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32B1 -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32B1
KR101067832B1 KR1020100137719A KR20100137719A KR101067832B1 KR 101067832 B1 KR101067832 B1 KR 101067832B1 KR 1020100137719 A KR1020100137719 A KR 1020100137719A KR 20100137719 A KR20100137719 A KR 20100137719A KR 101067832 B1 KR101067832 B1 KR 10106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sleeper
pa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복
황광하
박광련
윤병현
김만철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니가 형성된 치차와셔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ㆍ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베이스판,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와;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 제2절개부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과; 상기 압력분산수단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과 압력분산수단의 제1절개부, 제2절개부 및 높이조절패드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Concrete Railroad rail fastener}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레일 하부의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 탄성클립을 수용할 수 있는 숄더부와,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고정되는 앵커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고정하도록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는 공지의 탄성클립을 사용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일을 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은 열차의 중량과 속도가 커짐에 비례하여 레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고 있다.
상기한 레일고정시스템은 레일과 침목 사이에 레일의 크기보다 넓은 지지판 부재를 침목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판 부재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부재에 고정클립 형태의 탄성 부재의 일측을 고정한 후,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이 레일 저부를 탄성 지지하여 침목에 레일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등록실용 20-0342448호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2) 상에 철도 레일(1)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레일 고정지지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2) 제작시 침목 내부로 매설 고정되는 스템부(10)와, 상기 스템부(10)와 일체로 주조형성되고, 침목 상부로 돌출하여 그에 레일고정용 스프링클립(3)이 체결되는 헤드부(2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스프링클립(3)의 체결을 위한 두 수직의 지지벽부(21)들을 대향 형성하되, 이들 두 지지벽부(21)들의 상단부 사이에 보강리브(22)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템부(10)는 반복적인 큰 하중 및 충격력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지닌 금속소재로 제작한 후, 콘크리트 침목의 성형시 스템부(10)가 침목 내부로 매립 고정되고, 이에 연결된 헤드부(20)가 레일의 고정 지지를 위해 침목 상부로 돌출되도록 침목에 결합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는 레일 상을 주행하는 열차로부터 레일에 부과되는 횡하중에 의한 횡응력이 스템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를 완충하는 별도의 부재가 없어서 클램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스템부(10)가 침목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레일의 위치변경시와 유지보수시에는 스템부(10)의 위치가 다른 침목으로 교체하거나 크기가 다른 절연블록을 재배치하여 레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는 시공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공개 10-2007-0042973호 레일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과 같은 지지부(34, 170, 230, 310, 348) 상에 레일저부(16, 236, 258)를 가지는 레일(10, 142, 222, 224, 252, 300, 302)을 고정하고, 상기 레일 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열된 리브형 판과 같은 부하 분산판(14, 144, 226, 228, 304)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부하 분산판을 지지하는 탄성 제1중간층(30, 136, 176, 250, 312) 및 필요하면 경질플라스틱과 같은 실질적 비탄성 재료로 구성되면서 상기 제1중간층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중간층(32, 196, 232)과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유지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요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탄성클립(22, 24, 234, 270, 272)이 연장되고, 상기 탄성클립은 복수의 다리부(38, 40, 42, 44, 46, 48, 50) 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저부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 자체를 지지하는 레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요소(26, 28, 106, 108, 254, 322)는 상기 부하 분산판(14, 144, 226, 228, 304)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체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부하 분산판과 단일체를 형성하며, 상기 부하 분산판은 상기 지지부(34, 170, 230, 310, 348)에 대하여 상기 유지요소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비부하 부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레일고정장치는 관통볼트(76, 94)를 풀어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레일 상을 주행하는 열차로부터 레일에 부과되는 횡하중에 의한 횡압력이 관통볼트(76, 94)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체결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일과 침목 사이에 배치된 리브형 판(14), 탄성중간층(30) 및 상기 탄성중간층(30)과 같은 판 부재들의 교체시, 관통볼트(76, 94)를 침목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야간작업시 상기 판부재들을 정확한 위치로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설치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탄성클립 수용체 내에 물고임이 발생하여, 침목 관통 볼트 내로 수분이 유입됨으로써, 콘크리트를 파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볼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베이스판,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레일을 고정하는 볼트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차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레일 하부의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 탄성클립을 수용할 수 있는 숄더부와,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고정되는 앵커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을 고정하도록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는 공지의 탄성클립을 사용한 레일고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분기기 내 포인트부, 리드부 및 레일이 교차하는 크로싱부에 레일과 콘크리트 도상에 지지하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철도레일이 안착되는 체결장치의 베이스판 하부에 탄성재질의 완충부재를 베이스판과의 접촉면적을 고려하고,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에 다양한 홀을 천공하여 베이스판과 접촉면적 및 레일을 지지하는 하중조건에 따라 탄성패드를 조정하여 레일의 균일 처짐을 발생시켜 철도차량의 운행시의 진동 및 소음, 하부 충격을 흡수하여 레일 침목과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주요기능 및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레일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을 침목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와; 상기 레일과 높이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 제2절개부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과; 상기 압력분산수단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과 압력분산수단의 제1절개부, 제2절개부 및 높이조절패드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을 상기 침목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톱니가 형성된 치차와셔로 분리형 레일 가압수단을 고정함으로써, 레일 가압수단의 좌ㆍ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의 횡하중에 대한 저항을 증대하여, 지지브라켓 하부에 돌출턱을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볼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베이스판, 탄성패드 및 레일패드 등과 같은 레일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철도레일이 안착되는 체결장치의 베이스판과 탄성재질의 완충부재를 베이스판과의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에 다양한 홀을 천공하여 베이스판과 접촉면적을 달리하여 레일을 지지하는 하중조건에 따라 탄성패드를 조정하여 레일의 균일 처짐을 발생시켜 철도차량의 운행시의 진동 및 소음, 하부 충격을 흡수하여 레일 침목과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주요기능 및 수명이 증대되며, 승차감 및 운행 안정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레일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크로싱 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힐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가드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리드부 힐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크로싱 전단부 힐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크로싱 후단부 힐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슬라이드 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슬라이드 롤러 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탄성패드에 적용된 면적에 따른 하중과 변위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탄성패드에 적용된 접촉면적 제어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탄성패드의 동일강성유도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 및 7b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가 크로싱 베이스판, 힐베이스판, 가드베이스판, 리드부 힐베이스판, 크로싱 전단부 힐베이스판, 크로싱 후단부 힐베이스판, 슬라이드 베이스판, 슬라이드 롤러 베이스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A)는 레일(100)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100)을 침목(600)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과 상기 침목(600)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200)와; 상기 레일(100)과 높이조절패드(200)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300)과;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6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400)과; 상기 가압수단(400)과 압력분산수단(300)의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6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패드(200)는 레일(100)의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양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고정수단 통과공(2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은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는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310a)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패드(310)와, 상기 탄성패드(3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321)의 양측으로 얇은 두께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위의 중앙에는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된 안착부(322)와 상기 안착부(322)에 일정한 깊이로 요입되는 요홈(323)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판(320)과, 상기 베이스판(3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판(320)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레일패드(3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은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로부터 탄성패드(310), 베이스판(320) 및 레일패드(330) 순으로 층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은 레일(100)에 가해지는 열차의 하중과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전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310)는 완충력을 갖는 수지재를 이용한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중앙에 통공이 있는 형상 또는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310)는 수지재로 제작되므로, 레일(100)이 받는 충격을 완충하여 레일(100)의 균열,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패드(310)는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패드(3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312)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양단 중앙 부위에는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31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패드(310)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수평면상으로 하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절곡부(3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310)는 그 양단부가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3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패드(310)는 EPDM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탄성패드(31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레일이 안착되는 베이스판(320) 하부에 탄성재질의 완충부재인 탄성패드(310)를 베이스판(320) 하부와 접촉면적제어법(천공)을 고려하여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310)에 제1절개부(310a), 홀(312), 절취부(314), 절곡부(316)를 형성하여 베이스판(320) 하부와의 접촉면적을 다르게 하여 레일을 지지하는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310)를 조정하여 레일의 균일 처짐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기기 전 구간에서 기준 이내의 변위가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310)는 사각형상의 탄성패드(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320) 하부와의 접촉면적제어법(천공)을 이용하여 하중조건에 따라 탄성패드(310)에 제1절개부(310a), 홀(312), 절취부(314), 절곡부(316)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패드(310)의 홀(312)을 통하여 베이스판(320) 하부와의 접촉면적을 달리하여 레일을 지지하는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310)를 조정하여 레일의 균일 처짐을 발생시켜, 탄성패드(310)의 탄성력을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패드(310)는 홀(312)을 통하여 베이스판(320) 하부와의 접촉면적(천공)을 달리하여 레일을 지지하는 하중조건에 따른 탄성패드(10)를 조정하여 레일의 균일 처짐을 발생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320)은 탄성패드(3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는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321)의 양측으로 얇은 두께로 연장된 안착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22)의 연장된 부위의 중앙에는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22)에 일정한 깊이로 요홈(3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321)는 열차운행시 레일(100)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 및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부(321)는 대향하는 양측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기 때문에 침목(100)에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을 경사면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횡방향 압력을 경사면으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베이스판(320)은 하부의 탄성패드(310)에 의하여 더 큰 압력분산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패드(330)는 상기 베이스판(3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단부가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베이스판(320)의 상부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400)은 관통공(41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베이스판(320)의 안착부(322)를 감싸며 안착되는 고정몸체(410)와,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100)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된 두 개의 지지부(420)와, 상기 고정몸체(410)의 저면에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430)와, 상기 지지부(420) 사이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부에서 레일(100)을 침목(6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수단(400)은 관통공(410a)이 중앙에 형성되고, 레일(100)과 접하는 일단을 제외한 외측단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320)의 안착부(322)를 감싸며 안착되는 고정몸체(4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 양측에는 레일(100)의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된 두 개의 지지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420) 사이의 공간부에는 레일(100)을 침목(6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410)는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410a)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레일(100)의 종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양측에는 관통공(410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410a)은 상부 단부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0a)의 내부 면으로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410)의 저면에 일정한 두께로 돌기부(43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지지부(420)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절곡된 반원부가 상기 레일(100)의 레일 저부(120)의 상부에 밀착되어 하부로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타측의 연장된 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각각 지지부(420) 내측에 안치 고정되는 클립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500)은 고정몸체(410)의 중앙 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통과하여 상기 침목(600)에 고정되는 볼트(510)와,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와셔(520)와, 상기 볼트(510)에 끼워져 상기 고정몸체(410)의 관통공(410a)에 삽입되는 치차와셔(5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510)는 관통공(410a)과 높이조절패드(200)의 고정수단 통과공(201)을 통해 침목(600)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몸체(410)의 중앙 및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와셔(520)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와셔(520)의 하부에 치차와셔(5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볼트(510)에 끼워져 관통공(410a)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410a)의 톱니(540)와 대응하는 톱니(540)가 양측에 형성된 치차와셔(5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410a)은 상측 단부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0a)의 내부면으로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관통공(410a)의 단턱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측 단부를 따라 걸림단(530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530a)의 외부면에는 톱니(5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볼트(510)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관통공(410a)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 부위에 수직 톱니(540)가 형성되고,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관통공(410a)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540)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에 톱니(5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410a) 및 치차와셔(530)의 톱니(5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100)의 종방향으로 수직선을 이루는 톱니(540)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일(100)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휨응력에 의해 고정수단(500)이 레일(100)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치차와셔(530)의 톱니(540)는 레일(100)에서 작용하는 횡하중 작용점을 낮아지게 하여 볼트(510)에 작용하는 휨응력을 감소시켜 고정수단(500)의 체결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500)을 구성하는 볼트(510), 디스크와셔(520), 치차와셔(530) 및 절연부쉬(550)의 적절한 위치에 그루브심(560)을 삽입하여, 체결장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A)는 톱니(540)가 형성된 치차와셔(530)로 가압수단(400)을 고정한 것으로서, 가압수단(400)의 좌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레일(100)의 횡하중 작용점을 낮춰 볼트(510)의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볼트(510)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베이스판(320), 탄성패드(310) 및 레일패드(330) 등과 같은 레일(200) 하부의 부재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레일 120: 레일 저부
200: 높이조절패드 201: 고정수단 통과공
300: 압력분산수단 310: 탄성패드
310a: 제1절개부 312: 홀
314: 절취부 316: 절곡부
320: 베이스판 321: 경사부
322: 안착부 322a: 제2절개부
323: 요홈 330: 레일패드
400: 가압수단 410: 고정몸체
410a: 관통공 412: 단턱
420: 지지부 430: 돌기부
440: 탄성부재 500: 고정수단
510: 볼트 520: 디스크와셔
530: 치차와셔 530a: 걸림단
540: 톱니 550: 절연부쉬
560: 그루브심 600: 침목
A: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Claims (12)

  1. 레일(100)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여 레일(100)을 침목(600)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100)과 상기 침목(600) 사이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패드(200)와; 상기 레일(100)과 높이조절패드(200)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된 압력분산수단(300)과;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의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6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가압수단(400)과; 상기 가압수단(400)과 압력분산수단(300)의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100)을 상기 침목(6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분산수단(300)은 높이조절패드(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단 중앙 부위에는 외부로 개방된 제1절개부(310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패드(310)와, 상기 탄성패드(3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레일(100)의 일측 횡방향으로 경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321)의 양측으로 얇은 두께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위의 중앙에는 제2절개부(322a)가 형성된 안착부(322)와 상기 안착부에 일정한 깊이로 요입되는 요홈(323)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판(320)과, 상기 베이스판(3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판(320)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레일패드(330)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수단(400)은 관통공(41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베이스판(320)의 안착부(322)를 감싸며 안착되는 고정몸체(410)와,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100)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돌출된 두 개의 지지부(420)와, 상기 고정몸체(410)의 저면에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430)와, 상기 지지부(420) 사이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부에서 레일(100)을 침목(6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500)은 고정몸체(410)의 중앙 또는 레일(100)의 종방향측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절개부(310a), 제2절개부(322a) 및 높이조절패드(200)를 통과하여 상기 침목(600)에 고정되는 볼트(510)와,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와셔(520)와, 상기 볼트(510)에 끼워져 상기 고정몸체(410)의 관통공(410a)에 삽입되는 치차와셔(530)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패드(310)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수평면상으로 하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절곡부(316)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패드(310)는 그 양단부가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3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10a)은 상측 단부를 따라 단턱(4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0a)의 내부면으로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관통공(410a)의 단턱(412)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측 단부를 따라 걸림단(530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530a)의 외부면에는 톱니(540)가 형성되며,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볼트(51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10a)에는 상기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 부위에 수직 톱니(540)가 형성되고, 상기 치차와셔(530)는 상기 관통공(410a)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540)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레일(100)의 종방향 양측에 톱니(540)가 형성되며, 상기 치차와셔(530)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고정몸체(410)에 삽입되는 절연부쉬(5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12. 삭제
KR1020100137719A 2010-12-29 2010-12-29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10106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19A KR101067832B1 (ko) 2010-12-29 2010-12-29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19A KR101067832B1 (ko) 2010-12-29 2010-12-29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832B1 true KR101067832B1 (ko) 2011-09-27

Family

ID=4495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719A KR101067832B1 (ko) 2010-12-29 2010-12-29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49B1 (ko) * 2016-09-09 2017-03-29 (주)엘더스티앤엘 철도차량의 고속주행을 고려한 자갈도상궤도용 고탄성레일체결장치
KR20170109360A (ko) * 2016-03-21 2017-09-29 (주)엘더스티앤엘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CN111139693A (zh) * 2020-01-16 2020-05-12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重载铁路轨道振动防松扣件组件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05U (ko) * 1975-08-20 1977-03-17
KR101005106B1 (ko) * 2008-07-25 2010-12-3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레일고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05U (ko) * 1975-08-20 1977-03-17
KR101005106B1 (ko) * 2008-07-25 2010-12-3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레일고정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360A (ko) * 2016-03-21 2017-09-29 (주)엘더스티앤엘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KR101884361B1 (ko) * 2016-03-21 2018-08-02 (주)엘더스티앤엘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용 잭
KR101721049B1 (ko) * 2016-09-09 2017-03-29 (주)엘더스티앤엘 철도차량의 고속주행을 고려한 자갈도상궤도용 고탄성레일체결장치
CN111139693A (zh) * 2020-01-16 2020-05-12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重载铁路轨道振动防松扣件组件及其安装方法
CN111139693B (zh) * 2020-01-16 2024-05-10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重载铁路轨道振动防松扣件组件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66790B2 (en) Rail-fastening system
JP5686478B2 (ja) 線路のまくら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JP6733017B2 (ja) レール締結システム
KR101067832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101010063B1 (ko) 레일고정구조
KR101140389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US4275832A (en) Resilient support means
KR200473880Y1 (ko) 레일체결장치
JP6441706B2 (ja) まくら木の固定構造
KR101005106B1 (ko) 레일고정시스템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US20170306567A1 (en) Rail-mounting assembly
KR100626882B1 (ko) 하중을 직접 도상으로 전달하는 패드를 구비한 철도 레일방진체결장치
KR100942793B1 (ko) 위치고정장치가 설치된 철도궤도단침목
KR101774384B1 (ko) 부시형조절톱니와셔가 구비된 철도레일의 방진 체결장치
US11248349B2 (en)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US20190284765A1 (en) Tension Clamp, Guide Plate and Fastening Point for Securing a Rail to a Ground Surface
KR20110080820A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KR101338375B1 (ko) 궤도 일체형 교량
KR101094876B1 (ko) 레일용 절연패드의 이탈방지 장치
KR20020033337A (ko) 철도 궤도장치
KR20140000516U (ko) 교량에서의 상향력 제어를 위한 레일체결장치
ES2433993T3 (es) Punto de apoyo de carril eléctricamente aislante y altamente elástico
KR101219391B1 (ko) 레일 방진 구조
KR200479970Y1 (ko) 이중완충기능이 가능한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용 레일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