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630B1 -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630B1
KR101063630B1 KR1020100120690A KR20100120690A KR101063630B1 KR 101063630 B1 KR101063630 B1 KR 101063630B1 KR 1020100120690 A KR1020100120690 A KR 1020100120690A KR 20100120690 A KR20100120690 A KR 20100120690A KR 101063630 B1 KR101063630 B1 KR 10106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frame body
sha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환
최기철
김신
김동회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일산금속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일산금속,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12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2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nging at a distance below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와 제1프레임 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와 제1프레임 몸체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고정부의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로 구성되되, 연결재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중앙 수평면을 제1프레임부재의 제1이동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The ceiling closing equipment using a ceiling panel and a fram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체에 의해 천장패널의 설치 높이 및 수평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에 천장패널을 끼움 설치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구축한 후에는 실내의 천장을 그대로 둘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패널로 마감하거나, 패널의 표면에 벽지 붙여 마감하였다. 천장을 패널로 마감하기 위해서는 먼저 천장에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런 고정구조물은 종래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어 왔다.
종래 기술의 고정구조물은 천장슬라브에 매입되는 너트에 볼트를 이용하여 하향 돌출되는 행거를 연결하고, 행거에는 어퍼채널을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연결한다. 어퍼채널의 하방에는 로어채널을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어퍼채널과는 직각방향이 되도록 연접시켜 연결하고, 로어채널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어퍼채널과 결합시켜 연결한다. 로어채널에는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상의 판재와 같은 패널을 고정하여 마감하여 구성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행거에 연결되는 어퍼채널이 측면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강성이 취약하게 되는 데 이는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어퍼채널의 하방에 연결되는 로어채널 및 패널에까지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내구성을 취약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조립작업이 복잡하여 설치가 쉽지 않다.
또한, 한번 볼트가 설치된 후 위치가 결정되면 위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패널에 직접 볼팅을 하여 결합시킴으로 인해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홈이 있는 프레임과 벽체패널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사용하여 벽체 패널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프레임과 벽체패널을 끼우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고정부를 사용하여 벽체패널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천장를 마감할 수 있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와 제1프레임 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와 제1프레임 몸체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고정부의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로 구성되되, 연결재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중앙 수평면을 제1트레임부재의 제1이동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홈이 있는 프레임에 의해 천장패널의 설치 위치를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어 천장패널의 시공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크기의 천장패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프레임에 패널을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를 사용함으로 인해 패널 손상이 적고, 단순 끼움 결합으로 인한 시공이 간편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경제적이다.
셋째, 본 발명은 천장패널 조립시 패널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장공이 있어 천장패널의 조립이 용이하다.
넷째, 본 발명은 천장패널의 모듈에 따라 각 부재단위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국부적인 유지보수 작업에도 매우 유용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관통공이 나와있는 상세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정면도이고, 도4는 도1의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와 제1프레임 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와 제1프레임 몸체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고정부의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로 구성되되, 연결재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중앙 수평면을 제1프레임부재의 제1이동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프레임 몸체(110)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수단은 설치되는 천장의 구조에 따라 시공 시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제1프레임몸체(1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1프레임 몸체(110)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제1보강부재(140)가 구비되어 제1중공부(120)를 구획하며, 제1보강부재(140)는 중량의 석재 패널, 또는 금속 패널과 같은 천장패널(600)이 설치될 경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부여하여 제1프레임 몸체(110)를 보강,지지하게 된다. 제1보강부재(140)는 제1중공부(120) 내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제1프레임 몸체(110)의 변형을 방지한다. 제1프레임 몸체(110)의 외측면 중 어느 한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볼트의 머리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이동홈(130)이 구비된다.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제1프레임 몸체(110) 외측면에는 제1이동홈(130)이 제1프레임몸체(110)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홈(130)에는 제1걸림부재(150)가 구비되어 있어 제1이동홈(130)에 결합되는 볼트의 머리부가 걸리어 이탈되지 않는다. 제1걸림부재(150)는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볼트의 체결 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걸림부재(150)는 제1이동홈(130) 내부로 삽입된 볼트(미도시)와 너트(미도시)의 체결로 볼트의 머리부와 너트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진 부분이 평탄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력에 의해 펴져있는 부분이 다시 휘어지려고 하는 힘인 복원력이 볼트와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제1걸림부재(150)의 내측에는 볼트 머리 제1걸림홈(150a)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 볼트의 머리부에 볼트 머리 제1걸림홈(150a)에 걸리는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체결된 볼트가 외부의 충격 또는 설치된 천장패널의 하중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이동홈(130) 내로 결합된 볼트는 머리부의 돌기부가 머리 제1걸림홈(150a)에 걸려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설치된 천장패널(600)의 하중에 의해 볼트가 일부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체결력 저하가 방지되어 더욱 견고히 천장패널(600)을 설치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이 있는 면 일측에 제1프레임부재(100) 길이 방향으로 생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관통공(160)은 제1이동홈(130) 내부로 전선이 지나가다가 전선이 나오는 통로가 된다. 제1관통공(160)이 존재함으로 인해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없습니다. 따라서 전선은 바로 제1이동홈(130) 내부에 설치하면 됨으로 천장을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부재(100)는 경량의 재료로 제조되고 중량의 석재 패널 또는 금속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제1프레임 부재(100)는 강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무게가 가볍고, 원가가 싼 장점이 있음은 물론 가공이 용이하고,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저온, 고온에서도 강성의 변화가 없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사용 중 외부 환경에 의한 변형 및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400)는 제1고정부재(410) 및 제2고정부재(4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고정부재(410)는 사각형의 판형부재가 직각으로 두번 가공되어 'ㄷ'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제2고정부재(420)는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제2고정부재(420)의 'ㄱ'단면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400)는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결합되는데 상세하게는 제1고정부재(410)가 설계상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제1이동홈(130)에 결합된다. 제2고정부재(420)는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제2고정부재(420)의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제2고정부재(420)가 결합되고 난 다음에 제1고정부재(410)의 타측면에도 같은 방법 제2고정부재(420)가 결합된다. 즉 제2고정부재(420)는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일측면에 결합되고 또 다른 제2고정부재(420)는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타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에 결합된 'ㄱ'형상의 제2고정부재(420)들은 서로 수직부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고정부(400)는 경량의 금속으로 제조되고 중량의 석재 패널 또는 금속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고정부(400)는 강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재(500)는 부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재면 모두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볼트/너트가 사용된다.
천장패널(600)은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4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천장패널(500)은 모서리 부분이 고정부(400)에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천장패널(500)의 한쪽 모서리가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20)에 결합되고 반대쪽 모서리는 상기 고정부(400)와 천장패널(600) 길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타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2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천장패널은 고정부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천장패널은 모서리 부분이 끼움 결합이 편하도록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다. 물론 모서리부분의 절단 모양이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둥근, 세모 모양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정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관통공이 나와있는 상세도이다.
본원발명은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와 제1프레임 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와 제1프레임 몸체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 몸체와 제2프레임 몸체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2프레임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보강부재와 제2프레임 몸체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2이동홈과 복수개의 제2이동홈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재,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되 양측면 및 중앙면 일측에는 연결공이 생성되어 있고, 제1프레임부재와 제2프레임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양측면은 제1프레임부재의 양측면에 있는 제1이동홈에 연결재가 사용되어 결합되고, 중앙면은 제2프레임부재의 밑면에 있는 제2이동홈에 연결재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연결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및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고정부의 걸림턱에 끼움 결합되는 천장패널로 구성되되, 연결재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의 중앙 수평면을 제1프레임부재 밑면에 있는 제1이동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윗에서 설명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와 설치방법의 일부부재는 동일하여 그에 관한 설명은 상기 윗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본다. 이하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프레임 몸체(210)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수단은 설치되는 천장의 구조에 따라 시공 시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제2프레임 몸체(2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2프레임 몸체(210)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제2보강부재(240)가 구비되어 제2중공부(220)를 구획하며, 제2보강부재(240)는 중량의 석재 패널, 또는 금속 패널과 같은 천장패널(600)이 설치될 경우 제2프레임 몸체(2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부여하여 제2프레임 몸체(210)를 보강,지지하게 된다. 제2보강부재(240)는 제2중공부(220) 내에서 복수로 구비되어 제2프레임 몸체(210)의 변형을 방지한다. 제2프레임 몸체(210)의 외측면 중 어느 한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볼트의 머리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이동홈(230)이 구비된다.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제2프레임 몸체(210) 외측면에는 제2이동홈(230)이 제2프레임몸체(210)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홈(230)에는 제2걸림부재(250)가 구비되어 있어 제2이동홈(230)에 결합되는 볼트의 머리부가 걸리어 이탈되지 않는다. 제2걸림부재(250)는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볼트의 체결 시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걸림부재(250)는 제2이동홈(230) 내부로 삽입된 볼트(미도시)와 너트(미도시)의 체결로 볼트의 머리부와 너트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진 부분이 평탄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력에 의해 펴져있는 부분이 다시 휘어지려고 하는 힘인 복원력이 볼트와 너트의 이완을 방지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제1걸림부재(150)의 내측에는 볼트 머리 제2걸림홈(250a)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 볼트의 머리부에 볼트 머리 제2걸림홈(250a)에 걸리는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체결된 볼트가 외부의 충격 또는 설치된 천장패널의 하중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이동홈(230) 내로 결합된 볼트는 머리부의 돌기부가 머리 제2걸림홈(250a)에 걸려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설치된 천장패널(600)의 하중에 의해 볼트가 일부 회전되면서 발생하는 체결력 저하가 방지되어 더욱 견고히 천장패널(60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프레임부재(200)는 경량의 재료로 제조되고 중량의 석재 패널 또는 금속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이 있어야 한다. 제2프레임 부재(200)는 강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무게가 가볍고, 원가가 싼 장점이 있음은 물론 가공이 용이하고,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저온, 고온에서도 강성의 변화가 없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사용 중 외부 환경에 의한 변형 및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1프레임부재(100)는 제2프레임부재(200) 밑에 제2프레임부재(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형상은 상기 위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한다.
연결부(300)는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되 양측면 및 중앙면 일측에는 연결공(310)이 생성되어 있다. 제1프레임부재와 제2프레임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연결부(300)의 양측면은 제1프레임부재(100)의 양측면에 있는 제1이동홈(130)에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고, 중앙면은 제2프레임부재(200)의 밑면에 있는 제2이동홈(230)에 연결재가 사용되어 결합된다.
본원 발명은 제2프레임부재(200)의 제2이동홈(230)이 있는 면 일측에 제2프레임부재(200) 길이 방향으로 생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2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관통공(260)은 제2이동홈(230) 내부로 전선이 지나가다가 전선이 나오는 통로가 된다. 제2관통공(260)이 존재함으로 인해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없습니다. 따라서 전선은 바로 제2이동홈(230) 내부에 설치하면 됨으로 천장을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인 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설치방법은 (a)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몸체(110)와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제1프레임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100)를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 (b)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를 설계상의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재(500)를 사용하여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단계, (c) (a),(b)단계를 천장 넓이에 맞게 반복해서 설치하는 단계, (d)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부(400)들의 걸림턱(421)에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와 설치방법의 일부부재가 동일하여 그에 관한 설명은 상기 위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본다. 이하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b)단계에서 제2고정부재는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일측면에 결합되고 또 다른 제2고정부재(420)는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타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에 결합된 'ㄱ'형상의 제2고정부재(420)들은 서로 수직부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d)단계에서는 천장패널이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천장패널(500)의 한쪽 모서리가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20)에 결합되고 반대쪽 모서리는 상기 고정부(400)와 천장패널(600) 길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재(410) 타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2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천장패널은 고정부에 끼움 결합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설치방법은 (a)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몸체(210)와 제2프레임몸체(2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2프레임몸체(2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보강부재(240), 제2프레임몸체(2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과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250)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부재(200)를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 (b)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되 양측면 및 중앙면 일측에는 연결공(310)이 생성되어 있는 연결부(300)가 제2프레임부재(200)의 밑면에 있는 제2이동홈(230)에 연결되도록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단계, (c)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몸체(110)와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제1프레임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100)를 연결부(300)에 연결하되, 제1프레임부재(100)와 제2프레임부재(20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연결부(300)의 양측면이 제1프레임부재(100)의 양측면에 있는 제1이동홈(130)에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단계, (d)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를 설계상의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재(500)를 사용하여 'ㄷ'형상의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단계, (e) (a) 내지 (d)단계를 천장 넓이에 맞게 반복해서 설치하는 단계, (f)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부(400)들의 걸림턱(421)에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마감 장치와 설치방법의 일부부재가 동일하여 그에 관한 설명은 상기 위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본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벽체 100 : 제1프레임부재
110 : 제1프레임몸체 120 : 제1중공부
130 : 제1이동홈 140 : 제1보강부재
150 : 제1걸림부재 160 : 제1관통공
200 : 제2프레임부재
210 : 제2프레임몸체 220 : 제2중공부
230 : 제2이동홈 240 : 제2보강부재
250 : 제2걸림부재 260 : 제2관통공
300 : 연결부
400 : 고정부 410 : 제1고정부재
420 : 제2고정부재 421 : 걸림턱
422 : 수직부재 500 : 연결재
600 : 천장패널

Claims (8)

  1.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110)와,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상기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100);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상기 고정부(400)의 상기 걸림턱(421)에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600)로 구성되되,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상기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상기 제1이동홈(130)이 있는 면 일측에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 길이 방향으로 생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160)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는 각각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4.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몸체(110)와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상기 제1프레임 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상기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100);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 몸체(210)와 상기 제2프레임 몸체(2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2프레임 몸체(2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보강부재(240)와 상기 제2프레임 몸체(2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과 상기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250)로 구성되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재(200);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되 양측면 및 중앙면 일측에는 연결공(310)이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양측면은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양측면에 있는 상기 제1이동홈(130)에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고, 상기 중앙면은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의 밑면에 있는 상기 제2이동홈(230)에 상기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300);
    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
    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되 모서리가 상기 고정부(400)의 상기 걸림턱(421)에 끼움 결합되는 천장패널(60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 밑면에 있는 상기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의 상기 제2이동홈(230)이 있는 면 일측에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 길이 방향으로 생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260)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는 각각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7. (a)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몸체(110)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상기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100)를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
    (b)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를 설계상의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재(500)를 사용하여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단계;
    (c)상기 (a),(b)단계를 천장 넓이에 맞게 반복해서 설치하는 단계;
    (d)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상기 제1이동홈(130)에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고정부(400)들의 상기 걸림턱(421)에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설치방법.
  8. (a)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몸체(210)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2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2프레임몸체(2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보강부재(240)와, 상기 제2프레임몸체(2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과 상기 복수개의 제2이동홈(2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250)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부재(200)를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
    (b)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되 양측면 및 중앙면 일측에는 연결공(310)이 생성되어 있는 연결부(300)가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의 밑면에 있는 제2이동홈(230)에 연결되도록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단계;
    (c)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몸체(110)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측면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보강부재(140)와, 상기 제1프레임몸체(110)의 복수개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형성된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과 상기 복수개의 제1이동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150)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부재(100)를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하되,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와 상기 제2프레임부재(20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부(300)의 양측면이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양측면에 있는 상기 제1이동홈(130)에 상기 연결재(500)가 사용되어 결합되는 단계;
    (d)사각형상의 판을 2번 절곡하여 'ㄷ'단면의 형상을 가진 제1고정부재(410)와 사각형상의 판을 수직으로 1번 절곡하여 'ㄱ'단면의 형상으로 하되 수직부분의 하부 끝에 걸림턱(421)이 결합되어 있고, 'ㄱ'단면의 수평부분 윗면 일측에 수직부재(422)의 하부가 직각으로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재(422)가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일측면에 연결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를 설계상의 위치에 맞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재(500)를 사용하여 'ㄷ'형상의 상기 제1고정부재(410)의 중앙 수평면을 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상기 제1이동홈(130)에 결합시키는 단계;
    (e)상기 (a) 내지 (d)단계를 천장 넓이에 맞게 반복해서 설치하는 단계;
    (f)상기 제1프레임부재(100)의 상기 제1이동홈(130)에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고정부(400)들의 상기 걸림턱(421)에 천장패널(600)의 모서리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설치방법.
KR1020100120690A 2010-11-30 2010-11-30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KR101063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90A KR101063630B1 (ko) 2010-11-30 2010-11-30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90A KR101063630B1 (ko) 2010-11-30 2010-11-30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630B1 true KR101063630B1 (ko) 2011-09-07

Family

ID=4495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90A KR101063630B1 (ko) 2010-11-30 2010-11-30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795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조은데코 다각형 패널 고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795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조은데코 다각형 패널 고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JP5794868B2 (ja) 天井下地構造
JP6412664B2 (ja) 天井下地構造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101234673B1 (ko)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KR101360371B1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1712848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JP6145380B2 (ja) 天井構造
KR101242833B1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6340222B2 (ja)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KR101068472B1 (ko) 벽체용 패널 이음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5405931B2 (ja) 形状保持部材付き天井野縁、天井野縁ユニット及び天井面の構造
JP5430483B2 (ja) 連結金具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101685946B1 (ko) 건축용 패널의 고정구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JP4155948B2 (ja) 建築物の改修構造
JP4691202B1 (ja) 建物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