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103B1 - 꽂음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꽂음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103B1
KR101007103B1 KR1020100061911A KR20100061911A KR101007103B1 KR 101007103 B1 KR101007103 B1 KR 101007103B1 KR 1020100061911 A KR1020100061911 A KR 1020100061911A KR 20100061911 A KR20100061911 A KR 20100061911A KR 101007103 B1 KR101007103 B1 KR 10100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connector
stainles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현
Original Assignee
성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승현 filed Critical 성승현
Priority to KR102010006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는 일면이 개방형성되며,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과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가압하는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동 하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며,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삽입돌기를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꽂음형 커넥터{PUSH IN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꽂음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전선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꽂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커넥터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 복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선의 단부를 피복하여 전선단부를 노출한 후 서로를 꼬아서 연결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개별적인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작업 시간도 지연되고 작업자가 누전등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게 복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전선을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꽂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스테인리스 상판과 동 하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꽂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꽂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는, 일면이 개방형성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과 상기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커넥터하우징와;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촉가압되는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동 하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며,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삽입돌기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동 하판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홀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전선과 접촉되는 제1전선접촉판을 갖는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1전선접촉판은 상기 지지판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전선이 내부에 동시에 수용되면서 스테인레스 상판의 탄성압력에의해 동 하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작업자가 전선을 피복하여 개별적으로 결합시켜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전선 연결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는 하우징본체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스테인레스 상판과 동 하판을 각각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하므로 각각의 제조과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에 전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의 스테인레스 상판과 동 하판이 전선이 지지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의 조립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에 전선(200)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는 전선(200)이 삽입되는 커넥터하우징(110)과, 커넥터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전선(20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테인레스 상판(120)과. 전선(200)과 전기적으로연결되는 동 하판(130), 커넥터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커버(140)를 포함한다.
커넥터하우징(110)은 내부에 복수개의 전선(200)을 수용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커넥터하우징(110)는 하우징본체(111)와, 하우징본체(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선(200)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113)을 포함한다.
하우징본체(111)는 커버(140)가 결합되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우징본체(111)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본체(111)의 내부에는 전선(20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a)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11a)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벽에는 스테인레스 상판(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1b)와, 동 하판(130)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홀(111c)이 형성된다.
지지돌기(111b)는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지지판(121)과 제1전선접촉판(123)이 내측벽 사이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돌기(111b)는 지지판(121)의 길이과 제1전선접촉판(123)의 절곡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삽입홀(111c)은 동 하판(13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동 하판(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삽입홀(111c)은 동 하판(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선접촉판(133)에 대해 양 단부의 삽입판(131)이 절곡 형성된 경우 삽입홀(111c)이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삽입판(131)이 한 쪽에만 형성될 경우 삽입홀(111c)도 이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삽입홀(111c)은 동 하판(130)의 두께 및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동 하판(130)이 끼워맞춤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111b)와 삽입홀(111c)은 하우징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본체(111)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선 삽입공(113)은 커넥터하우징(1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다. 전선 삽입공(113)은 복수개가 이웃하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전선(200)이 동시에 삽입되도록 한다. 전선 삽입공(113)의 직경은 전선(20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상판(120)은 커넥터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되어 전선(200)을 가압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상판(120)은 동 하판(130)과 상호 밀착되게 구비되어 전선(200)과 접촉된다. 스테인레스 상판(12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스테인레스 상판(120)은 하우징본체(111)의 상측벽에 접촉지지되는 지지판(121)과, 지지판(121)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일영역은 지지돌기(111b)에 지지되고 단부영역은 전선(200)과 접촉되는 제1전선접촉판(123)을 포함한다.
스테인레스 상판(120)은 탄성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며 0.3mm 내외로 구비된다. 지지판(121)은 상측벽과 지지돌기(111b) 사이의 공간에 끼워맞춤 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제1전선접촉판(123)은 지지판(121)으로부터 절곡된 영역은 지지돌기(111b)와 접촉되며 지지되고, 단부영역은 자유단 형태로 구비된다. 자유단 형태의 단부영역은 전선(200)이 삽입될 경우 전선(200)의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전선(20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제1전선접촉판(123)의 판면에는 복수의 전선(200)에 균일하게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절개선(123a)이 형성된다. 절개선(123a)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선접촉판(123)이 전선단부(210)의 상부영역과 접촉될 때 각각의 전선단부(210)을 개별적으로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제1전선접촉판(123)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절개선(123a)의 길이와 간격은 전선 삽입공(113)의 개수와 전선(200)의 직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전선접촉판(123)의 단부영역(125)은 도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대해 아랫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전선단부(2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전선접촉판(123)이 전선단부(210)과 일정길이 면접촉하는데 반해 단부영역(125)은 뾰족한 형상에 의해 전선단부(210) 표면을 파고들어 점접촉하며 가압하게 되므로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스테인레스 상판(120)은 프레스기를 통해 가압하여 지지판(121)과 제1전선접촉판(123)을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절개선(123a)도 함께 가공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형상 및 고정방향은 커넥터하우징(110)의 형상과 전선(20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판(121)과 제1전선접촉판(123) 사이의 절곡각도와 지지판(121)의 길이 및 폭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동 하판(130)은 커넥터하우징(110)의 하부영역에 스테인레스 상판(120)과 밀착되게 배치된다. 동 하판(130)은 내부로 삽입된 전선단부(210)의 하부영역과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 하판(130)은 전선단부(210)과 접촉되는 제2전선접촉판(133)과, 제2전선접촉판(133)의 양 단부영역에 절곡되어 삽입홀(111c) 내에 삽입되는 삽입판(131)을 포함한다. 동 하판(130)은 삽입판(131)이 삽입홀(111c) 내에 삽입되어 제2전선접촉판(133)이 하우징본체(111)의 하부측벽의 형상에 대응해 고정지지된다.
제2전선접촉판(133)의 판면에는 전선단부(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33a)이 복수개 형성된다. 고정홈(133a)의 상부영역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단부(210)이 위치하게 된다. 고정홈(133a)에 전선단부(210)이 배치하게 되므로 전선단부(210)은 동 하판(130)과 두 점(a)에서 접촉하게 된다. 즉, 동 하판(130)이 평평하게 가공된 경우 전선단부(210)은 제2전선접촉판(133)과 한 점에서 접촉하게 되나 고정홈(133a)을 가공한 경우 고정홈(133a)의 양벽면과 두 점(a)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의 안정성 및 전기전도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전선단부(210)이 고정홈(133a)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선단부(210)의 위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동 하판(130)은 동 재질의 판을 프레스성형하여 가공할 수 있다. 동 하판(130)은 0.8mm 내외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140)는 커넥터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여 스테인레스 상판(120)과 동 하판(1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커버(140)는 커넥터하우징(110)과 접착제에 의해 고정결합되거나 결합돌기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140)의 판면에는 커넥터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a)을 향해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141)가 구비된다. 삽입돌기(141)는 커버(140)가 커넥터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스테인레스 상판(120)과 커넥터하우징(110)의 내측벽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스테인레스 상판(120)을 밀착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삽입돌기(141)의 형상은 커넥터하우징(110)의 내측벽의 형상과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의 조립과정과 전선(200) 연결과정을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커넥터하우징(110)의 하우징본체(111) 내부로 스테인레스 상판(120)을 고정한다.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지지판(121)과 제1전선접촉판(123) 사이의 절곡부분을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벽과 지지돌기(111b)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위치가 고정되면 동 하판(130)을 하우징본체(111)의 하부영역에 고정시킨다. 동 하판(130)의 삽입판(131)을 삽입홀(111c)에 끼워넣어 제2전선접촉판(133)이 내측벽 상에 밀착지지되도록 한다.
동 하판(130)의 위치가 고정되면 커버(140)를 커넥터하우징(11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삽입돌기(141)가 스테인레스 상판(120)과 내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조립이 완료된 후, 전선 삽입공(113)으로 복수의 전선(200)을 삽입하면, 피복이 벗겨진 전선단부(210)이 수용공간(111a) 내부로 이동한다. 이 때, 전선단부(210)의 이동압력에 의해 제1전선접촉판(123)의 하부영역이 탄성적으로 가압되며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전선접촉판(123)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단부(210)의 상부영역과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단부(210)의 이동에 의해 제2전선접촉판(133)의 고정홈(133a) 상에 위치되며 제2전선접촉판(133)과 접촉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선(200)이 커넥터하우징(110) 내부에 동시에 수용되며,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탄성압력에 의해 동 하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는 복수개의 전선이 내부에 동시에 수용되면서 스테인레스 상판의 탄성가압에 의해 동 하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작업자가 전선을 피복하여 개별적으로 결합시켜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보다 작업자의 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전선 연결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는 하우징본체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스테인레스 상판과 동 하판을 각각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하므로 각각의 제조과정이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a)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는 스테인레스 상판(120)의 지지판(121)에 한 개의 제1전선접촉판(123)이 절곡 형성되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꽂음형 커넥터(100a)는 스테인레스 상판(150)에 두 개의 제1전선접촉판(151,155)가 서로 평행하게 지지판(153)에 절곡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1전선접촉판(151,155)가 동시에 전선단부(210)의 상부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전선접촉판이 한 개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상판(150)의 형상은 이 외에도 전선(200)의 직경과 형상, 커넥터하우징(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꽂음형 커넥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꽂음형 커넥터 110 : 커넥터하우징
111 : 하우징본체 111a : 수용공간
111b : 지지돌기 111c : 삽입홀
113 : 전선 삽입공 120 : 스테인레스 상판
121 : 지지판 123 : 제1전선접촉판
123a : 절개선 130 : 동 하판
131 : 삽입판 133 : 제2전선접촉판
133a : 고정홈 140 : 커버
141 : 삽입돌기 200 : 전선
210 : 전선단부

Claims (5)

  1. 일면이 개방형성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과 상기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전선에 접촉 가압고정되는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에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과 밀착되게 고정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동 하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며,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삽입돌기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음형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는 상기 동 하판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음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상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전선과 접촉되는 제1전선접촉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음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접촉판은 상기 지지판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꽂음형 커넥터.
KR1020100061911A 2010-06-29 2010-06-29 꽂음형 커넥터 KR10100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11A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0-06-29 꽂음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11A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0-06-29 꽂음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103B1 true KR101007103B1 (ko) 2011-01-10

Family

ID=4361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911A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0-06-29 꽂음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52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847537B1 (ko) 2017-12-20 2018-04-13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선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080A (ja) * 1997-09-19 1999-04-09 Otax Co Ltd 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080A (ja) * 1997-09-19 1999-04-09 Otax Co Ltd 端子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52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664304B1 (ko) 2014-12-16 2016-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847537B1 (ko) 2017-12-20 2018-04-13 주식회사 위즈토리 전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2056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JP4719806B2 (ja) 回路基板用接続端子
JP4097681B1 (ja) コネクタ
EP3018760B1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EP1722448A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JP5604575B1 (ja) 線状導体接続用端子
KR101250732B1 (ko) 안테나 설치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동축 커넥터
US8133064B2 (en) Electrical power outlet
JP7118654B2 (ja) シールド載置体を備えた接続コネクタ装置と、壁貫通案内部とから成るアセンブリ
WO2012086528A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ctronic component
US20150194745A1 (en) Connection or connecting terminal comprising a pushbutton for actuating a spring element
KR101007103B1 (ko) 꽂음형 커넥터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KR20100093304A (ko)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101847537B1 (ko) 전선 커넥터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JP2017091970A (ja) 同軸コネクタ
CN106352308B (zh) Led电连接器以及led灯
TWI703780B (zh) 同軸電纜連接器、具有載體之同軸電纜連接器、及同軸電纜連接器的製造方法
CN201060959Y (zh) 线缆连接器
KR20160001516A (ko) 기판용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기판과 커넥터 연결장치
JP2020013647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