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808B1 -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808B1
KR101054808B1 KR1020100111803A KR20100111803A KR101054808B1 KR 101054808 B1 KR101054808 B1 KR 101054808B1 KR 1020100111803 A KR1020100111803 A KR 1020100111803A KR 20100111803 A KR20100111803 A KR 20100111803A KR 101054808 B1 KR101054808 B1 KR 10105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salt
cholesterol
group
glutam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문희
최재철
강재헌
장문정
이인형
부하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Priority to KR102010011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시키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조성물은 저렴하고, 반감기가 길며, 항응고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예방 목적으로 장기복용이 가능하여, 혈전예방용 식음료로 섭취시 뇌졸중, 심근경색, 혈전증 등을 미리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어 여러 혈관질환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Cholesterol Containing Poly-gamma Glutamic acid}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시키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레스테롤은 18세기 말 사람의 담석에서 발견되었는데, 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동물에만 볼 수 있으며, 뇌나 신경조직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콜레스테롤은 인지질과 함께 세포의 막계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막 구조나 기능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상세한 메커니즘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보통 유리상태와 고급 지방산과의 에스터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그 비율은 각각의 조직마다 매우 일정하며, 적혈구 막에서는 동물의 종에 따라서 인지질과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에스터와의 양적 관계가 상당히 다르다. 소화관에서는 콜레스테롤을 그대로 직접 흡수하고, 또 그대로의 형태로 배설된다. 생체 내에서는 이것을 출발물질로 하여 비타민 D, 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등), 부신피질호르몬 및 쓸개즙 산 등이 합성된다.
동맥경화증은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침착하여 혈관의 탄력이 떨어지고, 혈전이 생기는 등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일종의 노화현상으로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노인에게서 볼 수 있다. 원인으로는 지질대사이상, 호르몬대사이상, 유전적 소질, 식생활 및 운동부족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동맥의 동맥류, 뇌혈관 뇌동맥경화증, 뇌출혈, 심장의 협심증, 신장 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동맥경화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러 원인이 서로 겹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로와 자극을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제한하고 비타민, 단백질의 공급을 충분히 하면서 과식을 피하는 것이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이미 동맥경화증이 상당 부분 진전되었을 경우에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약을 복용하는 것도 좋다.
최근 콜레스테롤에 대한 인식이 확산하면서 관련 치료제 시장은 급성장했으며, 제약업체와 바이오관련업체는 이 분야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지질을 조절하는 최초의 약물 부류는 피브레이트와 담즙산 제거제였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스타틴류(statins) 약물이 등장하면서 의사들은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게 됐다. 스타틴류 약물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알려진 LDL(lower-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 이후 90년대 후반 제 2세대 스타틴류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LDL 콜레스테롤에 대해 더욱 뚜렷한 효과를 가지면서 다른 지질들에 대해서도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화이자 제약의 리피터(성분명 atorvastatin)는 모든 스타틴류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60%까지 낮출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스타틴류 약물은 콜레스테롤 치료 약물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다. 스타틴류 약물을 사용하는 10-20% 환자는 목표로 하는 지질 저하에 도달하지 못하고 복합 지질 이상 환자의 대다수가 스타틴류 약물 이외의 약물을 추가로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트리글리세라이드라는 지질과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에 대해 중등도의 효과만 보이고 있어 지질계 이상 환자의 20-30%는 다른 대체 치료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부류의 콜레스테롤 개선 신약인 비스타틴류(non-statin)를 개발중에 있다. 특히 대형 제품 스타틴류 약물에 대한 특허보호가 끝나가는 시점이 다가오면서 제약업체는 서둘러 다른 부류의 지질 조절 제품에 대한 개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Advicor는 Niaspan(니코틴산의 장시간 방출제형)과 lovastatin 약물의 혼합 제품으로서 내과의사와 심장전문으로부터 이 제품에 대한 초기의 반응은 매우 고무적이었다. Advicor는 LDL 콜레스테롤을 낮출 뿐만 아니라 트리글리세라이드 지질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데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부류의 두 번째 제품으로는 Merck 제약업체와 쉐링프라우 ezetimibe와 simvastatin의 복합제품을 들 수 있다.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있어서 상기 두 가지 스타틴 약물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이 제품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중 보리 베타글루칸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 콜리코산놀사탕수수 왁스 알콜은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증받아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폴리코사놀 함유 제품의 경우 HMG-CoA 리덕타아제에 영향을 주어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시형 원료로는 키토산, 키토올리고당, 식물스테롤, 홍국, 감마리놀렌산, 레시틴, 대두단백이 있다. 이 중 키토산, 키토올리고당은 식사와 같이 섭취 시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어렵게 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홍국은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조절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감마리놀렌산, 레시틴, 대두단백은 HDL과 LDL을 조절하여 혈액 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감마글루탐산(γ-PGA)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점액성 물질이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볏짚을 이용한 한국의 전통 콩 발효식품인 청국장, 일본의 전통 콩 발효식품인 낫또, 네팔의 전통 콩 발효식품인 키네마 등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된다.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식용, 수용성, 음이온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물질로 흡습제, 보습제 및 화장품의 원료물질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이용방법에 대한 물질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9091호), 고분자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내염성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를 사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00796호)를 획득하였으며, 그 외에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항암조성물, 면역보강제, 면역증강제 및 바이러스 감염 억제에 대한 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66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1711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54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73179호)를 획득한 바 있다. 또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저해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82120호) 및 폴리감마글루탐산의 면역증강을 통한 항암기능을 밝힘으로써 (Poo, H.R. et al., Journal of Immunology, 178:775, 2007; Poo, H.R. et al., Cancer Immunol Immunother , 2009),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의약 용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등, 폴리감마글루탐산에 대한 지속적인 용도 개발을 수행하며 다양한 효능들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이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섭취하였을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에 의한 동맥경화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대한 효과가 있는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조성물은 저렴하고, 반감기가 길며, 항응고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예방 목적으로 장기복용이 가능하여, 혈전예방용 식음료로 섭취 시 뇌졸중, 심근경색, 혈전증 등을 미리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어 여러 혈관질환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도 1은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에 대한 인체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신장주변의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발달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간내의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mRNA 발현량을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및 아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의 분자량은 1~15,00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가 생산하는 폴리감마글루을 사용하였으며, 폴리감마글루탐산 나트륨염, 폴리감마글루탐산 칼슘염 및 폴리감마글루탐산 암모늄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이미 식품 및 화장품 계통에서 주요성분으로 구성되어 제조되고 시판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생리적 섭취 수준 즉, 일상적 섭취 수준에서 γPGA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에 고지방 식이를 이용하여 비만, 고지혈증을 유발한 후 γPGA 및 염 형태의 γPGA를 식이 무게의 0.1% 수준(0.2g/㎏ 몸무게) 수준에서 섭취케 한 후 체중증가, 식이 섭취량, 체내 지질대사, 혈당, 지방세포 조직학적 형태 및 지방합성 효소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상체중군에서는 γPGA나 염 형태의 γPGA 섭취시 체중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고지방식이군에서 0.1% γPGA 첨가시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의 형태가 아닌 γPGA에서 가장 체중 증가량이 적었다.
실험동물의 간, 신장주변 지방과 부고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과 부고환의 지방 무게, 신장주변 지방무게는 10% 지방식이를 섭취하였던 저지방식이군이 45% 지방을 섭취하였던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비만 유도시 간,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γPGA 섭취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장지방인 신장주변의 지방은 γPGA 섭취로 인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γPGA 섭취시 염 형태의 γPGA 섭취에 비해 가장 낮아서, γPGA 섭취는 내장지방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주변의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발달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컸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이는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모두 γPGA 섭취의 영향이 있었다. 지방세포의 크기는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졌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가 작아졌으며 염 형태의 γPGA에 의한 차이는 없었고, γPGA는 내장지방의 발달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장주변의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발달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컸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이는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모두 γPGA 섭취의 영향이 있었다. 지방세포의 크기는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졌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가 작아졌으며 염 형태의 γPGA에 의한 차이는 없었고, γPGA는 내장지방의 발달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혈장 내 중성지방 농도는 저지방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이 낮았으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정상체중군인 저지방식이군에서 γPGA 섭취시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켰으며 칼슘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켰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도 정상체중군에서 γPGA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칼슘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고지방식으로 비만을 유도시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나 γPGA는 H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중 LDL 콜레스테롤은 비만 유도군에서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고, γPGA 섭취에 의한 효과는 없었다.
간 조직 내의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함량은 비만 유발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γPGA 섭취시 정상 체중군에서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γPGA보다 염 형태의 γPGA에서 그 효과가 더 높았다. 비만 유발군에서 염형태의 γPGA의 섭취는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mRNA를 실시간 RT-PCR로 측정한 것은 도 2와 같으며, γPGA의 섭취시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칼슘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유전자 발현이 낮았다. γPGA 섭취의 효과는 정상체중군과 비만 유발군 모두에서 유의하여 γPGA 섭취시 지방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간 내 지방 축적,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의 기작을 검증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 저해 유무를 검증한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은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기존 전임상 및 인체시험 자료 분석을 통하여, 1차적으로 확인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성을 인체에서 확인하기 위해 인체시험을 실시한 결과, 피험자 각 실험군과 대조군의 나이 및 임상시험 평균 복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8주 후 혈압 및 맥박의 각 군간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주 후 체중 및 신체계측 변화를 살펴보면 각 군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변수는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0.15g 섭취군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질 및 간기능 마커는 8주 후 각 군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없었고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은 0.15g 섭취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투여경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하여, 1회 투여량은 0.1~10 g/㎏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은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약학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1일 섭취량에 대하여, 0.05 ~ 2g이 바람직하며, 1일 섭취량이 0.05g 이하일 경우, 콜레스테롤 조절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g 이상일 경우, 함량증가에 따른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비용을 초래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그 염의 제조
폴리감마글루탐산 생산용 기본배지(3%의 L-글루탐산이 첨가된 배지; 글루코오스 3%, (NH4)2SO4 1%, KH2PO4 0.27%, Na2HPO4/12H2O 0.17%, NaCl 0.1%,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0.5%, Soypeptone 0.02%, MgSO4/7H2O 0.7%, 비타민용액(Vitamin solution) 10㎖/ℓ, pH 6.8)을 멸균시켜 준비하고, 5ℓ 발효기(Jar fermentor, working volume은 3ℓ)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Bacillus subtilis var chungkookjang, KCTC 0697BP)의 종균 배양액(LB 배지)을 4%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교반속도는 500rpm, 공기주입속도는 1.0vvm으로 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필터프레스(규조토 함유)를 사용하여 균체를 제거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 액을 수득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액에 2N 황산용액을 이용하여 pH 2.0으로 조정한 후 10℃에서 15시간 동안 정치시켜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충분한 양의 10℃ 이하의 냉각 증류수로 세척한 후(pH 3.5 이상), 누체여과기를 이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수득 후 동결건조하여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제조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 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황산용액을 이용하여 침전시켜 얻은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에 식품첨가물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중성의 pH로 용해시켜 얻은 폴리감마글루탐산 나트륨염 용액 및 폴리감마글루탐산 칼슘염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폴리감마글루탐산 나트륨염 및 폴리감마글루탐산 칼슘염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식품첨가물 중탄산암모늄을 첨가하여 중성의 pH로 용해시켜 얻은 폴리감마글루탐산 암모늄염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암모늄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마우스 모델에서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
생리적 섭취 수준 즉, 일상적 섭취 수준에서 γPGA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에 고지방 식이를 이용하여 비만, 고지혈증을 유발한 후 γPGA 및 염 형태의 γPGA를 식이 무게의 0.1% 수준(0.2g/㎏ 몸무게) 수준에서 섭취케 한 후 체중증가, 식이 섭취량, 체내 지질대사, 혈당, 지방세포 조직학적 형태 및 지방합성 효소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은 (주)중앙동물로부터 이유된 SD(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5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동물은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7일간 동일한 고형 배합사료[(주)제일제당: 조단백 22.1% 이상, 조지방 3.5%이상, 조섬유 5.0% 이상, 조회분 8.0% 이상, 칼슘 0.6% 이상, 인 0.4% 이상]로 적응시켰다. 실험군을 2군으로 나누어 40% 지방 및 1% 콜레스테롤 공급하여 4주간 비만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였다 (표 1). 유도기간 후 평균체중이 432.8g인 정상의 식이 섭취군과 체중이 500.3g인 비만유발 쥐들을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 8마리씩 총 5군으로 분류하여, 표 2와 같이 실험 식이로 6주간 사육하였고, 식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2~24℃, 습도 50% 내외로 유지시켰으며, 조명의 순환주기는 12시간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이의 구성성분은 표 3과 같다. 식이의 탄수화물 급원으로는 옥수수전분((주)대상, 한국), 지방급원으로는 대두유((주)CJ, 한국)와 라아드(롯데유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조건

그룹
식이요법
적응기간
(1 주)
비만 유도기간
(5 주)
실험기간
(6 주)
LC


펠렛 식이

10% 지방 식이
no γPGA
LPC 0.1% γPGA
LP-Ca 0.1% γPGACa
LP-Mg 0.1% γPGAMg
HC
45% 지방 +
1% 콜레스테롤 식이
no γPGA
HPC 0.1% γPGA
HP-Ca 0.1% γPGACa
HP-Mg 0.1% γPGAMg
저지방 실험 식이의 구성성분
성분
(g/kg 식이)
함량(%)
LC 1) LPC LP-Ca LP-Mg
카세인(casein) 200 200 200 200
옥수수녹말(cornstarch) 549.48 548.48 548.48 548.48
수크로오스(sucrose) 100 100 100 100
대두유(soybean oil) 45 45 45 45
세룰로오스 분말
(cellulose powder)
45 45 45 45
AIN-93M mineral MX 2) 45 45 45 45
AIN-93 vitamin MX 3) 10 10 10 10
타타르산수소콜린
(choline bitartrate)
2.5 2.5 2.5 2.5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
(tert-Butylhydroquinone)
0.02 0.02 0.02 0.02
L-시스테인(L-cystein) 3 3 3 3
PGA 0 1 1 1
총질량(g) 1000 1000 1000 1000
1) LC(10% fat), LPC(10% fat and 0.1% PGA), LP-Ca(10% fat and 0.1% PGA-Ca), LP-Mg(10% fat and 0.1% PGA-Mg);
2) LC, LPC, LP-Mg, LP-Ca: Mineral mixture provides calcium carbonate 12.5g; sodium chloride 2.59g; potassium citrate 2.48g; potassium phosphate 6.86g; potassium sulfate 1.63g; magnesium oxide 0.85g; manganous carbonate 0.02g; ferric citrate 0.21g; zinc carbonate 0.06g; cupric carbonate 0.01g; potassium iodate 0.00035g; sodium selenite 0.00036g; chromium potassium sulfate 0.01g; ammonium paramolybdate 0.0003g; sodium meta-silicate 0.05g; libitiumchloride 0.0006g; boric acid 0.003g; sodium flouride 0.002g; nickel carbonate 0.001g; ammonium vanadate 0.0002g; sucrose finely powdered 7.73g;
3) Vitamin mixture provides thiamin HCl 0.006g; riboflavin 0.006g; pyridoxine HCl 0.007g; nicotinic acid 0.03g; calcium pantothenate 0.016g; folic acid 0.002g; D-biotin 0.0002g; vitamin B12 0.025g; vitamin A palmitate 0.008g; DL-alpha tocopheryl 0.15g; vitamin D3 0.002g; vitamin K 0.00075g; sucrose finely ground, 9.75g.
고지방 실험 식이의 구성성분
성분
(g/kg 식이)
함량(%)
HC 1) HPC HP-Ca HP-Mg
카세인(casein) 250 250 250 250
옥수수녹말(cornstarch) 148.69 147.69 147.69 147.69
수크로오스(sucrose) 200 200 200 200
콜레스테롤(cholesterol) 10 10 20 10
쇼토닝(shortening) 290 290 290 290
세룰로오스 분말
(cellulose powder)
50 50 50 50
AIN-93M mineral MX 2) 35 35 35 35
AIN-93 vitamin MX 3) 10 10 10 10
타타르산수소콜린
(choline bitartrate)
2.5 2.5 2.5 2.5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
(tert-Butylhydroquinone)
0.06 0.06 0.06 0.06
L-시스테인(L-cystein) 3.75 3.75 3.75 3.75
PGA 0 1 1 1
총 질량(g) 1000 1000 1000 1000
1) HC(45% fat), HPC(45% fat and 0.1% PGA), HP-Ca(45% fat and 0.1% PGA-Ca), HP-Mg(45% fat and 0.1% PGA-Mg)
2) HC, HPC, HP-Ca, HP-Mg: Mineral mixture provides calcium carbonate 12.5g; sodium chloride 2.59g; potassium citrate 2.48g; potassium phosphate 6.86g; potassium sulfate 1.63g; magnesium oxide 0.85g; manganous carbonate 0.02g; ferric citrate 0.21g; zinc carbonate 0.06g; cupric carbonate 0.01g; potassium iodate 0.00035g; sodium selenite 0.00036g; chromium potassium sulfate 0.01g; ammonium paramolybdate 0.0003g; sodium meta-silicate 0.05g; libitiumchloride 0.0006g; boric acid 0.003g; sodium flouride 0.002g; nickel carbonate 0.001g; ammonium vanadate 0.0002g; sucrose finely powdered 7.73 g.
3) Vitamin mixture provides thiamin HCl 0.006g; riboflavin 0.006g; pyridoxine HCl 0.007g; nicotinic acid 0.03g; calcium pantothenate 0.016g; folic acid 0.002g; D-biotin 0.0002g; vitamin B12 0.025g; vitamin A palmitate 0.008g; DL-alpha tocopheryl 0.15g; vitamin D3 0.002g; vitamin K 0.00075g; sucrose finely ground 9.75g.
2-2: 식이 섭취량과 체중 변화
실험 시작시 정상식이 섭취군과 비만 유발군의 체중은 비만 유발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5주간 실험식이 후 정상체중군에서 γPGA나 염 형태의 γPGA 섭취시 체중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체중증가량은 비만 유도기 동안 10% 지방 식이를 섭취한 저지방식이군에 비해 비만을 유발하였던 고지방식이군의 체중 증가량이 많았다. 0.1% γPGA 첨가시 체중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의 형태가 아닌 γPGA에서 가장 체중 증가량이 적었다.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
그룹 음식 섭취량 (g/Total) 시험개시시 체중(g) 4-주체중 (g) 증가 체중(g) 음식 능률비율(FER)
LC 1) 523.9±30.1 424.9±15.5 482.9±16.6 58.0±12.8 0.07±0.00
LPC 515.0±11.3 439.2±15.5 489.0±18.0 49.7±4.0 0.06±0.00
LP-Mg 506.9±15.4 428.8±12.3 481.3±11.0 52.5±5.9 0.05±0.00
LP-Ca 548.6±27.1 438.4±13.0 500.7±13.3 62.3±7.4 0.07±0.01
1) LC(10% fat), LPC(10% fat and 0.1% PGA), LP-Ca(10% fat and 0.1% PGA-Ca), LP-Mg(10% fat and 0.1% PGA-Mg)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
그룹 음식 섭취향 (g/Total) 실험 개시시 체중 (g) 4-주 체중 (g) 증가 체중 (g) 음식 능률비율 (FER)
HC 1) 412.1±18.2 498.7±20.4 575.3±25.9 76.6±8.2 0.05±0.00
HPC 382.3±14.8 490.3±17.3 551.5±18.8 61.2±5.8 0.05±0.00
HP-Mg 393.8±17.1 505.9±14.0 571.9±19.8 65.9±7.4 0.05±0.00
HP-Ca 419.8±13.4 504.7±14.1 590.1±15.8 85.4±5.2 0.06±0.00
1) HC(45% fat), HPC(45% fat and 0.1% PGA), HP-Ca(45% fat and 0.1% PGA-Ca), HP-Mg(45% fat and 0.1% PGA-Mg)
2-3: 간 및 지방조직 무게
본 발명 실험동물의 간 및 신장주변 지방과 부고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과 부고환의 지방 무게, 신장주변 지방무게는 10% 지방식이를 섭취하였던 저지방식이군이 45% 지방을 섭취하였던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표 6). 비만 유도시 간,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γPGA 섭취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장지방인 신장주변의 지방은 γPGA 섭취로 인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γPGA 섭취시 염 형태의 γPGA 섭취에 비해 가장 낮았다. 따라서 γPGA 섭취는 내장지방의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신장주변 지방과 부고환 지방의 무게
그룹 간 (g) EFP (g) RF (g)
L 1) 12.05±0.53 9.81±1.10 11.74±1.61
LP 12.90±1.18 10.06±1.25 11.38±1.37
LP-Ca 11.67±0.41 9.61±0.61 13.97±1.36
LP-Mg 11.61±0.32 9.81±1.15 11.88±1.49
H 30.44±2.07 15.60±1.65 22.39±2.80
HPC 27.99±1.79 12.76±1.17 15.75±1.62
HP-Mg 28.31±1.56 12.96±1.36 16.80±2.16
HP-Ca 30.36±1.50 15.26±1.56 19.44±1.56
1) LC(10% fat), LPC(10% fat and 0.1% PGA), LP-Ca(10%fat and 0.1% PGA-Ca), LP-Mg(10% fat and 0.1% PGA-Mg), HC(45% fat), HPC(45% fat and 0.1% PGA), HP-Ca(45% fat and 0.1% PGA-Ca), HP-Mg(45% fat and 0.1% PGA-Mg)
2-4: 지방세포
신장주변의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발달은 도 1과 같고,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컸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이는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모두 γPGA 섭취의 영향이 있었다.
지방세포의 크기는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졌으며, γPGA 섭취로 인해 정상체중군이나 비만 유발군에서 지방세포가 작아졌으며 염 형태의 γPGA에 의한 차이는 없었고, γPGA는 내장지방의 발달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7).
신장주변의 지방세포의 형태학적 발달
그룹 지방 세포 크기(픽셀2)
L 1) 29673.64±1840.35
LP 11465.40±877.87
LP-Ca 9874.40±435.08
LP-Mg 9352.15±423.04
H 45287.10±1507.92
HP 12990.74±523.25
HP-Mg 13125.66±659.29
HP-Ca 10992.36±1320.07
1) LC (10% fat), LPC (10% fat and 0.1% PGA), LP-Ca (10% fat and 0.1% PGA-Ca), LP-Mg (10% fat and 0.1% PGA-Mg), HC (45% fat), HPC (45% fat and 0.1% PGA), HP-Ca (45% fat and 0.1% PGA-Ca), HP-Mg (45% fat and 0.1% PGA-Mg)
2-5: 혈장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혈장 내 중성지방 농도는 저지방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이 낮았으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정상체중군인 저지방식이군에서 γPGA 섭취시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켰으며, 칼슘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혈중 중성지방을 가장 많이 감소시켰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도 정상체중군에서 γPGA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칼슘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고지방식으로 비만을 유도시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나 γPGA는 H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비만 유도군에서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고, γPGA 섭취에 의한 효과는 없었다.
10%와 45% 지방 식이로 비만유도 이후의 저지방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
그룹 글루코오스
(㎎/㎗)
트리글리세라이드
(㎎/㎗)
총 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
(㎎/㎗)
LDL-
콜레스테롤
(㎎/㎗)
L1 ) 125.57±6.27 80.71±6.33 85.87±3.02 50.17±2.75 20.97±3.24
LP 118.17±3.04 84.86±4.75 79.73±3.05 45.00±4.02 19.30±1.40
LP-Ca 118.17±2.93 66.43±5.73 72.64±2.22 39.67±2.32 22.08±1.17
LP-Mg 120.17±1.33 84.86±2.49 77.07±1.62 37.83±4.30 24.32±3.21
H 119.57±3.03 55.57±4.40 99.12±5.75 19.67±3.31 49.97±5.55
HP 120.00±2.19 55.29±4.66 91.51±5.27 31.00±2.16 47.97±2.60
HP-Ca 119.86±4.09 46.71±5.07 93.46±5.05 27.67±2.70 57.04±4.98
HP-Mg 115.71±4.09 45.00±5.15 96.20±4.57 25.00±2.44 59.86±4.66
1) LC(10% fat), LPC(10% fat and 0.1% PGA), LP-Ca(10% fat and 0.1% PGA-Ca), LP-Mg(10% fat and 0.1% PGA-Mg), HC(45% fat), HPC(45% fat and 0.1% PGA), HP-Ca(45% fat and 0.1% PGA-Ca), HP-Mg(45% fat and 0.1% PGA-Mg)
2-6: 간의 지방함량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조직 내의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함량은 비만 유발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γPGA 섭취시 정상 체중군에서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γPGA보다 염 형태의 γPGA에서 그 효과가 더 높았다. 비만 유발군에서 염형태의 γPGA의 섭취는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간 조직 내의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함량
그룹 총 지방(mg/g) 총콜레스테롤 (mg/g)
L1 ) 63.60±6.58 0.31±0.02
LP 46.83±3.46 0.29±0.02
LP-Ca 37.22±1.66 0.25±0.00
LP-Mg 37.75±0.82 0.26±0.02
H 233.52±6.28 1.98±0.09
HP 232.81±6.36 2.00±0.11
HP-Ca 217.53±7.28 1.95±0.08
HP-Mg 213.47±9.74 1.90±0.08
1) LC(10% fat), LP(10% fat and 0.1% PGA), LP-Ca(10% fat and 0.1% PGA-Ca), LP-Mg(10% fat and 0.1% PGA-Mg), HC(45% fat), HPC(45% fat and 0.1% PGA), HP-Ca(45% fat and 0.1% PGA-Ca), HP-Mg(45% fat and 0.1% PGA-Mg)
2-7: 간내 포도당-6- 인산탈수소효소 mRNA 유전자 발현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의 mRNA를 실시간 RT-PCR로 측정한 것은 도 2와 같으며, γPGA의 섭취시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Ca 염 형태의 γPGA 섭취군에서 가장 유전자 발현이 낮았다. γPGA 섭취의 효과는 정상체중군과 비만 유발군 모두에서 유의하여 γPGA 섭취시 지방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간 내 지방 축적,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폴리감마글루탐산의 HMG - CoA 리덕타아제 활성 저해 확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의 기작을 검증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HMG-CoA 리덕타아제의 활성 저해 유무를 검증하였다. 효소활성은 HMG-CoA 리덕타아제 분석 키트(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기질인 HMG-CoA 존재시에 HMG-CoA 리덕타아제에 의한 NADPH의 산화되는 속도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으며, HMG-CoA 리덕타아제의 저해제로 의약품으로 사용중인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의 저해 활성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과 프라바스타틴의 동일 농도에서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이 프라바스타틴이 가지는 HMG-CoA 저해율의 % 저해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은 HMG-CoA 리덕타아제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 인체시험
기존 전임상 및 인체시험 자료 분석을 통하여, 1차적으로 확인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성을 인체에서 확인하기 위해 인체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예비실험에서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복용하는 실험군(0.15g)과 1개의 대조군의 총 2개 군에 각 군당 10명씩 무작위 배정하는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뉘어 총 8주간 위약 또는 시험원료를 섭취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조군의 경우 제품군과 동일하게 복용 전,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에 혈액검사를 받고 전문의와 영양사와의 상담을 통해 혈중 지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식사요법 및 생활습관을 상담하였다. 섭취는 일일 1회 점심 식사 2시간 직전에 섭취하였으며, 시험은 이중 맹검법으로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서울 백병원 산하의 임상영양연구소에 연구원 겸 영양사가 일정한 간격(1회/주)을 두고 전화 및 직접 상담을 통해 피험자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기타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부작용 등을 검사하고, 식사상담 및 제품에 대한 지식 등을 전달하며, 규칙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임상시험은 8주간 진행되며 복용 전, 복용 4주 후,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용 후 8주가 되면 임상시험의 복용기간을 종료하였다. 복용이 종료되는 날의 다음날 또는 그 다음날에 연구기관인 서울 백병원 비만센터에 소집하게 되며, 복용에 따른 여러 평가지표를 측정, 조사하여 최종적인 평가를 종료하였다.
피험자 선정기준은 연령 만 19세 이상 50세 이하 남녀로 체질량지수(BMI) 25㎏/m2 이상 29.9㎏/m2 이하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SAS 또는 SPSS PC program 이용,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임상 전후의 자료 비교는 Paired t-test, 실험군들과 대조군간의 비교는 t t-test, ANOVA,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유의성 검증(P<0.05)을 하였으며,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측정항목 및 측정시기
검사항목 검사내용
신체 계측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 WHR
비만지표지수 BMI, Body fat(kg), Percent body fat(%), 제지방량 둘레
생화학검사 혈액학적검사 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MCV 등 Routine CBC 검사
혈액생화학적검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HDL 비율, GOP, GPT, albumin, alkaline phosphatase, protein, glucose, bilirubin, TSH, BUN, creatinine, calcium/phosphorus, Na, K, Cl, uric acid, ck, γ-GTP
Urine analysis protein, glucose, blood, ketone
기타 혈압, 심전도, 맥박 등
기초사항 및
영양소 섭취량
인구, 사회학적
특성조사
인구(CRF), 사회학적(나이, 성별 등)
영양소 섭취량조사 24시간 식사내용 기록법을 이용하여 일일 영양소 섭취상태를 파악
이상반응 및
순응도평가
임상시험 이상반응을 매 방문 시 확인하고, 복용량을 확인하여 순응도를 계산한다.
방문별 측정항목
연구내용 측정 항목 복용전 0주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
기초사항 조사 (CRF 0주차)
영양소섭취량 조사 일일 영양소섭취상태(24시간 기록법)
신체계측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WHR, BMI
BIA 체지방량, 체지방율, 제지방량
혈청 지질농도 총콜레스테롤농도, 중성지방농도, LDL콜레스테롤농도, HDL 콜레스테롤농도,LDL/HDL ratio
간기능 검사 혈청 GOT 및 GPT, Albumin, Alkaline phosphatase
당질대사 검사 glucose
Hematology
지표
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uric acid 등
갑상선기능검사 TSH
신장기능검사 BUN, Creatinine 수치
Urine analysis
전해질 검사 Calcium/Phosphorus, Na/K/Cl
혈압
심전도, 맥박
순응도 평가
이상반응 조사
시험 결과, 피험자 각 실험군과 대조군의 나이 및 임상시험 평균 복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표 12), 8주 후 혈압 및 맥박의 각 군간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3).
피험자 나이 및 복용률
변수 그룹 N(명) 평균 표준오차 p-value
나이(세)
0.15 6 34.17 3.52 0.965
placebo 8 33.50 2.80
4주 복용률(%)
0.15 6 90.77 6.30 0.956
placebo 8 86.61 1.80
8주 복용률(%)
0.15 6 70.68 2.67 0.027
placebo 8 83.30 5.37
평균 복용률(%)
0.15 6 80.73 4.09 0.435
placebo 8 84.96 2.97
혈압 및 맥박
변수 그룹 N(명) 평균 표준오차 p-value
수축기혈압 (mmHg) 0.15 6 -7.50 7.20 0.166
placebo 8 2.00 9.96
이완기혈압 (mmHg) 0.15 6 -0.17 11.20 0.688
placebo 8 -3.13 8.03
맥박
(회/분)
0.15 6 0 2.90 0.774
placebo 8 -3.13 6.92
8주 후 체중 및 신체계측 변화를 살펴보면 각 군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변수는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0.15g 섭취군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14). 지질 및 간기능 마커는 8주 후 각 군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없었고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은 0.15g 섭취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15).
체중 및 신체계측
변수 Group N(명) 평균 표준오차 p-value
체중(㎏) 0.15 6 -0.63 1.51 0.854
placebo 8 -0.99 0.94
체질량지수(㎏/m2) 0.15 6 -0.25 0.62 0.900
placebo 8 -0.38 0.35
허리둘레(㎝) 0.15 6 -1.25 4.03 0.485
placebo 8 -2.63 3.67
엉덩이둘레(㎝) 0.15 6 +0.17 1.51 0.743
placebo 8 -1.25 2.59
체지방(㎏) 0.15 6 -0.28 1.62 0.929
placebo 8 -0.33 0.83
체지방율(%) 0.15 6 -0.03 1.72 0.987
placebo 8 +0.08 1.17
제지방율(%) 0.15 6 -0.37 0.92 0.540
placebo 8 -0.68 1.08
지질 및 간기능 마커
변수 Group N(명) 평균 표준오차 p-value
콜레스테롤
(㎎/㎗)
0.15 6 -13.50 29.02 0.315
placebo 8 -5.50 18.93
중성지방
(㎎/㎗)
0.15 6 -17.00 33.02 0.032
placebo 8 -16.50 39.48
HDL-콜레스테롤
(㎎/㎗)
0.15 6 -3.67 7.76 0.811
placebo 8 -0.38 6.93
LDL-콜레스테롤
(㎎/㎗)
0.15 6 -13.33 17.18 0.329
placebo 8 -4.50 13.84
혈당
(㎎/㎗)
0.15 6 +5.17 5.67 0.685
placebo 8 +1.75 5.82
GOT(IU/ℓ) 0.15 6 -5.00 8.85 0.341
placebo 8 +1.88 2.53
GTP(IU/ℓ) 0.15 6 -6.50 14.75 0.338
placebo 8 -2.88 4.88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고함량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 고지혈증, 혈전증, 동맥경화, 뇌졸증 및 심근경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질병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및 아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삭제
  4.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및 아연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00111803A 2010-11-10 2010-11-10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KR10105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03A KR101054808B1 (ko) 2010-11-10 2010-11-10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03A KR101054808B1 (ko) 2010-11-10 2010-11-10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808B1 true KR101054808B1 (ko) 2011-08-05

Family

ID=4493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03A KR101054808B1 (ko) 2010-11-10 2010-11-10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83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용 조성물
KR2014004579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60B1 (ko) 2005-12-29 2006-12-11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항응고제 및 혈전예방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560B1 (ko) 2005-12-29 2006-12-11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항응고제 및 혈전예방용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83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용 조성물
KR2014004579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seeva et al. Vitamin C (ascorbic acid)–description, benefits and where it is found
JPH09291039A (ja) プロシアニジン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剤
TWI308490B (en) Use of pullulan as a slowly digested carbohydrate
KR19980702533A (ko)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제
CN103637185B (zh) 神经酸组合物
EP2983662A1 (en) Activated soy pod fiber
CN104379155A (zh) 包含裙带菜孢子叶和海鞘皮的混合物提取液的异位性皮肤炎改善用组合物
US11044930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innamon extract
EP1371368A1 (en) Salvianolic acid components as lipase inhibitors
KR101054808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개선용 조성물
CN112971154A (zh) 一种富含水溶性膳食纤维及α-淀粉酶抑制剂的固体混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KR101540004B1 (ko) 혈당, 혈압, 혈류 및 콜레스테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1912407B (zh) 一种减肥降脂组合物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8953A (ko)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장애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074392A (zh) 一种解酒保肝养胃护肠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433917B2 (ja) 体タンパク質蓄積効率を亢進する栄養組成物
KR20230145464A (ko)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약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3130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及び代謝異常症候群予防剤
JP6194192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US11185565B2 (en) Compositions including milk thistle and methods of use
JP6770726B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100670596B1 (ko) 수용성의 저분자량 키토산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을함유하는 체중 감량 조성물
DE102006014420A1 (de) Mittel zur Verminderung des verwertbaren Kaloriengehalts der Nahrung und zur therapeutischen Gewichtsabnahme, insbesondere zur Anwendung bei Adipositas (Fettsucht)
JP2005162632A (ja) 水溶性の低分子量キトサン及びハイビスカス抽出物を含有する体重減量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