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183B1 -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183B1
KR101022183B1 KR1020040016173A KR20040016173A KR101022183B1 KR 101022183 B1 KR101022183 B1 KR 101022183B1 KR 1020040016173 A KR1020040016173 A KR 1020040016173A KR 20040016173 A KR20040016173 A KR 20040016173A KR 101022183 B1 KR101022183 B1 KR 10102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casing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356A (ko
Inventor
아베겐지
나카무라도모아키
자이마츠토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42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60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3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3495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조작 유닛 및 송화기를 갖는 다른 케이싱에 연결 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표시 유닛 및 수화기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을 포함하며, 하나의 케이싱의 수화기를 갖는 면이 다른 케이싱의 송화기를 갖는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연결 유닛에 의해 케이싱을 서로 개폐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 장치(10)는,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면(2a)에 대해 경사지게 하고, 또한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닫힌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을 개방하는 경우에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면(2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연결 유닛(3)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통화중에 송화기의 집음률을 향상시키며, 조작 유닛의 상부면이 하나의 케이싱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PORTABLE TERMINAL AND OPENING OR CLOSING METHOD THEREFO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예로서 휴대 전화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a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배치된 연결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a는 배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며, 도 2c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배치된 제 1 실시예의 연결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X-X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닛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로서, 도 10a는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b는 아래에서 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11a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b는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조립 상태의 정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을 위한 측면도,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이 서로 겹쳐진 상태(도 16a), 하나의 케이싱이 90° 회전된 상태(도 16b), 및 하나의 케이싱이 180° 회전된 상태(도 16c)에 대한 확대 설명 측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이 서로 겹쳐진 상태(도 17a), 및 하나의 케이싱이 180° 회전된 상태(도 17b)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0a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20b는 도 20a의 피벗부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21은 도 18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 결합 수단 및 연결 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도 18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 연결 수단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결합 수단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결합 수단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 사시도,
도 25a 및 도 25b는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5a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5b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a 및 도 26b는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6a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6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절결 개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케이싱 3 : 연결 유닛
4 : 송화기 5 : 조작 유닛
6 : 표시 유닛 7, 8 : 수화기
9 : 안테나 10 : 휴대 단말 장치
11 : 베이스 부재 12 : 회전체
13 : 조인트 14 : 원통체
15 : 회전 샤프트 16 : 탄성체
본 발명은 개인용 디지털 셀룰러(PDC), 개인용 휴대 전화 시스템(PHS),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전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수첩 크기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단부에서의 회전 기구를 통해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연결되고, 이 케이싱은 사용자를 향한 표면상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며, 이 케이싱은 사용자를 향한 표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PDC, PHS, CDMA, GSM, 차세대 기술로서 개발중인 광역 CDMA(WCCDMA), CDMA2000 또는 다른 통신 수단을 갖는 휴대 전화, 수첩 크기의 PDA, 및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양한 휴대 단말 장치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 타입의 휴대 단말 장치로서,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상에 겹쳐서 휴대성을 향상시킨 접힘가능한 기구를 갖는 것이 인기가 있다. 그 중에서 예를 들면, 표시 유닛을 갖는 하나의 케이싱이 연결 유닛을 통해 조작 유닛을 갖는 다른 케이싱에 접속되고, 하나의 케이싱의 표시 유닛을 갖는 면이 다른 케이싱의 조작 유닛을 갖는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케이싱이 개폐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288860 호(이하, 특허 문헌 1이라 칭함)에는,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다른 케이싱(203)에 힌지 축 유닛을 통해 연결된 표시 유닛(207) 및 수화기(208)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201)을 포함하고, 하나의 케이싱(201)의 표시 유닛(207) 및 수화기(208)를 갖는 면(202)이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면(203a)과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에서 하나의 케이싱(201)이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면(203a)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되는 휴대 단말 장치(200)가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209)는 하나의 케이싱(201)의 일단부에 신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158758 호(이하, 특허 문헌 2라 칭함)에는, 표시 유닛(222) 및 수화기(223)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211)과, 조작 유닛(221) 및 송화기(220)를 갖는 다른 케이싱(215)을 포함하며, 하나의 케이싱(211)의 표시 유닛(222) 및 수화기(223)를 갖는 면(213)이 다른 케이싱(215)의 조작 유닛(221) 및 송화기(220)를 갖는 면(216)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하나의 케이싱(211) 및 다른 케이싱(215)이 반대로 배치된 경우에 다른 케이싱(215)의 조작 유닛(221) 및 송화기(220)를 갖는 면(216)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사면(217)이 제공되며, 하나의 케이싱(211)의 표시 유닛(222) 및 수화기(223)를 갖는 면(213)에 대해 대향면(212)상의 경사면(217)에 대응하도록 노치 형성된 경사면(214)이 제공되며, 이 경사면(214)이 회전 샤프트(219)를 통해 경사면(217)에 연결되며, 하나의 케이싱이 회전 샤프트(219)를 중심으로 다른 케이싱(215)에 대해 회전되는 휴대 단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224)는 다른 케이싱(215)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5a 및 도 25b와,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100, 210)는 모두 도 25a 및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경우뿐만 아니라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경우에도 표시 유닛(207, 222)상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200)는 하나의 케이싱(201)이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면(203a)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201)은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상을 활주하며, 그에 의해 조작 유닛(206)의 상부면상의 심볼(symbol)이 하나의 케이싱(201)에 의해 마모되어, 심볼이 판독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하나의 케이싱(201)의 수화기(208)에 대해 대향면이 흠집 또는 오염에 의해 문제가 되게 손상된다.
또한, 하나의 케이싱(201)이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면(203a)에 수평으로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케이싱(203)의 조작 유닛(206) 및 송화기(205)를 갖는 면(203a)은 하나의 케이싱(201)이 다른 케이싱(203)에 대해 개방되는 경우에 하나의 케이싱(201)의 표시 유닛(207) 및 수화기(208)를 갖는 면(202)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면(203a)은 하나의 케이싱(201)의 표시 유닛(207) 및 수화기(208)를 갖는 면(202)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작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싱(201)의 수화기(208)에 귀를 기울이는 경우에 다른 케이싱(203)의 송화기(205)를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가져갈 수 없고, 그에 의해 낮은 집음률(sound collecting rate)의 문제를 야기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명확한 음성을 송신할 수 없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210)는 하나의 케이싱(211)이 회전 초기 단계에 다른 케이싱(215)의 조작 유닛(221) 및 송화기(220)를 갖는 면(216)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211)은 다른 케이싱(215)의 조작 유닛(221)상을 활주하며, 그에 의해 조작 유닛(221)의 상부면상의 심볼이 하나의 케이싱(211)에 의해 마모되어, 심볼이 판독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하나의 케이싱(211)의 수화기(223)에 대해 대향면이 흠집 또는 오염에 의해 문제가 되게 손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를 향한 표면상에서 다른 기능을 갖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이 회전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 케이싱은 사용자를 향한 표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며, 하나의 케이싱은 간단하고 저가인 구성으로 회전 동안에 다른 케이싱의 표면을 마모시키지 않고 회전가능하며, 유용성(us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는 위치에서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에 소정 각도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 장치 및 그 개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케이싱이 개폐시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작 유닛을 보호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휴대 단말 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는 동안에 케이싱의 예기치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회전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사용자를 향한 표면상에 다른 기능부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포함하며, 사용자를 향한 표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양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 기구는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경사지게 함으로써 케이싱을 이격시키는 피벗 기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를 향한 표면상의 다른 기능부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케이싱의 표면이 서로 마모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구는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측에 대해 하나의 케이싱을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한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측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회전 기구상에 제공된 피벗 기구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구는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변경하는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케이싱상의 기능부로서 하나의 케이싱이 조작 유닛을 갖고 다른 케이싱이 표시 유닛을 갖는 경우, 표시 유닛은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를 향해 지향되어, 표시 유닛을 보면서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그에 따라, 유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다른 케이싱에 송화기를 갖고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수화기를 갖는 휴대 전화인 경우, 송화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귀에 근접하게 가져갈 때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집음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도 제어 수단은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에,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회전의 초기 단계후에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중간쯤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 후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각도 제어 수단은 양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회전의 초기 단계후에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점차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 특징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 케이싱이 극히 약한 힘으로 회전의 초기 단계에 이격될 수 있다.
각도 제어 수단은 하나의 케이싱 또는 다른 케이싱상에 제공된 가이드와, 다른 케이싱 또는 하나의 케이싱상에 제공되고 가이드와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상대 회전에 의해 돌기를 가이드상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은 돌기를 가이드상에 활주시킴으로써 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까지 부드럽게 경사질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는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와 정합되는 오목부를 돌기에 대향하는 가이드의 위치에 구비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케이싱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기구는 다른 케이싱에 고정된 장착 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와,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되고 장착 구멍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제 2 베이스 부재는 피벗 기구에 의해 회전체의 축에 수직한 피벗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나의 케이싱은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케이싱은 돌기에 의해 접촉되는 가이드를 구비하며, 회전 기구는 돌기를 가이드에 대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는 회전 기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케이싱 표면 또는 기능 영역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케이싱은 흔들림 없이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까지 부드럽게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 수단은 제 1 베이스 부재와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를 가이드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바이어싱 수단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록킹 플레이트와, 록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배치된 원통체를 포함하며, 원통체는 이 원통체의 축에 수직하고 관통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샤프트에 대해 피벗가능하며, 피벗 기구는 회전체의 축에 수직하도록 회전체에 고정된 회전 샤프트를 갖는 회전체에 제 2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바이어싱 수단은 원통체와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상에 제공된 돌기를 다른 케이싱상에 제공된 가이드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한다.
또한,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비균일 베어링을 구비하는 브래킷이며, 회전체는 이 회전체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비균일 샤프트를 구비하며, 비균일 샤프트는 비균일 베어링을 관통하여 브래킷을 회전체에 연결함으로써 피벗 기구를 형성하며, 바이어싱 수단은 브래킷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상에 제공된 돌기를 다른 케이싱상에 제공된 가이드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한다.
또한,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관통 구멍을 갖는 브래킷이며, 관통 구멍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비균일 축방향 플레이트는 관통 구멍내에 마주보고 배치되며, 회전체의 축방향으로 반쯤 패인 홈은 회전체의 외주부상에 마주보고 배치되며, 피벗 기구는, 회전체를 브래킷의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고 브래킷의 비균일 축방향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회전체의 홈과 결합됨으로써 브래킷을 회전체에 연결하여 형성되며, 바이어싱 수단은 브래킷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상에 제공된 돌기를 다른 케이싱상에 제공된 가이드에 대하여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한다.
이들 특징은, 회전 기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케이싱 표면 또는 기능 영역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흔들림 없이 소정 각도까지 경사지게 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는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돌기에 대향하는 가이드의 위치에 구비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경우에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양 케이싱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기구는,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 및 케이싱중 하나가 상기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는 위치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설정 기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와, 케이싱중 하나가 상기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는 위치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양 케이싱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는 중공형이며,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에 안내된 전원선 또는 신호선이 중공부를 관통하여 통과된다. 이에 의해, 신호 또는 전력이 회전 기구상에 접점을 제공하는 일 없이 리드선을 통해 케이싱에 신뢰성있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2개의 케이싱과,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이들 2개의 케이싱이 회전하게 하고 또한 제 1 기준 축에 수직한 제 2 기준 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중 하나의 대향면상에 오목부가 제공되고, 그중 다른 케이싱의 대향면상에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가 제공된다. 그에 의해, 돌기가 오목부내로 삽입되어, 이들 2개의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다. 그에 따라, 케이싱은 케이싱의 상대적인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기준 축을 중심으로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대적인 위치에서 2개의 케이싱이 쉽게 정렬상태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정확한 상대 위치에 케이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대향면을 가지며, 연결 수단은 케이싱의 각각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돌기 및 오목부는 케이싱의 타단부에 제공되며, 연결 수단은 케이싱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하게 가져가는 방향으로 타단부를 서로에 대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과,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로부터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한 개방 작용과 관련하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대하여 케이싱의 두께 방향으로 케이싱의 타단부를 이격시키고, 케이싱이 이격된 개방 상태로부터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한 폐쇄 작용과 관련하여 두께 방향으로 케이싱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하게 가져가는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그에 의해, 케이싱의 폐쇄 상태에서, 바이어싱 수단은 바이어싱력을 인가하여 다른 케이싱의 타단부상의 돌기가 하나의 케이싱상의 오목부에 근접하게 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돌기가 오목부내로 신뢰성있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이 폐쇄된 위치로부터 180°의 상대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안내 수단은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를 이격시키며, 이에 의해 돌기가 하나의 케이싱의 대향면을 마모 및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2개의 케이싱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에서의 오목부의 측벽은 오목부의 바닥 벽면으로부터 대향면을 향해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이다. 그에 의해, 케이싱이 닫힌 위치로부터 상대 회전에 의해 2개의 케이싱을 개방할 때 돌기를 오목부에서 부드럽게 빼낼 수 있으며, 돌기가 케이싱을 폐쇄할 때 경사면에 의해 오목부로 안내되기 때문에 폐쇄 상태에서 용이하게 케이싱을 위치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유닛은 2개의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대향하는 하나의 케이싱의 대향면상에 제공되며, 표시 유닛은 다른 케이싱의 대향면의 반대 측면의 외부면상에 제공된다. 그에 의해, 이들 2개의 케이싱은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표시 유닛을 보는 동안에 예기치 않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양호한 환경을 보장한다.
더욱이, 휴대 단말 장치는 오목부의 바닥 벽면상에 개방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하나의 케이싱내에 관통 구멍에 대향하여 마이크로폰 또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그에 의해,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돌기가 오목부내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오목부의 바닥 벽면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은 돌기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먼지, 액체, 또는 임의의 다른 이물질이 관통 구멍으로부터 케이싱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그에 의해, 탄성체로 형성된 돌기는 케이싱이 닫힌 위치로부터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케이싱이 회전될 때 탄성 변형됨으 로써 오목부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케이싱이 닫힌 상태로부터 휴대 단말 장치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상대 회전에 의해 개폐하는 경우에 다른 케이싱상에 제공된 돌기가 하나의 케이싱의 대향면에 접하는 경우에도, 마찰에 의해 대향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서로 겹쳐진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단부를 연결하고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에서의 동일측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를 개폐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며, 하나의 케이싱은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다.
이것은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케이싱의 표면이 서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된 후에, 회전의 초기 단계후에 하나의 케이싱이 회전 기구에 의해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에 증가되어 소정 각도에 도달한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른 케이싱이 조작 유닛을 갖고 하나의 케이싱이 표시 유닛을 갖는 경우, 표시 유닛은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를 향해 지향되어, 표시 유닛을 보면서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그에 따라, 유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다른 케이싱에 송화기를 갖고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수화기를 갖는 휴대 전화인 경우, 송화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귀에 근접하게 가져갈 때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집음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회전의 초기 단계후에 하나의 케이싱이 회전 기구에 의해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에 점차 증가되어 소정 각도에 도달한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른 케이싱이 조작 유닛을 갖고 하나의 케이싱이 표시 유닛을 갖는 경우, 표시 유닛은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를 향해 지향되어, 표시 유닛을 보면서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다른 케이싱에 송화기를 갖고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수화기를 갖는 휴대 전화인 경우, 송화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귀에 근접하게 가져갈 때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집음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은 회전에 따라 소정 각도를 점차 증가시킴으로써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극히 약한 힘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크기, 재질, 형상 및 상대적인 배열 등은 특히 다른 특정이 없다면 본 발명의 범위를 그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a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배치된 연결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는 배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며, 도 2c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배치된 연결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X-X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닛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즉 표시 유닛(6)을 갖는 하나의 케이싱(1), 조작 유닛(5)을 갖는 다른 케이싱(2), 하나의 케이싱(1)에 다른 케이싱(2)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 유닛(3), 송화기(4), 조작 유닛(5), 표시 유닛(6), 수화기(7, 8), 안테나(9), 휴대 단말 장치(10), 베이스 부재(11), 플랜지(11a), 안내로(안내 유닛)(11b), 개시점측의 오목부(11c), 종료점측의 오목부(11d), 회전체(12), 내부면(12a), 조인트(13), 원통체(14), 록킹 플레이트(14a), 돌기(14b), 회전 샤프트(15) 및 탄성체(16)에 대해, 동일 참조 부호가 계속 사용되었다. 원통체(14), 록킹 플레이트(14a) 및 돌기(14b)는 제 2 베이스 부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는, 대향 배치된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과, 휴대 단말 장치의 예로써 휴대 전화를 예시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이들 케이싱(1, 2)을 접속하는 연결 유닛(3)을 포함하며, 케이싱(1, 2)은 연결 유닛(3)에 의해 대향면(2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다른 케이싱(2)은 하나의 케이싱(1)에 대향하는 면(2a)측상에 조작 유닛(5) 및 송화기(4)의 기능부를 가지며, 송화기(4)는 연결 유닛(3)에 대해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대향측상에 있는 하나의 케이싱(1)의 외부면(1b)측상에는, 휴대 전화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유닛(6)과, 이 표시 유닛(6)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수화기(7, 8)로 이루어진 설비를 구비하며, 하나의 수화기(7)는 연결 유닛(3) 근처에 배치되며, 다른 수화기(8)는 연결 유닛(3)의 대향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1)의 수화기(7, 8)를 갖는 외부면(11b)은 회전 동안에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에 대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다. 다른 케이싱(2)은 안테나(9)를 신축가능하게 수용하며, 이 안테나(9)는 연결 유닛(3) 근처에서 단부면으로부터 신축가능하다.
이하,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배치된 연결 유닛(3)의 제 1 실시예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 유닛(3)은,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기능부가 제공됨)에 수직한 축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제 1 베이스 부재(11)와, 이 제 1 베이스 부재(1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회전체(12)와, 이 회전체(12)를 다른 케이싱(2)에 연결하고, 하나의 케이싱(1)을 회전체(12)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경사 기구를 갖는 조인트(13)를 포함한다.
조인트(13)는 회전체(12)에 배치된 원통체(14)와, 이 원통체(14)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원통체(14)의 축에 대해 수직한 회전 샤프트(15)와, 원통체(14)의 단부에 배치된 록킹 플레이트(14a)를 포함한다. 조인트(13)는 원통체(14)에 제공된 록킹 플레이트(14a)와 대향면(1a)을 결합시키고, 하나의 케이싱(1)을 회전체(12)에 연결하도록 회전 샤프트(15)의 양단부를 회전체(12)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15)는 회전체(12)의 축에 수직하게 되고 다른 케이싱(2)의 단부면(2c)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15), 원통체(14) 및 회전체(12)는 하나의 케이싱(1)을 다른 케이싱(2)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경사 기구를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원통체(14)는 회전 샤프트(15)를 중심으로 회전체(12)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의 연결 유닛(3)에 대향하는 단부를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으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다른 케이싱(2)에 대해 하나의 케이싱(1)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탄성체(16)는 원통체(14)의 록킹 플레이트(14a)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단부에 부착된다. 탄성체(16)를 회전체(12)의 내부면(12a)에 대해 바이어싱함으로써, 하나의 케이싱(1)의 연결 유닛(3)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단부는 탄성체(16)의 탄성 작용에 의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제 1 베이스 부재(11)의 일단부에는 플랜지(11a)가 제공된다. 플랜지(11a)는 다른 케이싱(2)의 대향면(2a)에 접속되며, 단차부는 노칭(notching)에 의해 형성된 하반부 영역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의 타단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단차부의 바닥면은 안내로(11b)로서 사용되며, 오목부(11c, 11d)는 이 안내로(11b)의 개시점(S) 및 종료점(E)에 각각 형성된다. 안내로(11b)는 개시점(S) 근처로부터 안내로(11b)의 중앙부까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종료점(E) 근처에서 약간 더 높은 부분을 갖는다. 안내로(11b)는 개시점(S)으로부터 종료점(E)까지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면일 수 있다.
다음에, 제 2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록킹 플레이트(14a)에 제공된 돌기(14b)는 제 1 베이스 부재(11)의 안내로(11b)를 따라 미끄럼 안내된다. 안내로(11b)의 개시점(S)과 종료점 사이의 라인은 본 구성에서 회전 샤프트(15)에 수직하다. 안내로(11b)의 개시점(S)은 조작 유닛(5)측상에 위치되며, 안내로(11b)의 종료점(E)은 다른 케이싱(2)의 단부면(2c)측에 위치된다.
이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하나의 케이싱(1)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부재의 돌기(14b)는 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부재(11)의 개시점(S)측에 제공된 오목부(11c)와 결합하여,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연결 유닛(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10)가 휴대 전화이고,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에, 통화 상대방의 이름 또는 전화 번호 등의 수신 정보가 표시 유닛(6)상에 표시된다. 다음에, 송화기(4)와, [연결 유닛(3)에 근접한] 이 송화기(4)로부터 먼 수화기(7)가 작동되고, [연결 유닛(3)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단부에] 송화기(4)에 근접한 수화기(8)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후에, 사용자는 도시되지 않은 응답상태(off-hook) 조작 유닛을 누르고 수화기(7)를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가져감으로써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10)는 접혀진 상태에 있으며, 그에 따라 송화기(4)를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가져가기에 길이가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송화기(4)의 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송신된 음성을 모을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닫혀진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1)을 개방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싱(1)의 연결 유닛(3)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단부(1d)는 도 5a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으로부터 상승되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에 대해 하나의 케이싱(1)을 기울어지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의 돌기(14b)는 제 1 베이스 부재(11)의 개시점(S)측에 존재하는 오목부(11c)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은 제 1 베이스 부재(1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의 돌기(14b)는 안내로상을 활주하면서 종료점(E)까지 안내되어,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된다. 따 라서, 다른 케이싱(2)의 대향면(2a)상에 제공된 조작 유닛(5)은 하나의 케이싱(1)상을 활주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조작 유닛(5)의 상부면상의 심볼이 하나의 케이싱(1)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나의 케이싱(1)의 대향면(1a)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케이싱(2)에 대한 하나의 케이싱(1)의 회전 동안에, 하나의 케이싱(1)은 제 1 베이스 부재(1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안내되며, 그에 따라 회전 동안 하나의 케이싱(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단차가 제 1 베이스 부재(11)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b에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나의 케이싱(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연결 유닛(3)을 형성하는 회전체(14)를 통과한 리드선(도시되지 않음)이 뒤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5c,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은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며, 제 2 베이스 부재의 돌기(14b)는 안내로(11b)의 종료점(E)에 제공된 오목부(11d)와 결합되어 회전이 완료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에 대해 경사져 개방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1)의 수화기(7, 8)를 갖는 외부면(1b)과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갖는 대향면(2a) 사이에 형성된 각도(β)는, 바람직하게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에 있다.
개방 상태에서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 상대방의 이름 또는 전화 번호 등의 수신 정보가 표시 유닛(6)상에 표시된다. 다음에, 송화기(4)와, [연결 유닛(3)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단부에] 이 송화기(4)로부터 먼 수화기(8)가 작동되고, [연결 유닛(3)에 근접한] 송화기(4)에 근접한 수화기(7)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후에, 도시되지 않은 응답상태 버튼을 누르고 수화기(8)를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가져감으로써, 다른 케이싱(2)의 송화기(4)를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가져갈 수 있다. 그에 의해, 집음률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명확한 음성을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을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a는 위에서 본 도면이며, 도 10b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a는 하나의 케이싱(1)과 다른 케이싱(2)이 서로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b는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9에서의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은 도 1에서의 것으로부터 직사각형 입방체의 형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회전 기구(20)와, 이 회전 기구의 회전체(61)상에 제공된 비균일 샤프트(uneven shaft)(62)의 베어링 구멍(22)(도 9)을 갖고, 하나의 케이싱(1)에 고정된 브래킷(21)과, 스프링(60)과,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상에 제공된 회전 기구(20)를 배치하기 위한 구멍(75, 76)과, 하나의 케이싱(1)을 경사지게 하는 브래킷(21)의 구멍(22)을 통과하는 비균일 샤프트(62)를 갖는 회전체(61)와, 돌기(64)를 갖고 회전 제동 돌기(65)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에 고정된 레버(63)와, 회전체(61)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다른 케이싱(2)의 하나의 케이싱(1)측에 고정되고, 레버(63)의 돌기(64)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오목부(68)와 레버(63)의 돌기(64)를 접촉함으로써 하나의 케이싱(1)의 회전 초기 단계에 하나의 케이싱(1)과 다른 케이싱(2)을 이격시킨 후에 소정 각도로 하나의 케이싱(1)과 다른 케이싱(2)을 제공하기 위한 경사면(67a)을 갖는 가이드(67)를 구비하는 슬리브(66)와, 마찰 플레이트(69)와,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작동 상태 및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고 회전체(61)를 회전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다른 케이싱(2)에 고정되는 비작동 상태와 연관된 위치설정 래칭 기구의 오목부(70a)를 갖는 홀더(70)와,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용 위치설정 래칭 기구를 형성하는 돌기(72)를 구비하고, 회전체(61)가 다른 케이싱(2)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61)에 고정되는 탄성체의 스프링 플레이트(7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2)의 상대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케이싱(1)과 다른 케이싱(2)을 이격시키고, 그후에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소정 각도가 되도록 점차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1)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 기구(20)에 의해 단부에서 다른 케이싱(2)에 연결된다.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의 동일측상의 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하나의 케이싱은 도 8b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되어, 예를 들어 하나의 케이싱에 면한 다른 케이싱의 표면상에 배치된 조작 유닛(5)이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는 경우에,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은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며, 이 각도는 다른 케이싱(2)측상에 제공된 하나의 케이싱(1)의 경사부(23)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10)가 휴대 전화이며, 하나의 케이싱(1)이 표시 유닛(6)을 구비하고 다른 케이싱이 유닛이 조작 유닛(5)을 구비하는 경우에, 표시 유닛(6)은 항상 볼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표시 유닛(6)은 사용자를 향해 기울어져 있고, 그에 따라 조작 유닛(5)은 작동하기 용이하며, 휴대 전화에 있어서 수화기(8) 및 송화기(4)는 각각 사용자의 입과 귀에 근접하게 되며, 그에 의해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8a 내지 도 9에 있어서, 회전 기구(20)는 도 10a 내지 도 11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브래킷(21)은 회전 기구(20)의 회전체(61)상에 배치되고, 하나의 케이싱(1)에 고정된 비균일 샤프트(62)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구멍(22)을 구비하며, 제 2 베이스 부재로서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케이싱(1)은, 브래킷(21)의 베어링 구멍(22)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비균일 샤프트(62)에 의해 다른 케이싱(2)으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을 멀리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기구(20)를 중심으로 도 8b에 화살표(24)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회전 초기 단계에 다른 케이싱(2)측상의 하나의 케이싱(1)의 면을 다른 케이싱(2)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을 마모하는 일 없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며, 하나의 케이싱(2)과 다른 케이싱(2)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회전에 따라 점차 증가된다. 다음에, 하나의 케이싱(1)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상에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며, 이에 의해 다른 케이싱(2)측상에 제공된 하나의 케이싱(2)의 경사부(23)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인 소정 각도(θ)가 형성된다.
도 9와, 도 11a 및 도 11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 다른 케이싱(2) 및 회전 기구(20)에 관하여, 브래킷(21)은 하나의 케이싱(1)에 고정되며, 회전 기구(20)는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상에 각각 개구된 구멍(75, 76)내로 다른 케이싱(2) 하부로부터 삽입되며, 그에 의해 회전 기구(20)의 도 9에 도시된 슬리브(66)는 하나의 케이싱측상의 다른 케이싱(2)에 고정된다. 도 10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구(20)는 비균일 샤프트(62)를 갖는 회전체(61)를 구비하며, 회전체(61)의 비균일 샤프트(62)는 브래킷(21)의 베어링 구멍(22)내로 삽입되고 하나의 케이싱(1)에 고정되며, 하나의 케이싱(1)은 비균일 샤프트(62)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스프링(60)은 비균일 샤프트(62) 주위에서 브래킷(21)에 부착되어 하나의 케이싱(1)을 다른 케이싱(2)에 대해 가압하는 힘을 인가한다. 또한, 회전 기구(20)는, 돌기(64)와 회전 제동 돌기(65)를 구비하고 하나의 케이싱(1)의 구멍(75)에 제공된 회전 제동 오목부(구멍)(77, 78)(도 9)와 돌기(65)를 정합시키는 레버(63)와,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에 면하는 대향면상에 가이드(67) 및 오목부(68)를 구비하고 하나의 케이싱(1)측상의 다른 케이싱(2)에 고정되는 제 1 베이스 부재로서 사용되는 슬리브(66)와,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위치 및 하나의 케이싱으로부터의 다른 케이싱(2)의 대향측상의 상기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된 위치에서의 위치설정 래칭 기구의 오목부(70a)를 구비하는 홀더(70)와,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용 위치설정 래칭 기구를 형성하는 돌기(72)를 구비하고, 회전체(61)가 다른 케이싱(2)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61)에 고정되는 탄성체의 스프링 플레이트(71)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상태(폐쇄 상태)에 있어서, 레버(63)의 돌기(64)는 슬리브(66)의 오목부(68)와 정합되며, 하나의 케이싱(1)은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의해 다른 케이싱(2)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에 밀착된다. 이어서, 하나의 케이싱(1)이 이러한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24)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레버(63)의 돌기(64)는 오목부(68)로부터 슬리브(66)의 가이드(67)상의 경사면(67a)으로 나아가고, 스프링(6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나의 케이싱(1)을 위로 가압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으로부터 멀리 이격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1)이 화살표(24)로 지시된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상의 조작 유닛(5) 또는 다른 케이싱(2)의 대향면(2a)을 마모하는 일 없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며, 레버(63)의 돌기(64)는 회전함에 따라 위로 점차 가압되어 하나의 케이싱(1)과 다른 케이싱(2)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점차 증가시킨다. 다음에, 하나의 케이싱(1)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케이싱(2)상에 배치된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180° 회전하는 경우(개방 상태)에, 레버(63)의 돌기(64)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6)의 가이드(67)의 최고 높은 위치에 도달하며,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측에 제공된 하나의 케이싱(1)의 경사부(23)의 각도와 동일한 소정 각도(θ)(도 8d 참조)를 갖는다.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상태(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a와,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180° 회전된 상태(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b에 있어서, 스프링 플레이트(71)상의 돌기(72)는 홀더(70)상에 형성된 위치설정 래칭 기구의 오목부(70a)와 결합되어 위치설정을 달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은 쉽게 움직이는 일 없이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 모두에서 위치설정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의 조립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을 위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이 서로 겹쳐진 상태(도 16a), 하나의 케이싱이 90° 회전된 상태(도 16b), 및 하나의 케이싱이 180° 회전된 상태(도 16c)에 대한 확대 설명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이 서로 겹쳐진 상태(도 17a), 및 하나의 케이싱이 180° 회전된 상태(도 17b)에 대한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서의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도 1의 것으로부터 직사각형 입방체의 형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에는, 고정구(80), 제 1 베이스 부재(81), 회전체(84)용 장착 구멍(82),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제 2 베이스 부재(83), 회전체(84), 중공 구멍(85), 탄성체(86), 위치설정 래칭 기구(87), 돌기(89), 안내로(가이드)(90), 및 오목부(9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서의 비균일 샤프트(62)는 회전체(62)상에 배치되지 않고,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배치되어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자유로우며,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의 상대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케이싱(1)을 다른 케이싱(2)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킨 후에, 기능부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의 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소정 각도에 도달하도록 점차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부재(81)가 다른 케이싱(2)상에 제공되고, 제 2 베이스 부재(83)가 하나의 케이싱(1)상에 제공되며,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제공된 회전체(8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부재(81)상에 제공된 장착 구멍(82)내로 삽입되고 그와 결합되어 다른 케이싱(2)을 하나의 케이싱(1)에 연결하며,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조작 유닛(5)을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케이싱(2)과 하나의 케이싱(1)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탄성체(86)는 제 2 베이스 부재(83)의 일 측면을 가압하고, 이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기울어지도록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바이어싱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은 겹쳐지는 접힘 방향으로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닫혀 바이어싱된다. 바꾸어 말하 면, 탄성체(86)가 예를 들어 일측면에 대해 바이어싱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스프링인 것으로 가정하면, 휴대 단말 장치가 제 2 베이스 부재(83)의 일측면[하나의 케이싱(1)이 겹쳐진 상태에서 접힌 방향으로 경사지는 측면]을 일정하게 가압하는 형태의 구성에 의해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 2 베이스 부재(83)는 경사져 소정 측면을 자동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탄성체(86)는 겹쳐진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져 바이어싱되게 하며, 하나의 케이싱(1)을 다른 케이싱(2)에 대해 폐쇄하여 바이어싱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베이스 부재(81)측의 제 2 베이스 부재(83)에 형성되는 돌기(89)에 접촉되는 가이드(90)가 제공되고, 탄성체(86)는 활주가능하도록 돌기(89)가 안내로(90)에 대하여 항상 가압 접촉하게 하며, 돌기(89)는 안내로(90) 또는 겹쳐진 상태[다른 케이싱(2)과 하나의 케이싱(1)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89)에 대향하는 위치와 정합되며, 제 2 베이스 부재(83)가 경사지게 하는 오목부(91)가 제공되며, 제 2 베이스 부재(83)는 겹쳐진 상태에서 탄성체(86)에 의해 오목부(91)에 대해 돌기(89)를 넣어 바이어싱함으로써 경사져 바이어싱되며, 하나의 케이싱(1)은 겹쳐진 접힘 방향으로 다른 케이싱(2)에 대해 바이어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89)는 간단한 구성으로 오목부(91)에 위치설정되면서 항상 경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베이스 부재(83)의 일측면을 항상 바이어싱 및 가압하는 탄성체(86)는 겹쳐진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시켜 바이어싱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에 대해 폐쇄 및 바이어싱된다.
더욱이, 안내로(90)는 제 1 베이스 부재(81)의 장착 구멍(80a)이 형성된 고정구(80)의 면으로부터 대향측의 면상에 형성된다. 회전체(84)가 다른 케이싱(2)에 대한 하나의 케이싱(1)의 상대 회전에 의해 장착 구멍(82)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 안내로(90)의 경사면을 따라 제 2 베이스 부재(83)의 돌기(89)의 활주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가 회전체(84)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로(90)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케이싱(1)이 겹쳐진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대적으로 180° 회전되고, 케이싱이 겹쳐진 표면을 노출하도록 실질적으로 선형 접속식 열 배열로 제공되는 경우에, 돌기(89)는 안내로(90)의 경사면을 따라 활주하며, 그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하며,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은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자동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접속된 열 배열로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회전 동안에 안내로(90)에 접촉하는 돌기(89)의 활주에 의해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그에 의해, 회전에 따라 경사지도록 이동하는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하나의 케이싱(1)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케이싱(2)에 대해 약간 상향으로 자동적으로 경사지도록 하며, 그에 의해 케이싱은 실질적으로 선형 접속식 열 배열로 제공된다.
바꾸어 말하면, 다른 케이싱(2)이 조작 유닛(5)을 구비하는 본체(2)라고 가정하고, 하나의 케이싱(1)이 표시 유닛(6)을 구비한 중첩 유닛(1)이라고 가정하면, 중첩 유닛(1)은 회전 기구를 통해 단부에서 케이싱을 겹쳐 연결함으로써 회전가능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본체(2)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 유닛(5)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본체(2) 및 중첩 유닛(1)은 조작 유닛(5)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서로 수직으로 겹쳐지도록 제공되어, 콤팩트한 형태를 달성한다. 콤팩트한 겹쳐진 상태에서, 표시 유닛(6)은 중첩 유닛(1)의 상부면상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 유닛(5)을 작동하지 않더라도 표시 유닛(6)이 보인다. 또한, 표시 유닛(6)이 예를 들어 조작 유닛(5)에 의해 사전 설정된 달력 또는 날짜를 표시하는 기능, 또는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예를 들면, 휴대 전화에서 착신을 표시하는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하는 구성에 따르면, 표시 유닛(6)이 보이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가능하며, 그에 의해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그에 따라 실용성(상용 가치)을 증대시킨다.
또한, 조작 유닛(5)을 조작하는 경우에, 조작 유닛(5)은 중첩 유닛(1)의 수직 회전에 의해 조작 유닛(5)을 노출시키는 대신에 중첩 유닛(1)을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80° 회전시킴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유닛(5)이 중첩 유닛(1)으로 커버되는 경우에 노출되는 측인 상부측에 표시 유닛(6)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성이 향상되는 경우에도, 조작 유닛(5)은 수평 방향으로 중첩 유닛(1)을 회전시킴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유닛(5)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표시 유닛(6)은 여전히 노출된 상태에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의 표시 유닛과 마찬가지로 표시 유닛(6)상에 표시하면서 조작 유닛(5)을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회전이 수직 회전 대신에 적용되므로 측방향 가압 작동에 의해 조작 유닛(5)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작용이 종래의 수직 회전에 비하여 용이하여,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첩 유닛(1)은 개방을 위한 회전에 의해 약간 상향으로 자동적으로 경사지며, 이에 의해 표시 유닛(6)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된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3 실시예는, 중첩 유닛(1)이 수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80° 회전되어, 본체(2) 및 중첩 유닛(1)이, 하나의 케이싱(1)[중첩 유닛(1)]과 다른 케이싱[본체(2)]가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선형 접속식 열 배열로 제공되는 경우에, 중첩 유닛(1)의 표시 유닛(6)이 본체(2)에 대해 약간 상향으로 경사져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84)는 중첩 유닛(1)의 회전에 따라 제 2 베이스 부재(83)와 함께 회전하도록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회전 제동 상태로 제공된다.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피벗 샤프트 방향으로서 회전체(84)의 회전 샤프트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경사진다. 또한, 돌기(89)는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걸린 상태로 제공되며, 돌기(89)에 의해 접촉된 경사 안내로(90)는 장착 구멍(82)을 구비한 제 1 베이스 부재(81)측상에, 즉 장착 구멍(82)의 주위상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된다. 돌기(89)는 안내로(90)를 따라 활주가능하도록 탄성체(86)에 의해 안내로(90)에 대하여 가압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로(90)는 회전체(84)가 본체(2)에 대한 중첩 유닛(1)의 상대 회전에 의해 장착 구멍(82)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 안내로(90)의 경사면을 따라 돌기(89)를 활주시킴으로써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체(2)와 중첩 유닛(1)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선형 접속된 열 배열을 이루도록 겹쳐진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부 중첩 유닛(1)을 실질적으로 180°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겹쳐진 유닛(1)이 노출되는 경우, 돌기(89)는, 원주방향으로 제공되고 상향 경사면을 갖는 안내로(90)를 따라 활주하도록 이동하며, 그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안내로(90)의 경사에 의해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하며, 그에 따라 중첩 유닛(1)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본체(2)에 대해 약간 상향으로 자동적으로 경사져서 실질적으로 선형 접속식 열 배열로 놓여진다. 또한, 중첩 유닛(1)이 본체(2)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본체(2)상에 겹쳐지는 위치, 및 중첩 유닛(1) 및 본체(2)가 선형 접속식 열 배열로 제공되는 위치에서의 위치설정 및 래칭을 달성하기 위해, 겹쳐진 위치(0° 회전 위치) 및 180° 회전 위치에서 회전체(84)를 위치설정 및 래칭하기 위한 위치설정 래칭 기구(87)가 제공된다.
또한, 장착 구멍(82)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81)는 고정구(80)상에 제공되며,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갖는 회전체(84)는 제 1 베이스 부재(81)의 장착 구멍(8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체(84)는 제 2 베이스 부재(83)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관통 구멍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비균일 샤프트 가지부(83a)는 회전체(84)의 축방향으로 반쯤 패인 장방형 결합 홈(84a)과 결합되어 회전 제동 상태의 결합을 달성한다. 또한, 회전체(84)는 제 2 베이스 부재(83)의 관통 구멍내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되어, 제 2 베이스 부재(83)가 고정구(80)의 장착 구멍(82)과 결합된 회전체(84)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가능하다(자유롭게 경사진다).
또한, 절결 텅 피스는 돌기(89)로서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걸린 상태로 제공된다. 돌기(89)에 의해 접촉되는 안내로(90)는 제 1 베이스 부재(81)의 장착 구멍(82)의 반원형부의 상부면상에 형성되고 상향 경사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84)를 커버하고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가압하도록 결합된 플레이트 스프링은 회전체와 이탈 방지용 연결 유닛(88) 사이에 탄성체(86)로서 배치된다. 탄성체(86)는 제 2 베이스 부재(83)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돌기(89)가 안내로(90)에 대하여 가압 접촉된다.
그에 의해, 돌기(89)는 안내로(90)를 따라 활주하며, 제 2 베이스 부재(83)는 안내로(90)의 경사를 따라 경사지도록 이동하여, 표시 유닛(6)이 자동적으로 경사지게 하여 개방을 위한 회전 동안에 쉽게 보인다. 또한, 탄성체(86)는 자유 정지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86)는 중첩 유닛(1)이 겹쳐진 접힘 방향으로 바이어싱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지게 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싱(1)[중첩 유닛(1)]을 다른 케이싱(2)[본체(2)]에 대해 바이어싱하는 탄성체(86)로서 기능한다. 바꾸어 말하면, 탄성체(86)는 일측면에 바이어싱력을 인가하는 플레이트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84)를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제 2 베이스 부재(83)의 소정 측면만을 일정하게 가압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 2 베이스 부재(83)상에 형성된 돌기(89)에 의해 접촉된 안내로(90)는 제 1 베이스 부재(81)의 장착 구멍(82) 주위의 반원형부상에 형성되며, 탄성체(86)는 돌기(89)가 안내로(9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측면을 일정하게 가압한다. 안내로(90)에는, 본체(2)와 중첩 유닛(1)이 서로 겹쳐진 경우에 제 2 베이스 부재(83)가 경사지게 이동하도록 돌기(89)가 그내로 들어가게 하는 오목부(91)가 제공된다. 탄성체(86)는 돌기(89)측상에 압력을 일정하게 인가하여 돌기(89)를 오목부(91)로 낙하시켜 바이어싱하며, 이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 및 바이어싱시키며, 그에 따라 중첩 유닛(1)은 겹쳐진 접힘 방향으로 폐쇄 및 바이어싱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피벗 샤프트 방향으로서 회전체(84)의 회전 샤프트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체(84)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경사진다. 본체(2)와 중첩 유닛(1)이 서로 겹쳐지는 경우에, 돌기(89)는 오목부(91)내에 위치되어 제 2 베이스 부재(83)가 그 상태로 경사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돌기(89)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탄성체(86)는 제 2 베이스 부재를 경사 및 바이어싱시키며, 이에 의해 중첩 유닛(1)을 본체(2)에 대해 겹쳐진 접힘 방향으로 폐쇄 및 바이어싱시킨다.
따라서, 탄성체(86)는 일측면에 대해 바이어싱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중첩 플레이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제동 상태에서 회전체(84)를 커버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체(84) 및 제 2 베이스 부재(83)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하나의 케이싱(1)이 겹쳐진 상태에서 접힌 방향으로 경사지는 측면인 제 2 베이스 부재(83)의 일측면을 일정하게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부재(83)는 돌기(89)가 형성된 측면에 항상 가압된다. 다음에,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제 2 베이스 부재(83)는 경사지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소정의 측면이 자동적으로 가압되며, 이에 의해 탄성체(86)는 겹쳐진 상태에서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 및 바이어싱시키며, 그에 따라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에 대해 폐쇄 및 바이어싱된다.
바꾸어 말하면, 겹쳐진 상태에서, 압력하의 돌기(89)는 오목부(91)내로 들어갈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83)는 회전체(84)[다른 케이싱(2)]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돌기(89)에 대한 탄성체(86)의 일정한 압력이 제 2 베이스 부재(83)를 경사 및 바이어싱시키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1)은 다른 케이싱(2)에 대해 폐쇄 및 바이어싱된다.
위치설정 래칭 기구는 제 1 베이스 부재(81)의 장착 구멍(82)의 외주부상에 형성된 결합 돌기(81a)와, 외주연부에 돌기(87a)를 갖는 링 부재(87)를 포함한다. 링 부재(87)는 회전체(84)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돌기(81a)에 접촉하는 링 부재(87)의 돌기(87a)에 따르면, 회전 기구는 소정 위치에서 록킹된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휴대 전화에 적용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휴대 단말 장치)는, 제 1 케이싱(102)과, 그 두께 방향으로 제 1 케이싱(102)상에 겹쳐질 수 있는 제 2 케이싱(103)과,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축(제 1 기준 축)(L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들 2개의 케이싱(102, 103)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105)을 포함한다. 연결 수단(105)은 2개의 케이싱(102, 103)의 각각의 단부(각 케이싱의 일단부)(102c, 103c)를 접속하도록 배열된다.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대향 케이싱(102, 103)의 대향면(102a, 103d) 모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케이싱(102)의 두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2 케이싱(103)에 대한 대향면(102a)상에 통화 키이, 클리어링 키이(clearing key), 및 다른 여러 누름가능한 조작 키이로 이루어진 조작 유닛(107)이 제공되어 있다. 조작 유닛(107)은 제 1 및 제 2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제 2 케이싱(103)으로 커버된다. 또한, 대향면(102a)상에는, 후방 단부(102c)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 1 케이싱(102)의 전방 단부(타단부)(102b)에 마이크로폰 유닛(109)이 제공되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10)가 또한 거기에 형성된다.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제 2 케이싱(103)의 외부면(103a)상에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111)이 제공된다. 표시 유닛(111)은 2개의 케이싱(102, 103)의 개폐 유무와 무관하게 외측으로 노출된다. 외부면(103a)상에는, 후방 단부(103c)의 반대측상에 위치된 제 2 케이 싱(103)의 전방 단부(타단부)(103b)에 스피커(113)가 제공된다.
또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103b)에 대한 외부면(103a)의 반대측상에 위치된 제 2 케이싱(103)의 대향면(103d)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15)가 부착되어 있다. 돌기(115)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며,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제 1 케이싱(102)상에 형성된 오목부(110)내로 삽입된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0)의 측벽(110a)은 2개의 케이싱(102, 103)의 회전 방향(AB 방향)을 따라 오목부(110)의 바닥 벽면(110b)으로부터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을 향해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이다. 돌기(115)의 팁(115a)은 AB 방향에서의 폭이 점차 팁을 향해 감소되도록 테이퍼진다. 오목부(110) 및 돌기(115)는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2개의 케이싱(102, 103)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 수단(120)을 형성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105)은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원통형 부재(121)와, 제 1 축(L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이 원통형 부재(121)에 부착되는 연결 유닛(123)을 포함한다.
축방향으로의 원통형 부재(121)의 하단부는 이동 불가능하게 제 1 케이싱(102)의 내측에 고정된 프레임(125)에 부착된다. 축방향으로의 원통형 부재(121)의 상단부는 연결 유닛(123)과 함께 제 2 케이싱(103)의 대향면(103d)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123)은 제 1 축(L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원통형 부재(121)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제 1 회전 유닛(125)과, 이 제 1 회전 유닛(125)의 상단부(125a)측상에 형성되고 제 1 축(L1)에 수직인 평면을 갖는 평판부(127)와, 이 평판부(127)의 상부면(127a)측상에 배열되고, 제 1 축(L1)에 수직인 제 2 축(제 2 기준 축)(L2)을 중심으로 2개의 케이싱(102, 103)을 서로에 근접하게 가져가는 방향으로 상기 2개의 케이싱(102, 103)을 바이어싱하는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130)을 포함한다.
제 1 회전 유닛(125)은 원통형 부재(1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제 1 회전 유닛의 상단부(125a)는 원통형 부재(121)의 상단부(121a)로부터 돌출하여 유지된다. 평판부(127)는 제 1 회전 유닛(125)과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형 부재(121), 제 1 회전 유닛(125) 및 평판부(127)는 제 1 축(L1) 방향으로 다른 측면으로 통과하는 관통 구멍(128)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128)은 2개의 케이싱(102, 103)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게 한다.
한쌍의 바이어싱 수단(130)은 그상에 배치된 제 1 축(L1)에 대칭으로 위치된다. 바이어싱 수단(130)은 평판부(127)의 상부면(127a)에 고정되며, 제 2 축(L2) 방향으로 배치된 주상(columnar) 샤프트부(131a)를 갖는 U자형 샤프트 부재(131)와, 제 2 축(L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주상 샤프트부(131a)에 부착되는 제 2 회전 유닛(133)과, 주상 샤프트부(131a) 주위에 권선되고 제 2 축(L2)을 중심으로 하나의 방향(C 방향)으로 평판부(127)에 대해 제 2 회전 유닛(133)을 바이어싱하는 비틀림 스프링(135)을 포함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 유닛(133)은 제 2 축(L2)이 후방 단부(102c, 103c)로부터 전방 단부(102b, 103b)를 향해 2개의 케이싱(102, 103)의 종방향에 수직한 방식으로 제 2 케이싱(103)의 내측에 고정된 프레임(137)에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바이어싱 수단(130)의 구성에 따르면, 제 2 케이싱(103)은 비틀림 스프링(135)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102)에 대해 제 2 축(L2)을 중심으로 C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싱된다. 따라서,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2개의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는 서로 근접하여 있고, 돌기(115)는 오목부(110)내로 신뢰성있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105)에는 제 1 축(L1)을 중심으로 2개의 케이싱(102, 103)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개폐 작동과 관련하여 제 2 축(L2)을 중심으로 2개의 케이싱(102, 103)을 서로 피벗하기 위한 안내 수단(140)이 제공된다.
바꾸어 말하면, 안내 수단(140)은 원통형 부재(121)의 상단부측상의 단부면(121b)과, 제 2 케이싱(103)의 내측에 고정된 로드 부재(141)를 포함한다. 로드 부재(141)는 비틀림 스프링(135)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원통형 부재(121)의 단부면(121b)에 접촉할 수 있으며, 단부면(121b)은 2개의 케이싱(102, 103)의 종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케이싱(102, 103)을 개방하는 경우, 제 2 케이싱(103)은 제 1 케이싱(102)에 대해 비틀림 스프링(135)의 바이어싱력에 대항하는 방향(D 방향)으로 피벗하여, 2개의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d)를 이격시킨다.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케이싱(102, 103)을 폐쇄하는 경우, 제 2 케이싱(103)은 제 1 케이싱(102)에 대해 비틀림 스프링(135)의 바이어싱 방향(C 방향)으로 피벗하여,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d)를 서로 근접하게 한다.
케이싱(102, 103)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로드 부재(141)는 단부면(121b)과 접촉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면(121b)으로부터 제 1 축(L1)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43)는 케이싱(102, 103)이 닫힌 상태에서 로드 부재(141)가 위치되는 단부면(121b)의 부분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로드 부재(141)는 케이싱(102, 103)의 폐쇄 상태에서 오목부(143)내로 삽입된다. 로드 부재(141)가 오목부(143)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로드 부재(141)는 단부면(121b)과 접촉하지 않고,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는 비틀림 스프링(135)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의복의 주머니 또는 포켓내에 휴대 전화(10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케이싱(102, 103)은 닫혀서 서로 겹쳐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는 바이어싱 수단(13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되고, 돌기(115)가 오목부(110)내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케이싱(102, 103)은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축(L1)을 중심으로 케이싱(102, 103)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케이싱(102, 103)의 상대 위치가 쉽게 움직이지 않으며, 그에 따라 케이싱(102, 103)은 정확한 상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전화(100)를 사용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103)은 제 1 케이싱(102)에 대해 제 1 축(L1)을 중심으로 180° 회전되어 케이싱(102, 103)을 서로 개방한다.
개방시에, 테이퍼식 돌기(115)의 전방 단부(115a)는 오목부(110)의 경사진 측면(110a)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2개의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는 안내 수단(140)에 의해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며, 이에 의해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과 돌기(115) 사이에 미세한 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상태에서 통화가 시작되면, 조작 유닛(107)은 통화가 마이크로폰(109) 및 스피커(113)를 통해 시작되기 전에 조작된다.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이 수신되면, 조작 유닛(107)은 표시 유닛(111)상에 수신된 전자 메일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조작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에 따르면, 케이싱(102, 103)은 오목부(110) 및 돌기(115)를 각각 구비하고, 연결 수단(5)은 바이어싱 수단(130)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2개의 케이싱(102, 103)은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케이싱(102, 103)은 정확한 상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로 휴대 전화(10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케이싱(102, 103)이 예기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된 표시 유닛을 보는 경우, 케이싱(102, 103)은 예기치 않게 회전하지 않으며, 그에 의해 휴대 전화(100)의 양호한 환경을 보장한다.
또한, 상대 회전에 의해 케이싱(102, 103)을 개방하는 경우에,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는 제 2 축(L2)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며, 이에 의해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 및 이 대향면(102a)상에 제공된 조작 유닛(107)이 제 1 케이싱(103)상에 제공된 돌기(115)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위치로부터 상대 회전에 의해 케이싱(102, 103)을 개방하는 경우, 테이퍼식 돌기(115)의 팁(115a)은 오목부(110)의 측벽(110a)을 따라 이동하여, 돌기(115)가 부드럽게 오목부(110)에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휴대 전화(100)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지지만, 휴대 전화(100)와는 다른 구조의 결합 수단(120)을 갖는다. 따라서, 결합 수단(120)의 구조를 하기에 설명하며, 도 18 내지 도 22의 구성요소와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수단(120)은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의 전방 단부측상에 제공된 마이크로폰 유닛(109)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폰 유닛(109)은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 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부(151)와, 이 오목부(151)의 바닥 벽면(151b)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153)과, 이 관통 구멍(153)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마이크로폰(155)을 갖는 제 1 케이싱(102)의 내측면을 구비한다. 마이크로폰(155)은 외측으로부터 관통 구멍(153)을 통해 유입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제 1 케이싱(2) 내측에 배치된 회로 기판(157)에 고정된다. 오목부(151)는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을 향해 오목부의 바닥 벽면(151b)으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마이크로폰(109)의 오목부(151)내로 삽입된 돌기(159)는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에서 제 2 케이싱(103)의 대향면(103d)에 부착된다. 돌기(159)는 제 1 실시예의 돌기(115)와 유사하게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며 돌기의 팁(159a)은 테이퍼진다. 마이크로폰 유닛(109)의 오목부(151) 및 이 오목부(151)내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159)가 결합 수단(20)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0)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돌기(159)를 사용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유닛(109)의 관통 구멍(153)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로 휴대 전화(100)를 가지고 있는 동안에 먼지, 액체 또는 다른 이물질이 제 1 케이싱(2)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이크로폰(15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서는 결합 수단(120)이 오목부(151)용 마이크로폰 유닛(109)을 사용하여 구성되었지만, 예를 들어 스피커 유닛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러한 경우에,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는 마이크로폰(155) 대신에 오목의 관통 구멍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수단(120)은 예를 들어 착신, 전자 메일 수신 또는 발광에 의한 알람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유닛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는 마이크로폰(155) 대신에 오목부의 관통 구멍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 도는 발광 유닛을 사용하는 결합 수단(120)의 구성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유닛(109)을 사용하는 구성과 유사하게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에서 스피커 또는 발광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115, 159)가 제 2 케이싱(103)의 대향면(103d)에 부착되지만,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돌기(115, 159)가 대향면(103d)에서 빠지지만 않는다면, 어떠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결합부(161, 162)는 돌기(115, 159)의 후방 단부측상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61, 162)는 돌기(115, 159)가 부착될 제 2 케이싱(103)의 대향면(103d)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163, 164)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105)이 안내 수단(140)을 구비하지만, 특별히 제공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위치로부터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바이어싱 수단(20)은 케이싱(102, 103)을 서로 근접하게 가져가는 방향으로 케이싱(102, 103)의 전방 단부(102b, 103b)를 바이어싱하며, 그에 의해 돌기(115, 159)는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과 접촉한다. 그러나, 각각의 돌기(115, 159)가 탄성 변형가능한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 및 이 대향면(102a)상에 제공된 조작 유닛(107)이 마모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유닛(107)이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상에 제공되고 표시 유닛(111)이 제 2 케이싱(103)의 외부면(103a)상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유닛(111)이 제 1 케이싱(102)의 대향면(102a)상에 제공될 수 있고, 조작 유닛(107)이 제 2 케이싱(103)의 외부면(103a)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서로 닫힌 상태로 조작 유닛(107)을 작동하는 경우에 2개의 케이싱(102, 103)이 예기치 않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 전화의 양호한 조작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케이싱을 상대 회전에 의해 개폐하는 경우에, 돌기(115, 159)가 표시 유닛(111)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이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이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개량,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수화기를 갖는 휴대 전화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물론 휴대 전화는 하나의 수화기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뿐만 아니라 PDA 또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원선 또는 신호선 등의 코드가 하나의 케이싱(1)을 회전시키도록 조인트(13), 회전체(12), 회전체(61) 및 회전체(8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베이스 부재(81), 제 2 베이스 부재(83), 회전체(84) 등이 제 3 실시예서 전도성 금속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 기구는 그 자체가 전도성 부분인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케이싱(2)[본체(2)] 및 하나의 케이싱(1)[중첩 유닛(1)]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구성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기구에 의해 그 단부에서 연결된 사용자를 향한 표면상에 서로 상이한 기능부(표시 유닛, 조작 유닛, 수화기, 송화기 등)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은 사용자를 향한 표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기구는 적어도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이격시키는 피벗 기구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케이싱의 표면이 마모될 위험성이 없다.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를 이격시킨 후에, 하나의 케이싱(1)은 그것이 회전 기구에 의해 다른 케이싱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소정 각도에 도달하도록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회전된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상에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을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개방 상태에서, 송화기 및 수화기는 휴대 전화에서 소정 각도 형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입 및 귀에 근접하게 가져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집음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 유닛을 보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각도를 회전에 의해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회전 초기 단계에 극히 약한 힘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 기구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이 서로 면하는 대향면상의 다른 케이싱측상에 있는 경사진 가이드와, 상기에서의 하나의 케이싱측상에 있고 가이드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적어도 회전 초기 단계에서 돌기가 가이드상을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된다. 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점차 증가되어,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구는, 일단부에서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비균일 베어링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하나의 케이싱을 경사지게 하는 비균일 샤프트를 구비하며, 다른 케이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체와, 상기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면하는 대향면상에 제공된 경사진 가이드를 포함하는 타단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가이드 및 비균일 샤프트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이격시키고,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다른 케이싱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기 위한 각도 제어 수단이 존재한다.
더욱이, 회전 기구는,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에 대해 축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향된 상태로 고정된 제 1 베이스 부재와, 이 제 1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연결하고 또한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경사 기구를 구비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이해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제 1 베이스 부재의 축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나의 케이싱을 회전시키도록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안내로가 조인트에 제공된 돌기를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의 상부면에 제공되고, 조인트의 돌기가 다른 케이싱의 회전 동안에 제 1 베이스 부재상에 제공된 안내로상을 활주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케이싱은 제 1 베이스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케이싱은 흔들림 없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단차부가 있고 단차부의 바닥면이 안내로를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케이싱이 소정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 유닛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리드선이 뒤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장착 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가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중 하나의 부재상에 제공되고, 장착 구멍과 결합되는 회전체를 갖는 제 2 베이스 부재가 다른 부재상에 제공되며, 회전체가 하나의 케이싱에 대한 다른 케이싱의 상대 회전에 의해 장착 구멍에 대해 회전되는 것과; 회전체는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 2 베이스 부재상에 제공되고, 다른 케이싱 또는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것과; 제 2 베이스 부재는 회전체의 회전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축을 갖는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경사지는 것과; 돌기가 제 2 베이스 부재측상에 제공되고, 돌기와 접촉하는 안내로가 제 1 베이스 부재측상에 제공되며, 제 2 베이스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체는 회전 샤프트에 고정된 일단부와 돌기를 안내로에 대하여 가압하는 타단부를 구비하며, 제 2 베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 하나의 케이싱 또는 다른 케이싱이 회전하는 경우에 안내로상에 돌기를 활주시킴으로써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베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의 낙하에 의해 제 2 베이스 부재가 경사지도록 이동하게 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제 2 베이스 부재는 탄성체에 의해 돌기를 오목부에 대해 낙하 및 바이어싱함으로써 경사 및 바이어싱되며, 이에 의해 겹치는 방향으로 하나의 케이싱 또는 다른 케이싱을 바이어싱할 수 있다.
하나의 케이싱과 다른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와, 하나의 케이싱이 상기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180° 회전된 위치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위치설정 래칭 기구를 갖는 회전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케이싱 또는 다른 케이싱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회전이 사용 위치 및 비사용 위치에서 신뢰성있게 정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케이싱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측상의 케이싱에 있어서 회전 기구측상의 단부에 소정 각도의 경사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측의 케이싱이, 하나의 케이싱 또는 다른 케이싱을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되는 동작 상태에서 안정화되게 한다.
더욱이, 회전 샤프트는 중공형이며,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접속하는 전원선 또는 신호선은 중공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부에 어떠한 접점도 구성하는 일 없이 신호선에 의해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하나의 케이싱으로 신호 또는 전력을 신뢰성있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구는 하나의 케이싱을 다른 케이싱에 대해 바이어싱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하나의 케이싱은 다른 케이싱에 대하여 일정하게 가압되며, 그에 따라 예기치 않는 개방에 의해 유발되는 부정확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이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개방된 위치(작동 상태)로부터 다시 서로 겹쳐지는 경우에 하나의 케이싱이 다른 케이싱과 접촉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는,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의 동일측상의 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며, 다른 케이싱에 대한 하나의 케이싱의 상대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에 의해 케이싱의 표면이 마모될 위험성이 없다. 또한, 하나의 케이싱(1)이 다른 케이싱(2)상에 겹쳐진 상태로부터 상대적인 회전시에 소정 각도가 형성되며, 하나의 케이싱(1) 및 다른 케이싱(2)의 동일측상의 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의 회전과 결합되며, 이에 의해 유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 및 그 개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회전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사용자를 향한 표면 상에 상이한 기능부를 갖는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을 포함하며, 사용자를 향한 표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케이싱을 상기 다른 케이싱에 대해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을 서로 이격시키는 피벗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을 상기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측에 바이어싱(biasing)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어 수단은,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의 회전의 초기 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후에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어 수단은,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로부터의 회전의 초기 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점차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어 수단은 상기 하나의 케이싱 또는 상기 다른 케이싱 상에 제공된 가이드와, 상기 다른 케이싱 또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 상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의 케이싱 및 상기 다른 케이싱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 상에서 활주시킴으로써 상기 하나의 케이싱 및 상기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와 정합되는 오목부를 상기 돌기에 대향하는 가이드의 위치에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다른 케이싱에 고정된 장착 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 구멍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피벗 기구에 의해 회전체의 축선에 수직한 피벗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다른 케이싱에는 상기 돌기에 의해 접촉되는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에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되어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에 대하여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시키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배치된 원통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체는 상기 원통체의 축선에 수직하게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 샤프트에 대해 피벗가능하며,
    상기 피벗 기구는 상기 회전 샤프트를 상기 회전체의 축선에 수직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고정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원통체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되어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나의 케이싱 상에 마련된 상기 돌기를 상기 다른 케이싱 상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에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시키는
    휴대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비균일 베어링(uneven bearing)을 구비하는 브래킷이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비균일 샤프트(uneven shaft)를 구비하며,
    상기 비균일 샤프트는 상기 비균일 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회전체에 연결함으로써 피벗 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브래킷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나의 케이싱 상에 마련된 돌기를 상기 다른 케이싱 상에 마련된 가이드에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시키는
    휴대 단말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에 고정된 관통 구멍을 갖는 브래킷이며,
    상기 관통 구멍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한쌍의 비균일 축방향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으로 중간까지 인각된 홈이 상기 회전체의 외주 상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피벗 기구는, 상기 회전체를 상기 브래킷의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홈과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의 비균일 축방향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회전체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브래킷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탄성 변형되게 배치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나의 케이싱 상에 마련된 돌기를 상기 다른 케이싱 상에 마련된 가이드에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을 발생시키는
    휴대 단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가 끼워맞춤되는 오목부를 상기 돌기에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의 위치에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적어도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위치와 상기 케이싱 중 하나가 상기 겹쳐진 위치로부터 180° 회전되는 위치에 위치설정 기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중공형(hollow)이며, 상기 하나의 케이싱 및 상기 다른 케이싱에 안내된 전원 또는 신호 도선이 중공부를 통과하는
    휴대 단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향한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표면 상의 기능부는 표시 유닛 및/또는 수화기이며, 사용자를 향한 상기 다른 케이싱의 표면 상의 기능부는 조작 유닛 및/또는 송화기인
    휴대 단말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2개의 케이싱과,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이들 2개의 케이싱이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 축에 수직한 제 2 기준 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상기 하나의 케이싱을 상기 다른 케이싱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이들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 중 하나의 대향면 상에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른 케이싱의 대향면 상에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가 마련되는
    휴대 단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은 직사각형인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각각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한 개방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상기 케이싱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를 이격시키고, 상기 케이싱이 이격된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기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한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하게 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의 상대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측벽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 벽면으로부터 대향면을 향해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인
    휴대 단말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이 서로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대향하는 하나의 케이싱의 대향면 상에 조작 유닛이 마련되며, 다른 케이싱의 대향면과 반대 측의 외면 상에는 표시 유닛이 마련되는
    휴대 단말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오목부의 바닥 벽면 상에 개방된 관통 구멍과, 상기 하나의 케이싱 내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도록 마이크로폰 또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 장치.
  23.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서로 겹쳐진 하나의 케이싱 및 다른 케이싱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나의 케이싱 및 상기 다른 케이싱의 동일측의 표면이 동일 방향으로 지향된 상태로 상기 하나의 케이싱을 상기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 장치를 개폐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의 기능부를 갖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케이싱은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회전의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상기 다른 케이싱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의 초기 단계 후에 상기 하나의 케이싱이 상기 회전 기구에 의해 상기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 후에 증가되어 소정 각도에 도달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의 초기 단계 후에 상기 하나의 케이싱이 상기 회전 기구에 의해 상기 다른 케이싱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하나의 케이싱과 상기 다른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점차 증가되어 소정 각도에 도달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KR1020040016173A 2003-03-10 2004-03-10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KR101022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4250 2003-03-10
JP2003064250A JP3786099B2 (ja) 2002-07-01 2003-03-10 携帯端末装置とその開閉方法
JP2003113435A JP4463495B2 (ja) 2003-04-17 2003-04-17 携帯端末装置
JPJP-P-2003-00113435 2003-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356A KR20040080356A (ko) 2004-09-18
KR101022183B1 true KR101022183B1 (ko) 2011-03-17

Family

ID=3313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73A KR101022183B1 (ko) 2003-03-10 2004-03-10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26082B2 (ko)
KR (1) KR101022183B1 (ko)
CN (1) CN1531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2055B2 (en) * 2004-12-30 2010-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US7406343B2 (en) * 2005-08-09 2008-07-2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nd mobile phone with the hinge
KR100630139B1 (ko) * 2005-11-28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580726B2 (en) * 2006-04-18 2009-08-25 Nokia Corporation Dual level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7846027B2 (en) * 2006-05-30 2010-12-07 Nokia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4730270B2 (ja) * 2006-09-28 2011-07-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1134851B1 (ko) * 2006-11-17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2790832B (zh) * 2007-03-16 2014-07-02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终端装置、功能启动方法
KR101072386B1 (ko) * 2007-06-15 2011-10-11 파나소닉 주식회사 휴대 단말
CN101592972B (zh) * 2008-05-30 2012-12-26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旋转控制的电子显示装置
US7920372B2 (en) * 2008-09-22 2011-04-05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user interface
KR101532095B1 (ko) * 2009-03-03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355755B2 (en) * 2009-03-03 2013-01-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1833354B (zh) * 2009-03-13 2013-07-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控制***及方法
CN101861062A (zh) * 2009-04-13 2010-10-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KR20110022365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2 개의 힌지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149581B2 (en) * 2009-12-18 2012-04-03 Sony Ericssom Mobile Communications AB Keyboard and display screen in separate housings connected by cam assemblies that tilt responsive to movement between the housings
WO2011091790A2 (de) * 2010-02-01 2011-08-04 Constin Gmbh Tragbare kommunikationsvorrichtung
KR101094164B1 (ko) * 2010-02-11 2011-12-14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JP5496726B2 (ja) * 2010-03-24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CN102457787B (zh) * 2010-10-21 2016-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428250B2 (en) * 2011-07-20 2013-04-23 First Dome Corporation Pivot braking structure of relative slid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6720A (ja) 1998-12-24 2000-07-14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無線電話機
JP2002135380A (ja)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KR20020055240A (ko) * 2000-12-28 2002-07-08 송문섭 휴대폰 폴더 개폐장치
JP2004270821A (ja) 2003-03-10 2004-09-30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547A (ja) 1991-11-28 1993-08-20 Nec Corp 携帯用電話機
DE4320463A1 (de) 1993-06-21 1994-12-22 Boehringer Mannheim Gmbh Blutlanzettenvorrichtung zur Entnahme von Blut für Diagnosezwecke
JPH07272468A (ja) 1994-03-30 1995-10-20 Aiwa Co Ltd 蓋のガタツキ防止機構
JP3570960B2 (ja) 2000-04-05 2004-09-29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JP2002064609A (ja) 2000-08-21 2002-02-28 Taku Suminoe クリーンボイス携帯電話
JP2002158758A (ja) 2000-11-20 2002-05-31 Nec Corp 開閉型携帯情報端末
JP2002171189A (ja)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6720A (ja) 1998-12-24 2000-07-14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無線電話機
JP2002135380A (ja)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KR20020055240A (ko) * 2000-12-28 2002-07-08 송문섭 휴대폰 폴더 개폐장치
JP2004270821A (ja) 2003-03-10 2004-09-30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6082B2 (en) 2009-04-28
KR20040080356A (ko) 2004-09-18
US20040202316A1 (en) 2004-10-14
CN1531391B (zh) 2011-12-07
CN1531391A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183B1 (ko)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의 개폐 방법
JP4837630B2 (ja) 無線電話
US6149442A (en)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0667122B1 (ko) 이동 통신 단자용 리드 및 이동 통신 단자
KR1005843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16437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484920B1 (en) Pora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US8159592B2 (en) Portable terminal
KR20030047225A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20000034939A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40021366A (ko) 확장 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20040079134A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JP4325540B2 (ja) 開閉装置
KR20000044261A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JP3786099B2 (ja) 携帯端末装置とその開閉方法
KR10052652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이 제공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474678B1 (ko)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6780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20050056609A (ko) 슬라이드 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