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980B1 - 고로조업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조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980B1
KR100993980B1 KR1020030073435A KR20030073435A KR100993980B1 KR 100993980 B1 KR100993980 B1 KR 100993980B1 KR 1020030073435 A KR1020030073435 A KR 1020030073435A KR 20030073435 A KR20030073435 A KR 20030073435A KR 100993980 B1 KR100993980 B1 KR 10099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charged
furnace
heat load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201A (ko
Inventor
최지영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7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9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브 냉각 시스템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채택한 고로에 철광석 및 코크스등을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고로조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체 열부하량에 근거하여 장입물의 장입패턴을 제어하여 전체적인 통기성을 적절히 확보함으로써 균형있는 원주방향별 가스류를 확보하여 조업의 안정성과 고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고로조업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로조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열량손실을 이용하여 노체 열부하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22-25%의 코크스가 1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8%의 코크스가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30,000Mcal/hr이상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5∼20%의 코크스가 1 번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20∼35%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고로, 스테이브, 노체 열부하량, 코크스, 중심코크스, 냉각수온도

Description

고로조업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Pig Iron in Blast Furnace}
도 1은 통상적인 고로조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방법에 의한 장입물 장입시 장입물의 노내분포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정상조업시의 것을 나터내고, (b)는 노체하부 불활성시의 것을 나타냄
도 3은 고로 반경방향의 영역별 면적비율을 나타내는 계략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로 조업에서의 노체 온도 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장입물을 장입할 때 장입물의 노내분포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 . 노체 2 . . . 스캡폴드 3 . . . 스캡 4 . . . 노심
5 . . . 연화융착대
본 발명은 스테이브 냉각 시스템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채택한 고로에 철광석 및 코크스등을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고로조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체 열부하량에 근거하여 장입물의 장입패턴을 제어하여 조업의 안정 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로조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브 냉각 시스템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각반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냉각효율이 우수하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이브 냉각 시스템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체(1)의 중상부에는 스캡폴드(scaffold)(2)이, 그리고 하부에는 스캡(scab)(3)이 형성 또는 탈락되기 쉽다.
즉, 조업 경년이 진행될수록 주철 스테이브 배면 연와의 마모량이 증가되고(예를 들면, 스테이브 두께: 최초 440mm →2년 경과시점 300mm), 이러한 마모에 의하여 노체 내부표면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노체에 부착물 (scaffold, scab) 발생이 촉진되고, 이렇게 발생된 스캡폴드는 벽부를 강하하는 코크스와 광석의 혼합층을 형성시켜 원주별 가스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스캡(3)이 탈락하여 노저로 떨어질 경우 노저의 용선온도를 급격히 저하시켜 용융물 배출을 어렵게 하고, 원주방향별 용선온도의 편차를 발생시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고로 조업의 O(철광석)/C (코크스)비가 증가함에 따라 고로내 장입 코크스량이 저하되고, 광석량은 증대되어 고로내 통기성 확보가 어렵게 되고 이에 따른 풍량 저하로 노내 열원 입량 저하를 초래하여 결국 고로 노심(4)의 불활성까지 도달하는 원인을 제공하여 오고 있다.
스테이브 냉각 시스템을 고로 노체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고로조업에서 발 생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노벽 주변류 활성화 방법을 들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의 경우에는 과도한 주변류 형성으로 인해 노체 열부하가 증대되고(열량손실(Heat Load): >25000 Mcal/hr), 원주방향별 가스류 불균형이 가속화되어 중심부로의 가스류 확보가 미흡하여 전형적인 W형 연화융착대(5)의 형성을 초래하여 조업에 장애를 줌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노체 열부하량에 근거하여 장입물의 장입패턴을 제어하여 전체적인 통기성을 적절히 확보함으로써 균형있는 원주방향별 가스류를 확보하여 조업의 안정성과 고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고로조업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체 열부하량에 근거하여 장입물의 장입패턴 및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전체적인 통기성을 적절히 확보함으로써 고 O/C 비하에서도 안정조업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로조업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이브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그 본체를 냉각하는 방식을 취하는 스테이브 고로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회슈트에 의하여 코크스, 중심코크스, 및 중괴 코크스가 혼합된 철광석을 차례로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고로조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로의 내부를 그 내벽에서 중심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11개의 영역(노치)으로 구분하고, 그 영역들에 대하여 그 내벽으로부터 중심으로 가면서 1번에서 11번까지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고;
상기 철광석에 혼합되는 중괴 코크스의 혼합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5%이고;
상기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열량손실을 이용하여 노체 열부하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22-25%의 코크스가 1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3∼9번영역에 장입되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8%의 코크스가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 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5∼9번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30,000Mcal/hr이상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5∼20%의 코크스가 1 번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20∼35%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 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2-7번 영역에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이브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그 본체를 냉각하는 방식을 취하는 스테이브 고로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회슈트에 의하여 코크스, 중심코크스, 및 중괴 코크스가 혼합된 철광석을 차례로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고로조업방법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상기 고로의 내부를 그 내벽에서 중심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11개의 영역(노치)으로 구분하고, 그 영역들에 대하여 그 내벽으로부터 중심으로 가면서 1번에서 11번까지 번호를 차례로 부여한다.
상기 각각의 영역에 장입물의 공급은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선회슈트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노치번호(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슈트각도(°) 46.5 44.5 42.5 40.5 38 35.5 32.5 29.5 26 22 3

상기 철광석은 중괴코크스와 혼합되어 고로내에 장입되는데, 그 혼합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괴 코크스는 철광석과 코크스의 입도차이에서 오는 통기성 악화를 방지하게 위하여 철광석에 혼합되는 것으로서, 그 혼합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그 혼합효과가 미흡하여 통기성이 악화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코크스 단독으로 장입되는 량이 적어 노내에서 불균일한 개스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혼합 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열량손실을 이용하여 노체 열부하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노체의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22-25%의 코크스를 1 및 2번 영역에 장입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를 11번영역에 장입하고, 나머지 코크스를 3∼9번영역에 장입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을 3∼9번영역에 장입한다.
상기 1 및 2번 영역에 장입되는 코크스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주변부의 개스류의 량이 적어 노하부에서의 불활성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노체설비의 열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코크스 장입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22-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코크스의 장입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철광석이 중심부로 유입되어 중심부 통기성이 악화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도한 중심류가 발생하여 노상부의 장입설비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11번영역에 장입되는 장입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체 열부하량은 냉각수의 인입 및 배출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하기 관계식(1)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관계식 1]
노체 열부하량 = (냉각수 배출온도-냉각수인입온도)×냉각수 유량
한편, 본 발명에서는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8%의 코크스를 2번 영역에 장입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 의 중심 코크스를 11번영역에 장입하고, 나머지 코크스를 3∼9번 영역에 장입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을 5∼9번영역에 장입한다.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코크스는 2번 영역부터 장입하지만, 철광석의 경우에는 5번 영역에서부터 장입하는데, 그 이유는 주변류의 발생을 촉진시켜 노하부의 불활성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개스류가 균일한 경우에는 2번 영역에 장입되는 코크스 양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5%로 설정하고, 개스류가 불균일한 경우에는 2번 영역에 장입되는 코크스 양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2∼18%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체 열부하량이 30,000Mcal/hr이상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5∼20%의 코크스를 1 번 및 2번 영역에 장입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20∼35%의 중심 코크스를 11번영역에 장입하고, 나머지 코크스를 3∼9번 영역에 장입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을 2-7번 영역에 장입한다.
노체 열부하량이 30,000Mcal/hr이상인 경우에는 코크스는 1번 영역에서부터 장입하고 철광석은 2-7번 영역에 장입하고, 중심코크스의 장입량을 총코크스 장입량의 20∼35%로 증가시키는데, 이는 중심개스류발생을 촉진하고 주변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노체 열부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개스류가 균일한 경우에는 1번 및 2번 영역에 장입되는 코크스 양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5∼20%로 설정하고, 철광석은 3번 영역부터 장입하고, 그리고 개스류가 불균일한 경우에는 1번 및 2번 영역에 장입되는 코크스 양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20∼25%로 설정하고, 철광석은 2번 영역부터 장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조업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37∼44℃로 하고, 측정된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33∼37℃로 하고, 측정된 열부하량이 30,000Mcal /hr이상인 경우에는 27∼33℃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예)
정상조업시에는 하기 표 2 및 도 2의(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크스 장입을 1노치(선회슈트 경동각도 46.5도)(상기 표1)와 2노치 (선회슈트경동각도 44.5도) 위치에 총 코크스장입량의 30%를 장입하였다.
이 양은 O/C 5.0 경우, 챠지(charge)당 광석장입량 120톤, 코크스 장입량 24톤으로 철광석과 섞여서 장입되는 중괴코크스 3톤과 용광로 중심에 장입되는 중심장입량 3톤을 제외한 18톤이 22회전에 나누어져 장입되며, 벽부영역에 장입되는 1,2노치에 총 8회전에 해당하는 6.5톤이 장입되므로 총 코크스 24톤 중 6.5톤, 즉 코크스의 30%가 벽부로 장입되었다.
이러한 조업 방법 과정중 노체 하부가 불활성으로 판단되면, 하기 표 3 및 도 2(b)와 같은 불활성 제거를 위한 장입모드를 사용하여 정상조업과 동일한 장입량 18톤을 27회전에 걸쳐 장입하며, 벽부류에 13회전에 해당하는 코크스 8.7톤을 장입하여 활성화를 유도토록 하였다
이는 총 코크스 24톤중 36%에 해당되며 벽부류 코크스 증대를 통해 노체온도를 100℃이상으로 회복하는 조업방법을 택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 조업 방법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로 노구를 반지름방향으로 1m간격으로 6분할 하면 가장 벽부의 면적은 22.1m2 = π×4.82 - π×3.22 으로 총면적 72.3= π×4.82 의 31%(13)에 해당되므로, 벽부 영역으로 장입되는 코크스량이 전체 코크스량의 30~39%가 되어 과도한 주변류를 형성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전영역에 걸쳐 노체온도가 100℃이상을 넘어 노체에 과도한 열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 영역에서의 불균일한 가스류 생성으로 취발 발생등의 불안정 조업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발생시 벽부 장입물 강하속도가 중심부 보다 빨라 벽부에서부터 발생하는 경사각이 생기지 않아 장입물 표면이 평평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크스 중심 장입을 실시한 경우 도 2(b)에서와 같이 중심에 봉우리 형성이 되지 않아 펼쳐진 가운데 다음 코크스 장입이 실시되어 장입물 표면 형상은 V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장입물 분포 위에 광석을 장입할 경우 광석의 일부가 중심부로 굴러들어가 중심부의 가스 흐름의 중앙 구멍을 막아 통기성을 악화시키고 벽부로의 가스류를 증대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조업에 있어서 벽부류 증대 조업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장입 방법은 과도한 주변류 형성에 따른 불균일한 개스류 형성으로 인하여 안정조업에 문제가 있게 된다.
노치(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C(슈트회전수) 4 4 3 3 3 2 2 1
OL(슈트회전수) 2 2 2 1 1 1
Cc(슈트회전수) 3
Os(슈트회전수) 1 1 1 1
비고 중괴코크스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중심코크스 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상기 표 2에서 C는 코크스를 나타내고, OL은 대립광석을 나타내고, Os는 소립광석을 나타내고, Cc는 중심코크스를 나타낸다.
노치(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C(슈트회전수) 7 6 3 3 3 2 2 1
O(슈트회전수) 1 2 3 3 2 1
Cc(슈트회전수) 3
비고 중괴코크스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중심코크스 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상기 표 3에서 C는 코크스를 나타내고, O는 광석을 나타내고, Cc는 중심코크스를 나타낸다.
(발명예)
챠지(charge)당 광석장입량 120톤과 코크스 장입량 24톤중 철광석과 함께 장입되는 중괴코크스 3톤과 중심부에 장입되는 중심장입량 6톤을 제외한 15톤이 17회전에 나누어져 장입되도록 하여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크스에 의하여 다음에 뿌려질 광석이 노벽과 중심부에 뿌려지지 않고 3노치와 7노치 사이에 뿌려질 수 있는 경사각을 만들어 줄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때 선회슈트 앵글 각도는 상기 표 1의 각도를 적용하게끔 하여 앵글각도 변동에 의한 장입물 분포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17회전중 노벽부에 뿌려지는 1,2노치 부위에는 총 6회전의 선회슈트가 돌도록 하여 총 코크스의 26%가 벽부에 뿌려 지도록 유도하였다.
이로인해 과도한 개스류의 주변류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 불활성화를 방지하여 안정조업을 유도하게끔 하였다.
또한 광석을 장입하기 전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크스를 중심부에 총 코크스 장입량의 12.5% 를 장입하여 중심부에 봉우리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여 광석 장입시 중심부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막아 개스가 잘 흐르도록 하였다.
중심부에 코크스의 봉우리가 형성되지 않을시 개스흐름의 통로를 막아 개스가 벽부의 약한 부위로 흐르게 되어 노벽의 열부하를 초래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광석은 코크스 장입선 중간부에 장입하도록 유도하는 가운데 중심부로 광석이 과다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개스 흐름의 흐트러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장입을 계속하면, 노 중심부는 융착대를 정점으로 해서 노정까지 굴뚝형태의 가스 통로 면적이 기존대비 두배로 증대되어 풍구를 통해 들어가는 송풍에너지가 충분히 노심까지 도달하여 노심의 불활성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며, 주변, 중간부에서의 통기성 악화 부위가 발생하더라도, 가스가 분출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취발등의 국부적 가스분출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조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벽부는 코크스 장입량의 감소로 노벽부로 흐르는 주변류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동시에 광석을 1노치와 2노치에 장입하지 않아 동위치의 O/C를 저하시켜 노체 하부 불활성 및 스캡생성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노치(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C(슈트회전수) 3 3 3 2 2 2 2
O(슈트회전수) 2 2 3 3 2
Cc(슈트회전수) 3
X(%) 13 13 13 9 9 9 9
비고 중괴코크스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중심코크스 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X(%): 총 코크스장입량에 대한 장입량

한편, 상기와 같은 정상 조업 과정중에 노체 열부하가 발생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 이하인 경우와 30000이상인 경우로 나누어 장입을 달리 하였다.
노체 열부하량이 17000 이하인 경우에는 하기 표 5와 같은 장입방식으로 코크스 및 광석을 장입하고, 노체 열부하량이 30000 이상인 경우에는 하기 표 6과 같은 장입방식으로 코크스 및 광석을 장입하였다.
노체 열부하량이 17000 이하로 떨어질시 노체하부 불활성화 쪽으로 조업방향이 가고 있다고 판단하여 코크스를 최외벽 1노치를 없이하고 2노치부터 장입되도록 함과동시에 광석을 종래의 3노치에서가 아니라 5노치에 첫 장입이 되도록 하여 벽부을 가벼히 유도하도록 하여 활성화 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업 방법으로도 활성화 되지 않을시에는 코크스를 3노치에 과다한 첫장 입이 되도록 함과 동시 광석을 중심으로 더 가도록 유도하여 벽으로 개스가 많이 공급되도록 하여 활성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체 열부하량이 30000에 도달할시 노체 열부하가 과다하게 활성화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스류 불균일시에 가장먼저 최외벽 O/C증대를 통해 노벽을 무겁게 해줌으로써 과다하게 발달한 개스류를 안정되게끔 유도하였다.
그 다음으로 개스류 안정시 최외벽 O/C경감을 유도하는 장입 방법을 실시하하고, 장입레벨을 낯춤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중심부를 확보하기 위해 중심 장입량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노치(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C(총코크스 장입량에 대한 중량%) 16 14 13 8 8 8 8
Cc(총코크스 장입량에 대한 중량%) 12.5
O[광석장입량(중량%)] 17 17 25 25 16
중괴코크스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노치(영역)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C(총코크스 장입량에 대한 중량%) 10 10 10 8 8 8 8
Cc(총코크스 장입량에 대한 중량%) 25.5
O[광석장입량(중량%)] 8 17 25 25 25 25
중괴코크스비: 총 코크스장입량의 12.5%

이러한 조업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시 정상조업 방법으로 전환하며, 노체 하부의 불안정이 지속될 시 노체 스테이브 급수 온도를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변동폭 대비 급수온도를 적용하여 관리하고, 급격한 불활성화시 하기 표 7에 나타 난 바와 같이 급수 펌프 가동 대수를 조정하여 활성화를 유도 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체온도는 100℃이하로 유지할 수 있었다.
노체 열부하량(Mcal/hr) 급수온도(℃) 펌프가동대수(대)
30000이상 30 3
30000∼17000 35 3
17000이하 40 2

본 발명에 따라 가장 이상적인 조업 상태의 장입 분포를 통한 안정 조업의 유지가 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노체 열부하 변동폭에 따른 장입 및 스테이브 급수온도 제어형 조업방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토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한 조업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테이브 고로에서 노체의 불활성화를 통한 열부하 변동시 장입 방법을 통한 송풍에너지 안정화를 유도해 벽부류 코크스 장입량 감소를 통한 노체 온도를 100℃이하로 저하시키고, 노체 열부하량을 17000∼30000 Mcal/hr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광석을 벽부에 장입하지 않음으로써 줄어든 주변류에 의한 노하부 불활성을 방지하는 가운데 개스류 이상 발생시 노체 열부하에 따라 이상적인 장입 방법과 스테이브 급수온도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O/C 5.0 이상 PCR 170 kg/T-P 이상 조업하에서도 생산량 9500톤/일 이상, 풍량 6000Nm3/min 이상 유지 조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그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스테이브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그 본체를 냉각하는 방식을 취하는 스테이브 고로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회슈트에 의하여 코크스, 중심코크스, 및 중괴 코크스가 혼합된 철광석을 차례로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고로조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로의 내부를 그 내벽에서 중심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11개의 영역(노치)으로 구분하고, 그 영역들에 대하여 그 내벽으로부터 중심으로 가면서 1번에서 11번까지 번호를 차례로 부여하고;
    상기 철광석에 혼합되는 중괴 코크스의 혼합량은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5%이고;
    상기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열량손실을 이용하여 노체 열부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22-25%의 코크스가 1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3∼9번영역에 장입되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8%의 코크스가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10∼13%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 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5∼9번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30,000Mcal/hr이상인 경우에는 총코크스 장입량의 15∼20% 의 코크스가 1 번 및 2번 영역에 장입되고, 총코크스 장입량의 20∼35%의 중심 코크스가 11번영역에 장입되고, 나머지 코크스가 3∼9번 영역에 장입되고, 그리고 상기 중괴 코크스 혼합 철광석은 2-7번 영역에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노체 열부하량이 17,000Mcal/hr이하인 경우에는 스테이브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37∼44℃로 하고, 측정된 열부하량이 17,000∼30,000Mcal/hr인 경우에는 33∼37℃로 하고, 측정된 열부하량이 30,000Mcal /hr이상인 경우에는 27∼33℃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방법
KR1020030073435A 2003-10-21 2003-10-21 고로조업방법 KR10099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435A KR100993980B1 (ko) 2003-10-21 2003-10-21 고로조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435A KR100993980B1 (ko) 2003-10-21 2003-10-21 고로조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01A KR20050038201A (ko) 2005-04-27
KR100993980B1 true KR100993980B1 (ko) 2010-11-11

Family

ID=3724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435A KR100993980B1 (ko) 2003-10-21 2003-10-21 고로조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25B1 (ko) 2010-12-27 2012-10-0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장입물의 장입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55B1 (ko) 2006-12-21 2008-03-2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환원제비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55B1 (ko) 2006-12-21 2008-03-2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환원제비 보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25B1 (ko) 2010-12-27 2012-10-0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장입물의 장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01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31B1 (ko) 벨레스 고로에 대한 원료 장입 방법
KR100993980B1 (ko) 고로조업방법
KR100797360B1 (ko) 정상조업온도의 조기확보를 위한 고로조업방법
JP3991525B2 (ja) 高炉の減尺操業方法
JP5797273B2 (ja) 溶融金属を生産する方法、及び、溶融金属を生産する還元溶融炉
KR101366573B1 (ko) 용선의 정련 방법
KR100432160B1 (ko) 고로의 철광석 환원속도에 의한 노저측벽 부하감소 방법
WO2010016553A1 (ja) 鉄浴式溶解炉
JPS63282203A (ja) 高炉操業方法
KR20030006125A (ko) 스테이브 냉각방식의 고로 하부 밸리 활성화 조업방법
RU278713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в дуговой электропечи
JP2018104813A (ja) 転炉型精錬炉の操業方法
RU279945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в дуговой электропечи
JP4030451B2 (ja) 高炉炉底部の炉体構造
JPH04310534A (ja) 鉱物繊維製造方法及び装置
JP2024012113A (ja) 高炉操業方法
KR20010002169A (ko) 고로 용융물 온도편차 해소를 위한 부분 경장입방법
KR100988063B1 (ko) 전로의 산소 랜스 지금 부착 방지용 도포재
KR100431602B1 (ko) 고로 종풍시 노내 용융물 배출 촉진방법
KR20020048086A (ko) 리바운드 로스 제거 방법
JP2005023392A (ja) 高炉炉壁耐火物の吹き付け補修方法
CN114058769A (zh) 一种用于转炉高铁钢比冶炼条件下降炉底的方法
CN1382223A (zh) 煤气发生熔炉的运转方法
JP3779815B2 (ja) 高炉操業方法
KR20220144626A (ko) 배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