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372B1 -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 Google Patents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372B1
KR100984372B1 KR1020090103079A KR20090103079A KR100984372B1 KR 100984372 B1 KR100984372 B1 KR 100984372B1 KR 1020090103079 A KR1020090103079 A KR 1020090103079A KR 20090103079 A KR20090103079 A KR 20090103079A KR 100984372 B1 KR100984372 B1 KR 10098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rainwater
rain gutter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현
박병희
최희택
Original Assignee
(주)나비콘건설
최희택
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비콘건설, 최희택, 박병희 filed Critical (주)나비콘건설
Priority to KR102009010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로 등의 오염물질을 신속하게 처리하며 우수유출 부하를 경감하여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하고, 빗물받이에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따라 우수 배출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우수저장박스(1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우수저장부(10)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21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21b)이 형성된 빗물받이 본체(21),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2), 월류부(23b)와 상기 제1유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유출공(23a)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배플(23), 상기 배플의 제2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우수가 상기 제2유출공을 경유하거나 선회하여 상기 제1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수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빗물받이(20)와; 연결관(30)을 통해 상기 빗물받이의 제1유출공(21b)과 연통되어 상기 빗물받이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박스(40)와; 상기 빗물받이 또는 상기 우수저장부의 우수저장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받이와 우수저장박스에 저장되는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유공관(50)으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90103079
우수, 유출, 저감, 침투, 유공관

Description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STRUCTURE OF INFILTRATION TYPE FOR REDUCING SPILL OF RAIN}
본 발명은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의 초기 우수유출 부하를 경감하여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침수방지 및 홍수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유출시 비점오염에 대한 정화기능을 갖고, 저장 중인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켜 도심지 포장으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건물의 붕괴 및 열섬현상을 방지 및 가로수 이용수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시지역 하천의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하수관거 정비 및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화로 인하여 상당부분 오염부하량을 경감시키는데 그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비점오염원만의 관리로는 하천의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키고 하천의 수질을 향상하는데 한계점이 있고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부하량을 감소시켜야만 도시 하천의 수질 및 수 생태계를 보전 ㅇ회복 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은 대지, 도로, 건물의 지붕 등 다양하지만 가장 큰 부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로 노면의 비점오염원이다. 도로 노면에 쌓인 먼지, 유류, 자동차에 의해 기인한 중금속 및 타이어 마모재 등이 강우시 초기우수에 의한 유출의 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는 하수처리장의 오염부하를 가중시키고, 용량이 부족한 하수관거에서 인근 하천으로 월류되어 직접적으로 하천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물고기가 폐사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도시지역은 불투수층에 의한 포장화로 강우 유출시간이 짧아지고, 기후변화에 의한 국부적인 게릴라성 호우에 의해 상습 침수 구역의 범위와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일시적인 게릴라성 호우에 대비하여 하수관거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유수지를 확충하는 데에는 비용적인 문제와 더불어 이용 가능한 부지를 확보하는 어려움이 있어 실현 가능한 대안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초기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 문제와 게릴라성 호우에 의한 침수 문제는 모두 강우 유출수에 의한 문제로 귀결된다. 차이점은 비점오염원은 강우초기에 문제가 된다는 점이고, 침수 문제는 강우가 본격적으로 강화되는 첨두강우 및 첨두강우 이후 유출된 강우가 하류에서 집수되는 시점이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밸브시설의 구조에 따라 초기우수 저류형과 첨두부하 저류형으로 구분된다.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빗물받이로 집수된 우수를 직접 저류조로 유입시켜 저류시키고, 저류조의 수위가 만수되면 도로 중앙에 매설된 우수관 거로 유출된다. 이를 위해 빗물받이에서 관거로의 연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평상시 닫아 놓아 강우시 초기우수를 직접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청천시 밸브를 개방하여 관거를 통해 유출 시킨다.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일반 강우강도의 강우는 빗물받이에서 하수관거 연결관을 통해 직접 유출시키고 강한 강우강도의 강우시는 월류하여 저류시설로 저류되도록 연결관의 유입부 관경을 일부를 막아 놓은 것이 그 특징이다.
우수 유출 저감시설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
가. 분류식 하수관거 지역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분류식 하수관거가 설치된 도로에 설치시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우천시에 하천으로 방류되는 도로 노면의 초기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을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저류한 후, 청천시 오수관거로 방류시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 후 방류하게 된다. 우천시 저류조가 만수되면 이미 노면의 오염 물질은 제거된 상태이므로 깨끗한 강우 유출수는 도로중앙의 우수관거로 유출되어 공공수역으로 방류된다.
나. 합류식 하수관거 지역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을 합류식 하수관거가 설치된 도로에 설치하면 저류된 초기우수를 청천시에 방류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므로 강우시 하수처리장의 부하량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2.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
게릴라성 집중호우시의 하수관거의 첨두 강우유출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며, 합류식 지역 및 분류식 지역에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빗물받이에서 하수관거로의 연결관의 유입부 관경을 일정단면을 축소시키므로 초기 강우 강도의 강우유출수는 직접 유출되나 첨두부하 강우강도의 유출수는 그 양이 급증하여 빗물받이에서의 수위가 증가하고 이는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저류조로 저류하게 된다. 저류조의 수위가 만수되면 관경이 큰 월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유출이 된다. 강우 강도가 약해지면 저류조에 저류된 강우유출수는 자체 수위 및 저류조의 기울기에 의해 빗물받이로 흐르게 되어 연결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배출된다.
한편, 홍수를 방재하기 위해서는 도로 또는 노상의 불투수층을 감소시키거나 유수지 등의 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투수성 포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지역은 극히 제한적이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또한, 점차적으로 고밀화되어가는 부지의 이용계획 및 개발에 따라 적절한 저류지를 확보하거나 기존의 유수지조차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받은 특허 제0885534호 우수 유출 저감 시설이 있다.
상기 특허 제0885534호는, 도로변 또는 노상 근처에 우수저장부를 설치하여 저강도의 강우는 빗물받이를 통해 우수 박스에 저장하고, 고강도의 강우시 발생하는 우수유출수는 우수저장부를 통해 저류시켜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하며, 빗물받이에 유입된 유량에 따라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우수저장부에 저장된 우수를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기 때문에 효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변 또는 노상 근처에 우수저장부를 설치하여 저강도의 강우는 빗물받이를 통해 우수 박스에 저장하고, 고강도의 강우시 발생하는 우수유출수는 우수저장부를 통해 저류시켜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하며, 빗물받이에 유입된유량에 따라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저장된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켜 우수를 가로수의 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우수저장박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우수저장부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이 형성된 빗물받이 본체,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월류부와 상기 제1유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유출공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 져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배플, 상기 배플의 제2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우수가 상기 제2유출공을 경유하거나 선회하여 상기 제1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빗물받이와; 연결관을 통해 상기 빗물받이의 제1유출공과 연통되어 상기 빗물받이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박스와; 상기 빗물받이 또는 상기 우수저장부의 우수저장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받이와 우수저장박스에 저장되는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유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의하면, 우수가 우수저장부에 저장되어 우수유출 부하가 경감됨에 따라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가 저감되어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 노면 등에 있는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신속하게 도로 노면 등에서 처리되어 도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에 저장된 우수의 저장량에 따라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별도의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우수의 저장과 우수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우수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우수저장부와 빗물받이에 저장된 우수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중에 침투시켜 도로 변에 식재된 가로수의 용수로 공급함으로써 우수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로 변의 건물 옥상에서 집수한 우수도 우수저장부에 저장하여 우수의 저장량을 더욱 빨리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저장부(10)와; 우수저장부(1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우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빗물받이(20)와; 빗물받이(20)와 연결관(30)을 통해 연결되어 빗물받이(20)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박스(40)(내지 맨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수저장부(10)는 빗물받이(20)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일시 저장하는 것으로, 차량 하중에 안전하도록 콘크리트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모든 면이 밀폐된 박스 형태의 저장부이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우수저장박스(11)가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수저장박스(11)는 다수개 예를 들어 8개가 1개의 빗물받이(20)와 셋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서처럼, 빗물받이(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4개씩의 우수저장박스(11)가 설치될 수 있다.
우수저장부(10)는 저장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빗물받이(20)로 배출하고 우수가 잔류하지 않도록 바닥면이 빗물받이(2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우수박스(40)는 도로 또는 노상의 지하공간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우수박 스(40)는 측구 또는 빗물받이(20)의 저면보다 더 하측으로 배치되어 빗물받이(20) 또는 우수저장부(10)로 유입된 물을 수압이나 중력작용에 따라 하천으로 배출한다.
빗물받이(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콘크리트, PE 등을 재질로 하고 우수저장부(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빗물받이(20)는 우수가 유출입되는 박스형의 빗물받이 본체(21), 빗물받이 본체(21)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2), 빗물받이 본체(21) 내부를 구획하는 배플(23), 배플(23)에 형성된 제2유출공(23a)(도 5와 도 6참고)을 개폐하여 우수가 배플(23)의 제2유출공(23a)을 통과하거나 선회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수단(24)으로 구성된다.
빗물받이 본체(21)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유입된 우수를 우수저장부(10)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21a), 우수박스(40)로 유도하는 제1유출공(21b)이 구비된다.
배플(23)은 제1유출공(21b)보다 작은 제2유출공(23a)이 구비된 판상 구조물이며, 빗물받이 본체(21)의 내부에 제1유출공(21b)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세워진다. 배플(23)은 우수가 제2유출공(23a)을 경유하여 제1유출공(21b)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2유출공(23a)을 경유하지 않고 제1유출공(21b)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월류부(23b)(도 5와 도 6참고)가 형성된다.
우수는 그레이팅(22)을 통해 배플(23)의 안쪽으로만 유입될 것이며, 월류부(23b)는 예컨대, 배플(23)의 상부에 형성된다.
밸브수단(24)은 부력을 이용하여 빗물받이 본체(21)에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 에 따라 제2유출공(23a)을 개폐함으로써 우수가 제2유출공(23a)을 경유한 후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2유출공(23a)을 선회하여 제1유출공(21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밸브수단(24)은 빗물받이 본체(21)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4a), 부구(24a)의 승강을 전달하는 승강봉(24b)과 개폐로드(24c), 개폐로드(24c)에 의해 회전하여 제2유출공(23a)을 개폐하는 개폐판(24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구(24a)는 내부가 중공이며 공기 등이 채워져 빗물받이 본체(21)에 저장된 우수의 수면측에 부유한다. 즉, 우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승강봉(24b)과 개폐로드(24c)는 부구(24a)의 승강에 따른 위치 변화를 통해 개폐판(24d)을 개폐 동작시킨다.
승강봉(24b)은 부구(24a)에 고정되어 부구(24a)와 함께 승강한다. 승강봉(24b)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승강봉(24b)의 승강 경로에는 레일이 갖추어질 수 있다.
개폐로드(24c)는 대략 중앙이 힌지를 통해 배플(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양측이 각각 승강봉(24b)과 개폐판(24d)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밸브수단(24)은 우수의 수압이나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하여 커버(24e)(도 4에 도시됨)에 의해 보호된다. 물론 커버(24e)는 부구(24a)의 작동을 위하여 내부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다수의 구 멍이 형성되거나 저부가 개방된 구조이다.
배플(23)은 빗물받이 본체(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품으로 제조되어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단품의 경우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빗물받이 시설에 장착함으로써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밸브수단(24)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예로서, 개폐판(24d)이 수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제10-0885534호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빗물받이(20) 및/또는 우수저장박스(11)에 저장된 우수를 지중에 침투할 수 있도록 유공관(50)이 적용된다.
유공관(50)은 빗물받이(20)와 우수저장박스(11)에 저장된 우수의 일부를 지중에 침투시켜 지하수를 확보하고 가로수의 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별도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유공관(50)을 통해 저장된 우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빗물받이(20)를 예로 들어 유공관(50)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서처럼, 빗물받이(20)의 빗물받이 본체(21)의 바닥부에는 유공관(5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다.
유공관(50)은 빗물받이 본체(21)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슬리브(51)를 통해 설치된다. 슬리브(51)는 빗물받이 본체(21)의 바닥부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이며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설치된다.
유공관(50)의 설치를 위해서는 빗물받이(20)를 매설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할 때 유공관(50)의 매설을 위한 터파기를 더 수행하며, 유공관(50)의 설치를 위해 터파기한 곳에 유공관(50)을 삽입한 후, 유공관(50)의 둘레부에 채움재(예를 들어, 잡석 등)를 충진하여 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받이(20)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 중 일부는 유공관(50)에 유입된 후 유공관(50)을 통해 지중에 침투한다.
여기서, 우수에는 이물질(비점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고, 이물질이 지중에 침투하지 않도록 유공관(50)의 입구측에는 필터(52)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52)는 우수의 저장량을 감소하지 않도록 빗물받이 본체(21)의 바닥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필터 장착부(21c)에 삽입된다.
필터(52)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것이 사용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유공관(50)을 통해 침투되는 우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공관(50)의 입구측에는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공관(50)의 입구측에는 버터플라이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버터플라이밸브(V)는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유공관(5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V)에 한정되지 않고 유공관(5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적용 가능하다.
우수저장박스(11)에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공관(5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노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뿐만 건물의 옥상에서 하수 처리되는 우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도 3에서처럼, 건물(1)의 옥상에 있는 우수를 빗물받이(20) 또는 우수저장박스(11)로 유도하기 위한 옥상우수 유도관(2)이 적용된다.
옥상우수 유도관(2)은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부분이 지중에 매설되어 빗물받이(20) 또는 우수저장박스(11)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개폐수단(24)의 커버(24e)에는 개폐수단(24)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5)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25)는 커버(24e)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예를 들어, 커버(24e)에 필터 수납부를 형성하여 필터를 서랍식으로 수납하거나, 필터(25)를 볼트 등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작용 설명은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로 노면 등의 우수는 그레이팅(22)을 통해 빗물받이(20)에 유입되며, 정확하게는 배플(23)의 안쪽으로만 유입된다.
도 5와 도 8에서처럼, 빗물받이(20)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적을 때에는 부구(24a)가 아래쪽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개폐판(24d)에 의해 제2유출공(23a)이 개방된다. 따라서, 빗물받이(20)에 유입된 우수는 제2유출공(23a)을 경유한 후 제1유출공(21b)을 통해 우수박스(40)로 유동한다.
우수는 연결관(30)을 통해 우수박스(40)로 유동하여 저장된다.
우수는 빗물받이(20)의 바닥에서부터 채워지게 될 것이며,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 부구(24a)가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부구(24a)와 함께 승강봉(24b)이 상승할 것이며, 승강봉(24b)의 상승은 개폐로드(24c)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개폐판(24d)이 개폐로드(24c)와 함께 회전하여 제2유출공(23a)을 서서히 막게 된다.
도 6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유출공(23a)이 폐쇄되면 배플(23) 안쪽에는 우수가 계속해서 저장될 것이며 일부 우수는 정류공(21a)을 통해 우수저장부(10)로 유동하여 우수저장부(10)에 저장된다.
우수가 월류부(23b)의 높이까지 채워지면, 우수는 월류부(23b)를 통해 배플(23)을 넘어 제1유출공(21b)측으로 낙하한 후 제1유출공(21b)을 통해 우수박스(4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수가 배출되어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24a)가 하강하게 되고, 부구(24a)의 하강은 승강봉(24b)의 하강 - 개폐로드(24c)의 회 전 - 개폐판(24d)의 회전으로 전환되어 제2유출공(23a)이 서서히 개방되며, 제2유출공(23a)이 개방되면 우수는 월류부(23b)를 거치지 않고 제2유출공(23a)을 경유한 후 제1유출공(21b)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빗물받이(20) 내부에 유입된 우수가 커범(24e)를 통과할 때 필터(25)를 거치게 되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청정의 우수만 저장 및 배수된다.
한편, 건물(1) 옥상에 집수된 우수는 옥상우수 유도관(2)을 통해 빗물받이(20)에 유입된 후 전술한 것처럼 우수저장부(10)에 저장된다.
한편, 빗물받이(20) 내부 및 우수저장박스(11)에 저장된 우수 중 일부는 빗물받이(20)의 바닥 및 우수저장박스(11)의 바닥에 있는 필터(52)를 통과한 후 유공관(50)에 유입된다.
유공관(50)에 유입된 우수는 유공관(50)을 통해 지중에 침투하며, 지중의 절리나 기공 등을 통해 넓게 퍼지게 된다.
지중에 침투한 우수는 가로수에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적용된 빗물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적용된 빗물받이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적용된 유공관의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적용된 유공관의 확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적용된 유공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건물, 2 : 옥상우수 유도관
10 : 우수저장부, 11 : 우수저장박스
20 : 빗물받이, 30 : 연결관
40 : 우수박스, 50 : 유공관
51 : 슬리브, 52 : 필터

Claims (6)

  1.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다수의 우수저장박스(1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우수저장부(10)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21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21b)이 형성된 빗물받이 본체(21),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2), 월류부(23b)와 상기 제1유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유출공(23a)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배플(23), 상기 배플의 제2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우수가 상기 제2유출공을 경유하거나 선회하여 상기 제1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수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빗물받이(20)와;
    연결관(30)을 통해 상기 빗물받이의 제1유출공(21b)과 연통되어 상기 빗물받이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박스(40)와;
    상기 도로 주변의 건물 옥상에 집수된 우수를 상기 빗물받이로 유도하는 옥상우수 유도관(2)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빗물받이 본체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4a), 상기 부구의 승강을 전달하는 전달수단, 상기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부구의 승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유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24d)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부구에 연결되어 상기 부구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봉(24b), 양측이 상기 승강봉과 개폐판이 고정되면서 양측의 사이가 상기 배플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봉의 승강에 따라 상기 힌지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을 개폐구동하는 개폐로드(24c)를 포함하는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바닥부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빗물받이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슬리브(51)와;
    상기 빗물받이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받이 저부의 지중에 채워지는 채움재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빗물받이에 저장되는 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유공관(50)과;
    상기 유공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공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와;
    상기 빗물받이의 바닥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21c)에 장착되어 상기 유공관에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103079A 2009-10-28 2009-10-28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098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9A KR100984372B1 (ko) 2009-10-28 2009-10-28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9A KR100984372B1 (ko) 2009-10-28 2009-10-28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372B1 true KR100984372B1 (ko) 2010-09-30

Family

ID=4301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079A KR100984372B1 (ko) 2009-10-28 2009-10-28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17B1 (ko) * 2014-03-10 2014-12-11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보도의 하측 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침투 처리 설비
CN105804202A (zh) * 2016-05-13 2016-07-27 上海安鼎济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海绵城市的雨水处理可计量可调度的方法与***
KR20180017990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58B1 (ko) * 2006-08-25 2007-08-3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인공습지 조성 방법 및 장치
KR100885534B1 (ko) * 2008-12-18 2009-02-26 최익현 우수 유출 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58B1 (ko) * 2006-08-25 2007-08-3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인공습지 조성 방법 및 장치
KR100885534B1 (ko) * 2008-12-18 2009-02-26 최익현 우수 유출 저감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17B1 (ko) * 2014-03-10 2014-12-11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보도의 하측 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침투 처리 설비
CN105804202A (zh) * 2016-05-13 2016-07-27 上海安鼎济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海绵城市的雨水处理可计量可调度的方法与***
KR20180017990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49B1 (ko)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JP2009235884A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101346104B1 (ko)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US11629085B1 (en)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KR20110109589A (ko)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KR101988245B1 (ko)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0783747B1 (ko)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CN100501019C (zh) 地面集雨快速引蓄渗地的排水装置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JPH033010B2 (ko)
KR102438273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KR102370200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