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208B1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208B1
KR101029208B1 KR1020097008695A KR20097008695A KR101029208B1 KR 101029208 B1 KR101029208 B1 KR 101029208B1 KR 1020097008695 A KR1020097008695 A KR 1020097008695A KR 20097008695 A KR20097008695 A KR 20097008695A KR 101029208 B1 KR101029208 B1 KR 10102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vator
evacuation
floo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6966A (en
Inventor
마사오 요리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의 상황에 따른 최적의 구출 활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화재를 감지한 후, 우선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의 엘리베이터칸을 화재 발생층에 정지시키고, 이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한다. 그리고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며, 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Even when a fire is detected, elevators can be used to provide optimal rescue activities based on the fire situation. For this purpose, after detecting a fire, an unmanned car equipped with a camera is first stopped on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a fire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is camera. The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the elevator is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e situation in the fire occurrence floor, and the elevator is operated to evacuate the evacuators in the fire occurrence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prepared evacuation operation plan. To control.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 the event of a fir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각 엘리베이터는 2차 재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 관제 운전으로 이행된다. 또한, 화재 관제 운전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화재가 감지되면, 먼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피난층을 향해 주행시키고, 피난층의 승장(乘場)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피난층의 승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을 내보내기 위해 도어 열림 동작을 행하며, 그리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도어를 닫고, 이후의 운행을 정지한다. 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equipped with elevators, each elevator is shifted to fire control opera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isasters. In the fire control operation,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erformed, for example. In other words, when a fire is detected, the car of the elevator is first driven toward a predetermined evacuation floor and stopped at the boarding point of the evacuation floor. Then, at the boarding of the evacuation floor, a door ope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lease the passengers in the car, and then the door is clo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subsequent operation is stopped.

한편, 근래에는 건축물의 방화 구획이나 그 외의 기술이 향상되어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화재 발생층 및 그 위쪽 근방층을 제외한 층에서는 화재의 영향을 받는 일이 적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방화 구획 등의 대책이 충분하게 세워진 건축물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일정한 조건하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계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even if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a fire prevention section of the building and other technologies, the fire occurrence floor and the floors except the upper floor are less affected by the fire. For this reason, in a building with sufficient countermeasures such as a fire compartment, even when a fire occurs, the elevator can be continued under constant conditions.

상기 사정을 고려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에 의해 서비스층을 분담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때에, 화재 발생층을 서비스층에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제1위로 하여 각 엘리베이터 그룹에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는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이 우선 순위에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 그룹의 화재 관제 운전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화재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화재 발생층보다 아래쪽 층이나 화재 발생층으로부터 떨어진 위쪽 층에 있어서는 화재가 감지된 후도 소정의 시간만큼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계속된다. In the prior art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for example, in an elevator apparatus configured to share a service floor by a plurality of elevator groups, when a fire is detected, the elevator group including the fire generation floor in the service floor is placed first. It is proposed to set the priority of fire control operation to each elevator group and to perform fire control operation of each elevator group sequentially according to this priority (refer patent document 1). That is, in the patent document 1, the elevator continues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after the fire is detected on the floor below the fire generating layer or the floor above the fire generating layer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the fire.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5-895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954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화재 발생시에 있어서 피난층의 혼잡을 완화하고 정확한 피난 유도를 실시하기 위해, 우선 순위가 낮은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서는 화재 관제 운전의 개시 시기를 늦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각 엘리베이터는 화재 관제 운전이 종료하면 이후의 운행이 차례로 정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화재 발생층에 남겨진 사람의 구출 활동에 이들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는 없었다.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alleviate congestion of the evacuation layer and to perform accurate evacuation guidance at the time of fire occurrence, the start time of the fire control operation is delayed for the low priority elevator group. However, since each elevator stops afterwards when the fire control operation ends, these elevators cannot be used for the rescue activities of the person left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의 상황에 따른 구출 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at can perform rescu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re by using the elevator, even if a fire is detected. It is.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과;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운전 계획 작성 수단과;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 the event of a fire, comprising: 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A camera provid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for prepar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The elevat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s provided to evacuate the refugee in a fire occurrence floor to an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과;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운전 계획 작성 수단과;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배차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결정하는 피난 대수 결정 수단과;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각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trols a some elevator which is group management-controlled at the time of a fire, Comprising: The fire detector which detects a fire; A camera provided in the car of each elevator;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for prepar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each elev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in the fire generation floor and the fire generation floor immediately above when the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levators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based on the evacuation driving plan created by the driving plan preparing means; On the basis of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elevat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ach elevator is provided so as to evacuate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vacuation person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은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와; 화재 감지 후에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의 엘리베이터칸을 화재 발생층에 정지시키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와;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와;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단계와를 구비한 것이다. An elevat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for controlling an elevator when a fire occurs,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fire; Stopping the unmanned car with the camera on the fire generating floor after the fire detection; 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Creat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controlling the elevator to evacuate the evacuator who is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prepared evacuation operation plan.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의 상황에 따른 구출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fire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rescu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re by using an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피난 운전 계획의 판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determination of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피난 운전 계획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a setting of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피난 운전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situation of evacuation opera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Code description>

1 화재 감지기, 2 엘리베이터칸, 3 카메라, 4 영상 유닛, 5 기계실, 6 피난 지원 장치, 7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 8 화재 상황 판정 수단, 9 운전 계획 작성 수단, 10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 11 승장 상황 판정 수단, 12 피난 대수 결정 수단1 fire detector, 2 car, 3 cameras, 4 imaging unit, 5 machine room, 6 evacuation support device, 7 elevator driving control device, 8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9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10 elevator control means, 11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Sudan, 12 Evacuation logarithm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or abbreviate |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은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건축물의 각 층에 각각 마련된 화재 감지기이다. 이 화재 감지기(1)는, 예를 들어 온도의 상승이나 연기의 발생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다. 그리고 각 화재 감지기(1)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화재 발생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화재 감지기(1)는 건축물 내에 복수 설치되지만, 화재 발생 정보를 출력한 화재 감지기(1)를 특정하는 것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층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화재 발생 정보에는 화재의 발생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와 화재 발생층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 is a fire detector provid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equipped with an elevator. The fire detector 1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by, for example, a rise in temperature or generation of smoke. Each fire detector 1 outpu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dition, although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1 are installed in a building,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floor on which a fire occurred by specifying the fire detector 1 which output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hat i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fire and information of the fire generating layer.

2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3은 엘리베이터칸(2) 내에 마련된 카메라이다. 상기 카메라(3)는 엘리베이터칸(2) 내외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촬영 범위가 설정되며, 예를 들어 방범용으로 엘리베이터칸(2) 내에 설치된 방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4는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마련되어, 카메라(3)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영상 유닛이다. 이 영상 유닛(4)은, 예를 들어 카메라(3)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증폭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이나, 외부로부터의 지령 등에 기초하여 카메라(3)의 팬(pan)이나 틸트(tilt)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is a car provided to elevate the inside of an elevator hoistway, and 3 is a camera provided in the car 2. The camera 3 is set in the shooting range so that the image inside and outside the car 2 can be taken, for example, is composed of a security camera and the like installed in the car 2 for security purposes. 4 is an imaging unit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2, and controlling with respect to the camera 3. As shown in FIG. The video unit 4 is a function of amplify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3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or a pan or tilt of the camera 3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the outside. ) Has a function to control.

엘리베이터의 기계실(5)에는 피난 지원 장치(6),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난 지원 장치(6)는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운전 계획을 작성하고,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에 대해 작성한 운전 계획에 기초한 운행 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는 피난 지원 장치(6)로부터 입력된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후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또한, 피난 지원 장치(6)는 화재 발생 후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칸(2) 내에 있는 승객을 소정의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는 관제 운전 처리와, 화재 발생층이나 화재 발생층 부근(예를 들어,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있는 사람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는 피난 운전 처리로 나누어, 관제 운전 계획과 피난 운전 계획을 각각 작성한다. The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and the elevator running control apparatus 7 are equipped in the machine room 5 of an elevator. The said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produces | generates the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and outputs the operation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plan created abou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7, when a fire has occurred in a building. And the elevator running control apparatus 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fter a fire based on the driving instruction input from the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In addition, the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fter a fire has occurred, a control operation process for evacuating a passenger in the car 2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floor at the time of a fire, and the vicinity of the fire occurrence layer or the fire occurrence layer ( For example, dividing a person on the floor direct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into an evacuation operation process of evacuating to an evacuation floor using an elevator, respectively, creates a control operation plan and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구체적으로, 상기 피난 지원 장치(6)에는, 예를 들어 화재 상황 판정 수단(8), 운전 계획 작성 수단(9),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8 내지 10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은 영상 유닛(4)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하고 있는 층의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수단이다. 또한,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에서 행해지는 화재의 상황을 판정하기 위한 처리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5-20559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9-259370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동양(同樣)이며, 카메라(3)로 촬영된 화상의 색도 변화 등에 기초하여, 카메라(3)의 촬영 범위 내에서 불길이 오르고 있는지, 즉 카메라(3)의 촬영 범위 내에 있어서 화염의 유무를 판단한다. Specifically, the said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is equipped with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and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for example. Each of the means of 8 to 10 is constituted by software on a microcomputer.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is a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e situation of the floor on which the car 2 is stopp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video unit 4. In addition, the process for judging the situation of the fire performed by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is the same as that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20559 and 9-259370, for example. On the basis of the change in the chromaticity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3 or the lik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lame is rising within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3, that is, whether the flame is present within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3.

상기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화재 감지기(1)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 내의 승객을 소정의 피난층으로 피난시키기 위한 관제 운전 계획을 작성한다. 또,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상기 관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관제 운전이 실시된 후, 엘리베이터칸(2)이 화재 발생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 상기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에 의해 판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은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에 의해 작성된 각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에 대해 운행 지령을 출력하고, 각 운전 계획에 기초한 동작을 실시하게 한다.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generates a control driving plan for evacuating passengers in the car 2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floor by inputting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or 1. Moreover,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is judged by the said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when the car 2 is stopping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after the fir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aid control oper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is prepared. And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outputs a driving instruction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7 based on each operation plan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and makes it perform the operation based on each operation plan.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장 도어(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유리창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건축물에 설치된 어느 화재 감지기(1)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기(1)로부터의 화재 발생 정보가 피난 지원 장치(6)의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에 입력된다(단계 S101). 상기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에서는 화재 발생의 유무가 일정 간격마다 상시 판정되고 있어(단계 S102), 화재 감지기(1)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판정하여 화재 발생층을 특정한다. 또,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화재 발생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관제 운전 계획 및 피난 운전 계획의 작성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Next,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has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taking the case where a glass window is provided in the car door and the boarding door (both not shown) as an example. In FIG. 2,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1 installed in a building,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or 1 is input to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of the evacuation support device 6. (Step S101). In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occurrence is always determined at regular intervals (step S102). It is specified. In addition,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determines that creation of a control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and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necessary by inputting fire occurrence information.

단계 S102에 있어서 관제 운전 계획 및 피난 운전 계획의 작성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이어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한 피난 운전이 이미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3). 여기서, 피난 운전이 이미 종료 된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 등에 있는 피난자의 구출은 종료되어 있다고 하여, 관제 운전 처리 및 피난 운전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1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2 that preparation of the control driving plan and the evacuation driving plan is necessary,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then determines whether or not evacuation driving based on the evacuation driving plan has already been performed (step S103). Here, when the evacuation operation has already been completed, it is assumed that the rescue of the evacuation person in the fire generating layer or the like is completed, thereby ending the control operation process and the evacuation operation process (step S104).

한편, 단계 S103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관제 운전 계획에 기초한 운행 지령이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으로부터 출력되어(단계 S105),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에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시킨다. 또한, 여기서 실시되는 화재 관제 운전은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화재 관제 운전과 동양이며, 예를 들어 소정의 피난층을 향해 엘리베이터칸(2)을 주행시킨 후, 피난층에 있어서 도어 열림 동작을 행하여 엘리베이터칸(2) 내의 승객을 피난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03 that the evacuation operation has not been completed yet, the operation command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plan is output from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step S105), and fir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7. Is carried out. In addition, the fir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here is the same as the fire control operation conventionally performed, for example, after driving the car 2 toward a predetermined evacuation floor, the door opening operation | movement is performed in an evacuation floor, Evacuate the passengers in the car (2).

상기 화재 관제 운전이 종료하고, 엘리베이터칸(2)이 무인 상태로 된 후,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피난 운전을 실시하기 위한, 즉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무인으로 된 엘리베이터칸(2)을 화재 발생층을 향해 주행시키고, 엘리베이터칸(2)을 화재 발생층에 정지시킨다(단계 S106). 엘리베이터칸(2)이 화재 발생층에 정지한 후, 엘리베이터칸(2) 내에 구비된 방범용의 카메라(3)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 밖의 상황을 유리창 너머로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는 영상 유닛(4)을 경유하여 피난 지원 장치(6)의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에 입력된다(단계 S107). After the fire control operation ends and the car 2 is in an unattended state,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starts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n evacuation operation, that is, for prepar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Specifically, first, the unmanned car 2 is driven toward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car 2 is stopped at the fire generating floor (step S106). After the cage | basket | car 2 stops at the fire generating floor, the situation outside the cage | basket | car 2 is image | photographed over the glass window by the security camera 3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2. 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camera 3 is input to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of the evacuation support device 6 via the video unit 4 (step S107).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은 우선 입력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한 화재 발생층의 화재의 상황을 해석한다(단계 S108). 그리고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은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 발생 층에 있는 피난자를 구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 즉 피난 운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9). 또한,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불길이 승장 부근에까지 미치고 있어, 단계 S109에서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4로 진행하여 피난 운전 처리를 종료한다.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first analyzes the situation of the fire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where the car 2 stopped,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step S108).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determines whether the evacuator in the fire occurrence floor can be rescued using the elevator, that is, whether evacuation operation is possible (step S109). In addition, when the flame reaches the vicinity of the boarding point in the fire generating laye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vacuation operation is impossible in step S109, the flow advances to step S104 to end the evacuation operation process.

한편, 단계 S109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가능, 즉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이 작성된다(단계 S110). 그리고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한 운전 지령이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장치(7)에 대해 출력되어(단계 S111),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가 제어된다. 또한, 피난 운전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와 같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possible in step S109, that is, the elevator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means,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the elevator is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step S110). The operation command based o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then output from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to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7 (step S111), whereby the elevator is controlled to evacuate the evacuators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In addition, the specific operation of evacuation operation is as follows.

먼저 도어 열림을 위해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며,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피난자를 엘리베이터칸(2)에 승차시킨다. 그 후, 엘리베이터칸(2)을 피난층까지 주행시키고 피난층에서 도어를 열어 피난자를 내리게 하여, 다시 엘리베이터칸(2)을 무인 상태로 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2)이 무인 상태로 되면 단계 S106으로 진행하여, 단계 S109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실시 불가능으로 판정될 때까지 단계 S106부터 S111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First, the car call is registered to open the door, and the evacuator rides on the car 2 in the fire generation floor. After that, the car 2 is driven to the evacuation floor, the door is opened from the evacuation floor, and the evacuation person is lowered, and the car 2 is again unattended. When the car 2 becomes unattend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106, and the processes from steps S106 to S111 are repeated until evacuation operation is determined to be impossible in step S109.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의 상황에 따른 구출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화재 발생시에 단시간에 보다 많은 사람을 피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화재 발생시의 피난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 사용자 등 계단을 내려가 는 것이 불편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특히 유효한 수단이 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fire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use an elevator to carry out rescu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re, so that more people can be evacuated in a short time in the event of a fire. In addition, since an elevator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means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 particularly effective means for a person who is inconvenient to go down the stairs such as a wheelchair user.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재 발생층의 위쪽 근방층, 예를 들어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서 피난자를 엘리베이터칸(2)에 승차시켜,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킨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1, although the case where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was cre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in the fire occurrence layer was demonstrated, the upper floor of the fire generation layer, for example, a fire occurrence The evacuation driving plan may be prepar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directly above the floor. In this case, the elevator is operated so that the evacuator rides on the car 2 direct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floor.

실시 형태 2. Embodiment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피난 운전 계획의 판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피난 운전 계획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피난 지원 장치(6)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n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shows the determination example of an evacuation driving plan in the form 2, and FIG. 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etting example of an evacuation driving plan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3 has shown the structure of the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in Embodiment 2. As shown in FIG.

도 3에 있어서, 피난 지원 장치(6)에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8), 운전 계획 작성 수단(9),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과 아울러,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8 내지 11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In FIG. 3, the evacuation support apparatus 6 is equipped with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and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and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As shown in FIG. Each of the means of 8 to 11 is constituted by software on a microcomputer.

상기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은 카메라(3)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정지층에 있어서 승장의 상황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 즉 승 장의 상황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화재 발생시의 피난 수단으로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은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의 판정 결과의 추이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승장의 안전성이나 화재 상황의 변화를 추측한다. 그리고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의 판정 결과와 상기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analyzes the boarding situation on the stationary floor of the car 2 on the basis of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3, and when the elevator fires due to the analysis result, that is, the boarding situ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means. For example,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infers the safety of boarding | airing and the change of a fire situation by analyzing the change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And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prepares an evacuation driving plan using an elev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rient.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관제 운전 처리의 동작은 도 2와 같으므로, 그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또, 도 4의 단계 S201 내지 S204의 동작은 도 2의 단계 S106 내지 S109까지의 동작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4-6,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has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control operation process is the same as FIG. 2 in FIG. 4,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since operation | movement of step S201-S204 of FIG. 4 is the same as operation of step S106-S109 of FIG. 2,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단계 S204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가능으로 판정되면, 이어서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은 화재 상황 판정 수단(8)의 판정 결과의 추이, 예를 들어 단계 S202에 있어서 입력된 화상 정보와 단계 S203에 있어서 행해진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승장의 상황을 자세하게 해석한다(단계 S205). 또한,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에 의해 실시되는 승장의 상황의 해석은,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9-25937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 등을 사용하여 화재의 위치나 범위, 불길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량 등을 해석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4 that evacuation driving is possible, then the boarding point determination unit 11 then chang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8 to, for example, the image information input in step S202 and step S203. The situation of boarding ground is analyzed in detai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performed (step S205).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the boarding performed by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for example using the techniqu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9-259370, etc., the position and range of a fir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a flame. Interpret the back.

이어서,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은 상기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승장의 상황을 판정하여(단계 S206), 엘리베이터를 화재 발생시의 피난 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한지, 또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사용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또한, 도 5는 단계 S206 등에 있어서 실시되는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의 판정예를 나타낸 것이며, 피난 운전 계획을, 안전 피난용 운전 계획, 화재 피난용 운전 계획(레벨 1 내지 3), 피난 종료 운전 계획의 3 종류로 분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화재 상황의 해석 결과나 승장 상황의 해석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기 3 종류의 피난 운전 계획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단계 S207 내지 S209). Subsequently,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determines the boarding situ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step S206), and determines whether the elevator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means in the event of a fire or if it can be used. do. 5 shows an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performed in step S206 and the like, and the evacuation driving plan includes the safety evacuation driving plan, the fire evacuation driving plan (levels 1 to 3), and the evacuation end. The cas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driving plan is shown. That is,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selects one of the three types of evacuation driving pla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boarding situation, and the like (steps S207 to S209).

또한, 상기 안전 피난용 운전 계획은,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1)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었으나, 화재 상황의 해석 결과나 승장 상황의 해석 결과에서는 화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선택된다. 또, 상기 화재 피난용 운전 계획은,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1) 및 화재 상황의 해석에 의해 화재가 검출되고, 승장 상황의 해석에 의해 엘리베이터로부터 먼 위치에서 작은 화재가 검출된 경우에 선택된다. 또한, 화재 피난용 운전 계획의 레벨은 불길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량 등에 기초한 장래 위험도의 정도에 따라 설정된다. 상기 피난 종료 운전 계획은,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1) 및 화재 상황의 해석에 의해 화재가 검출되고, 승장 상황의 해석에 의해 엘리베이터에 가까운 위치에서 화재가 검출된 경우, 또는 큰 불길이 검출된 경우에 선택된다. The safety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selected when, for example,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1, but no fire is detected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or the analysis result of the boarding situation. Moreover, the said fire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selecte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1 and the analysis of a fire situation, for example, and a small fire is detected from a position far from an elevator by the analysis of the boarding situation. .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fire evacuation driving plan is 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uture risk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the moving amount of the flame, and the like. In the evacuation end operation plan, a fire is detected by, for example, the fire detector 1 and an analysis of the fire situatio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elevator by the analysis of the boarding situation, or a large flame is detected. If selected.

단계 S206에 있어서 하나의 피난 운전 계획이 선택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수단(7)에 대해 선택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한 운행 지령이 출력된다(단계 S210). If one evacuation driving plan is selected in step S206, the driving instruction based on the evacuation driving plan selected for the elevator driving control means 7 is output from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step S210).

여기서, 도 6은 단계 S206에 있어서 선택된 피난 운전 계획에 따라 실시되는 피난 운전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안전 피난용 운전 계획 또는 화재 피난용 운전 계획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피난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사용된다. 피난 종료 운전 계획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피난 운전을 종료시킨다. 또, 피난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안전 피난용 운전 계획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에서 도어 열림 대기시키고, 승장 호출의 등록을 가능한 상태로 하고, 화재의 체크 주기를 60초로 설정한다. 한편, 화재 피난용 운전 계획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에서 도어 닫힘 대시키기고 승장 호출의 등록을 가능한 상태로 하고, 화재의 체크 주기를 60초보다 짧은 간격으로 실시한다. 예를 들어, 레벨 1의 경우는 30초마다, 레벨 2의 경우는 10초마다, 레벨 3의 경우는 2초마다 화재 체크를 행한다. 6 shows the contents of the evacuation operation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selected in step S206. For example, when a safety evacuation operation plan or a fire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selected, an elevator is used as an evacuation means from the fire generating floor. When an evacuation end operation plan is selected, the evacuation operation is terminated without using an elevator as an evacuation means. In addition, even when an elevator is used as an evacuation means, when a safety evacuation operation plan is selected, the door is waited to be opened at the fire occurrence floor, registration of the boarding call is made possible, and the fire check period is set to 60 seconds.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plan for fire evacuation is selected, the door is closed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registration of the boarding call is possible, and the check period of the fire is performed at intervals shorter than 60 seconds. For example, a fire check is performed every 30 seconds for level 1, every 10 seconds for level 2, and every 2 seconds for level 3.

그리고 화재 발생층으로부터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킨 후, 엘리베이터칸(2)이 무인 상태로 되면 단계 S201로 진행하고, 단계 S204 또는 S209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실시 불가능으로 판정될 때까지 단계 S201부터 S210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After evacuating the evacuator from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if the car 2 becomes unmann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1, and the steps S201 to S210 until the evacuation operation is determined to be impossible in step S204 or S209. Repeat the process until.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에 의해 승장의 상황을 상세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판정 결과에 따른 최적의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는 실시 형태 1과 동양의 효과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since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can determine the boarding situation in detail,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optimum evacu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thers show the effect of Embodiment 1 and Orient.

실시 형태 3. Embodiment 3.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집합 주택 등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대수가 적은 상황을 상정하여. 1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대규모 쇼핑센터 등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에서는 건축물 내의 엘리베이터를 소정 대수의 그룹 단위로 감시하고, 최적의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각 엘리베이터에 대해 그룹 관리 제어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In Embodiments 1 and 2, a situation is assumed in which the number of elevators installed in a collective house and the like is small. The operation in the case of controlling one elevator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 a building where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such as a large shopping center, a group management control is performed for each elevator in the group in order to monitor the elevators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groups and to provide optimal service. have. Therefore, below,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elevators by group management control is controlled is demonstra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피난 운전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피난 지원 장치(6)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for demonstrat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in the form 3, FIG. 10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tuation of evacuation operation i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evacuation support device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에 있어서, 피난 지원 장치(6)에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8), 운전 계획 작성 수단(9),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 승장 상황 판정 수단(11)과 아울러, 피난 대수 결정 수단(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8 내지 12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In FIG. 7, the evacuation support device 6 includes a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8, a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an elevator control means 10, a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11, and 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 12) is provided. Each of the means of 8 to 12 is constituted by software on a microcomputer.

상기 피난 대수 결정 수단(12)은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이나 화재 발생층의 위쪽 근방층(예를 들어,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 피난층에 배차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그룹 관리 제어된 엘리베이터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칸(2)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피난 대수 결정 수단(12)은 화재 발생층이나 그 바로 위층에 있는 피난자를 가능한 효율적으로 피난층으로 피난시킬 수 있도록, 각 층에 배차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결정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양이다. The evacuation log determination means 12 is based o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9, the floor near the fire generating layer or the upper floor of the fire generating layer (for example,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layer) and evacuation. It is a mean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elevators to the floor. That is, in the group-controlled elevators, the plurality of cars 2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so that the 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12 evacuates the evacuation floor or the evacuation located immediately above the evacuation floor as efficiently as possible. The number of elevators allocated to each floor is determine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관제 운전 처리의 동작은 도 2와 동양이므로 그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또, 도 8의 단계 S301 내지 S309의 동작은 도 4의 단계 S201 내지 S209까지의 동작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Next,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has the said structure based on FIG. 8 thru | or 10 is demonstrated. In FIG. 8, sinc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riving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step S301-S309 of FIG. 8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step S201-S209 of FIG. 4,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도 8에 있어서, 화재 관제 운전이 종료한 후, 우선 카메라(3)를 구비한 무인의 엘리베이터칸(2)을 화재 발생층 또는 그 바로 위층에 주행 및 정지시킨다(단계 S301). 또한, 카메라(3)를 구비한 무인의 엘리베이터칸(2)이 복수 대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 피난층에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칸(2)을 정지시키고, 각 층에 있어서 단계 S302 내지 S306의 동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In FIG. 8, after the fire control operation is finished, the unmanned car 2 provided with the camera 3 is first driven and stopped on the fire generating floor or the upper floor thereof (step S30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nmanned car 2 provided with the camera 3, the car 2 is stopped on the fire generating floor, the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vacuation floor,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operations of steps S302 to S306 may be performed.

그리고 운전 계획 작성 수단(9)은 화재 발생층,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 피난층의 각 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의 해석 결과와 승장 상황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피난 운전 계획을 선택한다(단계 S307 내지 S309). 또, 피난 대수 결정 수단(12)은 선택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각 층에 배차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결정한다(단계 S310 내지 S312). 또한, 도 8은 8대의 엘리베이터가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경우의 피난 대수의 설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는 화재 발생층의 상황에 따라 선택된 피난 운전 계획과 그 바로 위층의 상황에 따라 선택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 그 바로 위층, 피난층의 각 층에 배차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가 설정되어 있다. And 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9 selects the optimal evacuation driving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a fire situation and the analysis result of a boarding situation in each floor of a fire occurrence layer, the upper floor of a fire occurrence layer, and an evacuation layer. (Steps S307 to S309). In addition, the 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12 determines the number of elevators allocated to the respective floors based on the selected evacuation operation plan (steps S310 to S312). 8 shows an example of setting the number of evacuation units when eight elevators are under group management control. In this example, based o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mmediately above, the number of elevators dispatched to the fire generating floor, the immediately above, and the evacuation floor is determined. It is set.

단계 S310 내지 S312에 있어서 각 층에 배차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가 설정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10)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 수단(7)에 대해 운행 지령이 출력되고(단계 S314), 피난 운전이 개시된다. 그리고 화재 발생층이나 그 바로 위층으로부터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킨 후, 엘리베이터칸(2)이 무인 상태로 되면 단계 S301로 진행하여, 단계 S304 또는 S309에 있어서 피난 운전이 실시 불가능으로 판정될 때까지 단계 S301부터 S313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When the number of elevators allocated to each floor is set in steps S310 to S312, a driving command is output from the elevator control means 10 to the operation control means 7 of the elevator (step S314), and evacuation operation is started. . After evacuation of the evacuation person to the evacuation floor from the fire occurrence floor or immediately above, if the car 2 becomes unmann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1 until the evacuation operation is determined to be impossible in step S304 or S309. The processing from steps S301 to S313 is repeated.

또한, 도 10은 상기 8대의 엘리베이터가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경우의 피난 운전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No.5의 엘리베이터는 피난자를 피난층에 내려놓은 후, 엘리베이터칸(2)이 화재 발생층 또는 그 바로 위층을 향해 주행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No.5의 엘리베이터칸(2)은 그 후 엘리베이터의 배차 상태가 피난 대수 결정 수단(12)에 의해 설정된 배차 대수와 일치하도록 화재 발생층 또는 그 바로 위층에 정지한다. 10 shows the situation of evacuation operation when the eight elevators are under group management control. In Fig. 10, in the elevator of No. 5, the car 2 runs toward the fire generating floor or the upper floor after the evacuator is placed on the evacuation floor. Here, the cage | basket | car 2 of No. 5 stops in the fire generation layer or immediately above it so that the dispatch state of an elevator may correspond with the dispatch number set by the 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12 here.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 화재의 상황에 따른 최적의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단시간에 보다 많은 사람을 피난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는 실시 형태 1 및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under group management control,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timal evacu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e situation, and to evacuate more people in a short time. Others exhibit the same effect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화재의 상황에 따른 최적의 구출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방화 구획 등의 대책이 충분히 세워진 건축물에 있어서는 단시간에 보다 많은 사람을 피난시킬 수 있게 되어, 특히 유효한 수단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fire is detected, the elevator can be used to perform an optimal rescu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e situation. For this reason, in a building with sufficient countermeasures such as a fire compartment, more people can be evacuated in a short time, which is a particularly effective means.

Claims (4)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elevator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fire;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카메라;A camera provid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무인(無人)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화재 발생층에 정지시키고,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 밖의 상황을 촬영시키는 동작 수단;Operating means for stopping an unmanned car on a fire generating floor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and photographing a situation outside the car by the camera; 상기 동작 수단이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상황 판정 수단으로 하여금 화재 상황을 판정하도록 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운전 계획 작성 수단; 및Driving plan creation means for causing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to determine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creating an evacuation driving plan using an elev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And an elevat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so as to evacuate the evacuator who is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evacuation operation plan created by the operation plan preparation means. 화재 발생시에 그룹 관리 제어되고 있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elevators which are group management controlled at the time of a fire,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fire; 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카메라;A camera provided in the car of each elevator;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화재 상황 판정 수단;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무인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정지시키고, 정지된 각 엘리베이터칸의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 밖의 상황을 촬영시키는 동작 수단;Operation means for stopping the unmanned car on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floor direct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when the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and photographing a situation outside the car by the camera of each stopped car; ; 상기 동작 수단이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상황 판정 수단으로 하여금 화재 상황을 판정하게 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운전 계획 작성 수단;Driving plan creation means for causing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to determine the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by the operation means, and creat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each elev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배차하는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결정하는 피난 대수 결정 수단; 및Evacuation numb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levators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based on the evacuation driving plan created by the driving plan preparing means; And 상기 운전 계획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각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And an elevato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ach elevator to evacuate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evacuation person immediately above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evacuation driving plan created by the driving plan preparing means. Control device of elevato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층에 있어서 승장의 상황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화재 발생시의 피난 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승장 상황 판정 수단을 구비하며,On the basis of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on the stationary floor of the car, the situation of the boarding point is analyzed, and the boarding state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n be used as an evacuation means in the event of a fire is provided. 운전 계획 작성 수단은 화재 상황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 및 상기 승장 상황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The driving plan preparation means creates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the elevato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e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oarding situation determination means.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elevator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a fire; 화재 감지 후에,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의 엘리베이터칸을 화재 발생층에 정지시키고,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 밖의 상황을 촬영시키는 단계;After the fire detection, stopping an unmanned car having a camera on a fire generating floor and photographing a situation outside the car by the camera; 상기 무인의 엘리베이터칸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fire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provided in the unmanned car;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상황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사용한 피난 운전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n evacuation operation plan using an elevator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e situation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작성된 상기 피난 운전 계획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층에 있는 피난자를 피난층으로 피난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elevator to evacuate the evacuator in the fire generating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based on the prepared evacuation operation plan.
KR1020097008695A 2007-03-02 2007-03-0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KR1010292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4001 WO2008107952A1 (en) 2007-03-02 2007-03-0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966A KR20090086966A (en) 2009-08-14
KR101029208B1 true KR101029208B1 (en) 2011-04-12

Family

ID=3973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695A KR101029208B1 (en) 2007-03-02 2007-03-0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88362B2 (en)
KR (1) KR101029208B1 (en)
CN (1) CN101547852B (en)
WO (1) WO200810795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2079B2 (en) * 2010-03-17 2014-07-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system
US9120642B2 (en) 2010-06-29 2015-09-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2012162A (en) * 2010-06-30 2012-01-1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ontrol system
JP2012126559A (en) * 2010-12-17 2012-07-05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743320B2 (en) * 2011-03-03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N105016164B (en) * 2015-08-03 2018-05-18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A kind of elevator scheduling method under fire condition
US20170355562A1 (en) * 2016-06-10 2017-12-14 Otis Elevator Company Fire service sequence for multicar elevator systems
EP3483103B1 (en) 2017-11-08 2023-12-27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monitoring systems for elevators
JP6591591B2 (en) * 2018-03-06 2019-10-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diagnostic operation method,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diagnostic operation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681A (en) * 1992-01-08 1993-07-30 Shimizu Corp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WO2004101418A1 (en) 2003-05-14 2004-11-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562A (en) * 1999-08-26 2001-03-16 Hatsuta Seisakusho Co Ltd Fire position specification system for multistory parking garage or the like
WO2005121004A1 (en) * 2004-06-10 2005-12-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JP2006131381A (en) * 2004-11-08 2006-05-25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681A (en) * 1992-01-08 1993-07-30 Shimizu Corp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WO2004101418A1 (en) 2003-05-14 2004-11-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7852B (en) 2012-12-05
KR20090086966A (en) 2009-08-14
JP5088362B2 (en) 2012-12-05
CN101547852A (en) 2009-09-30
JPWO2008107952A1 (en) 2010-06-03
WO2008107952A1 (en)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2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US8839914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fire evacuation priority
EP2610202B1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008983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101004226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115846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vacuation of buildings
JP5516743B2 (en) Monitor control unit
JP4391226B2 (en) Evacuatio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KR20200075378A (en)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occupant density using cctv, and method for the same
JP6989024B2 (en) Inspection instruction device for movement support device
JP2010163271A (en)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586785B2 (en) Elevator equipment
JPH05147849A (en) Elevator controller
JP6717437B2 (en) Elevator system controller
JP2005206275A (en) Crime preventing device for elevator
JP2011251849A (en) Elevator system
JP2008056402A (en) Elevator operation system
CN107207197B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11153019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2012162356A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6923686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method
KR100896868B1 (en)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CN107879205A (en) The optimization occupant realized by using the residual capacity of more cabin elevators evacuates operation
KR102324205B1 (en) Elevator Control Method With Video Recognition and Elevator Boarding Assitant System
JP2015107858A (en) Emergency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and emergency operation method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