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427B1 -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427B1
KR101050427B1 KR1020090013205A KR20090013205A KR101050427B1 KR 101050427 B1 KR101050427 B1 KR 101050427B1 KR 1020090013205 A KR1020090013205 A KR 1020090013205A KR 20090013205 A KR20090013205 A KR 20090013205A KR 101050427 B1 KR101050427 B1 KR 10105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capsule
scal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005A (ko
Inventor
오명성
Original Assignee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09001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30 내지 40중량%; 산자나무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캐모마일 꽃 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마편초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제 10 내지 20중량%; 카보머 또는 폴리쿼터늄-1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제 3 내지 8중량%; 캡슐 내에 내포되는 성분으로서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 잎오일, 금송 뿌리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내용물과 상기 캡슐내용물을 감싸는 성분으로서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잔탄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제로 이루어지는 영양캡슐 0.1 내지 1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모발 세정, 샴푸, 영양캡슐, 산자나무, 티트리 잎 오일, 케라틴아미노산

Description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Scalp and hair protecting and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herb extracts and nutrient capsule}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또는 약해질 때 두피에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간편하게 세발하면서 모발과 두피에 항상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허브추출물들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특히 산패되기 쉬운 성분들을 캡슐 내에 내포시킨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는 모발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모발에 영양을 보충하거나, 손상된 모발의 회복, 모발의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등의 특별한 기능을 갖는 제품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샴푸에서 영양성분을 보충한다는 것은 (1) 가격적인 부분에서 효능을 줄 수 있을 만한 양을 사용하지 못하고, (2) 산패되기 쉬운 원료들의 변화를 막지 못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킨다는 것은 모발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을 공급해서 모발의 회복을 돕는다는 것이지만 케라틴 단백질 또한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모발의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관능적인 사용감이다. 실리콘이 다량함유된 샴푸는 윤기와 매끄러움을 주지만 지속적으로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는 모발과 두피에 씻기지 않고 쌓이는 빌드업(Build-up)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모발의 손상과 두피에의 트러블(trouble)의 생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대인의 피부와 모발은 잦은 세발로 인하여 피지나 보습 성분이 모두 제거되어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모발을 회복시키기 위해 모발 콘디셔너, 트리트먼트 또는 겸용 샴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발 콘디셔너나 트리트먼트는 그 사용이 번거러우며, 겸용 샴푸는 다만 콘디셔닝(린스)을 강화한 정도에 불과하며, 모발의 세정과 콘디셔닝 기능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겸용 샴푸는 음이온 계면 계면활성제가 주종인 샴푸의 제형중에 양이온 계면 계면활성제나 오일과 친화성이 있는 물질(oilsoluble)들이 추가된 것으로 샴푸 본래의 기능인 세정력과 풍성한 기포력 등이 약화되었고, 콘디셔닝 기능도 저조한 편이다.
샴푸에 오일 자체를 첨가하는 경우, 그 함량은 극히 제한적이고 오일은 제품 내에서 가용화되어 있어 모발에 대한 미용 기능보다 샴푸 본래의 기능을 저해하는 역기능이 더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샴푸나 액제 세정제에 고체물질을 분산시키는 기법은 미국의 P&G사가 잔탄검과 기타 첨가제를 병용하였고(Journal of Food Sci. Vol. 49, 1984, p1271-; EP 0-285-388; USP 4-854-3388; EP 0-312-234; USP 4-345-080; UPK 2-187-197), 일본의 카오사에서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alcohol)을 이용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기법은 유성물질을 포함하여 25℃에서 비중이 0.5 내지 0.95 정도인 캡슐을 샴푸에 분산 안정화 하는데는 전혀 유효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또는 약해질 때 두피에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간편하게 세발하면서 모발과 두피에 항상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허브추출물들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특히 산패되기 쉬운 성분들을 캡슐 내에 내포시킨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30 내지 40중량%;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추출물,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추출물, 캐모마일(Anthemile nobilis) 꽃 추출물, 알로에베라(Aloe barbadensis) 잎 추출물, 마편초(Verbena officinalis) 추출물,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제 10 내지 20중량%; 카보머 또는 폴리쿼터늄-1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제 3 내지 8중량%; 캡슐 내에 내포되는 성분으로서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잎 오일, 금송(Sciadopitys verticillata) 뿌리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내용물과 상기 캡슐내용물을 감싸는 성분으로서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잔탄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제로 이루어지는 영양캡슐 0.1 내지 1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글리세린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습제 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대전방지제, 이온봉쇄제, 변색방지제,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착색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보조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또는 약해질 때 두피에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간편하게 세발하면서 모발과 두피에 항상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허브추출물들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특히 산패되기 쉬운 성분들을 캡슐 내에 내포시킨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30 내지 40중량%;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추출물,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추출물, 캐모마일 꽃 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마편초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제 10 내지 20중량%; 카보머 또는 폴리쿼터늄-1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제 3 내지 8중량%; 캡슐 내에 내포되는 성분으로서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 잎 오일, 금송 뿌리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내용물과 상기 캡슐내용물을 감싸는 성분으로서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잔탄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제로 이루어지는 영양캡슐 0.1 내지 1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발 및 두피의 세척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Lauramide DEA)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는 공지의 계면활성제로서 당업자에게는 이를 용이하게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 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라우라마이드 디메틸아민은 코코넛 오일의 주 성분인 라우로산에서 추출되는 하얀 왁스성분의 고형제로서, 샴푸나 목욕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역시 당업자에게는 이를 용이하게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0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3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의 부족으로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영양제 등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영양제는 모발 및 두피에 활성성분을 공급하여 모발과 두피에 활력을 주어 건강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양제 중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를 추출한 것으로서, 이 나무는 고산지대에서 생육하며, 높이 약 1m 정도로 성장하고, 원산지는 미국이고, 텍사스에서 중앙아메리카까지 분포되어 있다. 멕시코 의학자료에 의하면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두피에 활력을 주고, 기름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영양제 중 로즈마리 추출물은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의 추출물로서, 과도한 산소(프리라디칼)을 억제하는 황산화작용이 뛰어나 두피에 건강한 항상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양제 중 캐모마일 꽃 추출물은 캐모마일(Anthemile nobilis)의 추출물로서, 상기 캐모마일은 향기가 있는 식물로 높이가 약 50㎝이며, 화상의 치료와 자외선에 노출되어 올라간 피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진정효과가 있고, 살균효과로 여드름과 피부염에 사용된다. 이것은 두피의 각종 트러블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영양제 중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은 알로에베라(Aloe barbadensis)의 추출물로서, 이 식물은 높이가 약 2.5m 정도 자라나는 식물이고, 부종, 타박상 등에 찜질요법으로 민간에서 사용되었으며, 모발의 건강한 생육을 돕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양제 중 마편초 추출물은 마편초(Verbena officinalis) 식물의 추출물로서, 이 식물은 높이가 약 50㎝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식물 전체는 두통과 열, 염증치료, 비듬 등에 사용되었다. 두피의 수렴작용으로 두피의 과도한 피지분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양제 중 쐐기풀 추출물은 쐐기풀(Urtica thunbergiana)의 추출물이고, 이는 모발을 부드럽고 강하게 해주고, 두피의 청정화(freshening) 효과가 우수하여, 두피의 피로를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영양제 중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은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의 추출물이고, 이 식물은 달리 호주 고무나무라고도 불리우며, 호주의 원주민들은 심한 창상주위를 이 나무의 잎으로 동여매는 데 사용하여 왔다. 이 나무는 독특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자기 주위에 있는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시킨다. 이러한 항균성으로 진통, 진정, 수렴, 방부, 상처 치유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두피의 진정작용 및 항염, 항균, 두피 뾰루지 방지의 기능을 하도록 사용한다. 상기 영양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영양제가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영양성분의 보충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계면활성제 등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내에서 일종의 네트워크 즉,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막을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영양캡슐이 뜨거나 가라앉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영양캡슐이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형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카보머 또는 폴리쿼터늄-1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8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가 3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영양캡슐을 안정화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계면활성제 등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영양캡슐은 캡슐 내에 내포되는 성분으로서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 잎 오일, 금송 뿌리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내용물과 상기 캡슐내용물을 감싸는 성분으로서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잔탄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양캡슐의 캡슐내용물들은 모발이나 두피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활성성분들이나 특히 산패되기 쉬운 것들이다. 상기 캡슐내용물 중 케라틴아미노산은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단백질 분자는 생명에서 가장 중요한 분자이며, 모발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케라틴은 일종의 단백질로서 약 20여종의 아미노산이 모여져서 만들어진다. 이 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폴리펩티드가 되고, 이 폴리펩티드가 연결되어 케라틴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모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아미노산으로 식물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로서 얻어질 수 있다. 고분자량인 인모를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올리고머 형태의 케라틴(아미노산이 2 내지 4개 붙은 케라틴)이나 아미노산 형태로 분해하여 분자량이 90 내지 200 정도로 되도록 하여 모발에 흡착 혹은 흡수가 용이하게 한 것이 케라틴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기존의 산이나 알칼리 처리에 의한 분해산물이 아닌 효소처리에 의한 분해산물로서의 케라틴아미노산을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낮은 케라틴아미노산을 사용함에 특징이 있다. 기존의 헤어 트리트먼트라 함은 양이온성 성분을 사용하여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고, 실리콘오일 계통의 성분을 사용하여 모발에 부드러움과 윤기를 부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물론 아주 적은 양의 영양성분을 배합하여 모발에 영양을 공급한다고도 하였으나, 거의 효능,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케라틴아미노산은 모발 구성성분인 시스테인을 비롯한 복합 아미노산과 케라틴 단백질을 효소분해한 저분자량의 케라틴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여 손상모발에 간충물질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 줄 수 있다. 모발 구성성분인 시스테인과 케라틴 단백질이 모발을 감싸 갈라진 큐티클의 손상을 예방하고 모발표면의 큐티클 결합을 강화시켜 모발을 튼튼하고 탄력 있게 유지시켜 주며, 복합 아미노산 성분이 소실된 간충물질을 보충함으로써 파마(permanent)의 전처리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부드럽고 탄력과 광택이 있는 웨이브를 형성시켜 줄 수 있다. 모발의 극손상을 초래하는 탈색이나 염색 시, 전처리제로 사용하거나 혼합액에 첨가하면 모발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고 매끄럽고 윤기 나는 효과를 모발에 부여하며, 선명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케라틴아미노산은 건강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유지시키는 핵심 성분을 제공하며, 케라틴 생산을 위한 적절한 양의 유황 함유 아미노산 시스테인과 메치오닌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캡슐내용물 중 티트리 잎 오일은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라는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상처나 화상 그리고 많은 피부 세균과 염증을 치료하는 기능을 갖는 약초의 일종이다. 1770년 경에 영국의 탐험가인 제임스 쿡과 그의 동료들은 호주의 동쪽 해안을 탐험하며 매우 독특하고 자극성 있는 냄새를 풍기는 끈적끈적한 잎을 가진 광대한 나무숲에 흥미를 갖게 된다. 탐험가들은 그 나뭇잎을 끓여서 향긋한 차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였으며, 귀국할 때에는 연구를 위해 흥미로운 그 나뭇잎을 가져오게 된다. 티트리의 오일은 상처나 화상 그리고 많은 피부 세균과 염증을 치료하는 놀랄만한 약효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쿡의 발견 후, 티트리오일의 약효는 입과 입을 통해 그리고 옛이야기를 통해 서구 사회에 널리 퍼져 나갔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학회지나 여러 보도 자료를 통해 티트리오일의 강력한 살균 능력은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2차 세계대전 때에 그 인기는 절정에 이른다. 티트리오일에 함유된 약 100가지 성분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강한 치료력과 살균 특성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이 오일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고, 건강한 세포를 해치지 않고 박테리아를 죽인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티트리오일은 칸디다균과 포도상구균을 포함한 58종의 박테리아를 박멸시킨다는 것이 밝혀졌고, 부작용이 없이 여드름을 치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고 또한 무좀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캡슐내용물 중 금송 뿌리 추출물의 원료인 금송은 학명이 Sciadopitys verticillata이며 낙우송과(Taxodiaceae)의 식물이다. 어원은 Sciadopitys는 그리스어로 Skias(우산)과 Pitos(소나무)의 합성어이며, verticillata는 돌려나기 식물이라는 의미이다. 세계 3대 조경수이며, 이 식물에 대한 인체에 대한 효능효과는 전무한 실정이나, 이를 처음으로 이 추출물이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화장료로 제공할 목적으로 제조방법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852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고로 인용한다. 이 등록특허에 따르면 여러 효능효과 중에서 두피와 모발 관련 효과는 항염효과, 두피개선효과, 항산화효과 및 육모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제 중 알긴(algin)은 알긴산나트륨의 다른 이름이며, 이는 해조류인 김, 파래,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등의 세포벽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친수성, 콜로이드성 및 음이온성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미역의 경우에는 전체 중량 대비 약 40%에 이르기도 한다. 모발과 친화력이 좋고, 모발에 윤택함과 매끄러움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캡슐제 중 아가(agar)는 식용 해조류의 식이섬유 다당체이며, 소화,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성분이다. 따라서 저에너지 다이어트 식품소재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항산화효과가 높아 비타민C 보다 80배 이상 높고, 미백효과도 갖고 있다.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이 부산대학교의 최철원 교수 연구팀에 의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헤어제품에서는 모발에 윤택함과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캡슐제 중 크로뮴옥사이드그린은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 제조 시 코팅기재 및 색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투명도를 강화하고, 자외선에서 잘 변색되지 않으며, 결정입자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고, 결정입자를 최소한으로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캡슐제 중 잔탄검(Xanthan gum)은 냉수에 분산되고 열수에 용해되며, 용해 온도에 따라 점도차가 거의 없고,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성물 전재에서 가열하더라도 점도 저하가 적고, 레토르트살균에서도 안정된 점도를 유지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며, 증점안정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영양캡슐은 두피보호효과가 있는 티트리 잎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영양캡슐을 피부에 발라 손끝으로 문지르면 부드럽게 녹아 형태가 없어진다. 녹은 영양캡슐은 피부와 친화력이 있고, 캡슐이 녹으면서 티트리 잎 오일의 성분히 서서히 방출되어 피부에 흡수되어 피부에 항균활성을 주고, 저분자 케라틴아미노산이 모발과 밀착력이 좋아 모발을 매끄럽게 해준다. 상기 영양캡슐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금송추출물과 케라틴아미노산을 혼합하여 나노좀(nanosome) 형태로 만들고, 아가, 알진, 티트리 잎 오일, 크로뮴옥사이드그린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수상층(물)에 적하시키는 것에 의해 캡슐화 한 후, 에탄올로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계속해서 잔탄검베이스와 혼합하여 캡슐을 안정화시키고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영양캡슐은 나노좀의 형태로서 도 1 및 도 2들에 도시한 모식도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도 3에는 상기 영양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영양캡슐은 30 내지 50㎚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영양캡슐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영양캡슐이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영양캡슐에 의한 모발에의 영양부여의 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계면활성제 등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이들을 수용하고, 용해시키는 담체로서 물를 잔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글리세린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습제 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의 글리세린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장업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습제의 일 성분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또한 보습기능 이외에도 기포안정효과가 있어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할 수 도 있다. 상기 보습제들은 두피에 보습효과를 부여하여 건강한 두피의 유지를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습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가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보습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계면활성제 등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은 대전방지제, 이온봉쇄제, 변색방지제,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착색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보조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보조첨가제들을 구성하는 대전방지제, 이온봉쇄제, 변색방지제,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및 착색제들은 장업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pH조절제로는 소듐하이드록사이드(NaOH) 및 락틱액시드(젖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실시예 1 및 실시예 2)들과 본 발명의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비교예(비교예 1 및 비교예 2)들로서의 모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되, 수상파트로서 정제수를 조제탱크에 투입하고 75 내지 80℃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분산제로서 카보머를 투입하고 75℃로 유지시키면서 교반시켰다. 이후,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를 투입하고, 65℃로 유지시키면서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분산제로서 폴리쿼터늄-10을 투입하고, 50℃로 유지시키면서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25℃로 냉각시킨 후, 영양캡슐과 영양제들로서 산자나무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캐모마일 꽃 추출물,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마편초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및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들을 투입하고 교반시켜 혼합시켜 각 조성물들을 수득하였다.
번호 원료구분 구성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분산제 카보머 4.00 5.00 - 2.00
3 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25.00 35.00 30.00 30.00
4 계면활성제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5.00 3.00 7.00 1.00
5 분산제 폴리쿼터늄-10 0.30 0.60 1.00 1.50
6 영양캡슐 영양캡슐 0.30 0.50 - 0.05
7 영양제 산자나무 추출물 2.00 3.00 - 0.50
8 로즈마리 추출물 1.00 2.00 - 0.50
9 캐모마일 꽃 추출물 1.00 2.00 - 0.50
10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1.00 2.00 - 0.50
11 마편초 추출물 1.00 2.00 - 0.50
12 쐐기풀 추출물 2.00 3.00 - 0.50
13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2.00 3.00 - 0.50
3의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의 3 : 1(중량비)의 혼합물임.
5의 영양캡슐은 알진(1.0)/아가(2.0)/케라틴아미노산(10.0)/크로뮴옥사이드그린(0.4)/티트리 잎 오일(1.0)/잔탄검(1.0)/금송 뿌리 추출물(2.0)(괄호 속의 수치는 중량비)로 이루어지며,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및 잔탄검들을 캡슐제로 하고,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잎오일, 금송 뿌리 추출물들을 상기 캡슐제에 의해 감싸여지는 캡슐내용물로 되도록 조성함.
실험예
두피 및 모발의 상태 평가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조성물들을 사용하여 이들을 사용함에 따른 두피의 트러블, 모발 손상, 손상된 두피와 모발의 회복성, 모발의 결상태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은 관능시험에 의한 4점평가(5 : 매우 양호함, 4 : 양호함, 3 : 보통임, 2 : 나쁨)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평가방법은 손상된 모발 및 두피 트러블을 가지고 있는 성인 남녀 23명이 상기 조성물들을 14일 동안 매일 사용한 다음 평가한 점수를 평균한 값을 평가치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가지고 있으나, 화학적 시술(펌이나 염색)을 한 성인 남녀 23명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번호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1 두피의 트러블 3.89 4.99 2.49 3.03
2 모발의 손상 3.73 4.89 2.55 2.98
3 손상두피 및 모발의 회복성 4.05 4.93 2.44 3.11
4 모발의 결 상태 3.99 4.95 2.55 3.02
번호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1 두피의 트러블 3.72 4.88 2.09 3.01
2 모발의 손상 3.69 4.79 2.15 2.99
3 손상두피 및 모발의 회복성 3.98 4.89 2.43 3.01
4 모발의 결 상태 4.12 4.75 2.46 2.99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들은 모든 평가항목에서 평점이 매우 양호한 반면 비교예 1은 나쁜 평가를 얻었고 그리고 비교예 2는 보통의 평가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손상모발 및 두피트러블이 있는 평가단에서 보면, 비교예 1은 영양캡슐의 균일한 분산이 되지 않아 영양성분이 모발 및 두피에 적용되지 않았고, 또한 각종 영양제로서의 허브성분들이 함유되지 않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비교예 2는 영양캡슐의 양과 영양제로서의 허브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기는 하나, 모발과 두피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한 양이기 때문에 보통의 평가가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1은 영양제로서의 허브성분의 양이 실시예 2에 비하여 적고,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어 거품이 풍성하게 생기지 않았으나, 효과는 좋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2는 상기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모발과 두피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모든 평가항목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효과들은 화학적 처리(펌이나 염색) 이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영양캡슐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과 영양제로서의 각종의 허브추출물들이 두피와 모발에 항상성을 높여주고, 화학적 시술 후에도 모발과 두피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과 관련하여 도 4 및 도 5에 관능시험에 참여한 패널들 중 손상모를 가진 패널들의 손상모의 손상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모발의 큐티클층이 들떠 있어 이 상태가 지속되면 들뜬 모발사이로 각종 영양성분이 빠져나오고, 모발이 건조해져 푸석거리고 지모, 절모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도 4의 패널의 모발이 더 손상된 상태인 극손상모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5의 패널의 모발이 더 손상된 상태인 극손상모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의 극손상모는 평소의 손상모의 패널이 염색과 펌 시술을 받은 후에 이 시술들에 의해 더욱 손상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모발들의 상태들은 모발의 큐티클층이 벗겨져 나간 상태로 모발이 가늘어지고, 부스러지게 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관능시험에 참여한 패널들 중 상기 도 4의 패널이 시험 후, 회복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을 나타내었으며, 큐티클층이 회복되고, 들뜸없이 가지런하게 모발에 붙어 있어 모발의 영양성분들과 유분과 수분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더 이상의 모발손상을 막아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들 및 시험예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의 처방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표 4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번호 성분명 사용량 기능 스펙
1 정제수 21.3985 잔량
2 디메치콘 2.00 대전방지 0.5-5.00
3 글리세린 5.00 보습제 1.00-5.00
4 디소디움이디티에이 0.05 이온봉쇄제 0.05
5 벤조페논-9 0.05 변색방지 0.03-0.05
6 카보머 5.00 분산제 0.50-7.00
7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6.00 계면활성제 10.00-40.00
8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8.50 계면활성제 1.00-15.00
9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3.00 계면활성제 1.00-5.00
10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05 pH조절제 0.01-1.00
11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0 보습제 3.00-10.00
12 폴리쿼터늄-10 0.60 분산제 0.05-1.00
13 메틸클로르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 0.05 방부제 0.05
14 조합향료 0.80 향료 0.80
15 락틱액시드 2.00 pH조절제 0.10-3.00
16 안료 0.0015 착색제 0.0015
17 영양캡슐 3.50 영양캡슐 0.10-5.00
18 산자나무 추출물 3.00 영양제 0.01-10.00
19 로즈마리 추출물 2.00 영양제 0.01-10.00
20 캐모마일 꽃 추출물 2.00 영양제 0.01-10.00
21 알로에베라 잎 추출물 2.00 영양제 0.01-10.00
22 마편초 추출물 2.00 영양제 0.01-10.00
23 쐐기풀 추출물 3.00 영양제 0.01-10.00
24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3.00 영양제 0.01-10.00
17의 영양캡슐은 표 1에 개시된 영양캡슐과 동일한 것임.
도 9의 공정도에서와 같이 정제수, 디메치콘, 글리세린, 디소디움이디티에이, 벤조페논-9의 수상에 용해되는 수상파트를 75 내지 80℃에서 용해시키고, 여기에 카보머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을 시켜 내용물 내부에 네트워크 즉 영양캡슐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일종의 망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교반을 하면서 온도를 65℃로 유지하고, 계면활성제 파트를 투입하여 조성물의 기본 조성을 만든다. 다음 공정으로 제2의 분산제인 폴리쿼터늄-10을 넣고 용해시킴으로써 캡슐분산의 안정화를 돕는다. 40℃까지 냉각을 시킨 후, 방부제와 향료, pH 조절제, 착색제(안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녹색의 샴푸 베이스를 만든다. 다음 공정으로 반드시 25℃ 이하의 온도에서 영양캡슐을 투입하고 1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분산시킨 다음, 영양제들을 추가로 투입하고 교반, 혼합시키는 과정을 약 1시간 동안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허브성분인 영양제들이 파괴되지 않고 영양제가 갖고 있는 효능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한 온도이며, 혼합과정을 천천히 약 1시간 동안 하는 이유는 영양캡슐에 상처를 주거나 또는 영양캡슐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영양캡슐의 깨짐이나 상처로 인한 영양성분의 효능의 손실 및 파괴를 막기 위함이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양캡슐 및 영양제의 투입 이전까지의 혼합단계들이 일반 샴푸 제조공정과 유사하며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진행됨에 비하여, 영양캡슐 및 영양제의 혼합은 25℃ 이하의 저온에서 수행되는 저온제조 공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발이 가늘어지거나 또는 약해질 때 두피에 각종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간편하게 세발하면서 모발과 두피에 항상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허브추출물들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특히 산패되기 쉬운 성분들을 캡슐 내에 내포시킨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장업분야의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들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영양캡슐의 모식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영양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들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관능시험에 참여한 패널들 중 손상된 모를 가진 패널들의 손상모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6 및 도 7들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관능시험에 참여한 패널들 중 극손상된 모를 가진 패널들의 극손상모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8은 상기 손상모 및 극손상모를 가진 패널들이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들 중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회복된 상태의 모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Claims (3)

  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 30 내지 40중량%;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추출물,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추출물, 캐모마일(Anthemile nobilis) 꽃 추출물, 알로에베라(Aloe barbadensis) 잎 추출물, 마편초(Verbena officinalis) 추출물,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추출물,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잎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영양제 10 내지 20중량%; 카보머 또는 폴리쿼터늄-1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제 3 내지 8중량%; 캡슐 내에 내포되는 성분으로서 케라틴아미노산,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잎 오일, 금송(Sciadopitys verticillata) 뿌리 추출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내용물과 상기 캡슐내용물을 감싸는 성분으로서 알진, 아가, 크로뮴옥사이드그린, 잔탄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캡슐제로 이루어지는 영양캡슐 0.1 내지 1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글리세린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습제 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대전방지제, 이온봉쇄제, 변색방지제,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착색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보조첨가제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KR1020090013205A 2009-02-18 2009-02-18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KR10105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205A KR101050427B1 (ko) 2009-02-18 2009-02-18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205A KR101050427B1 (ko) 2009-02-18 2009-02-18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05A KR20100094005A (ko) 2010-08-26
KR101050427B1 true KR101050427B1 (ko) 2011-07-19

Family

ID=4275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205A KR101050427B1 (ko) 2009-02-18 2009-02-18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780B1 (ko) 2020-03-25 2020-10-27 국양임 세정력 및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8068A (ko)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564B1 (ko) * 2010-10-06 2012-03-23 차보영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WO2013015665A1 (es) * 2011-07-25 2013-01-31 Aguilar Sanchez Jose Luis Formulación a base de extracto de plantas medicinales, alquitrán de hulla y ácido salicílico para el efectivo control de psoriasis, método de obtención del extracto y formas de administración de la formulación
KR101424986B1 (ko) * 2014-01-02 2014-08-01 (주) 아름다운 화장품 무실리콘 제형의 모발 및 두피 세정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080A (en) 1980-02-07 1982-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yridinethione salts and hair care compositions
KR100508528B1 (ko) 2002-09-12 2005-08-17 이충우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080A (en) 1980-02-07 1982-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yridinethione salts and hair care compositions
KR100508528B1 (ko) 2002-09-12 2005-08-17 이충우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68A (ko)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102170780B1 (ko) 2020-03-25 2020-10-27 국양임 세정력 및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모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05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034B1 (en) Method for applying a skin treatment
KR101047785B1 (ko)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CN107913218A (zh)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复方精华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4906015A (zh) 燕窝净白美容面膜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27B1 (ko)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JP2001097842A (ja) 天然物由来ニキビ治療剤。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69542B (zh) 一种含有木瓜和荷叶提取物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20090099110A (ko) 나노 은이 함유된 기능성 영양 크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081037A (ja) 化粧料組成物
JP2001031521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3565700A (zh) 一种黑果枸杞美白保湿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090132418A (ko) 허브추출물들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640836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护肤水及其制备方法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