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379B1 -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 Google Patents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379B1
KR101090379B1 KR20100016540A KR20100016540A KR101090379B1 KR 101090379 B1 KR101090379 B1 KR 101090379B1 KR 20100016540 A KR20100016540 A KR 20100016540A KR 20100016540 A KR20100016540 A KR 20100016540A KR 101090379 B1 KR101090379 B1 KR 10109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cap
door lo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955A (ko
Inventor
손계아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락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시스 filed Critical (주)락시스
Priority to KR2010001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379B1/ko
Priority to PCT/KR2011/001027 priority patent/WO2011105715A2/ko
Publication of KR2011009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7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 E05B47/068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axially, i.e. with an axially disengaging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은, 도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가 마련되는 제1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외측 핸들 유닛; 도어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내측 핸들 유닛; 실외측 핸들 유닛 및 상기 실내측 핸들 유닛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잠금을 수행하는 래치 볼트를 구비하는 래치어셈블리 유닛; 실외측 핸들 유닛과 실내측 핸들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유닛; 및 실외측 핸들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어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회전연결유닛과 제1 핸들몸체를 연결시켜 제1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회전연결유닛을 통해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락킹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의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는 상태로 실외 및 실내 도어 모두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LEVER COMPLETE SET DIGILOG DOOR LOCK}
본 발명은,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의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는 상태로 실외 및 실내 도어 모두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및 상점의 출입문에는 방범과 보완을 위해 도어록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계식 도어락에서 디지털 도어락으로 교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을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대표적으로 전자키 터치부에 전자키를 접촉시키는 방법과, 택트 스위치나 멤브레인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한 키패드를 눌러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과, 지문을 이용한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며 실외측 핸들이 구비된 외기,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실내측 핸들이 구비된 내기, 외기와 내기 사이에 구비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데드 볼트 및/또는 래치 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 외기와 모티스 사이에 구비되어 외기에 구비된 핸들의 회전력을 모티스로 전달하는 회전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기와 내기를 구조적으로 결합하고 내부 전자 회로부품의 배선을 위한 목적으로 도어에 추가적으로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 홀, 배선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홀 및 모티스를 도어에 매립하기 위한 관통공 등을 형성시켜야 했다.
따라서, 기존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는 경우, 전술한 스크류 홀 및 와이어 삽입홀 등의 형성으로 인해 도어를 훼손시킬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기 어려운 이유로 전문기술자의 설치 비용이 추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사할 때 분해 및 재조립이 힘든 단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의 방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도어에 스크류 홀이나 와이어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시 작업 부주의에 의해 도어가 심하게 파손될 수도 있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현재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현관문이나 사무실의 실외 도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기존의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실외 도어 및 실내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의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는 상태로 실외 및 실내 도어 모두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가 마련되는 제1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외측 핸들 유닛; 상기 도어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내측 핸들 유닛;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 및 상기 실내측 핸들 유닛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 및 잠금을 수행하는 래치 볼트를 구비하는 래치어셈블리 유닛;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과 상기 실내측 핸들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유닛; 및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회전연결유닛과 상기 제1 핸들몸체를 연결시켜 상기 제1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연결유닛을 통해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락킹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제2 핸들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회전된 상태의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제2 핸들몸체를 회전 전의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핸들소켓;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을 각각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 및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과 각각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된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일단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 내에 체결되며 단부에 확장된 헤드부가 마련되는 캡 스크류; 상기 캡 스크류의 헤드부에 걸쳐지도록 중앙부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및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의 바닥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캡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캡을 탄성 복원시키는 캡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에 의해 상기 캡은 가압되어 상기 제1 핸들소켓 및 상기 회전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락킹 조절유닛은,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회전연결유닛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가압부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가압부는, 상기 제1 핸들몸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부로의 전류 인가시 이동하여 상기 캡을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조절유닛은,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회전연결유닛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캠 가압부이며, 상기 캠 가압부는, 상기 제1 핸들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류 인가시 회전하여 상기 캡을 가압하는 가압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의 중앙부에는 회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 스크류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핸들소켓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에 의한 상기 캡의 가압시에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은, 하우징; 상기 회전바가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와 동시에 회전하며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소켓;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체결되는 래치 볼트;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키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핸들소켓의 내주면에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한돌기와 접촉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소켓의 삽입구를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상기 제한돌기가 삽입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은 튜블러형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치 볼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의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는 상태로 실외 및 실내 도어 모두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캡을 나타내는 정방향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회전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핸들소켓을 나타내는 정방향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래치어셈블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캡을 나타내는 정방향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회전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핸들소켓을 나타내는 정방향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래치어셈블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은,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도어에 추가적으로 홀(hole)을 천공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어(D)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111)가 마련되는 실외측 핸들 유닛(110)과, 도어(D)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측 핸들 유닛(120)과, 실외측 핸들 유닛(110) 및 실내측 핸들 유닛(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문틀에 대한 도어(D)의 락킹 상태를 조절하는 래치 볼트(131)를 포함하며 도어(D)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래치어셈블리 유닛(130)과, 실외측 핸들 유닛(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인증부(111)를 통한 인증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을 동작시키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동작 관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인증부(111)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락킹 조절유닛(150,151)은 실외측 핸들 유닛(11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회전연결유닛(160)을 통해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으로 전달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락킹 조절유닛(150,151)은 실외측 핸들 유닛(110)의 회전력이 후술하는 회전연결유닛(1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결국에는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이동작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도어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의 실외 공간을 향하는 일측에는 실외측 핸들 유닛(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D)의 실내 공간을 향하는 타측에는 실내측 핸들 유닛(120)이 설치되어 있다.
실외측 핸들 유닛(110)과 실내측 핸들 유닛(120)은 각각 도어(D)에 대해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핸들몸체(112)에는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출입을 허용하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1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증부(1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인 번호가 인쇄되어 터치 또는 가압에 의해 동작되는 복수의 버튼과, 버튼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인증을 판단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의 인증 여부, 일 예로 사용자가 설정된 번호를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으로 적용 가능하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거나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인증부(111)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에 한정되지 않으며, 칩카드 접촉부(미도시), RF카드 수신부(미도시), 홍체 인식부(미도시) 등 접촉 또는 무접촉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컨트롤러(미도시)는 일 예로 사용자가 설정된 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했을 경우에만 후술하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을 동작시켜 이에 연동하여 회전연결유닛(160) 및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도어(D)가 개방되도록 하며, 설정된 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실내측 핸들 유닛(120)의 제2 핸들몸체(121)에는 배터리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배터리 수납공간에 장착된 배터리는 인쇄회로기판 및 후술하는 솔레노이드 가압부 또는 캠 가압부로 동작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은, 제1 핸들몸체(112)와 제2 핸들몸체(121)에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회전 전의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180,18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180,181)은 각각, 회전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 소켓 하우징(184) 및 복원스프링(18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은 각각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에 일체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회전시킬 때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은 동시에 회전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 및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는 금속재,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은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에 강제 압입, 용접,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은 후술하는 회전바(161)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187)이 형성되는 회전바 삽입부(186)와, 회전바 삽입부(186)에 일체로 연결되는 소켓 몸체(188)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핸들소켓(182)의 회전바 삽입부(186)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의 동작에 따라 캡(164)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부(189)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2 핸들소켓(183)의 회전바 삽입부(186)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회전바(161)의 제한돌기(162)가 위치할 뿐만 아니라 회전바(161)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한돌기(162)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한홈(19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한홈(190)은 사용자가 실내측 핸들 유닛(120)의 제2 핸들몸체(1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킬 경우, 초기에는 제2 핸들소켓(183)이 공회전하다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회전바(161)의 제한돌기(162)에 접촉되어 회전바(161)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핸들소켓(183)에 갑작스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와 연결된 회전바(161) 및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에 순간적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84)은 도어(D)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의 메인 하우징(191)과 메인 하우징(191)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19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소켓 하우징(184)은 도어(D)를 관통하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복원스프링(185)은 소켓 하우징(184) 내에서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 구체적으로, 소켓 몸체(188)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일 예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복원시키게 된다. 이러한 복원스프링(185)은 소켓 몸체(188)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토션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켓 하우징(184)의 내면과 소켓 몸체(188)의 외면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도록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를 원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180,181)은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 도어의 관통홀(미도시) 내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을 설치할 때 도어에 추가적인 홀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락킹 조절유닛(150,151)은 인증부(111)를 통한 인증 확인시 제1 핸들몸체(112)와 후술하는 회전연결유닛(16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제1 핸들몸체(112)의 내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의 외관 사이즈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에서, 도 2, 5, 6,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 조절유닛(150)은 인증부(111)에 의한 인증 결과에 따라 후술하는 캡(164)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1 핸들몸체(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가압부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가압부는 제1 핸들몸체(112)에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와,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에 연결되어 전술한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부(152)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이동하여 캡(164)을 가압하는 가압핀(153)을 포함한다. 물론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에 동작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압핀(153)은 캡(164)과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덧붙이자면, 인증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에 전류를 인가시켜 자기장을 형성시키게 되고, 가압핀(153)은 이러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외측으로 돌출되어 캡(164)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에서, 락킹 조절유닛(150,151)은 인증부(111)에 의한 인증 결과에 따라 캡(164)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1 핸들몸체(112)에 설치되는 캠 가압부를 포함한다.
도 3, 7, 8,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가압부는 제1 핸들몸체(112)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154)와, 구동모터(154)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54)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회전하여 캡(164)을 가압하는 가압캠(155)을 포함한다.
덧붙이자면, 인증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구동모터(154)를 회전시켜 가압캠(155)에 의해 캡(164)이 가압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154)의 구동축은 가압캠(155)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 각도만큼 스텝 형식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텝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캠(155)이 양단에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모터(154)의 구동축은 가압캠(155)을 가압하기 위해 1/4 회전할 수 있으며 가압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다시 1/4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54)의 구동축의 회전 제어는 가압캠(155)의 형상에 따라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락킹 조절유닛(150,151)과 후술하는 회전연결유닛(160)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핸들 유닛(110)과 실내측 핸들 유닛(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핸들몸체(112,121)의 회전력을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유닛(160)을 포함한다.
즉, 회전연결유닛(160)은, 제1 핸들몸체(112)에 구비된 인증부(111)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확인된 경우에만 락킹 조절유닛(150,151)과 접속되어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 핸들몸체(112)의 회전력을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으로 전달하여 래치 볼트(131)를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 인증이 불가한 경우 회전연결유닛(160)은 락킹 조절유닛(150,151)에 접속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핸들몸체(112)의 회전력은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연결유닛(160)은, 회전바(161), 캡 스크류(163), 캡(164) 및 캡 스프링(165)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연결유닛(160)은 전술한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180,181)과 마찬가지로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 도어의 관통홀(미도시) 내에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을 설치할 때 도어에 추가적인 홀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먼저, 회전바(161)는 제1 및 제2 핸들소켓(182,183)의 회전바 삽입부(186)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데, 회전바(161)의 외주면과 회전바 삽입부(186)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회전바(161)가 보다 원활히 회전하도록 회전바(161)의 외주면과 회전바 삽입부(186)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갭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핸들몸체(112)에 인접한 회전바(161)의 일단부의 중앙부에는 움푹 들어간 제1 오목부(166)가 형성되며, 제1 오목부(166)의 중앙부에는 회전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체결홈(167)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바(161)의 중앙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2단으로 단차진 제1 오목부(166)와 체결홈(167)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바(161)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제1 절개부(189)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의 동작에 따라 캡(164)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절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부(168)가 형성된다.
덧붙여,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바(161)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한돌기(16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핸들소켓(183)의 내주면에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한돌기(162)와 접촉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한홈(19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의 회전소켓(132)의 삽입구(133)를 형성하는 내주면에도 마찬가지로 제한돌기(162)가 삽입되도록 안내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서 실내측 핸들 유닛(120)의 제2 핸들몸체(121)를 회전시키면 일정 각도만큼은 제2 핸들몸체(121)가 공회전하게 되며, 제2 핸들몸체(121)가 더욱 회전되어 제2 핸들소켓(183)의 제한홈(190)의 측벽이 제한돌기(162)에 걸리게 되면 회전바(16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회전소켓(132) 또한 안내홈(134)에 삽입된 회전바(161)의 제한돌기(162)에 의해 동시에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스크류(163)는 일단부가 회전바(161)의 일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홈(167)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캡 스크류(163)는 나사산을 갖는 통상의 볼트와 유사한 구조를 가져 체결홈(167)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체결홈(167)에 캡 스크류(163)를 보다 신속하게 체결하면서도 그 체결 위치를 쉽게 지정할 수 있도록 캡 스크류(163)의 외주면에는 제1 오목부(166)의 바닥면에 걸리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 스크류(163)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캡(16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169)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 캡(164)은 회전바(161)를 향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바(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캡 스크류(163)에 걸친 상태로 결합되는데, 좀 더 자세하게는, 중앙부에는 캡 스크류(163)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 스크류(163)의 헤드부(169)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제2 오목부(1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오목부(170)는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캡 스크류(163)에 대한 캡(16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관통홀의 내경은 헤드부(169)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64)의 내측 상면에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에 의한 캡(164)의 가압시에 제1 핸들소켓(182) 및 회전바(16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개부(189,168)에 삽입되도록 서로 간에 단차가 형성된 제1 및 제2 돌기부(171,17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핸들소켓(182)의 제1 절개부(189)의 바닥면과 회전바(161)의 제2 절개부(168)의 바닥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 조절유닛(150,151)의 동작에 의해 캡(164)이 가압되었을 때 캡(164)의 제1 돌기부(171)는 제1 절개부(189) 내에 삽입되고 제2 돌기부(172)는 제2 절개부(168) 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외측 핸들 유닛(110)의 제1 핸들몸체(112)를 회전시키면 이와 일체로 연결된 제1 핸들소켓(182)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기부(171,172)가 각각 제1 및 제2 절개부(189,168)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바(161)도 동시에 회전하여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의 래치 볼트(131)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캡 스프링(165)은 회전바(161)의 제1 오목부(166)의 바닥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캡(164)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캡(164)을 가압하여 가압된 상태의 캡(164)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즉, 락킹 조절유닛(150,151)을 통한 캡(164)의 가압이 해제되면 캡 스프링(165)은 캡(164)의 위치를 탄성 복원시켜 제1 및 제2 돌기부(171,172)가 제1 및 제2 절개부(189,168)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35)과, 하우징(13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바(161)가 삽입되도록 삽입구(133)가 형성되며, 외면에 걸림돌기(136)가 형성되는 회전소켓(132)과, 제1 및 제2 핸들몸체(121)의 회전에 의한 회전소켓(132)의 회전시 걸림돌기(136)에 걸려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브래킷(137)과, 브래킷(137)의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래치 볼트(131)와, 브래킷(137)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브래킷(137)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하우징(135) 내부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138)을 포함한다.
이러한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은 튜블러형 타입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기존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기계식 도어락이 설치된 기존 도어의 측면홈(미도시)에 매립 설치될 수 있으며, 덧붙여 방문, 욕실문, 샤시문, 현관문 등 다양한 장소의 도어에 기존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존 기계식 도어락을 설치하도록 도어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결합홀(미도시)과 측면홈(미도시) 내에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180,181), 회전연결유닛(160) 및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이 모두 배치되므로, 도어락 설치를 위해 도어에 별도의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도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소켓(132)의 삽입구(133)를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회전바(161)의 제한돌기(162)가 삽입되도록 제한돌기(162)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안내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37)의 양측에는 회전하는 상태의 걸림돌기(136)에 걸려짐으로써, 브래킷(137)이 하우징(135)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된 걸림편(139)이 형성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35) 내에는 래치 볼트(131)의 위치를 감지함과 더불어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140)가 설치된다.
덧붙여, 사용자가 도어(D)를 개방한 후 다시 도어(D)를 닫을 때,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래치 볼트(13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컨트롤러는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가압핀(153)이 캡(16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거나 구동모터(15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가압캠(155)이 캡(16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140)는 마그네틱 센서, 포토 커플러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감지센서(140)가 마그네틱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 래치 볼트(131)의 일측에 마그네트를 부착하고 하우징(135)에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부착하여 래치 볼트(131)의 위치 관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폐쇄된 상태의 도어(D)를 개방시키고자 사용자는 실외측 핸들 유닛(110)에 마련된 인증부(111)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의 인증이 확인되면 제1 핸들몸체(112) 내에 구비된 컨트롤러(미도시)에서는 락킹 조절유닛(150,151)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솔레노이드 코일부(152)에 전원을 인가시켜 자기장 형성에 따라 가압핀(153)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캡(164)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구동모터(154)에 전원을 인가시켜 가압캠(155)이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캡(164)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캡(164)이 회전바(161) 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캡(164)의 제1 및 제2 돌기부(171,172)는 각각 제1 핸들소켓(182)에 형성된 제1 절개부(189)와 회전바(161)에 형성된 제2 절개부(168)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실외측 핸들 유닛(110)의 제1 핸들몸체(112)를 회전시키면 제1 핸들몸체(112)에 일체로 형성된 제1 핸들소켓(182)이 회전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회전바(161)가 회전하여 래치어셈블리 유닛(130)의 회전소켓(132)이 일정 각도 회전된다. 이때 회전소켓(132)의 걸림돌기(136)는 브래킷(137)의 걸림편(139)에 접촉하여 브래킷(137)을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래치 볼트(131)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D: 도어 110: 실외측 핸들 유닛
111: 인증부 112: 제1 핸들몸체
120: 실내측 핸들 유닛 121: 제2 핸들몸체
130: 래치어셈블리 유닛 131: 래치 볼트
132: 회전소켓 133: 삽입구
134: 안내홈 135: 하우징
136: 걸림돌기 137: 브래킷
138: 가압스프링 139: 걸림편
140: 위치감지센서 150,151: 락킹 조절유닛
152: 솔레노이드 코일부 153: 가압핀
154: 구동모터 155: 가압캠
160: 회전연결유닛 161: 회전바
162: 제한돌기 163: 캡 스크류
164: 캡 165: 캡 스프링
166: 제1 오목부 167: 체결홈
168: 제2 절개부 169: 헤드부
170: 제2 오목부 171: 제1 돌기부
172: 제2 돌기부 180: 제1 회전복원유닛
181: 제2 회전복원유닛 182: 제1 핸들소켓
183: 제2 핸들소켓 184: 소켓 하우징
185: 복원스프링 186: 회전바 삽입부
187: 관통공 188: 소켓 몸체
189: 제1 절개부 190: 제한홈
191: 메인 하우징 192: 커버 플레이트

Claims (13)

  1. 도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부가 마련되는 제1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외측 핸들 유닛;
    상기 도어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핸들몸체를 구비하는 실내측 핸들 유닛;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 및 상기 실내측 핸들 유닛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열림 및 잠금을 수행하는 래치 볼트를 구비하는 래치어셈블리 유닛;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과 상기 실내측 핸들 유닛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회전연결유닛; 및
    상기 실외측 핸들 유닛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회전연결유닛과 상기 제1 핸들몸체를 연결시켜 상기 제1 핸들몸체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연결유닛을 통해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으로 전달하는 락킹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제2 핸들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회전된 상태의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제2 핸들몸체를 회전 전의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복원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핸들소켓;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을 각각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 및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과 각각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된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 핸들몸체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소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일단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 내에 체결되며 단부에 확장된 헤드부가 마련되는 캡 스크류;
    상기 캡 스크류의 헤드부에 걸쳐지도록 중앙부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및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의 바닥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캡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캡을 탄성 복원시키는 캡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에 의해 상기 캡은 가압되어 상기 제1 핸들소켓 및 상기 회전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조절유닛은,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회전연결유닛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가압부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가압부는,
    상기 제1 핸들몸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부로의 전류 인가시 이동하여 상기 캡을 가압하는 가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조절유닛은,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확인시 상기 제1 핸들몸체와 상기 회전연결유닛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캠 가압부이며,
    상기 캠 가압부는,
    상기 제1 핸들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류 인가시 회전하여 상기 캡을 가압하는 가압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제1 오목부의 중앙부에는 회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캡 스크류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소켓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락킹 조절유닛의 동작에 의한 상기 캡의 가압시에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은,
    하우징;
    상기 회전바가 삽입되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와 동시에 회전하며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소켓;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체결되는 래치 볼트;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키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핸들소켓의 내주면에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한돌기와 접촉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소켓의 삽입구를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상기 제한돌기가 삽입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 유닛은 튜블러형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치 볼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20100016540A 2010-02-24 2010-02-24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10109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540A KR101090379B1 (ko) 2010-02-24 2010-02-24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PCT/KR2011/001027 WO2011105715A2 (ko) 2010-02-24 2011-02-16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6540A KR101090379B1 (ko) 2010-02-24 2010-02-24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55A KR20110096955A (ko) 2011-08-31
KR101090379B1 true KR101090379B1 (ko) 2011-12-07

Family

ID=4450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6540A KR101090379B1 (ko) 2010-02-24 2010-02-24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0379B1 (ko)
WO (1) WO201110571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41B1 (ko) 2012-08-02 2013-11-15 (주)락시스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40B1 (ko) * 2012-08-02 2013-11-15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WO2014021672A1 (ko) * 2012-08-02 2014-02-06 주식회사 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67639B1 (ko) * 2012-08-02 2014-02-27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1330242B1 (ko) * 2012-08-02 2013-11-15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DE102014103666C9 (de) * 2014-03-18 2019-06-06 Günter Uhlmann Türdrücker
CN108266053A (zh) * 2018-03-18 2018-07-10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执手穿线结构
CN112211490B (zh) * 2019-07-12 2022-03-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门把手、门把手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SE545410C2 (en) * 2021-12-16 2023-09-05 Assa Abloy Ab Lock device and lock system
CN219344325U (zh) * 2022-07-04 2023-07-14 钛克菲斯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快装结构的电子门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40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디지털 모티스 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6918B2 (ja) * 2007-01-26 2012-05-2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電気錠用取手及び該取手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KR20090093503A (ko) * 2008-02-29 2009-09-02 한국과학기술원 기계적 비밀번호 문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40B1 (ko) * 2008-04-25 2008-08-29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디지털 모티스 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41B1 (ko) 2012-08-02 2013-11-15 (주)락시스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장치
WO2014021673A1 (ko) * 2012-08-02 2014-02-06 주식회사 락시스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를 구비한 디지텔 도아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55A (ko) 2011-08-31
WO2011105715A2 (ko) 2011-09-01
WO2011105715A3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EP2412897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20090211320A1 (en) Electro-mechanical lock structure
US20150191948A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CN101918661B (zh) 闩锁促动器和使用该闩锁促动器的闩锁
KR20040002727A (ko) 로킹 장치
CN111279041B (zh) 锁驱动装置和自行车锁装置
US20150159411A1 (en) Fastening bol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fastening bolt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CN109944509B (zh) 电子锁
EP3600977B1 (en) Smart cylinder lock device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090380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JP2015190297A (ja) 電気錠システム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錠システム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JP7059474B2 (ja) 引戸錠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CN110939317B (zh) 配有进入监控***的控制把手
KR101513928B1 (ko) 전기식 잠금 모듈 및 이를 가진 도어 잠금 시스템
CN210003074U (zh) 一种箱包电子锁
JP6099426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363386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록장치
TWM577048U (zh) Inductive lock
JP7059475B2 (ja) 引戸電気錠
CN218991194U (zh) 可调角度的机电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