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439B1 -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439B1
KR101093439B1 KR1020100072208A KR20100072208A KR101093439B1 KR 101093439 B1 KR101093439 B1 KR 101093439B1 KR 1020100072208 A KR1020100072208 A KR 1020100072208A KR 20100072208 A KR20100072208 A KR 20100072208A KR 101093439 B1 KR101093439 B1 KR 10109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branch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이승훈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to KR102010007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439B1/ko
Priority to PCT/KR2010/007521 priority patent/WO2011053042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접속과 광분기를 하나의 모듈 본체에서 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인입된 광섬유를 여장하고 상기 광섬유와 광분기기로 인입되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광섬유와 접속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상기 광분기기가 설치되는 분기부가 형성된 모듈 본체; 상기 접속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접속부 커버; 및 상기 분기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분기기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광분기기 인출광심선이 연결되는 인출용 광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이 형성된 분기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분기부를 연결하며,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양면을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상기 연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본체에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분리하도록 상기 연통공과 연결되는 유지보수부가 상기 모듈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에는 두 개의 모듈 본체를 중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분기수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기수 확장부는 원형으로 절개된 슬롯 및 상기 분기수 확장부와 상기 분기부 커버를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접속 및 광분기를 하나의 모듈 본체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광접속 및 광분기 작업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MODULE FOR CONNECTING AND SPLIC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접속 및 분기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접속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모듈에서 가능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한 카세트 타입의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고도화된 정보통신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광선로 가입자망인 FTTH(Fiber To The Hom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다수의 광케이블이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각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 보급된 광케이블은 광분기기와 융착접속 또는 기계식 접속 후 접속판에 여장 처리되고, 상기 광분기기와 접속된 출력광섬유는 광어댑터와 연결된 후 광가입자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가입자에게 연결된다.
이때,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쉘프 또는 랙과 같은 접속판의 저장공간과 접속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쉘프 또는 랙의 높은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광분배함은 광접속을 위한 공간과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다수의 광점퍼코드의 여장으로 광점퍼코드가 꼬이고 이 과정에서 광점퍼코드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광접속 여장판이 내장된 광분배함의 경우에는 다수의 여장판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부족과 광점퍼코드의 곡률반경의 문제점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광접속과 광분기가 각각 다른 부재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뿐만 아니라 광커넥터로도 인입이 가능하며, 인입되는 종류에 따라 광어댑터 또는 더미어댑터를 인입부에 설치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접속을 위한 공간과 광섬유를 여장할 수 있는 공간을 일체로 형성한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분기기 및 광스플리터를 실장하여 광섬유를 분기할 수 있으며, 광섬유를 여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광접속 작업과 광분기 작업이 가능하며, 두 종류의 작업이 하나의 모듈에서 가능하여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한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가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광섬유 내지 광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모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인입된 광섬유를 여장하고 상기 광섬유와 광분기기로 인입되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광섬유와 접속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상기 광분기기가 설치되는 분기부가 형성된 모듈 본체; 상기 접속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접속부 커버; 및 상기 분기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분기기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광분기기 인출광심선이 연결되는 인출용 광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이 형성된 분기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분기부를 연결하며,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양면을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상기 연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본체에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분리하도록 상기 연통공과 연결되는 유지보수부가 상기 모듈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에는 두 개의 모듈 본체를 중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분기수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기수 확장부는 원형으로 절개된 슬롯 및 상기 분기수 확장부와 상기 분기부 커버를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섬유의 접속 및 분기 작업을 하나의 모듈 본체에서 수행할 수 있고, 모듈 본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입광심선 또는 광섬유를 절단할 필요가 없다.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연통공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본체의 측벽을 절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듈 본체와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분리하여 상기 모듈 본체를 교체 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과 인접한 상기 접속부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상기 광섬유와 연결된 인입용 광어댑터 또는 더미어댑터를 장착하기 위한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는 상기 접속부와 동일한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용 광어댑터 또는 상기 더미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 고정홀 및 어댑터 고정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어댑터에는 상기 인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광섬유 통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모듈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모듈 본체의 양측면 중 서로 다른 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가 파단되면 상기 분기부 커버에서 상기 분기수 확장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에는 상기 분기수 확장부에 해당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수 확장부를 분리하여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와 다른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분기수를 확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접속 작업과 광분기 작업이 하나의 모듈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 및 설비 공간이 좁은 공간으로도 가능하며, 증설 및 유지보수 등의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섬유의 곡률반경을 고려한 여장 공간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광분기기 인입광심선과 광분기기 인출광심선이 서로 꼬이거나, 곡률반경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각종 통신용 함체, 쉘프, 벽면 등에 고정이 가능하며, 분기부 커버에 형성된 부가적인 연결홀을 이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섬유 또는 광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스플리터가 내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단자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은 광분기 및 광접속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접속부에 광섬유가 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분기부에 분기된 광섬유가 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인입부에 광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인입부에 더미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 사용되는 더미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서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고 모듈을 교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접속부에 광섬유가 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분기부에 분기된 광섬유가 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인입부에 광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의 인입부에 더미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 사용되는 더미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에서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고 모듈을 교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은 광접속 및 광분기를 할 수 있는 광통신기기로서, 인입된 광섬유(143)를 여장하고 광섬유(143)와 광분기기(183)로 인입되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151) 및 광섬유(143)와 접속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광분기기(183)가 설치되는 분기부(162)가 형성된 모듈 본체(150), 접속부(151)를 개폐하며 광섬유(143)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의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접속부 커버(130) 및 분기부(161)를 개폐하며 광분기기(183)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광분기기 인출광심선(186)이 연결되는 인출용 광어댑터(120)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115)이 형성된 분기부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은 광섬유(143)를 접속하는 접속부(151)와 광분기기(183)를 이용하여 광섬유(143)를 다수개의 채널로 분기하는 분기부(161)가 형성된 모듈 본체(150)를 구비한다. 모듈 본체(150)의 분기부(151)는 분기부 커버(110)에 의해서 개폐되며, 분기부 커버(110)에 의해 분기부(151)가 보호될 수 있다.
분기부 커버(110)는 대략 평평한 4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가장자리에는 모듈 본체(150)의 두께 방향을 감쌀 수 있는 측벽(110a)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부 커버(110)의 측벽(110a)에는 모듈 본체(150)와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체결부(113)가 복수개 형성되며, 체결부(113)는 측벽(110a)의 높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본체(150)에는 체결부(113)의 후크가 걸림되는 걸림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3)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설계 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분기부 커버(110)의 평면부 가장자리에는 분기부 커버(110)와 모듈 본체(150)의 체결 고정을 위한 모듈 본체 고정용 홀(112) 및 각종 통신용 함체, 쉘프,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외부 고정용 홀(111)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기부 커버(110)의 일단에는 인출용 광어댑터(120)의 어댑터 고정부(121)가 삽입 끼워지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115)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 고정용 슬롯(115)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광섬유(143)에 연결되는 광어댑터(190, 도 8 참조) 또는 더미어댑터(171)가 고정되는 어댑터 고정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분기부 커버(110)의 평면부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 내지 모듈 본체(150)를 2개 이상 중첩하여 사용할 때 광섬유의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분기수 확장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분기수 확장부(114)는 분기부 커버(110)의 대략 중심부에 절단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기부 확장부(114)는 1개의 본체 모듈(150) 또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기부 커버(110)에 부착되어 있고 2개 이상의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 또는 모듈 본체(150)를 중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기부 커버(110)에서 분기수 확장부(114)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분기수 확장부(114)는 대략 원형으로 절개된 슬롯(114b) 및 분기수 확장부(114)와 분기부 커버(110)를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브릿지(114a)는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분기수 확장부(114)를 누르면 브릿지(114a)가 쉽게 파단될 수 있다. 브릿지(114a)가 파단되면 분기부 커버(110)에서 분기수 확장부(114)가 분리되고 분기부 커버(110)에는 분기수 확장부(114)에 해당하는 비교적 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기수 확장부(114)를 분리하여 형성된 구멍을 통해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와 다른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인 분기수를 확장할 수 있다. 분기수 확장부(114)를 제거함으로써 생긴 구멍을 서로 맞대어 사용함으로써 분기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어댑터 고정용 슬롯(115)의 일측에는 분기부 커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잠금 손잡이(157)가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손잡이(15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을 랙(rack, 미도시) 또는 쉘프(shelf, 미도시)에 장착하는 경우에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과 상기 랙 또는 쉘프의 고정을 위한 부재이다. 잠금 손잡이(157)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며 분기부 커버(110)를 옆에서 보았을 때 잠금 손잡이(157)는 분기부 커버(110)에서 모듈 본체(150)의 내부를 향해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 손잡이(157)에는 상기 랙 또는 쉘프에 걸릴 수 있도록 돌기 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분기부 커버(110)와 마주 보도록 모듈 본체(150)의 접속부(151)를 개폐하고 보호하는 접속부 커버(130)가 도시되어 있다. 접속부 커버(130)는 분기부 커버(130)와는 달리 투명한 P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 커버(13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접속부(161) 내에서 광섬유 등의 접속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커버(130)를 모듈 본체(15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접속부 커버(130)의 대략 중앙에는 2개의 접속부 커버 손잡이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61)의 일단에는 인출용 광어댑터(120)의 어댑터 고정부(121)가 삽입 끼워지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155)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61)에 형성된 어댑터 고정용 슬롯(155)은 분기부 커버(110)에 형성된 어댑터 고정용 슬롯(115)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어댑터 고정용 슬롯(155)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광섬유(143)가 연결되는 광어댑터(190) 또는 더미어댑터(171)가 장착되는 인입부(170)가 함몰 형성되고, 인입부(170)의 일측에는 광어댑터(190) 또는 더미어댑터(171)가 고정되는 어댑터 고정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모듈 본체(150)의 접속부(161)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분기부(151)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모듈 본체(150)의 일면에 형성된 접속부(161)는 인입된 광섬유(143)가 여장되는 공간이며, 일측에 형성된 인입부(170)에는 인입되는 광섬유(143) 또는 광어댑터(190)에 연결된 광커넥터(192, 도 8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인입부(170)에는 광커넥터(192) 및 광어댑터(190)에 접속된 상태의 광섬유(143)가 장착되거나 별도의 광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단일의 광섬유(143)가 장착될 수 있다. 광커넥터가 없는 광섬유(143)가 인입부(17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인입부(170)의 폭에 비해서 광섬유(143)의 굵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을 사용하는 과정에 광섬유(143)가 인입부(170) 내에서 움직이면서 광섬유(143)와 인입부(170)가 접촉 또는 충돌할 수 있고 광섬유(143)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광섬유(14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더미어댑터(17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어댑터(171)는 인입부(170) 내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광섬유(143)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광섬유(14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미어댑터(171)의 보다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모듈 본체(15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61)에는 접속부(161)의 내부로 인입된 광섬유(143)를 여장하고 안내하기 위한 여장안내부(168)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장안내부(168)는 인입부(170)를 통해 인입된 광섬유(143)의 곡률 반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원호 형상의 안내부(168a), 원호 형상의 안내부(168a)의 상단에 형성되어 원호 형상의 안내부(168a)에 다수회 감긴 광섬유(143)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단 안내부(168b,168c), 모듈 본체(150)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안내부(168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장 안내부(168)는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여장 안내부(168)의 형상 및 구조는 접속부(161)의 설계 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모듈 본체(150)의 측벽(167)의 일측 즉, 인입부(170)와 대략 동일한 선상에는 접속보강부재 고정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보강부재 고정부(163)에는 광섬유(143)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의 접속점을 보호하기 위한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142)가 고정될 수 있다. 접속보강부재 고정부(163)에 장착된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142)는 접속부(161)의 배선정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접속부(161)에 형성된 인입부(170) 옆에는 분기부(151) 측에서 인출용 광어댑터(12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형성된 공간은 대략 평면 모양이다. 접속부 커버(130)는 상기 돌출 형성된 공간은 덮지 않고 접속부(161)만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 본체(150)에는 접속부(161)와 분기부(151)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통과하여 접속부(161)에서부터 분기부(151)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들어갈 수 있도록 연통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공(152)은 모듈 본체(150)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듈 본체(150)의 측벽(167)에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연통공(152)을 통과한 상태에서 모듈 본체(150)에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분리하기 위한 유지보수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지보수부(162)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통과하는 연통공(152)과 연결되며, 모듈 본체(150)의 측벽(167)을 절개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부(162)는 모듈 본체(150)의 측벽(167)을 높이 방향으로 완전히 절단하는 슬롯 형상이며 연통공(152)과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섬유의 접속 및 분기 작업을 하나의 모듈 본체에서 수행할 수 있고, 모듈 본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입광심선 또는 광섬유를 절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지보수부(162)를 구비함으로써,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듈 본체(150)와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분리할 수 있고, 광섬유(143),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 또는 모듈 본체(150)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모듈 본체(150)의 타면에 형성된 분기부(151)는 인입된 광섬유(143)가 광스플리터(181) 및 광분기기(183, 도 7 참조)에 의해 다수개의 채널로 분기되는 공간이며, 분기부(151)의 일측에는 광분기기 인출광심선(186)이 연결되는 인출용 광어댑터(120)가 장착되는 인출부(176)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기부(151)에도 분기부(151)의 내부로 인입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 및 광분기기 인출광심선(186)을 여장하고 안내하기 위한 여장안내부(158)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장안내부(158)는 인입광심선(185) 및 인출광심선(186)의 곡률 반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원호 형상의 안내부(158d), 원호 형상의 안내부(158d)의 상단에 형성되어 원호 형상의 안내부(158d)에 다수회 감긴 인입광심선(185) 및 인출광심선(186)이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단 안내부(158b), 모듈 본체(150)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안내부(158a,158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장 안내부(158)는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여장 안내부(158)의 형상 및 구조는 분기부(151)의 설계 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기부(151)에는 광스플리터(181)를 장착하기 위한 광스플리터 장착부(154), 광분기기(183)를 장착하기 위한 광분기기 장착부(156)가 형성되어 분기부(151)의 배선정리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광스플리터(181)의 일단에는 광섬유(143)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리본 형태의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연결된다. 리본 형태의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은 광분기기(183)에 의해 다수 가닥의 인출광심선(186)으로 변환된다.
분기부(151)의 일측에 형성된 인출부(176)에는 광분기기(183)에서 분기된 다수 가닥의 인출광심선(186)이 연결되는 광커넥터(126)가 구비되며, 광커넥터(126)는 인출용 광어댑터(120)에 연결된다.
도 6에는 접속부(161)에서 광섬유(143)가 여장 안내부(168)에 의해 여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분기부(151)에서 분기된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 및 광분기기 인출광심선(186)이 여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인입부(170)에 광어댑터(190) 및 더미어댑터(171)가 각각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인입부(170)에 광커넥터(192)에 연결된 광어댑터(190)가 장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광섬유(143)가 직접 인입되는 경우와는 다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커넥터(192)를 이용하여 인입하는 경우에는 피그-테일(pig-tail) 형태로 입력되며, 융착 접속이 불필요하다.
반면, 도 9의 (a)를 참조하면, 광케이블 형태 즉, 광섬유(143) 및 이를 보호하는 보호튜브 형태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광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광섬유(143)가 인입부(170)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데, 광섬유(143)를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해 더미어댑터(17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143) 형태로 직접 인입하는 경우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 보호용 슬리브(142)가 사용될 수 있고 융착 접속을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경우에 사용되는 더미어앱터(171)는 인입부(17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즉, 더미어댑터(171)의 본체(172)의 상하단에는 분기부 커버(110)에 형성된 어댑터 고정부(116)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출부(174)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광섬유(173)가 통과하는 광섬유 통과부(173)가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 통과부(173)의 일단은 본체(172)에 의해 제한되며 타단은 본체(172)에 끼워지는 광섬유 고정부재(175)에 의해 제한된다. 즉, 본체(172)와 광섬유 고정부재(175)에 의해 광섬유 통과부(173)가 형성될 수 있다. 더미어댑터(171)는 인입부(1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입부(170)에 형성된 어댑터 고정후크(176)에 의해 본체(172)의 상단이 걸리면서 고정된다.
도 11에는 유지보수부(162)를 통해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이 모듈 본체(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보수부(162)를 통해 광분기기 인입광심선(185)을 빼내기만 하면 모듈 본체(150)와 광심선(185)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광심선(185)을 절단하지 않아도 광심선(185)과 모듈 본체(150)를 쉽게 분리하여 광섬유(143), 인입광심선(185), 인출광심선(186) 또는 모듈 본체(15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은 하나의 모듈 본체(150)를 이용하여 일면에는 접속부(161)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분기부(151)가 구비되며, 모듈 본체(150)의 상하 양면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카세트 모양이기 때문에 쉘프 또는 랙에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100)을 쉽게 장탈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쉘프에서 광분기점을 집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110: 분기부 커버
120: 인출용 광어댑터 130: 접속부 커버
143: 광섬유 142: 접속보강재 고정부
150: 모듈 본체 151: 분기부
152: 연통공 158,168: 여장안내부
161: 접속부 162: 유지보수부
170: 인입부 171: 더미어댑터
176: 인출부 181: 광스플리터
183: 광분기기 185: 인입광심선
186: 인출광심선 190: 광어댑터

Claims (8)

  1. 인입된 광섬유를 여장하고 상기 광섬유와 광분기기로 인입되는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광섬유와 접속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여장하고 다수개의 채널로 분할하는 상기 광분기기가 설치되는 분기부가 형성된 모듈 본체;
    상기 접속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섬유와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접속부 커버; 및
    상기 분기부를 개폐하며, 상기 광분기기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광분기기 인출광심선이 연결되는 인출용 광어댑터를 고정하는 어댑터 고정용 슬롯이 형성된 분기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분기부를 연결하며,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양면을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이 상기 연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본체에서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분리하도록 상기 연통공과 연결되는 유지보수부가 상기 모듈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에는 두 개의 모듈 본체를 중첩하여 분기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분기수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기수 확장부는 원형으로 절개된 슬롯 및 상기 분기수 확장부와 상기 분기부 커버를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연통공과 연결되며, 상기 모듈 본체의 측벽을 절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듈 본체와 상기 광분기기 인입광심선을 분리하여 상기 모듈 본체를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과 인접한 상기 접속부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상기 광섬유와 연결된 인입용 광어댑터 또는 더미어댑터를 장착하기 위한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는 상기 접속부와 동일한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용 광어댑터 또는 상기 더미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 고정홀 및 어댑터 고정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어댑터에는 상기 인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광섬유 통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모듈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 및 상기 접속부는 상기 모듈 본체의 양측면 중 서로 다른 일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가 파단되면 상기 분기부 커버에서 상기 분기수 확장부가 분리되고 상기 분기부 커버에는 상기 분기수 확장부에 해당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수 확장부를 분리하여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와 다른 어느 하나의 본체 모듈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분기수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20100072208A 2009-10-29 2010-07-27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KR10109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08A KR101093439B1 (ko) 2010-07-27 2010-07-27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PCT/KR2010/007521 WO2011053042A2 (ko) 2009-10-29 2010-10-29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08A KR101093439B1 (ko) 2010-07-27 2010-07-27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439B1 true KR101093439B1 (ko) 2011-12-19

Family

ID=4550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208A KR101093439B1 (ko) 2009-10-29 2010-07-27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4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15B1 (ko) 2013-05-28 2015-03-27 김동욱 확장성을 가진 광 분배함
KR200481262Y1 (ko)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퓨처테크 광심선접속 단자함
KR20160003585U (ko) * 2015-04-08 2016-10-18 정성욱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및 광케이블 카드
KR101892104B1 (ko) * 2016-11-14 2018-10-04 주식회사 라바텍 광케이블용 유지보수함체
KR20190000026U (ko) 2018-12-26 2019-01-03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광단자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13B1 (ko) * 2008-04-02 2008-05-14 조한대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13B1 (ko) * 2008-04-02 2008-05-14 조한대 스플리터 모듈 및 스플리터 모듈을 포함하는 광단자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15B1 (ko) 2013-05-28 2015-03-27 김동욱 확장성을 가진 광 분배함
KR20160003585U (ko) * 2015-04-08 2016-10-18 정성욱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및 광케이블 카드
KR200482793Y1 (ko) 2015-04-08 2017-03-07 정성욱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및 광케이블 카드
KR200481262Y1 (ko) 2015-11-06 2016-09-06 주식회사 퓨처테크 광심선접속 단자함
KR101892104B1 (ko) * 2016-11-14 2018-10-04 주식회사 라바텍 광케이블용 유지보수함체
KR20190000026U (ko) 2018-12-26 2019-01-03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광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435B2 (en) Terminal enclosure with extractable fiber organizer tray
CN106687841B (zh) 线缆配线***
US8374477B2 (en) Modular optical fiber cassettes
US9805332B2 (en) Physical layer management (PLM) system for use with an optical distribution frame having trays with selectable patch side
KR101093439B1 (ko) 광섬유 접속분기 모듈
US8655135B2 (en) Exchange cabling method and apparatus
JP5214149B2 (ja) アウトレット
KR101201989B1 (ko) 광섬유 커플링 장치 및 방법
JPH05503162A (ja) コネクタホルダ及び光ケーブル用の配線盤・コネクタホルダ組み合わせ装置
JP2008503771A (ja) 多位置光ファイバコネクタホルダと方法
US10101542B2 (en) Managed connectivity systems
US9609404B2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JP2008170743A (ja) アウトレット及びその光配線方法
JP2008224998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及び光配線システム
CN102089694A (zh) 光学构件整理器
US20110081125A1 (en) Exchange cabling storage apparatus
JP2010019986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0975118B1 (ko) 광섬유 접속판
KR101237516B1 (ko) 다심 광 케이블 리본 유니트
KR200281262Y1 (ko)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JP2009008960A (ja) 光クロージャ
KR102641861B1 (ko)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KR100683643B1 (ko) 팬아웃케이블 내장형 블럭
KR100424278B1 (ko) 양면구조 트레이
KR200256919Y1 (ko) 양면구조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