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936B1 - 터치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936B1
KR101084936B1 KR1020090072943A KR20090072943A KR101084936B1 KR 101084936 B1 KR101084936 B1 KR 101084936B1 KR 1020090072943 A KR1020090072943 A KR 1020090072943A KR 20090072943 A KR20090072943 A KR 20090072943A KR 101084936 B1 KR101084936 B1 KR 10108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uch screen
screen device
image display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299A (ko
Inventor
박동선
손연호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936B1/ko
Priority to US12/565,674 priority patent/US20110032091A1/en
Priority to JP2009219133A priority patent/JP4898882B2/ja
Publication of KR2011001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면에 화상표시부가 결합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이 상기 화상표시부의 하면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의 상부에 상기 화상표시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가능하며, 터치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진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판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의 형상 변화를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진동 주파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터치스크린 패널, 화상표시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베이스부, 탄성부재, 진동발생수단, 엑츄에이터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을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제품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스크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도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피드백을 좀더 다양화하는 개념이 포함된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공간절약이 가능하고 조작성 향상과 간편성을 이룰 수 있고, 사양변경 간편하며 이용자 인식이 높다는 점 외에도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하다는 많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산업, 교통, 서비스, 의료,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장치는 투명성을 갖는 터치패널이 화상을 표시하는 LCD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통하여 화상을 보면서 터치패널을 압박 조작하는 경우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터치패널에 진동감이 인가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감이 전달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10)의 하면에 화상표시부(20)가 부착되되, 그 사이에 진동발생수단(30)이 부착되어, 세트 기구부(40)에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진동발생수단(30)이 터치스크린 패널(10)과 화상표시부(20) 사이에 부착됨으로써, 터치스크린 패널(10)과 화상표시부(20)가 이격된 상태에서 부착되게 되고, 이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충격강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입력부인 터치스크린 패널(10)과 화상표시부(20)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 전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패널(10)과 화상표시부(20)가 분리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결합하는 공정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진동감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 패널(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일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는 진동발생수단(30)이 터치스크린 패널(10)의 하면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통상 진동발생수단(30)으로부터 발생하는 최초 진동 주파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보다 높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와 같은 구조에서는 이를 보상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가능하며, 터치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진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판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의 형상 변화를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진동 주파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면에 화상표시부가 결합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이 상기 화상표시부의 하면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의 상부에 상기 화상표시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길이방향 테두리 하면 또는 너비방향 테두리 하면에 한 쌍 이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테두리 영역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부 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테두리 영역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외측 플레이트부;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절곡 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단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진동을 인가하는 압전 엑츄에이터 또는 폴리머 엑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와 세트 기구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게 부착된 상태로 세트 기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러버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부착된 상태로 세트 기구부에 장착되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기구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세트 기구부에 구비된 개구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면에 화상표시부가 결합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화상표시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 내측에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태로 측면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슬릿부와, 상기 슬릿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단차 슬릿부; 및 상기 단차 슬릿부로부터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 내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 이상 구비되며, 상기 마주보는 한 쌍 이상의 슬릿부는 연결 슬릿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발생수단이 플레이트를 통해 화상표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과 화상표시부가 일체화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구조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발생수단이 화상표시부와 이격된 상태로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플레이트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되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형상 변화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되는 진동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하면에 세트 기구부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되는 진동량은 증가시키되, 세트 기구부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전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 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 플레이트(120a), 진동발생수단(130),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장치는 세트 기구부(150)에 수용(체결)되어 사용된다.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Touch display module; 110)은 화상표시부(114)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면서 터치스크린 패널(112)을 압박조작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 패널(112)과 LCD와 같은 화상표시부(114)가 결합(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터치스크린 패널(112)과 화상표시부(114)가 분리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생산성이 높고 충격에 대한 강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터치스크린 패널(112)은 투명성 및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화상표시부(114)에 표시되는 화상을 보면서 압박 조작하는 입력신호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패널(112)은 외부 필름층, ITO 필름층, 및 베이스 필름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부 필름층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부에 탑재되되, 터치입력이 가능한 표시 영역(viewing area)과, 표시 영역 주변부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 영역(dead spac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필름층은 화상표시부(114)의 화면을 투시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와 같은 투명 필름 소재로 이루어진다.
ITO 필름층(Indium Tin Oxide film)은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하부 두 개의 필름층으로 적층 마련되며, 그 사이에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트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있다. 각 필름층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전도성 X축패턴과 Y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막이 마련되며, X축패턴과 Y축패턴은 절연체(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전극막은 FPC 케이블을 통해 ITO필름층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베이스 필름층은 터치 패널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투과율 및 터치 응답속도가 우수한 글래스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a)는 진동발생수단(13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진 동발생수단(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전달하는 진동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화상표시부(114)의 하면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플레이트(120a)의 타측은 화상표시부(114)와 이격된 구조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20a)는 화상표시부(114)의 길이방향 테두리 영역의 하면 및/또는 너비방향 테두리 하면에 마주보도록 한 쌍 이상 장착되며, 다수의 플레이트(120a)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a)는 화상표시부(114)의 테두리 영역의 하면에 부착되는 외측 플레이트부(122a),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122a)의 내측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124a), 및 상기 절곡 플레이트부(124a)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부(12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 플레이트부(126a)는 절곡 플레이트부(124a)에 의해 화상표시부(114)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그 상부면은 진동발생수단(13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130)도 화상표시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 즉 진동가능공간(A)을 가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 플레이트부(126a)와 화상표시부(114)의 이격거리는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 플레이트부(126a)의 상부에 배치된 진동발생수단(130)이 진동가능공간(A)에 의해 화상표시부(114)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진동은 내측 플레이트부(126a)→절곡 플레이트부(124a)→외측 플레이트부(122a)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전달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진동판 역할을 수행하는 플레이트(120a)를 매개로 하여 진동발생수단(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플레이트(120a)의 형상, 길이, 두께, 절곡 플레이트부(124a)의 절곡 각도, 진동발생수단(130)의 장착 상태, 진동가능공간(A)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진동 전달 구조는 화상표시부(114)에 진동발생수단(130)이 직접 부착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주파수 범위조절이 보다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진동발생수단(130)은 진동을 발생시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진동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플레이트부(126a)의 상부에 화상표시부(114)와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수단(130)으로는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진동감을 인가하는 압전(또는 폴리머) 엑츄에이터 또는 리니어 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최대화하고, 세트 기구부(150)에 대한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낙하 등으로부터 터치스크린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이트(120a)의 하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40)는 세트 기구부(150)와 플레이트(120a)가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진동발생수단(130)으로부터 플레이트(120a)로 전달되는 진동이 세트 기구부(150)로 분산되어 전달되지 않도록, 플레이트(120a)의 하면에 부착되되 플레이트(120a)의 하부로 돌출되게 부착된다. 즉, 플레이트(120a)와 세트 기구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양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140)는 그 사용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절곡 플레이트부(124a)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두께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외측 플레이트부(122a)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로 내측 플레이트(120a)의 하부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20b, 120c, 120d)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와 구조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플레이트(120b)가 테두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일체화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b)는 화상표시부(114)의 테두리 영역의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예를 들 어, 직사각형 형상)의 외측 플레이트부(122b),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122b)의 내측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124b), 및 상기 절곡 플레이트부(124b)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내측 플레이트부(12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플레이트(120c)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되 내부가 밀폐되어 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c)는 화상표시부(114)의 테두리 영역의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외측 플레이트부(122c),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122c)의 내측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124c), 및 상기 절곡 플레이트부(124c)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의 내측 플레이트부(12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내측 플레이트부(126c)는 판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전체가 진동판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그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발생수단(130)의 배치 자유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플레이트(120d)의 절곡 플레이트부(124d)가 경사진 구조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d)는 화상표시부(114)의 테두리 영역의 하면에 부착되는 외측 플레이트부(122d),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122d)의 내측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124d), 및 상기 절곡 플레이 트부(124d)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부(126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 플레이트부(124d)의 절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구조적 변경에 의해 플레이트(120d)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플레이트(120d)는 다수개로 분리된 구조(도 3 참조), 일체화되되 내부가 개방된 구조(도 4 참조), 또는 일체화되되 내부가 밀폐된 구조(도 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탄성부재(140)의 크기와 세트 기구부(150)의 형상, 및 플레이트(120e)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장치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부분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플레이트(120e)과 세트 기구부(15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되, 공간절약을 위해 세트 기구부(150)에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개구부(1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e)는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와 동일한 구조를 갖 되, 탄성부재(140)가 내측 플레이트부(126e)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외측 플레이트부(122e)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140)가 세트 기구부(150)에 장착된다. 이때, 내측 플레이트부(126e)에 대응하는 영역의 세트 기구부(150)에 개구부(152)가 형성되어 그 내부로 내측 플레이트부(126e)가 수용됨으로써, 플레이트(120e)가 세트 기구부(150)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개구부(152)를 이용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플레이트(120e)는 다수개로 분리된 구조(도 3 참조) 또는 일체화되되 내부가 개방된 구조(도 4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플레이트는 화상표시부(114)의 하면에 부착되는 판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120f)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f)의 테두리 영역 내측에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f)와 연결된 상태로 측면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f)와 분리된 슬릿부(122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진동발생수단(130)은 슬릿부(122f)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슬릿부(122f)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세트 기구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메인 플레 이트(120f)의 테두리 영역 하면에 탄성부재(140)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슬릿부(122f)는 단차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상부에 진동발생수단(130)이 장착되는 경우 화상표시부(114)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플레이트(120f)로부터 측면부가 분리된 슬릿부(122f)는 진동발생수단(130)에 의해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 판스프링처럼 떨림 운동을 하기 때문에, 슬릿부(122f)의 너비, 길이,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화상표시부(114)로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 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발생수단(13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발생수단(130)과 화상표시부(114)의 간헐적인 직접 접촉에 의해 바로 화상표시부(114)로 전달되거나, 슬릿부(122f)와 연결된 메인 플레이트(120f)를 통해 화상표시부(114)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메인 플레이트(120f)와 연결되는 슬릿부(122f)의 양 단부는 떨림현상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폭이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한 쌍의 슬릿부(122f)가 메인 플레이트(120f)의 길이방향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릿부(122f)의 개수 및 배치는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부(122g)는 양단이 메인 플레이트(120g)와 연결된 상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부(122g)는 메인 플레이트(120g)와 연결된 양단부가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슬릿부(124g)와 상기 단차 슬릿부(124g)로부터 내부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슬릿부(126g)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이때에는, 슬릿부(122g)가 단차진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수평 슬릿부(126g)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발생수단(130)과 화상표시부(114)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진동발생수단(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은 슬릿부(122g)와 연결된 메인 플레이트(120g)를 통해 화상표시부로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이때, 도 10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부(122g, 122g')가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부(122h)는 메인 플레이트(120h)의 테두리 영역에 서로 분리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슬릿부(122h)가 메인 플레이트(120h)의 길이방향 테두리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너비방향 테두리 영역 또는 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및 제10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플레이트는 화상표시부(114)의 하면 테두리 영역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메인 플레이트(120i)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i)의 내측에 양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i)와 연결된 상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되, 측면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i)로부터 분리된 슬릿부(122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슬릿부(122i)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플레이트(120j)는 도 12에 도시된 플레이트(120i)의 구조에서 한 쌍의 슬릿부(122j)를 연결하는 연결 슬릿부(128j)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 슬릿부(128j)는 수평 슬릿부(126j)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슬릿부(122j)를 연결하여 한 쌍의 슬릿부(122j)가 함께 진동하는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슬릿부(128j)는 수평 슬릿부(122j)로부터 연결되되 상부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진동발생수단, 플레이트, 및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112 : 터치스크린 패널
114 : 화상표시부 120a~120j : 플레이트
130 : 진동발생수단 140 : 탄성부재
150 : 세트 기구부

Claims (15)

  1.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면에 화상표시부가 결합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일측이 상기 화상표시부의 하면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의 상부에 상기 화상표시부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길이방향 테두리 하면 또는 너비방향 테두리 하면에 한 쌍 이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테두리 영역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 두리 형상의 제2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테두리 영역 하면에 부착되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의 외측 플레이트부;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절곡 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진동을 인가하는 압전 엑츄에이터 또는 폴리머 엑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와 세트 기구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게 부착된 상태로 세트 기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러버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하면에 부착된 상태로 세트 기구부에 장착되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세트 기구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세트 기구부에 구비된 개구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면에 화상표시부가 결합된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화상표시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 내측에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태로 측면부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슬릿부;
    상기 슬릿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진동발생수단;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하부로 절곡되는 단차 슬릿부; 및
    상기 단차 슬릿부로부터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슬릿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내부가 개방된 테두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 내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 이상 구비되며, 상기 마주보는 한 쌍 이상의 슬릿부는 연결 슬릿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090072943A 2009-08-07 2009-08-07 터치스크린 장치 KR10108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43A KR101084936B1 (ko) 2009-08-07 2009-08-07 터치스크린 장치
US12/565,674 US20110032091A1 (en) 2009-08-07 2009-09-23 Touch screen device
JP2009219133A JP4898882B2 (ja) 2009-08-07 2009-09-24 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43A KR101084936B1 (ko) 2009-08-07 2009-08-07 터치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299A KR20110015299A (ko) 2011-02-15
KR101084936B1 true KR101084936B1 (ko) 2011-11-17

Family

ID=4353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43A KR101084936B1 (ko) 2009-08-07 2009-08-07 터치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32091A1 (ko)
JP (1) JP4898882B2 (ko)
KR (1) KR101084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8948U (zh) * 2009-11-09 2010-08-1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反馈装置
KR101635645B1 (ko) * 2009-11-17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장치
WO2011062014A1 (ja) * 2009-11-19 2011-05-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タッチパネル付き電子機器
US8884747B2 (en) * 2010-04-22 2014-1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2067370A2 (ko) * 2010-11-19 2012-05-24 (주)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햅틱 모듈
US20150058524A1 (en) * 2012-01-04 2015-02-26 Kenneth C. Creta Bimodal functionality between coherent link and memory expansion
KR101354893B1 (ko) * 2012-05-08 2014-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JP5868794B2 (ja) * 2012-06-22 2016-02-24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
US9466783B2 (en) 2012-07-26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Suspension element having integrated piezo material for providing haptic effects to a touch screen
JP2015070729A (ja) * 2013-09-30 2015-04-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情報端末処理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KR102278982B1 (ko) * 2013-10-11 2021-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213409B2 (en) 2013-11-25 2015-12-15 Immersion Corporation Dual stiffness suspension system
JP6078935B2 (ja) * 2013-12-18 2017-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5972253B2 (ja) 2013-12-27 2016-08-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FR3028965B1 (fr) * 2014-11-21 2018-03-02 Dav Dispositif de retour ha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9589432B2 (en) 2014-12-22 2017-03-07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actuators having programmable magnets with pre-programmed magnetic surfaces and patterns for producing varying haptic effects
US9632582B2 (en) 2014-12-22 2017-04-25 Immersion Corporation Magnetic suspension system for touch screens and touch surfaces
EP3279767B1 (en) * 2015-03-31 2021-02-24 Sony Corporation Force sensation providing device
US10275032B2 (en) 2016-12-22 2019-04-30 Immersion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suspension system for a haptic device
JP6732687B2 (ja) * 2017-03-28 2020-07-29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768702B2 (en) * 2017-03-28 2020-09-08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6919620B2 (ja) * 2018-04-18 2021-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機器
US10698816B2 (en) 2018-06-29 2020-06-30 Micron Technology, Inc. Secure logical-to-physical caching
EP3992760A1 (de) * 2021-03-30 2022-05-04 Siemens Healthcar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dienen eines medizinischen bildgebungsgerä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318A (ja) * 2004-12-08 2006-06-22 Sony Corp 圧電体支持構造、圧電体取付方法、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829B1 (ko) * 1997-11-28 2001-10-24 윤종용 전자시스템의충격방지구조및전자시스템의충격방지구조가적용된휴대용컴퓨터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FI112415B (fi) * 2001-11-28 2003-11-28 Nokia Oyj Pietsosähköinen käyttöliittymä
JP2004038581A (ja) * 2002-07-03 2004-02-05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7664B2 (ja) * 2002-12-12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携帯型情報処理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入力装置における圧電アクチュエータ駆動制御方法
JP4359757B2 (ja) * 2003-09-17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2005266890A (ja) * 2004-03-16 2005-09-29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pos端末装置
JP4394043B2 (ja) * 2005-07-21 2010-01-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US20080280657A1 (en) * 2007-05-09 2008-11-13 Nokia Corporation Seal and actuator assembly
US7999660B2 (en) * 2008-10-10 2011-08-16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with suspension interface for localized haptic respon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318A (ja) * 2004-12-08 2006-06-22 Sony Corp 圧電体支持構造、圧電体取付方法、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98882B2 (ja) 2012-03-21
KR20110015299A (ko) 2011-02-15
JP2011040027A (ja) 2011-02-24
US20110032091A1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936B1 (ko) 터치스크린 장치
US9436320B2 (en) Display device unit
KR101188007B1 (ko) 햅틱 피드백 액츄에이터,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전자장치
KR101084852B1 (ko) 터치스크린장치
CN102004571B (zh) 触摸屏装置
US20120056826A1 (en) Touch screen panel display
KR20110088565A (ko) 압전 햅틱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US20110050597A1 (en) Touch screen device
US20150102947A1 (en) Film-type haptic device, haptic feedback electronic device and haptic keyboard
KR101109226B1 (ko) 압전 액추에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20063344A (ko) 햅틱 구동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20110050596A1 (en) Touch screen device
KR101095128B1 (ko) 터치스크린 장치
JP6824666B2 (ja) 表示装置
US20110273405A1 (en) Touch screen device
KR101044216B1 (ko) 압전 액츄에이터 모듈
KR101044116B1 (ko) 햅틱 디바이스의 엑츄에이터 모듈
KR101109357B1 (ko) 액추에이터 모듈
KR20110075707A (ko)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
JP2012043362A (ja)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KR101084809B1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10002329A (ko) 터치 스크린 장치
JP5743598B2 (ja) 電子機器
KR202200809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025996B1 (ko) 개인휴대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