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908B1 -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 Google Patents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908B1
KR101046908B1 KR1020080087530A KR20080087530A KR101046908B1 KR 101046908 B1 KR101046908 B1 KR 101046908B1 KR 1020080087530 A KR1020080087530 A KR 1020080087530A KR 20080087530 A KR20080087530 A KR 20080087530A KR 101046908 B1 KR101046908 B1 KR 10104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heating wire
periodic wave
user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8688A (en
Inventor
천장성
황상연
최용식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주식회사 티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주식회사 티에스에이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8008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908B1/en
Publication of KR2010002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주기파(periodic wave)를 생성하는 주기파 생성 유닛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유닛과; 상기 주기파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주기파와의 차(差)의 부호가 미리 정해진 것에 해당하면, 그 해당하는 시간동안에 미리 정해진 크기(Vpwm)의 출력 신호(Vo)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되도록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별도의 마이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오피앰프와 저항의 조합으로 얻어질 수 있는 주기파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기준 신호를 비교기에 의하여 비교하여,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큰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작은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형 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트에 설치된 열선에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자유 자재로 조절하여 열선 시트의 온도를 정교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ot wire sheet for automobiles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prising: a periodic wav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eriodic wave that periodically rises and falls; A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stant reference signal over time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comparing the periodic wave with the reference signal, if the sig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periodic wav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an output signal Vo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Vpwm is generated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Comparator; A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vehicle seat such that curren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to generate heat; A reference signal obtained by a user's switching operation and a reference signal obtained by a user's switching operation are compared by using a comparator, even if a separate microcomputer is not provided, Only by a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heat, or by a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only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periodic wav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per unit time to the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sheet can be freely determined. It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heating sheet that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heet to meet the user's intention while precisely.

자동차, 열선 시트, 온도 제어, 주기파  Automotive, heated wire sheet, temperature control, periodic wave

Description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HEATING SEAT FOR AUTOMOBILE}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HEATING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를 배제하여 정숙한 제어를 할 수 있으면서도 마이콤을 구비하지 않아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의 회로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온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trol quietly by excluding a relay, but does not have a microcomputer,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t various temperatures suitable for a user's taste by a circuit of low cost and simpl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utomobiles that can be finely adjusted.

추운 겨울철에 운전자가 탑승하면 차가운 시트에 의하여 추위를 크게 느끼게 되고, 체온이나 온풍에 의해 시트를 덥히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감기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자동차의 시트는 열선이 설치되어 전류를 통전시켜 직접 시트를 가열하여 데우는 방식의 열선 시트의 장착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When the driver boards in the cold winter, the cold seat is greatly felt by the cold seat, and it takes a long time to warm the seat by body temperature or warm ai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catching a cold increase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mounting rate of a hot wire sheet of a vehicle in which a hot wire is installed and an electric current is supplied to directly heat the seat is heated.

이와 같은 열선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은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HIGH 모드와 LOW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열선 시트의 열선에 인가되어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열선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이 조절 되어 높은 온도 또는 낮은 온도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추운 날씨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을 시작하는 때에는 고온의 HIGH 모드로 설정하여 시트의 온도를 급격히 높히고, 히터 등으로 실내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LOW 모드를 선택하여 열선 시트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조절한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sheet, a heating amount generated from the heating line by selecting one of a HIGH mode and a LOW mode by an input of a user such as a driver to adjust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line of the heating sheet. This can be adjusted to either high or low temperature. Therefore, when the driver boards and starts driving in cold weather, the high temperature mode is set to a high temperature to increase the seat temperature drastically.When the temperature of the room is sufficiently high with a heater or the like, select the LOW mod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sheet. Adjust with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열선 시트를 각각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인 HIGH 모드에서는 쿠션(cushion)에 위치한 열선 저항(R1)과 등받침부(back)에 위치한 열선(R2)이 병렬로 연결되는 데 반하여, 낮은 온도인 LOW 모드에서는 쿠션(cushion)에 위치한 열선 저항(R1)과 등받침부(back)에 위치한 열선(R2)이 릴레이에 의해 직렬 연결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낮은 발열량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 때, 열선 저항(R1,R2)에 인가되는 전압(V)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이콤을 장착한 제어 유닛은 매우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어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실제 제품에는 동일한 전압(V)으로 인가되며, 릴레이에 의하여 열선 저항(R1,R2)의 배선을 직/병렬로 상호 전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열량을 조절한다. 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conventional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to a high temperature and a low temperature, respectively, in the high mode, which is a high temperature,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located on the cushion and the heating wire R2 located on the back support part. In parallel with this connection, in the low temperature LOW mode, the heating wire resistor R1 located on the cushion and the heating wire R2 located on the back are further converted by a relay into a series connection. Low calorific value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equipped with a microcomputer to adjust the voltage (V) applied to the heating wire resistors (R1, R2) is very complicated and expensive, so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 actual product has the same voltage ( It is applied to V) and regulate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switching the wiring of the heating wire resistors R1 and R2 in series / parallel by a relay.

한편,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조절과 관련하여, HIGH 모드에서의 온도만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국내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조되는 열선 시트의 쿠션에 위치한 열선 저항(R1)은 등받침부에 위치한 열선 저항(R2)과 동일한 저항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HIGH 모드와 LOW 모드를 직/병렬 연결의 전환에 의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종래의 조절 방법은, 쿠션에 위치한 열선 저항(R1)과 등받침부에 위치한 열선 저항(R2)이 동일한 저항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각 각의 열선 저항(R1,R2)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이 HIGH 모드와 LOW 모드에서 상호 역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automotive heating sheet, because only the temperature in the HIGH mode is regulated,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located on the cushion of the heating wire sheet manufactured by domestic car manufacturers is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located in the backrest portion In general, it is not made of the same resistanc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switching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by switching the serial / parallel connection,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located on the cushion and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located on the backrest are made of the same resistance. If no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each of the heating wire resistors R1 and R2 is reversed i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즉, 쿠션(cushion)의 열선 저항(R1)이 등받침부(back)의 열선 저항(R2)보다 약 10%만큼 더 높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IGH 모드에서는, 쿠션의 열선 저항(R1)에서 발생되는 열량(Q1)은 V2/R1이며, 등받침부에 위치한 열선 저항(R2)에서 발생되는 열량(Q2)은 V2/R2가 되므로, Q1:Q2은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한다.That is, a case in which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is formed by about 10% higher than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of the back portion, for example, will be shown in the HIGH mode as shown in FIG. 1A. In the heat quantity Q1 generated at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V 2 / R1, and the heat quantity Q2 generated at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located at the backrest portion becomes V 2 / R2, so that Q1: Q2 holds the following equation (1).

Q1:Q2 = 1/R1:1/R2 = 91:100Q1: Q2 = 1 / R1: 1 / R2 = 91: 100

즉, HIGH 모드에서는 쿠션의 열선 저항(R1)에서 발생되는 열량(Q1)이 등받침부의 열선 저항(R2)에서 발생되는 열량(Q2)보다 작다. That is, in the HIGH mode, the amount of heat Q1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heat Q2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of the backrest portion.

이에 반하여,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W 모드에서는, 쿠션의 열선 저항(R1)에서 발생되는 열량(Q1)은 (V/(R1+R2))2*R1이며, 등받침부에 위치한 열선 저항(R2)에서 발생되는 열량(Q2)은 (V/(R1+R2))2*R2가 되므로, Q1:Q2는 다음의 수학식 2가 성립한다.On the contrary, in the LOW mode, as shown in FIG. 1B, the heat quantity Q1 generated at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is (V / (R1 + R2)) 2 * R1, and the heating wire resistance located at the backrest por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Q2 generated at (R2) becomes (V / (R1 + R2)) 2 * R2, the following equation (2) holds for Q1: Q2.

Q1:Q2=R1:R2=24.9:22.7Q1: Q2 = R1: R2 = 24.9: 22.7

즉, LOW 모드에서는 쿠션의 열선 저항(R1)에서 발생되는 열량(Q1)이 등받침 부의 열선 저항(R2)에서 발생되는 열량(Q2)보다 크다. That is, in the LOW mode, the amount of heat Q1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heat Q2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of the backrest part.

다시 말하면, HIGH 모드와 LOW 모드에서 열선 저항(R1,R2)의 배치가 병렬로부터 직렬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HIGH 모드에서는 쿠션 열선 저항(R1)에서의 발열량(Q1)이 등받침부 열선 저항(R2)에서의 발열량(Q2)보다 작지만, LOW 모드에서는 쿠션 열선 저항(R1)에서의 발열량(Q1)이 등받침부 열선 저항(R2)에서의 발열량(Q2)보다 커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되므로, HIGH 모드에서는 등 부분이 더 따뜻하지만 LOW 모드에서는 히프 부분이 더 따뜻해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일관되고 안정감있는 따뜻한 상태를 느끼지 못하여 은연중에 온도 역전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when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wire resistors R1 and R2 is switched from parallel to series i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n the HIGH mod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Q1 in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or R1 is equal to the backrest heating wire resistance ( Although it is smaller than the heat generation amount Q2 at R2), in the LOW mode, a reversal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heat generation amount Q1 at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ance R1 is larger than the heat generation amount Q2 at the backrest portion heating wire resistance R2. In the mode, the back part is warmer, but in the LOW mode, the bottom part is warmer,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 consistent and stable warm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discomfort due to temperature reversal.

또한, 쿠션의 열선 저항(R1)과 등받침부의 열선 저항(R2)을 서로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더라도, 직렬과 병렬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HIGH 모드와 LOW 모드로 제어되므로 각 모드의 발열량 차이는 약 4:1정도로 고정될 수 밖에 없게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이나 신체 상태에 따라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여 발열량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1) of the cushion and the heating wire resistance (R2) of the backrest are set to the same value, the heating value difference of each mode is approximately 4 because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by switching in series and in parallel. : Only to be fixed to about 1,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calorific value by setting to a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physical condition.

그리고, 열선 저항(R1,R2)에서의 발열량을 HIGH 모드와 LOW 모드로 조절하기 위하여, 병렬과 직렬을 상호 변환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인 장치인 릴레이를 사용함에 따라 딸깍하는 기계적인 작동 소음이 야기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heating values of the heating wire resistors R1 and R2 to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a mechanical mechanical noise is generated by using a relay, which is a mechanical device, in the process of mutual conversion between parallel and series. There was also a problem causing user discomfor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릴레이를 배제하여 정숙하게 온도를 제어를 할 수 있으면서도, 마이콤을 구비하지 않아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의 회로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emperature quietly by excluding the relay, but does not have a microcomputer and can be adjusted to various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a circuit of low cost and simple configu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발열량의 차이를 대략 4:1로 설정되어야 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원하는 취향에 따라 발열량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한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limitatio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orific values of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should be set to about 4: 1 as in the prior art, and it is easy to configure so that the calorific valu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tast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n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로서, 주기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주기파(periodic wave)를 생성하는 주기파 생성 유닛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유닛과; 상기 주기파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주기파와의 차(差)의 부호가 미리 정해진 것에 해당하면, 그 해당하는 시간동안에 미리 정해진 크기(Vpwm)의 출력 신호(Vo)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되도록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ot wire sheet for automobiles whose tempera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a periodic wav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eriodic wave that rises and falls periodically; ; A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stant reference signal over time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comparing the periodic wave with the reference signal, if the sig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periodic wav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an output signal Vo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Vpwm is generated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Comparator; A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vehicle seat such that curren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to generate heat; It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는, 별도의 마이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오피앰프와 저항의 조합으로 얻어질 수 있는 주기파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기준 신호를 비교기로 비교하여,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큰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작은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형 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트에 설치된 열선에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전류를 펄스 형태로 조절하여 온도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compares the reference signal obtained by the user's switching operation with the periodic wave that can be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p amp and the resistor, using a comparator, even if a separate microcomputer is not provided. By applying heat to generate heat, or by a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only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periodic wave, the applied type of heat is generated. This is to make a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inexpensively.

이 때,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기준신호를 포함하여, 주기적인 펄스 형태의 전류(또는 전압)가 상기 열선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HIGH 모드에서는 전류가 항상 열선에 인가되어 높은 발열량을 발생시켜 높은 온도로 유지하는 반면에, LOW 모드에서는 전류가 간헐적으로 열선에 인가되어 낮은 발열량을 발생시켜 낮은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t this time, the reference signal includes a third reference signal positione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so that a current (or voltage) in the form of a periodic pulse is applied to the hot wire. Accordingly, in the HIGH mode, the current is always applied to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a high heat generation amount to maintain a high temperature, while in the LOW mode, the current is intermittently applied to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a low heat generation amount to maintain the low temperature. do.

특히,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서 변동 가능하게 생성되어 펄스 형태의 출력 신호의 펄스폭(a)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OW 모드가 미리 정해진 하나의 발열량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조건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온도 범위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n particular, the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generate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so that the pulse width (a) of the output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OW mode generates one predetermined heating value. It is not limited to one condition to allow, but it is possible to adjust to a variety of temperature range by generating heat of various size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and the like.

이 때, 상기 기준신호가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서 변동하 는 것은 토글 스위치와 같은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준 신호의 크기를 주기파의 피크치와 하한치 사이에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펄스 파형의 출력 신호의 펄스폭 영역의 폭(a)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LOW 모드에서 발생되는 발열량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변 저항에 의하여 기준 신호의 크기가 주기파의 피크치로부터 하한치의 사이를 이탈하도록 조절되면, HIGH 모드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서 가변 저항의 변화에 의하여 OFF모드, 발열량이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LOW 모드 및 HIGH 모드를 한꺼번에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ference signal fluctuates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using a variable resistor such as a toggle switch. In this way,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of the periodic wa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dth (a) of the pulse width reg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ulse waveform, through which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LOW mode It can be adjusted freely. At this time, if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is controlled to deviate between the lower limit and the peak value of the periodic wave by the variable resistor, the OFF mode and the LOW mode in which the calorific value is continuously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or without separately setting the HIGH mode. And HIGH mode can be implemented at once.

즉, "LOW 모드"가 하나의 발열량 조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전류를 열선 저항에 공급하는 종래의 HIGH 모드와 구별되도록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LOW 모드"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서, 반드시 "LOW 모드"로 설정되는 상태에서만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국한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전류를 열선 저항에 공급하는 종래의 HIGH 모드를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 제외시키더라도, 펄스 형태의 출력 신호의 펄스폭(a)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에 따라 열선 저항에 전류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다양한 크기의 발열 조건을 구현하기만 한다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That is, the term "LOW mode" is not limited to one calorific value condition, and the term "LOW mode" is used herein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it from the conventional HIGH mode which continuously supplies current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It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current intermittently or periodically only in the state set to ", even if the conventional HIGH mode of continuously su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is exclud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s long as the pulse width (a) of the signal is adjusted to supply current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intermittently or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to implement heat generation conditions of various sizes. .

그리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보다 큰 제1신호와 상기 주기파의 하한값보다 작은 제2신호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는,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 오프(OFF) 모드의 기준 신호와, 상기 열선에 전류를 지 속적으로 인가하는 하이(HIGH) 모드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erence signal includes a first signal larger than a peak value of the periodic wave and a second signal smaller than a lower limit of the periodic wave, from which the output signal is turned off without a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 ) And a reference signal in a high mode for continuously a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

한편, 상기 열선은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에 대하여 상호 병렬로 연결되며, 릴레이 등에 의하여 모드에 따라 직렬 연결로 변환되지 않는 병렬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선은 HIGH 모드인 경우에만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LOW 모드인 경우에도 병렬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HIGH 모드에서는 열선 저항에 전류를 지속적으로 인가시키도록 하는 출력 신호에 의하여 가장 높은 열이 발생되며, LOW 모드에서는 펄스 신호에 따라 펄스폭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만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열선 저항에 전류를 인가시키도록 하는 출력 신호에 의하여 보다 낮은 열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wir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signal, it is maintained in a parallel state that is not converted to a serial connection depending on the mode by a relay or the like. In other words, the hot wi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nected in parallel only in the HIGH mode but are maintained in parallel even in the LOW mode. Accordingly, in the HIGH mode, the highest heat is generated by the output signal for continuously a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and in the LOW mode, the heating wire resistance is intermittently or periodically only during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ulse width according to the pulse signal. Lower heat is generated by an output signal that causes a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circuit.

상기 주기파는 삼각파, 톱니파, 사다리꼴파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변 저항에 의해 조절되는 기준 신호의 크기가 주기파의 피크치와 하한치의 사이에서 조절되어 열선 저항에 인가되는 전류의 인가 시간을 결정하게 되는데, 삼각파, 톱니파, 사다리꼴 파는 그 파형의 기울기가 선형적이어서 가변 저항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 신호의 크기와 전류의 인가 시간의 상관 관계도 선형적으로 단순해지므로, 펄스 형태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펄스폭(a)을 원하는 폭으로 제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The periodic wave is preferably generated by any one of a triangular wave, sawtooth wave, and trapezoidal wave. This is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controlled by the variable resistor is adjuste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of the periodic wave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ot wire resistance. The triangle wave, sawtooth wave, and trapezoidal wave have a linear slope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variable resistor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current is also linearly simplified, controlling the pulse width a to a desired width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output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It becomes easi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로서, 주기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주기 파(periodic wave)를 생성하는 주기파 생성 유닛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유닛과; 상기 주기파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주기파와의 차(差)의 부호가 미리 정해진 것에 해당하면, 그 해당하는 시간동안에 미리 정해진 크기(Vpwm)의 출력 신호(Vo)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되도록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별도의 마이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오피앰프와 저항의 조합으로 얻어질 수 있는 주기파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기준 신호를 비교기에 의하여 비교하여,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큰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기준 신호가 주기파보다 작은 경우에만 열선에 전류를 인가형 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트에 설치된 열선에 공급하는 전류를 자유 자재로 조절하여 열선 시트의 온도를 정교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eating coil sheet for an automobile in which a tempera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comprising: a periodic wav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eriodic waves that periodically rise and fall; A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stant reference signal over time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comparing the periodic wave with the reference signal, if the sig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periodic wav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an output signal Vo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Vpwm is generated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Comparator; A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vehicle seat such that curren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to generate heat; A reference signal obtained by a user's switching operation and a reference signal obtained by a user's switching operation are compared by using a comparator, even if a separate microcomputer is not provided, Only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heat, or by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heating wire only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periodic wav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installed on the sheet can be freely adjusted. Provided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n automotive heating sheet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eat to meet the user's intention.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릴레이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변경시에 딸깍거리는 기계적인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정숙한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use of a relay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to provide a quiet operating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mechanical noise generated when changing the HIGH mode and LOW mode.

그리고, 본 발명은 HIGH 모드와 LOW 모드에 관계없이 쿠션 열선 저항(RR1)과 등받이부 열선 저항(RR2)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HIGH 모드와 LOW 모드로의 전환에 의하여 발열량이 역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ance RR1 and the backrest heating wire resistance RR2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regardless of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so tha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switching to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s reduced. The phenomenon of reversal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HIGH 모드와 LOW 모드를 직병렬로 상호 전환하는 것에 의 해 이루어지는 종래의 장치에서는 소비 전력이 정해짐에 따라 이들 사이의 발열량의 비율을 대략 4:1로 고정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발열량의 비율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med by switching betwee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n series and parallel, the ratio of heat generation amount between these is fixed at approximately 4: 1 as the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The problem is solved, and the ratio of heat generation i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100)는, 일정한 주기로 피크값(110b)과 하한치(110c)를 오르고 내리는 주기적인 파형인 삼각파(110a)를 생성하는 주기파 생성부(110)와, 사용자의 스위칭 입력에 따라 시간(t)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신호 생성부(120)와, 주기파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삼각파(110a)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입력된 기준 신호(121-123)를 비교하여 기준 신호(121-123)로부터 삼각파(110a)를 뺀 값이 (-)의 부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만 Vpwm로 출력하는 출력 신호(Vo,Vo',Vo",Vo"')를 출력하는 비교기(130)와, 비교기(130)로부터의 출력 신호(Vo)에 따라 전력 소자(FET)를 트리거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에 열이 발생되어 시트의 온도를 높히는 열선저항회로(140)로 구성된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ot wire she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100 for a car heating wir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angular wave that is a periodic waveform that rises and falls a peak value 110b and a lower limit 110c at regular intervals. Periodic wave generator 110 for generating 110a, a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for generating a constant reference signal over time t according to a user's switching input, and periodic wave generator 110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riangular wave 110a from the reference signal 121-123 by comparing the triangular wave 110a generated by the reference signal 121-123 input by the user's switching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sign of (-). The comparator 130 outputs the output signals Vo, Vo ', Vo ", Vo"' which are output to Vpwm only for a period of time, and the power device FE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Vo from the comparator 130. Triggering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generate heat during the time that the current is applied It is composed of a heat resistance circuit 140 for raising the degree.

상기 주기파 생성부(110)는 도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DC 12V의 전원(IGN)을 공급받아 OP 앰프(111)와 저항(R3-R7) 및 캐패시터(C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회로에 의하여 삼각파(110a)를 생성한다. 한편, 주기파 생성부(110)는 피크치(110b)와 하한치(110c)가 일정한 주기적인 파형을 생성하면 충분하므로, 삼각파 이외에 도9a에 도시된 톱니파(110a'), 도9b에 도시된 사다리꼴 파(110a"), 도9c에 도시된 싸인파(110a"')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기준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되는 기준 신호가 토글 스위치와 같은 가변 저항에 의해 임의의 크기를 갖도록 생성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펄스 파형의 출력 신호(Vo)의 펄스폭(a)을 용이한 조절하기 위하여 파형의 기울기가 선형인 삼각파(110a), 톱니파(110a'), 사다리꼴파(110a"')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주기적인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 구성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알려진 회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3, the periodic wave generator 110 receives a power supply IGN of DC 12V of a vehicle, and combines the OP amplifier 111, the resistors R3-R7, and the capacitor C3. The triangular wave 110a is generated by a circuit formed of the sam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eriodic wave generator 110 is sufficient to generate a periodic waveform whose peak value 110b and the lower limit value 110c are constant, the sawtooth wave 110a 'shown in FIG. 9A and the trapezoidal wave shown in FIG. 9B in addition to the triangular wave. 110a "and the sine wave 110a" 'shown in FIG. 9C may be generated. However, when the reference signal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is generated to have an arbitrary size by a variable resistor such as a toggle switch, the pulse width a of the output signal Vo of the pulse waveform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For ease of adjustment, the waveform is preferably one of a triangular wave 110a, a sawtooth wave 110a ', and a trapezoidal wave 110a' ', which are linear in shape. Since it is known, any one of known circuit configurations may b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SWL,SWH)의 조작에 따라 비교기(130)로 일정한 크기의 전압(Vref)이 기준 신호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가 HIGH 모드일 때 조작하는 스위치(SWH)에 인접한 저항(R10)은 LOW 모드일 때 조작하는 스위치(SWL)에 인접한 저항(R9)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IGH 모드일 때 발생되는 기준 신호(121)는 보다 많은 전압이 저항(R10)에서 손실되므로 LOW 모드일 때 발생되는 기준 신호(122)보다 더 낮은 값을 갖는다. 도5의 도면 부호 123은 사용자가 어떠한 스위치도 조작하지 않아 OFF 모드일 때 발생되는 기준 신호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4,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inputs a voltage Vref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s a reference signal to the comparator 130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es SWL and SWH operated by a user. . At this time, the resistor R10 adjacent to the switch SWH operated by the user in the HIGH mode is set larger than the resistor R9 adjacent to the switch SWL operated in the LOW mode,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reference signal 121 generated in the HIGH mode has a lower value than the reference signal 122 generated in the LOW mode because more voltage is lost in the resistor R10. Reference numeral 123 of FIG. 5 denotes a reference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any switch and is in the OFF mode.

여기서, LOW 모드일 때 발생되는 기준 신호(122)의 전압값은 주기파 생성부(110)로부터 생성되는 삼각파(110a)의 피크치(110b)와 하한값(110c)의 사이 영역에 위치되도록 저항값(R9)이 정해진다.Here, the voltage value of the reference signal 122 generated in the LOW mode is a resistance value (such that it is located in the region between the peak value 110b and the lower limit value 110c of the triangular wave 110a generated from the periodic wave generator 110). R9) is determined.

상기 비교기(130)는 도5에 함께 도시된 기준 신호(121-123)와 삼각파(110a)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삼각파(110a)가 기준 신호(121-123)보다 큰 경우에는 (+)의 전압값(Vpwm)을 출력하고, 삼각파(110a)가 기준 신호(121-123)보다 작은 경우에는 0의 전압값(Vpwm)을 출력하여 출력 신호(Vo)를 생성한다. The comparator 130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reference signals 121-123 and the triangular wave 110a shown in FIG. 5 in real time, and (+) when the triangular wave 110a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ignals 121-123. Outputs the output voltage Vo by outputting a voltage value Vpwm and outputting a voltage value Vpwm of zero when the triangle wave 110a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gnals 121-123.

이에 따라, 사용자가 HIGH 모드로 조작하기 위하여 HIGH 모드 스위치(SWH)를 ON시킨 경우에는, 기준 신호(121)가 삼각파(110a)보다 항상 작으므로, 항상 Vpwm의 전압값을 갖는 도6a에 도시된 출력 신호(Vo')가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LOW 모드로 조작하기 위하여 LOW 모드 스위치(SWL)를 ON시킨 경우에는, 기준 신호(122)가 삼각파(110a)에 걸쳐 있으므로, 기준 신호(122)가 삼각파(110a) 보다 작은 동안(도5에서 'a' 로 표시된 영역)에만 전압 Vpwm의 전압값을 가지며, 기준 신호(122)가 삼각파(110a) 보다 큰 동안(도5에서 'a' 로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는 0의 전압값을 갖는 도6b에 도시된 펄스 파형의 출력 신호(Vo")가 출력된다. 한편, 사용자가 어떠한 스위칭 입력도 하지 않은 OFF 모드인 경우에는, 기준 신호(123)가 삼각파(110a)보다 항상 크므로, 항상 0의 전압값을 갖는 도6c에 도시된 출력 신호(Vo"')가 출력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turns ON the HIGH mode switch SWH to operate in the HIGH mode, since the reference signal 121 is always smaller than the triangle wave 110a, it is always shown in Fig. 6A having a voltage value of Vpwm. The output signal Vo 'is output. Further, when the user turns on the LOW mode switch SWL to operate in the LOW mode, the reference signal 122 spans the triangular wave 110a, so that the reference signal 122 is smaller than the triangular wave 110a ( 5 only has a voltage value of the voltage Vpwm, and a voltage value of 0 while the reference signal 122 is larger than the triangular wave 110a (area not indicated by 'a' in FIG. 5). The output signal Vo " of the pulse waveform shown in Fig. 6B is output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in the OFF mode without any switching input, the reference signal 123 is always larger than the triangular wave 110a. , The output signal Vo " 'shown in Fig. 6C, which always has a voltage value of zero, is output.

상기 열선저항회로(140)는 도6a 내지 도6c에 도시된 비교기(130)로부터의 출력 신호(Vo',Vo",Vo"')에 따라 전력 소자(FET)를 트리거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에 열이 발생되어 시트의 온도를 높히도록 구성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HIGH 모드, LOW 모드, OFF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조작하는 것에 관계없이 발열을 위한 열선저항(RR1,RR2)은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에 대하여 상호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hot wire resistance circuit 140 triggers the power device FET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s Vo ', Vo ", and Vo"' from the comparator 130 shown in FIGS.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heat during the time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heet, as shown in Figure 7, the user is to generate heat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any one of the HIGH mode, LOW mode, OFF mode The heating wire resistors RR1 and RR2 are maintai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signal.

이 때, 비교기(130)로부터의 출력 신호(Vo)는 전류의 용량이 100mA 이하로 작으므로, 전력 소자(FET)를 트리거하여 열선 저항(RR1,RR2)에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열선 저항(RR1,RR2)의 상측에는 엔진부로부터의 전압(IGN)이 인가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signal Vo from the comparator 130 has a small current capacity of 100 mA or less, the power element FET is triggered so that a current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to the heating wire resistors RR1 and RR2. . To this end, the voltage IGN from the engine unit is applied above the heating wire resistors RR1 and RR2.

따라서, 열선 저항(RR1,RR2)에는 출력 신호(Vo)가 Vpwm의 전압값을 갖는 시간동안에만 소정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시트를 데우게 된다. 이 때,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전환이 쿠션 열선 저항(RR1)과 등받이측 열선 저항(RR2)을 직병렬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쿠션 열선 저항(RR1)과 등받이측 열선 저항(RR2)에 인가되는 전압(또는 전류)의 펄스폭(a)의 조절에 의하여 열선 저항(RR1,RR2)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쿠션 열선 저항(RR1)과 등받이측 열선 저항(RR2)의 직병렬의 전환을 위해 필요했던 릴레이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딸깍거리는 기계적인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LOW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가 삼각파(110a)의 어느 위치에 걸쳐지는 가에 따라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발열량의 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종래에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발열양의 비가 4:1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전환 시에 쿠션 열선 저항(R1)에서 의 발열량과 등받이측 열선 저항(R2)의 크기가 역전되었던 종래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Therefore, a predetermined current flows in the heating wire resistors RR1 and RR2 only during the time when the output signal Vo has a voltage value of Vpwm, thereby heating the sheet. At this time, the switching between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s not performed by switching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ance RR1 and the backrest side heating wire resistance RR2 in parallel and parallel, but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ance RR1 and the backrest side heating wire resistance RR2. Since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s RR1 and RR2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a of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wire, the cushion heating wire resistance RR1 and the backrest heating wi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elay required for the series-parallel switching of the resistor RR2,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click mechanical noise, the reference signal in the LOW mode is the The ratio of the heating value of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position is spread over the position. As a result, the ratio of the heating amount of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4: 1, and the heating value of the cushion heating line resistance R1 and the backrest side heating wire resistance R2 were not changed. An advantageous effect is obtained that can at once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reversed size.

무엇보다도, 종래에는 HIGH 모드시의 온도와 LOW 모드시의 온도를 동시에 설정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은 HIGH 모드 시의 온도만 설정하면, LOW 모드 시의 온도는 전압의 조절(즉, LOW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가 삼각파(110a)의 어느 위치에 걸쳐지도록 할 것인지의 조절)로써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는 도7의 a, b, c로 표시된 지점을 릴레이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결선이 복잡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열선 저항 회로(140)는 릴레이의 연결이 배제됨에 따라 결선자체가 매우 단순하므로 저렴하면서도 고장 발생률이 낮아지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bove all, in the related art, the temperature in the HIGH mode and the temperature in the LOW mode have to be set at the same tim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the temperature in the HIGH mode is set, the temperature in the LOW mode is adjusted in voltage (that is, in the LOW mode). It is possible to set to the desired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signal of the triangular wave (110a) to be covered.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points indicated by a, b, and c of FIG. 7 must be connected to the relay, the wiring was complicated. However, since the wiring itself is very simple as the connection of the relay is excluded, the wiring itself is very simple. Inexpensive and low failure rate configurations can be implemente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선 저항(RR1,RR2)을 서로 병렬로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열선 저항(RR1, RR2)은 상호 직렬로 연결한 상태로 HIGH 모드, LOW 모드, OFF 모드에 관계없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동일한 작용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HIGH 모드와 LOW 모드에 대하여 모두 서모스탯이 연결되는 구성이 되므로, 종래에 HIGH 모드에서만 서모스탯이 연결됨에 따라 LOW 모드에서 백쇼트(back short)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면 과열을 방지하지 못하여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t wire resistors RR1 and RR2 are kep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hot wire resistors RR1 and RR2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t can be configured to remain independent of the HIGH mode, the LOW mode, or the OFF mode to achieve the same effect. In this case, since the thermostat is connected to both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the thermostat is conventionally connected only in the HIGH mode, and thus prevents overheating when a problem such as a back short occurs in the LOW mode. It can not solve the problem that there was a risk of fire.

그리고, 도4에는 HIGH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스위치(SWH)와 LOW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스위치(SWL)만을 구비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R9, R10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저항과 직렬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가 연결되어 이들 스위치 조작 에 의하여 다양한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4 illustrates only a switch SWH for operating in a HIGH mode and a switch SWL for operating in a LOW mode, but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with resistors of different sizes corresponding to R9 and R10. May be connected and configured to operate in various modes by operating these switches.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기준신호 생성부(120)는 HIGH 모드와 LOW 모드를 이분(二分)하여 각각의 기준 신호(121,122)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지만, HIGH 모드와 LOW 모드의 이분(二分)적인 모드를 구현하지 않고, 별도의 제어 유닛이나 마이콤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열선 저항에 전류가 전혀 인가되지 않는 OFF모드와 열선 저항에 전류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HIGH 모드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도8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기준신호 생성부(120')를 적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spective reference signals 121 and 122 by dividing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nto two parts, but the two parts of the HIGH mode and the LOW mod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hange between the OFF mode where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and the HIGH mode where the current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heating wire resistance without implementing a separate mode an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control unit or a microcomputer. Another form of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 shown in FIG. 8 may be appli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8의 기준신호 생성부(120')에는 HIGH 모드나 LOW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L, SWH)가 장착되는 대신에 가변 저항(Rv)로 형성되는 토글 스위치가 장착됨에 따라, 가변 저항(Rv)이 OFF 상태인 경우의 기준 신호는 도5의 OFF 모드인 상태에서의 기준 신호(123)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가 생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변 저항(Rv)의 저항값이 점점 커지면 도5의 삼각파(110a)의 피크치(110b)로부터 하한치(110c)에 근접하는 기준 신호(122)가 생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reference signal generator 120 ′ of FIG. 8 is equipped with a toggle switch formed of a variable resistor Rv instead of the switches SWL and SWH for selecting the HIGH mode or the LOW mode. Accordingly, a referen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ignal 123 in the OFF mode of FIG. 5 is generated as a reference signal when the variable resistor Rv is in an OFF state. As the resistance value becomes larger, the reference signal 122 approaching the lower limit 110c is generated from the peak value 110b of the triangle wave 110a of FIG.

이 때, 가변 저항(Rv)의 미세한 조정에 의하여 도5의 도면부호 122로 표시된 기준 신호의 값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LOW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는 저항값(R9)에 따라 도5의 도면 부호 122로 표시된 것으로 고정되지만, 도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토글 스위치의 조작함에 따라 도면 부호 122L 또는 122H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변 저항(Rv)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출력 신호(Vo)의 펄스 신호의 펄스폭(a)이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조정되므로, 열선 저항(RR1,RR2)에는 다양한 펄스폭을 갖는 전류가 인가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미리 정하지 않은 어떠한 온도로도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변 저항(Rv)의 저항값이 작아져 삼각파(110a)의 하한치보다 작아지면, 전술한 일 실시예의 HIGH 모드와 동일한 발열량이 열선 저항(RR1,RR2)에서 발생된다.At this time, the fin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v continuously changes the value of the reference signal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2 in FIG. 5.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reference signal in the LOW mode is fix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2 in FIG. 5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R9.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v chang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2L or 122H as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pulse width a of the pulse signal of the output signal Vo is finely adjusted accordingly. Currents having various pulse widths can be applied to RR1 and RR2,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continuously at any temperature not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Rv becomes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triangular wave 110a, the same amount of heat generated as the HIGH mod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generated in the heating wire resistances RR1 and RR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도1a는 종래의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HIGH 모드 상태에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Figure 1a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in the HIGH mode stat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도1b는 종래의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HIGH 모드 상태에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Figure 1b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in the HIGH mode stat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의 주기파 생성부의 상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a periodic wave generator of FIG.

도4는 도2의 기준전압 생성부의 상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of FIG.

도5는 도2의 비교기에 입력되는 주기파와 기준 전압을 함께 도시한 신호 선도FIG. 5 is a signal diagram showing a periodic wave and a reference voltage input to the comparator of FIG. 2. FIG.

도6a는 도2의 비교기로부터 생성된 HIGH 모드를 구현하는 제1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FIG. 6A illustrates a first output signal implementing the HIGH mode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of FIG.

도6b는 도2의 비교기로부터 생성된 LOW 모드를 구현하는 제2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FIG. 6B illustrates a second output signal implementing the LOW mode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of FIG.

도6c는 도2의 비교기로부터 생성된 OFF모드를 구현하는 제3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FIG. 6C shows a third output signal implementing the OFF mode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of FIG.

도7은 도2의 출력 신호가 열선에 전달되는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put signal of FIG. 2 is transferred to a hot wire. FIG.

도8은 도2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기준 전압 생성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other type of reference voltage generator applicable to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 110: 주기파 생성부100: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car heating wire sheet 110: periodic wave generator

110a: 삼각파 120,120': 기준전압 생성부110a: triangle wave 120,120 ': reference voltage generator

121: HIGH 모드 기준전압 122: LOW 모드 기준전압121: HIGH mode reference voltage 122: LOW mode reference voltage

123: OFF 모드 기준전압 130: 비교기 140: 열선 저항 회로 Vo: 출력 신호123: OFF mode reference voltage 130: comparator 140: hot wire resistance circuit Vo: output signal

Vo': HIGH 모드 출력신호 Vo": LOW 모드 출력신호Vo ': HIGH mode output signal Vo ": LOW mode output signal

Vo"': OFF 모드 출력신호 Vpwm: 출력신호 피크값Vo "': OFF mode Output signal Vpwm: Output signal peak value

a: LOW 모드 출력신호의 펄스폭 Rv: 토글 스위치 a: Pulse width of LOW mode output signal Rv: Toggle switch

SWL: LOW 모드 스위치 SWH: HIGH 모드 스위치SWL: LOW mode switch SWH: HIGH mode switch

Claims (8)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로서,A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ot wire sheet for an automobil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주기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주기파(periodic wave)를 생성하는 주기파 생성 유닛과;A periodic wav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eriodic waves that periodically rise and fall;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정한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유닛과; A reference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stant reference signal over time according to a user input; 상기 주기파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주기파와의 차(差)의 부호가 미리 정해진 것에 해당하면, 그 해당하는 시간동안에 미리 정해진 크기(Vpwm)의 출력 신호(Vo)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By comparing the periodic wave with the reference signal, if the sig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periodic wav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an output signal Vo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Vpwm is generated during the corresponding time. Comparator; 상기 비교기로부터 발생된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되도록 자동차용 시트에 설치된 열선을;A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vehicle seat such that curren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arator to generate heat;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기준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에 주기적으로 펄스 형태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출력신호가 상기 열선에 인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reference signal may include a third reference signal positioned between a peak value and a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and an output signal for periodically applying a pulse current to the heating wire may be applied to the heating wire.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기준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서 변동 가능하게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And the third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inputted between a peak value and a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3기준신호가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서 변동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저항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third reference signal is fluctuate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ot wire sheet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a variable resistance is adjusted by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기준신호가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과 하한값의 사이에서 변동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저항값이 조절되는 가변 저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third reference signal is fluctuated between the peak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eriodic wave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ot wire sheet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a variable resistance is adjusted by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주기파의 피크값보다 큰 제1기준신호와 상기 주기파의 하한값보다 작은 제2기준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 오프(OFF)모드에서의 출력 신호와, 상기 열선에 전류를 지속적으로 인가하는 하이(HIGH)모드에서의 출력 신호가 상기 비교기에 의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reference signal includes a first reference signal larger than a peak value of the periodic wave and a second reference signal smaller than a lower limit of the periodic wave, and output signals in an OFF mod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hot wire. And an output signal in a high mode for continuously applying current to the hot wires by the comparator.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열선은 작동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에 대하여 상호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heating wire is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signal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mode.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열선은 작동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출력신호의 출력단에 대하여 상호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And the heating wires remain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series with respec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signal regardless of the operation mode.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주기파는 삼각파, 톱니파, 사다리꼴 파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선 시트의 온도 제어 장치.The periodic wave i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heating wire shee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triangular wave, sawtooth wave, trapezoidal wave.
KR1020080087530A 2008-09-05 2008-09-05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KR101046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30A KR101046908B1 (en) 2008-09-05 2008-09-05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530A KR101046908B1 (en) 2008-09-05 2008-09-05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88A KR20100028688A (en) 2010-03-15
KR101046908B1 true KR101046908B1 (en) 2011-07-06

Family

ID=4217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530A KR101046908B1 (en) 2008-09-05 2008-09-05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9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3B1 (en) * 1988-05-31 199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4-burner of electronic inductive cooker
KR19990060406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Output Control Circuit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Rice Cooker
US20070048121A1 (en) * 2003-06-26 2007-03-01 Kongsberg Automotive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3B1 (en) * 1988-05-31 1990-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4-burner of electronic inductive cooker
KR19990060406A (en)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Output Control Circuit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Rice Cooker
US20070048121A1 (en) * 2003-06-26 2007-03-01 Kongsberg Automotive Ab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88A (en)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93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response time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9045066B2 (en) Heater control unit and vehicle seat heater
US8309892B2 (en)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utomotive vehicle components
DE112015002482B4 (en)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US20110233189A1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US20180297449A1 (en) Heater device
WO2011074184A1 (en) Seat heater
US5211333A (en) Heating system for vehicles
CN101434184A (en) Auxialary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and auxialary electric heating method for automobile
US11498386B2 (en) Multi-zone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2000000142A (en) Ventilatable and heatable sheet
KR20130130036A (en) Electrical heater, vehicle having an electrical he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JP2014136462A (en) Heater control device
US20110233181A1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JP2000225834A (en) Electric heat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1046908B1 (en) Temperature controller of automotive heating wire sheet
JP6221985B2 (en) Radiation heater device
KR20200091755A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heating seat for automobile
WO2023047792A1 (en) Heater control system
JP2023048090A (en) heater control system
EP0364649B1 (en) A vehicle-seat heating construction
JP3180250B2 (en) Electrical control device for ceramic glow plug
WO2023062733A1 (en) Vehicle-mounted control device
KR100447437B1 (en) Vehicle Defroster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H06342686A (en) Electric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