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06B1 - 전기화학전지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06B1
KR101030406B1 KR1020040057775A KR20040057775A KR101030406B1 KR 101030406 B1 KR101030406 B1 KR 101030406B1 KR 1020040057775 A KR1020040057775 A KR 1020040057775A KR 20040057775 A KR20040057775 A KR 20040057775A KR 101030406 B1 KR101030406 B1 KR 10103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emical cell
convex container
sealing plate
containe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102A (ko
Inventor
와타나베순지
나카무라요시부미
오노데라히데하루
사카이츠기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5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내부에 포함된 액체 전해질의 관점에서 접합부가 특정 정도의 충분한 여유를 갖지 않는다면 높은 신뢰성의 밀봉을 달성할 수 없는 직사각형 병렬 파이프 형상의 종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비수전해질 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링과 경납재를 포함하는 금속층이 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이고, 금속링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접합면에 경납재층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밀봉판이 밀봉판으로 또한 사용되며, 또 양극과 음극의 쌍 전극, 세퍼레이터(separator) 및 전해질이 볼록용기에 포함되고, 밀봉판이 용기에 놓이고 병렬 시임 저항 용접법을 이용하여 시임 용접을 행하여 높은 신뢰성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화학전지{ELECTROCHEMICAL CELL}
도 1은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면도.
도 3은 금속층의 두께가 음극 활성물질(107)과 세퍼레이터(105)의 총 두께보다 큰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볼록용기(101) 내부에 단차를 설치한 경우에 비수 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볼록용기(101) 내부에 단차를 설치한 경우에 비수 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볼록용기 102 : 밀봉판
103 : 접속단자 A 104 : 접속단자 B
105 : 세퍼레이터 106 : 양극활성물질
107 : 음극활성물질 109 : 금속링
1101 : 단차 1111, 1112 : 카본 함유 전도성 접착제
본 발명은, 표면 장착가능한 비수전해질전지 및 전기 이중층의 원리를 이용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과 같은 전기화학전지에 관한 것이다.
비수전해질전지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전기화학전지는, 시계 기능의 백업 전원, 반도체 메모리의 백업 전원,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IC 메모리 등의 전자장치의 예비 전원, 솔라시계의 전지와 모터구동용 전원 등으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용 전원이나 에너지 변환·저장시스템의 보조 전원 저장 유니트로 검토되고 있다.
비수전해질전지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전기화학전지에 있어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진보와 시각기능장치의 저소비전력화에 의해 대용량과 전류의 요구가 감소하고 있다. 박형화 또는 리플로 납땜(reflow soldering)(미리 인쇄기판 상의 납땜 부착을 행하는 부분에 납땜 크림(soldering cream) 등을 도포하고 그 부분에 부품을 적치하지만, 혹은, 부품을 적치후 납땜 작은 납땜볼(납땜 범프)을 납땜 부분에 공급하고, 납땜 부분이 납땜의 융점 이상, 예컨대, 200 내지 260℃로 되도록 설정된 고온분위기의 노(furnace) 내에 부품을 탑재한 인쇄기판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납땜을 용융시켜 납땜을 행하는 방법)에 대한 비수전해질전지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전기화학전지를 도시한다. 양극활성물질(201)과 전극 전류 콜렉터(electrode current collector)(202)의 양극, 및 음극활성물질(204)과 전극전류콜렉터(202)의 음극은 세퍼레이터(208)로 이격되고 양극 케이스(203) 및 음극 케이스(205)에 의해 전해질(206)과 함께 유지된다. 양극 케이스(203) 및 음극 케이스(205)는 가스켓(207)에 의해 코킹되고 밀봉되어 있다. 종래 전기화학전지에서, 동전 또는 버튼과 같은 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리플로 납땜을 행하기 위해서는 단자 등을 케이싱에 미리 용접할 필요가 있고, 부품 수의 증가 및 제조 공정수의 증가라는 점에서 비용 상승이 하고 있었다. 또, 기판 상에 단자용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정방형의 전기화학전지가 또한 검토되었지만, 소형화와 함께 밀봉 공간을 취하는 것이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16952호
원형 전지와 상이한 케이스를 크림핑(crimping)에 의해 정방형의 전기화학전지를 밀봉할 수 없다. 따라서, 일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밀봉판을 볼록용기의 상부에 접합하여 밀봉하여야 한다. 접합방법으로는 접착제, 고온프레스접합,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및 저항용접 등의 방법을 포함한다.
그러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부에 전해질(일반적으로 용액)을 포함하기 때문에, 접합부에 여유를 어느 정도까지 설치하지 않으면 높은 신뢰성의 밀봉을 달성할 수 없다.
예컨대, 볼록용기의 가장자리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경납재 또는 납땜재와 같은 납땜재를 그 가장자리에 놓고, 밀봉판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협지하고, 밀봉을 적용하기 위해 경납재 또는 납땜재의 융점보다 고온에서 밀봉판을 가열하고 압착하하는 경우, 접합부에 충분한 여유가 없다면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전해질용액이 가 열되어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에 충분한 밀봉을 얻을 수 없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층이 전기화학전지의 볼록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이며 밀봉성을 향상하기 위해 금속층에 의해 볼록용기와 밀봉판을 접합한다. 양극과 음극의 쌍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이 볼록용기에 포함되고, 밀봉판이 그 위에 놓여지고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시임 용접, 특히 병렬 시임 저항용접이 적용된다. 밀봉판은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므로, 높은 신뢰성의 밀봉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은 금속링과 납땜재를 포함하고, 금속링은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고, 볼록용기와 밀봉판은 용접법으로 접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금속층은 납땜재가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으로 형성된다.
볼록용기는 인슐레이터(insulator)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볼록용기는 세라믹 또는 세라믹 유리로 제조된다. 또한, 금속 링은 코발트, 니켈 및 철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납땜재는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으로 금속 링에 형성된 니켈 및/또는 금박이 바람직하다.
밀봉판은 볼록용기와 접합된 측면의 표면에 납땜재가 형성되는 금속을 포함한다. 밀봉판은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판의 금속은 코발트, 니켈 및 철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하며, 볼록용기와 접합된 측면의 표면에 형성된 납땜재는 니켈 및/또는 금박이다. 납땜재는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으로 형성된다. 볼록용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금속링의 두께는 밀봉 판의 측면에 위치한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총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단차 또는 다수 단차가 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단차에 세퍼레이터가 위치한다.
전극 전류 콜렉터는 볼록용기 내부 바닥에 놓여진다. 전극 전류 콜렉터는 텅스텐, 알루미늄, 티타늄, 카본, 팔라듐, 은, 백금 및 금으로부터 선택된 재질로 주로 구성된 금속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으로 주로 구성된 전도층이 전극 전류 콜렉터에 놓여진다.
또, 세퍼레이터는 주성분으로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또는 유리섬유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조로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표면 장착 공간의 탑재율을 감소하기 위한 직사각형 병렬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1은 직사각형 병렬 파이프 형상으로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볼록용기(101)는 알루미나로 제조되고, 그린 시이트(green sheet)에 텅스텐 인쇄하고 코발(Co : 17, Ni : 29, Fe : 나머지로 이루어지는 합금)로 제조된 금속링(109)을 놓고 소성한다. 또, 접속단자 A(103) 및 접속단자 B(104)는 니켈/금도금이 적용되고, 니켈 및 금 도금은 금속링(109) 위에 납땜재(1081)(납땜재)로 인가된다. 볼록용기(101)와 금속링(109)의 연결은 Ag-납땜, Ni-납땜, 또는 Al-납땜이 적합하다. 또, 볼록용기(101)의 가장자리에 놓여진 금속층(금속링(109) 및 경납재(108))의 두께는 음극활성물질(107)과 세퍼레이터(105)의 총 두께보다 작다. 금속층의 두께가 음극활성물질(107)과 세퍼레이터(105)의 총 두께보다 큰 경우, 금속층과 양극활성물질(106)은 서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도 3은 금속층의 두께가 음극활성물질(107)과 세퍼레이터(105)의 총 두께보다 큰 경우의 단면도이다. 양극활성물질(106)의 위치가 제조단계에서 스캐터링(scattering)에 의해 옮겨질 때, 금속링(109)과 접촉되어 내부 단락을 유발할 수 있다.
금속링(109)은 도 1의 좌측의 측면을 통과하는 텅스텐 층에 의해 접속단자 B(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단자 A, B가 볼록용기의 외부 바닥에 도달하고, 용기의 측면에 유지하는 경우에도, 침윤(wetting)에 의해 납땜으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다.
전극 전류 콜렉터로서 배선에 사용된 텅스텐의 금속층이 볼록용기 내부 바닥의 전체 표면에 놓여지며 볼록용기의 벽을 관통하고 접속단자 A(1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본 함유 전도성 접착제(1111)에 의해 전극 전류 콜렉터와 양극활성물질(106)이 접합된다. 전극 전류 콜렉터와 양극활성물질(106)을 접합하는 특별한 요구사항은 없고 단지 그 위에 놓여질 수도 있다. 양극은 전극 전류 콜렉터와 양극활성물질(106)을 포함한다.
납땜재(1082)를 형성하는 니켈 도금이 용기 측면의 밀봉판(102) 일부에 인가된다. 카본 함유 전도성 접착제(1112)에 의해 밀봉판(102)과 음극활성물질(107)이 미리 접합된다. 음극은 밀봉판(102)과 음극활성물질(107)을 포함한다. 양극과 음극의 쌍이 쌍 전극을 형성한다.
음극과 양극, 세퍼레이터(105)와 용기 내부의 전해질용액을 포함하고 밀봉판(102)으로 커버한 후, 저항용접원리를 이용하는 병렬 시임 용접기(parallel seam welder)에 의해 모든 대향하는 두 측면에 밀봉판(102)의 용접을 행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고신뢰성의 밀봉이 얻어졌다.
볼록용기(101)는 인슐레이터 및 내열수지, 유리, 세라믹 또는 세라믹 유리 등의 내열재료가 바람직하다. 제조방법으로서는, 저융점의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에 도체 인쇄에 의해 배선을 실시하고 적층되며,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체인쇄에 의해 알루미나 그린 시이트로 적층하여 소성할 수 있다.
밀봉판과 금속링(109)의 물질은 볼록용기(101)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볼록용기(101)에 대해 6.8 x 10-6 ℃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알루미나를 이용하는 경우, 5.2 x 10-6 ℃의 열팽창계수를 갖는 코발이 금속링과 밀봉판으로 사용된다.
또, 용접후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금속링과 동일한 코발이 밀봉판(102)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비의 기판(회로기판)에 표면 장착시, 즉, 리플로 납땜 동안 용접후 밀봉판이 가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전극 전류 콜렉터를 형성하는 배선의 일부는, 내식성이 양호한 텅스텐, 팔라듐, 은, 백금 또는 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막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카본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양극측의 전극 전류 콜렉터로서 볼록용기(101)의 바닥면에 배선을 이용하는 경우, 특히 금, 알루미늄 또는 텅스텐이 바람직하다. 이는 높은 저항전압물질을 이용하여 플러스 전위가 인가될 때 물질의 용융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전극과 배선 사이의 전도를 향상하기 위해, 카본 함유 전도성 접착제의 이용이 효과적이다. 또, 낮은 내전압(withstanding voltage)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전체 표면에 대해 전극 전류 콜렉터의 금속에 전도성 접착제 함유 카본만을 도포한 후 전도층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하게 경화하도록 소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극 전류 콜렉터를 도포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이용하는 경우, 실온 용융염(부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도금 전해조(butyl pyridinium chloride plating bath), 이미다졸리윰 클로라이드 전해조(imidazolium chloride bath) 또는 증착)으로부터 열 분사 또는 도금이 이용될 수 있다.
접점 단자 A(103)와 접점 단자 B(104)의 부분에는, 니켈, 금, 주석 또는 납땜(solder)의 층이 기판(회로기판)과의 납땜을 위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용기(101)의 가장자리에 대해, 접합재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는 니켈 또는 금의 층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형성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도금, 증착 등의 기상법(gas phase method)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링(109)과 밀봉판(102)으로 접합된 표면에 납땜재로서 니켈 및/또는 금박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금의 융점은 1063℃이고 니켈의 융점은 1453℃이 지만, 금과 니켈의 합금을 형성함으로써 1000℃ 이하로 융점은 낮아진다. 금속층 형성방법은, 예컨대, 도금, 증착 등의 기상법, 인쇄를 이용한 클래딩 또는 후막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금 또는 인쇄를 이용한 후막법이 특히 비용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납땜재의 층에 P, B, S, N, 및 C 등의 불순물원소를 10% 이하까지 감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금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의해야만 한다. 예컨대, 무전해 도금에서, 환원제로서 차인산염 나트륨(sodium hypophosphite)에서 P와 디메틸아민 보라네(dimethylamine borane)에서 B가 침입하는 경향이 있다. 또, 전해 도금에서, 광택제 등의 첨가제 또는 음이온(anion)에서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만 한다. 환원제, 첨가제 등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침입하는 불순물을 10%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10% 이상 결합되는 경우, 금속간 화합물이 접합면에 형성되어 크랙을 유발한다.
밀봉판(102) 측면에 납땜재(1082)로서 니켈을 이용하는 경우, 볼록용기(101)의 측면에 납땜재(1082)로서 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과 니켈 비율은 1 : 2 및 1 : 1 사이가 바람직하고 합금의 융점을 저하함으로써 용접온도가 저하하여 접합성을 또한 향상한다.
접합부의 용접에 대해, 저항용접법을 이용하는 병렬 시임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스팟 용접에 의해 밀봉판(102)과 볼록용기(101)를 일시적으로 확보한 후, 롤러형 전극이 밀봉판(102)의 대향된 두 측면에 대해 가압되고 전류가 공급되어 저항 용접 원리에 따라 용접을 행한다. 밀봉판(102)의 네 측면을 용접함으로써 밀봉 이 얻어질 수 있다. 롤러 전극이 회전하면서 맥동치듯 전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용접후 시임 상태가 얻어진다. 별개 용접이 서로 펄스 오버랩을 따르도록 펄스 폭이 제어되지 않으면 완전한 밀봉을 달성할 수 없다.
전지 또는 전해질(액체)을 함유하는 커패시터에 대한 용접에서, 저항 용접법을 이용하는 병렬 시임 용접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 방법은 기화에 대한 열저항이 작고 다른 방법보다 전지에서 전해질 용액의 누설이 적다.
사용된 세퍼레이터는 내열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롤 다공막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에서, 내열성이 있지만 저항 용접법을 이용하는 시임 용접시 열에 의해 롤링 방향으로 수축한다. 그 결과, 내부 단락이 발생하기 쉽다. 수축성이 작은 내열수지 또는 유리섬유를 이용하는 세퍼레이터가 만족스럽다. 수지로서, PPS(polyphenylene sulfide) 및 PEEK(polyetheretherketone)가 유리하다. 유리섬유가 특히 효과적이다. 또, 다공 세라믹 및 폴리플루오로수지체(polyfluoro-resin body)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볼록용기(101) 내부에 단차(step)를 설치하고 단차에 세퍼레이터를 놓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110)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링(109)의 두께가 볼록용기(101)의 측면 상의 벽보다 작게 축소되며 세퍼레이터가 이 단차에 놓여져 있다. 이는 내부 단락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용기(101)의 측벽 상의 단차(1101)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선택사항이다. 도 2에 도시한 크림핑과 실링에 의해 얻어진 종래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형상은 원형에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대부분 직사각형의 다른 전자부품과 함께 기판(회로기판)에 배열하는 경우, 낭비되는 무효공간이 불가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직사각형으로 또한 설계될 수 있고 단자 등의 돌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기판에 효과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의하면, 접속단자가 볼록용기와 일체되고 용기의 외측 바닥에 놓여지기 때문에, 기판(회로기판)의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내열물질로 구성함으로써 리플로 납땜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aims (20)

  1. 양극과 음극의 쌍 전극(paired electrode)과, 양극과 음극을 이격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와, 전해질과, 쌍 전극, 세퍼레이터와 전해질을 포함하는 볼록용기, 및 볼록용기를 밀봉하는 밀봉판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전지에 있어서, 금속층이 볼록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이고, 밀봉판이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볼록용기와 밀봉판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며,
    금속층의 두께가, 밀봉판 측에 위치한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합한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링과 납땜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링은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상기 볼록용기와 밀봉판이 시임 용접(seam welding)에 의해 접합되는 전기화학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용기와 밀봉판이 병렬 시임 저항 용접(parallel seam resistance welding)에 의해 접합되는 전기화학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용기가 인슐레이터(insulator)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용기가 세라믹 또는 세라믹 유리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은 코발트, 니켈 및 철을 함유한 합금을 포함하며, 납땜재는 금속링에 형성된 니켈 및/금박인 전기화학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은, 볼록용기와 함께 접합된 측면의 표면에 납땜재가 형성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의 금속은 코발트, 니켈 및 철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하며, 볼록용기와 함께 접합된 측면의 표면에 형성된 납땜재는 니켈 및/또는 금박인 전기화학전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재가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cladding)으로 형성되는 전기화학전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재가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으로 형성되는 전기화학전지.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볼록용기 내부에 단차(step)를 설치하고 이 단차에 세퍼레이터가 놓이는 전기화학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볼록용기 내부 바닥면에 전극 전류 콜렉터가 놓이는 전기화학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전류 콜렉터는 텅스텐, 알루미늄, 티타늄, 카본, 팔라듐, 은, 백금, 및 금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15. 제13항에 있어서, 볼록용기 내부 바닥면의 전극 전류 콜렉터에, 카본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갖는 층이 또한 설치되는 전기화학전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주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플루오로수지(polyfluororesin), 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전지.
  18. 제1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도금, 인쇄 또는 클래딩(cladding)에 의해 형성되 는 전기화학전지.
  19. 양극과 음극의 쌍 전극과, 양극과 음극을 이격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질과, 쌍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볼록용기와, 및 볼록용기를 밀봉하는 밀봉판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전지에 있어서, 금속층이 볼록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이고, 밀봉판이 볼록용기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볼록용기와 밀봉판이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되며,
    금속층의 두께가, 밀봉판 측에 위치한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합한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용기와 밀봉판이 병렬 시임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전기화학전지.
KR1020040057775A 2004-07-23 2004-07-23 전기화학전지 KR10103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775A KR101030406B1 (ko) 2004-07-23 2004-07-23 전기화학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775A KR101030406B1 (ko) 2004-07-23 2004-07-23 전기화학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102A KR20060008102A (ko) 2006-01-26
KR101030406B1 true KR101030406B1 (ko) 2011-04-20

Family

ID=3711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775A KR101030406B1 (ko) 2004-07-23 2004-07-23 전기화학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673B1 (ko) 2015-06-11 2015-11-27 주식회사 씨엘씨팩토리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를 위한 용기와 이의 제조방법, 및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
WO2018226921A1 (en) * 2017-06-09 2018-12-13 Sion Power Corporation In situ current collector
US11830672B2 (en) 2016-11-23 2023-11-2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in a solder reflow proc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55B1 (ko) 2010-06-23 2012-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화학 커패시터
KR101222872B1 (ko) * 2011-08-08 2013-01-25 비나텍주식회사 케이스 단자를 갖는 슈퍼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41674B1 (ko) * 2012-02-16 2012-05-04 주식회사 로스윈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959B1 (ko) * 2014-06-25 2016-07-01 주식회사 스토리피칭아카데미 전기 에너지 저장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5338A (en) * 1977-12-20 1979-07-06 Seiko Instr & Electronics Sealed alkaline battery
JPS5780658A (en) * 1980-11-08 1982-05-20 Hitachi Maxell Ltd Thin battery
JPH08339943A (ja) * 1995-06-09 1996-12-24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素子の封止構造及び封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5338A (en) * 1977-12-20 1979-07-06 Seiko Instr & Electronics Sealed alkaline battery
JPS5780658A (en) * 1980-11-08 1982-05-20 Hitachi Maxell Ltd Thin battery
JPH08339943A (ja) * 1995-06-09 1996-12-24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素子の封止構造及び封止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673B1 (ko) 2015-06-11 2015-11-27 주식회사 씨엘씨팩토리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를 위한 용기와 이의 제조방법, 및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
US11830672B2 (en) 2016-11-23 2023-11-2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in a solder reflow process
WO2018226921A1 (en) * 2017-06-09 2018-12-13 Sion Power Corporation In situ current collector
CN110710048A (zh) * 2017-06-09 2020-01-17 赛昂能源有限公司 原位集流体
US10608278B2 (en) 2017-06-09 2020-03-31 Sion Power Corporation In situ current collector
US11228055B2 (en) 2017-06-09 2022-01-18 Sion Power Corporation In situ current collector
CN110710048B (zh) * 2017-06-09 2023-03-07 赛昂能源有限公司 原位集流体
US11664527B2 (en) 2017-06-09 2023-05-30 Sion Power Corporation In situ curren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102A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7121A1 (en) Electrochemical cell
JP5099964B2 (ja) 電気化学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7366B2 (ja) 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KR101030406B1 (ko) 전기화학전지
JP5550571B2 (ja) 電気化学セル、携帯電子機器、及び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JP2010186691A (ja) 電気化学セル
EP2077591B1 (en) Electrochemical cell
JP5705569B2 (ja) 電気化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4487A (ja) 電気化学素子
CN100492747C (zh) 电化学电池
JP6014230B2 (ja) 電気化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86690A (ja) 表面実装用ボタン型電気化学セル
JP5909387B2 (ja) 電気化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2998B2 (ja) 電気化学セル
JP5697472B2 (ja) 電気化学素子
JP5466065B2 (ja) 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CN101436649A (zh) 电化学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