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805B1 -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805B1
KR101009805B1 KR1020100077600A KR20100077600A KR101009805B1 KR 101009805 B1 KR101009805 B1 KR 101009805B1 KR 1020100077600 A KR1020100077600 A KR 1020100077600A KR 20100077600 A KR20100077600 A KR 20100077600A KR 101009805 B1 KR101009805 B1 KR 10100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fixing member
rid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기
정동흡
강광구
김택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호텔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호텔롯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호텔롯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탑승한 자를 보호하면서 놀이기구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한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및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운행중이던 놀이기구를 급정지시키는 불편도 방지할 수 있으며, 급정지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등의 사고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lap-bar, and system for managing amusement facility with the said system}
본 발명은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기구에 탑승한 자를 보호하면서 놀이기구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한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놀이기구란 놀이공원, 유원지 등에서 타고 놀 수 있도록 설치해 놓은 여러가지 기구로서, 롤러코스터, 관람차, 범퍼카, 모노레일, 회전목마, 바이킹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놀이기구에 탑승하는 자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놀이기구가 출발하기 전에 자기 좌석에 있는 안전바(lap-bar)를 당겨 잠김을 설정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놀이기구 탑승자 중 일부가 안전바 잠김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운행요원들이 놀이기구를 출발시키기 전에 일일이 안전바의 잠김 상태를 점검한다고는 하나, 계속적인 반복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안전바 잠김 설정 여부 확인을 빠뜨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안전바를 모두 잠그지 않은 채 놀이기구를 출발시키게 되면 탑승자의 추락사 등 대형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행중이던 놀이기구를 급정지시켜야 하는 불편도 따른다. 안전 불감증에 기인한 안전사고는 놀이기구를 운영하는 회사의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키며, 회사의 매출에 막대한 영향을 주어 수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전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바의 잠김 상태를 감지하여 놀이기구의 출발을 결정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및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는 감지부; 및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모드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켜는 램프 구동부; 상기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운행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는 놀이기구 운행부에 상기 운행 명령을 전송하는 운행 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구동부가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할 때에 각각의 램프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램프 구동부는 상기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스위치 점검부; 및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비상용 선택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는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가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킬 때에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의자에 대해 상기 고정 부재를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옆이나 상기 결합부 밑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입력 전류를 상기 감지부 각각으로 분류시키는 분전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일면이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입력 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분전부로 전송하는 제1 접속부;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디로부터 탄력적이게 연결된 금속막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며, 상기 금속막대가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접속부로 상기 입력 전류를 전송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속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외주면에 금속부재가 부착된 바디;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스프링 부재들; 각각의 스프링 부재 끝단에 연결되는 금속막대; 및 상기 금속막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금속막대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그널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타겟을 사람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안전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하는 일표면에 탄력 부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가 적어도 두개일 때 각각의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스위치를 통합 관리하는 스위치 통합 관리부; 및 상기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중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상기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하는 알림부; 또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높이 변화 감지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바 감지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감지 기능 점검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점검 결과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될 때 상기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높이 변화 감지부가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a)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aa)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ab)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aa)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a)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사실을 수신하는 단계; (bb) 상기 수신된 전환 사실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켜는 단계; (bc) 상기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단계; 및 (bd) 상기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운행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는 놀이기구 운행부에 상기 운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하되 각각의 램프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하며, 상기 (bb) 단계는 상기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a) 단계의 이전 단계로서 (a'a)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a'b)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감지된 값을 수신하여 상기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될 때에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aa) 단계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또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의자의 전방에서 왕복 운동하게 상기 지지부를 운동시키는 결합부 옆이나 상기 결합부 밑에서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a) 단계의 이전 단계로서,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입력 전류를 분류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상기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는 중계부를 통해 상기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결정을 수행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a) 단계와 상기 (a'b)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상기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부와 상기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a) 단계의 이전 단계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정상 수행하는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정상 수행하지 못한다고 판별되면, 상기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거나, 상기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기구; 상기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 및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며,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불가능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는 감지부; 및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모드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운행중인 상기 놀이기구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및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상기 측정된 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력시키는 전류 생성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중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기준값 미만의 속도로 운행할 것을 요청하는 운행 주의 요청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놀이기구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물건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물건을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를 상기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고정부재 잠금부; 및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바디부가 상기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결합부 옆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 생성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정부재 잠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켜는 램프 구동부; 상기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운행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에 상기 운행 명령을 전송하는 운행 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구동부가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할 때에 각각의 램프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램프 구동부는 상기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스위치 점검부; 및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비상용 선택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는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가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킬 때에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의자에 대해 상기 고정 부재를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옆이나 상기 결합부 밑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입력 전류를 상기 감지부 각각으로 분류시키는 분전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타겟을 사람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안전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하는 일표면(즉, 상기 타겟과의 접촉면)에 탄력 부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가 적어도 두개일 때 각각의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스위치를 통합 관리하는 스위치 통합 관리부; 및 상기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중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상기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하는 알림부; 또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높이 변화 감지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감지 기능 점검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점검 결과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될 때 상기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높이 변화 감지부가 구동된다.
본 발명은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전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바의 잠김 상태를 감지하여 놀이기구의 운행을 결정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운행중이던 놀이기구를 급정지시키는 불편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안전바를 잠그지 않은 채 놀이기구를 출발시킬 경우 발생되는 탑승자의 추락사 등 대형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놀이기구를 이용하려는 자들이 놀이기구를 운영하는 업체에 대하여 신뢰성을 갖게 하며, 놀이기구를 운영하는 업체의 매출/수익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세째, 놀이기구를 관리하는 자(즉, 놀이기구 정비를 담당하는 자, 안전요원, 업체측 관계자 등)들의 업무 능률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3은 놀이기구에 장착된 감지부의 일실시 배치 예시도이다.
도 4는 놀이기구에 장착된 감지부의 일실시 구현 예시도이다.
도 5는 부스 바와 브러시 콜렉터의 실사이다.
도 6은 탑승장 측벽에 설치된 브러시 콜렉터와 놀이기구에 설치된 부스 바 간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실사이다.
도 7은 비상용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안전바 감지 시스템의 추가 구성 설명을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운행 결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브러시 콜렉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나열해 놓은 실사이다.
도 14는 브러시 바디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사이다.
도 15는 집전 슈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사이다.
도 16은 브러시 바디에 콜렉터 샤프트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실사이다.
도 17은 콜렉터 샤프트가 결합된 브러시 바디에 집전 슈 가이드와 집전 슈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실사이다.
도 18은 브러시 바디 조립체와 부스바 간에 접촉이 잘 이루어 지는지를 실험하는 실사이다.
도 19는 브러시 콜렉터를 현장에 설치하는 것과 관련한 실사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 및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놀이기구의 운행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놀이기구 운행 결정 시스템과 동일한 개념이다.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 부재는 놀이기구에 탑승한 자가 함부로 자리를 이탈하지 못하게 움직임을 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안전바, 안전 벨트 등이 있다.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할 수 있게 감지부(111) 및 모드 처리부(112)를 포함한다.
감지부(111)는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1)는 접근하는 물체의 유무를 식별하는 근접 센서나 접촉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111)는 N.O(Normal Open) 접점이나 N.C(Normal Close) 접점을 사용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고정 부재(210)는 바디부(220)와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바디부(220)는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ex. 사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230)는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바디부를 의자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서 도면부호 200은 놀이기구를 지시하며, 도면부호 240은 안전 벨트를 지시한다. 안전 벨트(240)는 타겟의 위치를 보다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2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바디부(220)는 타겟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거나, 타겟의 움직임을 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바디부(220)는 일표면(특히 타겟에 접촉하는 일표면, 즉 타겟과의 접촉면)에 쿠션이나 에어백과 같은 탄력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220)의 이러한 구성은 타겟을 의자 쪽으로 압박할 때에 타겟에게 고통(ex. 급정지에 따른 흉부 압박)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의자의 하부에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놀이기구에 장착된 감지부의 일실시 배치 예시도이다. 이때, 감지부(111)는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의자에 대해 고정 부재(210)(구체적으로, 지지부(230))를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250) 옆이나 밑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감지부(111)는 바디부(220)가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지지부(230)를 회전시키거나 바디부(220)를 의자의 전방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결합부(250) 옆이나 밑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210)와의 거리 차가 0.5cm~5cm 이하일 때 고정 부재(210)를 감지하는 점을 고려하여, 결합부(250) 좌측(또는 우측)으로부터 7cm~10cm 거리에 구비된다.
고정 부재(210)가 전술한 형태로 구성된다고 볼 때, 감지부(111)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의자에 결합된 지지부(230)의 일측(또는 일단)을 감지한다. 예컨대, 도 3의 (a)에서처럼 바디부(220)와 결합하는 지지부(230)의 일측이 상승하고 의자와 결합하는 지지부(230)의 타측이 하강하면 감지부(111)는 고정 부재(210)를 센싱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1)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됨을 고려할 때 고정 부재(210)와의 거리 차가 0.5cm~5cm 이하일 때 고정 부재(210)를 감지한다. 감지부(111)가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될 경우, 도 3의 (a)에서, 고정 부재(210)가 A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210)를 센싱하지 못한다. 반면, 고정 부재(210)가 B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 부재(210)의 끝이 감지부(111)에 근접하므로,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210)를 센싱한다. 도 3의 (b)~(d)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210)가 A 위치에 있을 때에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210)를 센싱하지 못하다가, 고정 부재(210)가 B 위치에 이동하게 되면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210)를 센싱한다.
도 4는 놀이기구에 장착된 감지부의 일실시 구현 예시도이다. 도 4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감지부(111)로 구현된 예이다. 리미트 스위치는 랩 바(lap bar)의 잠김 상태(open & close)를 감지하는 스위치로서 랩 바 고정부에 부착되며 랩 바의 잠김 상태에 따라 동작된다. 도 4의 (a)에서 도면부호 400은 랩 바가 열려져 있음(open)을 지시하며, (b)에서 도면부호 410은 랩 바가 닫혀져 있음(close)을 지시한다. (c)에서 도면부호 420은 리미트 스위치 브라켓(limit switch bracket)을 지시한다. 리미트 스위치 브라켓(420)은 리미트 스위치를 의자 하부에 장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드 처리부(112)는 고정 부재가 감지될 때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을 때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부(111)가 NO 접점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될 때, 모드 처리부(112)는 고정 부재 감지시 스위치 모드를 open 상태에서 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며, 고정 부재 미감지시 스위치 모드의 원 상태인 open 상태를 유지시킨다. 반면, 감지부(111)가 NC 접점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될 때에는 고정 부재 감지시 closed 상태에서 open 상태로 전환시키며, 고정 부재 미감지시 스위치 모드의 원 상태인 closed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스위치(미도시)는 고정 부재의 감지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가 이러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와 스위치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의 처리 결과에 따라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가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킬 때에 놀이기구를 운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는 송수신부(121), 램프 구동부(122), 입력부(123) 및 운행 결정부(124)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21)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램프 구동부(122)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구비하며,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켜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 구동부(122)는 1개의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램프는 전환 사실만 표시한다. 한편, 램프 구동부(122)는 2개 이상의 램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램프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하며, 램프 구동부(122)는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켤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전환 사실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램프를 켤 수 있다.
입력부(123)는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램프가 켜졌는지 여부 또는 램프의 빛깔이 무엇인지 확인한 뒤 관리자가 운행 지시 또는 운행 금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3)는 운행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운행 금지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3)는 버튼, 터치스크린, 회전에 따라 입력값이 변경되는 수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운행 결정부(124)는 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운행 결정부(124)는 운행 명령이 생성된 뒤 송수신부(121)를 통해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는 놀이기구 운행부(미도시)에 운행 명령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놀이기구 운행부는 수신된 운행 명령에 따라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게 된다.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제1 접속부(113)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를 롤러코스터로 가정해 보자. 롤러코스터는 탑승 차량이 트랙 위를 운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 장치와 통신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랩 바(lap bar)의 잠김 상태를 제어(control)하기 위해서는 유선 연결 장치 또는 배터리를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 롤러코스터가 배터리를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다면 잠김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11)는 예컨대 기울기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놀이기구에 전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장착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놀이기구 승강장 건물 내부의 모형이 다양함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오류 발생으로 제어가 안된다. 둘째, 고속의 진동이 많은 탑승 차량에 배터리를 부착할 경우 탈락에 의한 안전사고 우려 및 충전 문제가 초래된다. 세째, 많은 진동에 의한 기울기 센서의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놀이기구에 전술한 유선 연결 장치가 장착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놀이기구가 승강장에 정차할 때마다 유선 연결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둘째, 놀이기구를 출발시키는 시간이 지체되고, 이에 따라 놀이기구를 운행하는 업자의 수익이 감소된다.
이상 언급한 문제점을 고려할 때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제1 접속부(113)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에는 제1 접속부(113)와 접속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5)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속부(113)를 포함하여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를 놀이기구에 구비시킬 수 있으며, 제2 접속부(125)를 포함하여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를 놀이기구가 정차하는 건물(ex. 승강장)에 구비시킬 수 있다. 즉, 놀이기구에 리미트 스위치를 부착하여 시그널 연결은 탑승장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1 접속부(113) 및 제2 접속부(125)로 각각 부스 바(bus bar) 및 브러시 콜렉터(brush collector)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부스 바와 브러시 콜렉터의 실사(實寫)이다. 부스 바(500)는 놀이기구 측면에 설치되어 놀이기구 정차시 브러시 콜렉터(520)와 접촉되며, 놀이기구 내부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랩 바의 잠김 및 풀림의 신호를 받아 콘트롤 릴레이(control relay)를 동작시키는 장치이다. 부스 바(500)는 도 5의 (a) ~ (b)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도 5의 (a) ~ (b)에서 도면부호 510은 제1 마찰부를 지시한다.
브러시 콜렉터(520)는 탑승장 측벽에 설치되어 놀이기구가 탑승장에 정차할 때 부스 바(500)와 접촉되며, 놀이기구 내부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랩 바의 잠김 및 풀림의 신호를 받아 콘트롤 릴레이(control relay)를 동작시키는 장치이다. 브러시 콜렉터(520)는 도 5의 (c) ~ (d)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도 5의 (c) ~ (d)에서 도면부호 530은 놀이기구의 탑승장 정차시 제1 마찰부(510)와 마찰되는 제2 마찰부를 지시한다.
도 6은 탑승장 측벽에 설치된 브러시 콜렉터와 놀이기구에 설치된 부스 바 간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실사(實寫)이다. (a)는 브러시 콜렉터가 탑승장 측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b)는 부스 바와 브러시 콜렉터 간 접촉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b)에서 부스 바와 브러시 콜렉터 간 접촉은 도면부호 5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1 마찰부와 제2 마찰부 간 마찰에 의해 일어난다.
한편,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스위치 점검부, 비상용 선택부, 알림부,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점검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수시 또는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기 전 등이 될 수 있다.
비상용 선택부는 스위치 점검부의 점검 결과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감지부(111)와 전기적 연결되어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비상용 선택부로 선택키 스위치와 비상용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키 스위치는 셀렉션 스위치(selection switch)라고도 하며, 제1 값 또는 제2 값으로 조정 가능하다. 제1 값은 예컨대 OLD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값은 NEW로 설정할 수 있다. 선택키 스위치로 OLD 전환하면, 운행중 발생될 수 있는 부스 바 및 브러시 콜렉터의 오동작 발생 때에 랩 바 잠김 감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비상용 커넥터를 통한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놀이기구를 운행되게 할 수 있다. 반면, 선택키 스위치로 NEW 전환하면, 랩 바 잠김 감지 장치로 전환되어 랩 바 열림(OPEN)시 출발이 되지 않게 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비상용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에서 도면부호 700이 선택키 스위치를 지시한다. 도면부호 710은 콘트롤 릴레이를 지시한다. 콘트롤 릴레이는 도 5를 통해 전술한 바 있다.
비상용 커넥터는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연결 커넥터로서, 놀이기구 일측에 구비된다. 비상용 커넥터는 놀이기구 내부 랩 바에 부착된 리미트 스위치의 잠김 상태에서 오퍼레이터 패널(operator panel)의 파일럿 램프(pilot lamp)가 점등되지 않을 경우 선택키 스위치의 OLD 전환 뒤 해당 놀이기구만 랩 바 잠김 감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운행할 수 있게 한다. 도 7의 (b)가 놀이기구에 장착된 비상용 커넥터(720)에 대한 실사(實寫)이다.
알림부는 스위치 점검부의 점검 결과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림부는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관리자가 시각적(ex. 디스플레이) 또는 청각적(ex. 스피커)으로 인식할 수 있게 통보한다.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에 구비되며, 감지부(111)와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에 알림부가 구비된다면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놀이기구에는 의자가 여러 개 장착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 또한 여러 개 장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전부는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입력 전류를 감지부(111) 각각으로 분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부(111)는 분전부의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놀이기구에 장착되는 부스 바가 이러한 분전부 기능도 병행해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도 여러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스위치 통합 관리부와 중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통합 관리부는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가 적어도 두개일 때 각각의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에 의해 개폐되는 스위치를 통합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통합 관리부로 정션 박스(junction box)가 구비될 수 있다. 정션 박스는 놀이기구 내에 설치되며, 리미트 스위치 및 비상용 커넥터의 배선을 위한 단자대로 되어 있고, 외함은 방수용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안전바 감지 시스템의 추가 구성 설명을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에서 (a)가 정션 박스에 대한 것이며, (b)는 오퍼레이터 패널(operator panel) 내 파일럿 램프(pilot lamp)에 대한 것이다. 도 8의 (b)에서 안전바 잠김 확인용 파일럿 램프(800)는 놀이기구의 랩 바(8EA)가 잠김 확인용으로 8EA 중 어느 하나라도 풀림시 파일럿 램프가 점등하지 않으며 완전히 잠김 상태가 되어야 점등한다. 제1 스타트 버튼(start button 1: 810)과 제2 스타트 버튼(start button 2: 820)은 안전바 잠김 확인용 파일럿 램프가 점등되어야만 출발 조건이 되며, 파일럿 램프가 점멸시에는 놀이기구가 출발할 수 없도록 시스템은 구성된다.
중계부는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로부터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브러시 콜렉터가 이러한 중계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인체 감지부, 높이 변화 감지부, 감지 기능 점검부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는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체 감지부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가 도 2b와 같은 구성을 가질 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인체 감지부는 바디부에 적어도 하나 부착된다.
높이 변화 감지부는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높이 변화 감지부는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센서와 높이값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높이 변화 감지부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디부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 높이 변화한 것으로 판별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높이 변화 감지부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가 도 3의 (b)와 같은 구성을 가질 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준값은 최대 높이 변화값의 75%~85% 값으로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최대 높이 변화값이 50cm라면 기준값은 37.5cm~42.5cm로 정할 수 있다.
감지 기능 점검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또는 일정 시간마다 감지부(111)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 기능 점검부의 이러한 기능은 관리자가 고정 부재를 인위적으로 구동시켜 점검할 때에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검 결과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될 때 인체 감지부나 높이 변화 감지부가 구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감지 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9를 참조한다.
도 9의 구성과 도 1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구성을 비교해 볼 때, 양측의 기능적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VEHICLE 안전바 잠김상태 감지 시스템(900)은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안전바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910)는 감지부(111)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부스바(bus-bar)(500)는 제1 접속부(113)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브러시 콜렉터(brush collector)(510)는 제2 접속부(125)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S/W 및 CONTROL 회로(920)는 송수신부, 운행 결정부, 및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OP'PANEL(960) 내 PILOT LAMP(800)는 알림부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J/BOX(930)는 스위치 통합 관리부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비상용 CONNECTOR(720)는 비상용 선택부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VEHICLE(940)는 8개의 좌석이 설치된 것으로서, 각 좌석마다 고정 부재가 장착된다. VEHICLE(940)에는 리미트 스위치(910), 부스바(500), 비상용 CONNECTOR(720), J/BOX(930) 등이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910)는 각 안전바(8개)별 잠김상태 감지용으로 구현된 것이며, 부스바(500)는 리미트 스위치(910) 감지신호 전달용으로 구현된 것이다. 비상용 CONNECTOR(720)는 리미트 스위치(910) 고장시 신속 조치용으로서 리미트 스위치(910) 감지 불량 및 오동작시 비상시 사용되기 위해 구현된 것이며, J/BOX(930)는 전술한 전장품 배선용으로서 전체 리미트 스위치 통합 배선용으로 구현된 것이다.
탑승장(950)은 좌우측에 각각 LOAD #1과 LOAD #2 2개소가 위치한다. 이러한 탑승장(950)에는 브러시 콜렉터(510)가 설치된다. 브러시 콜렉터(510)는 VEHICLE(940) 내 안전바 리미트 스위치(910) 감지신호 EER#3 전달용으로 구현된 것이다.
EER#3 OP' PANEL(960)에는 S/W 및 CONTROL 회로(920), PILOT LAMP(800) 등이 설치된다. CONTROL 회로는 감지신호 제어용으로 구현된 것이며, S/W는 리미트 스위치(910) 고장 대비 프로그램 선택용으로서 리미트 스위치(910) 감지 불량 및 오동작시 비상시 선택 사용을 위한 NEW/OLD SELEDTOR S/W로 구현된 것이다. S/W는 스위치 점검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PILOT LAMP(800)는 OP' PANEL(960) 내 LOAD #1, #2 정차 VEHICLE(940) 안전바 잠김상태 확인용으로 구현된 것이다.
VEHICLE 안전바 잠김상태 감지 시스템(900)에 대한 회로도는 도 10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때, START 조건은 LAP BAR CLOSE, DISPATCH ON 등이다.
(1) 평상시
안전바 잠김상태 감지 시스템은 LOAD #1, LOAD #2 각각에서 동작 조건이 동일하다. VEHICLE 내 안전바 8개소 모두 잠김상태 감지되면, 모든 스위치(즉, LEFT 4개, RIGHT 4개)가 closed되므로 M.S.B PANEL 일측에서 입력된 전류가 VEHICLE #5의 직렬 연결된 LEFT 스위치 4개와 RIGHT 스위치 4개를 차례대로 거쳐 M.S.B PANEL 타측으로 출력된다. 그러면, OP' PANEL 내 설치된 안전바 잠김 확인용 PILOT LAMP가 점등되고 VEHICLE START 조건이 된다. OP' 좌측 LAMP가 LOAD #1에 대한 것이고, 우측 LAMP가 LOAD #2에 대한 것이다. 안전바 8개소 중 1개소라도 잠김상태가 안되면 OP' PANEL 내 PILOT LAMP가 점등이 안되고 VEHICLE START가 안된다.
(2) 비상시
비상시는 안전바 감지기능이 안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VEHICLE 내 안전바 8개소 모두 잠김 상태에서 OP' PANEL 내 설치된 안전바 잠김 확인용 PILOT LAMP가 점등이 안될 경우, 탑승자 체형에 따라 감지가 안될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에는 VEHICLE 내 설치된 비상용 CONNECTOR를 조립하여 임시 조치 운행한다. 비상용 CONNECTOR를 조립하여도 안될 경우에는 EER#3 내 비상용 NEW/OLD SELECTOR S/W를 OIL로 전환하여 운행한다.
이상 설명한 VEHICLE 안전바 잠김상태 감지 시스템(900)을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안전바 OPEN 상태 출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불안정한 출발로 인한 급정지 예방으로 탑승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째, 안전바 체결의 안전성 확보로 대고객 불안감 및 COMPLAIN을 해소할 수 있다. 네째, 관리자간 근무 스케줄의 변화 속에서 TEAM-PLAY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의 놀이기구 운행 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운행 결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1을 참조한다.
먼저,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가 놀이기구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한다(S1100).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S1101).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111)가 고정 부재를 감지한 것을 고정 부재가 잠김 설정된 것으로 본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부(111)가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놀이기구에 있는 의자에 결합된 고정 부재의 지지부 일측을 감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지부(111)가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어 바디부가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또는 바디부가 의자의 전방에서 왕복 운동하게 지지부를 운동시키는 결합부 옆에서 감지한다.
이후 제2 단계에서, 모드 처리부(112)가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S1102),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킨다(S1103). 감지부(111)가 NO 접점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현될 경우, 스위치 모드 전환은 open 상태에서 closed 상태로의 전환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스위치 모드 유지는 open 상태를 유지함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계 이전에 다음 과정이 먼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스위치 점검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한다. 이후, 비상용 선택부가 상기 점검 결과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감지된 값을 수신하여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한다.
스위치 정상 작동 점검 뒤에는 다음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첫째, 알림부가 점검 결과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할 수 있다. 둘째,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가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부와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단계 이전 놀이기구에 탑재된 분전부가 입력 전류를 분류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에는 감지부가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를 감지한다.
한편, 제1 단계 이전에 다음 과정도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감지 기능 점검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정상 수행하는지를 점검한다. 이후, 인체 감지부가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정상 수행하지 못한다고 판별되면,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거나,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위치 모드 전환 유무 처리 후에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가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의 처리 결과에 따라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한다(S1110). 바람직하게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가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될 때에 놀이기구를 운행시킨다(S1111). 반면, 스위치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면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는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킨다(S1112).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송수신부(121)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사실을 수신한다. 스위치 모드가 전환되지 않는다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은 수신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후 제2 단계에서, 램프 구동부(122)가 수신된 전환 사실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켠다. 램프 구동부(122)가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하며 각각의 램프가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한다면, 이 단계에서는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켠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이 수신될 때와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할 수가 있다.
이후 제3 단계에서, 입력부(123)는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다. 관리자는 램프의 색깔에 따라 정보를 다르게 입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녹색 램프가 켜지면, 관리자는 운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적색 램프가 켜지면, 관리자는 운행 금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제4 단계에서, 운행 결정부(124)가 입력된 지시에 따라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며, 운행 명령이 생성되면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는 놀이기구 운행부에 운행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S1100 단계와 S1110 단계 사이에는 다음 과정도 수행될 수 있다. 즉,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는 중계부를 통해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결정을 수행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을 구비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2를 참조한다.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1200)은 놀이기구(1210),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 및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1220)를 포함한다.
놀이기구(1210)는 놀이공원, 유원지 등에서 타고 놀 수 있도록 설치해 놓은 여러가지 기구로서, 롤러코스터, 관람차, 범퍼카, 모노레일, 회전목마, 바이킹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은 이러한 놀이기구(1210) 중에서 롤러코스터 류에 한정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놀이기구(1210)에 장착된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는 감지부(111)와 모드 처리부(112)를 포함한다. 감지부(111)는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 처리부(112)는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120)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110)의 처리 결과에 따라 놀이기구(1210)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1220)는 놀이기구(1210)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놀이기구(1210)를 운행시키며, 놀이기구(1210)의 운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불가능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놀이기구가 출발된 이후 고정 부재가 고정되지 않고 상하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탑승자가 매우 위험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1200)이 속도 측정부(1230)와 전류 생성부(12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측정부(1230)는 운행중인 놀이기구(1210)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속도 측정부(1230)는 도로나 철로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놀이기구(1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류 생성부(1240)는 놀이기구(1210)에 탑재되며, 측정된 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전류를 생성하여 감지부(111)로 입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류 생성부(1240)는 비상 전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기준값은 예컨대 3~5m/sec가 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바디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는 놀이기구(12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지지부는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바디부를 의자에 지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1200)은 운행 주의 요청부, 제1 고정부재 잠금부, 제2 고정부재 잠금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주의 요청부는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놀이기구(1210)의 운행 중지를 요청하거나 기준값 미만의 속도로 운행할 것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고정부재 잠금부는 바디부와 놀이기구(1210)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물건을 포함하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물건을 이용하여 바디부를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놀이기구의 바닥면은 예컨대 해당 의자 밑 놀이기구의 바닥면을 지시한다. 또한, 물건은 끈과 같은 연결 수단, 도르래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 잠금부는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바디부가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결합부 옆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전류 생성부(124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놀이기구(1210)의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1200)은 전술한 구성 외에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안전바 감지 시스템(100)의 구성을 더욱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는 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1 접속부(113)와 제2 접속부(125)가 각각 부스바(500)와 브러시 콜렉터(520)로 구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제1 접속부(113)는 놀이기구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일면이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를 통해 입력 전류를 수신하여 분전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접속부(125)는 승강장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디로부터 탄력적이게 연결된 금속막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며, 금속막대가 제1 접속부(113)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면 제1 접속부(113)로 입력 전류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접속부(125)는 바디, 가이드부, 스프링 부재, 금속막대, 시그널 연결 단자 등을 포함한다. 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외주면에 금속부재가 부착된 것이다. 가이드부는 관통공을 지나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것이다. 스프링 부재는 가이드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두개가 구비된다. 금속막대는 각각의 스프링 부재 끝단에 연결된다. 시그널 연결 단자는 금속막대의 일측과 연결되며, 금속막대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2 접속부(125), 즉 브러시 콜렉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브러시 콜렉터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을 준비한다. 도 13은 브러시 콜렉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나열해 놓은 실사이다. 도 13에 따르면, 브러시 콜렉터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브러시 바디(brush body; 1310), 집전 슈(collector shoe; 1320), 집전 슈 가이드(collector shoe guide; 1330), 압력 스프링(tention spring; 1340), 압력 스프링 고정판(tention spring fix plate; 1350), 샤프트 스프링(shaft spring; 1360), 너트(nut; 1361), 브러시 고정 브라켓(brush fix bracket; 1370), 콜렉터 샤프트(collector shaft; 1380) 등이 있다.
이후, 바디(1311)의 탭(tap)을 통해 동 BUSH(1312)를 바디(1311)에 삽입시켜 브러시 바디(1310)를 제작한다. 도 14는 브러시 바디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사이다. 도 14에서 (a)가 브러시 바디(1310) 제작 전 사진이며, (b)가 브러시 바디(1310) 제작 후 사진이다.
브러시 바디(1310) 제작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탄력 형성부(1321)와 슈부(1322)를 결합시켜 집전 슈(1320)를 제작한다. 도 15는 집전 슈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사이다. 도 15에서 (a)가 집전 슈(1320) 제작 전 사진이며, (b)가 집전 슈(1320) 제작 후 사진이다. 집전 슈(1320)는 지하철 등 제3 레일(third rail)로부터 집전하기 위해 전차의 대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스프링의 힘으로 레일에 접촉하고, 접촉 압력은 10~20kgf/mm2이며, 슈(shoe)는 주철 등이 사용된다.
브러시 바디(1310) 제작 후, 브러시 바디(1314)의 탭 일단에는 동 BUSH(1313)가 노출된다. 이 일단을 통해 샤프트 스프링(1360)이 끼움 형성된 콜렉터 샤프트(1380)을 삽입시키고, 타단에 위치한 너트(1361)를 통해 콜렉터 샤프트(1380)를 고정시킨다. 도 16은 브러시 바디에 콜렉터 샤프트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실사이다. 도 16에서 (a)가 브러시 바디에 콜렉터 샤프트를 결합시키기 전 사진이며, (b)가 브러시 바디에 콜렉터 샤프트를 결합시킨 뒤 사진이다.
이후, 너트(1361)를 지나 외부 노출된 콜렉터 샤프트(1380)의 일측으로 집전 슈 가이드(1330)와 집전 슈(1320)를 차례대로 결합시킨다. 먼저, 집전 슈 가이드(1330)를 브러시 바디(1310)에 결합시키며, 그 다음에 집전 슈 가이드(1330)를 통해 압력 스프링 고정판(1350)과 압력 스프링(1340)을 이용하여 집전 슈(1320)를 브러시 바디(1310)에 결합시킨다. 도 17은 콜렉터 샤프트가 결합된 브러시 바디에 집전 슈 가이드와 집전 슈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실사이다. 도 17에서 (a)는 집전 슈 가이드(1330)를 나타내고, (b)는 브러시 바디에 집전 슈 가이드를 결합시킨 것(1710)을 나타내며, (c)는 집전 슈 가이드를 통해 브러시 바디에 집전 슈를 결합시킨 것(1720)을 나타낸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제작된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는 도 17 (d)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중 스프링(spring)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후 동작시 충격 흡수 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는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전 슈(1320)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1330)를 구비하며,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그널(signal) 연결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는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 스프링(1340)들 간에 15°를 유지시킴으로써,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BOAT가 STATION에 진입할 때에 BOAT에 장착된 BUS BAR와의 충격 흡수 및 집전 슈(1320) 보호 작용이 가능해진다.
브러시 브라켓(1370)을 통해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를 현장에 설치하기 전에 브러시 바디 조립체와 부스바 간에 접촉이 잘 이루어지는지 테스트해 볼 필요가 있다. 도 18은 브러시 바디 조립체와 부스바 간에 접촉이 잘 이루어 지는지를 실험하는 실사이다. 도 18에서 (a)가 실험 전 사진이며, (b)가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와 부스바(500) 간에 평행할 때의 실험 사진이고, (c)가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와 부스바(500) 간에 평행하지 않을 때의 실험 사진이다. 도 18의 (b)와 (c)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는 압력 스프링(1340)들을 통해 집전 슈(1320)를 회전 가능케 함으로써 부스바(500)와 평행하지 않더라도 접촉이 가능해진다.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를 테스트한 뒤에는,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와 브러시 브라켓(1370)을 결합시킨 브러시 콜렉터를 현장에 설치한다. 도 19는 브러시 콜렉터를 현장에 설치하는 것과 관련한 실사이다. 도 19에서 (a)가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에 대한 사진이고, (b)가 브러시 바디 조립체(1720)에 브러시 브라켓(1370)을 결합시킨 브러시 콜렉터에 대한 사진이며, (c)와 (d)는 브러시 콜렉터의 현장 설치 사진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놀이기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안전바 감지 시스템 110 :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111 : 감지부 112 : 모드 처리부
113 : 제1 접속부 120 :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
121 : 송수신부 122 : 램프 구동부
123 : 입력부 124 : 운행 결정부
125 : 제2 접속부 200 : 놀이기구
210 : 고정 부재 220 : 바디부
230 : 지지부 250 : 결합부
1200 :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1210 : 놀이기구
1220 :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 1230 : 속도 측정부
1240 : 전류 생성부

Claims (21)

  1. 놀이기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되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모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및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모드가 전환된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사실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켜는 램프 구동부;
    상기 켜진 램프를 인식한 관리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기 위한 운행 명령 또는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운행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는 놀이기구 운행부에 상기 운행 명령을 전송하는 운행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부가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할 때에 각각의 램프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램프를 구비하는 램프 구동부는 상기 전환 사실 입력 여부에 따라 램프를 구분하여 켜거나 램프를 달리하여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스위치 점검부; 및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대신 처리하는 비상용 선택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의자에 대해 상기 고정 부재를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옆 또는 상기 결합부 밑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입력 전류를 상기 감지부 각각으로 분류시키는 분전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분류에 의해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일면이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입력 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분전부로 전송하는 제1 접속부;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디로부터 탄력적이게 연결된 금속막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며, 상기 금속막대가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면 상기 제1 접속부로 상기 입력 전류를 전송하는 제2 접속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타겟을 사람으로 하는 놀이기구용 안전바이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타겟에 접촉하는 일표면에 탄력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외주면에 금속부재가 부착된 바디;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스프링 부재들;
    각각의 스프링 부재 끝단에 연결되는 금속막대; 및
    상기 금속막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금속막대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시그널 연결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가 적어도 두개일 때 각각의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스위치를 통합 관리하는 스위치 통합 관리부; 및
    상기 놀이기구가 운행하기 전에 대기하는 정거장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로 전송하는 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결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상기 스위치의 이상 발생 사실 또는 상기 스위치의 교체 요청을 통보하는 알림부; 또는
    상기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비상용 선택부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제어 프로그램 구동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에 접촉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바디부의 일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높이 변화 감지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감지 기능 점검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점검 결과 상기 감지부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별될 때 상기 인체 감지부 또는 상기 높이 변화 감지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감지 시스템.
  16. (a) 놀이기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되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 방법.
  17. 놀이기구;
    상기 놀이기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의 모드 전환 유무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부재와의 거리 차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고정 부재를 감지(sensing)하되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전환시키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의 모드를 유지시키는 모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환 처리부;
    상기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여부를 결정하는 놀이기구 운행 결정부; 및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놀이기구를 운행시키며,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불가능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놀이기구 운행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운행중인 상기 놀이기구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및
    상기 놀이기구에 탑재되며, 상기 측정된 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력시키는 전류 생성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놀이기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의자에 타겟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뒤 상기 의자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놀이기구의 운행 중지를 요청하거나 상기 기준값 미만의 속도로 운행할 것을 요청하는 운행 주의 요청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놀이기구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물건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물건을 이용하여 상기 바디부를 상기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고정부재 잠금부; 및
    상기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바디부가 상기 의자의 위쪽과 앞쪽을 오가게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결합부 옆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전류 생성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바닥면 쪽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정부재 잠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KR1020100077600A 2010-06-11 2010-08-11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KR101009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5437 2010-06-11
KR1020100055437 2010-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805B1 true KR101009805B1 (ko) 2011-01-19

Family

ID=4361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00A KR101009805B1 (ko) 2010-06-11 2010-08-11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06Y1 (ko) 2011-12-06 2013-04-25 와바다다 주식회사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원격 출발 제어 시스템
KR101423281B1 (ko) * 2012-11-06 2014-07-25 이효복 놀이기구 운행관리 장치
JP2019023654A (ja) * 2014-05-21 2019-02-14 ユニバーサル シティ スタジオ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アミューズメントパーク要素追跡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750B1 (ko) * 1998-07-27 2002-10-25 김봉택 열차의 승강장 운행 제어/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30633A (ko) * 2002-03-27 2004-04-09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벌집형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벌집형 구조체의 외주왜곡도의 측정 방법
KR200430633Y1 (ko) * 2006-08-07 2006-11-10 박민지 놀이기구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750B1 (ko) * 1998-07-27 2002-10-25 김봉택 열차의 승강장 운행 제어/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30633A (ko) * 2002-03-27 2004-04-09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벌집형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벌집형 구조체의 외주왜곡도의 측정 방법
KR200430633Y1 (ko) * 2006-08-07 2006-11-10 박민지 놀이기구용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06Y1 (ko) 2011-12-06 2013-04-25 와바다다 주식회사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원격 출발 제어 시스템
KR101423281B1 (ko) * 2012-11-06 2014-07-25 이효복 놀이기구 운행관리 장치
JP2019023654A (ja) * 2014-05-21 2019-02-14 ユニバーサル シティ スタジオ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アミューズメントパーク要素追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2868B (zh) 一种微轨交通***
CN100457518C (zh) 城市轨道交通站台安全门***
CN102092607B (zh) 电梯的运行控制装置
JP5215410B2 (ja) 単一の昇降路内で2つのエレベータかごを運転する制御方法
JP4884573B1 (ja) 車両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車両内情報提供方法
KR101009805B1 (ko) 안전바 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놀이기구 운용 시스템
KR10263387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CN107108154B (zh) 具有制动***的电梯设备
CA2745792A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JP4509795B2 (ja) 恒久的に接地を制御する装置
JPH0859139A (ja) エレベータ
CN106395568A (zh) 电梯恢复轿厢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CN108860205A (zh) 一种轨道车辆用脱轨检测方法及装置
KR101296672B1 (ko) 열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N104755403B (zh) 具有安全保护电路的电子线桥
CN104395219A (zh) 电梯的控制***及电梯的控制方法
JP2022012744A (ja) エレベーター及び保全情報案内方法
US20230159064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14715225B (zh) 一种磁浮列车的无人驾驶***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JP2010254040A (ja) 車両接地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車両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12040955A (ja) 電気鉄道用電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