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875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875B1
KR101040875B1 KR1020090135203A KR20090135203A KR101040875B1 KR 101040875 B1 KR101040875 B1 KR 101040875B1 KR 1020090135203 A KR1020090135203 A KR 1020090135203A KR 20090135203 A KR20090135203 A KR 20090135203A KR 101040875 B1 KR101040875 B1 KR 10104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frame
electrode assembly
pouch cas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875B1/ko
Priority to US12/960,060 priority patent/US83945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외장재를 이루는 파우치 케이스 내면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 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맞닿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 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이격된 판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지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차전지, 파우치 케이스, 보강부재,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지지부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의 외장재를 이루는 파우치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휴대용 무선 기기 제품이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전지에 비해 경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금속의 캔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 캔의 일 측면은 통상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캔 내부에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을 주입한다. 그리고, 개구에 해당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캡조립체로 캔을 마감하여 밀봉된 베어셀(Bare cell)을 형성한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의 형태일 수도 있고,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이거나, 액상의 전해질이 세퍼레이터에 함침된 형태일 수 있다. 이 중, 세퍼레이터 역할을 동시에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이나 세퍼레이터에 함침된 전해질의 경우 누액의 위험이 적으므로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의 케이스로 파우치가 사용될 수 있다.
파우치 케이스는 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캔에 비해 가볍고, 부피도 덜 차지하며, 전지의 형상이나 기기 내 설치 방법에서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차전지로서 유리하다.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는 파우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넣고 밀봉하면서, 전극에 연결된 탭을 이용하여 파우치 케이스 내부의 전극과 외부를 잇는 전기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파우치 케이스가 밀봉된 베어셀에는 탭을 이용하여 PCM(Protecting Circuit Module)이나,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와 같은 부속품 또는 구조체가 연결되면 코어팩(Core pack)이 형성된다. 그리고, 코어팩을 하드케이스에 내장하여 결합시키면 하드팩(Hard pack) 전지가 완성되고, 코어팩 외부에 프레임을 보강하여 포장용 라벨로 감싸면 이너팩(Inner pack) 전지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 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수용될 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홈을 덮는 덮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홈은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형성되며, 파우치의 형태에 따라서는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의 전극조립체는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의 순서로 적층된 다층막으로 형성되거나, 다층막을 권취하여 젤리롤(Jelly roll)로 형성된다. 젤리롤은 권취 형성할 때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막기 위해 롤의 외부로 드러나는 전극면에는 세퍼레이터가 덧붙여진다. 젤리롤이 파우치 케이스의 하부 홈에 놓여지면, 정면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 형태로 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부를 가열, 가압하여 파우치 케이스를 밀봉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의 파우치 케이스는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수납된 전극조립체를 파우치 케이스만으로 보호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우치 케이스 내부의 전극조립체는 전지의 초기 충방전에 따라 전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의 전극판들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전극판들이 양측의 파우치 케이스 방향으로 부풀어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양극판과 음극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단락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외장재를 이루는 파우치 케이스 내면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차전지의 초기 충방전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으로 인한 전극조립체의 부피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 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맞닿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 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이격된 판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 내면 또는 상기 커버부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는 일체형 금속판 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금속판의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금속판의 지지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일체형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판스프링의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거나,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와 맞닿는 상기 전극조립체 면의 30% 내지 100%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 억지끼움, 열압착 및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파우치 케이스보다 강도가 더 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이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이 상기 세퍼레 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의 외장재를 이루는 파우치 케이스 내면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지의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초기 충방전에 의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전극조립체의 부피 팽창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외곽 치수의 변화를 완화시키며, 전극조립체 단부에서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파우치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소정 전류를 생성하는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가 수납되는 수용부(22) 및 수용부(22)를 밀봉하는 커버부(24)로 구성된 파우치 케이스(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파우치 케이스(20)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설치된 보강부재(30) 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재(30)는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또는 커버부(24)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또는 커버부(24) 내면 중 한 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30)는 제1 프레임(31), 제2 프레임(32) 및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31)은 전극조립체(20)와 맞닿는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및 커버부(24)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제1 프레임(31)의 모서리 부분은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31)으로부터 전극조립체(10)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부(33)가 위치되며, 지지부(33)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3)와 제1 프레임(31)은 제2 프레임(32)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에는 제1 프레임(31)의 모서리로부터 지지부(33)의 모서리까지 제2 프레임(32)이 연결되어 있지만, 이 외에 지지부(33)가 제1 프레임(31)으로부터 이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제2 프레임(32)이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프레임(31) 및 제2 프레임(32)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부(33)가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전극조립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30)는 파우치 케이스(20)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이차전지의 외장재를 이루는 파우치 케이스(20)의 강도를 강화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초기 충방전에 의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전극조립체(10)의 부피 팽창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외곽 치수의 변화를 완화시키며, 전극조립체(10) 단부에서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지지부(33)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었지만, 그 외에 파우치 케이스(20)의 강도를 강화시키거나,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3)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차전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판스프링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극조립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3)는 파우치 케이스(20)와 맞닿는 전극조립체(10) 면의 30% 이상 내지 파우치 케이스(20)와 맞닿는 전극조립체(10)의 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30% 미만으로 형성되면, 외부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으며, 지지부(33)가 전극조립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므로 전극조립체(10)보다 크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보강부재(30)가 파우치 케이스(20)의 수용부(22) 바닥 내면 또는 커버부(24) 내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부(22)에 전극조립체(10)를 수납한 뒤, 수용부(22)의 일측에 형성된 커버부(24)를 절첩하여 수용부(22)와 커버부(24)가 맞닿은 부위(22a)를 밀봉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파우치 케이스(20)에 보강부재(30)를 설치할 시, 테이프 또는 열압착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30)의 제1 프레임(31)을 파우치 케이스(20)의 수용부(22)의 내측 둘레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파우치 케이스(20)에 억지끼움되며 고정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보강부재(30)의 제1 프레임(31), 제2 프레임(32) 및 지지부(33)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파우치 케이스(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므로, 파우치 케이스(20)보다 강도가 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우치 케이스(20) 내면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10)는 제1 극판과 제2 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제1 극판에는 제1 전극탭(12a)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10)의 상단부로 돌출되며, 제2 극판에는 제2 전극탭(12b)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10)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전극조립체(10)에서 제1 전극탭(12a)과 제2 전극탭(12b)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리고, 제1 전극탭(12a) 및 제2 전극탭(12b)이 전극조립체(1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1a,11b)가 감겨져 있다. 라미네이션 테이프(11a,11b)는 제1 전극탭(12a) 또는 제2 전극탭(12b)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고, 제1 전극탭(12a) 또는 제2 전극탭(12b)의 가장자리에 의해 전극조립체(10)가 압박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전극탭(12a) 및 제2 전극탭(12b)이 파우치 케이스(20)와 맞닿는 표면에는 절연테이프(13)가 접착되어 파우치 케이스(2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파우치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32)에 연결된 평평한 판 형상의 지지부(33)가 전극조립체(10)의 상·하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상태로 전극조립체(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파우치 케이스(20)의 커버부(24)가 수용부(22) 상부로 절첩되어 밀봉될 시, 커버부(24)와 수용부(22) 사이에 전극탭(12a,12b)이 위치된 영역에는 절연테이프(13)가 위치된다.
통상, 파우치 케이스(20)는 0.04~0.05㎜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우치 케이스(20)의 외형이 변형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두께의 파우치 케이스(20) 내부에 지지부(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시, 파우치 케이스(2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지지부는 일체형(3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35)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지지부는 금속판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판 및 판스프링은 파우치 케이스(20)보다 강도가 더 큰 물질이며, 이 외에 일체형(35)의 제1 플레임, 제2 프레임 및 지지부는 파우치 케이스(20) 보다 강도가 더 큰 물질이면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35)의 금속판 또는 판스프링은 지지부 영역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극조립체(10)가 파우치 케이스(20) 내부에 수납되며,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및 커버부(24)의 내면에 보강부재(30)가 설치된다. 보강부재(30)는 제1 프레임(미도시), 제2 프레임(32) 및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31)은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및 커버부(24)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지부(33)는 제1 프레임(31)으로부터 전극조립체(10) 측으로 이격되어 전극조립체(1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중앙의 일 부분이 전극조립체(10)와 접촉된다. 그리고, 제2 프레임(32)은 제1 프레임(31)과 지지부(33)를 연결시키며, 전극조립체(10) 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33) 및 제2 프레임(32)이 전극조립체(1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이차전지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전극조립체(10)와 닿는 면적이 작아 전극조립체(10)의 양극판 및 음극판 외면의 활물질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지 지부는 일체형(3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35)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지지부는 금속판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36)의 금속판 또는 판스프링은 지지부 영역이 전극조립체(1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전극조립체(10)의 활물질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파우치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30)는 수용부(22)의 바닥 내면 및 커버부(24) 내면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과, 제1 프레임(31)으로부터 전극조립체(10) 측으로 이격된 판 형상의 지지부(33), 및 제1 프레임(31)과 지지부(33)를 연결시키는 제2 프레임(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31)의 모서리(A)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데, 이는 외부에서 이차전지의 모서리(A) 부분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제1 프레임(31)의 라운딩 처리된 모서리(A)에 의해 파우치 케이스(2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파우치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파우치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극조립체 11 : 전극탭
12 : 리드 20 : 파우치 케이스
22 : 수용부 24 : 커버부
30 : 보강부재 31 : 제1 프레임
32 : 제2 프레임 33 : 지지부

Claims (21)

  1.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 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맞닿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 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이격된 판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 내면 또는 상기 커버부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는 일체형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금속판의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금속판의 지지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는 일체형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판스프링의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판스프링의 지지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와 맞닿는 상기 전극조립체 면의 30% 내지 100% 크기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이차전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 테이프로 고정된 이차전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파우치 케이스에 열압착되어 고정된 이차전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이차전지.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파우치 케이스보다 강도가 더 큰 물질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이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되어 형성된 이차전지.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이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형성된 이차전지.
KR1020090135203A 2009-12-31 2009-12-31 이차전지 KR10104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203A KR101040875B1 (ko) 2009-12-31 2009-12-31 이차전지
US12/960,060 US8394523B2 (en) 2009-12-31 2010-12-03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203A KR101040875B1 (ko) 2009-12-31 2009-12-31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875B1 true KR101040875B1 (ko) 2011-06-16

Family

ID=4418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203A KR101040875B1 (ko) 2009-12-31 2009-12-3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94523B2 (ko)
KR (1) KR10104087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6A (ko) * 2012-04-24 2013-11-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49796A (ko) * 2012-10-18 2014-04-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475734B1 (ko) * 2012-05-2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WO2017078264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1776897B1 (ko) * 2014-08-12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4282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962187B1 (ko) * 2017-12-27 2019-03-26 주식회사 엠플러스 파우치 보형물 삽입 이차전지
KR20190090299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지모듈
KR20200102261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형방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21118020A1 (ko) * 2019-12-12 2021-06-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3196549A (zh) * 2020-02-27 2021-07-3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5050B2 (en) * 2006-08-21 2013-04-09 Lg Chem, Ltd.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and excellent manufacturing process property
US8974949B2 (en) 2011-04-07 2015-03-10 Cardiac Pacemakers, Inc. Electrical insulator shaped to conform to power source electrodes
TWI456817B (zh) * 2011-09-27 2014-10-11 Au Optronics Corp 電池裝置
US9935344B2 (en) * 2012-03-30 2018-04-03 Eliiy Power Co., Ltd. Test battery case and test battery
KR102230556B1 (ko) 2012-08-16 2021-03-22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구조들
EP3641030B1 (en) 2013-03-15 2022-03-02 Enovix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batteries
KR20150010481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004079A1 (en) *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KR102233779B1 (ko) * 2014-09-17 2021-03-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5202894A1 (de) * 2015-02-18 2016-08-18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EP3828976B1 (en) * 2015-05-14 2023-07-05 Enovix Corporation Longitudinal constraints for energy storage devices
KR102525677B1 (ko) * 2015-12-23 2023-04-24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SG11201809308QA (en) * 2016-05-13 2018-11-29 Enovix Corp Dimensional constraints for three-dimensional batteries
JP7086978B2 (ja) 2016-11-16 2022-06-20 エノビ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圧縮性カソードを備えた3次元電池
KR102364410B1 (ko) * 2017-09-04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안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56507B1 (en) 2017-11-15 2019-04-09 Enovix Corporation Constrained electrode assembly
KR20200074246A (ko) 2017-11-15 2020-06-24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전극 어셈블리 및 2차 배터리
US11211639B2 (en) 2018-08-06 2021-12-28 Enovix Corporatio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 and device
US11764429B2 (en) 2018-09-20 2023-09-19 Libest Inc. Sheath material for battery
EP4200921A1 (en) 2020-09-18 2023-06-28 Enovix Corporation Processes for delineating a population of electrode structures in a web using a laser beam
KR20230122050A (ko) 2020-12-09 2023-08-22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2차 배터리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E102021202715A1 (de) 2021-03-19 2022-09-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ouchzelle für ein Hochvolt-Batteriesystem
US11699830B2 (en) 2021-06-15 2023-07-11 Enovix Operations Inc. Spacers for providing protection of electrochemical battery enclosur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EP4309228A2 (en) 2021-09-27 2024-01-24 QuantumScape Battery, Inc. Electrochemical stack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WO2024024457A1 (ja) * 2022-07-28 2024-02-01 パナソニックエナジー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57A (ko) *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03A (ko) 2001-11-14 2003-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위해 제공되는 가스방
KR100614353B1 (ko) 2004-11-29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57A (ko) *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6A (ko) * 2012-04-24 2013-11-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897223B1 (ko) * 2012-04-24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475734B1 (ko) * 2012-05-2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140049796A (ko) * 2012-10-18 2014-04-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917350B1 (ko) 2012-10-18 2018-1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776897B1 (ko) * 2014-08-12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0529967B2 (en) 2015-11-05 2020-01-07 Lg Chem, Ltd. Battery pack including reinforcement supporting member
WO2017078264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2207296B1 (ko) 2017-01-16 2021-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20180084282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962187B1 (ko) * 2017-12-27 2019-03-26 주식회사 엠플러스 파우치 보형물 삽입 이차전지
KR20190090299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지모듈
KR102389694B1 (ko) * 2018-01-24 2022-04-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레임에 형성된 비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지모듈
KR20200102261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형방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21118020A1 (ko) * 2019-12-12 2021-06-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3196549A (zh) * 2020-02-27 2021-07-3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CN113196549B (zh) * 2020-02-27 2024-05-14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电化学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94523B2 (en) 2013-03-12
US20110159328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875B1 (ko) 이차전지
KR101101079B1 (ko) 이차전지
US8795883B2 (en) Secondary battery with advanced safety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US8143847B2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78982B1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파우치 이차 전지
US8936860B2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KR10159626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EP2445048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123929B2 (en) Secondary battery
KR101749729B1 (ko) 이차전지
KR20120052586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049011B1 (ko)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143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73143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2263483B1 (ko)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551442B1 (ko) 케이스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70081547A (ko) 개선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이차전지
KR102637306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973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050096288A (ko)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KR101057582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팩
KR100739981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446151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