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280B1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280B1
KR100975280B1 KR20090099230A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R 100975280 B1 KR100975280 B1 KR 100975280B1 KR 20090099230 A KR20090099230 A KR 20090099230A KR 20090099230 A KR20090099230 A KR 20090099230A KR 100975280 B1 KR100975280 B1 KR 10097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yrolysis
supply unit
fu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주)메덱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덱스피아 filed Critical (주)메덱스피아
Priority to KR2009009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23G2201/304Burning pyro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에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연성가스/냉각수/연료를 복합공급부를 통해 복합바디에 공급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구성되어야하는 블로워의 개수를 1개로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 및 구조가 단순해지며, 복합공급모듈에 배치된 냉각수공급부를 통해 냉각수를 열분해모듈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분해가 완료된 열분해모듈의 냉각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Waste pyro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열분해하기 위해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열분해모듈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노즐을 통해 가스, 연료 및 냉각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산업화 양상을 나타내면서 '대량생산와 대량소비'에 따른 폐기물이 급증하는 가운데 폐기물 처리에 수반되는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이란 쓸모없게 되어 버리는 물질을 총칭하며, 통상적 관념내지는 폐기물 관리법에 따르면 '쓰레기·연소재·오니(汚泥)· 폐유(廢油)·폐산·폐알칼리·동물 사체 등 사람의 생활이나 산업활동에 필요없게 되어 버리는 물질'로 정의된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 처리방안에는 '감량', '재활용', '재생', '매립', '소각'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감량, 재활용, 재생 등은 최종적인 폐기물 처리방안이 되지 못하는 관계로 제외하고, 매립은 장기간에 걸쳐 심각한 토질 및 수질오염을 초래하므로 각국의 강력한 규제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주로 '소각'의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는 화염(火焰)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태워 제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방법 역시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즉, 폐기물에 직접적인 화염을 가하는 소각의 경우에 폐기물의 적재량, 밀도, 수분 함유량, 소각로 크기, 가열온도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완전연소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불완전 연소에 따른 그을음, 먼지, 대기오염 공해배출가스 등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온 및 진공환경에서 폐기물을 열분해(pyrolysis)하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일반적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열분해로 내부에 폐기물을 투입시킨 후,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열분해로를 가열시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시킨다.
그래서 일반적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열분해 과정에서 열분해로 내부를 진공으로 조성/유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열분해로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전체적인 장치가 과다하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가열된 열분해로 내부의 공기를 인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려 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혼합기체를 완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열분해하기 위해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열분해모듈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노즐을 통해 가스, 연료 및 냉각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에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바디(52)는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미들탱크(70)로 안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탱크(70)는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된 미들탱크바디(71);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복합바디와 연통된 미들유입구(74);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탱크와 연통된 상기 미들배기구(72)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 및 상기 미들배기구(72)는 상기 미들탱크바디를 기준으로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 상기 복합바디(52) 및 상기 블로워(54)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탱크(80)는 상기 미들배기구(72)를 통해 토출된 기체를 상기 미들탱크(70)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는 나선유로(8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수공급부(11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화모듈(40)은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기화모듈바디(41); 상기 기화모듈바디(41) 및 상기 냉각모듈(30)을 연결시켜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도록 배치된 유체유입구(44);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저장된 유체 중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서 토출된 기체를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하는 유체배기구(42);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화모듈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을 연소시키기 위해 기체가 이동되는 3중 차벽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에서 발생된 기체를 다시 한번 완전 연소시키는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의 방출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가연성가스/냉각수/연료를 복합공급부를 통해 복합바디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각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구성되어야하는 블로워의 개수를 1개로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 및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복합공급모듈에 배치된 냉각수공급부를 통해 냉각수를 열분해모듈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분해가 완료된 열분해모듈의 냉각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공급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화모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99)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과, 상기 열분해모듈(10)에서 배출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과, 상기 냉각모듈(30)에 의해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액체를 분리시키는 기화모듈(40)과, 상기 폐기물(99)이 배치된 상기 열분해모듈(10)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진공펌프(19)와,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가연성의 기체 또는 상기 폐기물(99)을 열분해시키기 위한 연료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열분해모듈(1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한다.
상기 열분해모듈(10)은 폐기물(99)이 배치되는 이너탱크(60)와, 상기 이너탱크(60)의 외측을 둘러싸게 형성된 미들탱크(70)와, 상기 미들탱크(70) 외측을 둘러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와, 상기 이너탱크(60)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도어(15)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탱크(60)는 이너탱크바디(61)와, 상기 이너탱크바디(61)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15)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65)와, 상기 이너탱크바디(61)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에서 발생된 기체가 배출되는 이너배기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탱크(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65)는 상기 이너탱크(60)의 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15)와의 밀폐를 위해 패킹(64)이 배치되고, 상기 패킹(64)은 상기 도어(15) 및 상기 이너탱크바디(6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15)의 폐쇄 시 밀착됨으로서 상기 이너탱크바디(61) 내부의 공기가 상기 투입구(65)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패킹(64)은 상기 도어(15)의 압착 시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을 위한 패킹배관(64a)이 배치되며 상기 패킹배관(64a)에 워터펌프(32)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면서 상기 패킹(64)을 냉각시킨다.
상기 도어(15)는 상기 이너탱크바디(6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이너탱크바디(61)에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한 도어체결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체결 부(16)는 본 실시예에서 볼트 체결에 의한 클램프 기구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탱크(60) 내부는 상기 진공펌프(19)와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19)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이너탱크바디(61)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펌프(19)는 상기 이너배기구(62)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9) 및 상기 이너배기구(62) 사이에 체크밸브(63)가 배치되어 상기 진공펌프(19) 측으로 토출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이너배기구(62)는 상기 진공펌프(19) 또는 상기 냉각모듈(30)로 분지되어 연결되고, 상기 이너배기구(62)에서 토출된 기체는 상기 진공펌프(19) 또는 상기 냉각모듈(30)로 선택되어 유동된다.
상기 미들탱크(70)는 상기 이너탱크(60)의 외측을 감싸게 형성된 미들탱크바디(71)와, 상기 아우터탱크(80)와 연통되게 형성된 미들배기구(72)와,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발생된 화염을 상기 미들탱크바디(71) 내부로 안내하는 미들유입구(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들유입구(74)는 상기 아우터탱크(8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는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서 생성된 화염이 상기 미들탱크바디(71)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휘돌아 유동되도록 상기 미들배기구(72)와 반대편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열분해모듈(10)이 축중심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탱크(80)는 상기 미들탱크(70)의 외측을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바디(81)와, 상기 아우터탱크바디(81) 및 상기 미들탱크바디(7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미들배기구(72)에서 토출된 기체를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는 나선유로(84) 와, 상기 나선유로(84)의 기체를 아우터탱크바디(81) 외측으로 안내하는 아우터배기구(82)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유로(84)는 상기 아우터탱크바디(81) 내부에 유입된 기체가 가능한한 오랫동안 머물도록 유로를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열분해모듈(10)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연료비를 절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유로(84)는 상기 미들탱크바디(71) 및 상기 아우터탱크바디(81) 사이를 구획시키는 격벽(85)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격벽(85)은 상기 미들탱크바디(7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나선유로(84)의 끝단은 상기 아우터배기구(82)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열분해모듈(10)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 및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열분해모듈(10)의 가열 후, 상기 이너탱크(6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폐기물(99)에서 가스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열 후에도 상기 이너탱크(60)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로 유지되면 상기 폐기물(99)의 열분해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냉각모듈(30)은 물을 공급시키는 워터펌프(32)와, 상기 이너배기구(62)에서 토출된 유체가 유입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4)와, 상기 워터펌프(32)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열교환기(34)로 공급하는 제 1 냉각배관(36)과, 상기 워터펌프(32)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패킹(64)으로 공급시켜 상기 패킹(64)을 냉각시키는 제 2 냉각배관(38)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펌프(32)는 본 실시예에서 상수도 시설의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상기 열교환기(3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냉각유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열교환기(34)는 상기 이너배기구(62)에서 분지된 배관(62a)과 연결되고, 상기 워터펌프(32)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열교환기바디(35)와, 상기 배관(62a)과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바디(35)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배기구(62)에서 토출된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유로(37)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유로(37)에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이너탱크(60) 내부에서 토출된 유체인 바,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유체이다. 여기서 상기 폐기물(99)의 열분해과정에서는 고온으로 인해 대부분 기체로 상기 열교환유로(37)에 유동되고, 상기 열교환기바디(35)에 저장된 냉각수로 인해 고온의 기체가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유로(37)를 유동하는 기체 중 일부는 냉각수로 인해 냉각된 열교환유로와 열교환되어 액체 상태로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액체 및 냉각된 기체는 상기 기화모듈(40)로 유동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유로에서 냉각된 유체는 가연성 기체, 수증기/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냉각배관(36)은 상기 열교환기바디(3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공급배관(36a)과, 상기 열교환기바디(35)의 물을 회수하기 위한 제 1 회수배관(36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냉각배관(38)은 상기 패킹배관(64a)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공급배관(38a)과, 상기 패킹배관(64a)의 물을 회수하기 위한 제 2 회수배 관(38b)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냉각모듈(30)은 상기 열교환기(34)를 냉각시키기 위한 부분과 상기 패킹(64)을 냉각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각각 구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냉각부분을 별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34) 및 상기 패킹(64)에는 각각의 온도센서(미도시)를 배치시켜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수를 공급시킨다. 이와 달리 상기 워터펌프(32)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기(34) 및 패킹(64)을 거쳐 순환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열교환기(34) 또는 상기 패킹(64) 중 어느 한 부분에서 대량의 열을 흡수하게 되면 다른 쪽에서는 열교환이 적게 이루어져 냉각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저하 또는 패킹(64)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화모듈(40)은 내부에 액체가 저장된 기화모듈바디(41)와, 상기 열교환유로(37)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도록 배치된 유체유입구(44)와,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서 토출된 유체를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하는 유체배기구(42)와,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가열수단(43)과, 상기 유체배기구(42)에 설치된 유량밸브(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34)를 거쳐 냉각된 유체는 상기 유체유입구(44)에서 상기 기화모듈바디(41)를 거쳐 상기 유체배기구(42)로 유동되고, 상기 각 유량밸브(45)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조절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량밸브(45)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가열수단(43)은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 또는 열선이 사용되고, 가열 원리에 따라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ent, Thermally Sensitive Resistor), 니크롬선에 의한 전열선 등 다양한 종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화모듈(40) 내부의 액체는 상기 폐기물(99)에서 발생된 수분 및 기름성분이 저장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기화모듈바디(41)의 액체를 기화시킴으로서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서 폐기물에서 발생된 모든 기체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연소시키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임의로 동물의 사체인 경우로 가정하면, 상기 사체의 열분해 시(侍) 발생되는 기체는 초기에 주로 수증기를 비롯한 기름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일정 시점 이후부터는 가연성 가스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기화모듈(40)에서 추출된 가연성가스 및 상기 연료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폐기물(99)에서 발생된 배출가스의 완전연소 및 연료비 절감을 통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냉각모듈(30) 및 기화모듈(4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열분해모듈(10)에서 발생된 가스를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직접 공급할 경우, 고온의 열로 인해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연결된 다수의 밸브들이 손상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열분해모듈(10)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유체는 900℃ 이상의 기체인 바 상기 고온의 기체를 냉각시키지 않고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하면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연결된 밸브 장치 및 밸브의 제어를 위해 연결된 전선들이 열 에 의해 모두 손상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열분해모듈(10)에서 발생된 고온의 가스를 냉각시킨 후, 적정온도로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해야만 복합공급모듈(50)의 손상이 적고, 이를 통해 폐기물 처리장치의 수명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냉각모듈(30)을 통해 열분해모듈(10)에서 토출된 유체의 온도를 낮춘 후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다시 가열하고, 상기 유체배기구(42)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150℃ 이하의 기체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화모듈(40)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가열수단(43) 및 유량밸브(45)를 제어한다.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미들탱크(70)의 미들유입구(74)와 연결된 복합바디(52)와,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미들유입구(74)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blower)와, 상기 유체배기구(42)로부터 폐기물에서 배출된 가연성기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와, 상기 냉각모듈(30)의 워터펌프(32)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와, 상기 연소시킬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와, 상기 가스공급부(100)/냉각수공급부(110)/연료공급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합바디(52)에 연결시키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바디(52)는 상기 블로워(54)에서 공급된 고속의 공기와 상기 복합공급부(90)에서 공급된 유체를 혼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가연성 기체 또는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버너(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워(54)는 상기 미들유입구(74)와 동일한 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굴절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미들유입구(74)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공급부(90)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방향과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고, 이와 달리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복합공급부(90)에서 토출되는 유체는 상기 복합바디(52)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블로워(54)에서 발생된 고속의 공기에 의해 상기 복합바디(52)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고속의 공기는 상기 미들유입구(74)를 향해 고속으로 유동되고, 상기 유동과정에서 상기 복합공급부(90)의 토출단에 유속에 의한 저압을 형성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복합공급부(90) 내부의 유체가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복합바디(52)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복합공급부(90)는 일단이 상기 가스공급부(100)/냉각수공급부(110)/연료공급부(120)와 연결된 복수개의 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상기 복합바디(5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일단은 복수개의 관이 연결되나, 타단은 하나의 관 또는 복수개의 관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하나의 관을 통해 여러 종류의 유체가 유동되어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되어도 무방하고, 가스가 공급되는 관/냉각수가 공급되는 관/연료가 공급되는 관 등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복합공급부(90)의 타단은 연료의 효율적인 연소를 위해 노즐(미도시)을 배치시킨 후, 운무 상태로 연료/냉각수를 분사시킴으로서 완전연소/급속냉각을 구현시킬 수 있고, 상기 가연성 기체와 혼합되어 분사되는 경우에는 상기 노즐에 의한 분사로 인해 연료 및 가연성 기체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유체배기구(42)와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과,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과,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밸브(106)는 제어부(미도시)의 전기적인 신호 또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배기구(42)에서 토출된 가스의 유동경로를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또는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내에 찌꺼기가 점착되거나 관 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가스이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바,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의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며 상기 바이패스밸브(106)에서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으로 가스의 유동경로를 전환시킨다.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워터펌프(32)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과,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과,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한 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밸브(116)는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또는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서 상기 복합공급부(9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와,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과,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과,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공급부(90)를 거쳐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연료관(122)의 연료공급량은 상기 서브연료관(124)의 연료공급량에 비해 더 많은 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연료관(125)의 연료공급량 대비 상기 메인연료관(122)의 연료공급량의 비율이 1:2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126)는 상기 메인연료관(122) 또는 상기 서브연료관(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도록 제어된다.
그래서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의 조합에 의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은 1, 2, 3 단계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열분해모듈(10)에 제공하는 화력을 조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배관을 간략하게 하나의 선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고 배관의 직경을 달리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공급부(100)/냉각수공급부(110)/연료공급부(120)에 각각 메인배관/서브배관 및 바이패스밸브로 구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메인배관/서브배관으로만 구성되어 유체를 이동시키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서브가스공급관(104)이 각각 기화모듈(40)에 연결되어 가연성기체를 공급받도록 구성하여도 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연료공급부(120)도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어(15)를 열어서 이너탱크(60) 내부에 폐기물(99)을 투입하고, 상기 도어(15)를 닫은 후, 도어체결부(16)를 결속시켜 상기 이너탱크(60)의 투입구(65)를 밀폐시키고, 상기 도어(15)의 체결과정에서 상기 패킹(64)이 밀착되면서 상기 투입구(65)의 주변이 밀폐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진공펌프(19)를 작동시켜 상기 이너탱크바디(6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 상기 이너탱크바디(61)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도어(15)의 폐쇄를 확인한 후, 상기 폐기물(99)의 열분해를 위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시작한다.
작업자가 열분해를 위한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온(ON)시키면, 상기 연료공급부(120)에 제어신호가 전달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료탱크(125)의 연료가 상기 메인연료관(122) 또는 상기 서브연료관(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복합 공급부(90)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워(54)가 작동되어 고속의 공기를 상기 미들유입구(74)로 토출시키면서, 상기 복합바디(52) 내부에 배치된 버너(미도시)에 상기 복합공급부(90)로 유동된 연료가 공급됨과 아울러 스파크에 의한 착화가 이루어져, 상기 버너가 점화되고,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은 상기 미들유입구(74)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탱크바디(71)로 유입된 화염은 상기 이너탱크바디(61)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휘돌면서 상기 이너탱크바디(61)를 가열시키고, 상기 이너탱크바디(61)의 외주면을 휘돌면서 연소된 기체는 미들배기구(72)를 통해 미들탱크바디(71) 및 아우터탱크바디(81) 사이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미들배기구(72)는 상기 미들탱크바디(71)를 기준으로 상기 미들유입구(74)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유입구(74)를 통해 유입된 화염이 최장거리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아우터탱크바디(81)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미들탱크바디(7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아우터배기구(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탱크(80)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미들탱크바디(71) 및 아우터탱크바디(81) 사이에 형성된 나선유로(84)를 따라 이동됨으로서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이를 통해 열효율 향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연료 소비를 저감시킨다.
한편, 상기 이너탱크바디(61) 내부에 배치된 폐기물(99)은 상기 미들탱 크(70)를 통해 가해진 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서 진공 상태에서 열분해되고, 상기 폐기물(99)에서 배출된 기체는 상기 이너배기구(62)를 통해 열교환기(34)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배기구(62)에서 토출된 기체는 상기 증기펌프(19) 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분지된 냉각모듈(30) 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냉각모듈(30)의 열교환유로(37)로 유동된 기체는 상기 열교환바디(35)에 저장된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기체가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펌프(32)는 상기 제 1 냉각배관(36)을 통해 상기 열교환바디(35) 내부의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상기 열교환유로(37)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로(37)는 상기 열교환바디(35) 내부에서 최장거리로 배치되기 위해 나선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유로(37)에서 냉각된 기체 및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기화모듈(40)로 이동된다.
상기 기화모듈(40)로 이동된 유체 중 상기 기화모듈(40) 내부로 유입된 응축액은 상기 기화모듈(40) 하측에 저장되며, 상기 기화모듈(40)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유체배기구(42)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기화모듈(40) 내부의 응축액은 상기 가열수단(43)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기체로 변환된 후 상기 유체배기구(42)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배기구(42)를 통해 배출된 가연성 기체는 상기 유량밸브(45)/바이패스밸브(106)를 통해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또는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에 공급된 후 상기 복합공급부(90)에 공급된 후, 상기 복합바디(52) 내부 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복합바디(52)로 유입된 가연성 기체는 상기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된다. 그래서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연료/가연성기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연소시킴으로서, 상기 폐기물(99)에서 발생된 가스를 재차 연소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기 폐기물(99)에서 발생된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복합바디(52)에서 연소된 가연성 기체는 상기 미들탱크(70)/아우터탱크(80)를 거쳐 완전연소된 후 상기 아우터배기구(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불완전연소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99)을 연소시키기 위해 기체가 이동되는 3중 차벽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99)에서 발생된 기체를 다시 한번 완전 연소시키는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의 방출을 최소화시키는 구조이다.
즉,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서 발생된 화염은 미들탱크(70)를 가열시킨 후, 아우터탱크(80)로 이동되고, 상기 아우터탱크(80)에서 나선유로(84)를 따라 상기 미들탱크(70)를 재차 가열시키면서 유동된 후, 아우터배기구(82)로 토출됨으로서, 상기 복합바디(52)에서 발생된 고온의 화염이 상기 열분해모듈(10)에 머무는 시간 및 경로를 최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들탱크(70)의 가열에 의해 상기 이너탱크(60)가 가열됨으로서 폐기물(99)의 열분해가 발생되고, 상기 폐기물(99)에서 발생된 가스가 바로 배출되 지 않고, 상기 열교환기(34), 기화모듈(40) 및 복합공급부(90)를 거쳐 복합바디(52)로 재차 유입되어 연소됨으로서 폐기물에서 발생된 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너탱크(60)에서 배출된 열을 회수하여 다시 사용함으로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연성 기체의 공급 및 열분해모듈(10)의 가열에 의해 상기 열분해모듈(10)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로 높아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연료관(122)/서브연료관(124)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여 상기 열분해모듈(10)의 온도를 적정치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가연성 기체의 공급량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연료의 공급량은 능동적으로 제어됨으로서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시킨다.
한편, 폐기물(99)의 열분해가 완료된 후 종래에는 상기 열분해모듈(10)이 적정온도로 식을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도어(15)를 개방하여 폐기물(99) 찌꺼기를 청소해야 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폐기물(99)의 열분해 후 상기 열분해모듈(10)을 강제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열분해 후, 상기 워터펌프(32)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또는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공급시키고, 상기 블로워(54) 및 복합바디(52)를 통해 상기 미드탱크(70)로 유동시킴으로서 상기 열분해모듈(10)을 강제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공급부(90)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열분해모듈(10)의 잔열에 의해 기화되면서 열분해모듈(10) 내부의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폐기물 처리장치의 재 사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열분해 모듈(1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은 상기 냉각수가 원활히 기화될 수 있는 양만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분해모듈(10)에 배치된 온도센서의 온도변화를 감지한 후,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수가 상기 미들탱크(70)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특히,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이너탱크(60)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는 바, 상기 폐기물과의 반응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이로 인해 유해물질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술한 온도센서의 위치/작동구조, 진공펌프(19)의 작동구조/연결구조, 블로워(54)의 구조, 버너(미도시)의 배치 및 작동구조 및 바이패브밸브의 구조 및 작동원리 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공급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화모듈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열분해모듈 30 : 냉각모듈
40 : 기화모듈 50 : 복합공급모듈
60 : 이너탱크 70 : 미들탱크
80 : 아우터탱크 90 : 복합공급부
99 : 폐기물 100 : 가스공급부
110 : 냉각수공급부 120 : 연료공급부

Claims (13)

  1.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에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디(52)는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미들탱크(70)로 안내하게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들탱크(70)는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된 미들탱크바디(71);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복합바디와 연통된 미들유입구(74);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탱크와 연통된 상기 미들배기구(72)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 및 상기 미들배기구(72)는 상기 미들탱크바디를 기준으로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들유입구(74), 상기 복합바디(52) 및 상기 블로워(54)는 일렬로 배치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탱크(80)는
    상기 미들배기구(72)를 통해 토출된 기체를 상기 미들탱크(70)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는 나선유로(84)가 더 형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10.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수공급부(11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모듈(40)은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기화모듈바디(41);
    상기 기화모듈바디(41) 및 상기 냉각모듈(30)을 연결시켜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도록 배치된 유체유입구(44);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저장된 유체 중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서 토출된 기체를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하는 유체배기구(42);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화모듈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43)을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KR20090099230A 2009-10-19 2009-10-19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10097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o) 2009-10-19 2009-10-19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o) 2009-10-19 2009-10-19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80B1 true KR100975280B1 (ko) 2010-08-12

Family

ID=4275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o) 2009-10-19 2009-10-19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79B1 (ko) 2009-12-01 2012-01-31 (주)메덱스피아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WO2013142930A1 (pt) * 2012-03-29 2013-10-03 Bonetti Valdinei Antonio Domingues Sistema para reaproveitamento de matéria orgânic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06B1 (ko) 2000-11-06 2003-12-18 주식회사 대경크리코 열분해 용융 방식을 이용한 폐기물 소각시스템
KR100538441B1 (ko) 2002-05-15 2005-12-22 박수규 수소가스를 이용한 사체 열분해가스화용융사리화 화장시스템
KR100686370B1 (ko) 2003-07-28 2007-02-22 구재완 연속식 액상 및 고상의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06B1 (ko) 2000-11-06 2003-12-18 주식회사 대경크리코 열분해 용융 방식을 이용한 폐기물 소각시스템
KR100538441B1 (ko) 2002-05-15 2005-12-22 박수규 수소가스를 이용한 사체 열분해가스화용융사리화 화장시스템
KR100686370B1 (ko) 2003-07-28 2007-02-22 구재완 연속식 액상 및 고상의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79B1 (ko) 2009-12-01 2012-01-31 (주)메덱스피아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WO2013142930A1 (pt) * 2012-03-29 2013-10-03 Bonetti Valdinei Antonio Domingues Sistema para reaproveitamento de matéria orgânic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233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670856B1 (ko)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방법
KR101788165B1 (ko) 고분자 폐기물 고온소각장치
KR100975280B1 (ko)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101109679B1 (ko)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KR101723818B1 (ko) 완전연소 시스템 및 완전연소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KR101044841B1 (ko) 진공방식 탄화로를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RU74689U1 (ru) Огневой нейтрализатор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ков
KR100777616B1 (ko) 고탄소성 산업폐기물의 저온 열분해장치
KR200432376Y1 (ko)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KR100822870B1 (ko)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100076757A (ko) 분해로와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CN112958611A (zh) 一种用于污染土壤热脱附修复的燃油燃烧处理的方法
KR20080000207A (ko) 동물 사체 및 폐목 소각 시설
KR101071576B1 (ko)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100799349B1 (ko) 열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0526949B1 (ko) 쓰레기 소각 시스템
LT5938B (lt) Padangų, gumos, plastiko, automobilių tepalo filtrų ir medienos plokščių atliekų utilizavimo ir šildymo įrenginys bei jo veikimo būdas
KR100230188B1 (ko) 복합형 소각장치
CN216064835U (zh) 一种用于污染土壤热脱附修复的燃油燃烧处理装置
CN2725722Y (zh) 高浓度挥发性流体焚化***
KR20230006750A (ko) 분해로와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JP2004277551A (ja) 熱分解ガス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