리젝트 유니트(F) 및, 방출 유니트(G)와, 주회 반송로(4)와의 사이를 각각 접속하는 지폐의 접속 반송로(6a∼6g)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속 반송로(6a∼6g)는 주회 반송로(4)로부터 각각 다른 분기 위치에서 분기해서 지폐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단, 반송로(6f)는 반송로(6a)로부터 분기 하고 있다].
반송 드럼(1)의 주위에는 판재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8)는 반송 드럼(1)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주회 반송로(4)를 형성하는 주회 가이드 부재와, 각 접속 반송로(6a∼6g)를 형성하는 접속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접속 반송로(6g 및 6f)가 접속되는 방출 유니트(G) 및 리젝트 유니트(F)의 입구 부분에는 지폐의 집적을 보조하기 위한 고무 날개바퀴(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주회 반송로(4)의 오른쪽 부분에는 그곳을 통과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센서(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 센서(5)는 주회 반송로(4)에서의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주회 통과 센서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식별 센서(5)는, 예컨대 광학 센서로서 구성되고, 서로 주회 반송로(4)를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센서부품(5a, 5b)을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송 드럼(1)은 회전 드럼(1a)과, 이 회전 드럼(1a)에 대해 축선(Z) 방향의 양측에 인접해서 배치된 상부 고정 드럼(1b) 및 하부 고정 드럼(1c)을 갖고 있다. 회전 드럼(1a)은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구동 장치(2)(도 1)에 의해 정역(正逆)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각 고정 드럼(1b, 1c)은 틀체(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그 중 상부 고정 드럼(1b)의 외주측에 한쪽 센서 부품(5a)이 매립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의 회전 드럼(1a)의 회전방향은 도 1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 회전이 정회전으로, 시계 회전 방향 회전이 역회전으로 된다.
반송 드럼(1)은 각 드럼(1a∼lc)에서 대략 공통의 주회 길이(직경)를 갖고 있다. 그 주회 길이는 취급 대상 지폐 중 가장 긴 지폐(이 경우는 만엔 권)의 길이 보다 크고, 가장 짧은 지폐(이 경우는 천엔 권)의 길이의 2배 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반송 드럼(1) 전체의 높이(축선 Z 방향 길이)는 취급 대상 지폐의 폭에 대략 대응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 구동 장치(2)는 반송 드럼(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장치(2)는 모터에 의해 회전 드럼(1a)을 직접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임의의 감속기구를 매개로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회전 드럼(1a)의 외주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려지는 복수(이 경우는 5개)의 누름 롤러(3)가 반송 드럼(1)의 주회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폐 취급 장치(1B)는 주회 반송로(4)와 각 접속 반송로(6a∼6g)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로 전환 기구는 각 접속 반송로(6a∼6g)와 주회 반송로(4)의 사이의 분기 위치에 설치되고, 당해 접속 반송로(6a∼6g)와 주회 반송로(4)의 어느 곳으로 지폐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7a∼7g)를 갖추고 있다. 이들 전환 기구(7a∼7g)의 구성 태양은 접속 반송로(6a∼6f)에 대응하는 요동 가이드 부재(7a∼7f)와, 접속 반송로(6g)에 대응하는 이동 가이드 부재(7g)로 나누어진다.
한편, 접속 반송로(6f)는 주회 반송로(4)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접속 반송로(6a)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가이드 부재(7f)는 접속 반송로(6a)와 접속 반송로(6f)의 분기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 요동 가이드 부재(7f)에 의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f)로의 반송 경로의 전환은 요동 가이드 부재(7a)와의 제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도 4에는 하나의 요동 가이드 부재(7e)와 이동 가이드 부재(7g)가 확대되어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가이드 부재(7e 및 7g)는 도 3에 나타낸 반송 드럼(1) 중 회전 드럼(1a)을 제외한 고정 드럼(1b, 1c)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고, 고정 드럼(1b, 1c) 및 가이드 부재(8)의 대응 부분에는 잘려 나간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다른 가이드 부재(7a∼7d, 7f)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임).
요동 가이드 부재(7e)는 도 4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통과측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분기측 위치」로 요동함으로써,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e)로 반송 경로를 전환[지폐를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e)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동 가이드 부재(7g)는 도 4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병진 이동하는 것으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g)로 반송 경로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 반송로(6g)는 회전 드럼(1a)의 역전시에 출금 지폐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속 반송로(6g-1)와, 회전 드럼(1a)의 정회전시에 지폐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속 반송로(6g-2)에서 분기하고 있다. 단,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후의 "제어계"의 항목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항상 회전 드럼(1a)의 역회전에 의해 방출 유니트(G)로 지폐를 들여 보내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반송로(6g-2)는 불필요하게 된다.
경로 전환 기구
[구성]
다음에, 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경로 전환 기구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경로 전환 기구의 구성요소 중, 특히 [가이드 부재(7f)를 제외하고] 가이드 부재(7a∼7e)에 관련되는 주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경로 전환 기구의 당해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경로 전환 기구의 원리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원형의 주회 반송로(4)를 직선적인 반송로(4f)로 치환해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에서 가이드 부재(7g)를 예로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는 각각의 분기 위치에서 지폐를 주회 반송로(4)로부터 각 접속 반송로(6a∼6e)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분기측 위치」와, 지폐가 주회 반송로(4)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통과측 위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는 각각 4개의 손톱 모양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손톱 모양 부재(70)는 그들에 공통의 요동축(72)에 대해 상호 정렬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경로 전환 기구는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회동 연결 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동 연결 부재(120)는 원형의 주회 반송로(4)(도 1)의 중심을 통과하는(도 3의 축선 Z와 일치하는) 회동 축선의 주위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6에서는 직선적인 주회 반송로(4)에 일치시켜 연결부재(120)도 직선적인 형상을 갖고서 병진 운동하는 것으로서 그려져 있다).
또, 회동 연결 부재(120)를 도 5의 반시계 회전 방향에 밀어붙이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밀어붙임 부재(예컨대, 코일 스프링)가 설치되어 있다[이 밀어붙임 수 단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되돌림 스프링(129)이 도시되어 있다] . 또, 경로 전환 기구는 연결 부재(120)를 매개로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직진형의 1방향 솔레노이드(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솔레노이드(122)는 선단부가 연결 부재(120)의 홈과 걸어 맞추어지는 프런저(122a; plunger)를 갖고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22)는 통전 시에 프런저(122a)를 끌어 들이는 것으로, 연결 부재(120)를 (밀어붙임 부재의 밀어붙임력에 대항해서) 도 5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도 6에서는 우측으로 이동시킴) 되어 있다.
연결 부재(120)와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와의 사이에는 각각 유동기구(124; 遊動機構)가 개재되어 있다. 각 유동기구(124)는 연결 부재(120)에 직접 연동하는 제1부재(126)와, 대응하는 요동 가이드 부재(7a∼7e)에 직접 연동하는 제2부재(127) 및, 이들의 제1부재(126)와 제2부재(127)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128)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유동기구(124)에서는 제1부재(126)가 요동축(72)에 대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취부되고, 선단측이 연결 부재(120)의 홈과 걸어 맞추어지는 레버이다. 마찬가지로, 제2부재(127)는 요동축(72)에 대해 돌아 멈추게 된 레버이다. 그리고, 탄성 부재(128)는 2개의 레버(126, 127)끼리의 사이에 (양자의 상대적인 회동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용하도록)개재된 판스프링 부재이다.
이에 따라, 각 유동기구(124)는 한편으로는 분기측 위치에 있는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당해 위치로 향해 밀어붙이면서 통과측 위치로 유동 가능으로 하고, 다른 쪽에서는 통과측 위치에 있는 각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당해 위치로 향해 밀어붙이면서 분기측 위치로 유동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을 참조).
[작용 효과]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경로 전환 기구의 고유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 경로 전환 기구에 의하면, 연결 부재(120)를 매개시키는 것으로, 단일의 구동장치(122)에 의해 복수의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분기측 위치와 통과측 위치와의 사이에서 연동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특정의 분기 위치에서 지폐를 주회 반송로(4)로부터 분기 반송로(6a∼6e)로 향하도록 안내하는데에는, 지폐의 선단이 당해 분기 위치와 그 직전의 분기 위치의 사이에 있을 때, 각 가이드 부재(7a∼7e)를 분기측 위치로 요동시키면 좋다. 이때, 주회 반송로(4)에서 상류 측의 가이드 부재(7a∼7e)가 당해 지폐를 눌러 부착하도록 작용한 것으로 하여도, 유동기구(124)에 의해 당해 지폐의 통과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지폐를 어느 분기 반송로(6a∼6e)로부터 주회 반송로(4)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각 가이드 부재(7a∼7e)를 통과측 위치로 요동시킨 상태로 하여 두면 좋다. 이때, 분기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7a∼7e)가 당해 지폐를 눌러 부착하도록 작용한 것으로 하여도, 유동기구(124)에 의해 당해 지폐의 통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지폐를 주회 반송로(4)로부터 임의의 분기 반송로(6a∼6e)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경로 전환 기구를 반송로의 분기 부분의 수 보다 적은 (이 경우는 단일의) 구동장치(122)를 이용해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개개의 가이드 부재(7a∼7e)를 각각 전용의 구동장치로 요동시키는(따라서, 분기 부분과 동일한 수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비해, 기구의 코스트 저감과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변형예]
하나의 구동장치(122)에 의해 5개의 요동 가이드 부재(7a∼7e)를 연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요동 가이드 부재의 수 보다 적은 수의 구동장치이면, 필요에 따라 복수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구동수단으로서의 1방향 솔레노이드(122)를 2방향 보유지지형의 것 등으로 대신하는 것으로, 도 6의 되돌림 스프링(129)에 상당하는 밀어붙임 수단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구동장치로는 직진형 솔레노이드 대신, 회전형 솔레노이드, 그 외의 형식의 액츄에이터 등,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수납 유니트
[구성]
다음에, 도 7∼도 10을 참조해서 각 수납 유니트(B∼D)에서 실질적으로 공통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 유니트는 각 수납 유니트(B∼D)의 바깥 테두 리를 구성하는 격벽(P) 내에서 지폐를 겹쳐 쌓는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수납부(20) 내에 수납되는 지폐는 짧은 방향이 수직으로 되는 것과 같은 자세에서 수평방향(도 7에서는 종방향)으로 겹쳐 싸인다. 이 수납부(20)에서 지폐 겹쳐 쌓임 방향의 일측(도 7에서는 위쪽)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쌍의 반송 벨트(22)가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각 반송 벨트(22)는 수납부(20) 내의 지폐의 길이방향(도 7에서는 횡방향)에 대응해서 뻗어 있다. 각 반송 벨트(22)는 각각 1조의 풀리(22a, 22b; pulley) 사이에 걸어 놓여져 있다. 또, 1조의 풀리(22a, 22b) 사이에 벨트 측 롤러(22c) 및 보조 롤러(22d)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풀리(22a) 및 벨트 측 롤러(22c)에 대향해서 각각 대향 롤러(23a) 및 게이트 롤러(23c)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각 수납 유니트(B∼D)는 풀리(22a)와 대향 롤러(23a)와의 사이의 부분이, 대응하는 접속 반송로(6b∼6d)(도 1)로 통하는 지폐의 출입구로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이 출입구에 대응해서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센서(S3∼S5)(도 7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2)는 도 8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20) 내에 수납된 수납 지폐 중 맨 앞 위치의 지폐 M3의 표면에 닿아, 당해 지폐 M3를 겹쳐 쌓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인출 방향(도 8의 우측)으로 계속 내보내기 위한 반송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 반송 벨트(22) 중 풀리(22a) 및 롤러(22c)에 대응하는 부분과, 대향 롤러(23a) 및 게이트 롤러(23c)로 「이송장치(22, 23a, 23c)」가 구성되 어 있다. 이 이송장치는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20) 내로 수용 지폐 M2을 들여 보냄과 더불어 반송 벨트(22)에 의해 계속 내보내진 인출 지폐 M3를 다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단, 게이트 롤러(23c)는 도 8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출 지폐 M3에 대해서는 그 인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다른 지폐로부터의 분리를 재촉하기 위한 분리 장치로서 작용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20) 내에는, 대략 평판형상의 지폐의 받이부재(24)가 지폐 겹쳐 쌓음 방향의 다른쪽(도 7에서는 아래쪽)과 반송 벨트(2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받이부재(24)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링크(25)를 매개로 반송 벨트(22) 측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폐 겹쳐 쌓음 방향에서 보아 반송 벨트(22)를 사이에 끼우는 것과 같은 위치에서, 1쌍의 누름 부재(26)가 지폐 인출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다. 각 누름 부재(26)는 대략 사각형 단면의 봉상(棒狀)을 이루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단측이 받이부재(24)의 일단 테두리 부근까지 뻗음과 함께, 기단 측이 받이부재(24)의 타단 테두리를 넘어 뻗어 있다. 각 누름 부재(26)의 기단 측은 지폐 겹쳐 쌓음 방향의 다른쪽(도 7에서는 아래쪽)으로 뻗은 연결부(27)에 연결되어 있다. 각 누름 부재(26)의 기단 근처의 부분에는 받이부재(24) 측으로 근소하게 돌출한 마찰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찰부(26a)는 누름 부재(26)의 다른 부분의 표면(예컨대, 매끄러운 금속면 내지 수지면) 보다도 마찰계수가 큰 표면(예컨대, 고무면)을 갖고 있다.
다음에, 1쌍의 누름 부재(26)를 지폐 겹쳐 쌓음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8)가 갖춰져 있다. 이 이동기구(28)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폐 겹쳐 쌓음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안내된 종동자(28a; 從動子)와, 이 종동자(28a)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동(原動) 롤러(28c)를 갖고 있다. 종동자(28a)는 연결부(27)로부터 누름 부재(26)와 같은 방향으로 평판 형상으로 뻗음과 더불어, 같은 방향으로 뻗은 장공(28b; 長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종동자(28a)의 장공(28b) 내에 걸어 맞추어진 원동 롤러(28c)를 도 10과 같이 공전 운동시킴으로써, 1쌍의 누름 부재(26)를 지폐 겹쳐 쌓음 방향으로 병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원동 롤러(28c)는 모터 등으로 회전 구동되는 원반의 외주부나 암의 선단부 등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공전 운동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1쌍의 누름 부재(26)는 이동기구(28)에 의해 이하와 같은 (a) 대기위치, (b) 퇴피 위치, (c) 인출 위치 및, (d) 중복 이송 방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 대기위치 :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20) 내에 이미 수납 지폐 M1가 있는 경우, 이 수납 지폐 M1를 받이부재(24)와 당해 누름 부재(26)와의 사이에 끼움과 동시에, 이송장치(22, 23a, 23c)에 의해 보내져 들어가는 수용 지폐 M2를 당해 누름 부재(26)와 반송 벨트(22)와의 사이에서 받아 들일 수 있는 위치.
(b) 퇴피 위치 : 대기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 지폐 M2의 양측 테두리부를 일시적으로 휘어지게 해서 이를 통과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송 벨트(22) 측으로 퇴피한 위치.
(c) 인출 위치 : 도 8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부(20) 내에 수납된 지폐 중 맨 앞 위치의 지폐 M3을 반송 벨트(22)로 계속 내보내고자 할 때에 그 인출 지폐 M3에 마찰부(26a)가 닿지 않도록 반송 벨트(22) 측으로 퇴피한 위치.
(d) 중복 이송 방지 위치 : 도 8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출 지폐 M3의 다음 위치의 지폐 M4에 마찰부(26a)가 접하도록 인출 위치 보다도 받이부재(24) 측으로 진출한 위치.
한편, 복수의 지폐를 계속 내보낼 때, 누름 부재(26)를 (c) 인출 위치와 (d) 중복 이송 방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고려해서, (c) 인출 위치는 (b) 퇴피 위치 보다도 받이부재(24) 측에 가까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각 수납 유니트(B∼D)에 있어서, 1쌍의 누름 부재(26)가 상기 (a)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당해 수납 유니트(B∼D)의 「대기 상태」로 한다. 또, 각 수납 유니트(B∼D)에 있어서 1쌍의 누름 부재(26)가 상기 (b) 퇴피 위치, (c) 인출 위치 및, (d) 중복 이송 방지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a) 대기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비대기 상태」라 한다.
[작용 효과]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 유니트의 고유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지폐의 수납시에는 누름 부재(26)가 도 8의 (a)의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송장치(22, 23a, 23c)에 의해 반송 벨트(22)와 누름 부재(26)와의 사이에 수용 지폐 M2를 들여 보낸다. 그 후, 누름 부재(26)를 도 8의 (b)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도 4 참조), 당해 지폐 M2를 수납부(20) 내에 수납 지폐 M1로서 수납한다. 또, 누름 부재(26)를 도 8의 (a)의 대기 위치로 되돌린 후, 상기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수의 지폐를 수납부(20) 내[받이부재(24)와 누름 부재(26) 사이]에 겹쳐 쌓아 수납하여 갈 수 있다.
또, 지폐의 인출 시에는, 먼저 누름 부재(26)가 도 8의 (c)의 인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반송 벨트(22)로 수납부(20) 내의 맨 앞 위치의 지폐 M3를 인출하여 간다. 이 인출 지폐 M3는 반송 벨트 내지 이송장치(22, 23a, 23c)에 의해 송출되어 간다. 그리고, 인출 지폐 M3의 후단이 마찰부(26a)의 영역을 통과한 것이 통과 센서(S3∼S5)에 의해 검지되고 나서, 누름 부재(26)를 도 8의 (d)의 중복 이송 방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누름 부재(26)의 마찰부(26a)에 의해 다음 위치의 지폐 M4의 중복 이송(데리고 나감)이 방지된다. 또, 누름 부재(26)를 도 8의 (c)의 인출 위치로 되돌린 후,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수의 수납 지폐를 1매씩 확실히 인출하여 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예의 수납 유니트에 의하면, 종래의 수납 유니트에서의 지폐 수납용 부재, 중복 이송 방지용 부재 및, 그들 구동원의 기능을 누름 부재(26) 및 그 이동기구(28) 만으로 대체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지폐의 수납 및 중복 이송 방지를 위한 구성과의 관계에서 코스트의 삭감 및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변형예]
수납 유니트(B∼D)의 수납부(20)에서의 지폐의 겹쳐 쌓음 방향은 상기와 같은 수평 방향에 한하지 않고, 수직 방향이나 임의의 경사방향이어도 좋다.
또, 반송 벨트(22) 대신 반송 롤러 등의 다른 반송장치를 이용하여도 좋고, 대향 롤러(23a)나 게이트 롤러(23c) 대신 마찬가지 기능을 가진 벨트 등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누름 부재(26)를 병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는 상기 이동기구(28) 대신, 누름 부재(26)를 직접적으로 병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등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어계
다음에, 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지폐 취급 장치의 제어계에 관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폐 취급 장치는 식별 센서(주회 통과 센서)(5) 외에, 예컨대 광학센서로서 구성되어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 센서(S1∼S8)를 갖추고 있다. 그 중, 도입 유니트(A) 내에 설치된 센서(S1 및 S2)는 각각 도입유니트(A) 내로의 지폐의 도입 및 도입 유니트(A)로부터의 지폐의 인출을 검지한다.
또, 각 접속 반송로(6b∼6g)에 설치된 접속 통과 센서(S3∼S8)는 각각 대응 하는 유니트(B∼G)의 직전에서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폐 취급 장치는 각 유니트(A∼G) 및 센서(5, S1∼S8)가 접속된 제어 유니트(H)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유니트(H)에는, 그 외, 회전 드럼(1a)용 회전 구동 장치(2), 요동 가이드 부재(7a∼7e)용 구동장치(122)(도 5) 및, 표시조작 유니트(11)(도 2)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니트(H)에는 다시 요동 가이드부재(7f) 및 이동 가이드 부재(7g)용 구동장치(예컨대, 솔레노이드)(122f 및 122g)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니트(H)는 회전 구동 장치(2)를 매개로 회전 드럼(1a)의 회전을 제어함과 더불어, 구동장치(122, 122f, 122g)를 매개로 경로 전환 기구의 동작을 제어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 유니트(H)는 적어도 이하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1) 먼저, 제어 유니트(H)는,
(i) 수납 유니트(B∼D)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보낸 때에는 회전 드럼(1a)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ⅱ) 방출 유니트(G), 회수 유니트(E) 및, 리젝트 유니트(F)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낸때에는 회전 드럼(1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장치(2)를 제어한다.
(2) 다음에, 제어 유니트(H)는 수납해야 할 지폐에 대응하는 수납 유니트(B∼D)가 상기 「비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수납 유니트(B∼D)가 상기 「대기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지폐의 주회 반송로(4)에서의 반송이 계속 되도록, 회전 구동 장치(2) 및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한다.
(3) 다음에, 제어 유니트(H)는, 식별 센서(5)에 의한 입금 지폐의 식별 결과가 정상적이었던 경우, 회전 드럼(1a)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전환해서, 당해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리젝트 유니트(F)로 들여 보내도록, 회전 구동 장치(2) 및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한다.
(4) 다음에, 제어 유니트(H)는 주회 통과 센서(식별 센서)(5) 및 접속 통과 센서(S3∼S8)의 출력을 기초로 반송 중의 지폐의 잼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 유니트(H)는 입금 지폐의 잼을 검지한 때에는 회전 드럼(1a)의 회전속도를 저하시켜 당해 잼을 해제한 후, 회전 드럼(1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지폐를 리젝트 유니트(F)로 들여 보내도록, 회전 구동 장치(2) 및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한다.
(5) 다음에, 제어 유니트(H)는 주회 통과 센서(5)의 출력을 기초로 주회 반송로(4)에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 및 당해 2매의 지폐 사이의 원주 방향 간격 L(도 13 참조)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 유니트(H)는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를 검지한 때에는,
(i) 검지되는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 L이, 요동력 가이드 부재(7a)에 의한 접속 반송로(6a)로의 지폐의 안내가 가능하게 되는 최소 간격 Lm(도 14 참조) 미만인 경우, 당해 2매의 지폐의 주회 반송로(4)에서의 반송이 계속되고,
(ii) 검지되는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 L이 최소 간격 Lm 이상인 경우, 회전 드럼(1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2매의 지폐를 순차로 요동 가이드 부재(7a, 7f)에 의한 접속 반송로(6a, 6f)로의 안내에 의해 리젝트 유니트(F)로 들여 보내도록,
회전 구동장치(2) 및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한다.
전체 동작
다음에, 지폐 취급 장치 전체의 동작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POS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제어되는 거스름돈기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입금 동작
먼저, 고객으로부터 받은 구입대금으로서의 입금 지폐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다발의 상태로 입금구(12)(도 1 및 도 2)로 삽입된다. 입금구(12)로부터 삽입된 지폐는 도 1에 도시된 지폐 도입 유니트(A)로부터 접속 반송로(6a)를 통해 주회 반송로(4)로(공지의 분리 인출 기구에 의해) 1매씩 인출된다. 주회 반송로(4)로 계속 내보내진 지폐는 반송 드럼(1)과 누름 롤러(3) 사이에서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드럼(1a)의 정회전에 따라 주회 반송로(4)를 따라 반송된다.
주회 반송로(4)로 반송되는 지폐는 1 바뀌 도는(1주 하는) 사이에 식별 센서(5)에 의해 금종이 식별되고, 대응하는 금종의 수납 유니트(B, C, D)에 수납된다. 각 수납 유니트(B, C, D)로의 입금 지폐의 수납은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7b, 7c, 7d)에 의한 주회 반송로(4)로부터 각 접속 반송로(6b, 6c, 6d)로의 반송 경로의 전환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주회 반송로(4)에 있어서 지폐의 사행(斜行) 등에 의해 식별 센서(5)에 의한 금종 식별이 가능하지 않았던 경우는, 주회 반송로(4)에서 당해 지폐를 다시 1주 시킴으로써 식별 센서(5)에 의한 식별을 재차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소위, 식별 리트라이).
이상과 같은 입금 동작에 수반해서, 지폐 취급 장치로부터 POS 레지스터에 대해 (식별 결과에 기초한) 입금액이 통지된다. 통지를 받은 POS 레지스터는, (예컨대, 바코드의 판독으로 입력되는) 고객의 구입 상품의 금액과 입금액을 비교해서 거스름돈이 발생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거스름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POS 레지스터로부터 지폐 취급 장치에 대해 거스름돈 인출 명령이 통지된다.
(2) 출금 동작
상기의 거스름돈 인출 명령을 받은 지폐 취급 장치는 명령된 거스름돈의 액수에 대응해서 이하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출금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거스름돈 인출 명령에 의한 출금 동작에 관련하는 것은 만엔 권 수납 유니트(D)를 제외한, 천엔 권 수납 유니트(B)와 2천엔/5천엔 권 수납 유니트(C) 중 어느 하나이다.
(2-1) 거스름돈 액수가 3천엔인 경우
이 경우, 천엔 권 수납 유니트(B)로부터 계속 내보내진 3매의 천엔 권이 접속 반송로(6b)를 통해 주회 반송로(4)로 (공지의 분리 인출 기구에 의해) 1매씩 계속 보내진다. 주회 반송로(4)로 계속 내보내진 지폐는 회전 드럼(1a)의 역전에 따라 주회 반송로(4)를 따라 반송되고, 가이드 부재(7e)에 의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e-1)(도 4)로의 반송 경로의 전환 동작에 의해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간다. 방출 유니트(G)는 3매의 천엔 권이 이송된 시점에서, 그들의 지폐를 (공지의 기구에 의해) 다발의 상태로 출금구(14)로부터 돌출시키도록 방출한다. 출금구(14)로부터 돌출된 지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빼내진다.
한편, 천엔 권 수납 유니트(B)에는 천엔 권밖에 수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는 출금 지폐를 주회 반송로(4)에서 1 바퀴 이상 돌아가게 해서 금종 식별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2-2) 거스름돈 액수가 7천엔인 경우
이 경우, 먼저 2천엔/5천엔 권 수납 유니트(C)로부터 최초의 지폐 1매만이 계속 내보내지고, 주회 반송로(4)를 따라 반송 드럼(1)의 역전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지폐는 주회 반송로(4)를 1 바퀴 이상 도는 사이에 식별 센서(5)에 의한 금종 식별을 받은 다음, 상기 (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간다.
최초의 지폐의 금종이 5천엔 이었던 경우는, 나머지의 2천엔 분으로서 천엔 권 수납 유니트(B)로부터 천엔 권이 2매 계속 내보내져 상기 (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종 식별을 거치지 않고서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간다.
다음에, 최초의 지폐의 금종이 2천엔 이었던 경우는, 2천엔/5천엔 권 수납 유니트(C)로부터 2번째의 지폐 1매만이 계속 내보내져, 주회 반송로(4)에서 금종 식별을 받는다. 이 2번째의 지폐의 금종이 5천엔이었던 경우는, 그 5천엔 권이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간 시점에서 출금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2번째의 지폐의 금종이 2천엔이었던 경우는, 이 2천엔 권이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감과 함께, 나머지 3천엔 분으로서 천엔 권 수납 유니트(B)로부터 천엔 권이 3매 계속 내보내져 금종 식별을 거치지 않고서 방출 유니트(G)로 보내져 들어간다.
(3) 회수 동작
어느 하나의 수납 유니트(B, C, D)가 가득 찾음에도 불구하고, 대응하는 금 종의 지폐가 다시 입금된 경우, 당해 입금 지폐는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g)를 통해 회수 유니트(E)에 수납된다. 또, 하루의 영업이 종료되어 수납 유니트(B, C, D) 내의 지폐를 모두 회수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수납 유니트(B, C, D)로부터 계속 내보내진 지폐가 순차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g)를 통해 회수 유니트(E)에 수납된다. 회수 지폐를 수납한 회수 유니트(E)는 해정에 의해 틀체(10)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리젝트 동작
입금 지폐 중 오손(汚損) 등에 의해 식별 센서(5)에 의한 식별 결과가 정상이지 않은 지폐가 있었던 경우, 그 지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젝트 지폐로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a, 6f)를 통해 리젝트 유니트(F)로 보내져 들어간다. 또, 출금 지폐 중 사행 등에 의해 식별 센서(5)에 의한 식별 결과가 정상이지 않은 지폐가 있었던 경우, 그 지폐도 리젝트 지폐로서 주회 반송로(4)로부터 접속 반송로(6a, 6f)를 통해 리젝트 유니트(F)로 보내져 들어간다.
작용 효과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폐 취급 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지폐 취급 장치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구동 장치(2)로 회전 드럼(1a)을 회전시킴으로써, 지폐를 반송 드럼(1)과 누름 롤러(3)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면서 주회 반송로(4)를 따라 반송할 수가 있다. 또, 주회 반송로(4)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금종을 식별 센서(5)에 의해 식별할 수가 있 다. 그리고, 경로 전환 기구에 의해 지폐의 반송 경로를 주회 반송로(4)와 각 접속 반송로(6a∼6g)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각 유니트(A∼G)와 주회 반송로(4)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선택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반송 드럼(1) 및 누름 롤러(3)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것으로, 벨트식의 반송 수단과 같은 장력 부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고출력의 구동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식별 센서(5)와 수납 유니트(B∼D)와의 사이의 반송 경로 길이를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 길게 취한다는 요건에 관해서도, 원형의 주회 반송로(4)에 있어서 식별 센서(5)에 의한 지폐의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직선 형상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식별의 경우 보다도 장치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장치(2)의 소형화나 장치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의해 종래에 비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도입 유니트(A), 방출 유니트(G), 회수 유니트(E) 및, 리젝트 유니트(F)가 반송 드럼(1)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B∼D)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계"의 항목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 유니트(B∼D)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낸 때와, 반송 드럼(1)의 직경 방향으로 수납 유니트(B∼D)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된 유니트(A, G, E, F)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낸 때에는, 회전 드럼(1a)의 회전 방향도 상호 반대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내의 구성요소를 보다 합리적으로 집약해서 레이아웃 할 수가 있어, 장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제어계"의 항목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해야 할 지폐에 대응하는 수납 유니트(B∼D)가 「비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수납 유니트(B∼D)가 「대기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지폐의 주회 반송로(4)에서의 반송이 계속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당해 수납 유니트(B∼D)가 대기 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서 입금 지폐를 도입 유니트(A)로부터 주회 반송로(4)로 들여 보내 식별 센서(5)로 식별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입금 처리를 보다 신속히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계"의 항목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 센서(5)에 의한 입금 지폐의 식별 결과가 정상이었던 경우, 회전 드럼(1a)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전환해서, 당해 지폐를 리젝트 유니트(F)에 들여보내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별 결과가 정상이지 않았던 입금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리젝트 유니트(F)로 즉시 들여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젝트 지폐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입금 처리의 신속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계"의 항목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금 지폐의 잼을 검지한 때에는 회전 드럼(1a)의 회전속도를 저하시켜 당해 잼을 해제한 후, 회전 드럼(1a)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당해 지폐를 리젝트 유니트(F)에 들여 보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드럼(1a)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회전 드럼(1a)에 의한 지폐의 반송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당해 잼을 보다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반송 드럼(1)[주회 반송로(4)] 의 주회 길이가 가장 짧은 지폐의 길이의 2배 보다 작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회 반송로(4)에 2매의 지폐 M5, M6이 이어져 진입한 경우, 그들 지폐 M5, M6은 반드시 겹쳐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계"의 항목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지되는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 L(도 13)이 최소 간격 Lm(도 14) 미만인 경우에는, 당해 2매의 지폐 M5, M6의 주회 반송로(4)에서의 반송이 계속된다.
그 때, 겹쳐진 당해 지폐 M5, M6 끼리의 사이에서 주회 속도 V5, V6의 차이가 생김으로써, 당해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 L이 변화되어, 최소 간격 Lm에 도달하는 때가 오는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의 지폐 M5와 회전 드럼(1a)과의 사이의 마찰계수 μ1, 바깥쪽의 지폐 M6와 누름 롤러(3) 사이의 마찰계수 μ2 및, 지폐 M5, M6 끼리의 사이의 마찰계수 μ3은, μ3 < μ1 및 μ3 < μ2의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겹쳐진 지폐 M5, M6끼리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겨, 안쪽의 지폐 M5의 속도 V5의 쪽이 바깥쪽의 지폐 M6의 속도 V6 보다도 커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검지되는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 L이 최소 간격 Lm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당해 2매의 지폐 M6, M5를 순차로 요동 가이드 부재(7a,7f)에 의한 접속 반송로(6a, 6f)로의 안내에 의해 리젝트 유니트(F)에 들여 보낼 수가 있다. 한편, 도 13은 회전 드럼(1a)이 처음으로부터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를 나 타내고 있지만, 회전 드럼(1a)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던 경우에는 지폐 M6, M5를 리젝트 유니트(F)로 들여 보내기 위해 회전 드럼(1a)을 역방향으로 반전시키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반송 드럼(1)[주회 반송로(4)]의 주회 길이가 (가장 긴 지폐의 길이 + 최소 간격 Lm)의 2배 이상이었던 것으로 하면, 2매의 지폐 M5, M6간의 넓은 쪽의 간격은 항상 최소 간격 Lm 이상으로 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반송 드럼(1)이 지나치게 커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한다는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는 것으로 된다.
변형예
(1) 도 1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젝트 유니트(F)에 접속되는 접속 반송로(6f)가 접속 반송로(6a)로부터 분기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접속 반송로(6f)는 주회 반송로(4)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요동 가이드 부재(7f)도 접속 반송로(6f)와 주회 반송로(4)의 사이의 분기 위치에 설치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연동기구에 조립될 수 있다.
(2)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접속 반송로(6g-2)는 생략할 수가 있다. 그 경우, 병진 이동하는 이동 가이드 부재(7g) 대신, 다른 요동 가이드 부재(7a∼7f)와 마찬가지의 요동 가이드 부재(7g)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요동 가이드 부재(7g)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연동기구에 조립할 수가 있다.
(3)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8)는 그 일부 내지 전부를 벨트나 롤러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도입 유니트(A), 방출 유니트(G), 회수 유니트(E) 및, 리젝트 유니트(F)는 반송 드럼(1)의 직경 방향에서 수납 유니트(B∼D)와는 반대의 측에 있으면, 각각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예컨대, 방출 유니트(G)와 리젝트 유니트(F)의 위치를 상호 바꿔 넣어도 좋다.
(5) 일본국 통화로서의 천엔, 2천엔, 5천엔 및, 만엔 권을 취급 대상 지폐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취급 대상 지폐의 금종은 외국 통화도 포함해서 임의로 설정 할 수 있다. 또, 수납 유니트의 수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2천엔 권 수납 유니트와 5천엔 권 수납 유니트를 별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는 상기와 같은 출금 시의 금종 식별도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5)

  1. 취급 대상 지폐 중 가장 긴 지폐의 길이 보다도 큰 주회 길이를 가진 주회 반송로와,
    지폐를 금종 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의 사이를 각각 접속한 접속 반송로와,
    상기 주회 반송로와 각 접속 반송로 사이에서 지폐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 전환 기구와,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고,
    각 지폐 수납 유니트가, 수납할 지폐를 상기 주회 반송로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접속 반송로를 통해 받아들이는 대기 상태와, 그 이외의 비대기 상태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수납할 지폐에 대응하는 상기 지폐 수납 유니트가 상기 비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지폐 수납 유니트가 상기 대기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지폐의 상기 주회 반송로에서의 반송이 계속 되도록, 상기 경로 전환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입금 지폐가 도입되는 지폐 도입 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로부터 취출된 출금 지폐가 방출되는 지폐 방출 유니트를 더 갖추고,
    상기 주회 반송로는 지폐를 정역 양방향으로 반송가능하고,
    상기 지폐 도입 유니트 및 상기 지폐 방출 유니트는 상기 주회 반송로의 직경 방향에서 상기 지폐 수납 유니트와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i) 상기 복수의 지폐 수납 유니트 중 어느 하나에 지폐를 들여 보내는 때에는 상기 주회 반송로에 의해 지폐를 정방향으로 반송시키고,
    (ⅱ) 상기 지폐 방출 유니트에 지폐를 들여 보내는 때에는 상기 주회 반송로에 의해 지폐를 역방향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 반송로의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주회 통과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주회 통과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반송 중인 지폐의 잼을 검지한 때에는 상기 주회 반송로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켜 당해 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 유니트와,
    상기 주회 반송로의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주회 통과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니트가, 상기 주회 통과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주회 반송로에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 및 당해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을 검지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2매의 지폐가 진입한 상태를 검지한 때에는,
    (i) 검지되는 상기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상기 접속 반송로로의 지폐의 안내가 가능하게 되는 최소 간격 미만인 경우, 당해 2매의 지폐의 상기 주회 반송로에서의 반송이 계속되도록 하고,
    (ⅱ) 검지되는 상기 2매의 지폐 사이의 주회 방향 간격이 상기 최소 간격 이상인 경우, 당해 2매의 지폐를 순차로 상기 리젝트 유니트에 들여 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20077020908A 2005-03-29 2005-03-29 지폐 취급 장치 KR101096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5854 WO2006106563A1 (ja) 2005-03-29 2005-03-29 紙幣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88A KR20070117588A (ko) 2007-12-12
KR101096895B1 true KR101096895B1 (ko) 2011-12-22

Family

ID=3707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908A KR101096895B1 (ko) 2005-03-29 2005-03-29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7427B2 (ko)
EP (1) EP1873726A4 (ko)
JP (1) JP4767944B2 (ko)
KR (1) KR101096895B1 (ko)
CN (1) CN101147176B (ko)
WO (1) WO2006106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20B1 (ko) * 2005-06-27 2008-08-26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출금 장치
JP5178146B2 (ja) * 2007-10-30 2013-04-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417976B1 (ko) * 2008-01-31 2014-07-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게이트 장치
EP2261869B1 (en) * 2008-03-31 2014-12-24 Glory Ltd. Banknote storage cassette and banknote handling machine
JP5156532B2 (ja) * 2008-08-06 2013-03-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DE102009015383A1 (de) * 2009-03-27 2010-09-3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Eingabe von Wertscheinen in einen Behälter
JP5463748B2 (ja) * 2009-06-16 2014-04-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267345B2 (ja) * 2009-06-17 2013-08-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389546B2 (ja) * 2009-06-26 2014-01-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5254912B2 (ja) * 2009-09-04 2013-08-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5647798B2 (ja) * 2010-02-26 2015-01-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取扱装置
DE102010016807A1 (de) * 2010-05-05 2011-11-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oder zur Aufbewahrung von Wertscheinen
DE102010049936A1 (de) * 2010-10-28 2012-05-03 Giesecke & Devrient Gmbh Weichenanordnung zur Umlenkung von Blattgut
US20130082134A1 (en) * 2011-09-30 2013-04-04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Component,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790450B2 (ja) * 2011-11-30 2015-10-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CN102602718B (zh) * 2011-12-28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弧形通道传输装置
TWI485658B (zh) * 2012-07-16 2015-05-21 Int Currency Tech Method of removing banknotes from banknotes
US9309083B1 (en) * 2015-02-27 2016-04-12 Ncr Corporation Document diverter
WO2017012093A1 (zh) * 2015-07-22 2017-01-2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票输送装置和钞票自动交易设备
US9580266B1 (en) * 2015-10-26 2017-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ath media diverter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JP6088677B1 (ja) * 2016-02-05 2017-03-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決済装置
CN105825579A (zh) * 2016-05-26 2016-08-03 武汉科技大学 螺旋式滚筒钱币分离机
US10089813B2 (en) * 2016-08-09 2018-10-02 Fuji Electric Co., Ltd. Bill processing device
CN108428281B (zh) * 2017-02-15 2020-05-2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及纸币处理方法
CN107274551A (zh) * 2017-08-16 2017-10-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临时收集装置及自动交易装置
CN107945361B (zh) * 2017-11-16 2020-03-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柜员机的纸币传输方法及装置
CN107767546B (zh) * 2017-11-22 2024-02-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及自助设备的循环切换模块
JP2021105894A (ja) * 2019-12-27 2021-07-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630A (ja) * 2002-03-28 2003-10-10 Glory Ltd 紙幣入出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7150A (ja) 1988-01-22 1989-07-26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H03172270A (ja) 1989-11-29 1991-07-25 Fujitsu Ltd 紙葉類搬送機構
JPH08198507A (ja) 1995-01-30 1996-08-06 Shinko Seisakusho Co Ltd 記録紙収納装置
GB9510297D0 (en) * 1995-05-22 1995-07-19 De La Rue System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heet feeding
JP3635449B2 (ja) 1998-05-26 2005-04-06 株式会社 沖情報システムズ 媒体搬送路の切替機構
CA2357930A1 (en) * 2001-09-28 2003-03-28 Cashcode Company Inc. Banknote accumulator
JP4072892B2 (ja) 2002-05-21 2008-04-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80503B2 (ja) * 2002-10-16 2007-02-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繰出装置
JP4152763B2 (ja) 2003-01-31 2008-09-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振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630A (ja) * 2002-03-28 2003-10-10 Glory Ltd 紙幣入出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3726A4 (en) 2010-07-07
US20090211874A1 (en) 2009-08-27
JP4767944B2 (ja) 2011-09-07
CN101147176B (zh) 2010-10-13
JPWO2006106563A1 (ja) 2008-09-11
CN101147176A (zh) 2008-03-19
EP1873726A1 (en) 2008-01-02
KR20070117588A (ko) 2007-12-12
WO2006106563A1 (ja) 2006-10-12
US8297427B2 (en)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895B1 (ko) 지폐 취급 장치
JP5091628B2 (ja) 紙葉類取扱装置
EP3838820B1 (en) Medium conveyance route switching devic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corresponding automated teller machine
JP2013041451A5 (ko)
RU2474880C1 (ru) Обработчик документов
EP2669226B1 (en) Media item diverter
JP2003288630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9151703A (ja) 紙幣処理装置
US7575155B2 (en) Rotating path switch
JP4242240B2 (ja) 紙葉類振分装置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4152763B2 (ja) 紙葉類振分装置
JP445343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6823422B2 (ja) 硬貨収納繰出機構および硬貨処理装置
KR101613880B1 (ko) 환류식 입출금기의 지폐경로 전환기구
JP4835194B2 (ja) 紙幣取扱装置
JP4599933B2 (ja) 紙幣処理装置
JP5791464B2 (ja) 紙幣保留分離機構とこれを用いた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735892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現金取扱装置
JP4064283B2 (ja) 紙幣収納繰出し装置
JP5426249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KR100610535B1 (ko) 매체처리기의 에스크로장치
JP4984572B2 (ja) 硬貨処理装置
JP2023034937A (ja) 媒体処理装置
JP2023055376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