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852B1 -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852B1
KR101005852B1 KR1020100079802A KR20100079802A KR101005852B1 KR 101005852 B1 KR101005852 B1 KR 101005852B1 KR 1020100079802 A KR1020100079802 A KR 1020100079802A KR 20100079802 A KR20100079802 A KR 20100079802A KR 101005852 B1 KR101005852 B1 KR 10100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holder
nut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형
이재동
이승범
Original Assignee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중앙피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중앙피엔피 filed Critical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03Threaded pieces, e.g. bolts or n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렬부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휠너트들을 파지한 후 파지된 휠너트들을 래크의 너트걸이에 결합시키는 랙킹부; 랙킹부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래크들이 둘레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도록 둘레에 래크결합판들이 설치되는 래크홀더; 래크홀더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랙킹부에 대향된 래크결합판을 한단계씩 상승시켜서 래크의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들이 단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래크승강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금할 휠너트들이 투입부에 투입되면 운반부에 의해 정렬부로 이송된 후 정렬되고 정렬된 휠너트들은 랙킹부로 공급된 후 랙킹부에 의해 래크 양측의 너트걸이에 각각 끼워지며, 래크결합판이 래크승강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되면서 래크의 너트걸이 전체에 휠너트가 끼워진다. 따라서 휠너트들의 공급, 정렬, 이송 및 랙킹 작업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인력 감축에 따른 인건비 절감으로 인해 생산 단가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Automatic racking device for car wheel nut plating}
본 발명은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래크의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들을 자동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도금에는 배럴방식과 래크방식이 있다. 배럴방식은 일반적으로 '배럴'이라고 불리우며 통전과 통액을 위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에 대량으로 피도금물을 투입하여 이 배럴을 도금조에 담그고 배럴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도금하는 것으로, 비교적 부피가 작은 피도금물에 적합한 도금방식이다.
이러한 배럴방식은 피도금물의 대량가공방식으로 가공비가 싼 이점은 있으나 도금액의 전류밀도가 낮고 배럴내에서 피도금물과 피도금물이 서로 접촉하면서 도금되기 때문에 비교적 도금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럴방식은 일반제품의 도금은 가능하나 자동차용 휠너트와 같이 니켈도금 후 최종으로 크롬도금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즉, 크롬도금의 전류효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전류밀도가 낮은 배럴방식에 사용되지 못한다.
래크방식은 피도금물을 흔히 '래크'라고 불리우는 도금걸이에 걸어서 도금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래크방식은 피도금물을 래크에 건 후 래크를 도금조에 걸어놓고 도금작업을 하기 때문에 피도금물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도금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래크는 도금조에 걸 수 있도록 훅이 수직바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수직바의 양측에는 휠너트를 끼울 수 있도록 다수의 너트걸이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걸이는 수직바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너트걸이는 수직바를 도금조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래크는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를 끼운 후 래크를 도금액에 담가서 휠너트의 외주면과 내측의 결합구멍 둘레를 도금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휠너트는 부식방지와 장식을 위해 동-니켈-크롬의 다층도금을 하는데, 이러한 휠너트는 자동차의 안정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는 제품이므로 다른 제품에 비해 요구되는 도금품질이 우수하다. 따라서 도금업계에서는 비교적 도금품질이 떨어지는 배럴방식으로는 휠너트를 도금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휠너트를 도금처리하기 위한 전 공정, 즉 전처리하여 니켈도금하고 수세하여 크롬도금한 다음 후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휠너트의 도금 과정은 모든 공정이 래크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래크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자동차용 휠너트의 결합구멍은 그 깊이가 비교적 깊다. 이러한 휠너트의 결합구멍을 수평으로 배열된 너트걸이에 끼우면 휠너트의 결합구멍도 수평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래크에 다수의 휠너트를 끼운 후 래크를 도금액에 잠기도록 하여서 도금하게 되는데, 이때 도금액이 휠너트의 결합구멍 내부에 완전히 충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 이유는 결합구멍 내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모두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의 공기가 결합구멍의 내부에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금 공정이 이루어지면 휠너트의 결합구멍 내부 중 일부가 도금되지 못하는 내부 미도금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도금액에 잠긴 래크를 들어 올리면 휠너트의 결합구멍에 충전된 도금액이 결합구멍으로부터 모두 배출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래크에 끼워진 휠너트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즉, 종래의 래크에 끼워진 휠너트는 결합구멍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도금액이 그 내부로부터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남아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휠너트의 결합구멍 내부에 도금액의 일부가 남아 있는 경우, 물에 담그고 꺼내는 수세방식으로는 제대로 수세되지 못하며 수세 후에도 도금액의 일부가 휠너트의 내부에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휠너트의 결합구멍에 1차 도금액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이송되어서 다른 성분의 2차 도금액에 담글 경우, 휠너트의 결합구멍에 남아 있는 1차 도금액이 불순물로 혼합되면서 2차 도금액의 교체기간을 그만큼 단축시키게 되며, 도금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래크(등록번호 제10-924569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래크는, 도금장치에 매달 수 있도록 상단에 너트걸이가 형성된 래크몸체와, 래크몸체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어 고정되며 휠너트들이 착탈되는 너트걸이들과, 래크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서 래크몸체와 함께 도금조의 도금액에 잠기거나 인출되고 래크몸체와 함께 도금액에 잠기면 휠너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도한 후 도금조의 도금액을 휠너트 내부에 충전시키며 래크몸체와 함께 도금액으로부터 인출되면 휠너트 내부의 도금액을 도금조로 배출시키는 유체출입수단과, 래크몸체 및 유체출입수단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서로 고정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래크는, 래크를 도금조의 도금액에 잠그면 휠너트 내부의 공기가 연결파이프의 연결통로 및 유체출입몸체의 주통로로 유도된 후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 유체출입몸체의 주통로가 도금액으로 충전되지 않으므로 휠너트 내부의 공기가 확실하게 배출되며, 래크를 도금액으로부터 꺼내면 플로트밸브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유체출입몸체 및 연결파이프 내부의 도금액이 하측으로 모두 배출되므로 전 도금 공정의 도금액이 후속 도금 공정의 도금액에 불순물로 혼합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래크는, 래크에 휠너트들을 장착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된다.
즉, 하나의 래크에는 보통 34개의 너트걸이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휠너트들을 하나씩 파지한 후 34개의 너트걸이들에 일일이 끼워 넣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다량의 휠너트들을 래크들에 끼워 넣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데, 이에 따라 인건비가 지출이 증가되므로 생산 단가가 상승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근무하고 있는 동안 랙킹작업을 위해 무수히 많은 손동작이 반복되어야 하는데, 무수히 많은 반복 작업에 의해 손가락 마디 및 손목, 어깨 등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래크의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들을 자동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크의 양측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를 동시에 끼울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크결합판의 상승시 래크승강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크결합판의 하강시 래크결합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는, 기부; 기부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휠너트들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부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어서 투입부에 공급된 휠너트들이 공급되며 공급된 휠너트들을 정렬하여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시키는 정렬부; 투입부 및 정렬부 사이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부 내의 휠너트들을 정렬부로 이송시키는 운반부; 정렬부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휠너트들을 파지한 후 파지된 휠너트들을 래크의 너트걸이에 결합시키는 랙킹부; 랙킹부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래크들이 둘레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도록 둘레에 래크결합판들이 설치되는 래크홀더; 래크홀더 일측의 기부 상부에 설치되고 랙킹부에 대향된 래크결합판을 한단계씩 상승시켜서 래크의 너트걸이들에 휠너트들이 단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래크승강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를 랙킹부 측으로 당겨서 랙킹부가 래크에 휠너트들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래크에 휠너트들이 모두 장착되면 래크홀더를 랙킹부의 반대측으로 밀어서 래크홀더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홀더수평이동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래크에 휠너트들이 모두 결합되어서 래크홀더가 랙킹부 반대측으로 이동되면 래크홀더를 회전시켜서 다음 래크가 랙킹부에 대향되도록 하는 홀더회전부; 정렬부, 운반부, 랙킹부, 래크승강부, 홀더수평이동부, 홀더회전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다른 특징은, 투입부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휠너트들이 투입되는 투입통과, 투입통의 전방에 힌지축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투입통 내부의 휠너트들을 투입통의 전방 외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동버켓과, 양단이 회동버켓 및 투입통에 결합되어서 회동버켓의 개구부가 투입통의 전면 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회동버켓의 단부 양측에 설치되고 운반부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회동버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 회동버켓 내부의 휠너트들이 투입통의 전방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동버켓누름롤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정렬부가, 대향된 래크 양측의 너트걸이 측으로 휠너트들을 각각 공급하도록 2대가 설치되는 파스피더들과, 파스피더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설치되어서 파스피더들에 투입된 휠너트들을 감지하며 투입된 휠너트들의 과다 공급되어서 휠너트들이 감지되면 운반부를 정지시키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수량감지센서와, 일단이 파스피더들의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랙킹부에 연결되며 파스피더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들이 이동되도록 라인홈이 형성되어서 파스피더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들을 랙킹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라인과, 이동라인의 라인홈에 설치되며 라인홈을 따라 이동되는 휠너트들 중 바르게 정렬되지 못한 휠너트가 감지되면 파스피더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정렬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운반부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감속기에 연결되는 상부스프로킷과, 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스프로킷과, 상부스프로킷 및 하부스프로킷에 결합되는 체인과, 체인에 연결되어서 체인의 구동시 이와 함께 승강되며 투입부 방향으로 누름편이 돌출되어 있고 누름편의 하부에 스위치편이 돌출되어 있는 승강판과, 승강판에 힌지핀으로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전방 양측에 연동편이 돌출되어 있고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들을 정렬부로 공급하는 이동버켓과, 양단이 승강판 및 이동버켓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동버켓의 전방부가 상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포스트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서 이동버켓이 포스트를 따라 승강될 시 이동버켓의 스위치편에 접촉되면서 그 승강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와, 일단이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이동버켓의 상승시 이동버켓의 연동편을 눌러서 이동버켓의 전방부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이동버켓누름롤러와, 고정대의 타단에 설치되고 이동버켓으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들이 투입되며 투입된 휠너트들을 양분하여서 2대의 파스피더들로 각각 공급하는 분배덕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랙킹부가, 정렬부 전방의 기부 상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홀더설치브라켓들과, 홀더설치브라켓들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홀더회전축들 및 홀더회전축들의 단부에 구비되며 둘레에 방사상으로 너트결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들로 이루어져서, 정렬부에서 공급되는 휠너트가 너트결합구멍에 장착되는 한쌍의 회전홀더들과, 회전홀더들의 홀더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회전홀더들을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모터들과, 홀더몸체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정렬부에 연결되며 정렬부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가 진입되도록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홈을 따라 이동된 휠너트가 안착되도록 안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지지블록과, 고정대에 설치되고 너트지지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너트지지블록의 안착구멍에 안착된 휠너트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회전홀더의 너트결합구멍에 밀어 끼우는 홀더장착실린더들과, 홀더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휠너트가 장착된 너트결합구멍이 래크의 너트걸이에 대향되면 휠너트를 밀어서 너트걸이에 결합시키는 랙킹실린더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랙킹부에, 회전홀더의 너트결합구멍과 너트지지블록의 휠너트가 수직선상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홀더회전축들의 둘레에는 위치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설치브라켓의 상부에는 수직하부에 위치홈이 위치되지 않을 시 랙킹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홀더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회전홀더의 둘레에, 휠너트가 결합되도록 너트결합구멍이 형성된 너트결합링이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결합링은 너트결합구멍에 진입된 휠너트가 부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래크홀더가, 홀더회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상판 및 하판이 구비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둘레에 사방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들과, 사방에 설치된 가이드봉들에 승강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래크몸체 및 너트걸이가 삽입되도록 래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다수의 승강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다수의 위치고정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래크결합판과, 래크결합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결합판에 장착된 래크를 지지하는 잠금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래크승강부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승강되고 로드가 래크결합판의 승강홈에 착탈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승강실린더의 상승 작동시 승강홈에 결합된 로드에 의해 래크결합판을 상승시키는 결합실린더와,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래크결합판의 위치고정홈에 착탈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래크결합판이 승강홈들 사이의 간격만큼 상승되면 래크결합판의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상승된 래크결합판을 지지하는 위치고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래크결합판 일측의 래크홀더에, 래크결합판의 승강시 래크승강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켜서 래크승강부를 보호하도록 승강보조부가 설치되되, 승강보조부는, 래크결합판의 일측의 래크홀더에 설치되는 원통형 추가이드와, 추가이드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며 래크결합판의 무게보다 가벼운 무게추와, 지지대의 상판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와, 일단이 무게추에 연결되고 가이드롤러를 경유하며 타단이 래크결합판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에는 래크결합판의 하부를 지지하여서 하강되는 래크결합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가 설치되되, 충격흡수부는,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설치되고 로드가 래크결합판 측으로 승강되는 하강안내실린더와, 하강안내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결합되고 하강되는 래크결합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충격흡수롤러와,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로드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면서 로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과, 일측이 로드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봉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로드의 승강시 가이드봉이 연동되도록 하는 결합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에는 래크결합판의 하부를 밀어 올려서 래크결합판의 초기 위치를 세팅시키기 위한 초기세팅부가 설치되되, 초기세팅부는,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설치되고 로드가 래크결합판 측으로 승강되는 세팅실린더와, 세팅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결합되고 래크결합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홀더수평이동부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래크홀더가 설치되며 래크홀더를 랙킹부 측으로 전후진시키는 수평이동판과,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수평이동판에 연결되어서 수평이동판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수평이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홀더회전부가,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와 래크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홀더수평이동부의 구동시 래크홀더와 함께 수평이동되고 래크홀더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터와, 수평회전모터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감속기 및 래크홀더에 연결되어서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래크홀더에 전달하는 웜기어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도금할 휠너트들이 투입부에 투입되면 운반부에 의해 정렬부로 이송된 후 정렬되고 정렬된 휠너트들은 랙킹부로 공급된 후 랙킹부에 의해 래크 양측의 너트걸이에 각각 끼워지며, 래크결합판이 래크승강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되면서 래크의 너트걸이 전체에 휠너트가 끼워진다. 따라서 휠너트들의 공급, 정렬, 이송 및 랙킹 작업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인력 감축에 따른 인건비 절감으로 인해 생산 단가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들이 운반부에 의해 이송된 후 두 대의 정렬부로 양분되어 정렬되고 정렬된 휠너트들은 두 대의 랙킹부로 공급되어서 래크의 양측 너트걸이들에 동시에 끼워진다. 따라서 한 대의 자동랙킹장치로 한 번의 랙킹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휠너트들이 양측의 너트걸이에 동시에 끼워지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래크결합판 일측의 래크홀더에는, 래크결합판의 승강시 래크승강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켜서 래크승강부를 보호하도록 승강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무게추의 중량만큼 래크결합판이 상측으로 당겨지므로 래크승강부가 래크결합판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래크결합판을 지지시킬 시 매우 적은 힘으로도 상승 및 지지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래크승강부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고가의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홀더수평이동부의 상부에는 하강되는 래크결합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결합판의 하강시 하강안내실린더의 로드가 상승되어서 충격흡수롤러를 래크결합판의 하부에 지지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드가 하강되면서 래크결합판의 하강을 안내한다. 그러므로 래크결합판이 유압으로 제어되는 충격흡수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하강되므로 래크결합판에 흔들림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휠너트의 내주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투입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정렬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운반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개략적 정면도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10 및 도 11은 랙킹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부분 단면도들
도 12 및 도 13은 래크홀더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는 래크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분리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9는 래크승강부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 및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들
도 20 및 도 21은 승강보조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
도 22 및 도 23은 충격흡수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
도 24 및 도 25는 초기세팅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
도 26은 홀더수평이동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홀더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 및 동력전달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투입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정렬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운반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개략적 정면도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랙킹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부분 단면도들이고, 도 12 및 도 13은 래크홀더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4는 래크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래크승강부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 및 개략적 부분 측단면도들이고, 도 20 및 도 21은 승강보조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들이며, 도 22 및 도 23은 충격흡수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이다. 도 24 및 도 25는 초기세팅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들이고, 도 26은 홀더수평이동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7 및 도 28은 홀더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 및 동력전달관계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는, 기부(10), 투입부(20), 정렬부(30), 운반부(40), 랙킹부(60), 래크홀더(80), 래크승강부(100), 승강보조부(110), 충격흡수부(120), 초기세팅부(130), 홀더수평이동부(140), 홀더회전부(150), 컨트롤러(160)로 이루어진다.
기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11)와, 베드(11)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받침대(12)와, 베드(11)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받침대(13)와, 제1받침대(1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다.
투입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휠너트(1)들이 투입된다. 이러한 투입부(20)는, 투입통(21), 회동버켓(22), 스프링(24), 회동버켓누름롤러(25)로 이루어진다.
투입통(21)은, 기부(10)의 제1받침대(12) 상부에 설치되고 휠너트(1)들이 투입된다. 회동버켓(22)은, 투입통(21)의 전방에 힌지축(23)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투입통(21) 내부의 휠너트(1)들을 투입통(21)의 전방 외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스프링(24)은, 양단이 회동버켓(22) 및 투입통(21)에 결합되어서 회동버켓(22)의 개구부가 투입통(21)의 전면 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회동버켓누름롤러(25)는, 회동버켓(22)의 단부 양측에 설치되고 운반부(40)의 누름편(48)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회동버켓(22)이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 회동버켓(22) 내부의 휠너트(1)들이 투입통(21)의 전방 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정렬부(30)는,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2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어서 투입부(20)에 공급된 휠너트(1)들이 공급되며 공급된 휠너트(1)들을 정렬하여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시킨다. 이러한 정렬부(30)는, 파스피더(31)들, 수량감지센서(33), 이동라인(34)들, 정렬감지센서(36)들로 이루어진다.
파스피더(31)들은, 대향된 래크(2) 양측의 너트걸이(4) 측으로 휠너트(1)들을 각각 공급하도록 프레임(14)의 상부에 2대가 설치된다. 수량감지센서(33)들은, 파스피더(31)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설치되어서 파스피더(31)들에 투입된 휠너트(1)들을 감지하며 투입된 휠너트(1)들의 과다 공급되어서 휠너트(1)들이 감지되면 운반부(40)를 정지시키도록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동라인(34)들은, 일단이 파스피더(31)들의 출구(32)에 연결되고 타단이 랙킹부(60)의 너트지지블록(71)에 연결되며 파스피더(31)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이 이동되도록 라인홈(35)이 형성되어서 파스피더(31)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을 랙킹부(60)로 이동시킨다. 정렬감지센서(36)는, 이동라인(34)의 라인홈(35)에 설치되며 라인홈(35)을 따라 이동되는 휠너트(1)들 중 바르게 정렬되지 못한 휠너트(1)가 감지되면 파스피더(3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한다.
운반부(40)는,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20) 및 정렬부(30) 사이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부(20) 내의 휠너트(1)들을 정렬부(3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운반부(40)에는, 기부(10)의 제1받침대(12) 상부에 설치되는 포스트(41)와, 포스트(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모터(42)와, 승강모터(42)에 연결되는 감속기(43)와, 감속기(43)에 연결되는 상부스프로킷(44)과, 포스트(4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스프로킷(45)과, 상부스프로킷(44) 및 하부스프로킷(45)에 결합되는 체인(46)이 구비된다.
체인(46)에는, 승강판(47)이 연결되어 있어서 체인(46)의 구동시 이와 함께 승강된다. 승강판(47)에는 투입부(20) 방향으로 누름편(48)이 돌출되어 있어서 승강판(47)의 하강시 누름편(48)이 회동버켓누름롤러(25)를 눌러서 회동버켓(22)을 회동시킨다. 누름편(48)의 하부의 승강판(47)에는 스위치편(52)이 돌출되어 있으며, 승강판(47)의 승강시 후술할 리미트스위치(54)에 접촉되면서 승강 작동이 정지된다.
승강판(47)에는 이동버켓(49)이 힌지핀(50)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승강판(47)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된다. 이동버켓(49)에는 전방 양측에 연동편(51)이 돌출되어 있어서 이동버켓(49)의 상승시 후술할 이동버켓누름롤러(56)가 연동편(51)을 눌러서 이동버켓(49)이 회동된다. 이러한 이동버켓(49)은 투입부(20)의 회동버켓(22)으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을 후술할 분배덕트(57)로 투입하여서 정렬부(30)의 파스피더(31)로 공급되도록 한다.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에는 스프링(53)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서 이동버켓(49)의 전방부가 상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포스트(41)의 상하부에는 리미트스위치(54)가 각각 설치되어서 이동버켓(49)이 포스트(41)를 따라 승강될 시 이동버켓(49)의 스위치편(52)에 접촉되면서 그 승강을 정지시킨다.
포스트(41)의 상부에는 고정대(55)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대(55)의 양측에는 이동버켓누름롤러(56)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버켓(49)의 상승시 이동버켓누름롤러(56)가 이동버켓(49)의 연동편(51)을 눌러서 이동버켓(49)의 전방부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고정대(55)의 타단에는 분배덕트(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배덕트(57)는 이동버켓(49)으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이 투입되며 투입된 휠너트(1)들을 양분하여서 2대의 파스피더(31)들로 각각 공급한다.
랙킹부(60)는, 도 1 내지 도 3,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부(30) 일측의 프레임(14) 상부에 설치되고 정렬부(30)로부터 이송된 휠너트(1)들을 파지한 후 파지된 휠너트(1)들을 래크(2)의 너트걸이(4)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랙킹부(60)는, 고정대(61), 홀더설치브라켓(62), 회전홀더(63), 홀더회전모터(70), 너트지지블록(71), 홀더장착실린더(74), 랙킹실린더(76)로 이루어진다.
고정대(61)는, 정렬부(30) 전방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홀더설치브라켓(62)은 고정대(61)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회전홀더(63)는, 홀더회전축(65) 및 홀더몸체(64)로 이루어진다. 홀더회전축(65)은, 홀더설치브라켓(62)들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둘레에 회전홀더(63)의 너트결합구멍(69)과 너트지지블록(71)의 휠너트(1)가 수직선상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위치홈(66)들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설치브라켓(62)의 상부에는 수직하부에 위치홈(66)이 위치되지 않을 시 랙킹부(6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홀더위치감지센서(67)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몸체(64)는, 홀더회전축(65)들의 단부에 구비되며, 회전홀더(63)의 둘레에는 휠너트(1)가 결합되도록 너트결합구멍(69)이 형성된 너트결합링(68)이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결합링(68)은 너트결합구멍(69)에 진입된 휠너트(1)가 부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홀더회전모터(70)는, 회전홀더(63)들의 홀더회전축(65)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회전홀더(63)들을 회전시킨다.
너트지지블록(71)은, 홀더몸체(64)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정렬부(30)의 이동라인(34) 단부에 연결되며 이동라인(34)의 라인홈(35)을 따라 공급되는 휠너트(1)가 진입되도록 이동홈(72)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홈(72)을 따라 이동된 휠너트(1)가 안착되도록 안착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장착실린더(74)는, 고정대(61)에 설치되고 너트지지블록(71)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너트지지블록(71)의 안착구멍(73)에 안착된 휠너트(1)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회전홀더(63)의 너트결합구멍(69)에 밀어 끼운다.
랙킹실린더(76)는, 홀더설치브라켓(62)에 결합된 랙킹실린더브라켓(75)에 설치되며, 홀더몸체(6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랙킹실린더(76)는, 휠너트(1)가 장착된 너트결합구멍(69)이 래크(2)의 너트걸이(4)에 대향되면 휠너트(1)를 밀어서 너트걸이(4)에 결합시킨다.
고정대(61)의 전방에는 한쌍의 래크지지봉(77)이 설치되어 있다. 래크지지봉(77)은 후술할 래크홀더(80)가 랙킹부(60) 측으로 이동될 경우, 래크(2)에 접촉되면서 래크(2)를 래크결합판(86)에 눌러 지지시킨다.
래크홀더(80)는, 도 1 내지 도 3, 도 도 12, 도 13,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킹부(6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래크(2)들이 둘레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도록 둘레에 래크결합판(86)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래크홀더(80)는, 지지대(81), 가이드봉(85), 래크결합판(86), 잠금부(90)로 이루어진다.
지지대(81)는, 홀더회전부(1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상판(83) 및 하판(84)이 구비된다. 지지대(81)의 하단에는 회전축(8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82)에는 홀더회전부(150)의 웜기어(153)가 연결된다.
가이드봉(85)은, 지지대(81)의 둘레에 사방으로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이 상판(83) 및 하판(84)에 고정된다.
래크결합판(86)은, 사방에 설치된 가이드봉(85)들에 승강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래크몸체(3) 및 너트걸이(4)가 삽입되도록 래크결합홈(87)이 형성되어 있다. 래크결합판(86)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승강홈(88)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는 다수의 위치고정홈(89)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90)는 래크결합판(86)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2)가 래크결합판(86)에 안착되면 래크(2)에 체결되어서 래크결합판(86)에 장착된 래크(2)를 지지한다.
래크승강부(100)는, 도 1 내지 도 3,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홀더(8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랙킹부(60)에 대향된 래크결합판(86)을 한단계씩 상승시켜서 래크(2)의 너트걸이(4)들에 휠너트(1)들이 단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래크승강부(100)는, 승강실린더(101), 결합실린더(103), 위치고정실린더(105)로 이루어진다.
승강실린더(101)는, 지지대(81)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02)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결합실린더(103)는, 승강실린더(101)의 로드(102)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승강되고 로드(102)가 래크결합판(86)의 승강홈(88)에 착탈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승강실린더(101)의 상승 작동시 승강홈(88)에 결합된 로드(102)에 의해 래크결합판(86)을 상승시킨다.
위치고정실린더(105)는, 지지대(81)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06)가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에 착탈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래크결합판(86)이 승강홈(88)들 사이의 간격만큼 상승되면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에 삽입되어서 상승된 래크결합판(86)을 지지한다.
래크결합판(86) 일측의 래크홀더(80)에는, 도 1 내지 도 3, 도 12, 도 13,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결합판(86)의 승강시 래크승강부(100)에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켜서 래크승강부(100)를 보호하도록 승강보조부(110)가 설치된다. 이 승강보조부(110)는, 추가이드(111), 무게추(112), 가이드롤러(113), 와이어(114)로 이루어진다.
추가이드(111)는, 래크결합판(86)의 일측의 래크홀더(8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무게추(112)는, 추가이드(111)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며 래크결합판(86)의 무게와 동일하거나 약간 가볍게 형성된다. 따라서 래크결합판(86)은 무게추(112)의 중량만으로 상승되지 않으며 래크결합판(86)이 상승되려면 래크승강부(100)가 작동되어야 한다.
가이드롤러(113)는, 지지대(81)의 상판(83)에 고정되어서 와이어(114)를 안내한다. 와이어(114)는 일단이 무게추(112)에 연결되고 가이드롤러(113)를 경유하며 타단이 래크결합판(86)에 연결되어서 무게추(112)의 중량만큼 래크결합판(86)을 상측으로 당긴다.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는 도 1, 도 2, 도 12, 도 13,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지지하여서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120)가 설치된다. 이 충격흡수부(120)는, 고정브라켓(121), 하강안내실린더(122), 충격흡수롤러(124), 가이드봉(125), 결합블록(126)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121)은,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수평이동판(142) 상에 설치된다. 하강안내실린더(122)는, 고정브라켓(121)에 설치되고 로드(123)가 래크결합판(86) 측으로 승강된다.
충격흡수롤러(124)는, 하강안내실린더(122)의 로드(123) 상단에 결합되고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을 하부를 지지한다.
가이드봉(125)은, 고정브라켓(121)의 일측에 수직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로드(123)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면서 로드(123)의 승강을 안내한다.
결합블록(126)은, 일측이 로드(123)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봉(125)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로드(123)의 승강시 가이드봉(125)이 연동되도록 한다.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는 도 1, 도 2, 도 12, 도 13,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밀어 올려서 래크결합판(86)의 초기 위치를 세팅시키기 위한 초기세팅부(130)가 설치된다. 이 초기세팅부(130)는, 고정브라켓(131), 세팅실린더(132), 지지부(134)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131)은,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수평이동판(142) 상에 설치된다.
세팅실린더(132)는, 고정브라켓(131)에 설치되고 로드(133)가 래크결합판(86) 측으로 승강된다.
지지부(134)는, 세팅실린더(132)의 로드(133) 상단에 결합되고 래크결합판(86)을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34)는 래크결합판(86)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수평이동부(140)는, 도 1 내지 도 3, 도 12, 도 13,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 측으로 당겨서 랙킹부(60)가 래크(2)에 휠너트(1)들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래크(2)에 휠너트(1)들이 모두 장착되면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의 반대측으로 밀어서 래크홀더(80)가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홀더수평이동부(140)는, 가이드레일(141), 수평이동판(142), 수평이동실린더(143)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41)은, 기부(10)의 제2받침대(13) 상부에 설치된다.
수평이동판(142)은 가이드레일(141)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래크홀더(80)가 설치되며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 측으로 전후진시킨다.
수평이동실린더(143)는 기부(10)의 제2받침대(13)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44)가 수평이동판(142)에 연결되어서 수평이동판(142)이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한다.
홀더회전부(150)는, 도 1, 도 2, 도 12, 도 13,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래크(2)에 휠너트(1)들이 모두 결합되어서 래크홀더(80)가 랙킹부(60) 반대측으로 이동되면 래크홀더(80)를 회전시켜서 다음 래크(2)가 랙킹부(60)에 대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홀더회전부(150)는, 수평회전모터(151), 감속기(152), 웜기어(153)로 이루어진다.
수평회전모터(151)는,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와 래크홀더(8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홀더수평이동부(140)의 구동시 래크홀더(80)와 함께 수평이동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8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감속기(152)는 수평회전모터(151)에 연결되어서 수평회전모터(151)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웜기어(153)는, 감속기(152) 및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감속기(152)의 회전동력을 래크홀더(80)에 전달한다. 이러한 웜기어(153)는 감속기(152)의 축에 연결되는 웜(154)과, 지지대(81)의 회전축(82)에 결합되어서 회전축(82)과 함께 회전되고 웜(154)에 치합되는 웜휠(155)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160)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부(30) , 운반부(40), 랙킹부(60), 래크승강부(100), 홀더수평이동부(140), 홀더회전부(15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미설명 부호 5는 래크(2)에 장착된 휠너트(1)들을 도금할 시 래크(2)를 걸어서 지지시키기 위한 훅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랙킹할 휠너트(1)들이 투입부(20)의 투입통(21)에 투입되면 운반부(40)의 승강모터(42)가 작동된다. 승강모터(42)가 작동되면 감속기(43), 체인(46)이 연동되면서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을 하강시킨다.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이 하강되면 승강판(47)의 누름편(48)이 회동버켓(22)의 회동버켓누름롤러(25)를 눌러서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승강판(47)의 스위치편(52)이 하측의 리미트스위치(54)에 접촉되면서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의 하강이 정지된다.
승강판(47)에 의해 회동버켓(22)이 회동됨에 따라 회동버켓(22) 내의 휠너트(1)들이 이동버켓(49) 내부로 공급된다. 회동버켓(22) 내의 휠너트(1)들이 이동버켓(49) 내부로 공급되면 승강모터(42) 및 감속기(43)가 역회전되어서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을 상승시킨다.
이동버켓(49)이 상승됨에 따라 이동버켓(49) 양측의 연동편(51)들이 포스트(41)의 이동버켓누름롤러(56)에 접촉되면서 눌리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버켓(49)이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이동버켓(49) 내부의 휠너트(1)들이 분배덕트(57)로 투입되며, 분배덕트(57)에 투입된 휠너트(1)들은 분배덕트(57)에 의해 양분된 후 2대의 파스피더(31)들로 공급된다.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이 상승되면 승강판(47)의 스위치편(52)이 상측의 리미트스위치(54)에 접촉되면서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의 상승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반복되면서 투입통(21) 내부의 휠너트(1)들이 분배덕트(57)를 통해 2대의 파스피더(31)로 일정량씩 공급된다.
2대의 파스피더(31)들에 공급되는 휠너트(1)들은 파스피더(31)에 의해 정렬되면서 파스피더(31)들의 출구로 배출된다. 파스피더(31)들의 내부에는 수량감지센서(33)가 설치되어 있으며, 휠너트(1)들이 파스피더(31)들에 다량 공급되어서 휠너트(1)들이 수량감지센서(33)에 접촉되어 감지되면 승강모터(42)가 정지되도록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한다.
2대의 파스피더(31)들의 출구(32)로 배출되는 휠너트(1)들은 이동라인(34)의 라인홈(35)으로 공급되며 라인홈(35)을 따라 이송되어서 랙킹부(60)의 너트지지블록(71)에 안착된다.
라인홈(35)을 따라 이송되는 휠너트(1)들 중 어느 하나의 휠너트(1)가 제대로 정렬되지 못한 상태로 이동될 시 정렬감지센서(36)가 이를 감지하며 파스피더(3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신호를 컨트롤러(160)에 전달한다.
이동라인(34)의 라인홈(35)을 따라 이동되는 휠너트(1)는 너트지지블록(71)의 이동홈(72)으로 진입된 후 안착구멍(73)에 안착된다.
휠너트(1)들이 너트지지블록(71)에 안착되면 홀더장착실린더(74)가 작동되어서 너트지지블록(71) 내의 휠너트(1)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며, 이에 따라 휠너트(1)가 회전홀더(63)의 너트결합구멍(69)에 삽입된다.
너트결합링(68)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므로 휠너트(1)가 너트결합구멍(69)에 진입되면 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회전홀더(63)가 회전되어도 휠너트(1)가 너트결합구멍(69)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홀더장착실린더(74)가 휠너트(1)를 회전홀더(63)에 장착시킨 후 복원되면 홀더회전모터(70)가 90°회전되어서 회전홀더(63)에 장착된 휠너트(1)가 래크(2)의 너트걸이(4)에 대향되도록 한다.
회전홀더(63)가 회전되면 홀더위치감지센서(67)가 회전축(82) 상의 위치홈(66)을 감지하여서 회전홀더(63)가 정확히 90°회전되었는가를 감지하며, 회전각도가 정확하지 못하여서 회전홀더(63)에 장착된 휠너트(1)가 너트걸이(4)에 정확하게 대향되지 못할 경우,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한다.
회전홀더(63)가 회전되고 회전홀더(63)에 장착된 휠너트(1)가 너트걸이(4)에 정확히 대향되면 랙킹실린더(76)가 작동되어서 너트결합구멍(69) 내의 휠너트(1)를 래크(2)의 너트걸이(4) 측으로 밀어 끼운 후 복원된다.
한편, 래크홀더(80)에는 4개의 래크(2)들이 장착된다. 4개의 래크(2)들 중 랙킹작업이 이루어질 래크(2)가 랙킹부(60)의 전방에 위치되면 초기세팅부(130)의 세팅실린더(132)가 작동되어서 래크결합판(86) 및 래크(2)를 상승시키며, 래크(2)의 너트걸이(4)들 중 최하단의 너트걸이(4)부터 휠너트(1)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술한 작동에 의해 최하단의 너트걸이(4)들에 휠너트(1)들이 끼워지면 래크승강부(100)가 작동되어서 래크결합판(86) 및 래크(2)를 너트걸이(4)들 사이의 상하폭만큼 한단계씩 상승시킨다.
먼저, 결합실린더(103)가 작동되어서 그 로드(104)가 래크결합판(86)의 승강홈(88)에 결합되도록 한다. 로드(104)와 승강홈(88)이 결합되면 승강실린더(101)가 작동되어서 결합실린더(103) 및 래크결합판(86)을 너트걸이(4)들 사이의 상하폭만큼 상승시킨다.
래크결합판(86)이 한단계 상승되면 위치고정실린더(105)가 작동되며 그 로드(106)가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에 삽입되므로 상승된 래크결합판(86)을 지지한다. 상승된 래크결합판(86)이 위치고정실린더(105)의 로드(106)에 의해 지지되면 결합실린더(103)가 작동되어서 로드(104)가 래크결합판(86)의 승강홈(88)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승강실린더(101)가 작동되어서 결합실린더(103)를 너트걸이(4)의 상하폭만큼 한단계 하강시킨다.
최하단으로부터 두번째 너트걸이(4)들에도 휠너트(1)들이 끼워지면 결합실린더(103)의 로드(104)가 래크결합판(86)의 승강홈(88)에 끼워지고, 이때 위치고정실린더(105)의 로드(106)는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으로부터 분리되며, 승강실린더(101)의 로드(102)가 상승되어서 래크결합판(86)을 한단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서 래크결합판(86) 및 래크(2)가 한단계식 상승되면서 너트걸이(4)들에 휠너트(1)들이 끼워진다.
래크(2)의 너트걸이(4) 전체에 휠너트(1)들이 끼워지면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수평이동실린더(143)가 작동되어서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의 반대측으로 수평이동시키고, 홀더회전부(150)의 수평회전모터(151)가 작동되어서 래크홀더(80)를 수평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
래크홀더(80)가 회전되어서 래킹할 두번째 래크(2)가 랙킹부(60)에 대향되면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수평이동실린더(143)가 작동되어서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의 전방 측으로 이동시킨다. 래크홀더(80)가 랙킹부(60) 측으로 이동되면 래크(2)가 래크지지봉(77)에 눌리면서 래크결합판(86) 측으로 밀착된다.
래크홀더(80)가 랙킹부(60) 전방 측으로 이동되면 초기세팅부(130)의 세팅실린더(132)가 작동되어서 래크결합판(86)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래크(2)의 초기위치를 세팅시키므로 래크(2)의 최하단 너트걸이(4)들부터 휠너트(1)들이 끼워지도록 한다. 래크(2)의 초기 세팅이 완료되면 상술한 동작들이 반복되면서 두번째 래크(2)에도 휠너트(1)들이 끼워진다.
한편, 랙킹 작업이 완료된 첫번째 래크(2)는 래크홀더(80)로부터 분리하고 래크(2)가 분리된 래크결합판(86)에 다른 래크(2)를 장착한다.
래크(2)를 래크결합판(86)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승된 상태의 래크(2) 및 래크결합판(86)을 하강시킨다. 이때 충격흡수부(120)의 하강안내실린더(122)의 충격흡수롤러(124)가 상승되어서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지지하며 래크결합판(86)의 하강을 안내한다.
래크결합판(86)의 하강이 완료되면 잠금부(90)를 해제한 후 래킹된 래크(2)를 래크결합판(86)으로부터 분리하며, 래킹할 다른 래크(2)를 장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도금할 휠너트(1)들이 투입부(20)에 투입되면 운반부(40)에 의해 정렬부(30)로 이송된 후 정렬되고 정렬된 휠너트(1)들은 랙킹부(60)로 공급된 후 랙킹부(60)에 의해 래크(2) 양측의 너트걸이(4)에 각각 끼워지며, 래크결합판(86)이 래크승강부(100)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되면서 래크(2)의 너트걸이(4) 전체에 휠너트(1)가 끼워진다.
따라서 휠너트(1)들의 공급, 정렬, 이송 및 랙킹 작업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인력 감축에 따른 인건비 절감으로 인해 생산 단가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자동랙킹장치는 투입부(20)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이 운반부(40)에 의해 이송된 후 두 대의 정렬부(30)로 양분되어 정렬되고 정렬된 휠너트(1)들은 두 대의 랙킹부(60)로 공급되어서 래크(2)의 양측 너트걸이(4)들에 동시에 끼워진다.
따라서 한 대의 자동랙킹장치로 한 번의 랙킹작업이 이루어질 때에 휠너트(1)들이 양측의 너트걸이(4)에 동시에 끼워지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셋째, 래크결합판(86) 일측의 래크홀더(80)에는 래크결합판(86)의 승강시 래크승강부(100)에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켜서 래크승강부(100)를 보호하도록 승강보조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무게추(112)의 중량만큼 래크결합판(86)이 상측으로 당겨지므로 래크승강부(100)가 래크결합판(86)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래크결합판(86)을 지지시킬 시 매우 적은 힘으로도 상승 및 지지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래크승강부(100)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고가의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넷째,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는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결합판(86)의 하강시 하강안내실린더(122)의 로드(123)가 상승되어서 충격흡수롤러(124)를 래크결합판(86)의 하부에 지지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드(123)가 하강되면서 래크결합판(86)의 하강을 안내한다.
그러므로 래크결합판(86)이 유압으로 제어되는 충격흡수부(1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하강되므로 래크결합판(86)에 흔들림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휠너트(1)의 내주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1 : 휠너트 2 : 래크
3 : 래크몸체 4 : 너트걸이
5 : 훅 10 : 기부
11 : 베드 12 : 제1받침대
13 : 제2받침대 14 : 프레임
20 : 투입부 21 : 투입통
22 : 회동버켓 23 : 힌지축
24,53 : 스프링 25 : 회동버켓누름롤러
30 : 정렬부 31 : 파스피더
32 : 출구 33 : 수량감지센서
34 : 이동라인 35 : 라인홈
36 : 정렬감지센서 40 : 운반부
41 : 포스트 42 : 승강모터
43,152 : 감속기 44 : 상부스프로킷
45 : 하부스프로킷 46 : 체인
47 : 승강판 48 : 누름편
49 : 이동버켓 50 : 힌지핀
51 : 연동편 52 : 스위치편
54 : 리미트스위치 55 : 고정대
56 : 이동버켓누름롤러 57 : 분배덕트
60 : 랙킹부 61 : 고정대
62 : 홀더설치브라켓 63 : 회전홀더
64 : 홀더몸체 65 : 홀더회전축
66 : 위치홈 67 : 홀더위치감지센서
68 : 너트결합링 69 : 너트결합구멍
70 : 홀더회전모터 71 : 너트지지블록
72 : 이동홈 73 : 안착구멍
74 : 홀더장착실린더 75 : 랙킹실린더브라켓
76 : 랙킹실린더 77 : 래크지지봉
80 : 래크홀더 81 : 지지대
82 : 회전축 83 : 상판
84 : 하판 85,125 : 가이드봉
86 : 래크결합판 87 : 래크결합홈
88 : 승강홈 89 : 위치고정홈
90 : 잠금부 100 : 래크승강부
101 : 승강실린더 102,104,106,123,133,144 : 로드
103 : 결합실린더 105 : 위치고정실린더
110 : 승강보조부 111 : 추가이드
112 : 무게추 113 : 가이드롤러
114 ; 와이어 120 : 충격흡수부
121,131 : 고정브라켓 122 : 하강안내실린더
124 : 충격흡수롤러 126 : 결합블록
130 : 초기세팅부 132 : 세팅실린더
134 : 지지부 140 : 홀더수평이동부
141 : 가이드레일 142 : 수평이동판
143 : 수평이동실린더 150 : 홀더회전부
151 : 수평회전모터 153 : 웜기어
154 : 웜 155 : 웜휠
160 : 컨트롤러

Claims (14)

  1. 기부(10);
    기부(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휠너트(1)들이 투입되는 투입부(20);
    투입부(2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어서 투입부(20)에 공급된 휠너트(1)들이 공급되며 공급된 휠너트(1)들을 정렬하여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시키는 정렬부(30);
    투입부(20) 및 정렬부(30) 사이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투입부(20) 내의 휠너트(1)들을 정렬부(30)로 이송시키는 운반부(40);
    정렬부(3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정렬부(30)로부터 이송된 휠너트(1)들을 파지한 후 파지된 휠너트(1)들을 래크(2)의 너트걸이(4)에 결합시키는 랙킹부(60);
    랙킹부(6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래크(2)들이 둘레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도록 둘레에 래크결합판(86)들이 설치되는 래크홀더(80);
    래크홀더(80) 일측의 기부(10) 상부에 설치되고 랙킹부(60)에 대향된 래크결합판(86)을 한단계씩 상승시켜서 래크(2)의 너트걸이(4)들에 휠너트(1)들이 단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래크승강부(100);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 측으로 당겨서 랙킹부(60)가 래크(2)에 휠너트(1)들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래크(2)에 휠너트(1)들이 모두 장착되면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의 반대측으로 밀어서 래크홀더(8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홀더수평이동부(140);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래크(2)에 휠너트(1)들이 모두 결합되어서 래크홀더(80)가 랙킹부(60) 반대측으로 이동되면 래크홀더(80)를 회전시켜서 다음 래크(2)가 랙킹부(60)에 대향되도록 하는 홀더회전부(150);
    정렬부(30), 운반부(40), 랙킹부(60), 래크승강부(100), 홀더수평이동부(140), 홀더회전부(15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투입부(20)는,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휠너트(1)들이 투입되는 투입통(21)과,
    투입통(21)의 전방에 힌지축(23)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서 투입통(21) 내부의 휠너트(1)들을 투입통(21)의 전방 외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동버켓(22)과,
    양단이 회동버켓(22) 및 투입통(21)에 결합되어서 회동버켓(22)의 개구부가 투입통(21)의 전면 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24)과,
    회동버켓(22)의 단부 양측에 설치되고 운반부(40)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회동버켓(22)이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 회동버켓(22) 내부의 휠너트(1)들이 투입통(21)의 전방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동버켓누름롤러(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정렬부(30)는,
    대향된 래크(2) 양측의 너트걸이(4) 측으로 휠너트(1)들을 각각 공급하도록 2대가 설치되는 파스피더(31)들과,
    파스피더(31)들의 내부공간에 각각 설치되어서 파스피더(31)들에 투입된 휠너트(1)들을 감지하며 투입된 휠너트(1)들이 과다 공급되어서 휠너트(1)들이 감지되면 운반부(40)를 정지시키도록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하는 수량감지센서(33)와,
    일단이 파스피더(31)들의 출구(32)에 연결되고 타단이 랙킹부(60)에 연결되며 파스피더(31)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이 이동되도록 라인홈(35)이 형성되어서 파스피더(31)들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을 랙킹부(60)로 이동시키는 이동라인(34)과,
    이동라인(34)의 라인홈(35)에 설치되며 라인홈(35)을 따라 이동되는 휠너트(1)들 중 바르게 정렬되지 못한 휠너트(1)가 감지되면 파스피더(3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컨트롤러(16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정렬감지센서(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운반부(40)는,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포스트(41)와,
    포스트(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모터(42)와,
    승강모터(42)에 연결되는 감속기(43)와,
    감속기(43)에 연결되는 상부스프로킷(44)과,
    포스트(4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스프로킷(45)과,
    상부스프로킷(44) 및 하부스프로킷(45)에 결합되는 체인(46)과,
    체인(46)에 연결되어서 체인(46)의 구동시 이와 함께 승강되며 투입부(20) 방향으로 누름편(48)이 돌출되어 있고 누름편(48)의 하부에 스위치편(52)이 돌출되어 있는 승강판(47)과,
    승강판(47)에 힌지핀(50)으로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전방 양측에 연동편(51)이 돌출되어 있고 투입부(20)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을 정렬부(30)로 공급하는 이동버켓(49)과,
    양단이 승강판(47) 및 이동버켓(49)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동버켓(49)의 전방부가 상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53)과,
    포스트(4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서 이동버켓(49)이 포스트(41)를 따라 승강될 시 이동버켓(49)의 스위치편(52)에 접촉되면서 그 승강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54)와,
    일단이 포스트(41)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대(55)와,
    고정대(55)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이동버켓(49)의 상승시 이동버켓(49)의 연동편(51)을 눌러서 이동버켓(49)의 전방부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이동버켓누름롤러(56)와,
    고정대(55)의 타단에 설치되고 이동버켓(49)으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들이 투입되며 투입된 휠너트(1)들을 양분하여서 2대의 파스피더(31)들로 각각 공급하는 분배덕트(5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랙킹부(60)는,
    정렬부(30) 전방의 기부(10) 상에 설치되는 고정대(61)와,
    고정대(61)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홀더설치브라켓(62)들과,
    홀더설치브라켓(62)들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홀더회전축(65)들 및 홀더회전축(65)들의 단부에 구비되며 둘레에 방사상으로 너트결합구멍(69)들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64)들로 이루어져서, 정렬부(30)에서 공급되는 휠너트(1)가 너트결합구멍(69)에 장착되는 한쌍의 회전홀더(63)들과,
    회전홀더(63)들의 홀더회전축(65)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회전홀더(63)들을 회전시키는 홀더회전모터(70)들과,
    홀더몸체(64)들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정렬부(30)에 연결되며 정렬부(30)로부터 공급되는 휠너트(1)가 진입되도록 이동홈(72)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홈(72)을 따라 이동된 휠너트(1)가 안착되도록 안착구멍(73)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지지블록(71)과,
    고정대(61)에 설치되고 너트지지블록(71)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너트지지블록(71)의 안착구멍(73)에 안착된 휠너트(1)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회전홀더(63)의 너트결합구멍(69)에 밀어 끼우는 홀더장착실린더(74)들과,
    홀더몸체(64)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휠너트(1)가 장착된 너트결합구멍(69)이 래크(2)의 너트걸이(4)에 대향되면 휠너트(1)를 밀어서 너트걸이(4)에 결합시키는 랙킹실린더(76)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랙킹부(60)에는,
    회전홀더(63)의 너트결합구멍(69)과 너트지지블록(71)의 휠너트(1)가 수직선상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홀더회전축(65)들의 둘레에는 위치홈(6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설치브라켓(62)의 상부에는 수직하부에 위치홈(66)이 위치되지 않을 시 랙킹부(6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홀더위치감지센서(6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회전홀더(63)의 둘레에는,
    휠너트(1)가 결합되도록 너트결합구멍(69)이 형성된 너트결합링(68)이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결합링(68)은 너트결합구멍(69)에 진입된 휠너트(1)가 부착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래크홀더(80)는,
    홀더회전부(1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상판(83) 및 하판(84)이 구비되는 지지대(81)와,
    지지대(81)의 둘레에 사방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85)들과,
    사방에 설치된 가이드봉(85)들에 승강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래크몸체(3) 및 너트걸이(4)가 삽입되도록 래크결합홈(8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다수의 승강홈(88)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다수의 위치고정홈(89)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래크결합판(86)과,
    래크결합판(86)의 상부에 설치되고 래크결합판(86)에 장착된 래크(2)를 지지하는 잠금부(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래크승강부(100)는,
    지지대(81)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02)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01)와,
    승강실린더(101)의 로드(102)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승강되고 로드(104)가 래크결합판(86)의 승강홈(88)에 착탈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승강실린더(101)의 상승 작동시 승강홈(88)에 결합된 로드(104)에 의해 래크결합판(86)을 상승시키는 결합실린더(103)와,
    지지대(81)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06)가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에 착탈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래크결합판(86)이 승강홈(88)들 사이의 간격만큼 상승되면 래크결합판(86)의 위치고정홈(89)에 삽입되어서 상승된 래크결합판(86)을 지지하는 위치고정실린더(1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래크결합판(86) 일측의 래크홀더(80)에는,
    래크결합판(86)의 승강시 래크승강부(100)에 전달되는 하중을 경감시켜서 래크승강부(100)를 보호하도록 승강보조부(110)가 설치되되,
    승강보조부(110)는,
    래크결합판(86)의 일측의 래크홀더(80)에 설치되는 원통형 추가이드(111)와,
    추가이드(111)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며 래크결합판(86)의 무게보다 가벼운 무게추(112)와,
    지지대(81)의 상판(83)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113)와,
    일단이 무게추(112)에 연결되고 가이드롤러(113)를 경유하며 타단이 래크결합판(86)에 연결되는 와이어(1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는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지지하여서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120)가 설치되되,
    충격흡수부(120)는,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1)과,
    고정브라켓(121)에 설치되고 로드(123)가 래크결합판(86) 측으로 승강되는 하강안내실린더(122)와,
    하강안내실린더(122)의 로드(123) 상단에 결합되고 하강되는 래크결합판(86)을 하부를 지지하는 충격흡수롤러(124)와,
    고정브라켓(121)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로드(123)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면서 로드(123)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125)과,
    일측이 로드(123)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봉(125)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로드(123)의 승강시 가이드봉(125)이 연동되도록 하는 결합블록(1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는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밀어 올려서 래크결합판(86)의 초기 위치를 세팅시키기 위한 초기세팅부(130)가 설치되되,
    초기세팅부(130)는,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1)과,
    고정브라켓(131)에 설치되고 로드(133)가 래크결합판(86) 측으로 승강되는 세팅실린더(132)와,
    세팅실린더(132)의 로드(133) 상단에 결합되고 래크결합판(86)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홀더수평이동부(140)는,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1)과,
    가이드레일(141)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래크홀더(80)가 설치되며 래크홀더(80)를 랙킹부(60) 측으로 전후진시키는 수평이동판(142)과,
    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로드(144)가 수평이동판(142)에 연결되어서 수평이동판(142)이 가이드레일(141)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수평이동실린더(1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홀더회전부(150)는,
    홀더수평이동부(140)의 상부와 래크홀더(8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홀더수평이동부(140)의 구동시 래크홀더(80)와 함께 수평이동되고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래크홀더(8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터(151)와,
    수평회전모터(151)에 연결되는 감속기(152)와,
    감속기(152) 및 래크홀더(80)에 연결되어서 감속기(152)의 회전동력을 래크홀더(80)에 전달하는 웜기어(1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KR1020100079802A 2010-08-18 2010-08-18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KR10100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02A KR101005852B1 (ko) 2010-08-18 2010-08-18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02A KR101005852B1 (ko) 2010-08-18 2010-08-18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852B1 true KR101005852B1 (ko) 2011-01-05

Family

ID=4361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02A KR101005852B1 (ko) 2010-08-18 2010-08-18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8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137B1 (ko) * 2016-10-17 2017-12-28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전산볼트 자동 공급장치
KR20180126182A (ko) 2017-05-17 2018-11-27 이봉선 휠너트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너트 자동랙킹장치
KR20190004929A (ko) * 2017-07-05 2019-01-15 디케이알텍(주) 아노다이징 처리용 행거의 알루미늄 파이프 자동 장착장치
CN110002192A (zh) * 2019-05-23 2019-07-12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应用于数控车床上的卡盘扳手上料设备
KR20210026809A (ko) 2019-09-02 2021-03-10 이봉선 휠너트 정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700A (ja) * 1989-08-18 1990-06-08 Chuo Seisakusho Ltd めっき用ハンガー検査装置
JPH05343831A (ja) * 1992-06-08 1993-12-24 Asahi Giken Kk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JPH0841690A (ja) * 1994-06-08 1996-02-13 Mtu Motoren & Turbinen Union Muenchen Gmbh メッキ用マガジン
JP2001200395A (ja) 2000-01-21 2001-07-24 Ito Tekkosho:Kk ワーク取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700A (ja) * 1989-08-18 1990-06-08 Chuo Seisakusho Ltd めっき用ハンガー検査装置
JPH05343831A (ja) * 1992-06-08 1993-12-24 Asahi Giken Kk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JPH0841690A (ja) * 1994-06-08 1996-02-13 Mtu Motoren & Turbinen Union Muenchen Gmbh メッキ用マガジン
JP2001200395A (ja) 2000-01-21 2001-07-24 Ito Tekkosho:Kk ワーク取付け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137B1 (ko) * 2016-10-17 2017-12-28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전산볼트 자동 공급장치
KR20180126182A (ko) 2017-05-17 2018-11-27 이봉선 휠너트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너트 자동랙킹장치
KR20190004929A (ko) * 2017-07-05 2019-01-15 디케이알텍(주) 아노다이징 처리용 행거의 알루미늄 파이프 자동 장착장치
KR102033002B1 (ko) * 2017-07-05 2019-10-16 디케이알텍(주) 아노다이징 처리용 행거의 알루미늄 파이프 자동 장착장치
CN110002192A (zh) * 2019-05-23 2019-07-12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应用于数控车床上的卡盘扳手上料设备
KR20210026809A (ko) 2019-09-02 2021-03-10 이봉선 휠너트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852B1 (ko)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CN106325205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轮毂安装孔柔性自动加工***
CN109987390B (zh) 一种铝型材卧式喷涂预处理及上架装置
CN109605663A (zh) 一种全自动管体注头设备和工作方法
CN111531787A (zh) 全自动挂钩装配***
CN109605662A (zh) 一种叠推式管体全自动上料装置和上料方法
CN110282424A (zh) 一种双线共用上料的流水线
CN111037172B (zh) 全自动直管焊接生产线
CN115971425B (zh) 一种用于铸造加工的消失模沾浆装置
CN208466542U (zh) 一种用于生产的货品分拣装置
CN215887267U (zh) 一种摩托车安装板涂装烘干***
CN116002310A (zh) 模块化分组装配生产线
CN215558964U (zh) 一种桶装水水桶内消毒清洗装置
CN109664462A (zh) 管状物注肩自动化设备
CN108435590A (zh) 一种用于生产的货品分拣装置
CN114388994A (zh) 一种便于清洁维护的软包注液机
CN114030849A (zh) 一种钢管内外壁涂覆生产线的上件装置
CN209318431U (zh) 穿孔机顶头更换装置
CN209954955U (zh) 一种外框架可独立移动的随动高效合模机
CN206813876U (zh) 一种可自挂支架的电镀导轨
KR101962036B1 (ko) 선형 도금체의 이송 및 거치장치
JPS6112515A (ja) 生タイヤのセット掛け装置
CN111039093A (zh) 一种用于板件连接的压板装置
CN221050952U (zh) 玻璃清洗机的传送装置
CN201128621Y (zh) 悬挂输送机自动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