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790B1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790B1
KR100976790B1 KR1020040042971A KR20040042971A KR100976790B1 KR 100976790 B1 KR100976790 B1 KR 100976790B1 KR 1020040042971 A KR1020040042971 A KR 1020040042971A KR 20040042971 A KR20040042971 A KR 20040042971A KR 100976790 B1 KR100976790 B1 KR 10097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lower electrode
forming
increasing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761A (ko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790B1/ko
Priority to US11/149,949 priority patent/US7566612B2/en
Publication of KR2005011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84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being a rough surface, e.g. using hemispherical g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nitride not containing oxygen, e.g. SixNy or SixByNz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29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 H01L21/023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5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 H01L21/31683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metallic layers, e.g. Al deposited on the body, e.g. formation of multi-layer insul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MIM 캐패시터의 상부, 하부 커플링 면적을 늘려 캐패시터의 용량과 신뢰도를 향상하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형성용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의 그레인 경계 영역에서 산화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요철 형태를 갖도록 형성 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 형태를 갖는 하부 전극 상에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캐패시터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켜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며, 하부 전극과 절연층 사이 경계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전류 전압(dc/dv)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MIM 캐패시터, 하부 전극, 그레인, 산화막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Fabrication method of capacitor for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전극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판 2 : 층간 절연막
3 : 구리 배선 4 : 하부 전극
5 : 산화막 6 : 유전체층
7 : 상부 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MIM 캐패시터의 상부, 하부 커플링 면적을 늘려 캐패시터의 용량과 신뢰도를 향상하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는 멀티미디어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칩내에 메모리 셀 어레이부 및 주변 회로가 함께 장착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고용량 정보의 고속 처리에 적합한 캐패시터(capacitor)의 구현이 핵심 기술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는 전극(electrode)의 종류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눌수 있다. 그 하나는 PIP(Polysilicon-Insulator-Polysilicon) 캐패시터로써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서 많이 사용하였으며, 180nm까지의 아날로그 캐패시터로써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PIP 캐패시터는 상, 하부 전극을 폴리실리콘 (Polysilicon)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저항이 크고 디플리션(depletion) 현상에 의한 기생 캐패시턴스가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어 130nm 이하의 테크놀러지(technology)에서는 MIM(Metal-Insulator-Metal) 캐패시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 MIM 캐패시터의 경우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Metal)이 열적 안정성이 낮아 고온 공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때문에, 상기 MIM 캐패시터의 경우 평판(Flat) 형태로만 제작되었고, 이러한 평판 형태의 MIM 캐패시터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선 캐패시터의 면적을 무한정 늘릴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MIM 캐패시터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의 상부, 하부 커플링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형성용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의 그레인 경계 영역에서 산화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요철 형태를 갖도록 형성 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 형태를 갖는 하부 전극 상에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 형태의 하부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하부 전극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산화된 하부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전극 표면의 산화제로 과산화수소(H2O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막 식각 단계는 HF 기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조 방법 중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곳에서는 첨부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먼저, 도 1a와 같이, 소정의 하지층(미도시)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1) 및 층 간 절연막(2)이 제공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2) 상에 구리(Cu) 배선(3)을 형성한다. 상기 구리 배선(3) 상에는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TiN/Ti, TaN/Ti 등)(4)을 형성한다.
이후, 도 1b와 같이, 형성된 하부 전극(4)의 표면을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하여 산화시킨다. 이때, 상기 과산화수소(H2O2)는 이온을 제거한 순수한 물(DI, Deionized water)과 1:2 또는 1:4 정도로 희석(H2O2 : DI = 1:2 or 1:4)하여 사용하며 온도는 65 ∼ 8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과산화 수소의 경우 'H2O' 와 'O' 로 분리되어, 상기 'O' 가 상기 하부 전극(4)의 Ti 또는 그 외의 금속과 결합함으로써 TiO 또는 금속 산화막(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산화 과정은 상기 하부 전극(4)을 이루는 금속 그레인(Metal grain, 물질을 이루는 구성 원자들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물질의 덩어리)들의 경계 영역(Boundary)에서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상기 그레인의 경계 영역에서 산화막(5)이 두텁게 형성된다. 이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와 같이,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은 금속 물질로써 그 내부에 그레인(grain)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그레인은 불규칙한 형상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그레인과 그레인 사이에는 경계 영역(grain boundary)이 존 재하며, 상기 경계 영역에서 산화 작용이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산화 단계 이후의 하부 전극의 단면을 첨부한 도 3에 확대 도시하였다.
도 3과 같이, 산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하부 전극(4)의 그레인 경계 영역(grain boundary)이 움푹 패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하부 전극의 표면이 요철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도 1c와 같이, HF 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산화된 표면(5)을 식각(Etch)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HF 는 39.6%로 상온에서 비등점(끓는점)이 형성됨을 이용한다. 즉, 39.6% HF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인 식각과 식각 비(Etch rate)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HF 기체(vapor)의 경우 상온일 때 가장 빠르게 식각되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식각비는 떨어지면서 선택비(금속 : 산화물, 온도가 오를수록 산화물의 비율이 증가한다)가 증가하는데 기인한다. 이를 이용하여, HF 기체(vapor)(39.6%, 45 ∼ 80℃)를 약 5초 내지 15초 정도 흘려서 하부 전극(4)에 형성된 산화막(5)을 식각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전극(4)에 형성된 산화막(5)을 제거하게 되면, 하부 전극(4) 상부가 요철 형태로 남게되어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하부 전극(4)과 이후 증착할 절연층(Insulator)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캐패시터의 전류 전압(dc/dv) 특성이 향상된다.
이처럼 요철 형태로 생성된 하부 전극(4) 상에는 도 1d와 같이, 유전체층(SiN 또는 SiO2 등)(6)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 전극(Top electrode)(TiN/Ti, TaN/Ti 등)(7)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상부 전극(7) 및 하부 전극(4)을 패터닝(patterning)하는 등의 공정을 진행시켜 캐패시터를 제작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캐패시터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켜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며, 하부 전극과 절연층 사이 경계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전류 전압(dc/dv)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세대 메모리(memory)로 사용되어질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의 경우 등 메모리 소자에 사용되는 캐패시터의 크기를 줄일수 있게되어 전체 칩 사이즈(chip size)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형성용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의 그레인 경계 영역에서 산화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요철 형태를 갖도록 형성 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 형태를 갖는 하부 전극 상에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태의 하부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하부 전극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산화된 하부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표면의 산화제로 과산화수소(H2O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H2O2)는 이온을 제거한 순수한 물과 1:2 또는 1:4 로 희석(H2O2 : DI = 1:2 or 1:4)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식각 단계는 HF 기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20040042971A 2004-06-11 2004-06-11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97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71A KR100976790B1 (ko) 2004-06-11 2004-06-11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11/149,949 US7566612B2 (en) 2004-06-11 2005-06-10 Method of fabricating capacitor i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971A KR100976790B1 (ko) 2004-06-11 2004-06-11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761A KR20050117761A (ko) 2005-12-15
KR100976790B1 true KR100976790B1 (ko) 2010-08-20

Family

ID=355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971A KR100976790B1 (ko) 2004-06-11 2004-06-11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66612B2 (ko)
KR (1) KR100976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4015A1 (en) * 2007-01-23 2008-07-24 Russell Thomas Herrin Removal of etching process residual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US8431463B2 (en) * 2008-08-08 2013-04-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pacitor contact formed concurrently with bond pad metallization
US20140209466A1 (en) * 2013-01-31 2014-07-31 Wyatt Technology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electrodes for electrophoretic mobility measurements and method for their fabrication
KR102098573B1 (ko) 2013-07-19 2020-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046A (ja) * 1994-02-17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8840A (ja) 1996-11-27 1998-06-16 Sony Corp 金属膜の形成方法
JP2001036042A (ja) 1999-07-26 2001-02-09 Hitachi Ltd 誘電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20040043831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2232A (en) * 1991-04-08 1993-01-26 Micron Technology, Inc. Metal silicide texturizing technique
US5223081A (en) * 1991-07-03 1993-06-29 Doan Trung T Method for roughening a silicon or polysilicon surface for a semiconductor substrate
TW399322B (en) * 1997-08-22 2000-07-21 Tsmc Acer Semiconductor Mfg Co The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DRAM of mushroom shaped capacitor
EP0986095A3 (de) * 1998-09-08 2005-08-17 Infineon Technologies AG Schichtanordnung mit einer Materialschicht und einer im Bereich der Korngrenzen der Materialschicht angeordneten Diffusionsbarrierensch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6004857A (en) * 1998-09-17 1999-12-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to increase DRAM capacitor via rough surface storage node plate
US6740247B1 (en) * 1999-02-05 2004-05-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F vapor phase wafer cleaning and oxide etching
JP4383021B2 (ja) * 2002-05-29 2009-12-1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R2851258B1 (fr) * 2003-02-17 2007-03-3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revetement d'une surface, fabrication d'interconnexion en microelectronique utilisant ce procede, et circuits integres
KR100524963B1 (ko) * 2003-05-14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배선 및 금속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제조 방법
US6939815B2 (en) * 2003-08-28 2005-09-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high-k gate dielectr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046A (ja) * 1994-02-17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8840A (ja) 1996-11-27 1998-06-16 Sony Corp 金属膜の形成方法
JP2001036042A (ja) 1999-07-26 2001-02-09 Hitachi Ltd 誘電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20040043831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761A (ko) 2005-12-15
US7566612B2 (en) 2009-07-28
US20050287758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3274B2 (en) Interconnect landing method for RRAM technology
US9368392B2 (en) MIM capacitor structure
US788440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00055863A1 (en) Method of patterning noble metals for semiconductor devices by electropolishing
US7566628B2 (en) Process for making a resistive memory cell with separately patterned electrodes
JP2005354080A (ja) Mim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12128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60119395A (ko) 도전성 패턴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475911B1 (en) Method of forming noble metal pattern
US6229171B1 (en) Storage element for semiconductor capacitor
KR100976790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2023012919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51744B1 (ko) 메모리 셀 커패시터 구조에서 메모리 셀 커패시터 판을형성하는 방법
KR100213263B1 (ko) 강유전체 커패시터 제조방법
US20070075395A1 (en) Capacitor of a semiconductor device
US6503764B1 (en) Method of making in high density DRAM circuit having a stacked capacitor
US20230413698A1 (en)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81446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527868B1 (ko) 고용량 엠아이엠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984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579894B1 (ko)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52309B1 (ko) Mim 형 커패시터 제조 방법
CN117397386A (zh) 铁电存储器及其制造方法
KR20110077411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8226A (ko) 반도체장치의 mim형 커패시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