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830B1 -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830B1
KR101035830B1 KR1020080114989A KR20080114989A KR101035830B1 KR 101035830 B1 KR101035830 B1 KR 101035830B1 KR 1020080114989 A KR1020080114989 A KR 1020080114989A KR 20080114989 A KR20080114989 A KR 20080114989A KR 101035830 B1 KR101035830 B1 KR 10103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transmission
equipment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032A (ko
Inventor
우홍구
배준호
우명희
김경석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네오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쿼터스 filed Critical (주)네오쿼터스
Priority to KR102008011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8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운용시 필요한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에서 제어함으로써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응급 대처할 수 있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전송 장비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어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동작 제어하는 전원 감시 장치와, 전원 감시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고 전원 감시 장치의 오동작시 전원 감시 장치의 기능을 대행하는 관리 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망 운용, 전송장비, 전원, 감시

Description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망 운용시 필요한 전송 장비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응급 대처가 가능한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하는 가입자들은 계속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며 더욱이 회선의 고속화로 다량의 장비가 구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장비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망 운용시 전송장비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전송 장비(2)는 각 원격지의 전주나 벽, 아파트, 빌딩 등에 설치된 통신 장비로, 최상의 망 운용을 위해서는 고장이 없어야 함은 물론,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빠른 시간 내에 복구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속도가 빨라야 한다.
이중, 속도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비를 공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장비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결국은 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철저히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송 장비에 이상 발생시 중앙 관리 센터(1)에서 이를 접수하여 담당자와 전화상의 통화로 장애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러한 방법으로 해결되지 못한 경우에는 관련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여 해당 전송 장비를 점검하는 형태로 수행되었다.
즉, 종래에는 관련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서 원격에서 고장의 원인을 파악하기엔 불가능하며, 더욱이 원격에서 제어가 불가능하다.
더욱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입자의 수 및 장비의 수에 비해 실무 담당자는 턱없이 부족하고, 실무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는 데에도 시간이 지연되어 즉각적인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간단한 장애가 아닐 경우에는 실무 담당자가 전송 장비를 수거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일이나 야간 등에 실무 담당자가 근무지를 이탈한 경우에는 장애 발생의 근본적인 조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원격지의 전송 장비를 운영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고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특히, 전송 장비의 전원을 감시하여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응급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망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동작 제어하는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 및 상기 전원 감시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관리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를 연결하는 멀티확장부;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세기를 각각 센싱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 상기 다수의 전류 센서부를 통해 센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을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급하는 전원 스위칭부; 상기 전원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발생시 해당 전송 장비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전송 장비를 원격 제어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관리 장비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은, 망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각 전송 장비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전송 장비의 현 전원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원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각각 감시하는 단계; 상기 소정 전송 장비에서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한 전송 장비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악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전송 장비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거나, 초기화로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장비들의 동작 전원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응급 대처가 가능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망 운용에 필요한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전송 장비(110)의 동작 전원을 감시하는 전원 감시 장치(120)와, 관리자에 의해 전원 감시 장치(120) 및 전송 장비(110)를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기 위한 관리 장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전송 장비(110)에 전원 감시 장치(120) 및 관리 장비(130)가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 감시 장치(120)는 하나의 전송 장비(110)를 독립적으로 감시하며, 관리 장비(130)는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120)를 모니터링하여 제어하게 되므로, 제어 방법이 가장 간단한 구조이다.
이때, 전송 장비(110)와 전원 감시 장치(120)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유선으로 연결되지만, 전원 감시 장치(120)와 관리 장비(130)는 시리얼 통신이나 이더넷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통신 등을 이용한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 장비(110)는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 FTTH(Fiber To The Home), 광홈랜, 집선장치, FE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설치 형태에 따라 전주형, 벽걸이형, 아파트나 빌딩내 설치 박스에 구비되는 비치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원 감시 장치(120)는 유선으로 연결된 전송 장비(1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때 전송 장비(110)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전송 장비(110)를 원격 제어하게 된다. 원격 제어는 전원 감시 장치(120)에 내장된 전원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전송 장비(11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거나 리셋(reset)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원 감시 장치(120)에는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직접 전송 장비(11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 감시 장치(120)에 대한 구성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장비(130)는 전원 감시 장치(120) 및 전송 장비(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 감시 장치(120)에 이상이 발생되면 관리 장비(130)에서 전송 장비(1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원 감시 장치(12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관리 장비(130)는 전원 감시 장치(120) 및 전송 장비(110)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 PC, PDA, 장애진단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장애진단 단말기는 전송 장비(110)의 장애를 원격으로 진단하여 제어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본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전송 장비(210)와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 및 하나의 관리 장비(2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는 다수의 전송 장비(210)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연결되고, 관리 장비(230)는 네트워크(240)를 통해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 또는 다수의 전송 장비(210)를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은 관리자가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 및 다수의 전송 장비(210)를 하나의 관리 장비(230)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관리 및 제어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다수의 전송장비(210)는 각 전원 감시 장치(220)와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유선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전송 장비(210)와 관리 장비(230),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와 관리 장비(230)간은 네트워크(240)를 통해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전송 장비(210)는 유선으로 연결된 각 전원 감시 장치(22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 감시 장치(220)는 각 전송 장비(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이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수의 전송 장비(210)는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 FTTH(Fiber To The Home), 광홈랜, 집선장치, FES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설치 형태에 따라 전주형, 벽걸이형, 아파트나 빌딩내 설치 박스에 구비되는 비치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수의 전원 감시 장치(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된 각 전송 장비(2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동작 전원을 감시하여 원격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얼 통신부(221)와, 전류 센서부(222), 전원 상태 감지부(223), 전원 스위칭부(224), MCU(225), 연결 인터페이스(226), 및 비상 전원(2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원 감시 장치(도 2의 120)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시리얼 통신부(221)는 유선으로 연결된 각 전송 장비(210)와 시리얼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전류 센서부(222)는 전송 장비(210)와 연결된 인가선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한다.
전원 상태 검출부(223)는 전류 센서부(222)에서 센싱한 값에 기초하여 전송 장비(210)의 전원 상태를 검출한다.
이를 테면, 전류 센서부(222)에서 전송 장비(210)와 연결된 인가선에 전류가 흐름을 감지하게 되면 전원 상태 검출부(223)는 이를 통해 전송 장비(210)의 전원이 온 상태임을 검출할 수 있다.
반대로, 전류 센서부(222)에서 전송 장비(210)와 연결된 인가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감지하게 되면, 전원 상태 검출부(223)는 이를 통해 현재 전송 장비(2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임을 검출하게 된다.
전원 스위칭부(224)는 온/오프의 스위칭 동작으로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제어한다.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전원 스위칭부(224)를 온 상태로 동작시켜 전송 장비(210)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와 반대로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칭부(224)를 오프 상태로 동작시켜 전송 장비(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MCU(225)는 각 전원 감시 장치(2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전원 상태 검출부(223)에서 검출된 각 전송 장비(210)의 전원 상태에 따라 전송 장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이상 발생시 전원 스위칭부(224)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전송 장비(210)를 원격 제어한다.
연결 인터페이스(226)는 관리 장비(230)와 유,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이러한 연결 인터페이스(226)는 시리얼 통신부, 이더넷 통신부, 지그비 통신부, CDMA 통신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감시 장치(220)는 전류 센서부(222) 및 전원 상태 검출부(223)를 통해 각 전송 장비(210)의 전원 상태(동작 여부)를 검출하고, MCU(225)에서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전원 스위칭부(224)를 제어함에 따라 각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원격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송 장비(210)의 전원이 온 상태일 때, 전원 감시 장치(220)는 전류 센서부(222)를 통해 해당 전송 장비(210)가 오프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과 관계없이 오프 상태가 되면 전송 장비(210)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송 장비(210)가 오프 상태이면, 전원 감시 장치(220)는 전류 센서부(222)를 통해 해당 전송 장비(210)가 온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과 관계없이 온 상태가 되면 전송 장비(210)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전송 장비(210)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리셋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 감시 장치(220)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전원 감시 장치(220)가 다수의 전송 장비(21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관리 장비(230)에서 다수의 전송 장비(2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원 감시 장치(220)의 이상으로 인해 전송 장비(210)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게다가, 비상 전원(227)이 있어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얼마 동안의 시간 동안은 전송 장비(2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전송 장비(310)와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320), 및 관리 장비(33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달리,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320)가 다수의 전송 장비(310)를 한꺼번에 감시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도, 다수의 전송 장비(310)와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320)는 시리얼 통신에 의한 유선으로 연결되지만,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320)와 관리 장비(330)간은 네트워크(340)를 통해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전원 감시 장치(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송 장비(310)를 연결하기 위한 멀티 확장부(311)와, 다수의 전송 장비(310)의 전원을 감시하기 위한 다수의 전류 센서부(322), 전원 상태 검출부(323), 전원 스위칭부(324), MCU(325), 연결 인터페이스(326), 비상 전원(3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전원 감시 장치(22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이와 구별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멀티 확장부(321)는 다수의 전송 장비(310)를 동시에 연결하여 각 전송 장비(310)로 공급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전송 장비(3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해당 전류 센서부(322)로 전달하고, 원격 제어시 각 전송 장비(3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해당 전송 장비(310)로 각각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전류 센서부(322)는 다수의 전송 장비(310)를 연결하는 멀티 확장부(321)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전송 장비(3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센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전류 센서부(322)는 전송 장비(310)의 개수만큼 구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호 근접해 있는 다수의 전송 장비들끼리 그룹을 형성하여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320)를 통해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전체 장비의 수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비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전송 장비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은 전원 감시 장치가 일대일로 하나의 전송 장비를 감시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 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은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같이,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가 일대일 대응으로 하나의 전송 장비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송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일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전송 장비는 설치 형태에 따라 전주형, 벽걸이형, 비치형 등으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감시 장치 또한 일대일 대응으로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감시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각 전송 장비로 공급하는 전원을 전류 센서부를 통해 센싱하여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감시한다(S100).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송 장비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전원 감시 장치는 각 전송 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의 유무에 따라 전원 상태를 인식해 두었다가(S102, S104), 전류 센서부를 통해 이전에 설정된 전원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가를 판단함으로써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S106).
이후,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되면, 전원 감시 장치는 이와 대응되는 전송 장비의 전원을 온, 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리셋한다(S110, S120).
예를 들어, 전송 장비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전원 감시 장치는 전류 센서부를 통해 해당 전송 장비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가를 감지하고, 이후 사용 자의 설정과 무관하게 갑자기 전송 장비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면 전송 장비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전송 장비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송 장비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감시 장치는 전류 센서부를 통해 해당 전송 장비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가를 감지하고, 이후 사용자의 설정과 무관하게 갑자기 전송 장비가 온 상태가 되면 전송 장비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여, 전송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오프 상태로 제어하거나, 초기화 상태로 리셋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하나의 전원 감시 장비를 통해 다수의 전송 장비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먼저,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과 달리 멀티 확장팩을 이용하여 다수의 전송 장비가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를 통해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감시한다(S200).
이때, 전원 감시 장치는 다수의 전송 장비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미리 인식되어야 하며, 다수의 전송 장비에 대한 전원 상태에 대해서도 미리 인식되어야 한다.
상기 단계에서,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은 도 7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소정 전송 장비에 이상이 발생되면, 전원 감시 장치는 이상 발생이 R번째에서 발생되었는지를 인식한다(S210, S220).
이후, 해당 R번째 전송 장비에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원 동작을 리셋 제어할 수 있다(S240). 따라서, 전송 장비의 동작을 초기화 상태로 복구시키거나, 또는 이상이 발생하기 전 동작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종래 망 운용시 전송장비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원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함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전송 장비 120, 220, 320: 전원 감시 장치
130, 230, 330: 관리 장비 240, 340: 네트워크
221: 시리얼 통신부 222, 322: 전류 센서부
223, 323: 전원 상태 검출부 224, 324: 전원 스위칭부
225, 325: MCU 226, 326: 연결 인터페이스
227, 327: 비상 전원 321: 멀티확장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망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동작 제어하는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 및
    상기 전원 감시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관리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를 연결하는 멀티확장부;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세기를 각각 센싱하는 다수의 전류 센서부;
    상기 다수의 전류 센서부를 통해 센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를 검출하는 전원 상태 검출부;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을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급하는 전원 스위칭부;
    상기 전원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각 전송 장비의 전원 상태에 따라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발생시 해당 전송 장비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식별 정보와 대응하는 전송 장비를 원격 제어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 및
    상기 관리 장비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연결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는,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FTTH(Fiber To The Home), 광홈랜, 집선장치, FES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원 감시 장치는 상기 관리 장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통신부, 이더넷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 신부, CDMA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망 운용에 필요한 다수의 전송 장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전송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각 전송 장비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전송 장비의 현 전원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원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각각 감시하는 단계;
    소정 전송 장비에서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한 전송 장비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장비의 전원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전송 장비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거나, 초기화로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080114989A 2008-11-19 2008-11-19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3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89A KR101035830B1 (ko) 2008-11-19 2008-11-19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989A KR101035830B1 (ko) 2008-11-19 2008-11-19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32A KR20100056032A (ko) 2010-05-27
KR101035830B1 true KR101035830B1 (ko) 2011-06-03

Family

ID=4228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989A KR101035830B1 (ko) 2008-11-19 2008-11-19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964B1 (ko) * 2013-04-11 2013-10-04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868878B1 (ko) * 2017-02-22 2018-07-20 서일석 항로표지 등명기의 전원 복구방법
KR101979281B1 (ko) * 2018-06-12 2019-05-16 서일석 항로표지 등명기의 전원 복구장치
CN109729503A (zh) * 2019-03-07 2019-05-07 北京志远鸿通科技有限公司 户外终端设备检测***及交通支撑环境监控***
KR102358789B1 (ko) * 2020-09-17 2022-02-08 김주섭 IoT 망을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 및 지점 IoT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323U (ko) * 1996-10-31 1998-07-25 정장호 가입자 시스템의 전원관련 네트워크 관리장치
KR100211937B1 (ko) * 1997-08-04 1999-08-02 주일성 원격제어관리장치
KR20000036658A (ko) * 2000-03-24 2000-07-05 이양우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조 및 냉동/냉장 설비의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323U (ko) * 1996-10-31 1998-07-25 정장호 가입자 시스템의 전원관련 네트워크 관리장치
KR100211937B1 (ko) * 1997-08-04 1999-08-02 주일성 원격제어관리장치
KR20000036658A (ko) * 2000-03-24 2000-07-05 이양우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조 및 냉동/냉장 설비의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32A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30B1 (ko)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206898B1 (ko) 화재감지기 및 자가진단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KR101721235B1 (ko)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0712957B1 (ko) 자동리셋장치가 구비된 배전자동화장치
KR102022992B1 (ko) 중계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지기의 자가진단 방법
US5838776A (en) Power controller for a heating/air conditioning unit
KR102022986B1 (ko)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고속으로 스캔하는 방법
KR101988505B1 (ko) 지하 전력구의 전력선 접속점 온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8227561A (ja) Plc対応インテリジェントコンセントシステム
JP6285696B2 (ja) 中継器
KR101076296B1 (ko) 자동문 애프터서비스를 위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240825B2 (ja) 警備システム
KR102242541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WO2006104691A2 (en) A method and receiver for blocking a runaway dialer at a local security system
JP496523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US20100114391A1 (en) System for acquisition of data and multiplication of signalling and protection contacts in equipments of substations and electric power plants and similar
KR101387626B1 (ko) 이더넷 네트워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567802B1 (ko)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
KR20060066458A (ko) 상업용 영상표시기기의 이상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133568B1 (e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base device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KR101418244B1 (ko) 선박의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02197B1 (ko) 캔통신을 이용한 화재 감지시스템
JP4538957B2 (ja) 網制御装置
KR200357429Y1 (ko) 원격 감시 및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