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002B1 -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002B1
KR101091002B1 KR1020090016557A KR20090016557A KR101091002B1 KR 101091002 B1 KR101091002 B1 KR 101091002B1 KR 1020090016557 A KR1020090016557 A KR 1020090016557A KR 20090016557 A KR20090016557 A KR 20090016557A KR 101091002 B1 KR101091002 B1 KR 10109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scalp
extrac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560A (ko
Inventor
이훈구
서동수
석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Priority to KR102009001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0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틴크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헤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을 가지므로, 탈모방지, 발모촉진, 비듬방지 및 두피의 염증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건강틴크, 당약, 인삼, 헤나, 모발, 두피, 탈모방지, 발모촉진

Description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hair and scalp with function of preventing depilation and accelerating hair growth u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Zingiber officinale Roscoe)틴크 추출물, 당약(Swertia japonica Makino) 추출물,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추출물 및 헤나(Lawsonia inermi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 개 정도이며, 모낭의 성장과정에 따라 여러 성장 인자들에 의해 복잡하게 조절되는 소기관으로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 및 발생기를 거쳐 성장 및 탈락한다. 모낭의 분화과정 및 이와 관계된 모주기는 모발이 성장하는 단계인 성장기, 모발의 소멸이 연결되는 퇴행기, 성장 정지기인 휴지기 및 신규 모발이 발생하여 성장하는 발생기로 나눌 수 있다. 정상인에서 이러한 주기는 보통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100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반면 탈모증 환자에서는 모발의 성장 및 탈락 주기 중에서 발생기 및 성장기에 있는 모발 비율이 감소하고 퇴행기 및 휴지기의 모발 비율이 증가하여 비정상적으로 모발의 탈락이 증가된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에 의한 작용, 혈액순환의 불량으로 인한 혈류량 감소로 인한 모근부의 신진대사 기능저하,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비듬균이나 세균에 의한 두피 손상,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과도한 샴푸, 건조, 헤어스타일링 등으로 인한 두피 및 모발의 자극과 화학 세정성분에 의한 두피의 천연 보습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이 손상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회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의 과도한 증가로 탈모 및 모발 손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연령대 및 성별의 제한 및 경계 또한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에 따라 탈모를 비롯한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을 방지하고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두피 및 모발 관련 제품들은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두피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두피 또는 모발 중 어느 하나에 중점적으로 작용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형 상으로도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포함한 모발 상태 개선뿐만 아니라, 비듬방지 및 염증 완화 등의 두피 상태 개선이 가능한 종합적인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생체 안정성이 높으면서 두피 및 모발 개선이 동시에 가능한 이 동시에 가능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천연물인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혼합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탈모방지, 발모촉진, 비듬방지 및 염증완화 등의 모발 및두피 상태 개선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틴크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헤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건강틴크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헤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구성성분을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건강틴크는 건강(말린 생강)의 근경을 에탄올로 침출하여 얻은 틴크제로서 건강은 진저론, 진저롤, 쇼가올 등의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위액분비촉진, 장관 연동작용 활성화, 소화촉진, 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염, 진통작용, 억균작용 등의 약리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약은 서해살이 풀로서, 천초 부분에 쓴맛이 있는 결정성 배당체인 스웨르티아마린, 스웨르시드, 겐티오피크로시드, 아마로겐틴, 아로마스웨린을 함유하고 있다. 당약은 이외에도 올레아놀산과 겐티신, 겐티아닌, 크산톤 유도체인 노르스웨르티아닌, 스웨르티아닌, 메틸스웨르티아닌, 벨리디폴린,메틸벨리디폴린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장제, 말초혈관 확장제로 쓰이기도 하며, 피부재생 및 증식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은 30여종의 사포닌,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지과산화억제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 화합물,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생체방어기능을 갖는 단백질 함유 다당체 및 항보체활성 다당체 등의 산성다당체, 단백질, 조섬유, 당질, 아데노신,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중금속을 해독하고, 환경호르몬의 독성을 예방하고, 활성산소의 유해작용을 억제하여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면역기능을 증대시키고, 두뇌활동을 원활하게 하며 학습능력향상에 효과가 있고, 방사선 장해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헤나는 1 ~ 5m의 높이까지 자라는 Lawsonia inermis라고 알려진 식물로서, 이 식물의 잎사귀는 탄닌산이라는 자연 염색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잎사귀를 햇볕에 말려 곱게 빻아 분말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헤나는 화학약품에 손상된 모발을 건강하게 개선시켜 주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재료로 화학염색시의 두피의 화끈거림이나 따끔함이 없으며, 모발의 손질을 용이하게 해주고, 두피를 중화시킴으로써 과다피지분비를 억제하며, 머리끝 갈라짐을 방지하고, 모발의 탄력성과 선명한 빛깔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당약, 인삼 및 헤나 추출물은 건조상태의 각 재료들을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각 재료의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동등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 효능을 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1~5:1~5:1~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 내 건강틴크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헤나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제형이나 기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건강틴 크 추출물, 당약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헤나 추출물의 각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듬방지 및 두피의 염증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위한 양모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세포증식능을 나타내고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상기 조성물이 발모촉진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활성의 지표인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비듬균, 아크네균 및 무좀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상기 조성물이 비듬방지 및 두피의 염증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뿐만 아니라, 탈모방지를 위한 양모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모발에 직접 처리하였을 때, 건강한 큐티클 층으로 정돈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주요 구성성분 이외 공지의 모발 영양물질, 예를 들어, 철분, 칼슘, 망간, 필수 아미노산, 염산 피 리독신, 비오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D 및 엽산 등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 전구체, 멘톨디엘-판테놀, 폴리쿼터늄-7, 트리세틸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세테아릴알코올, 케라틴, 아미노산 및 미네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용해보조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가능하며,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 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항염증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 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는 구체적으로 에탄올, 정제수,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될 수 있으며, 착색제와 착향제는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상기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주요 구성성분 이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액, 크림, 페이스트, 겔, 화장수, 팩,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비누 등의 모발처리용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 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은 (a) 건강틴크,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를 혼합하는 단계; (b)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1~15배 첨가하는 단계; 및 (c)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를 이용하여 50~100 ℃, 3~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추출은 추출용매에 단계 (a)의 시료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하거나, 가온추출, 또는 별도의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효 성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가온추출시 추출온도는 각 재료의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이다.
또한, 더욱 정제된 상태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 상기 추출 단계 전 또는 추출 단계 후에 디에틸에테르를 사용하여 가용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c) 이후에 여과 단계 및 감압농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혼합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고 세포증식능이 뛰어나고, 자유라티칼 소거능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능 등의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비듬균, 아크네균 및 무좀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모발의 큐티클 층이 정돈될 뿐만 아니라, 모발의 굵기, 인장 강도 및 무게가 증가하므로 탄력 있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포함한 모발 상태 개선뿐만 아니라, 비듬방지 및 염증 완화 등의 두피 상태 개선이 가능한 종합적인 기능성 제품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혼합추출물의 제조
1-1. 혼합추출물 (1)
건강틴크 100g과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 각각 100g 씩을 잘게 세절하여 7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00.74g을 얻었다.
1-2. 혼합추출물 (2)
건강틴크 100g과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 각각 100g 씩을 잘게 세절하여 3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 지로 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06.41g을 얻었다.
1-3. 혼합추출물 (3)
건강틴크 100g과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 각각 100g 씩을 잘게 세절하여 7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데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50.72g을 얻었다.
1-4. 혼합추출물 (4)
건강틴크 100g과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 각각 100g 씩을 잘게 세절하여 3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데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25.84g을 얻었다.
1-5. 혼합추출물 (5)
건강틴크 100g과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 각각 100g 씩을 잘게 세절하여 7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데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 1L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하층인 수층에 다시 1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8.1g를 얻었다.
실시예 2 :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헤어토너의 제조
하기와 같은 조성(중량%)의 헤어토너를 일반적인 헤어토너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염산피리독신 0.1%
건강틴크 5.0%
에탄올 20.0%
프로필렌 글리콜 3.00%
헤나추출물 5.0%
인삼추출물 5.0%
향 0.5%
당약추출물 5.0%
EDTA-2Na 0.1%
정제수 53.3%
실시예 3 :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비누의 제조
하기와 같은 조성(중량%)의 비누를 일반적인 비누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 8.0%
소듐라우레이트 11.0%
소듐미리스테이트 15.0%
소듐팔미테이트 15.50%
소듐스테아레이트 8.0%
티이에이스테아레이트 15.0%
글리세린 8.0%
에탄올 5.0%
정제수 2.0%
건강틴크 3.0%
당약추출물 3.0%
인삼추출물 3.0%
헤나추출물 3.0%
향 0.5%
실험예 1 : 혼합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의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1-4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 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 각각 0.01, 0.05, 0.1,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2136859-pat00001
추출물 농도(%) 세포 증식율(%) 세포 증식율(%)
실시예1-3 실시예1-4
대조군 100 100
0.01 107.5 101.5
0.05 112.3 105.4
0.1 126.0 119.0
0.5 137.0 130.2
1.0 158.0 147.5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혼합추출물의 처리군이 통상의 세포증식을 위한 우태아혈청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더 우수한 세포증식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혼합추출물(실시예1-3)의 세포증식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혼합추출물에 대한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1-4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케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참조: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케르세틴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ppm)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인 케르세틴의 경우에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용액 2ml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517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2136859-pat00002
농도
(ppm)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Quercetin 실시예 1-3 실시예 1-4
0 0 0 0
1 9.5 6.8 5.7
5 28.6 23.8 22.1
10 53.7 50.6 49.8
20 94.9 94.0 91.0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혼합추출물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는 9.9ppm이고, 실시예 1-4에 의한 혼합추출물의 SC50 농도는 10.1ppm 였으며, 대조군인 케르세틴의 SC50 농도는 9.3ppm으로 거의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케르세틴이 단일 물질이며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혼합추출물에 대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1-4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케르세틴을 사용하였다.
TBAS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폭시게나아제, 티오바르비투린산(Thiobarbituric acid, 이하 'TBA'라 함.) 및 케르세틴(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mM 리놀레산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 30ppm)의 실시예 1-3 및 1-4에서 제조된 추출물, 그리고 케르세틴 0.05ml를 첨가하고 리폭시게나아제 0.95ml를 투여 후 잘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트리클로로 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0.5ml 투여하고 TBA를 1ml 첨가한 후 10분간 가열하고 얼음물에서 2~3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에 부탄올 2ml를 넣고 4000G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2136859-pat00003
농도
(ppm)
Inhibition (%)
Quercetin 실시예1-3 실시예1-4
0 0 0 0
1.0 7.31 6.2 5.6
5.0 24.5 18.7 17.7
10.0 57.8 56.2 54.3
20 89.2 89.9 82.9
30 96.5 95.8 91.8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의 경우, 리폭시게나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8.91ppm 이고, 1-4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의 SC50 농도는 9.2ppm였으며, 대조군인 케르세틴은 8.65ppm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의 리폭시게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케르세틴이 단일 물질이며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항균실험(Halozone Test)
4-1. 비듬균에 대한 항균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실시예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헤어토너를 이용하여, 비듬균인 Malassezia fulful(ATCC 12078)에 대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료를 사용하지 아니한 채, 상기 비듬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Malassezia fulful을 Sabouraud Dextrose Agar 배지에 도말하여 접종하고, 그 플레이트 배지 중앙에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헤어토너를 올린후, 30±1℃에서, 2~3일간 배양하였다.
미생물 저지대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실험은 각각 3회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하기 표 4로 나타내었다.
W = (T-D)/2
여기서, W : 저지대의 폭(mm)
T : 시료와 미생물 저지대의 전체 지름(mm)
D : 시료의 지름(mm)
시험균주 시료 T(mm) D(mm) W(mm)
Malassezia fulful
(ATCC12078)
시험군(1-3) 75 20 27.5
시험군(1-4) 71 20 25.5
대조군 20 20 0.0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헤어토너가 일정크기의 저지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비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이 3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1-4의 혼합추출물에 비해 저지대의 폭이 더 넓어 항균효과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2. 아크네균에 대한 항균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과, 이들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비누를 사용하여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Propionibacterium acnes(KCTC 3314)를 Fluid Thioglycollate Medium(DIFCO)에 증균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준비된 Brewer's Anaerobic Agar(DIFCO) 위에 Propionibacterium acnes 균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고르게 접종하고 배지 중앙에 멸균디스크를 놓고 증류수 21ml에 시료 3g을 용해시켜 준비된 시험용액 50㎕를 떨어뜨린 후 35±1℃에서 Anaerobic Jar(DIFCO)를 이용하여 혐기적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저지대(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5로 나타내었다.
시료 저지대의 폭(mm)
실시예 1-3에 의한 추출물 4.6
실시예 1-4에 의한 추출물 4.1
1-3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5.5
1-4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5.0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비누가 일정크기의 저지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아크네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이 3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1-4의 혼합추출물에 비해 저지대의 폭이 더 넓어 아크네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무좀균에 대한 항균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과, 이들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비누를 사용하여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무좀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KCTC 6077)에 대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료를 사용하지 아니한 채, 상기 무좀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Trichophyton mentagrophytes를 아가(Agar) 배지에 도말하여 접종하고, 그 플레이트 배지 중앙에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추출물 및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비누를 올린 후, 30±1℃에서, 2~3일간 배양하였다.
미생물 저지대의 크기는 상기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실험은 각각 3회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혼합추출물을 사용한 항균실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혼합추출물을 포함한 비누를 사용한 항균실험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균주 시료 T(mm) D(mm) W(m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시험군(1-3) 30 20 10
시험군(1-4) 25 20 2.5
대조군 20 20 0.0
시험균주 시료 T(mm) D(mm) W(m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시험군(1-3) 28 20 4
시험군(1-4) 22 20 1
대조군 20 20 0
표 6 및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비누가 일정크기의 저지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무좀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이 3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1-4의 혼합추출물에 비해 저지대의 폭이 더 넓어 무좀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 모발의 큐티클층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헤어토너 및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너를 모발에 처리한 후, 모발의 큐티클층을 그 처리 전과 처리 후에 대해서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헤어토너 처리를 하기 전의 전자현미경 사진과, 헤어토너를 2회 도포한 후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너 처리 후, 모발의 큐티클층이 매우 균일하게 정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너 처리시 큐티클층의 정돈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 모발 굵기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헤어토너 및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너에 각각 모발을 20분 동안 담근 후 모발의 굵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발의 굵기 측정은 모발 굵기 측정기(ID-C112BS)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8은 실시예 1-3의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헤어토너를 처리한 경우의 모발 굵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치

샘플
5cm 7cm 10cm 13cm 15cm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1 전 0.078 5.12 0.081 2.46 0.083 2.41 0.084 2.38 0.081 2.47
1 후 0.082 0.083 0.085 0.086 0.083
2 전 0.086 2.32 0.084 3.57 0.088 2.27 0.088 2.27 0.093 2.15
2 후 0.088 0.087 0.090 0.090 0.095
3 전 0.103 2.91 0.106 3.77 0.102 2.94 0.105 2.86 0.105 0.95
3 후 0.106 0.110 0.105 0.108 0.104
4 전 0.085 5.88 0.084 4.76 0.085 4.70 0.090 3.33 0.100 1.00
4 후 0.090 0.088 0.089 0.093 0.101
5 전 0.084 3.57 0.085 3.52 0.086 3.49 0.092 3.26 0.091 4.40
5 후 0.087 0.088 0.089 0.095 0.095
· 위치(cm) : 모발 최하단 부분부터의 길이
· 샘플 : 전(담그기 전)/후(담근 후)
하기 표 9는 실시예 1-4의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헤어토너를 처리한 경우의 모발 굵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치

샘플
5cm 7cm 10cm 13cm 15cm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굵기
(mm)
증가률
(%)
1 전 0.077 3.89 0.080 2.50 0.083 2.41 0.084 2.38 0.081 2.47
1 후 0.080 0.083 0.085 0.086 0.083
2 전 0.085 2.35 0.083 2.41 0.088 2.27 0.088 2.27 0.093 2.15
2 후 0.087 0.085 0.090 0.090 0.095
3 전 0.102 1.96 0.104 1.92 0.102 2.94 0.105 0.95 0.105 0.95
3 후 0.104 0.106 0.105 0.106 0.104
4 전 0.084 3.57 0.084 2.38 0.085 2.35 0.090 3.33 0.100 1.00
4 후 0.087 0.086 0.087 0.093 0.101
5 전 0.083 2.41 0.085 3.52 0.086 3.49 0.092 2.17 0.091 2.20
5 후 0.085 0.088 0.089 0.094 0.093
하기 표 10은 타사의 한방추출물 함유 헤너토너를 처리한 경우의 모발 굵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치

샘플
5cm 7cm 10cm 13cm 15cm 비고
굵기
(mm)
굵기
(mm)
굵기
(mm)
굵기
(mm)
굵기
(mm)
1 전 0.075 0.074 0.081 0.076 0.069
증감변화 없음
1 후 0.074 0.074 0.080 0.074 0.069
2 전 0.092 0.090 0.090 0.090 0.083
2 후 0.093 0.090 0.091 0.090 0.083
3 전 0.090 0.097 0.098 0.095 0.092
3 후 0.090 0.096 0.097 0.095 0.092
상기 표 8 내지 표 10의 결과로부터, 시판되는 한방추출물이 함유된 헤어토너에 담근 경우에는 모발 굵기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헤어토너에 담근 경우에는 모발의 굵기가 평균적으로 약 2.5 내지 3.5% 정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의 평균 증가율은 약 3.15%였으며, 30% 에탄올로 가온추출한 1-4의 혼합추출물의 평균 증가율은 2.41%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1-3 혼합추출물을 포함한 헤어토너가 1-4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한 헤어토너에 비해 모발의 굵기를 더욱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 모발의 인장 강도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용액에 모발을 20분 동안 담근 경우와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모발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발의 인장 강도 측정은 디지털 포스 게이지(DPS-5R)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샘플\수(개)
대조군
(Kg)
1-3혼합
추출물(Kg)
1-4혼합
추출물(Kg)
1 0.102 0.130 0.120
2 0.096 0.116 0.106
3 0.098 0.127 0.115
4 0.101 0.116 0.104
5 0.096 0.116 0.102
6 0.095 0.123 0.111
7 0.087 0.127 0.112
8 0.109 0.121 0.101
9 0.101 0.121 0.102
10 0.096 0.154 0.125
av. 0.0974 0.1204 0.110
상기 표 11의 결과로부터, 모발인장강도(모발이 끊어질 때까지 필요한 힘)를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 함유 용액에 20분 담근 후 측정한 모발이 미처리한 모발의 인장 강도보다 평균 24% 정도 증가되었으며, 실시예1-4의 혼합추출물 함유 용액인 경우 미처리한 모발에 비해 평균 13% 정도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 모발의 무게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용액에 모발을 20분 동안 담그기 전후의 모발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1-3 혼합추출물 처리전(g) 처리후(g) 증가량(g) 증가율(%)
1 0.7034 0.7187 0.0153 2.17
2 0.7376 0.7506 0.0130 1.76
3 0.6674 0.6819 0.0145 2.17
1-4 혼합추출물 처리전(g) 처리후(g) 증가량(g) 증가율(%)
1 0.6678 0.6787 0.0109 1.63
2 0.6786 0.6845 0.0059 0.87
3 0.6774 0.6823 0.0049 0.72
상기 표 12로부터, 모발 무게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혼합추출물에 20분 담근 후 측정한 모발무게가, 미처리한 모발 무게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시예1-3의 혼합추출물인 경우 평균 2.4% 증가하였고, 실시예1-4의 혼합추출물인 경우 평균 1.07%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9 : 두피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3 및 1-4의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헤어토너 및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너로 각각 2회 도포한 두피를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일반 한방추출물 함유 헤어토너를 사용한 후 두피의 사진과 본 발명에 의한 헤어토너를 사용한 후 두피의 사진을 각각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헤어토너 처리 후, 두피의 피지와 비듬이 깨끗하게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헤어토너를 처리하기 전과 후의 모발 상태를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헤어토너를 처리하기 전과 후의 두피를 보여주는 전자현미경사진이다.

Claims (10)

  1. 건강(Zingiber officinale Roscoe)틴크, 당약(Swertia japonica Makino),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및 헤나(Lawsonia inermis L.)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의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위한 양모용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듬방지 및 두피의 염증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a) 건강틴크, 건조상태의 당약, 인삼 및 헤나를 혼합하는 단계;
    (b)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1~15배 첨가하는 단계; 및
    (c)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를 이용하여 50~100℃, 3~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70% 에탄올이며, 상기 단계 (c) 이후에 여과 단계 및 감압농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틴크, 당약, 인삼 및 헤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16557A 2009-02-26 2009-02-26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9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57A KR101091002B1 (ko) 2009-02-26 2009-02-26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557A KR101091002B1 (ko) 2009-02-26 2009-02-26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60A KR20100097560A (ko) 2010-09-03
KR101091002B1 true KR101091002B1 (ko) 2011-12-08

Family

ID=4300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557A KR101091002B1 (ko) 2009-02-26 2009-02-26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0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69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에디쁘 천연 헤나를 이용한 염색제
KR101867361B1 (ko) 2017-01-09 2018-06-14 이태운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72B1 (ko) * 2014-04-21 2016-12-12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헤나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보호 조성물
KR101538484B1 (ko) * 2014-08-25 2015-07-22 (주)트라이베스트 헤나를 이용한 두피 해독 방법 및 장치
KR101908678B1 (ko) * 2016-11-22 2018-10-16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KR101908679B1 (ko) * 2016-11-22 2018-10-16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KR102136838B1 (ko) 2017-11-25 2020-08-13 주식회사 파머스그레인코리아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23A (ja) 1999-07-30 2001-02-1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23A (ja) 1999-07-30 2001-02-1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69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에디쁘 천연 헤나를 이용한 염색제
KR101867361B1 (ko) 2017-01-09 2018-06-14 이태운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60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002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5055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131498A (ko)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10736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9924B1 (ko)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94913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두피 강화용 조성물
KR100931093B1 (ko)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5341A (ko) 효모, 금, 프로폴리스, 인삼, 마치현, 정향, 하수오를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및 모발 개선제용 조성물
KR20110006549A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83003B1 (ko) 복합추출물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CN108078827B (zh) 一种止脱生发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20090117202A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7040B1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227214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염모제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