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86B1 -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 Google Patents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86B1
KR101091386B1 KR1020090078267A KR20090078267A KR101091386B1 KR 101091386 B1 KR101091386 B1 KR 101091386B1 KR 1020090078267 A KR1020090078267 A KR 1020090078267A KR 20090078267 A KR20090078267 A KR 20090078267A KR 101091386 B1 KR101091386 B1 KR 10109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ttom plate
shaft alignment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582A (ko
Inventor
박종인
임세현
허남민
박찬욱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10Cent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2Intermediate propeller shaft bearings, e.g. with provisions for shaft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간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종별, 배수량별 샤프트 직경이 매번 다른 경우에도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에 관한 것이다.
샤프트, 정렬, 치구대, 롤러

Description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Shaft Alignment Device}
본 발명은 조선기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에 관한 것이다.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는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 선박의 샤프트(Shaft)를 정렬(Alignment)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샤프트를 받쳐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이다.
그런데, 종래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는 아래에서 샤프트를 받치는 2개의 롤러간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선종별, 배수량별 샤프트 직경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이에 맞는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매번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롤러 간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종별, 배수량별 샤프트 직경이 매번 다른 경우에도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아래에서 샤프트를 받치는 2개의 롤러(100); 사각형의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100)의 아래에 결합하여 롤러(100)를 받치되, 몸체 아래의 바닥판(400)에 고정되지 않고 바닥판(400) 위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롤러(100)를 좌우로 위치 이동시키는 롤러 받침대(200); 기역자 단면을 갖는 앵글 2개가 바닥판(400) 위에서 전후 양쪽에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고정되며, 기역자 모양의 홈 내부로 삽입된 롤러 받침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롤러 받침대(20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및;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아래에 결합하는 바닥판(400)을 포함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 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는 선종별, 배수량별 샤프트 직경이 매번 다른 경우에도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추가 시수(Man-Hour)나 추가 제작비용 등의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선종별, 배수량별 샤프트 직경이 매번 다른 경우에도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롤러(100), 롤러 받침대(200),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및 바닥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별로 나누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롤러(100)는 2개가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에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롤러(100) 위에 샤프트가 놓이면 롤러(100)는 좌우 양쪽의 아래에서 샤프트를 받치게 된다.
이때 롤러(100)는 회전축(110)을 따라 회전하므로, 작업자는 롤러(100) 위에 놓여진 샤프트를 이리저리 회전시키면서 정렬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2개의 롤러(100)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 좌우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선종별, 배수량별로 샤프트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롤러(100)를 좌우로 위치 이동시켜 롤러(100) 간의 간격(L)을 샤프트의 직경에 맞도록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추가로 제작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롤러(100)의 위치 이동을 매개하는 수단이 바로 롤러 받침대(200)이다.
롤러 받침대(200)는 사각형의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100)의 아래에 결합하여 롤러(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받치게 된다.
이러한 롤러 받침대(200)는 몸체 아래에 위치한 바닥판(400)에 고정되지 않고 바닥판(400) 위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롤러(100)를 좌우로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받침대(200)의 밑면과 바닥판(400)의 윗면이 만나는 부분(A)은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상호 고정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2개의 판(롤러 받침대와 바닥판)이 그냥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롤러 받침대(200)에 좌우로 힘을 가하면 롤러 받침대(200)가 바닥판(400) 위에서 활주(미끄럼 운동)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100)도 함께 위치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롤러 받침대(200)가 바닥판(400) 위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 끝단에는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600)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600)은 잭 스크류(Jack Screw)의 형태를 갖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600)은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 끝단에 설치되어 롤러 받침대(200)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잭 스크류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잭 스크류가 전진하여 롤러 받침대(200)를 밀게 되고, 반대로 작업자가 잭 스크류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잭 스크류가 후진 하여 롤러 받침대(200)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 롤러 받침대(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롤러 받침대(200)의 위치를 작은 힘으로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러 받침대(200)가 바닥판(400) 위를 용이하게 활주할(미끄러질) 수 있도록 롤러 받침대(200)의 밑면에는 활주 수단(미도시)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주 수단은 베어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베어링은 롤러 받침대(200)의 이동시 회전 운동을 함으로써 롤러 받침대(200)의 밑면과 바닥판(400)의 윗면이 만나는 부분(도 1의 A)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그 결과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 롤러 받침대(2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롤러 받침대(200)의 위치를 작은 힘으로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 받침대(200)와 바닥판(400)은 서로 분리된 2개의 판이 그냥 맞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롤러(100) 위에 샤프트가 놓일 때 롤러 받침대(2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롤러 받침대(200)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역할을 하는 수단이 바로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이다.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은 기역자 단면을 갖는 앵글 2개가 바닥판(400) 위 에서 전후 양쪽에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은 전후 양쪽의 앵글 2개가 기역자 모양의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홈 내부로 롤러 받침대(200)가 삽입되어 들어간다(도 1의 B).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은 기역자 모양의 홈 내부로 삽입된 롤러 받침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롤러 받침대(20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바닥판(400)은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아래에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과 용접 등으로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샤프트를 정렬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샤프트가 놓인 높이를 일치시키고 샤프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치구대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바닥판(400)의 전후 및 좌우 양쪽으로는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은 잭 스크류(Jack Screw)의 형태를 갖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은 바닥판(400)의 전후 및 좌우 양쪽 끝단에 4개의 잭 스크류가 바닥판(400)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의 아래 끝단에는 바닥면이 편평한 지지판(510)이 결합된다.
이로써 바닥판(400)은 4개의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에 의하여 지면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흔들리지 않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잭 스크류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잭 스크류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바닥판(400)을 아래로 밀거나 위로 당기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바닥판(400)의 높이(레벨)가 조절되면서 각각의 샤프트가 놓인 높이가 상호 일치하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각각의 잭 스크류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바닥판(400)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작업자는 롤러(100)를 좌우로 위치 이동시켜 롤러(100) 간의 간격(L)을 샤프트의 직경에 맞도록 조절한다.
도 2의 (a)는 샤프트의 직경이 180 밀리미터인 경우이고, (b)는 샤프트의 직경이 300 밀리미터인 경우이다. 따라서 도 2의 (a)에서는 롤러(100) 간의 간격이 220 밀리미터가 되도록 조절하였고, (b)에서는 롤러(100) 간의 간격이 320 밀리미터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때, 롤러(1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작업자는 선종별, 배수량별로 샤프트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별도의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추가로 제작함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롤러
200 : 롤러 받침대
300 : 롤러 받침대 이동틀
400 : 바닥판
500 :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
600 :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

Claims (7)

  1.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아래에서 샤프트를 받치는 2개의 롤러(100);
    사각형의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100)의 아래에 결합하여 롤러(100)를 받치되, 몸체 아래의 바닥판(400)에 고정되지 않고 바닥판(400) 위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롤러(100)를 좌우로 위치 이동시키는 롤러 받침대(200);
    기역자 단면을 갖는 앵글 2개가 바닥판(400) 위에서 전후 양쪽에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고정되며, 기역자 모양의 홈 내부로 삽입된 롤러 받침대(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롤러 받침대(20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및;
    판상의 부재로서 롤러 받침대 이동틀(300) 아래에 결합하는 바닥판(400)
    을 포함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판(400)의 전후 및 좌우 양쪽으로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3.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판 레벨 조절 수단(500)은 잭 스크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4.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판(400)의 좌우 양쪽 끝단에는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600)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5. 제 4 항에 있어서,
    롤러 받침대 이동 수단(600)은 잭 스크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6. 제 1 항에 있어서,
    롤러 받침대(200)의 밑면에 활주 수단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7. 제 6 항에 있어서,
    활주 수단은 베어링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KR1020090078267A 2009-08-24 2009-08-24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KR10109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67A KR101091386B1 (ko) 2009-08-24 2009-08-24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67A KR101091386B1 (ko) 2009-08-24 2009-08-24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82A KR20110020582A (ko) 2011-03-03
KR101091386B1 true KR101091386B1 (ko) 2011-12-07

Family

ID=4392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67A KR101091386B1 (ko) 2009-08-24 2009-08-24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732A (ko) 2014-12-24 2016-07-05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소형 터빈 축정렬 작업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0B1 (ko) 2008-01-31 2008-05-28 한국기계연구원 전자소자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0B1 (ko) 2008-01-31 2008-05-28 한국기계연구원 전자소자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82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2984A (zh) 板类工件的多点定位夹具
CN104816294A (zh) 一种移载机械手
CN204135939U (zh) 一种用于夹紧板材的工作台
CN104999301B (zh) 一种具有长条型工件专用夹具的机床加工中心
TW201621916A (zh) 可調整角度之多軸承載裝置
KR101091386B1 (ko)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JP2015229211A (ja) ワークの自動芯出し装置及び自動芯出し方法
JP5767473B2 (ja) 位置決め部品
CN209206966U (zh) 用于夹持零件的夹具
JP2004069703A (ja) 座標測定台
CN207377145U (zh) 具有三向同步顶推功能的千斤顶
JP2008014855A (ja) ステージ装置
JP2011144014A (ja) エレベータの組立治具
CN205703375U (zh) 一种防侧翻机械夹装设备总成
JP2017094405A (ja) ローディング装置の軸合わせ構造
CN108871737B (zh) 多功能光学元件装校平台
CN106353059A (zh) 一种振动台翻转限位装置及翻转架
JP4220505B2 (ja) ステージ装置(stageapparatus)
CN105345576A (zh) 自动落料装置
CN104964772A (zh) 一种轿车方向盘位置调节装置的固定装置
CN104551781A (zh) 一种工装夹具的锁紧装置
CN105598869A (zh) 定位装置
CN205520213U (zh) 中支架组焊工装
CN211603455U (zh) 一种pcba板自动检测设备
JP2015204440A (ja) 半導体製造装置用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