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984B1 -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984B1
KR100641984B1 KR1020040113157A KR20040113157A KR100641984B1 KR 100641984 B1 KR100641984 B1 KR 100641984B1 KR 1020040113157 A KR1020040113157 A KR 1020040113157A KR 20040113157 A KR20040113157 A KR 20040113157A KR 100641984 B1 KR100641984 B1 KR 10064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forming
metal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423A (ko
Inventor
명정학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9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e.g. cleaning or removal of oxides on underly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Thin films associated with contacts of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01L23/5223Capacitor integral with wir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금속-절연체-금속(MIM)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위의 절연막상에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 위에서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트랜치를 갖는 금속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금속간 절연막 및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노출면 위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전체막 위에 버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버퍼 절연막 위에 금속 배선을 위한 비아홀 형성 영역의 버퍼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마스크막 패턴을 이용하여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을 형성한 후에 마스크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트랜치 내에 남아있는 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IM 커패시터, 포토레지스트막 잔류물, 플루오르 가스, 플라즈마처리, 버퍼 절연막

Description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MIM(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고속 및 대용량의 커패시터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터의 고속화를 위해서는 커패시터 전극의 저항을 감소시켜 주파수 의존성을 작게 하여야 하며, 커패시터의 대용량화를 위해서는 커패시터 전극 사이에 내재하는 유전체막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유전율이 높은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극의 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
반도체 소자에서 사용되는 커패시터로는, 그 접합 구조에 따라서, 모스 구 조, pn 접합 구조, 폴리실리콘-절연체-폴리실리콘(PIP) 구조 및 금속-절연체-금속(MIM) 구조 등의 커패시터들이 있다. 이 중에서 금속-절연체-금속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들은 적어도 한쪽 전극 물질로서 단결정 실리콘이나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한다. 그러나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은, 그 물질 특성으로 인하여 커패시터 전극의 저항을 감소시키는데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고속의 커패시터가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서는 저 저항의 커패시터 전극을 쉽게 실현할 수 있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가 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금속간 절연막(130) 위에 MIM 커패시터를 위한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을 형성한다. 제1 금속간 절연막(130)은 절연막(110)을 개재하여 반도체 기판(100) 위에 배치된다. 절연막(110) 위에는 제1 금속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들(121, 122)이 배치되는데, 제1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121)은 제1 비아컨택(131)을 통해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122)은 제2 비아컨택(132)을 통해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은 제2 금속 레벨이 된다.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은 각각 하부 금속막 패턴(141, 142) 및 장벽금속층 패턴(151, 1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에 제1 금속간 절연막(130) 위에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을 덮도록 제2 금속간 절연막(16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금속간 절연막(160) 위에 트랜치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막 패턴으로서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7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70)이 MIM 커패시터를 위한 트랜치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71)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70)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공정으로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141/151)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트랜치(161)를 형성한다. 트랜치(161)를 형성한 후에는 통상의 애싱공정을 수행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70)을 제거한다. 다음에 전면에 유전체막(18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막(180) 위에 비아홀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막 패턴으로서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이 금속 배선을 위한 비아홀 영역의 유전체막(18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91)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공정으로 유전체막(180) 및 제2 금속간 절연막(160)의 노출 부분을 순차적으로 제거한다. 그러면 유전체막(180) 및 제2 금속간 절연막(160)을 관통하여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142/152)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162)이 만들어진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비아홀(162)을 형성한 후에 통상의 애싱공정을 수행하여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을 제거한다. 이때 트랜치(161) 내의 유전체 막(180) 위에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의 잔류물(192)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다음에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에 통상의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트랜치(161) 내의 상부 금속 전극막(미도시)과, 비아홀(162)이 금속막으로 채워져서 형성되는 비아컨택(미도시) 및 이 비아컨택 위의 상부 금속 배선막(미도시)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MIM 커패시터 형성방법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90)을 제거하고 난 후에 트랜치(161) 바닥에 남아있는 잔류물(192)을 제거하기 위하여, 애싱공정을 오랜 시간에 걸쳐 수행하고 또한 별도의 세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만으로는 상기 잔류물(192)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추가로 플루오르(Fluorine) 계열의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잔류물(192)은 제거할 수 있더라도, 플루오르에 의한 유전체막(180)의 손실을 피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MIM 커패시터의 특성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자의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는 MIM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MIM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위의 절연막상에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위에서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트랜치를 갖는 금속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간 절연막 및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노출면 위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막 위에 버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 절연막 위에 금속 배선을 위한 비아홀 형성 영역의 버퍼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막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을 형성한 후에 상기 마스크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트랜치 내에 남아있는 상기 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은, 각각 금속막 패턴 및 장벽금속층 패턴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절연막은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막은 적어도 100Å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막 패턴은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는 상기 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 외에 상기 버퍼 절연막까지 제거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금속간 절연막(230) 위에 MIM 커패시터를 위한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을 형성한다. 제1 금속간 절연막(230)은 절연막(210)을 개재하여 실리콘 기판과 같은 반도체 기판(200) 위에 배치된다.
절연막(210) 위에는 제1 금속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들(221, 222)이 배치되는데, 제1 금속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221)은 제1 비아컨택(231)을 통해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금속 레벨의 금속 배선막 패턴(222)은 제2 비아컨택(232)을 통해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은 제2 금속 레벨이 된다.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은 각각 하부 금속막 패턴(241, 242) 및 장벽금속층 패턴(251, 2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에 제1 금속간 절연막(230) 위에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을 덮도록 제2 금속간 절연막(26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금속간 절연막(260) 위에 트랜치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막 패턴으로서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7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70)이 MIM 커패시터를 위한 트랜치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271)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70)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공정으로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241/251)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트랜치(261)를 형성한다. 트랜치(261)를 형성한 후에는 통상의 애싱공정을 수행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70)을 제거한다. 다음에 전면에 유전체막(280) 및 버퍼 절연막(30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유전체막(280)은 질화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버퍼 절연막(300)은 산화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산화막은 적어도 100Å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후속의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지더라도 하부의 유전체막(280)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 버퍼 절연막(300) 위에 비아홀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막 패턴으로서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이 금속 배선을 위한 비아홀 영역의 버퍼 절연막(30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291)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을 식각마스크로 한 식각공정으로 버퍼 절연막(300), 유전체막(280) 및 제2 금속간 절연막(260)의 노출부분을 순차적으로 제거한다. 그러면 버퍼 절연막(300), 유전체막(280) 및 제2 금속간 절연막(260)을 관통하여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242/252)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262)이 만들어진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비아홀(262)을 형성한 후에 통상의 애싱공정을 수행하여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을 제거한다. 이때 트랜치(261) 내의 버퍼 절연막(300) 위에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의 잔류물(292)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잔류물(292)을 제거하기 위하여, 플루오르(F) 계열의 가스를 사용한 플라즈마처리를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애싱공정을 장시간 연장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의 잔류물(292)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유전체막(280)은 상부의 버퍼 절연막(300)에 의해 플루오르 가스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제2 포토레지스트막 패턴(290)의 잔류물(292)이 제거된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연장하여 버퍼 절연막(300)이 제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버퍼 절연막(300)의 제거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막(280)이 전면에 노출되는 결과물이 만들어진다. 다음에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에 통상의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트랜치(261) 내의 상부 금속 전극막(미도시)과, 비아홀(262)이 금속막으로 채워져서 형성되는 비아컨택(미도시) 및 이 비아컨택 위의 상부 금속 배선막(미도시)을 형성하면, MIM 커패시터가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IM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의 하면, 비아홀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막 패턴을 제거한 후에 트랜치 바닥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더라도, 유전체막 위의 버퍼 절연막에 의해 유전체막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식각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체막의 손실에 의한 MIM 커패시터의 특성 열화 없이 식각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MIM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반도체 기판 위의 절연막상에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위에서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트랜치를 갖는 금속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간 절연막 및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의 노출면 위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막 위에 버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 절연막 위에 금속배선을 위한 비아홀 형성 영역의 버퍼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막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을 형성한 후에 상기 마스크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트랜치 내에 남아있는 상기 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속 전극막 패턴 및 하부 금속 배선막 패턴은 각각 금속막 패턴 및 장벽금속층 패턴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절연막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100Å~300Å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막 패턴은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는 상기 마스크막 패턴의 잔류물 외에 상기 버퍼 절연막까지 제거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20040113157A 2004-12-27 2004-12-27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64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157A KR100641984B1 (ko) 2004-12-27 2004-12-27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157A KR100641984B1 (ko) 2004-12-27 2004-12-27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423A KR20060074423A (ko) 2006-07-03
KR100641984B1 true KR100641984B1 (ko) 2006-11-02

Family

ID=3716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157A KR100641984B1 (ko) 2004-12-27 2004-12-27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9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423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3280A1 (e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7417319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onnecting via and dummy vi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12296B2 (en) Self-aligned deep trench capaci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564626B1 (ko) 대용량 mim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7183171B2 (en) Pyramid-shaped capacitor structure
US2009025846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897824B1 (ko) 엠아이엠(mim) 캐패시터와 그의 제조방법
KR100551326B1 (ko) 캐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679257B1 (ko) 매립형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639000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70525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1984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641983B1 (ko) 이중 다마신 구조를 갖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및그 제조 방법
KR100678298B1 (ko) 트랜치 구조의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781446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제조 방법
US20230395649A1 (en)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 module
KR100638984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367491B1 (ko)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579862B1 (ko)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4144B1 (ko) Mim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688724B1 (ko) 고용량 mim 구조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52962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447729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71325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4851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