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356B1 -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 Google Patents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56B1
KR100973356B1 KR1020070115636A KR20070115636A KR100973356B1 KR 100973356 B1 KR100973356 B1 KR 100973356B1 KR 1020070115636 A KR1020070115636 A KR 1020070115636A KR 20070115636 A KR20070115636 A KR 20070115636A KR 100973356 B1 KR100973356 B1 KR 10097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eparation tank
product
products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9398A (en
Inventor
박광선
Original Assignee
(주)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명 filed Critical (주)거명
Priority to KR102007011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56B1/en
Publication of KR2009004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바퀴(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된 메인 프레임(1);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필터(11)에 의해 흡입된 폐부산물을 분리 배출하는 분리 탱크(10); 상기 분리 탱크(10)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블로워(20); 및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밀폐형 하우징(51)이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57)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래퍼(58)가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을 긁고 가면서 상기 분리 탱크(10)로부터 인입된 폐부산물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that greatly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the main frame (1) made to be movable by the wheel (3); A separation tank 10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and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ste by-products sucked by a filter 11 installed therein; An air blower 20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0 to generate suction power; And a scraper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and a scraper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hain 57 which rotates in an infinite orbit in the sealed housing 51. (58) consists of a closed chain conveyor (50)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waste by-products drawn from the separation tank (10) while scraping the bottom of the closed housing (51).

폐부산물, 폐슬러리, 분진, 일체형, 수거장치, Waste by-products, waste slurry, dust, integrated

Description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본 발명은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부산물을 수거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비들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폐부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ll the equipment necessary to collect the wast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industrial field is provided with a single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greatly improved the work efficiency.

철강, 조선, 자동차와 같은 중공업 분야에서는 산업의 특성상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분체 형태의 폐부산물이 다량으로 발생한다. 철강 산업을 예를 들면, 제철소 내의 폐수처리 설비에서는 폐슬러리가 다량 발생하고, 열연 과정에서는 슬라브의 표면에 많은 산화 스케일이 생성된다. 또한, 분진, 더스트, 여과사 등의 폐부산물은 대부분의 공장 내에서 다량으로 발생한다. Heavy industries such as steel, shipbuilding, and automobiles generate large amounts of waste by-products during the production of products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In the steel industry, for example, a large amount of waste slurries are generated i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steel mills, and many oxide scales are produced on the surface of slabs during hot rolling. In addition, waste by-products such as dust, dust, filter sand, etc. are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in most factories.

이러한 폐부산물은 정기적으로 수거된다. 폐슬러리, 스케일과 같이 오염수가 함유된 폐부산물의 경우에는 별도로 보관된 저장탱크 내에 호스를 삽입하고 이를 흡입 블로워를 이용하여 외부의 스크랩 박스 등으로 배출시킨다. 반면, 분진, 더스트 등과 같은 폐부산물은 공장 천정이나 벽면에 쌓여 있는 것을 진공 청소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흡입 제거한다. 이와 같이, 폐부산물 수거 작업은 수거 대상의 종류나 양, 공장 구조 등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se waste by-products are collected regularly. In the case of waste by-products containing contaminated water, such as waste slurry and scale, a hose is inserted into a separate storage tank and discharged to an external scrap box using a suction blower. On the other hand, waste by-products such as dust and dust are sucked and removed from the factory ceiling or wall using a device such as a vacuum cleaner. As such, the waste by-product collection operation is made in a wide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the type and quantity of objects to be collected, the plant structure and the like.

도 1에는 다양한 폐부산물의 수거 작업에 사용되어 오던 종래의 수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collection device that has been used for the collection of various waste by-products.

폐부산물 수거장치는 크게 분리 탱크(10), 에어 블로워(20) 및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로 구성된다. The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is mainly composed of a separation tank 10, an air blower 20 and an exposed belt conveyor 30.

상기 분리 탱크(10)는 상하로 긴 원통형 철피로 만들어지고, 하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폐부산물이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되어 있다. 콘 형상의 하부 끝단에는 모여진 폐부산물을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토출기(15)가 토출용 모터(16)와 함께 장착된다. 상기 분리 탱크(10)의 내부에는 중앙 부근에 다수개의 필터(11)가 설치되며, 하부 공간에는 흡입 파이프(12)가 연통 형성되고 상부 공간에는 배출 파이프(13)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 탱크(1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11)에 부착된 폐부산물을 털어내기 위하여 에어 펄스를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14)가 설치된다. The separation tank 10 is made of a long cylindrical steel shell up and down, the lower portion is made of a conical shape so that the waste by-products falling into the center are coll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e shape, an ejector 15 for constantly discharging the collected waste by-products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discharging motor 16. In the separation tank 10, a plurality of filters 11 are installed near the center, a suction pipe 12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and a discharge pipe 13 is formed in the upper space. In addition, a pulse generator 14 for generating air pulses at regular intervals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tank 10 to shake off the waste by-product attached to the filter 11.

상기 배출 파이프(13)에는 흡입용 모터(21)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 블로워(20)가 연결 설치되고, 이 에어 블로워(20)에는 배기 파이프(22)가 형성되어 흡입된 에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 탱크(10)와 에어 블로워(20)는 하나의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수거 작업이 필요한 장소로 함께 이동된다.An air blower 20 operated by the suction motor 2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3, and an exhaust pipe 22 is formed in the air blower 20 to discharge the sucked air into the atmosphere. It is composed.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air blower 20 are installed in one vehicle and moved together to a place where collection work is required.

한편, 상기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는 상기 분리 탱크(10) 및 에어 블로워(20)와는 별도로 운반되어 현장에서 조립 사용된다. 이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는 그 일단이 상기 분리 탱크(10)의 토출기(15) 하부에 놓여지고, 타단은 폐 부산물을 담아서 덤프 트럭 등으로 운송하는 스크랩 박스(4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동되며, 벨트(31) 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버켓(32)에 폐부산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is transported separately from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air blower 20 is used in the field assembly.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has one end under the ejector 15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other end over the scrap box 40 containing waste by-products and transporting them to a dump truck or the like. To be installed. And, it is driven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housing, the waste by-products are stacked and transported to the bucket 32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elt 31.

종래의 폐부산물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분리 탱크(10)의 흡입 파이프(12)에 호스를 연결하고 이를 폐부산물이 있는 장소까지 연장하여 이를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흡입용 모터(21)로 에어 블로워(20)를 작동시키면, 폐부산물이 흡입 파이프(12)를 통해 분리 탱크(10)의 내부로 이송된다. Collection work using the conventional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hos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2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is installed to suck it by extending it to a place where waste by-products are located. Then, when the air blower 20 is operated by the suction motor 21, the waste by-product is transferred into the separation tank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2.

이송된 폐부산물은 필터(11)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펄스 발생기(14)에 의해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부로 낙하하고, 필터링된 에어는 배출 파이프(13), 에어 블로워(20) 및 배기 파이프(22)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낙하된 폐부산물은 토출기(15)를 통해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의 버켓(32) 위에 일정한 양으로 토출되어 벨트(31)를 따라 스크랩 박스(40)로 이송된다. The conveyed waste by-product is filtered by the filter 11 and then dropped by the pulse generator 14 to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o the pipe 13, the air blower 20 and the exhaust. It is released through the pipe 22 into th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the dropped by-products are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n the bucket 32 of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through the ejector 15 is transferred to the scrap box 40 along the belt 31.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coll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가 분리 탱크(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더욱이, 상기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는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폐부산물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분진 등이 날려서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폐슬러리나 스케일과 같이 오염수가 함유된 폐부산물의 경우 에는 버켓(32)에 적재된 상태에서 오염수가 밖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작업 환경을 더욱 악화시켰다.First, since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is not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ion tank 10, it takes a long time to separately transport and assemble and install it on site. Furthermore, since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is not provided with a housing, since waste by-products are transported to the outside, dust is blown ou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wor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aste by-products containing contaminated water, such as waste sludge and scale, the contaminated water flows out while being loaded into the bucket 32, thereby worsening the working environment.

둘째, 상기 펄스 발생기(14)를 작동시키는 에어 컴프레서와,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 등이 수거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외부에서 가져다 쓰기 위해서는 복잡한 케이블 연결 등이 필요하였고, 이에 의해 작업 시간이 또 지연되었다. Second, since an air compressor for operating the pulse generator 14 and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device are not installed in the collecting device, a complicated cable connection or the like is required to bring this to the outside. This was delayed again.

세째, 폐부산물은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에 의하여 운반되기 때문에 이송되는 거리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스크랩 박스(40)를 반드시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의 길이(통상 7~10m)로 구획되는 영역 안에 설치하여야 했으며, 이는 기계 장치 등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공장 구조상 매우 어려운 조건이 되기도 하였다. Third, since the waste by-products are carried by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the distance to be transported was very limited. Therefore, the scrap box 40 must be installed in an area divided by the length of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typically 7-10 m), which may be a very difficult condition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plant. It wa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폐부산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밀폐형으로 제작하여 분리 탱크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한편, 수거 작업에 필요한 주요 장비들도 함께 설치하여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ile the conveyor for producing waste by-products conveyed in a hermetically sealed type, combined with the separation tank integrally, the main equipment required for the collection operation is also installed together to great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수거된 폐부산물을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곳까지 압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collected waste by-products to a desired place without being limited by dist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흡입된 폐부산물을 분리 배출하는 분리 탱크와, 상기 분리 탱크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블로워와, 상기 분리 탱크의 토출기 하부에 놓여지고,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밀폐형 하우징이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하우징의 내부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래퍼가 상기 밀폐형 하우징의 바닥을 긁고 가면서 상기 분리 탱크로부터 인입된 폐부산물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탱크는 상기 필터가 탱크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 공간으로 폐부산물이 흡입되는 흡입 파이프가 연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되는 타측 공간으로 배출 파이프가 연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에 부착된 폐부산물을 털어내기 위하여 에어 펄스를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가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필터링된 폐부산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기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는 상기 펄스 발생기에 에어 펄스 발생용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탱크에는 그 하단부에 폐부산물의 원활한 토출을 위하여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블로워는 상기 분리 탱크의 배출 파이프에 연결 설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용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흡입된 에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배기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는 상기 분리 탱크의 토출기로부터 폐부산물이 인입되는 쪽보다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이송된 폐부산물이 배출되는 쪽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폐부산물이 인입되는 쪽의 밀폐형 하우징에는 오염수 배출용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의 스크래퍼는 전체적으로 강성 금속재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형 하우징의 바닥에 닿는 하단부는 연성 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frame manufactured to be movable by the wheel, and is fixed to the main frame, the separation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waste by-products sucked by the filter installed therein A tank, an air blower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to generate suction force, and a hermetic housing disposed below the discharger of the separation tank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the hermetic housing In the interior of the scraper is installed on the chain rotates at a fixed interv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es a closed chain conveyor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he waste by-product introduced from the separation tank while scraping the bottom of the hermetic housing, the separation tank is A filter is mounted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tank into two spaces, and the filter An intake pipe through which waste by-products are sucked into one space separated by the air is formed, and a discharge pipe is formed through the other space separated by the filter, and air pulses are periodically fixed to shake off the waste by-products attached to the filter.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pulse generator is installed, and a lower part is provided with an ejector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ste by-products to the outside, and an air compressor for supplying air for generating air pulses to the pulse generator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the separation tank is provided. A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ste product to smoothly discharge the air blower. The air blower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separation tank, and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is connected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n exhaust pipe is formed, and the closed chain con Bayer has a higher discharge side of the waste by-product transported by the scraper than the discharge side of the discharge tank of the separation tank is discharged, the contaminated housing on the side of the waste by-product is introduced into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motor Is installed, the scraper of the hermetic chain conveyor is entirely composed of a rigid metal material, the lower end of the bottom of the hermetic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resin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에 따르면, 수거 작업 에 필요한 주요 장비들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폐부산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할 때 분진이 날리거나 오염수가 떨어지지 않아 작업 환경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에어 블로워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해버리는 에어를 재활용하여 폐부산물을 원하는 곳으로 압송함으로써 수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equipment necessary for the collection operation is integrally provid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waste by-products are transported to the conveyor, no dust is blown or contaminated water is dropp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t also recycles the air that is released from the air blower into the atmosphere, forcing the waste by-products to the desired location, making the collection process more conveni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의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부산물을 흡입하여 분리하는 분리 탱크(10), 이 분리 탱크(10)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블로워(20), 및 상기 분리 탱크(10)로부터 배출된 폐부산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거장치와 유사하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ion tank 10 for sucking and separating waste by-products, an air blower 20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separation tank ( It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ollection device shown in Fig. 1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waste by-product discharged from 10) to a desired place.

그러나, 본 발명은 분리 탱크(10)와 별도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 사용하던 컨베이어를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메인 프레임(1) 상에 분리 탱크(10)와 일체로 설치하여 함께 운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컨베이어를 종래의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와 달리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로 제작하여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하였는 바, 이를 첫 번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orks by transporting separately from the separation tank 10 so that the conveyor used in the field can be transported by being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ion tank 10 on the main frame 1 made to be movable. Shortening the time, and unlike the conventional exposed belt conveyor produced a closed chain conveyor 50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significantly, which is the first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은 폐부산물 수거장치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에어 컴프레서(60) 및 케이블 릴(70)을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60)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 발생기(17)를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는 바, 이를 두 번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on generator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and the air compressor (60) and cable reel (70) required to drive the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s operated by the air compressor (60) By installing (17)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tank 10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llection operation, this is the second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된 폐부산물을 압송 호퍼(80)에 저장하고 종래에 상기 에어 블로워(20)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해버리던 에어를 압송 파이프(23)를 통해 상기 압송 호퍼(80)로 보냄으로써, 수거된 폐부산물을 컨베이어의 길이에 제한받지 않고 원하는 곳까지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를 세 번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waste by-product transported by 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in the pressure hopper 80 and the air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discharged from the air blower 20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ressure pipe (23). By sending it to the pressure hopper 80, the collected waste by-products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desired place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conveyor, it is a third technical feature.

상기한 세 가지 기술적 특징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5는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압송 호퍼(80)가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hree technic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re a side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ealed chain conveyor 50,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feed hopper 80 is installed Figure is a diagra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은 다수개의 강재빔이 사각 형태로 연결 설치되어 분리 탱크(10), 에어 블로워(20),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 및 압송 호퍼(80)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의 전후에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수직 지지빔(2,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은 바퀴(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제작되는데, 엔진이 탑재되어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대차 형태로 제작되어 별도의 차량에 의해 이동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ain frame 1 has a plurality of steel beam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separation tank 10, the air blower 20, the sealed chain conveyor 50, and the pressure hopper 80 are installed. It is configured to serve as a fixed base. Before and after the main frame 1, vertical support beams 2 and 4 are installed for stable support. In addition, the main frame 1 is made to be movable by the wheel (3), the engine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by itself, or may be manufactured to be moved by a separate vehicl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gie have.

분리 탱크(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수직하게 긴 원통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필터(11)가 탱크 내부를 상하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필터(11)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 공간으로 폐부산물이 흡입되는 흡입 파이프(12)가 연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11)에 의해 분리되는 타측 공간으로 배출 파이프(13)가 연통 형성된다. Separation tank 10 is installed to form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on the main frame (1), the inside of the filter 11 is mounted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tank into two spaces up and down. An intake pipe 12 through which waste by-products are sucked into one space separated by the filter 11 is formed in communication, and a discharge pipe 1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space separated by the filter 11.

그리고, 상기 분리 탱크(10)의 일측에는 필터(11)에 부착된 폐부산물을 털어내기 위하여 에어 펄스를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14)가 설치된다. 이 펄스 발생기(14)는 분사 노즐이 필터(11)의 양면 중에서 폐부산물이 붙어 있는 면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일정 주기로 에어 펄스를 분사하여 필터(11)로부터 폐부산물을 털어내어 분리 탱크(10)의 하단부로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An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 is provided a pulse generator 14 for generating an air pulse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shake off the waste by-product attached to the filter (11). The pulse generator 14 is installed so that the injection nozzles face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waste by-products are attach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11, and sprays air pulses at regular intervals to shake off the waste by-products from the filter 11 to separate the tank. It is configured to fall to the lower end of the (10).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단부에는 필터링된 폐부산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기(15)가 장착되고, 토출기(15)의 일측에는 이를 구동하는 토출용 모터(16)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단부는 낙하하는 폐부산물이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 토출기(15) 쪽으로 모여지도록 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jector 15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ste by-product to the outside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a discharge motor 16 for driving the discharge unit 1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jector 15.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preferably forms a cone shape so that the falling by-products fall toward the ejector 15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에어 블로워(20)는 상기 분리 탱크(10)의 배출 파이프(13)에 연결 설치되고, 이 에어 블로워(20)에는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용 모터(21)가 연결 설치되며, 에어 블로워(20) 내로 흡입된 에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배기 파이프(22)가 형성된다.The air blower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air blower 20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with a suction motor 21 for generating a strong suction force, and the air blower 20 An exhaust pipe 22 is formed which discharges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o the atmosphere.

이와 같이 구성된 분리 탱크(10) 및 에어 블로워(20)에 따르면, 상기 분리 탱크(10)의 흡입 파이프(12)에 플렉스블한 흡입 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폐부산물이 있는 곳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에어 블로워(20)에 의해 분리 탱크(10) 내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 파이프(12)를 통해 폐부산물이 포함된 에어가 상기 분리 탱크(10) 내로 흡입된다. 흡입된 에어는 상기 필터(11)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필터(11)에 의해 필터링되고, 그 결과 폐부산물을 함유하지 않게 된 에어만이 상기 배출 파이프(13)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필터(11)에 부착된 폐부산물은 상기 펄스 발생기(14)에서 에어 펄스를 분사할 때마다 분리 탱크(10)의 하단부로 낙하되어 토출기(15)를 통해 최종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air blower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flexible suction hos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2 of the separation tank 10 to extend to a place where waste by-products are located. When strong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separation tank 10 by the air blower 20, air containing waste by-products is sucked into the separation tank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2. The sucked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11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1, so that only the air which does not contain waste by-products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3. And, the waste by-product attached to the filter 11 is dropp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every time the pulse generator 14 injects an air pulse and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r 15.

본 발명의 첫 번째 기술적 특징은, 상기 토출기(15)를 통해 배출되는 폐부산물을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를 이용하여 이송한다는 것이다.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밀폐형 하우징(51)이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57)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래퍼(58)가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을 긁고 가면서 상기 분리 탱크(10)로부터 인입된 폐부산물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The first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aste by-products discharged through the ejector 15 are transferred using 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is a hermetic housing 51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the inside of the hermetic housing 51, the chain 57 rotates in an endless track The scraper 58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craper 58 is configured to transport and discharge the waste by-product introduced from the separation tank 10 while scraping the bottom of the hermetic housing 51.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밀폐형 하우징(51) 중 폐부산물이 인입되는 쪽은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토출구(15)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낮게 배치되고, 위로 인입구(52)가 형성된다. 그리고, 폐슬러리와 같이 오염수를 포함한 폐부산물을 높은 쪽으로 이송할 때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에 고이는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오염수 배출용 모터(59)가 연결 설치된다. 한편, 밀폐형 하우징(51) 중에서 폐부산물이 배출되는 쪽은 이송된 폐부산물을 스크랩 박스 또는 압송 호퍼 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더 높게 배치되고, 아래로 배출구(53)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side in which the waste by-product is introduced in the sealed housing 51 is disposed to be lower than the discharge port 15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the inlet up ( 52) is formed. Then, when transporting waste by-products including contaminated water, such as waste slurry,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motor 59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aled housing 51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waste by-product side of the sealed housing 51 is disposed higher so as to discharge the conveyed waste by-product over the scrap box or the pressure hopper, the discharge port 53 is formed below.

또한,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일측 내부에는 구동 모터(56)와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54)이 설치되고, 타측 내부에는 종동 스프라켓(55)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54)과 종동 스프라켓(55) 사이에는 상기 체인(57)이 감겨져 무한 궤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체인(57)에는 스크래퍼(58)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밀폐형 하우징(51)의 내부 바닥을 긁고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drive sprocket 54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56 is installed inside one side of the hermetic housing 51, and a driven sprocket 55 is installed inside the other side, and the drive sprocket 54 and the driven sprocket ( Between the chains 55 the chain 57 is configured to form a caterpillar. The chain 57 is provided with scrapers 58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crape up the inner bottom of the hermetic housing 51.

반대로 상기 스크래퍼(58)가 폐부산물을 이송한 후 내려올 때에는 밀폐형 하우징(51)의 천정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체인(57)에 연결된 스크래퍼(58)를 효과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6)가 밀폐형 하우징(51)의 높은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craper 58 descends after transporting the waste by-product, the scraper 58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sealed housing 51 so that unnecessary load does not occur. In order to effectively lift the scraper 58 connected to the chain 57,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e motor 5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rmetic housing 51.

또한, 상기 스크래퍼(58)는 폐부산물을 끌어올리는데 걸리는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스틸과 같은 강성 금속재(58b)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에 닿는 하단부는 바닥면과의 마찰을 고려하여 우레탄 수지와 같은 연성 수지재(58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craper 58 is composed of a rigid metal material (58b), such as steel as a whole to withstand the load required to raise the waste by-produc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of the hermetic housing 51 is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In consid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from the flexible resin material 58a like urethane resin.

이와 같이 구성된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에 의하면, 컨베이어가 메인 프레임(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조립,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와 달리 폐부산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분진 등이 날리지 않고 오염수가 외부로 흘러 내지지 않아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yor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it can not only grea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but also unlike the conventional exposed belt conveyo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waste by-products, dust does not fly out and contaminated water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 특징은, 폐부산물 수거 작업에 필요한 에어 컴프레서(60)와 케이블 릴(70)과 같은 장비를 메인 프레임(1)에 함께 장착하여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The second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quip the main frame (1) with equipment such as the air compressor (60) and cable reel (70) required for the waste by-product collection operation to perform the operation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It is.

에어 컴프레서(60)는 상기 펄스 발생기(14)에 에어 펄스 발생용 에어를 공급하는 것인데, 종래에는 이 에어 컴프레서(60)가 수거장치 내에 장착되어 있지 않아서 이를 별도로 운반한 다음 상기 펄스 발생기(14)에 연결 설치하여야 했다. 이는 작업 시간을 증가시키고, 수거장치 가까이에 에어 컴프레서(60)를 설치할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등 적지않은 불편을 초래하였다.The air compressor 60 supplies air for generating air pulses to the pulse generator 14. In the related art, the air compressor 60 is not mounted in the collecting device, so it is transported separately, and then the pulse generator 14 Had to be connected to. This increased work time and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such as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the air compressor 60 near the collection device.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의 후단부에 에어 컴프레서(60)를 장착한 다음에 이를 상기 펄스 발생기(14)와 항상 연결되어 있도록 설치한다(도1 참조). 이에 따르면 수거 작업 시에 메인 프레임(1)에 설치된 제어 패널(5)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펄스 발생기(14)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is conventional inconvenience, as shown in FIG. 4, the air compressor 60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 and then the air compressor 60 is always connected to the pulse generator 14. (See Fig. 1). According to this, the pulse generator 14 can be operated only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5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 at the time of collection work.

또한,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단부에는 진동 발생기(17)가 장착되는데, 이 진동 발생기(17)도 상기 에어 컴프레서(60)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기(17)는 상기 분리 탱크(10)의 하단부에 일정 주기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낙하된 폐부산물이 분리 탱크(10)의 내부 바닥에 쌓이지 않고 중앙에 장착된 분출기(15)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그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적 힘(에어)을 이용하는 것, 전기적 힘을 이용하는 것, 자기적 힘을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is equipped with a vibration generator 17, this vibration generator 17 can also be operated using the air compressor (60). The vibration generator 17 applies vibrations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dropped by-products do not accumulate on the inner bottom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are smoothly provided through a centrally mounted ejector 15. It can be discharged quickly, depending on the way of operation, using a mechanical force (air), using an electric force, using a magnetic forc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이 중에서 기계적 힘(에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진동 발생기(17)를 구성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60)를 그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켜준다. 물론 에어 이외의 방식으로 작동되는 진동 발생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당연히 포함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vibration generator 17 in such a manner as to use a mechanical force (air), and further improves the working efficiency by using the air compressor 60 as the air supply source. Of course, vibration generators operated in a manner other than air will of course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에어를 이용한 진동 발생기(17)를 설치할 경우에는 고압의 에어가 분리 탱크(10)의 철피를 직접 강타하여 철피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철피에 일정한 면적을 가진 강재 플레이트(미도시)를 덧대어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진동 발생기(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재 플레이트는 에어 샷에 따른 철피의 손상을 막고, 에어 샷에 의한 진동을 분리 탱크(10)의 하단부에 넓고 균일하게 전파시켜 준다. However, when installing the vibration generator 17 using air, since the high-pressure air directly hits the steel shell of the separation tank 10, the steel shell may be damaged, and thus, a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steel shell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fter installing the vibration generator 17 thereon. The steel plate prevents damage to the steel shell due to the air shot, and spreads the vibration by the air shot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tank 10 evenly and uniformly.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케이블이 감겨지는 케이블 릴(70)이 상기 메인 프레임(1)의 후단부에 상기 에어 컴프레서(60)와 나란히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케이블 릴(70)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외부 전원장치가 가까이에 위치하여 전원 케이블이 많이 남는 경우에도 이를 마땅히 감아 둘 때가 없어 작업 반경 내에 아무렇게나 방치하였고, 이는 작업을 방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수거장치 내에 일체로 설치된 상기 케이블 릴(70)은 이러한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해 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cable reel 70 in which a power cable used to connec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woun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 in parallel with the air compressor 60. Conventionally, such a cable reel (70) is not provided separately, so even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located near the power cable, there is no time to wind it up and leave it unattended within the working radius. It became. The cable reel 70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easily.

본 발명의 세 번째 기술적 특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로부터 배출된 폐부산물을 원하는 곳까지 압송하기 위하여 이를 임 시로 저장하는 압송 호퍼(80)가 마련되고, 이 압송 호퍼(80)의 하단부에 토출용 모터(82)와 함께 장착된 토출기(81)에는 상기 에어 블로워(20)의 배기 파이프(22)가 압송 파이프(23)를 통하여 연통 설치된다는 것이다. The third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s provided with a feed hopper 80 to temporarily store the waste by-product discharged from the closed chain conveyor 50 to the desired place, and The exhaust pipe 22 of the air blower 20 is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ipe 23 by the discharge pipe 81 mount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motor 82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hopper 8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송 호퍼(80)의 하단부에 장착된 토출기(81)에는 연결관(83)이 설치되고, 이 연결관(83)의 일측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22)와 연통 설치된 압송 파이프(23)가 상기 메인 프레임(1)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83)의 타측에는 폐부산물을 원하는 곳까지, 예를 들어 운송용 덤프 트럭이 대기하고 있는 곳까지 곧바로 압송할 수 있도록 압송 호스(84)가 연장 설치된다. In more detail, a connecting pipe 83 is installed in the ejector 81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hopper 80, and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83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pipe 22. A pressure feeding pipe 23 extends along the main frame 1,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83 can directly feed the waste by-product to a desired place, for example, a place where a transportation dump truck is waiting. The feeding hose 84 is extended so that it may be installed.

상기 압송 호퍼(80)는 수거 작업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일체화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송 호퍼(80)가 대차에 설치되어 별도로 운반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당연히 포함된다 할 것이다. The pressure hopper 80 is preferably installed integrally to the main frame 1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egrate all the equipment necessary for the collection operation. However, it will also be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transport hopper 80 is installed in the trolley and transported separately.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30)의 길이(7 ~ 10m)에 한계가 있어 스크랩 박스(40)를 작업 현장과 가까운 곳까지 운반해 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압송 호퍼(80)에 따르면 종래에 대기 중으로 방출해버리던 에어를 재활용하여 폐부산물을 작업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신속하게 압송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the length of the exposed belt conveyor 30 has a limitation (7 to 10 m), and th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ransport the scrap box 40 to a work site close to the work sit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umping hopp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ycling the air that has been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in the past can be quickly conveyed waste by-products far away from the work site.

도 1은 종래의 폐부산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후면도;4 is a rear view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rmetic chain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분리 탱크 20: 에어 블로워10: separation tank 20: air blower

30: 노출형 벨트 컨베이어 40: 스크랩 박스30: exposed belt conveyor 40: scrap box

50: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 60: 에어 컴프레셔50: hermetic chain conveyor 60: air compressor

70: 케이블 릴 80: 압송 호퍼70: cable reel 80: pressure hopper

Claims (11)

바퀴(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된 메인 프레임(1)과,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필터(11)에 의해 흡입된 폐부산물을 분리 배출하는 분리 탱크(10)와, 상기 분리 탱크(10)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블로워(20)와, 상기 분리 탱크(10)의 토출기(15) 하부에 놓여지고,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밀폐형 하우징(51)이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57)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래퍼(58)가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을 긁고 가면서 상기 분리 탱크(10)로부터 인입된 폐부산물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를 포함하고,Separation tank (1) manufactured to be movable by the wheel (3), and a separation tank for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ste by-products sucked by the filter 11 installed therein ( 10), an air blower 20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0 to generate suction force, and a hermetic housing disposed below the discharger 15 of the separation tank 10 and extending to a constant length ( 51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and the scraper 58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hain 57, which rotates in an infinite orbit, inside the hermetic housing 51. It includes a closed chain conveyor (50)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waste by-product introduced from the separation tank 10 while scraping the bottom of the), 상기 분리 탱크(10)는 상기 필터(11)가 탱크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필터(11)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 공간으로 폐부산물이 흡입되는 흡입 파이프(12)가 연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11)에 의해 분리되는 타측 공간으로 배출 파이프(13)가 연통 형성되고, 상기 필터(11)에 부착된 폐부산물을 털어내기 위하여 에어 펄스를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14)가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필터링된 폐부산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기(15)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는 상기 펄스 발생기(14)에 에어 펄스 발생용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60)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탱크(10)에는 그 하단부에 폐부산물의 원활한 토출을 위하여 진동 발생기(17)가 설치되고,The separation tank 10 is mounted so that the filter 11 separates the inside of the tank into two spaces, and a suction pipe 12 in which waste by-products are sucked into one space separated by the filter 11 forms a communication. And a discharge pipe 1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space separated by the filter 11, and a pulse generator 14 generating air pulses at regular intervals to shake off waste by-products attached to the filter 11. Is installed, the lower end is equipped with an ejector 15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ste by-product to the outside, the air compressor 60 for supplying air for generating air pulses to the pulse generator 14 on the main frame (1) ) Is installed, the separation tank 10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or 17 for smooth discharge of the waste by-product at the lower end thereof, 상기 에어 블로워(20)는 상기 분리 탱크(10)의 배출 파이프(13)에 연결 설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용 모터(21)가 연결 설치되며, 흡입된 에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배기 파이프(22)가 형성되고,The air blower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3 of the separation tank 10, the suction motor 21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e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into the atmosphere ( 22) is formed,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는 상기 분리 탱크(10)의 토출기(15)로부터 폐부산물이 인입되는 쪽보다 상기 스크래퍼(58)에 의해 이송된 폐부산물이 배출되는 쪽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폐부산물이 인입되는 쪽의 밀폐형 하우징(51)에는 오염수 배출용 모터(59)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의 스크래퍼(58)는 전체적으로 강성 금속재(58b)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바닥에 닿는 하단부는 연성 수지재(58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has a higher side where the waste by-product transported by the scraper 58 is discharged than the side where the waste by-product is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r 15 of the separation tank 10.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motor (59) is installed in the sealed housing (51) on which the waste by-product is introduced, and the scraper (58) of the sealed chain conveyor (50) is composed entirely of a rigid metal material (58b). Integrated bottom by-produc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51 is made of a soft resin material (58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는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일측 내부에 구동 모터(56)와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54)이 설치되고, 상기 밀폐형 하우징(51)의 타측 내부에는 종동 스프라켓(55)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54)과 종동 스프라켓(55) 사이에는 상기 체인(57)이 감겨져 무한 궤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rmetic chain conveyor 50 is provided with a drive sprocket 54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56 inside one side of the hermetic housing 51, the driven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hermetic housing 51 Sprocket (55) is installed, 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 (57) is wound between the drive sprocket (54) and the driven sprocket (55) to form a caterpill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 상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케이블이 감겨지는 케이블 릴(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ble reel (70)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to which a power cable used to connec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woun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체인 컨베이어(50)로부터 배출되는 폐부산물이 저장되는 압송 호퍼(80)가 마련되고, 이 압송 호퍼(80)의 하단부에 장착된 토출기(81)에는 폐부산물을 원하는 곳으로 압송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블로워(20)의 배기 파이프(22)가 연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ed by the hopper 80, the waste by-product is discharged from the closed chain conveyor 50 is provided, the discharger 81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eed hopper 80 is desired waste by-products Integral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pipe 22 of the air blower 20 is installed in order to pump to the pl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송 호퍼(80)는 상기 메인 프레임(1)에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폐부산물 수거장치.The integrated waste by-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ressure hopper (80)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
KR1020070115636A 2007-11-13 2007-11-13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KR100973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636A KR100973356B1 (en) 2007-11-13 2007-11-13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636A KR100973356B1 (en) 2007-11-13 2007-11-13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398A KR20090049398A (en) 2009-05-18
KR100973356B1 true KR100973356B1 (en) 2010-07-30

Family

ID=4085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636A KR100973356B1 (en) 2007-11-13 2007-11-13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5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354A (en) * 1996-12-17 1998-09-15 이대원 Bag house dust collector
JPH10309421A (en) 1997-05-12 1998-11-24 Nippon Spindle Mfg Co Ltd Bag filter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9990008779A (en) * 1997-07-03 1999-02-05 조규향 Dust Conveyor System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0301102A (en) 1999-04-21 2000-10-31 Takum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kneaded ma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354A (en) * 1996-12-17 1998-09-15 이대원 Bag house dust collector
JPH10309421A (en) 1997-05-12 1998-11-24 Nippon Spindle Mfg Co Ltd Bag filter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9990008779A (en) * 1997-07-03 1999-02-05 조규향 Dust Conveyor System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0301102A (en) 1999-04-21 2000-10-31 Takum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kneaded ma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398A (en)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1045B (en) Crawler-type sand blasting cleaner
EP2474361A2 (en) Device for the transport and sorting of loose materials
CN212915807U (en)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KR100920182B1 (en) Slim type dust collector
CN107746131A (en) A kind of equipment for processing industrial sewage
KR100973356B1 (en) Single body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materials
CN116550435B (en) Cubic rare earth grinds conveyor
CN112317515A (en) Dust removal recovery device and dust removal recovery method for spray tower
US4760968A (en) Integrated dust containment system for rotary crusher/breakers and the like
CN210418004U (en) Bucket elevator is used in mortar production
CN206355737U (en) A kind of pulsed jet cloth filter
CN215665362U (en) Skip is used in rock aggregate production with cleaning function
CN201815960U (en) Crawler-type sand-blasting cleaner
CN201923597U (en) Scraper conveyor
CN204865187U (en) Take off jie dewatering device and coal dressing system
CN208450101U (en) Pull-type vacuum intake cleaning plant
CN211100460U (en) Medicine bubble cleaning machine
CN211941422U (en) Hollow brick ash removal device
CN221025845U (en) Vibrating conveyor
CN113772427B (en) Combined vehicle-mounted pneumatic conveying device for bulk material conveying
RU2613751C1 (en) Off-road vehicle
CN219386141U (en) Negative pressure type road surface operation integrated vehicle
CN213231599U (en) Automatic charcoal and throw charcoal device of carrying of active carbon filtering pond
CN111871892B (en) Conveyor with cleaning function
CN219380398U (en) Shot blasting equipment lif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