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75B1 -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75B1
KR101011575B1 KR1020100033889A KR20100033889A KR101011575B1 KR 101011575 B1 KR101011575 B1 KR 101011575B1 KR 1020100033889 A KR1020100033889 A KR 1020100033889A KR 20100033889 A KR20100033889 A KR 20100033889A KR 101011575 B1 KR101011575 B1 KR 10101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diagnosed
image data
tomograph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정희영
이창호
이승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75B1/ko
Priority to PCT/KR2011/001576 priority patent/WO2011129526A2/ko
Priority to US13/640,663 priority patent/US95132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95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spatially resolved investigating of object in scattering med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병종자와 건전한 무병종자를 비침습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광간섭 단층 촬영기를 통해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종자가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인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함으로써, 신속, 간편, 정확하게 우량종자를 선별할 수 있으므로 국내외 종묘회사 및 식물 검역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Non invasive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uperior seed}
본 발명은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적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종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병종자와 건전한 무병종자를 비침습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량종자 선별법이란 좋은 씨앗을 고르는 방법을 말한다. 좋은 씨앗이란 외관상으로 오염, 변질, 변색이 없고 기계적 손상이 없는 것,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 것, 품종 고유의 선택과 냄새가 신선한 것을 말하며, 내적으로 이형 종자는 유전적으로 순수하며, 발아력이 우수하고 내재성 병해가 없는 종자를 말한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종자는 거의 대부분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서 채종한 종자이며, 이를 국내에 반입하여 농가에 보급하거나, 제 3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 채종은 생산비 절감, 채종 환경 개선, 품질 향상 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국내에 없는 해외 병해충의 유입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수출입 종자의 경우, 격리 재배를 실시하지 않고, 수출입국에서 현장 검사 또는 실험실 검사를 통해 통관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자 내재성 병해의 검출로 인해 통관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종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 방법은 단순히 일부의 내재성 병해에 대한 검사이며, 검사상의 시간과 노동력, 검사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극미량의 일부 종자만을 대상으로 선별하고 있다.
그러나 종자 내에 기생하고 있는 내재성 병원 미생물은 초저밀도로 종자 내에 기생하거나 월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대량 샘플링을 통한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검사 방법으로는 검사 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과 노동력, 제비용 문제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전수 검사는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선별법이 요구되고 있다.
외관상 고품질의 종자가 채종되었다 할지라도 현재 전세계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자국 내로 유입되는 모든 종자에 대해 식물검역의 내재성 병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종묘회사와 각 농업기관에서는 종자보급 전에 미리 우량종자를 선별하고 있다.
현재 우량종자의 선별은 대부분이 육안선별을 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 염수에 의한 비중 선별, 선풍기와 체를 이용한 중량선별과 용적선별의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형 종자의 혼입 유무 검정과 발아력 검정, 종자 내재성 병해 검정은 종자를 흑이나 배지 상에 직접 파종하여 좋은 씨앗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존의 선별 방법은 단순히 외관상의 종자의 특성을 고려한 선별방법이고, 직접 파종하여 선별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우량종자 선별에 있어서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며, 정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자 내재성 병해의 경우에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우량종자 선별이 불가능하며, 종래의 방법은 일부 병원성 곰팡이과 세균 및 종자 바이러스에 국한되어 있으며, 고가의 검사장비와 시간, 노동력, 검사 비용,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묘 회사나 각 지역의 농업기관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촬영하여 대량의 종자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병종자와 건전한 무병종자를 구별할 수 있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여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적 단층 촬영부;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가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인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에서 출력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은, 광간섭 단층 촬영기를 통해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종자가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인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진단 결과에 따라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많은 양의 종자를 검출 비용 없이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함으로써 신속, 간편, 정확하게 우량종자를 선별할 수 있으므로 국내외 종묘회사 및 식물 검역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 시 전수조사가 가능하고, 검사 장비만 필요하므로 검사 비용과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 없으며,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방어 반응으로 인한 변화를 이용한 기술로서, 초저밀도의 병원체가 감염되더라도 병원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에서 광간섭 단층 촬영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한 건전한 무병종자의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한 이병종자의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해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한다. 우선, 광간섭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한 비침습적 우량 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 신호 처리부(20), 진단부(30), 선별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단부(30), 선별부(40) 및 저장부(50)는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프로그램화된 제어 시스템 등에 포함될 수 있다.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진단 대상이 되는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절개없이 비침습식으로 촬영하며, 진단 대상이 되는 종자로 광대역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마이켈슨 간섭계에 의한 간섭 신호를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로 구현되며, Time-domain OCT, Spectral-Doamin OCT, Swept source OCT 등 어떠한 종류의 OCT라도 사용 가능하다.
신호 처리부(20)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로부터 출력되는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20)는 상기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 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Envelope Detecting),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진단부(3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제공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구조를 분석한다. 진단부(30)는 저장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불러와 상기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한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선별부(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진단부(30)는 진단 대상의 종자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30)는 퍼스널 컴퓨터(PC)에 상술한 진단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별부(40)는 진단부(30)에서 전달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진단 대상의 종자를 선별함으로써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선별부(40)는 종자들을 선별하는 별도의 선별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선별 장치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선별 장치는 진단 대상의 종자를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 받아 이병종자를 별도로 분류하는 등의 선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무병종자인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저장부(50)는 진단부(30)에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진단 결과 데이터 및 우량종자 선별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광간섭 단층 촬영부(10)의 구성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광대역 광원(11), 광 결합기(12), 기준단(13), 샘플단(14) 및 광 검출기(15)를 포함하며, 여기에, 광 서큘레이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광원(11)과, 광 결합기(12)와, 기준단(13)과, 샘플단(14)과, 광 검출기(15) 및 광 서큘레이터(16) 사이는 광섬유로 연결된다.
광대역 광원(11)은 단층 촬영을 위한 광대역의 광원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대역 광원(11)은 중심 파장 1310nm에 150nm의 반치폭을 갖는 SLED(Super Luminescent Emitting Diode)로 구현된다.
광 결합기(12)는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두 개의 광으로 분배하여 기준단(13) 및 샘플단(14)으로 제공하고, 역으로 기준단(13) 및 샘플단(14)으로부터 입사되는 두 개의 반사광을 결합하여 광 검출기(15)로 전달한다.
기준단(13)은 광 결합기(12)에서 입사된 광을 그대로 반사시켜 광 결합기(12)로 되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단(13)은 RSOD(Rapidly Scanning Optical Delayline)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600 grooves/mm의 특성을 갖는 회절격자를 사용하며, 300Hz의 속도로 갈보미터 스캐너를 구동시켜 광 경로를 빠르게 변화시킨다.
샘플단(14)은 광 결합기(12)에서 입사된 광을 진단대상 종자에 인가하고 상기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상기 광 결합기(1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샘플단(14)은 갈보 스캐너를 이용하는 B-모드 스캔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대물렌즈는 15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한번의 B 스캔시 스캔 범위는 2mm로 한다.
광 검출기(15)는 광 결합기(12)로부터 입사되는 기준단(13)의 반사광과 샘플단(14)의 반사광이 결합된 마이켈슨 간섭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전압)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기준단(13)과 샘플단(14)의 길이(광경로의 길이)가 광원의 코헤런스 길이 안에 있을 경우, 기준단(13)과 샘플단(14)에서 반사된 두 반사 신호의 간섭신호가 광 검출기(15)를 통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광 검출기(15)는 평형 검출기(balanced Detector)로 구현한다. 이 경우, 광 서큘레이터(16)를 더 구비하며, 광 서뮬레이터(16)는 광 결합기(12)에서 광대역 광원(11)으로 되돌아가는 광을 광 검출기(15)의 마이너스 단자로 인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 검출기(15)에서 검출되는 간섭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높아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광학적 단층 촬영부(10)에 있어서, 광대역 광원(11)에서 발생된 광 신호는 광 결합기(12)를 지나면서 두 개의 광으로 나눠져 각각 기준단(13)과 샘플단(14)으로 입사되는데, 기준단(13)으로 입사된 광은 기준 미러(도시생략)에서 반사되고, 샘플단(14)으로 입사된 광은 진단 대상 종자의 각 계면에서 반사되어 광 결합기(12)로 되돌아온다.
기준단(13)과 샘플단(14)에서 반사된 두 반사광은 광 결합기(12)에서 합쳐지는데, 이때, 상기 두 반사광의 반사계수 차이에 의하여 간섭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간섭 신호는 광 검출기(15)에서 검출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단(13)에서 콜리메이팅 렌즈(도시생략)와 기준 미러(도시생략)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상기 샘플단(14)에서 포커싱렌즈(도시생략)의 초점 위치를 진단대상 종자의 표면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간섭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2D 또는 3D 영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에서 광간섭 단층 촬영을 통해 비침습식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우량종자를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11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를 통해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식으로 촬영하고, 120단계에서 촬영된 광간섭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13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신호 처리부(20)를 통해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를 처리하여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14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부(30)를 통해 신호 처리부(20)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런 다음 15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는 진단부(30)를 통해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160단계에서 진단부(30)는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선별부(40)로 이병종자임을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동일한 경우 170단계에서 진단부(30)는 무병종자로 진단하고, 선별부(40)로 무병종자임을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무병종자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에서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기준이 되는 단층 이미지 데이터는 이러한 무병종자의 단층 촬영 이미지에 데이터를 미리 설정해둔 것이다. 반면, 이병종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간섭 단층 촬영 이미지에 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병종자인 경우 상기 기준되는 단층 촬영 이미지와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180단계에서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의 선별부(40)에서는 진단부(3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라 우량종자를 선별한다. 즉, 선별부(40)는 연결된 별도의 선별장치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선별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선별장치로 하여금 이병종자와 무병종자를 구분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간섭 단층 촬영부(10)에서 개개의 진단 대상 종자를 광간섭 단층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별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종자들을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간섭 단층 촬영부(10)는 선별장치가 라인 상에 종자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경우 일정 간격으로 라인 상의 종자들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종자들을 일정 개수만큼씩 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횡 전체 즉, 상기 일정 개수만큼의 종자들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촬영된 영역에서 무병종자(우량종자)들만으로 촬영된 기준이 되는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진단부(30)에서는 촬영된 영역의 단층 이미지를 통해 얻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미지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가 서로 다른 경우, 촬영된 영역 내의 종자들 중 이병종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별부(30)에서는 촬영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이한 영역의 좌표를 산출하여 촬영된 영역의 종자들 중 이병 종자를 찾아낼 수 있다. 여기서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 진단, 단층 이미지 데이터 비교 및 좌표 산출 등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광간섭 단층 촬영부 11 : 광대역 광원
12 : 광 결합기 13 : 기준단
14 : 샘플단 15 : 광 검출기
16 : 광 서큘레이터 20 : 신호 처리부
30 : 진단부 40 : 선별부
50 : 저장부

Claims (11)

  1.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여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적 단층 촬영부;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로부터 출력된 광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무병종자로 진단하거나, 상기 단층 이미지 데이터의 단층 구조에 층이 있는지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에서 출력된 진단 결과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로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의 진단 결과 데이터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별도로 분류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데이터 및 우량종자 선별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간섭 신호는 진단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광학 간섭계를 통하여,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과 상기 광간섭 단층 촬영부의 기준단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결합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는,
    단층 이미지 촬영을 위한 광대역의 광원을 발생하는 광대역 광원;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두 개의 광으로 분배 및 입사되는 두 개의 반사광을 결합하는 광결합기;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를 통해 전달된 상기 광원을 그대로 반사시키는 기준단;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를 통해 전달된 상기 광원을 진단대상 종자에 조사하여 상기 진단대상 종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출력하는 샘플단; 및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되어, 상기 광결합기에서 결합된 기준단의 반사광과 샘플단의 반사광의 결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반사광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단층 촬영부는,
    상기 광검출기를 +입력단과 -입력단을 갖는 평형 검출기로 구현하고,
    상기 광결합기에서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 되돌아가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의 -입력단으로 전달하는 광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면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상기 선별부로 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이병종자로 진단하여 상기 선별부로 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장치.
  8. 광간섭 단층 촬영기를 통해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단층 이미지에 대한 광 간섭 신호에 대하여 DC 성분의 필터링, 포락선 검파 및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서로 상이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동일하면 상기 진단 대상 종자를 무병종자로 진단하거나, 상기 단층 이미지 데이터의 단층구조에 층이 있는지 분석하여 층이 있는 경우 이병종자로 진단하고, 층이 없는 경우 건전한 무병종자로 진단하는 단계; 및
    진단 결과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로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서로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의 진단 결과에 대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병종자라고 진단된 진단 대상 종자를 별도로 분류하여 우량종자를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을 비침습적으로 광간섭 단층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대상 종자의 단층 촬영을 위해 광대역 광원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기준단 및 샘플단으로 각각 분배하는 단계;
    상기 기준단에서 분배된 광원을 그대로 반사시키는 단계;
    상기 광대역 광원을 상기 진단대상 종자에 조사하여 상기 샘플단에서 상기 진단대상 종자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준단의 반사광과 상기 샘플단의 반사광을 결합하는 단계; 및
    결합된 반사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광 간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종자가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인지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면, 무병종자로 진단하여 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종자가 이병종자 또는 무병종자인지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단층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 단층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이병종자로 진단하여 이병종자를 알리는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KR1020100033889A 2010-04-13 2010-04-13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101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89A KR101011575B1 (ko) 2010-04-13 2010-04-13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PCT/KR2011/001576 WO2011129526A2 (ko) 2010-04-13 2011-03-08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US13/640,663 US9513217B2 (en) 2010-04-13 2011-03-08 Non-invasive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ing high-quality see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89A KR101011575B1 (ko) 2010-04-13 2010-04-13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575B1 true KR101011575B1 (ko) 2011-01-27

Family

ID=4361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89A KR101011575B1 (ko) 2010-04-13 2010-04-13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13217B2 (ko)
KR (1) KR101011575B1 (ko)
WO (1) WO201112952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8060B2 (en) 2013-11-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thereof
KR102112088B1 (ko) 2018-12-31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분광영상기술을 이용한 편백나무 우량종자 선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06062B1 (pt) 2014-09-26 2022-05-03 Monsanto Technology Llc Sistema e método de análise de algodão intacto
EP3295224B1 (en) 2015-05-08 2020-09-02 The Climate Corporation Work layer imaging and analysis for implement monitoring, control and operator feedback
EP3534685A4 (en) * 2016-11-07 2020-10-21 The Climate Corporation WORK SHIFTS IMAGING AND ANALYSIS TO IMPLEMENT MONITORING, CONTROL AND OPERATOR FEED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863A (ko) * 2001-08-30 2003-03-07 민태기 근적외선 분광광도계을 이용한 종자의 발아력 판별방법
KR20060003739A (ko) * 2004-07-07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건삼의 품질 검사 방법
JP2008512686A (ja) * 2004-09-10 2008-04-24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光学コヒーレンス撮像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131666A (ja) * 2006-01-18 2009-06-18 General Hospital Corp 少なくとも1つの電磁放射を伝播するよう構成され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674B1 (en) * 2000-07-11 2001-09-25 Carl Zei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eye disease
US7367155B2 (en) * 2000-12-20 2008-05-06 Monsanto Technology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s
EP3009815B1 (en) * 2003-10-27 2022-09-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ptical imaging using frequency-domain interferometry
US7242480B2 (en) * 2004-05-14 2007-07-10 Medeikon Corporation Low coherence interferometry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plaques
EP2140749A1 (en) * 2008-07-04 2010-01-06 Aarhus Universitet Det Jordbrugsvidenskabelige Fakultet Classification of see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863A (ko) * 2001-08-30 2003-03-07 민태기 근적외선 분광광도계을 이용한 종자의 발아력 판별방법
KR20060003739A (ko) * 2004-07-07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건삼의 품질 검사 방법
JP2008512686A (ja) * 2004-09-10 2008-04-24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光学コヒーレンス撮像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131666A (ja) * 2006-01-18 2009-06-18 General Hospital Corp 少なくとも1つの電磁放射を伝播するよう構成される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8060B2 (en) 2013-11-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destructive inspection system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thereof
KR102112088B1 (ko) 2018-12-31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분광영상기술을 이용한 편백나무 우량종자 선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9526A2 (ko) 2011-10-20
US9513217B2 (en) 2016-12-06
WO2011129526A3 (ko) 2012-01-26
US20130057871A1 (en)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ajan et al. Image acquisition techniques for assessment of legume quality
CN105559756B (zh) 基于全空间调制谱分割角度复合的微血管造影方法与***
AU2019257473A1 (en) Efficient modulated imaging
KR101011575B1 (ko) 비침습적 우량종자 선별 방법 및 장치
KR20190006164A (ko) 개선된 이미지 해상도를 갖는 형광 이미징 유세포 분석법
KR20180011762A (ko) 입자 분석 방법
US20200300768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US11525665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apparatus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method performing spectrum conversion based on single gaussian distribution curve
KR100982619B1 (ko) 과수질병의 비침습적 조기 진단 방법 및 장치
JPWO2016080442A1 (ja) 品質評価方法及び品質評価装置
CN110470646A (zh) 基于人工智能与拉曼光谱的肿瘤组织识别***
KR101792588B1 (ko) 복수의 광선을 이용하는 광 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6317261A (ja) 走査型サイトメータの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5866534B2 (ja) 画像計測装置及び画像計測方法
JP2018004594A (ja) 品質評価方法及び品質評価装置
WO2021099127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 object
US9594024B2 (en) Method for correcting a signal backscattered by a sample and associated device
JP6864313B2 (ja) 化学物質の評価方法
JP2005118076A (ja) 角膜混濁解析装置
KR20190064840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포장 장치
KR20190064843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씨앗 스티커 검사 장치
KR20190064842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종자 공급 장치
KR20190064841A (ko) 비침습적 종자 선별 기능을 갖는 씨앗 스티커 포장 장치
US20180180535A1 (en) Determining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 using a calibrated optical reflectance signal
US20220366709A1 (en) Label-Free Hematology and Pathology Analysis Using Deep-Ultraviolet Mic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