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59B1 -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59B1
KR101030359B1 KR1020030042342A KR20030042342A KR101030359B1 KR 101030359 B1 KR101030359 B1 KR 101030359B1 KR 1020030042342 A KR1020030042342 A KR 1020030042342A KR 20030042342 A KR20030042342 A KR 20030042342A KR 101030359 B1 KR101030359 B1 KR 10103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enine
collagen
skin
cream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975A (ko
Inventor
김종헌
엄상용
정의수
김영실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 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to KR102003004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데닌을 0.001~1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 효과를 제공한다.
아데닌, 주름방지, 주름개선, 콜라겐, 콜라게네이즈

Description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denine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nd preventing the appearance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콜라겐 합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동물에 도포한 후, 콜라겐 합성 변화를 조직염색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콜라겐 합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동물에 도포한 후, 콜라겐 합성 변화를 조직염색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동물에 도포한 후, 콜라게네이즈 합성 변화를 조직염색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동물에 도포한 후, 콜라게네이즈 합성 변화를 조직염색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시험예 4에서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깊은 주름(R1, R2, R3)의 개선 정도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와 처방예 1의 크림 제형의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시험예 4에서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얕은 주름(R4, R5)의 개선 정도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와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시험예 4에서 처방예 1 크림의 사용전의 레플리카(Replca)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시험예 4에서 처방예 1 크림의 8주 사용후의 레플리카(Replca)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시험예 4에서 비교처방예 1 크림의 사용전의 레플리카(Replca)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시험예 4에서 비교처방예 1 크림의 8주 사용후의 레플리카(Replca)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 효능이 뛰어난 아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 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은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가운데에서 요즘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는 피부 주름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 및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전체 피부 건조중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피부의 탄력은 이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 탄력섬유)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 분자는 파이브로블라스트(Fibroblast) 내에서 만들어지며, 이들이 세포 밖으로 분비된 후에 3중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인 견고성 유지, 결합 조직의 저항력 및 조직의 결합력 강화,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 및 분화의 유도 등이 알려졌다(Van der Rest 등,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자연 노화에 의한 세포 활성의 감소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활성으로 인한 내적 요인 및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활성산소 및 자유 라디칼의 증가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Ingrid Emerit 등, Free radical and aging, 1992).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해 65%의 콜라겐이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등,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는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피부내 콜라겐의 합성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기질의 성분이 증가됨으로 이로부터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 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콜라겐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제품화 하였다. 그러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그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근래에는 피부의 진피에 직접 콜라겐을 주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부작용으로 인해 올바른 피부 주름의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익 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특허 특개평 8-231370)등이 알려졌다. 그러나, 레티노익 산은 불안정하여 제형 기술이 복잡하며, 피부에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사용에 한계가 있고,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은 광우병에 의한 소 적출물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인 피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사용의 간편성이 있으며 또한 제형상 안정성이 높고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갖는, 새로운 콜라겐 생성 촉진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 또한 주름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피부에 있어서의 주름을 개선시키거나,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연구, 검토한 결과 아데닌이 주름의 개선 및 주름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거나,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어 또는 지연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아데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데닌을 0.001~1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23122906-pat00001
아데닌은 생체 유전 정보를 저장, 전달하는 DNA 구성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DNA는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4개의 염기와 구조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당과 포스페이트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DNA 염기는 다시 퓨린계열 염기와 피리미딘 계열 염기로 나누어지며 아데닌은 이중 퓨린계열 염기에 속한다. 즉 아데닌은 생체의 유전정보를 저장, 전달하는 DNA의 가장 기본 되는 구성 성분이라 할 수 있다. 아데닌은 또한 생체 에너지인 ATP를 만드는데도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성분이다. 생체는 근육의 이완, 세포의 이동, 다양한 분자와 이온들의 능동수송 및 단백질 등 생체 거대 분자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자유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런 자유 에너지를 수송하는 것이 바로 ATP이다. ATP는 하나의 아데닌과 하나의 당 그리고 세 개의 포스페이트그룹으로 되어 있다. 또한 ATP등과 같은 생체 내 에너지를 내는 분자들의 전자 수용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NAD, NADH의 구성성분에서도 아데닌은 중요한 성분이다. 또 전자를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NADPH에서도 역시 아데닌은 중요한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아데닌은 시판되고 있는 삼롱 케미칼(SAMLONG CHEMICALS, 중국)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백색의 입자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고,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연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엣센스,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본 발명의 아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크림제형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0
카보머 0.4
스테아린산 3.0
세틸알콜 2.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아데닌 1.0
방부제 0.2
0.1
정제수 잔량
100

처방예 2.
본 발명의 아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아데닌 1.0
스테아린산 1.0
세틸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3.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부틸렌글리콜 5.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0.2
0.1
정제수 잔량
100.0

비교처방예 1.
처방예 1의 조성 중에 아데닌을 제외한 조성으로 크림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0
카보머 0.4
스테아린산 3.0
세틸알콜 2.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아데닌 -
방부제 0.2
0.1
정제수 잔량
100

시험예 1. 콜라겐합성 효능측정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웰(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아데닌을 0.001%의 농도로 1일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Takara Shuzo 사의 Catalog #: MK101,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띈 96-웰 플레이트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아데닌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3122906-pat00002
물질 콜라겐합성(%)
아데닌 처리군 45
대조군 0

표 1로부터, 아데닌으로 처리한 군이 아데닌을 처리하지않은 대조군보다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콜라게네이즈 억제 효능 측정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웰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아데닌을 0.001%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아머샴파마샤 사의 Catalog #: RPN 2610, 미국)를 이용하여 콜라게네이즈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웰 플레이트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 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띈 96-웰 플레이트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아데닌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3122906-pat00003
물질 콜라게네이즈 발현량(%)
아데닌 처리군 -20
대조군 0

표 2로부터 세포에서의 콜라게네이즈의 발현 저해를 측정한 결과 아데닌을 처리한 군은 아데닌을 처리하지않은 대조군보다 콜라게네이즈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주름제거 효과
(1) 시험 방법
무모 생쥐(hairless mouse) 40 마리에 자외선을 8주 동안 매일 1회(UVB 70mJ/㎠)씩 조사한 후, 각 군당 20마리씩 2군으로 나누었다. 그 다음,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포함) 및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비 포함)을 각각 1달 동안 매일 100㎕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시험결과
1) 콜라겐 생성율
무모 생쥐의 등부위를 생검하여 콜라겐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 하였다. 그 다음,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a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포함)을 도포한 군의 콜라겐 생성율(도 1a)이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비 포함)을을 도포한 군의 콜라겐 생성율(도 1b)보다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2) 콜라게네이즈 생성 억제율
무모 생쥐의 등부위를 생검하여 콜라게니에즈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 하였다. 그 다음,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포함)을 도포한 군의 콜라게네이즈 생성율(도 2a)이 비교처방예 1의 크림제형의 조성물(아데닌 비 포함)을을 도포한 군의 콜라게네이즈 생성율(도 2b)보다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인체 실험을 통한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에서 제조된 크림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즉,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는 30~40대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얼굴을 좌, 우로 나누어 각각 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1의 제품을 주고 매일 2회 8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8주가 지난 다음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뜨고 비지오메타(visiometer: SV500, Courage+Khazaka electronic 사, 독일)를 이용한 화상 분석을 통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R1~R5의 값으로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8주 사용 후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여부 및 어느쪽이 개선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하기의 표 3에서 R1~R3는 깊은 주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R4, R5는 얕은 주름의 정도를 나타낸다.
화상 분석을 통한 주름의 깊이 측정결과
32명 비교처방예 1(아데닌 비포함) 처방예 1(아데닌 포함)
평균값 R1 R2 R3 R4 R5 R1 R2 R3 R4 R5
제품사용전 1.355 1.301 0.764 0.132 0.299 1.612 1.566 0.861 0.151 0.322
사용8주후 1.516 1.469 0.854 0.149 0.310 1.349 1.304 0.758 0.133 0.295

상기에서 측정된 R1~R5의 값을 다음 식에 대입하여 주름변화율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도 3a, 3b로 도시하였다.
주름변화율(%) = [(사용전 측정값 - 8주 도포 후의 측정값)/사용전 측정값] ×100
또한, 처방예 1 크림의 사용전(도 4a) 및 8주 사용후(도 4b)의 레플리카(Replca) 사진과 비교처방예 1 크림의 사용전(도 5a) 및 8주 사용후(도 5b)의 레플리카 사진을 도 4a, 4b 및 도 5a, 5b로 나타내었다.
상기의 표 3; 도 3a, 3b; 도 4a, 4b; 및 도 5a,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디펜던트(INDEPENDENT) T-TEST 통계 분석 방법을 이용한 결과 아데닌을 포함하는 처방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데닌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처방예 1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의 주름개선효과를 갖기 때문에 깊은 주름(R1~R3) 및 얕은 주름(R4, R5)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효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주름개선효과 인원수(명) 비율(%)
효과없음 2 6.3
처방예 1이 우수함 20 62.5
비교처방예 1이 우수함 5 15.6
양쪽모두 효과있음 5 15.6

상기와 같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데닌을 포함한 처방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아데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86385117-pat00014
    .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데닌을 0.001~1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엣센스, 젤, 피부 점착타입제형, 로션, 연고,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42342A 2003-06-27 2003-06-27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KR10103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342A KR101030359B1 (ko) 2003-06-27 2003-06-27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342A KR101030359B1 (ko) 2003-06-27 2003-06-27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975A KR20050002975A (ko) 2005-01-10
KR101030359B1 true KR101030359B1 (ko) 2011-04-20

Family

ID=3721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342A KR101030359B1 (ko) 2003-06-27 2003-06-27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549A (ja) * 1999-07-14 2001-02-06 Pola Chem Ind Inc 真皮コラーゲン線維束再構築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549A (ja) * 1999-07-14 2001-02-06 Pola Chem Ind Inc 真皮コラーゲン線維束再構築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975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7076C (zh) 丹皮酚在制备抑制黑素生成黑素转运的美白祛斑化妆品或治疗色素沉着性疾病药物上的应用
CN105287341B (zh) 一种美白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3037880B (zh) 含有构树的提取物的组合物
KR101517950B1 (ko) 철갑상어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870094A1 (en) Antiwrinkle agent
CN102421412B (zh) 含有日本扁柏多糖的皮肤外用组合物
JP5377815B2 (ja) 皮膚弾力増進用化粧料組成物
KR20040068986A (ko) 줄기 세포 인자의 생산ㆍ방출의 억제에 의한 소양, 피부거칠어짐, 민감성 피부 개선용 및 미백용 약제
US8216618B2 (en) Cosmetic use of an Ophiopogon japonicus active principle
JP4117773B2 (ja) N−アシルアミノアミドファミリーのエラスターゼ阻害剤と少なくとも1種の抗真菌剤又は少なくとも1種の抗菌剤の組み合わせを含む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00040706A1 (en) Method of anti-ageing cosmetic care by stimulation of survivin expression
KR20010001290A (ko)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JP2004091376A (ja) 表皮角化正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AU2002324634B2 (en) Method of skin exfoliation
CN113940909B (zh) 一种调节昼夜节律的组合物及其应用
JPH04282321A (ja) 化粧料
KR101030359B1 (ko) 아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및 생성억제용화장료 조성물
KR100585613B1 (ko) 베타-1,3-글루칸과 인삼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1145814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H04282320A (ja) 化粧料
KR20010010727A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6957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6592B1 (ko)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3197808A (zh) 高效靶向促进皮肤弹性胶原再生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