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102B1 -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102B1
KR100979102B1 KR1020070024692A KR20070024692A KR100979102B1 KR 100979102 B1 KR100979102 B1 KR 100979102B1 KR 1020070024692 A KR1020070024692 A KR 1020070024692A KR 20070024692 A KR20070024692 A KR 20070024692A KR 100979102 B1 KR100979102 B1 KR 10097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tochrome
toxicity
activity
protei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890A (ko
Inventor
김형룡
채한정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솔로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솔로몬 filed Critical (주)바이오솔로몬
Priority to KR102007002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07K14/4703Inhibitors; Suppre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은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여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 또는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약물의 독성 감소제 및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약물의 활성 증가제로 이용될 수 있다.
BI-1 단백질,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

Description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 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mposition comprising BI-1 protein for inhibiting cytochrome p450 2E1 activity or enhancing cytochrome p450 3A4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도 1은 BI-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p450 2E1와 p450 3A4의 발현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BI-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반응 시간에 따른 p450 2E1과 3A4의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BI-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NPR (NADPH Cytochrome P450 reductase)의 발현과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약물의 개발과 함께 장기간 다제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약물상호간 작용을 예측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리작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중 사이토크롬 p450 (CYP450)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steroid hormones), 지방산 (fatty acids),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s)과 같은 내인성 물질 및 외인성 물질 (특히 약물)의 산화적 대사 (oxidative metabolism)에 관여함으로써 이들 물질이 소변이나 담즙으로 쉽게 배설될 수 있도록 친수성 물질로 전환시키는 헴 (heme)을 함유한 효소군을 일컬으며, 모든 식물과 동물에서 발견된다. 주로 간세포의 내형질세망의 망상구조 (endoplasmic reticulum)의 막에 존재하며, 소장, 신장, 폐, 뇌에도 소량 존재한다.
CYP450은 1958년에 클린겐버그 (Klingenberg)와 가르핀케 (Garfinke)가 마이크로솜 (microsome)을 NADH와 디티오니드 (dithionide (hydrosulfide))로 환원시킨 후, 일산화탄소를 통과시키면 450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는 색소가 있음을 발견한 후 (Klingenberg M., Pigments of rat liver microsomes, Arch Biochem Biophys ., 75(2), pp.376-86, 1958), 오무라 (Omura)와 사토 (Sato)가 이것이 사이토크롬 형의 헴 (heme)단백질이라는 것을 밝혀내어 이를 CYP450이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Omura T, Sato R., A cytochrome in liver microsomes, J Biol Chem ., 237, pp.1375-6, 1962).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CYP450의 명명법은 아미노산 배열순서의 유사성을 기초로 하여 3단으로 분류되는데, CYP라는 접두어에 아라비아 숫자, 영문자 대문자, 다시 아라비아 숫자를 덧붙여서 각각 과 (family), 아과 (subfamily), 이소자임 (isoenzyme)을 나타낸다. 예로 CYP3A4는 과 (family) 3, 아과 (subfamily) A, 이소자임 (isoenzyme) 4를 가리킨다. 이때 과는 아미노산배열이 40%이상 비슷한 경우이고, 아과는 55%이상의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갖는 무리이다.
CYP450은 유전적으로 표현형 (phenotype) 및 유전형 (genotype)이 인구집단에서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을 보인다. 현재까지 인간의 CYP450 이소자임 (isoenzyme)은 30가지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CYP3A4, CYP2D6, CYP1A2, CYP2C9, CYP2C19, CYP2E1 등이 약물대사에 주로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개개 환자에서 이들 동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기질 약물들의 임상효과, 치료효과 및 부작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CYP450 저해 (inhibition)는 한 약물 (저해제; inhibitor)이 효소의 활동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효소의 기질 (substrate)인 다른 약물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YP450 유도 (induction)는 간혈류가 증가하거나 혹은 특정 약물이나 환경오염물질에 의하여 CYP450의 생성이 많아질 때 발생하며, CYP450이 약물을 대사할 수 있는 용량이 증가됨으로써 기질 (substratre)인 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적으로 심각한 약물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면 (1) 테오필린 (theophylline)이나 항전간제처럼 혈중치료영역이 좁은 약물의 대사가 유도 또는 저해되는 경우, (2) 전구약물 (prodrug)에서 치료적 활성이 있는 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저해 혹은 유도하는 경우, (3) 약물상호작용에 의해 약 효가 있는 대사체나 이성질체로 전환되는 경우 등이다. 약물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정도는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CYP450에 존재하는 약물의 양과 CYP450에 대한 약물의 친화도 뿐만 아니라 나이, 영양상태, 질환상태, 다양한 CYP450에 의한 대사경로 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Flockhart DA., Cytochrome P450-mediated drug interactions, Psychopharmacology, 9(1), pp.43-74, 2000)
생물은 이물질이 체내로 유입되었을 때 여러 생체적인 메카니즘을 작동시켜 유입된 이물질을 대사시키든지 외부로 배출시키려고 한다. 약물도 마찬가지로 인체내로 투여되었을 때 대사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려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약물의 경우 그것이 인체에 투여되었을 때 그것이 인체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얼마나 높은 농도로 유지될 수 있는가는 그것의 대사에 관여하는 약물 대사 효소에 의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약물 대사 효소로는 사이토크롬 P450(Cytochrome P450) 초계열(Suprefamily)의 효소, N-아세틸 전이효소(N-Acetyl Transferase), UDP-글루쿠론산 전이효소(UDP-Glucuronosyl Transferase), 메틸 전이효소(Methy Transferase), 알콜 탈수소화효소(Alcohol Dehydrogenase), 알데하이드 탈수소화효소(Aldehyde Dehydrogenas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물 대사 효소들은 그 대사 기능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군으로 분류되어지는데, 단계 1의 효소(Phase Ⅰenzyme)와 단계 2의 효소(Phase Ⅱ enzyme)가 그것이다. 단계 Ⅰ의 효소는 약물의 기능기를 변형시키는 효소인데, 간이나 혈장 등에서 아민의 탈아미노화 반응, 에스테르나 아미드의 가수 분해 반응, 지방산 대사 반응 등에 관여한다. 이러한 단계 Ⅰ의 효소에는 앞서 예시한 바의 효소들 중 이화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들 즉 가수 분해 효소나 알데히드 가수 분해 효소, 알콜 탈수소화 효소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단계 Ⅱ의 효소는 간이나 신장에서 약물을 내생적(Endogenous) 물질과 접합(Conjugation)시키는 효소인데, 단계 Ⅱ의 효소는 이러한 반응을 통하여 약물의 수용성을 높여서 그러한 약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거나 약물의 생체내에서의 반응성을 감소시킨다. 앞서 예시한 효소들 중에서 대부분의 전이 효소가 이러한 단계 Ⅱ 효소로 분류된다.
사이토크롬 P450 (Cytochrome P450; 이하 "CYP") 초계열(Superfamily)의 효소는 간이나 신장 등에서 수많은 약물의 대사를 담당하는데, 상기 단계 Ⅰ의 효소에 해당한다. CYP 초계열의 효소는 친유성 화합물(Lipophilic Compound)의 산화반응과 탈수소화 반응을 촉매하는 헴 단백질(Heme Protein)을 지니고 있다. 적어도 약 30 여종의 효소가 이러한 CYP 초계열의 효소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들 효소들은 그들이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에 따라서 몇 가지 계열(Family)로 나누어지는데, CYP1, CYP2, CYP3 및 CYP4 계열 효소의 4 계열로 분류된다.
BI-1 (Bax inhibitor-1)은 6-7개의 막 (membrane)으로 추정되는 소포체 막 (endoplasmic reticulum membrane)에 위치한 막단백질로 이는 동물과 식물모두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Chae et al., Mol Cell, Aug.13;15(3), pp.355-66, 2004; Xu and Reed, Mol Cell, Feb.1(3), pp.337-346, 1998). 이 단백질은 본래 TEGT (Testis enhanced gene transcript)로 이름이 명명된 바 있으며 정소 (testis)의 발육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1998년 미국 캘 리포니아 샌디에고에 있는 번햄 연구소 (The Burnham Institute)의 존 C 리드 박사의 실험실 (Dr John C Reed Lab)에서 BAX를 발현하여 죽는 효모에서, cDNA 라이브러리를 트랜스펙션 (transfection)시 높은 생존도를 보이는 클론에서 단백질을 발견하여 이를 새롭게 BI-1 (Bax inhibitor-1)로 명명하였다. 이 BI-1을 과대 발현 시 포유동물세포에서 몇몇 특정자극에 대한 세포사멸의 보호효과를 보이며, BI-1의 안티센스 (antisense)를 처리 시 일부 암세포에서 세포고사 (apoptosis)를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Xu and Reed, Mol Cell, 1(3), pp.337-46, 1998). BI-1의 식물 상동 (Plant homolog) 유전자들 (orthologs: tomato (Lycopersicon), rice (Oryza), mustard (Arabidopsis) BI-1)은 효모 (yeast)에서 발현한 BAX로 인한 세포사멸을 방지한다 (Chae et al., Gene, 323, pp.101-113, 2003; Kawai et al., FEBS Lett ., 464(3), pp.143-147, 1999; Sanchez et al., Plant J., 21(4), pp.393-399, 2000). 주로 BI-1은 세포사멸의 보호기능과 관련하여 많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BI-1 유전자 결핍 마우스 (BI-1 knock-out mice)에서 약물에 대한 죽음에 민감함 만이 확인되었고, 약물대사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연구도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BI-1 단백질과 약물대사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던 중, BI-1이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에 있으며 이 단백질이 약물대사효소의 업스트림 (upstream)이라고 볼 수 있는 NPR (NADPH-CYP 450 reductase)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효소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고, NPR은 CYP효소의 상위개념으로 CYP조절을 추정하여 볼 수 있는 결과임을 확인하여, 약물대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CYP특히 CYP2E1과 3A4와 BI-1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여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이 사이토 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BI-1 단백질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효과,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의 활성 증가효과 및 CYP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BI-1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의 활성 증가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하여 상기 약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하여 상기 약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하여 상기 약물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증가 또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으로는 p450 2E1의 기질이 되는 모든 약물의 독성으로 인한 질환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p450 2E1의 기질이 되는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의 독성으로 인한 간질환, 간경화, 신장의 경화, 빈혈 및 위장관불쾌감; CYP2E1의 주된 기질이 되는 실데나필 Sildenafil의 독성으로 인한 간경화 및 신장기능장애; 또 다른 CYP2E1의 기질인 테오필린 (theophylline)의 독성으로 인한 위장장애, 설 사, 복통, 신경질, 불면, 현기증, 진전, 빈맥, 심실성 빈맥, 경련 및 구토; 엔플루란 (Enflurane)의 독성으로 인한 간장애, 호흡억제, 혈압변동, 부정맥, 근 연축, 이상뇌파(자파, 자서파결합 등)발생; 할로탄 (halothane)의 독성으로 인한 간 독성; 이소플루란 (isoflurane)의 심혈관계와 호흡기 억제, 신장에서는 혈류량, 사구체 여과율 감소; 메톡시플루란 (Methoxyflurane)의 혈장내 불소 농도 증가 및 신부전, 요붕증, 벤젠 (benzene)의 다행감, 오심, 운동부전, 혼수, 현기증, 졸음, 두통 및 오심, 골수 손상으로 인한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구 감소증, 범혈구감소증, 두통, 피로 및 식욕감소; 클로르족사존 (chlorzoxazone)의 독성으로 인한 나른함, 현기증, 두통, 침침한 시력, 운동 실조등, 모순된 흥분, 안구 진탕증, 구토, 가슴앓이, 메스꺼움, 식욕감퇴, 복부통증과 같은 위장관 증상, 피부발진, 가려움증, 발열 및 알레르기 질환;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dimethyl formamide)의 심혈관계독성으로 인한 피부홍조, 고체온증, 건조한 점막, 무한증, 흐린시야, 착란, 근연축, 노인소변저류; 테오필린 (theophylline)의 독성에 의한 구역과 구토, 식욕부진, 위장장애, 설사, 복통, 부정맥 및 빈맥; 이소니아지드 (isoniazid)의 독성에 의한 피리독신 (pyridoxin)배출 증가에 따른 말초 신경염, 알레르기 반응 발열, 발진, 감염, 치명적 간괴사, 구강 건조증, 상복부불쾌감, 혈액학적 반응 및 경련; 대표적 CYP2E1의 기질인 에탄올(알코올)의 독성으로 인한 간경화, 간염 및 간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 및 이로 인한 감소된 효능은 코데인 (codenine)의 진해작용 억 제, 지사작용억제, 진통작용억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의 심장의 허혈성 질환 방지 및 억제, 말초동맥질환 방지 및 억제효능을 감소시키는 경우; 이리노테칸 (Irinotecan)의 항암효과 저해, 특히 직장암, 결장암 치료효과를 저해하는 경우; 메사돈 (Methadone)의 진통효과 저해하는 경우; 레보-알파 아세틸 메사돌 (levo-alpha acetyl methadol)의 항염증 작용 저해하는 경우; 심바스타틴 (simvastatin)의 고지혈증치료효과를 저해함이 포함된다.
또한 CYP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로는 CYP3A4에 의하여 주된 대사경로를 거치는 모든 약물의 독성으로 인한 질환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CYP3A4를 주된 대사경로로 거치는 알펜타닐 (Alfentanil)의 독성으로 인한 호흡억제, 경련 및 중추신경억제; 또 다른 CYP3A4의 기질인 알프라졸람 (Alprazolam)의 부작용인 착란, 의식장애, 의식불명 및 반사능저하; 다른 CYP3A4의 기질인 아미오다론 (Amiodarone)의 부작용인 저혈압, 동서맥, 심정지 및 부정맥 (QT 연장); CYP3A4의 기질인 아토르바스타틴 (Atorvastain)의 부작용인 두통, 흉통, 말초성 부종, 불면증, 현기증, 발진, 복통, 변비, 설사, 소화불량, 오심, 고창, 요도감염, 관절통, 근통증, 관절염 및 신체쇠약; 다른 CYP3A4의 기질인 부스피론 (Buspirone)의 부작용인 호흡곤란, 타액분비과다, 운동 실조증, 경련, 진정, 혼수, 호흡저하, 동빈맥 및 발작; 다른 CYP3A4의 기질인 코카인 (***e)의 독성에 의한 중추흥분, 미각상실, 비염, 비충혈, 후각상실, 고혈압, 심장부정맥을 비롯한 심혈관계 장애, 열, 신경질, 정서불안, 환각, 경련, 두통, 정신분열, 환청, 격동, 간질, 언어장애, 고열, 운동장애, 뇌혈관장애, 혈관염증 및 강직성 발작; CYP3A4의 기질인 코르티솔 (cortisol)의 독성에 의한 불면증, 신경질, 소화불량, 다모증, 당뇨질환, 관절통, 백내장, 고혈압, 부종, 환각, 두통, 환상, 환청, 경련, 피부염, 피부위축, 좌상, 과다색소침착, 저칼륨증, 과혈당증, 쿠싱신드롬, 골 성장 억제, 월경불순, 위궤양, 궤양성 췌장염, 근위축 및 면역결핍; 다른 CYP3A4의 기질인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의 독성에 의한 고혈압, 부종, 두통, 다모증, 여성생식장애, 구토, 설사, 치은증식, 복부팽만감, 소화장애, 진전, 감염, 흉통, 부정맥, 심부전, 허혈, 현기증, 경련, 불면, 정신장애, 동통, 우울증, 편두통, 정신착란, 열, 정서장애, 집중장애, 불면, 무력증 및 신경질; 다른 CYP3A4의 기질인 클라리스로마이신 (clarithromycin)의 독성에 의한 구토, 소화불량, 설사, 두통, 발진 및 간수치 상승; CYP3A4의 기질인 에리스로마이신 (Erythromycin)의 다양한 위장관계 부작용으로 식욕부진, 오심, 구토, 소화불량, 설사, 간독성에 의한 정체성 간염, 발열, 황달, 간기능 장애,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발열, 호산구 증가, 두통 및 발진; 퀴니딘 (quinidine)의 독성에 의한 이명, 두통, 오심, 현기증, 조홍, 시각장애, 키니네중독 증상으로 인한 시각과 청각의 두드러진 이상과, 구토, 설사, 복통 및 피부발진, 두드러기, 혈관부종, 기관지 경련, 용혈,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인슐린 분비촉진으로 인한 저혈당; 알프라졸람 (alprazolam)의 독성에 의한 착란, 의식장애, 의식불명, 반사능 저하; 디아제팜 (diazepam)의 긴 반감기, 대사산물의 활동성, 정맥 주사 시 발생하는 정맥염; 미다졸람 (midazolam)의 독성에 의한 기억상실; 트리아졸람 (triazolam)의 행동의 탈 억제 작용, 섬망 및 공격성 폭력;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의 독성에 의한 고혈압, 부종, 두통, 다모증, 여성 생식 장애, 구토, 설사, 치은증식, 복부팽만감, 소화 장애, 진전, 감염, 흉통, 부정맥, 심부전, 허혈, 현기증, 경련, 불면, 정신장애, 동통, 우울증, 편두통, 정신착란, 열, 정서장애, 집중장애, 불면, 무력증 및 신경질;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의 독성에 의한 고혈압(소아에게 특히 흔함), 중추신경계독성 두통, 착란, 우울증, 발작, 가벼운 떨림 및 간 독성; 인디나비르 (indinavir)의 독성에 의한 간접적 고빌리루빈혈증, 신장결석, 혈소판감소, 오심, 설사 및 과민성 용혈성 빈혈; 넬피나비르 (nelfinavir)의 독성에 의한 설사 및 복부팽만; 리토나비르 (ritonavir)의 독성에 의한 위장관 장애, 감각이상, 입맛의 변화, 오심, 구토 및 복부통증; 사퀴나비르 (saquinavir)의 독성에 의한 위장관 불쾌감으로 인한 오심, 설사, 복부불쾌감, 소화불량 및 비염; 시사프리드 (cisapride)의 독성에 의한 기면, 불면, 불안, 이상긴장증, 정좌불능증, 파킨슨 증상, 비가역적인 이상운동증, 남성의 여성화 유방, 음위 및 여성의 월경 장애; 아스테미졸 (astemizole)의 독성에 의한 졸음, 주의력 감소, 나른함, 수족협동운동저해, 메스꺼움, 구토, 명치부 불쾌감, 불면증, 떨림, 신경질, 과민함, 두근거림, 빈맥, 구강건조, 흐려보임, 요축적 및 변비; 클로람페니라민 (chlorpheniramine)의 독성에 의한 불면증, 떨림, 신경질, 과민함, 두근거림, 빈맥, 구강건조, 흐려보임, 요축적, 변비, 졸음, 주의력 감소, 나른함 및 수족협동운동저해; 테르페니딘 (terfenidine)의 전신사용시 소아에게 일어나는 흥분, 경련, 기립성 저혈압 및 알레르기 반응과 과용량 사용으로 유발되는 심장 부정맥; 암로디핀 (amlodipine)의 독성에 의한 심장마비, 서맥, 방실차단, 울혈성 심부전증, 심근억제, 홍조, 부종, 현기증, 오심 및 변비; 딜티아젬 (diltiazem)의 독성에 의한 안면홍조, 숨가쁨, 가슴이 타는듯한 감각, 방실 차단, 두통, 저혈압, 구역 및 이상감각; 펠로디핀 (felodipine)의 독성에 의한 염류제한, 위장액 소실, 중증 저혈압 및 급성 신부전증; 레르카니디핀 (lercanidipine)의 독성에 의한 홍조 및 부종; 니페디핀 (nifedipine)의 독성에 의한 심근경색, 염류제한, 위장액 소실, 중증 저혈압 및 급성 신부전증; 니솔디핀 (nisoldipine)의 독성에 의한 염류제한, 위장액 소실, 중증 저혈압 및 급성 신부전증; 니트렌디핀 (nitrendipine)의 독성에 의한 현기증, 두통, 메스꺼움, 안면홍조, 저혈압, 반사 빈맥, 말초부종, 심장근육의 허혈 및 치은비대; 베라파밀 (verapamil)의 독성에 의한 현기증, 두통, 메스꺼움, 안면홍조, 저혈압, 반사 빈맥, 말초부종, 심장근육의 허혈, 치은비대; 아토르바스타틴 (atorvastatin)의 독성에 의한 느린 맥, 심차단, 심실성 빈맥, 심실세동, 감각이상, 쇠약 및 호흡부전; 세리바스타틴 (cerivastatin)의 독성에 의한 복통, 근육통, 불면증, 간기능 이상 및 간염; 로바스타틴 (lovastatin)의 독성에 의한 복통, 근육통, 불면증, 간 기능 이상 및 간염; 에스트라디올 (estradiol)의 독성에 의한 우울증, 편두통, 정서불안증, 동맥혈전색전증, 폐색전증, 뇌혈관발작 CVA, 심근경색, 고혈압, 정맥혈전증, 부종, 콘텍렌즈 불내성, 망막혈전증, 오심과 구토, 담낭질환, 고장, 양성간종양, 장간막 혈전증, 돌파성출혈, 반점, 무월경, 경부분비의 변화, 유방확장, 유방의 예민성 증가, 자궁내막염 및 흑피증; 히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의 독성에 의한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축의 억제, 의인성 쿠싱 증후군, 어린아이에게 성장지연, 피부위축, 홍반, 모세혈관 확장, 농포, 구진 입술 주위염, 스테로이드 여드름, 피부감염, 저색 소증, 다모증, 안압증가,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및 전신피부발진; 알펜타닐 (alfentanyl)의 독성에 의한 호흡억제, 경련 및 중추신경 억제; 부스피론 (buspirone)의 독성에 의한 호흡곤란, 타액분비과다, 운동실조증, 경련, 진정, 혼수, 호흡저하, 동빈맥 및 발작; 카페르고트 (cafergot)의 독성에 의한 반동성 두통; 카페인 (caffeine)의 독성에 의한 두통, 기면, 과민, 이뇨작용, 불안, 행동항진, 부정맥 및 매스꺼움; 코카인 (***e)의 독성에 의한 중추흥분, 미각상실, 비염, 비 충혈, 후각상실, 고혈압, 심장부정맥을 비롯한 심혈관계 장애, 열, 신경질, 정서불안, 환각, 경련, 두통, 정신분열, 환청, 격동, 간질, 언어장애, 고열, 운동자애, 뇌혈관장애, 혈관염증 및 강직성 발작; 답손 (dapsone) 위장관 장애, 발열, 소양증, 발진, 나성 홍반; 코데인 (codeine)의 독성에 의한 일시적인 기분 상승, 환각, 광폭, 사용 중지시 우울 등; 덱스트로메소르판 (Dextromethorphan)의 독성에 의한 동공확대, 안면홍조증, 건조증, 위장기능 장애, 고열, 방향감각 상실, 추리력 및 논리력 저하; 펜타닐 (fentanyl)의 독성에 의한 변비, 구역, 구토, 졸음 및 호흡부전; 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의 독성에 의한 임신부의 기형아 출산, 피로, 전신 무력감, 간수치 상승, 발기 부전, 성욕감퇴, 사정량 감소, 위장장애(소화불량), 고환통, 여성형 유방, 유방압통, 발진, 얼굴 및 입술 부종, 두드러기 및 여드름 ; 그리벡 (gleevec)의 독성에 의한 대퇴골 뼈의 통증, 턱뼈 통증, 안면부종, 눈주위 부종, 근육통, 근경련, 관절통증, 매스꺼움과 구토, 발진, 설사, 색소탈실, 안구 출혈, 모발손실, 피로, 체중증가, 부종, 팽만, 보습, 간장독성, 혈액독성, 신장독성, 두통, 대상포진, 막망염, 불면증, 저혈당 및 고혈당; 할로페리돌 (haloperidol)에 의한 졸음, 혼돈, 구강건조, 요저류;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의한 설사, 호중구 감소, 과민반응, 호흡곤란, 발열, 오한, 오심, 발진, 즉각적인 기도폐쇄, 저혈압, 결막염, 구내염, 백혈구감소 및 탈모; 리도카인 (lidocaine)에 의한 어지럼증, 저혈압, 오심, 구토, 저혈압, 체위성 두통, 전율, 감각이상, 시야몽롱, 혼수, 초조, 언어장애, 불안, 가려움, 피부발진 및 호흡곤란; 메사돈 (methadone)에 의한 동공축소, 통증경감, 변비, 가려움, 졸리움, 근육 조정력 상실, 수면, 혈압저하, 호흡억제, 혼수, 사망, 행복감(어떤 사용자의 경우), 불안, 공포(어떤 사용자의 경우), 몽롱, 집중력 상실, 복잡한 추리력의 상실 및 무관심; 나테글리니드 (nateglinide)에 의한 무기력증, 쇼크, 식욕감퇴 오심, 구토 및 설사; 온다네스트론 (ondanestron)에 의한 메스꺼움, 구토, 기립성 저혈압, 비정상적인 입의 움직임, 혀의 전후 이동, 씹는동작, 얼굴 찡그림, 머리의 비정상적 움직임, 불안, 불면증, 악몽, 신경과민, 정신착란, 우울증 및 정신병; 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에 의한 반동성 불면증, 주간시 졸음, 인지기능의 저하, 운동 실조증, 우울증의 악화, 의존성 및 과도한 진정; 퀴닌 (quinine)에 의한 이명, 두통, 현기증, 조홍, 시각장애, 키니네중독, 구토, 설사, 복통, 피부발진, 두드러기, 혈관부종, 기관지경련, 용혈,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및 저혈당증; 살메테론 (salmeterol)에 의한 부정맥 및 저산소증; 실데나필 (sildenafil)에 의한 저혈압, 심근경색증, 심부전 및 심장마비; 시롤리무스 (sirolimus)에 의한 골수억제, 간독성, 설사, 과트리 글리세라이드증 및 두통; 타목시펜 (tamoxifen)에 의한 갱년기증상, 수분저류, 부종, 혈전색전증, 자궁내막 및 암; 탁솔 (taxol)에 의한 피로감, 골수억제, 위장장애, 탈모, 홍조 및 생리불순; 테르페나딘 (terfenadine)에 의한 침이 마르는 증상, 나른함, 체중증가 및 심장부정맥; 트라조돈 (trazodone)에 의한 혈액의 무과립구증, 지속성 발기, 발진, 가려움, 부종, 저혈압, 심계항진, 빈맥, 고혈압, 혼수, 실신, 서맥, 흥분, 망상, 어지러움증, 복부 팽만감, 비만, 복통, 설사, 권태감, 무렵감, 비뇨장애, 흉통과 체중감소; 빈크리스틴 (vincristine)에 의한 손발저림, 근육통, 허약감, 마비감, 기립성저혈압, 변비, 복부통증, 메스꺼움, 구토 및 탈모; 졸피뎀 (zolpidem)에 의한 환각, 환청, 기억상실, 만성폐질환, 호흡장애, 아미트립티린 (amitriptyline) 근육경직, 혈압변동, 대발작, 경련 및 혼수; 로시트로마이신 (roxithromycin)의 오심, 구토, 설사, 구내염, 칸디다에 의한 대장염; 비타민 K에 의한 출혈성 경향; 비타민 B군에 의한 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과립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빈혈,두통, 어지러움, 불면, 악몽, 경구 피임제의 효과감소;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에 의한 유아청색증; 아미다론 (amiodarone)에 의한 서맥, 방실결절 질환 환자에게의 심정지, 폐독성, 피부침착,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및 부정맥 악화; 디히드로에르고타민 (dihydroergotamine)에 의한 면역계 장애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양 반응 및 알러지 반응, 대사 및 영양장애로 인한 저칼륨혈증, 대사 및 영양장애로 인한 저칼륨혈증, 신경계 장애로 인한 말초 신경장애, 두통, 어지러움, 심장 장애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로 인한 폐부종, 위장관계 장애로 인한 복통, 구토, 소화불량, 구역, 설사 및 변비, 간-담도계 장애로 인한 간독성 (치명적인 급성 간부전 포함), 간염, 가역적인 간효소 상승, 피부 및 피하조직 장 애로 인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혈관부종, 두드러기, 탈모, 광과민, 발진, 가려움, 생식계 및 유방 장애로 인한 월경장애, 전반적인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로 인한 부종 등; 에시닐에스트라디올 (esisyl(ethiny)estradiol)에 의한 혈전색전 장애, 종양, 고혈압, 방광질환, 메스꺼움, 구토, 부종, 편두통 및 자궁내막증식염; 에스테론 (estrone)에 의한 고지혈증, 메스꺼움, 구토, 부종, 편두통 및 자궁내막증식염; 미코나졸 (miconazole)에 의한 두통, 심한 배고픔, 구역, 구토, 피로, 수면, 수면장애, 불안, 공격성, 집중력 저하, 민첩성 또는 행동력 저하, 우울, 혼란, 언어이상, 실어증, 시각장애, 진전, 불완전마비, 지각이상, 어지럼증, 무력감, 자제력 상실, 일시적인 정신착란, 뇌경련, 졸음, 의식상실 및 혼수, 얕은 호흡, 서맥, 구역, 구토, 상복부의 포만감 또는 압박감, 복통, 설사, 간기능 손상 및 혈소판 감소증; 닐루디핀 및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에 의한 체온상승, 메스꺼움, 구토, 부종 및 편두통; 라파마이신 (rapamycin)에 의한 설사, 소화불량, 구역, 구토, 백혈구 감소, 빈혈 및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설파메토사졸 (Sulfamethoxazole)에 의한 피부발진, 위, 간, 신장에 독성;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에 의한 종양성장의 촉진; 트로린도마이신에 의한 설사, 소화불량, 구역, 구토, GOT, GPT의 일시적인 증가, 대장염 등의 소화기계 부작용, 피로감, 무력감, 오심, 건초염, 건파열 및 피부발진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은 엔플루란 (enflurane), 할로탄 (halothane), 이소플루란 (isoflurane), 메톡시플루란 (methoxyflurane),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벤젠 (benzene), 클로르족사존 (chlorzoxazone), 에탄올 (ethanol),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dimethyl formamide), 테오필린 (theophylline) 및 이소니아지드 (isoniazi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로 인하여 효과 감소하는 약물은 전구약물 (prodrug)의 개념이 포함되어있는 약물 일체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클로피도그렐 (clopidogrel), 이리노테칸 (Irinotecan), 메사돈 (Methadone), 레보-알파-아세틸메사돌 (levo-alpha-acetylmethadol), 이포스파미드 (ifosfamide), 심바스타틴 (simvastatin) 및 코데인(codeine)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은 CYP3A4로 대사되어 제거되는 약물의 경우, CYP3A4의 활성 저하로 체내에 약물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독성을 야기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저하로 독성 또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약물은 클라리스로마이신 (clarithromycin), 에리스로마이신 (erythromycin), 퀴니딘 (quinidine), 알프라졸람 (alprazolam), 디아제팜 (diazepam), 미다졸람 (midazolam), 트리아졸람 (triazolam),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인디나비르 (indinavir), 넬피나비르 (nelfinavir), 리토나비르 (ritonavir), 사퀴나비르 (saquinavir), 시사프리드 (cisapride), 아스테미졸 (astemizole), 클로람페니라민 (chlorpheniramine), 테르페니딘 (terfenidine), 암로디핀 (amlodipine), 딜티아젬 (diltiazem), 펠로디핀 (felodipine), 레르카니디핀 (lercanidipine), 니페디핀 (nifedipine), 니솔디핀 (nisoldipine), 니트렌디핀 (nitrendipine), 베라파밀 (verapamil), 아토르바스타틴 (atorvastatin), 세리바스타틴 (cerivastatin), 로바스타틴 (lovastatin), 심바스타틴 (simvastatin),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히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알펜타닐 (alfentanyl), 부스피론 (buspirone), 카페르고트 (cafergot), 카페인 (caffeine), 코카인 (***e), 답손 (dapsone), 코데인 (codeine), 덱스트로메소르판 (dextromethorphan), 펜타닐 (fentanyl), 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 그리벡 (gleevec), 할로페리돌 (haloperidol), 이리노테칸 (irinotecan), 리도카인 (lidocaine), 메사돈 (methadone), 나테글리니드 (nateglinide), 온다네스트론 (ondanestron), 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퀴닌 (quinine), 살메테롤 (salmeterol), 실데나필 (sildenafil), 시롤리무스 (sirolimus), 타목시펜 (tamoxifen), 탁솔 (taxol), 테르페나딘 (terfenadine), 트라조돈 (trazodone), 빈크리스틴 (vincristine), 졸피뎀 (zolpidem), 아미트립티린 (amitriptyline), 로시트로마이신 (roxithromycin),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아미다론 (amiodarone), 디히드로에르고타민 (dihydroergotamine), 에시닐에스트라디올 (esisyl(ethinyl)estradiol), 게스토렌, 미코나졸 (miconazole),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라파마이신 (rapamycin), 설파메토사졸 (sulfamethoxazole) 및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기되며,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은 서열번호 2로 표기된다.
또한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은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을 감소시키고, 또한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로 약물대사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 외에도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BI-1의 효능제 (agonist) 및 BI-1과 7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의 상동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재조합단백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I-1의 길항제 (antagonist)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을 감소 또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BI-1 단백질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시클로크레아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시클로크레아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BI-1 단백질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 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비활성에 의해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의 활성 증가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비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BI-1 단백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을 감소 또는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단백질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단백질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단백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단백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단백질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참고예 1. 세포배양
인간 결장암 세포주인 HT-1080 세포를 2mM 글루타민, 1mM 소디움 피루베이트 (sodium pyruvate), 100U/㎖ 페니실린 (penicillin)과 100g/㎖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과 10% FBS가 들어있는 DMEM 배지에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시약 (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을 사용하여 pcDNA3, pcDNA3-BI-1-HA 플라스미드 (plasmids)로 형질변환 (transfection) 시킨 후, 1㎎/㎖ G418이 첨가된 배양액에 3주 동안 배양하여 안정한 (stable) 세포를 만들었다. 여러 가지 클론 (clones)을 분리하여 HA-BI-1의 발현양을 웨스턴 블럿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여, 확인한 발현양을 가지는 클론을 선택하여 배양한 후 실험 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실험 재료의 준비
DMEM, FBS,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Gibco사), 키트 (Vivid assay kit, Invitogen사), PVDF 막 (PVDF membrane, Bio-rad사), 탈지유 (non-fat skim milk, Difco사), 브래드포드 용액 (Bradford solution, bio-Rad사), ECL 검출 키트 (Amersham사), G418 (Invitrogen사), SuperFect 시약 (Qiagen사). 프로테아제 저해 칵테일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사), 항-토끼 HRP (anti-rabbit HRP, Amersham사)등을 이용하였으며, 이 외 각종 시약은 시그마사 (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BI -1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서열번호 2의 BI-1 유전자를 대장균 발현벡터인 pET28 플라스미드에 서브클로닝 (subcloning) 한 후, 제조된 pET28-BI-1 벡터를 대장균 발현균주인 BL21(DE3)에 형질변환 (transformation) 하였다.
형질변환 된 대장균을 선별하여 5-10㎖ 정도의 작은 양으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다음날 아침 배양한 균주를 1/100 부피로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 OD600= 0.6-0.8 정도까지 배양한 후, 단백질 발현을 유도할 유도체 (inducer)로 IPTG를 0.1-5mM을 첨가하였으며 최적의 조건으로는 1mM IPTG을 사용하였으며 37℃, 200rpm, 1mM IPTG, 3-4시간 조건이 가장 좋은 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여 3-4 시간 배 양 및 단백질 발현유도가 모두 끝난 대장균은 7000rpm, 10분 조건으로 펠렛 (pellet) 만을 수득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Sonication) 대장균 세포를 파쇄하여 얻은 수용액을 13,000rpm, 10분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가용 분획 (soluble fraction)만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단백질 용액을 Ni2+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0.5M NaCl, pH 8.0으로 부착시키고, 이미다졸 (Imidazole)로 세척 후 50mM 이미다졸로 용리시킴)를 수행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실시예 2. 웨스턴 블럿
HT-1080 세포를 용해하기 위해 PBS로 2회 세척하고, 스크래퍼 (scraper)로 플레이트 상에서 긁은 후 1000x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완충액 (lysis buffer: 20mM 트리스 (Tris), pH 7.4 NaCl 150mM, 1mM EDTA, 1mM EGTA, 1% 트리톤 (Triton), 2.5mM 소디움 파이로포스페이트 (sodium pyrophosphate), 1mM Na3VO4, 프로테아제 저해제)을 세포양의 2배 용량을 넣은 뒤 섞어주었다. 4℃에서 10분간 방치한 후에 초음파처리 (sonication)하여 12,000xg, 4℃ 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브래드포드의 방법 (Bradford method)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 후 레인 (lane)당 30g의 단백질과 2x 시료 완충액 (2x sample buffer)을 넣고 95℃에서 5분간 가열하여 단백질을 변성 (denaturation)하여 8% SDS-PAGE과정에서 단백질 분리 한 뒤에 PVDF 막 (0.2m)에 이동시켰다.
이동시킨 막을 TBS-T (20mM 트리스-HCl, pH7.4의 NaCl 150mM, 0.01% Tween-20)에 녹아 있는 5% 탈지유 용액에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2E1 토끼 IgG, 항-3A4 토끼 IgG를 5% 탈지유 용액에 1:1000으로 희석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 파장의 증가로 인한 화학반응을 통해 ECL암실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CYP 3A4/2 E1 분석
CYP 3A4 및 2E1을 바쿨로솜 (Baculosomes) 시약과 CYP3A4 또는 2E1의 기질과 NADP+ 존재하에 반응하여 NADPH를 반응함으로 각각의 CYP활성도를 분석하였다. 각 세포의 마이크로좀을 분리하여 NADP+와 형광 비비드 (fluorogenic Vivid)-부착된 CYP 3A4 및 2E1 기질과 함께 실온에서 20분간 먼저 반응시켰다. 이 반응은 NADP+와 붉은색 기질 (Red substrate(3A4)) 및 푸른색 기질 (blue substrate(2E1))이 들어간 후부터 시작되었다. 마지막 반응구성은 CYP 3A4, CYP 2E1 바쿨로솜 시약 (Baculosomes Reagent (5nmol/L 재조합 인간 CYP 3A4 및 2E1과 NADPH p-450 환원효소)), NADPH가 발생하는 시스템 (NADP+와 형광 비비드 (fluorogenic Vivid) CYP 3A4 및 2E1 기질)), 100mmol/L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액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0)에 용해되어있는 100mol/L NADP+로 구성되어진다. 이에 따라 선명한 붉은색 및 푸른색의 표준 (Vivid Red, Blue standards: 0nmol/L~2.5mol/L)을 검출하였다. 이에 기준하여 형광평판 분석기 (Schimadzu fluorescence plate reader; Ex: 530nm, Em: 585nm)에서 2분 이내로 시간대별로 기록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HT1080세포에 BI-1 유전자를 형질변환 시키고, 안정한 세포를 만든 후 CYP3A4 및 약물대사과정 중 활성산소유리로 잘 알려진 CYP2E1발현 및 활성도를 확인한 결과, BI-1발현을 통하여 CYP3A4의 양은 증가하였으며 CYP2E1의 양은 보다 더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ADPH 환원효소 ( reductase ) 활성 측정
NADPH 환원효소 분석은 Ramji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Zhukov A, Ingelman-Sundberg M. Relationship between cytochrome P450 catalytic cycling and stability: fast degradation of ethanol-inducible cytochrome P450 2E1 (CYP2E1) in hepatoma cells is abolished by inactivation of its electron donor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Biochem J., Jun 1, 340 ( Pt 2), pp.453-8, 1999) 먼저 호기성 (aeroibic)의 30℃ 환경에서 30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pH 7.7), 70 μM의 사이토크롬 C와 마이크로솜의 단백질을 혼합하였다. 이 반응은 1mM의 NADPH를 첨가함으로써 시작되며 사이토크롬 C 환원효소의 활성은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효소의 활성은 마이크로솜 단백질을 넣지 않았을 때의 흡광도를 마이크로솜 단백질 첨가 시 일어나는 반응의 흡광도에서 뺌으로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BI-1을 발현시킨 세포에서 NPR의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pcDNA 세포에 비하여 NPR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므로 이는 다운스트림 (downstream)인 CYP 활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급성독성 실험
3-1.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와 스프라그 도올리 랫트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100, 250, 500 및 1000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3-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몸무게 25 ± 5 g)와 스프라그 도올리 랫트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25, 50, 100 및 200㎎/㎏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BI-1 단백질................................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
메틸파라벤.................................0.8 ㎎
프로필파라벤...............................0.1 mg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 ㎖로 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BI-1 단백질.................................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BI-1 단백질 ...............................100 ㎎
유당........................................50 ㎎
전분........................................50 ㎎
탈크........................................2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BI-1 단백질.................................1000 ㎎
설탕.........................................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BI-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며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을 감소시키고,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 또는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약물의 독성 감소제 및 사이토크롬 p450 3A4 (CYP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 시 약물의 활성 증가제로 부작용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제병용의 약물 상호작용에 대해 본 발명의 BI-1을 병용 배 합함으로써 독성감소 또는 활성증가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110> Bio Solomon Co., Ltd <120> Composition comprising BI-1 protein for inhibiting cytochrome p450 2E1 activity or enhancing cytochrome p450 3A4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130> DIF/2007-0001/MR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BI-1 protein <400> 1 Met Asn Ile Phe Asp Arg Lys Ile Asn Phe Asp Ala Leu Leu Lys Phe 1 5 10 15 Ser His Ile Thr Pro Ser Thr Gln Gln His Leu Lys Lys Val Tyr Ala 20 25 30 Ser Phe Ala Leu Cys Met Phe Val Ala Ala Ala Gly Ala Tyr Val His 35 40 45 Met Val Thr His Phe Ile Gln Ala Gly Leu Leu Ser Ala Leu Gly Ser 50 55 60 Leu Ile Leu Met Ile Trp Leu Met Ala Thr Pro His Ser His Glu Thr 65 70 75 80 Glu Gln Lys Arg Leu Gly Leu Leu Ala Gly Phe Ala Phe Leu Thr Gly 85 90 95 Val Gly Leu Gly Pro Ala Leu Glu Phe Cys Ile Ala Val Asn Pro Ser 100 105 110 Ile Leu Pro Thr Ala Phe Met Gly Thr Ala Met Ile Phe Thr Cys Phe 115 120 125 Thr Leu Ser Ala Leu Tyr Ala Arg Arg Arg Ser Tyr Leu Phe Leu Gly 130 135 140 Gly Ile Leu Met Ser Ala Leu Ser Leu Leu Leu Leu Ser Ser Leu Gly 145 150 155 160 Asn Val Phe Phe Gly Ser Ile Trp Pro Phe Gln Ala Asn Leu Tyr Val 165 170 175 Gly Leu Val Val Met Cys Gly Phe Val Leu Val Asp Thr Gln Leu Ile 180 185 190 Ile Glu Lys Ala Glu His Gly Asp Gln Asp Tyr Ile Trp His Cys Ile 195 200 205 Asp Leu Phe Leu Asp Phe Ile Thr Val Phe Arg Lys Leu Met Met Ile 210 215 220 Leu Ala Met Asn Glu Lys Asp Lys Lys Lys Glu Lys Lys 225 230 235 <210> 2 <211> 260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of BI-1 mRNA <400> 2 ggttaggaag agtggagact gctgcacgga ctctggaacc atgaacatat ttgatcgaaa 60 gatcaacttt gatgcgcttt taaaattttc tcatataacc ccgtcaacgc agcagcacct 120 gaagaaggtc tatgcaagtt ttgccctttg tatgtttgtg gcggctgcag gggcctatgt 180 ccatatggtc actcatttca ttcaggctgg cctgctgtct gccttgggct ccctgatatt 240 gatgatttgg ctgatggcaa cacctcatag ccatgaaact gaacagaaaa gactgggact 300 tcttgctgga tttgcattcc ttacaggagt tggcctgggc cctgccctgg agttttgtat 360 tgctgtcaac cccagcatcc ttcccactgc tttcatgggc acagcaatga tctttacctg 420 cttcaccctc agtgcactct atgccaggcg ccgtagctac ctctttctgg gaggtatctt 480 gatgtcagcc ctgagcttgt tgcttttgtc ttccctgggg aatgttttct ttggatccat 540 ttggcctttc caggcaaacc tgtatgtggg actggtggtc atgtgtggct tcgtccttgt 600 tgatactcaa ctcattattg aaaaggccga acatggagat caagattata tctggcactg 660 cattgatctc ttcttagatt tcattactgt cttcagaaaa ctcatgatga tcctggccat 720 gaatgaaaag gataagaaga aagagaagaa atgaagtgac catccagcct ttcccaatta 780 gacttcctct ccttccaccc ctcatttcct ttttgcacac attacaggtg gtgtgttctg 840 tgataatgaa aagcatcaga aaagcttttg tactttgtgg tttcctctat tttgaatttt 900 ttgatcaaaa aactgattag cagaatatag tttggagttt ggcttcatct tcctggggtt 960 cccctcactc ccttttttgt caaccccatc tgtagcctct tcctctactc aggcagtcga 1020 cccgccacga tgagaagtgg gaccagccag agggcgccaa cttcaggagt ccgctttccc 1080 accaggcttc attcacccag tggacctgaa ctgtttggta gagccacccg gcccttcctt 1140 cctcattgtt gtttggtatg cgcacagttc ctgtgggact gggccgtgag ttttccattg 1200 gaaagaagtt cagtggtccc attgttaact cagcctcaaa tctcaactgt caggccctac 1260 aaagaaaatg gagagcctct tctggtggat gctttgctcc ctctgagctg cccatgctgg 1320 tctggcaaac acacctttct gctttgcctt cacaaaagta atgtgttccc tttcccgccc 1380 cttgcctgac cctcagggag tcagcctgct tccatccatg ggtgggaaga cttcagcaca 1440 aaggaaagac taattcttgt caggcatttt tgaaaaggct gattatgtgt atcaaggtac 1500 agctacgtag gttcccctaa acttgccctg tttttgtttt tttagtttgt tatcccctta 1560 ctgagcggcc tctactaggt ggctgtgatt aaatgtccca agcaaggata gggaagggga 1620 atggttgagc ctctggagat cattgtaacc aatcctgcca gacctgtttg gggcagtggg 1680 gagcaaacct agataaggac ctgtttgggg cagcagggag caaaatctcc tttaacaacc 1740 aagcagttcc tcattcacat caacagagcg aggctgtgat aacttaggag gcagcaatcc 1800 taatagtcct tcagtgcatt ttagtctgtc tccaactgga caccagtagg tagtgtcaag 1860 ccagagattc ggggcagtag ataaatgttc attttactga tgcactttag tttttggtct 1920 gttacctgtt ttccagaaat ttgtggcctt ttaggcggga gttaggcgac caaaccagtg 1980 agagccccaa tccctgcagt tttgtggctt caagtgtggg tggacagtcc taatggggat 2040 ctccagctcc ttcctgtggg ctgccacaga cagctacccc cagaagggtc aatgttggga 2100 gtggttgtgg ctctgagctg ctctacagag cttcagtgtg agaggatcga gccattgaaa 2160 gctcattacc agtaggacat aatttttggc tctccctatt cacaaccagt gcacagtttg 2220 acagtggcct caggttcaca gtgcaccatg tcactgtgct atcctacgaa atcatttgtt 2280 tctaagttgt gtttattcct ggagtgacat gccaccccga atggctcact ttcactgagg 2340 atgctgtcct ctgatttagc tgctgcctcc agcctctggc ttgagaactt actaaaggca 2400 cttccttcct gttaaacccc tgttaactct ccataaattt ggtgattctc tgctaggcct 2460 aagattttga gttaacatct cttgaagcca aactccacct tctgtgcttt ttgcttggga 2520 taatggagtt tttctttaga aacagtgcca agaatgacaa gatattaaaa aaaaaaaaaa 2580 aaaaaaaaaa aaaaaaaaaa 2600

Claims (17)

  1. 서열번호 1로 표기되는 비아이(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엔플루란 (enflurane), 할로탄 (halothane), 이소플루란 (isoflurane), 메톡시플루란 (methoxyflurane),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벤젠 (benzene), 클로르족사존 (chlorzoxazone), 에탄올 (ethanol),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dimethyl formamide), 테오필린 (theophylline) 및 이소니아지드 (isoniazid) 약물의 독성 감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서열번호 1로 표기되는 비아이(BI)-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이토크롬 p450 2E1 (CYP2E1)의 활성에 의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에 의한 간질환, 간경화, 신장의 경화, 빈혈, 위장관불쾌감, 신장기능장애, 위장장애, 설사, 복통, 신경질, 불면, 현기증, 진전, 빈맥, 심실성 빈맥, 경련, 구토 또는 간염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24692A 2007-03-13 2007-03-13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7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92A KR100979102B1 (ko) 2007-03-13 2007-03-13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92A KR100979102B1 (ko) 2007-03-13 2007-03-13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116A Division KR20100017998A (ko) 2010-01-11 2010-01-11 사이토크롬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100002118A Division KR100989045B1 (ko) 2010-01-11 2010-01-11 사이토크롬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되는 약물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90A KR20080083890A (ko) 2008-09-19
KR100979102B1 true KR100979102B1 (ko) 2010-08-31

Family

ID=4002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692A KR100979102B1 (ko) 2007-03-13 2007-03-13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0317A (en) 1997-03-14 2000-10-10 The Burnham Institute Bax inhibitor proteins
KR20060016552A (ko) * 2004-08-18 2006-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 유도 cyp2e1이 생성한 활성산소종으로부터간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카테킨류 화합물
US7018988B2 (en) 2000-03-27 2006-03-28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pyrrolidine derivatives as Bax inhibi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0317A (en) 1997-03-14 2000-10-10 The Burnham Institute Bax inhibitor proteins
US7018988B2 (en) 2000-03-27 2006-03-28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pyrrolidine derivatives as Bax inhibitors
KR20060016552A (ko) * 2004-08-18 2006-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 유도 cyp2e1이 생성한 활성산소종으로부터간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카테킨류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90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4926A (ko) 염증, 알러지 질환 또는 성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산약 추출물
KR100900343B1 (ko)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독활 추출물을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102B1 (ko) 사이토크롬 p450 2E1의 활성 억제 또는 사이토크롬p450 3A4의 활성 증가 효과를 갖는 BI-1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773199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comprising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thizon SIEB. ET. Zucc or acetylshikonin isolated therefrom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100989045B1 (ko) 사이토크롬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효능이 감소되는 약물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651498B2 (ja)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抽出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血糖の低下、体重の減量または血液脂質の低下におけるその使用
KR20100017998A (ko) 사이토크롬 p450 3A4의 활성 저하로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B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72167B1 (ko) 아라리아 에스쿠렌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항산화 및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0942B1 (ko) 리코찰콘 a의 신규 용도
KR102269242B1 (ko) 엄벨리페론 유도체를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14910B2 (ja) 薬剤性肝炎治療剤
KR102250681B1 (ko) 결명자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8759B1 (ko) 간보호, 숙취해소,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펩티드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100551718B1 (ko)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비만 억제용조성물
KR102011979B1 (ko) 세사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7022064B2 (ja) 薬用のアンブローシア属植物抽出物
KR20180088606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능이 있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함유하는 퉁퉁마디(Salicornia SPP.) 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KR102272232B1 (ko) 결명자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129713B (zh) 乳铁蛋白活性肽或编码该活性肽的核苷酸序列在制备抗炎和/或抗氧化产品中的应用
KR20230161688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2096B1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국화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