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112B1 -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112B1
KR101057112B1 KR1020090039540A KR20090039540A KR101057112B1 KR 101057112 B1 KR101057112 B1 KR 101057112B1 KR 1020090039540 A KR1020090039540 A KR 1020090039540A KR 20090039540 A KR20090039540 A KR 20090039540A KR 101057112 B1 KR101057112 B1 KR 10105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operating lever
fram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42A (ko
Inventor
권필목
Original Assignee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1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with master and pass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컴퓨터부에서 RF, 바코드, MSR, 지문인식,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락커 배정 및 찾기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현금은 물론이고 각종 전자결제(신용카드, 교통카드, 휴대폰결제, 로컬전자화폐 등)를 지원하는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함 착탈과 비상 해제를 겸할 수 있는 마스터키뭉치가 장착된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locker}
본 발명은 중앙 컴퓨터부에서 RF, 바코드, MSR, 지문인식,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락커 배정 및 찾기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현금은 물론이고 각종 전자결제(신용카드, 교통카드, 휴대폰결제, 로컬전자화폐 등)를 지원하는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함 착탈과 비상 해제를 겸할 수 있는 마스터키뭉치가 장착된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락커라고 불리는 물품 보관함은 이동 중에 휴대하고 있는 물품을 잠시 맡겨 둘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비로서, 도심의 철도역 구내, 지하철역 구내, 혹은 백화점이나 대형 슈퍼마켓의 출입구 부근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보관함의 사용 방식은 대개 이용자가 비어있는 물품 보관함에 휴대 물품을 넣고 도어를 닫은 다음 소정 액수의 주화를 투입하면 열쇠로 문을 잠글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용자는 단지 열쇠만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 열쇠로 도어를 열고 보관해 두었던 물품을 다시 찾아가게 하고 있다.
이처럼 열쇠를 이용하는 방식은 이용자에게 열쇠 분실에 대한 부담을 안겨줄 수 있고, 이용자의 열쇠 분실로 인한 애로점을 해결하도록 마스터키의 관리자를 상주시키게 하여 물품 보관함의 운영비용을 상승시키며, 도어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어 도어의 강제적 개방을 도와주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방식의 물품 보관함이 제안된 바 있다.
이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물품 보관함은, 이용자가 콘솔박스에 마련된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사용 의사를 밝히면, 중앙처리장치가 현재 비어있는 보관함의 번호를 나열 표시하게 되고, 이용자가 나열된 번호 중의 하나를 고르고 비밀번호의 설정이 종료되면, 사용 요금을 징수하고 선택된 물품 보관함의 도어를 열어서 이용자가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용자가 물품을 보관하고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잠겨져서 물품의 보관이 시작되고, 회수 시에는 콘솔박스에서 회수의사를 밝히고 자신이 사용한 물품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가 열리게 된다.
결국, 이 물품 보관함은 이용자가 콘솔박스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로 현재 물품 보관함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근거하여 비어있는 물품 보관함의 번호 또는 위치를 나열 표시하기 때문에 중앙제어장치의 제어 로직을 복잡하게 하고, 또한 도어의 실제 개폐 상태에 의한 신호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므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한 에러 발생 시 중앙제어장치가 이용자의 요구와 다른 제어를 하여 보관 물품의 분실로 인하여 이용자를 난처하게 할 수 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록킹훅(7)이 보관함(1)의 전방에서 출입케 하는 훅출납공(11)을 구비한 프레임(3); 록킹힌지축(13)에 토션스프링(17)을 개재한 장착부(15a)와, 장착부(15a)의 록킹힌지축(13) 대향 편심측에 록킹훅(7)이 걸리는 훅걸림편(15b)과, 훅걸림편(15b)과 평행한 상태로 장착부(15a)에서 신장 형성된 록킹부걸림편(15c)과, 록킹부걸림편(15c)의 반대측에 신장 형성된 감지편(15d)이 형성되는 록킹부(15); 록킹부(15)의 감지편(15d) 선단이 록킹힌지축(1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중앙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센서(19); 감지센서(19)의 신호를 근거로 록킹부(1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록킹힌지축(1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록킹부걸림편(15c) 선단의 선회 범위 내에 록킹부걸림핀(23)을 구비하고 제2힌지축(25)으로 프레임(3)에 장착되어 있는 제2조작레버(21); 제2조작레버(21)의 록킹부걸림핀(23) 반대측에 작동레버(27)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2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은 보관함(1)의 내측에서 자물쇠의 외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보관함(1)의 내면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그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를 대향측 보관함(1)의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고, 그 상단에 구비된 고정부재(10)를 마스터키로 선회 조작하여 대향측 보관함(1)에 고정시킴으로써, 보관함(1)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10)는 자물쇠를 보관함(1)에서 착탈시키는 구성이기 때문 에,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수동으로 록킹부(15)를 해제할 수 없다.
이러한 비상시에 록킹부(15)의 해제를 위해, 걸림부재(21)에 와이어 등을 걸고, 보관함의 상단 또는 하단에 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레버를 두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와이어를 걸림부재에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많은 작업과, 레버 설치 공간이 필요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여러 개의 보관함 중에 하나만 열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개수 또는 위치 등을 세팅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 등의 발생시 A/S할 때 조립 분해 등을 일반 사용자가 하기 어려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원활한 A/S를 위해서는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또한, 자물쇠에는 보관함에 착탈시키는 착탈부재와 비상 록킹을 위한 와이어를 각각 두어야 하기 때문에 락커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보관함에 고정하는 고정키의 기능을 하면서 비상시에는 비상키 기능도 겸할 수 있는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보관함 전자식 장금장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함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도어의 록킹훅이 걸리는 훅걸림편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를 해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록킹부가 해제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록킹부걸림핀을 가지는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부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함체에 고정과 분리시키는 마스터키뭉치; 상기 마스터키뭉치와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비상시 상기 마스터키뭉치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부를 해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전 등의 비상시에 관리자나 사용자가 마스터키로 마스터키뭉치를 열면 록킹을 간단히 해제할 수 있어, 하나의 마스터키뭉치로 보관함의 고정과 비상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상시 상기 마스터키뭉치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록킹부를 해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전 등의 비상시에 관리자나 사용자가 마스터키로 마스터키뭉치를 열면 록킹을 간단히 해제할 수 있어, 하나의 마스터키뭉치로 보관함의 고정과 비상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가 해제 및 록킹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는 보관함(1)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공(2)에 프레임(30)이 장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보관함(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다수 개가 적층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방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도어(5)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도어(5)의 일측에는 록킹훅(7)이 구비되어 잠금장치에 걸리어 도어(5)를 록킹하거나 해제시켜 준다.
프레임(30)은 보관함(1)의 내측에서 잠금장치의 외곽을 형성하면서 주요 구성이 장착되는 브라켓으로서, 장착공(2)에 배치되는 전면프레임(31)과, 전면프레임(31)에서 절곡된 측면프레임(33)과, 이 측면프레임(33)에서 절곡된 배면프레임(35)으로 구성하여 있다.
전면프레임(31)에는 훅(7)이 출납되는 출납공(11)이 형성되고, 후술된 마스터키뭉치(100)가 장착되는 장착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키뭉치(100)는 장착공(2)에 장착되어, 마스터키로 조작하면 착탈레버(101)가 보관함(1)에 걸리거나 해제됨으로써, 전자식 잠금장치 전체가 보관함(1)에 고정되거나 분리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식 잠금장치 전체의 수리나 교체가 편리하다.
측면프레임(33)에는 록킹힌지핀(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록킹부(15)가 설치된다.
록킹부(15)는 록킹힌지핀(13)이 지지되는 장착편(15a)과, 장착편(15a)에서 연장 형성된 훅걸림편(15b)과 록킹부걸림편(15c)으로 구성하여 있다.
록킹부걸림편(15c)에는 록킹걸림턱(15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록킹부(15)가 해제방향으로 탄성력을 가 하도록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7)은 록킹힌지핀(13)에 감긴 채, 일단은 전면프레임(31)에 타단은 록킹부걸림편(15c)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록킹훅(7)이 훅출납공(11)을 통해 들어오면, 토션스프링(17)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록킹부걸림편(15c)을 밀고, 이로 인해 훅걸림편(15b)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걸리게 된다.
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즉 토션스프링(17)이 해제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록킹걸림턱(15c')이 조작레버(20)의 록킹부걸림핀(23)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록킹부(15)에는 감지센서(19)를 감지하는 감지편(15d)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센서(19)는 록킹힌지축(1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감지편(15d)의 선회 경로 상에 설치되고,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PCB(4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19)는 록킹부(15)의 작동에 따른 감지편(15d)의 위치에 따라 잠금장치가 록킹되거나 해제된 상태라는 것을 감지하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지센서(19)는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로직을 단순화시켜 준다.
감지센서(19)는 기계적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측면프레임(33)에 설치된 장착브라켓(19a)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측면프레임(33)에는 조작레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20)는 제1조작레버(21a)와 제2조작레버(21)로 구성되어 있다.
PCB(40)는 배면프레임(35)에 장착되어 있다.
제1조작레버(21a)의 선단은 제1힌지축(21b)에 의해 측면프레임(33)에 지지되고, 제1조작레버(21a)의 타단은 제2조작레버(21)의 선단과 록킹부걸림핀(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조작레버(21)의 타단에는 솔레노이드부재(26)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작동레버(27)가 힌지축(27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조작레버(21)의 선단과 타단 사이에는 제2힌지축(25)에 의해 측면프레임(3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조작레버(21a)의 타단 또는 제2조작레버(21)의 선단에는 전후방향의 장공(23a)이 형성되어, 제1조작레버(21a)와 제2조작레버(21)는 제1힌지축(21b)과 제2힌지축(25)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부재(26)는 PCB(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솔레노이드(29), 이 솔레노이드(29)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는 플런저(29a), 제2조작레버(21)의 타단과 플런저(29a)를 연결하는 작동레버(27)로 구성하여 있다.
제2조작레버(21)의 타단과 작동레버(27)는 힌지축(27a)에 의해 연결되고, 플런저(29a)와 승강레버(27)는 힌지축(27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27b)과 솔레노이드(29) 사이의 플런저(29a)에는 리턴스프링(28)이 개재되어 있다.
측면프레임(33)에는 조작레버(27)의 위쪽 선회를 제한하는 레버스토퍼(33a) 와, 록킹부(15)의 록킹방향으로의 선회를 제한하는 록킹부스토퍼(3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터키뭉치(100)와 조작레버(20)는 연결부(1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착탈레버(101)의 회전판(103)에 형성된 고리(105)와 제1조작레버(21a)에 고정된 핀(122)에 걸려 있는 스프링이다.
따라서, 비상시 마스터키뭉치(100)에 마스터키를 꼽고 약간만 회전시키면, 제1조작레버(21a)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수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터키를 더 돌리면, 착탈레버(101)가 보관함체(1)에서 해제시켜 잠금장치 전체를 이탈시켜 A/S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락커용 잠금장치의 록킹 및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자물쇠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록킹훅(7)이 록킹부(15)의 훅걸림편(15b)에 작용력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록킹부(15)는 토션스프링(17)의 선회 탄성력에 의하여 선회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때 록킹부(15)의 감지편(15d)은 감지센서(19)에서 이탈되어 있으므로 감지센서(19)는 록킹부(15)가 록킹훅(7)을 해제하고 있다는 신호를 PCB(4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인가시킨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는 락커 전체에서 비어 있는 보관함(1)의 번호를 콘솔 박스에 표시하고, 이를 보고 이용자의 사용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가 나열하는 보관함(1)의 번호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콘솔박스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이용자가 조작하는 것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록키훅(7)과 록킹부(15)의 상호 해제 상태를 감지센서(19)로 직접 감지하므로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로직을 단순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제어 에러의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도 3의 해제 상태에서 이용자가 보관함(1)에 물품을 넣고 도어(5)를 닫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에 구비된 록킹훅(7)은 토션스프링(17)의 탄성 저항력을 극복하면서 록킹부(15)의 훅걸림편(15b)에 선회력을 가한다.
이 록킹부(15)의 훅걸림편(15b)가 뒤로 밀리면서 이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부걸림편(15c)이 록킹부걸림핀(23)을 밀게 되고, 일정 범위 선회 후 록킹훅(7)이 록킹부(15)의 훅걸림편(15b)을 더 이상 밀지 못하게 된다.
이때 제1조작레버(21a)는 제1힌지축(21b)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되고, 이로 인해 록킹부걸림핀(23)이 장공(23a)에 연결된 제2조작레버(21)는 제2힌지축(25)을 중심으로 위로 선회된다.
록킹훅(7)이 훅걸림편(15b)을 더 이상 밀지 못하게 되면, 록킹부걸림편(15c)은 토션스프링(17)의 탄성 저항력에 의하여 록킹부걸림핀(23)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록킹훅(7)은 훅걸림편(15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5)는 보관함(1)의 전방을 차단하게 되어 이용자의 물품은 안전하게 보관된다.
이때 록킹부(15)의 감지편(15d)은 감지센서(19) 내에 위치하게 되고, 감지센서(19)는 이 상태를 감지하여 PCB(4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에 그 신호를 인가시킨다. 중앙처리장치는 록킹훅(7)과 록킹부(15)의 상호 잠금 상태를 감지센서(19)로 직접 감지하게 된다.
이용자가 보관중인 물품을 찾고자 하여 콘솔박스를 조작하면 중앙처리장치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된 보관함(1)의 솔레노이드(29)를 작동시킨다.
이 솔레노이드(29)의 작동으로 작동레버(27)로 연결된 제2조작레버(21)가 제2힌지축(25)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선회하게 된다. 제2조작레버(21)에 구비된 록킹부걸림핀(23)은 록킹부(15)의 록킹부걸림편(15c)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7)의 선회 탄성력을 받고 있던 록킹부(15)는 록킹 때와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훅걸림편(15b)에 걸려 있던 록킹훅(7)을 보관함(1) 밖으로 밀어내어 도어(5)를 자동으로 개방시킨다.
이처럼 도어(5)가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도어(5) 개방을 위한 손잡이를 불필요하게 하여 도어(5)의 강제적인 개방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29)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마스터키로 마스터키뭉치(100)를 돌리면, 연결부(120)에 의해 제1조작레버(21a)를 위쪽으로 선회시켜 수동으로 도어(5)를 개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보관 용도의 잠금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자식 잠금장치가 적용된 락커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가 해제 및 록킹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관함 2 : 장착공
3 : 프레임 5 : 도어
7 : 록킹훅 11 : 훅출납공
13 : 록킹힌지축 15 : 록킹부
15a : 장착편 15b : 훅걸림편
15c : 록킹부걸림편 15c' : 록킹걸림턱
15d : 감지편 17 : 토션스프링(비틀림코일스프링)
19 : 감지센서 19a : 장착브라켓
20 : 조작레버 21a : 제1조작레버
21 : 제2조작레버 21b : 제1힌지축
23 : 록킹부걸림핀 23a : 장공
25 : 제2힌지축 26 : 솔레노이드부재
27 : 작동레버 27a,27b : 힌지축
28 : 리턴스프링 29 : 솔레노이드
29a : 플런저 30 : 프레임
31 : 전면프레임 32 : 장착공
33 : 측면프레임 33a : 레버스토퍼
33b : 록킹부스토퍼 35 : 배면프레임
40 : PCB 100 : 마스터키뭉치
101 : 착탈레버 103 : 회전판
105 : 고리 120 : 연결부(리턴스프링)
122 : 핀

Claims (1)

  1. 록킹훅(7)을 갖는 도어(5)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함(1)의 전면에 장착되며 록킹훅(7)이 출납되는 출납공(11)이 형성되는 프레임(30);
    도어(5)의 록킹훅(7)이 걸리는 훅걸림편(15b)을 가지며 프레임(30)에 록킹힌지핀(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15);
    선단은 제1힌지축(21b)에 의해 프레임(30)에 지지되는 제1조작레버(21a)와, 타단은 힌지축(25)에 의해 지지되는 제2조작레버(21)와, 제1조작레버(21a)의 타단과 제2조작레버(21)의 선단을 연결하는 록킹부걸림핀(23)을 가지는 조작레버(20);
    록킹부(15)를 해제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일단은 프레임(30)에 타단은 록킹부(15)에 지지되는 스프링(17);
    제2조작레버(21)를 작동시켜 록킹부걸림핀(23)에 걸린 록킹부(15)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부재(26);
    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되어 보관함(1)에 착탈레버(101)가 걸리거나 해제되는 마스터키뭉치(100);
    착탈레버(101)와 제1조작레버(21a)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되,
    비상시 마스터키로 마스터키뭉치(100)를 돌리면 연결부(120)에 의해 제1조작레버(21a)를 위쪽으로 선회시켜 록킹부걸림핀(23)에 걸린 록킹부(15)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도어(5)를 개방하는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20090039540A 2009-05-07 2009-05-07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105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40A KR101057112B1 (ko) 2009-05-07 2009-05-07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40A KR101057112B1 (ko) 2009-05-07 2009-05-07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42A KR20100120742A (ko) 2010-11-17
KR101057112B1 true KR101057112B1 (ko) 2011-08-16

Family

ID=4340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40A KR101057112B1 (ko) 2009-05-07 2009-05-07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1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92B1 (ko) * 2016-02-05 2016-06-29 주식회사디에스이노텍 무인 택배 보관장치
KR20170025398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금산엔지니어링 잠금장치
KR20190019233A (ko) 2017-08-16 2019-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잠금상태 인식모듈을 이용한 수동형 물품보관함 실시간 이용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9333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퍼시스 Nfc 기반 잠금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그리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25Y1 (ko) * 2012-01-26 2013-03-18 유시연 보관함용 도어락 장치
KR101303255B1 (ko) * 2012-06-29 2013-09-03 (주)크레템 약 수납 상자
KR101409958B1 (ko) * 2013-02-22 2014-06-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용 도어 래치
KR101464876B1 (ko) * 2013-05-27 2014-11-24 주식회사 새누 사물함
CN104196370B (zh) * 2014-08-26 2016-06-08 杭州优迈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交通应急门的门锁
CN110965864A (zh) * 2018-09-30 2020-04-0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锁具及储物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68B1 (ko) 2006-08-09 2007-03-09 최성희 물품 보관함의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68B1 (ko) 2006-08-09 2007-03-09 최성희 물품 보관함의 잠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398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금산엔지니어링 잠금장치
KR101634692B1 (ko) * 2016-02-05 2016-06-29 주식회사디에스이노텍 무인 택배 보관장치
KR20190019233A (ko) 2017-08-16 2019-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잠금상태 인식모듈을 이용한 수동형 물품보관함 실시간 이용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9333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퍼시스 Nfc 기반 잠금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그리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42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112B1 (ko)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US6659340B2 (en) Currency 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10026272B2 (en) Accounting apparatus
EP3217366B1 (en) Money dispensing device and accounting device
KR102126637B1 (ko)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US8960529B2 (en) Fare box
JP6291905B2 (ja) 金銭処理装置
US20120255468A1 (en) Cash machine for the management, insertion or withdrawal of valuables
JP7025933B2 (ja) ロッカーボックス
JP2009157711A (ja) ロッカーシステム
CN106127939B (zh) 一种锁定装置及自动存取款机
JP2015026249A (ja) 自動取引装置
JP640592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2014636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5647456B2 (ja) 金銭処理機
KR200276134Y1 (ko)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
JP6435954B2 (ja) 現金処理装置
JP6060333B2 (ja) 金銭収受装置
JP6060657B2 (ja) 現金処理機
WO2002001514A2 (en) Currency receiving device and method
CN106340118B (zh) 一种锁定装置及自动存取款机
JP6850542B2 (ja) 貨幣処理機管理システム、貨幣処理機管理方法、貨幣処理機、管理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44558B2 (ja) ロッカーシステム
JP6561356B2 (ja) 貨幣処理機
JP6689615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