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58B1 -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58B1
KR100966758B1 KR1020047013659A KR20047013659A KR100966758B1 KR 100966758 B1 KR100966758 B1 KR 100966758B1 KR 1020047013659 A KR1020047013659 A KR 1020047013659A KR 20047013659 A KR20047013659 A KR 20047013659A KR 100966758 B1 KR100966758 B1 KR 100966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cidal
enzyme
detergent composition
concentratio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693A (ko
Inventor
도베세이이치
아키모토히로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50Isolated enzymes; Isolated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이며,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의 범위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인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킬레이트, 용균, 효소, 칼슘, 세정제, 제균.

Description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STERILIZATION METHODS, STERILIZING/WASHING AGENT AND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용균 효소를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제균하는 제균처리 방법 및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균이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여 제균하는 방법으로서는, 살균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표백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일본 특개소 63-131124, 일본 특개 2000-26894, 일본 특개소 63-286158, 일본 특개평 11-29797호 공보 등).
또, 효소반응을 이용한 것으로서, 미생물의 세포벽에 작용하는 효소, 세포막에 작용하는 효소, 항균성 단백질 및 항진균제를 배합한 콘텍트 렌즈의 소독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평 9-10288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인체에 자극성이 강한 살균제나 특수한 화학성분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자극성이 낮은 성분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균하는 방법이나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었다. 더욱이, 상기의 기술은, 살아 있는 균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설겆이대나 욕탕 등 물주위의 환경중의 악취나 끈적거림, 섬유류 등의 악취의 원인이 되는 균체류의 대부분은, 사멸된 것이므로, 이러한 사멸된 균체도 효율적으로 분해·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자극성이 낮은 성분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균체를 분해·제거할 수 있는 제균처리 방법 및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특정한 용균 활성이 되는 농도에서 함유하고, 칼슘 이온 농도를 특정량으로 하고, pH가 8을 넘고 12 이하인 범위의 수용액에서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사멸된 균체도 효율적으로 분해·제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제균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섬유류의 세탁 방법을 제공한다.
(1)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에서 함유하고, 칼슘 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이며, pH가 8을 넘고 12 이하인 범위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2)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넘고 12 이하인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3)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로서, 이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이, 상기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 이온 농도가 CaO 환 산으로 10ppm 이하 및 pH가 8을 넘고 12 이하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4)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로서, 이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이, 상기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넘고 12이하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5)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섬유류를 세탁할 때에,
(a)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 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 및 pH가 8을 넘고 12 이하인 범위
(b)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 가 8을 넘고 12 이하인 범위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조정된 제균세정제 수용액을 사용하여 섬유류를 제균 세정하고, 섬유류의 실내 건조시 또는 건조후의 섬유류 보존시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류의 세탁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란, 킬레이트제의 존재하에서 용균 활성이 저하되지 않는 용균 효소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의 「유닛(U)의 측정법」에서, 킬레이트제(EDTA·4나트륨)를 가하지 않고 측정한 경우의 유닛(U')에 대한, 「유닛(U)의 측정법」으로 측정한 유닛(U)의 비(%), 즉 「(U/U') ×100」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용균 활성(U)을 갖는 효소를 말한다. 용균 효소로서는, 용균 활성을 갖는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다. 용균 활성의 유닛(U)은, 하기의 방법으로 규정된다.
<유닛(U)의 측정법>
멸균수(증류수를 121℃、20분간 가열 멸균 처리한 것)에, EDTA·4나트륨 111ppm, 중탄산나트륨 278ppm, 효소를 용해하고, 수산화 나트륨에서 pH8.5로 조정한 용액 9mL를, 25℃의 수욕중에 5분간 보온한다. 이 용액에, OD 660nm의 탁도(분광광도계에서의 파장 660nm에서의 탁도)에서 약 3.3이 되는 에체리카 콜리(Eschericha coli ATCC8739: 대장균)의 가열 균체(하기 시험균액에 나타냄) 1mL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30초 이내에 OD 660nm의 탁도가 0.3±0.03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U 시험액을 얻는다. U 시험액을 25℃의 수욕중에서 10분간 보온하고, 가열 균체 첨가 10분 후에 교반하여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한다. U 시험액 OD 660nm의 탁도를 10분간에 0.05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프로테아제량을 10단위(유닛, U)로 한다.
또, 용균율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용균율 측정법>
(시험 균액의 조제)
브레인 허트 인퓨전 배지(디프코사제)를 규정량(37g/L) 정제수에 용해하고, 500mL 용량 사카구치 플라스크에 50mL 넣어서 멸균한다. 그 후, 에체리카 콜리(Eschericha coli ATCC8739: 대장균)을 1백금루프 식균하고 37℃에서 18시간 진탕 배양한다. 원심분리(3,000rpm(약 1800G), 5분간)에 의해 균체를 모아서 멸균수에 현탁하고, 다시 원심분리를 행하고, 균체를 모아서 멸균수에 현탁하고, 멸균수에 현탁된 균체를 90℃에서 20분 가열하고, 원심분리를 행하고, 가열 균체를 모아서 멸균수에 현탁하여, OD 660nm의 탁도가 3.3인 균체 현탁액을 얻는다.
(용균율 측정)
용균율을 측정하는 시료 9mL를 시험관에 첨가하고, 25℃의 수욕중에서 5분간 보온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현탁액 1mL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합계 10mL의 용균율 시험액을 얻고, 반응개시시(30초 이내)에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한다. 그후 25℃의 수욕중에서 10분간 보온하고, 교반후에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한다. 블랭크로서 균체 현탁액 대신에 멸균수 1mL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합계 10mL의 용균율 시험액」이, 측정하는 수용액이나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농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용균율은 다음에 나타내는 식에 의해 구한다.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4
본 발명(1)의 수용액, (3) 및 (5)중의 (a)인 제균세정제 조성물(또는 그 수희석액) 용액(이하, 2.5U/mL 이상 용액이라고 약칭함)에서는, 상기 측정법으로 측정한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 바람직하게는 3∼400,000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0,0O0U/mL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본 발명의 (2)의 수용액, (4) 및 (5)중의 (b)인 제균세정제 조성물(또는 그 수희석액) 용액(이하, 15U/mL 이상 용액이라 고 약칭함)에서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 바람직하게는 16U/mL 이상, 특히 20∼400,000U/mL이 되는 농도에서 함유한다. 이러한 용균 활성이 되도록 용액의 농도를 조정한다. 이 경우, 세탁용 등으로 희석하여 사용할 때는, 그 상한은 2.5U/mL 이상 용액에서는 3,000U/mL, 15U/mL 이상 용액에서는 1,000U/mL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액의 용균 활성은, 효소의 용균 활성값(U/단위중량)을 기초로, 각 효소의 용액중의 농도를 U/mL로 환산하여 구한 것이다. 또한, 2.5U/mL 이상 용액 및 15U/mL 이상 용액을 총칭하여 이하에서는 단지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이라고 한다.
상기 용균 효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사비나제 12T, 사비나제 16L, 에스페라제 4T, 에버라제 8T, 칸나제 24TK, 알칼라제 2T(노보자임스사제), Bacillussp. P(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 제8090호)로부터 생산되는 P 효소, Bacillussp. K(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 제8091호)로부터 생산되는 K 효소, Bacil1ussp. X(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 제8092호)로부터 생산되는 X 효소, Bacillussp. Y(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 제8088호)로부터 생산되는 Y 효소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중에서 바람직한 효소로서는, 사비나제 12T, 사비나제 16L, 에스페라제 4T, 에버라제 8T, 칸나제 24TK, 알칼라제 2T, 데오자임, Y 효소 등이다.
또, 용균 효소는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 효소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면, 용균 효과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정 효과가 우수한 리파아제를 들 수 있다.
리파아제 활성의 측정은, 통상,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기질을 분해한 경우의 유리 지방산량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리파아제로서는,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 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가 바람직하고, 그 효소활성은, 이하의 기질분해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200mL(내경 63mm, 높이 80mm)의 비이커에 마그넷 스터링 바(직경 8mm, 길이 30mm, 원주 형상)를 넣고, 22.5℃±0.5℃의 베이스 용액 100±0.2mL[α-SF-Na(C14/16=2/8(질량비)의 알킬기를 갖는 α-술포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 200ppm, 탄산나트륨 200ppm, 독일 경도 3°DH(이온교환수에 염화칼슘을 첨가하여 CaO 환산으로 30ppm으로 조정)]과, 기질로서 0.2g의 트리 올레인(Fulka제 시약) 또는 팔미트산 n-헥사 데실(도쿄카세제 시약)을 첨가하고 15∼20분 교반하고, pH 일정하게 된 지점을 초기 pH(약 10∼10.5)로 한다. 사용 장치는 적정 장치 TS-980(히라누마 산교제)을 사용하여 회전수는 200rpm에 설정하여 행한다. 또한, 적정 장치에 pH 전극도 넣어져 있으므로 이 전극을 사용한다.
이어서, 실온에서 교반한 채, 초기 pH값(약 10∼10.5)을 유지하도록 KOH(N/10) 용액을 적하한다. 적정 개시 1분후에 베이스 용액중의 리파아제의 단백질 농도로서 0.1∼0.01ppm의 범위가 되도록 각종 리파아제를 첨가하고, 61분후의 KOH(N/10)의 적하량을 측정한다. 또한, 리파아제의 단백질 농도는, 각 리파아제마다에 트리올레인과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 동일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구한 리파아제를 첨가하고나서 60분간의 KOH 적하량을 가지고 각 기질(트리올레인 또는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으로 한다. 지방산 생성량의 반복 10회의 평균값으로부터, 팔미트산 n-헥사데실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몰비), 즉 효소활성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표평 11-510699호 공보 기재의 휴미콜라·라누기노사(Humicola lanuginosa) 유래의 리파아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리파아제는, 노보자임스사로부터 『라이펙스』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리파아제의 함유량은,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 전량에 대하여, 효소제재로서 0.01∼5질량%, 특히 0.1∼2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전분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2-49584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최적 pH가 알칼리측 또는 일본 특표 2001-521739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최적 온도가 60℃ 이하 또는 일본 특표평 11-5030O3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칼슘 내성의 전분 분해 효소 등도 바람직하다. 또, 일본 특개평 3-87176, 일본 특개평 3-87177, 일본 특개평 3-108482 및 일본 특개평 6-14775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전분의 α-1,6 결합을 분해하는 전분 분해 효소도 바람직하다.
또, Bacillus속 유래의 야생형 아밀라제가 유전자변이에 의해 개변된 아밀라제도 바람직하다.
아밀라제로서는, 아밀라제: 듀라밀 60T(노보자임스사제) 및 풀룰라나제(시그마사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밀라제의 함유량은,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 전량에 대하여, 효소제재로서 0.01∼5질량%, 특히 0.1∼2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 효소제재 등으로부터 불순분으로서 조성물중에 0.5질량% 이하의 인산염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2.5U/mL 이상 용액에서는, 칼슘 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1∼9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5ppm이다. 15U/mL 이상 용액에서는, 10ppm을 넘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0.01∼20ppm, 더욱 바람직하게 0.01∼15ppm, 특히 0.01∼10ppm으로 하면 적합하다. 칼슘 이온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용균 효소의 용균효과가 향상된다.
또, CaO 환산의 칼슘 이온 농도란, 일본 특개평 9-318615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칼슘 이온 농도 측정법(폰타크롬 바이올렛을 사용한 흡광도법)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범위의 칼슘 이온 농도는, 수용액 또는 세정제 조성물중에 칼슘 이온에 대해, 높은 킬레이팅 능력을 갖는 킬레이트제 및 범용의 킬레이트제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시켜서 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높은 킬레이팅 능력을 갖는 킬레이트제로서는, 아미노카르복실산 유도체형 킬레이트제,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실산 유도체형 킬레이트제로서는, 아미노메틸글리시딘 아세트산 염, β-알라닌 디아세트산염, 이미노 디숙신산염, 히드록시이미노 디숙신산염(HIDS), 세린 디아세트산염, 이소세린 디아세트산염, 아스파르트산 디아세트산염(ASDA),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염(EDTA), 니트로 트리아세트산염(NTA), 히드록시에틸렌디아민 5아세트산염(HEDTA), 디에틸렌트리아민 5아세트산염(DTPA)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EGTA(에틸렌글리콜 비스[2-아미노에틸에테르] 4아세트산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의 킬레이트제는, 나트륨염,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을 섬유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킬레이트제중에서, 아미노메틸글리신 디아세트산염, β-알라닌 디아세트산염, 이미노 디숙신산염, 히드록시이미노 디숙신산염(HIDS), 세린 디아세트산염, 이소세린 디아세트산염, 아스파르트산 디아세트산염(ASDA)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폴리아크릴산, 말레산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다당류계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등의 고분자 전해질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 말레산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이다.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중에서도, 다당류계 폴리카르복실레이트는, 다당류를 산화제(차아염소산염, 과요오드산염, 아염소산염 등)로 카르복실산기가 생기도록 산화 개열한 것으로, 다당류로서는,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아밀로스,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된 무수 글루코스 단위의 함량은, 50∼100몰%가 바람직하고, 특히 약 70∼95몰%가 바람직하다. 다당류계 폴리카르복실레 이트중에서, 전분을 산화 개열한 산화 전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범용의 킬레이트제로서는, 결정성 알루미노 규산염(A형, P형, X형 제올라이트), 비정질 알루미노 규산염 등의 알루미노 규산염, 층상 실리케이트 등의 결정성 알칼리금속 규산염, 시트르산 또는 그 염, 글루코산 또는 그 염, 글리콜 산 또는 그 염, 말산 또는 그 염 등의 저분자량의 옥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 1-히드록시에탄-1, 1-디포스폰산(HEDP),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ATMP)의 포스폰산형 킬레이트제, 트리폴리 인산염, 피로인산염 등의 무기 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중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인계의 킬레이트제이다.
수용액 및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2.5U/mL 이상 용액에서는, 8을 넘고 12이하, 바람직하게는 8.1∼11이며, 15U/mL 이상 용액에서는, 8을 넘고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8.1∼11, 특히 9∼11이다. 본 발명에서, pH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용균 효소의 활성이 높아져, pH가 높아질 수록 용균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의료용 세제, 손세척 식기세척 세제, 욕조용 세제, 세탁기용 세제, 화장실·배수관용 세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의료용 세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중의 용균 효소의 함유량은, 1,000∼400,000U/g이 바람직하고, 특히 4,500∼60,000U/g, 30,000∼60,000U/g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8.1∼11, 특히 8.5∼11로 하면 적합하다.
식기세척용 세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중의 용균 효소의 함유량은, 100∼400,000U/g이 바람직하고, 특히 300∼20,000U/g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8.1∼10, 특히 8.1∼9로 하면 적합하다.
욕조용 세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중의 용균 효소의 함유량은, 1,000∼400,000U/g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0∼40,000U/g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8.1∼10, 특히 8.1∼9로 하면 적합하다.
세탁기 세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중의 용균 효소의 함유량은, 1,000∼100,000U/g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0∼20,000U/g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8.1∼12, 특히 8.5∼11로 하면 적합하다.
화장실·배수관용 세정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중의 용균 효소의 함유량은, 1,000∼100,000U/g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0∼20,000U/g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pH는, 9∼12, 특히 9∼11로 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에는, 오염물중에 킬레이트제를 효과적으로 침투시키고, 그곳에 존재하는 균체를 효율 좋게 용균시키는 점에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제균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3∼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또한 5∼4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주계면활성제(제균세정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중에서 가장 함유량이 많은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0∼14의 직쇄 알킬벤젠설폰산염, 탄소수 13∼19의 α-술포지방산 저급 알킬(탄소수 1∼3) 에스테르염, 탄소수 10∼20의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올레핀 술폰산염, 알칸 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혹은 알케닐황산 에스테르염, 탄소수 12∼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염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아민염,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제균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4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5질량% 이다.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1) 평균 탄소수 10∼20의 알콜에 에틸렌옥시드(EO)를 평균 5∼30몰 부가시킨 EO부가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알킬에테르 에톡실레이트).
(2) 평균 탄소수 10∼20의 알콜에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평균 5∼30몰 부가시킨 EO-PO 부가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3) 하기 식(1)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산 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R1-CO(OR2)nOR3 …(1)
(식중, R1은 탄소수 5∼21, 바람직하게는 9∼17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OR2는 탄소수 2∼4의 알킬렌 옥사이드의 부가 단위를 나타내고, EO가 단독으로 또는 EO, PO가 혼합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n은 OR2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5 ∼30, 바람직하게는 5∼20의 수를 나타낸다. R3은 탄소수 1∼4, 바람직하게는 1∼2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제균세정제 조성물전량에 대하여 1∼40질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1∼30질량%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스테아르산 아미도에틸베타인 등의 베타인류나, N-야자유 지방산아밀-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 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 유도체류를 들 수 있다.
제균세정제 조성물이 의료용 세제, 손세척 식기세척용 세제, 욕조용 세제, 세탁기용 세제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세제의 경우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알킬 에스테르염, 올레핀 술폰산염, 알칸 술폰산염, 알킬황산염, 지방산염 등이 바람직하고, 이중에서 특히 α-술포지방산알킬 에스테르염은,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는 점때문에 바람직하다.
손세척 식기세척용 세제의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혹은 알케닐황산 에스테르염, 직쇄 알킬벤젠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알킬 에스테르염, 올레핀 술폰산염, 알칸 술폰산염, 알킬 황산염, 지방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액 또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는, 식기·설 겆이대용 세제의 경우에는,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화장실, 배수관 및 욕실용(욕조용) 세제의 경우에는, 0.5∼1.5질량%가 바람직하고, 세탁기용 세제의 경우에는, 0.05∼0.5질량%가 바람직하고, 의료용 세제의 경우에는, 100∼12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의료용 세제의 경우, 제균세정제 조성물 그대로 또는 그 수희석액으로서 사용하지만, 희석은, 제균세정제 조성물 농도로서, 수희석액중 바람직하게는 0.04∼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8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1질량%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균세정제 조성물의 사용 용도에 맞추어 적합한 사용 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식기세척용 세제의 경우의 사용 농도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농도로서(이하 동일) 씽크대 또는 설겆이 통에서의 세정에서는 1∼50질량%, 스폰지 세척에는 농도 5∼5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욕조용 세제의 경우의 사용 농도는, 1,000∼100,000p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세탁기 세제의 경우의 사용 농도는, 1,000∼10,000p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화장실·배수관용 세제의 경우의 사용 농도는, 3∼100질량%, 특히 5∼5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식기세척용 세제, 욕실욕조용 세제, 설겆이대·배수관용 세정제, 화장실용 세정제, 의료용 세제 등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액체, 겔상, 스프레이, 분말, 태블릿, 조개탄형상 세제, 시트형상, 바 형상 등의 각종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그 조제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각 제제의 상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은, 특히 의류용 세제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섬유류를 제균 세정하고, 섬유류의 실내 건조시 또는 건조후의 섬유류 보존시의 악취의 발생 억제용, 즉, 실내건조용 제균세정 조성물로서 특히 사용할 수 있다. 또, 사멸 균체의 분해·세정용으로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상기 기능, 효과 등을 상기 조성물제품의 패키지나 팜플렛 등에 문자 또는 그림으로서 기재, 선전, 광고를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균처리 방법은, 사멸한 균체도 효율적으로 분해·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세탁 방법으로, 섬유류의 실내건조시 또는 건조후의 섬유류 보존시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균처리 방법 및 세탁 방법에 있어서의 각 성분, 수용액에 대한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 제균세정제 조성물에 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균체가 부착된 물질이란, 설겆이대, 삼각 코너(부엌쓰레기함 용기), 세척통, 배수관, 욕조, 욕탕, 화장실 등의 물 주위 또는 기구 등의 경질표면, 의류, 침구, 커튼, 융단, 플로어 매트, 청소 용구 등의 섬유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제균처리 방법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균체가 부착된 물질에 의한 적합한 처리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경질표면이나 기구의 경우에는,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수용액에 침지하거나, 균체가 부착된 물질에 수용액을 도포, 분무 또는 흘리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체가 부착된 물질이 의류 등의 섬유 제품인 경우에는, 세탁기로 세탁하거나 또는 담금 처리후에 세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균효과는, 수용액의 온도, 처리 시간, 수용액의 양 등을 이하의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더욱 높일 수 있다.
2.5U/mL 이상 용액의 경우, 온도는 10∼90℃가 바람직하고, 특히 10∼60℃가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5초∼10시간이 바람직하고, 특히 10분∼60분이 바람직하다.
한편, 15U/mL 이상 용액의 경우, 10∼90℃의 수용액에서 처리시간 5초∼60분이 바람직하고, 특히 10∼60℃에서 5초∼30분이 바람직하다.
수용액의 양은, 물질이 경질표면인 경우, 표면 1cm2당 0.01∼0.5mL가 바람직하고, 특히 0.1∼0.3mL가 바람직하다. 섬유류의 경우는, 섬유 1g당 1∼30mL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극성이 낮은 성분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균체를 분해·제거할 수 있는 제균처리 방법 및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17, 비교예 1∼5]
표 1, 2에 나타내는 조성의 수용액을, 염화칼슘·2수화물을 사용하여 3.3° DH(CaO로서 33mg/L)로 조정한 수도물을 사용하여 조제했다. 얻어진 수용액의 용균율을 하기의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2에 병기한다. 또한, 사용한 효소의 용균 활성의 측정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또한, 표중의 효소활성은 효소시료의 용균 활성값(U/단위중량)을 기초로, 각 효소의 용액중의 농도를 U/mL로 환산했다.
또,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지 않는 효소인 서모리신에 대해서는, 10mg/L이 되도록 용해하여 사용했다(표 2의 *).
<유닛(U)의 측정법>
멸균수(증류수를 121℃、20분간 가열 멸균처리한 것)에, EDTA·4나트륨 111ppm, 중탄산나트륨 278ppm, 효소를 용해하고, 수산화 나트륨으로 pH8.5로 조정한 용액 9mL를, 25℃의 수욕중에 5분간 보온했다. 이 용액에, OD 660nm의 탁도(분광광도계에서의 파장 660nm에서의 탁도)로 약 3.3이 되는 에체리카 콜리(Eschericha coli ATCC8739: 대장균)의 가열 균체(하기 시험 균액에 나타냄) 1mL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30초 이내에 OD 660nm의 탁도가 0.3±0.03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U 시험액을 얻었다. U 시험액을 25℃의 수욕중에서 10분간 보온하고, 가열 균체 첨가 10분후에 교반하여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했다. U 시험액 OD 660nm의 탁 도를 10분 동안에 0.05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테아제 양을 10단위(유닛, U)로 했다.
또, 용균율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용균율 측정법]
(시험 균액의 조제)
브레인 하트 인퓨젼 배지(디프코사제)를 규정량(37g/L) 정제수에 용해하고, 500mL용량의 사카구치 플라스크에 50mL 넣어서 멸균했다. 그 후, 에체리카 콜리(Eschericha coli ATCC8739: 대장균)를 1백금루프 식균하여 37℃에서 18시간 진탕배양 했다. 원심분리(3,000rpm(약 1800G), 5분간)에 의해 균체를 모으고 멸균수 30mL에 현탁하고, 재차 원심분리(3,000rpm(약 1800G))를 행하여 균체를 모아서 멸균수에 현탁하고, 멸균수에 현탁한 균체를 90℃에서 20분 가열하고, 원심분리(3,000rpm(약 1800G))를 행하여 가열 균체를 모으고 멸균수에 현탁하여, OD 660nm의 탁도가 3.3인 균체 현탁액을 얻었다.
(용균율 측정)
용균율을 측정하는 시료 9mL를 시험관에 첨가하고, 25℃의 수욕중에서 5분간 보온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균체 현탁액 1mL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합계 10mL의 용균율 시험액을 얻고, 반응개시시(30초 이내)에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했다. 그 후 25℃의 수욕중에서 10분간 보온하고, 교반후에 OD 660nm의 탁도를 측정했다. 블랭크로서 균체 현탁액 대신에 멸균수 1mL를 사용했다. 또한, 용균율을 측정하는 시료에 균체 현탁액을 가하기 전에 OD 660nm의 탁도가 0.7을 초과하는 경우는, 미 리 밀리포어 필터(0.45 미크론)로 여과를 행하고, 그 용액 9mL에 균체 현탁액 1mL를 가했다. 또한, 상기 「합계 10mL의 용균율 시험액」이, 측정하는 수용액이나 제균세정제 조성물 용액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했다.
용균율은 다음에 나타내는 식으로 구했다.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5
<칼슘농도 측정>
상기의 「(용균율 측정)」에서, 「용균율 시험액」을 조제할 때에, 「균체 현탁액」 대신에, 멸균수 1mL을 첨가하여 합계 10mL로 한 시험액에 대하여, 일본 특개평 9-318615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칼슘이온농도 측정법(폰타크롬 바이올렛을 사용한 흡광도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칼슘이온 농도를 측정했다. 용액중에 제올라이트 등의 침전물이 존재하는 경우는, 밀리포어 필터(0.45 미크론)로 여과한 후에 실시했다.
[실시예 18∼35]
표 3∼7에 나타내는 조성의 제균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염화칼슘·2수화물을 사용하여 3·3° DH(CaO로서 33mg/L)로 조정한 수도물로 표중의 사용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에 대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균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3∼7에 나타낸다. 표 3∼7의 조성물은, 각각 하기와 같은 세정제이다. 또한, 표중의 용균 활성(U/mL)은 효소의 용균 활성값(U/단위중량)을 기초로, 표중의 사용 농도로부터 용액중의 농도를 U/mL로 환산한 것이며, 표중의 칼슘이온 농도 및 용균율에 대해서는, 상기의 「칼슘이온농도 측정법, 용균율 측정법」에 기재된 「시험액, 용균율 시험액」이 표중의 사용 농도로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한 것이다. 이하의 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표 3: 식기세척용 세제
표 4: 세탁기용 세제
표 5: 욕조용 세제
표 6: 배수관용 세제
표 7: 화장실용 세제
[실시예 36∼38, 비교예 6]
표 8에 나타내는 조성의 의료용 세제를 조제하고, 하기 평가 방법-1로 세탁·건조한 후, 악취평가를 행했다. 3° DH의 수도물로 표중의 사용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에 대하여, 용균율의 결과와 함께 평가 결과를 표 8에 병기한다.
평가 방법-1
2조식 세탁기(미쓰비시덴키사제 CW-C30A1-H)에, 25℃의 수도물(3° DH) 5L를 넣고, 세정제 조성물을 표 8에 나타내는 사용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도록 1일 착용한 폴로 셔츠 5장 및 부엌에서 1일 사용한 신품의 면 100%의 타올 5장을 합계 1kg 가하여, 10분간 침지시하고, 수도물을 25L 가하고 10분간 세정하고, 1분간의 탈수후, 30L의 수도물로 3분간 고인물 헹구기 2회와 1분간의 탈수 2회(고인물 헹구기 동안과 최후)를 행했다. 이어서, 시판 건조기(히타치세사쿠쇼사제 DE-N5S3)로 표준 코스로 건조했다.
건조후의 폴로 셔츠와 타올을, 온도 30℃、습도 80%RH의 항온실에 5일간 방치후, 폴로 셔츠와 타올의 악취강도에 대하여, 숙련된 모니터가 하기 기준으로 악취평가를 행했다(5명의 평균값).
평가기준
5: 현저하게 악취가 남
4: 상당히 악취가 남
3: 약간 악취가 남
2: 아주 조금 악취가 남
1: 거의 악취가 나지 않거나 악취가 나지 않음
[실시예 40∼47, 비교예 7]
표 9, 10에 나타내는 조성의 의료용 세제를 조제하고, 하기 평가 방법-2로 세탁·건조한 후, 악취평가를 행했다. 3° DH의 수도물로 표중의 사용 농도로 희석한 수용액에 대하여, 용균율의 결과와 함께 평가 결과를 표 9, 10에 병기한다.
평가 방법-2
피부에 직접 접촉하도록 1일 착용한 폴로 셔츠 5장 및 부엌에서 1일 사용한 신품의 면 100%의 타올 5장 합계 1kg을, 전자동 세탁기(마쓰시타덴키사제, NA-F70AP)에 넣고, 온도 약 25℃, 약 3° DH의 수도물을 붓고, 표준 코스로 세탁을 행했다. 또한, 세제 투입량은 표 9, 10에 나타내는 사용 농도를 따랐다. 탈수후, 실온 30℃, 습도 약 80%RH의 실내에서 말리고, 12시간 건조를 행했다. 12시간 후의 타올의 악취강도에 대하여, 숙련한 모니터가 이하의 기준으로 악취평가를 행했 다(5명의 평균값).
평가기준
5: 현저하게 악취가 남
4: 상당히 악취가 남
3: 약간 악취가 남
2: 아주 조금 악취가 남
1: 거의 악취가 나지 않거나 악취가 나지 않음
[실시예 48∼51, 비교예 8]
표 11에 나타내는 조성의 의료용 세제를 조제하고, 하기 평가 방법-3으로 세탁·건조한 후, 악취평가를 행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측정한 용균율과 함께 결과를 표 11에 병기한다.
평가 방법-3
신품의 면 100%의 타올 10장을 각각 통상 생활에서 약 1일 사용한 후, 드럼식 세탁기(샤프사제 ES-E61)에 넣고, 온도 약 40℃, 염화칼슘·2수화물을 가하여 경도 약 20° DH로 조정한 수도물을 붓고, 표준 코스로 세탁을 행했다. 또한, 세제 투입량은 세제농도 5,000ppm이 되도록 하고, 탈수후, 실온 30℃、습도 약 80%RH의 실내에서 말리고, 12시간 건조를 행했다. 12시간후의 타올의 악취강도에 대해서, 숙련한 모니터가 이하의 기준으로 악취평가를 행했다(5명의 평균값).
평가기준
5: 현저하게 악취가 남
4: 상당히 악취가 남
3: 약간 악취가 남
2: 아주 조금 악취가 남
1: 거의 악취가 나지 않거나 악취가 나지 않음
또한, 표 1∼11에서 사용한 성분은 하기와 같다. 표중의 배합량은, 순분환산한 값이다(과탄산 Na, 표백 활성화제를 제외함).
라우릴 황산나트륨: 순분 95%, 라이온(주)제, 선놀 LM-1100NT
α-SF-Na: 탄소수 14∼16의 알킬기를 갖는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나트륨염, 라이온(주)제, 순분 70%, 고형분 72∼73%
LAS-K: 직쇄 알킬(탄소수 10∼14 )벤젠술폰산 칼륨(세제 조성물 제조시에, 라이온(주)제, 라이폰 LH-200(LAS-H 순분 96%)을 48%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으로써 조제한 것)
LAS-Na: 직쇄 알킬(탄소수 10∼14) 벤젠술폰산 나트륨(라이온(주)제, 라이폰 LH-200(LAS-H 순분 96%)을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함으로써 조제한 것)
AOS-Na: 탄소수 14∼18의 알킬기를 갖는 α-올레핀 술폰산 나트륨(라이온(주)제, 순분 55%의 수성 슬러리)
AES-Na: 폴리옥시에틸렌(EO 3몰) 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 순분 70%, 라이온(주)제
PTS: 파라톨루엔 술폰산
쿠멘술폰산: 올브라이트 & 윌슨사제
비누: 탄소수 12∼18의 알킬기를 가는 지방산 나트륨(라이온(주)제, C12: 0.9%, C18: 80.2%, 불포화지방산 80.2%, 분자량 289, 순분 67∼68%, 타이터 47.0℃)
N-라우릴디메틸 아세트산 베타인: 산요카세제
알킬아미도프로필 아세트산 베타인: 입포샤 유시고교제
BRE15: 탄소쇄 12의 직쇄 1차 알콜에톡실레이트(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몰수: 15) 라이온(주)제
AEt1: 다이아돌 13(미쓰비시카가쿠제)의 산화에틸렌 평균 15몰 부가체(라이온카가쿠제)
AEt2: 직쇄 알콜(탄소수 12∼14)의 산화 에틸렌 평균 8몰 부가체(라이온카가쿠제)
AEs: 탄소수 12∼18 지방산메틸 에스테르의 산화에틸렌 평균 15몰 부가체(라이온카가쿠제)
AEP: 다이아돌 13(미쓰비시카가쿠제)의 산화에틸렌 평균 15몰 및 산화프로필렌 평균 3몰 부가체(라이온카가쿠제)
APG: 알킬폴리글루코시드(코그니스 재판제)
LDE: 라우릴디에탄올 아미드(가와켄화인케미칼제)
디시아디아미드: 닛뽄카바이드제
CDE: 야자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가와켄화인케미칼제)
AX: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라이온(주)제)
<효소(프로테아제)>
사비나제 12T, 에스페라제 4T, 에버라제 8T, 칸나제 24TK, 알칼라제 2T, 사비나제 16L, 데오자임은 노보자임스사제의 세제용 효소제재.
P효소: BaciI1us sp. P(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8090호)로부터 생산되고, 일본 특개평 8-165493호 공보에 기재된 배양정제에 의해 조제했다.
K효소: Bacil1us sp. K(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8091호)로부터 생산되고, 일본 특개평 8-165493호 공보에 기재된 배양정제에 의해 조제했다.
X효소: Bacillus sp. X(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8092호)로부터 생산되고, 일본 특개평 8-165493호 공보에 기재된 배양정제에 의해 조제했다.
Y효소: Bacillus sp. Y(미생물 공업 연구소 기탁번호 제8088호)로부터 생산되고, 일본 특개평 8-165494호 공보에 기재된 배양정제에 의해 조제했다.
서모리신: 시그마사제
<효소(기타)>
아밀라제: 듀라밀 60T(노보자임스사제) 및 풀룰라나제(시그마사제)의 10:1(중량비)혼합물
셀룰라아제: 셀루자임 0.7T(노보자임스사제)
리파아제: 라이펙스 50T(노보자임스사제)
<킬레이트제>
ASDA: 아스파르트산 디아세트산 나트륨(니혼쇼쿠바이(주)제)
HIDS: 히드록시이미노디숙신산 나트륨(니혼쇼쿠바이(주)제)
EDTA.4Na: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나트륨
페난트롤린: 1, 10-페난트롤린(니혼카야쿠(주)제)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닛뽄카가쿠(주)제
시트르산 및 그 나트륨염: 후소카가쿠고교(주)제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미즈사와카가쿠, 실톤 B)
AA/MA 공중합체염: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상품명 소칼란 CP7(BASF제)
폴리아크릴산Na: 폴리아크릴산 나트륨(니혼쥰야쿠제, 아론비스 S)
말산; 후소카가쿠고교(주)제
<기타 성분>
탄산Na: 탄산나트륨(아사히가라스제, 그래뉼)
탄산K: 탄산칼륨(아사히가라스제)
규산Na: JIS 1호 규산나트륨(닛뽄카가쿠(주)제)
황산Na: 중성무수망초(닛뽄카가쿠(주)제)
염화Na: 염화나트륨(시약)
아황산Na: 무수 아황산나트륨(미쯔이카가쿠(주)제)
에탄올: 순분 99.5%(재팬에탄올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니혼뉴카(주)제
형광제CBS: 시노펄 CBS-X(시바·스페셜티·케미컬스사제)
형광제AMS: 시노펄 AMS-GX(시바·스페셜티·케미컬스사제)
과탄산Na: 피복화 과탄산나트륨(미쓰비시가스카가쿠제, SPC-D)
표백 활성화제 OBC: 호소카와미크론사제 엑스트루드·오믹스 EM 16형에, 표백 활성화제인 4-데카노일옥시 벤조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PEG) #6000(라이온(주)제)과 C14 알파올레핀 술폰산 나트륨 분말품(리폴란 PB-800, 라이온(주)제)을 질량비로 70/25/5가 되도록 혼합한 후, 투입하고, 혼련 압출함으로써 직경이 0.8mmφ의 국수 모양의 압출품을 얻었다. 이 압출품(60℃)을, 호소카와미크론사제 핏쯔밀 DKA-3형에 의해, 혼련 압출하여 조립품을 도입하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입하고, 또 조제로서 A형 제올라이트 분말 5질량%를 동일하게 공급하고, 분쇄하여 얻어진 평균 입경 700㎛의 표백 활성화제 조립물.
향료조성
표 3, 4, 5, 7, 8, 9, 10, 11의 향료: 일본 특개 2002-146399호
표 11∼18에 기재의 조성.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이온(주)제)
아실아미도프로필 아세트산 베타인: (라이온(주)제)
알킬페녹시페닐디술폰산Na: (닛코케이컬(주)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 암모늄: (라이온아크조(주)제)
염화디데실메틸 암모늄(라이온아크조(주)제)
합성 폴리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입포샤 뉴시고교제)
파라톨루엔 술폰산: (교와핫코(주)제)
트리에타놀아민: (니혼쇼쿠바이(주)제)
실리카: 실리콘그래프트 폴리머(입포샤 뉴시고교제)
0.1N 수산화 나트륨: (시약)
NRE2: (라이온(주)제)
NRE5: (라이온(주)제>
NRE7: (라이온(주)제)
BRE15: (라이온(주)제)
폴리에틸렌글리콜(닛뽄뉴시제)
디에탄올아민(니혼쇼쿠바이(주)제)
트리에타놀아민(니혼쇼쿠바이(주)제)
표 1, 2의 결과로부터,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이며,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의 범위의 수용액은, 우수한 용균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인 수용액은, 칼슘이온 농도가 10ppm을 초과할 때에도 우수한 용균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7의 결과로부터, 실시예는 우수한 용균효과를 보였다. 또, 표 3의 세정제를 사용하여, 1주간, 가정(4인 가족)의 식기를, 식기세정용 스폰지(6개월 사용후의 끈적거림이나 악취가 확인된 것)으로 세정한 결과, 식기세정용 스폰지의 끈적거림이나 악취의 현저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의 수용액을, 부엌의 싱크대, 삼각코너, 배수구(철망부)에 분무하고, 10분후에 물로 세척한 바, 끈적거림의 대폭적인 감소가 확인되었다.
표 8∼1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는 우수한 악취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3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4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5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6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7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8
Figure 112004039671633-pct00009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6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7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8
Figure 112008003187517-pct00019

Claims (12)

  1.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의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함유하고,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이며,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의 범위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2.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의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함유하고,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인 수용액을 사용하여 균체가 부착된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중의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처리 방법.
  4.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로서, 이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이, 상기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 및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5.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로서, 이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이, 상기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 중의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8.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acil1us속 유래의 야생형 아밀라제가 유전자변이에 의해 개변된 아밀라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9.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멸 균체의 분해·제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10.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균세정제 조성물 또는 그 수희석액을 사용하여 섬유류를 제균세정하고, 섬유류의 실내건조시 또는 건조후의 섬유류 보존시의 악취발생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11.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가, 에스페라제 4T, 에버라제 8T, 칸나제 24TK, 알칼라제 2T, 데오자임, K효소, P효소, X효소 또는 Y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세정제 조성물.
  12. 킬레이트제 내성을 갖는 용균 효소와, 계면활성제와, 기질분해 시험후의 팔미트산 n-헥사데실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에 대한, 기질분해 시험후의 트리올레인으로부터의 지방산 생성량이 2배 이상(몰비)이 되는 효소활성을 갖는 리파아제를 함유하고, 인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제균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섬유류를 세탁할 때에,
    (a)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2.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칼슘이온 농도가 CaO 환산으로 10ppm 이하 및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의 범위
    (b) 용균 효소를 용균 활성이 15U/mL 이상이 되는 농도로 함유하고, pH가 8을 초과하고 12 이하의 범위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조정된 제균세정제 수용액을 사용하여 섬유류를 제균세정하고, 섬유류의 실내건조시 또는 건조후의 섬유류 보존시의 악취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류의 세탁 방법.
KR1020047013659A 2002-03-01 2003-02-14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 KR100966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5584 2002-03-01
JPJP-P-2002-00055584 2002-03-01
PCT/JP2003/001580 WO2003073859A1 (fr) 2002-03-01 2003-02-14 Procedes de sterilisation, agent de lavage/sterilisation et procede de lav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693A KR20040089693A (ko) 2004-10-21
KR100966758B1 true KR100966758B1 (ko) 2010-06-30

Family

ID=2778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659A KR100966758B1 (ko) 2002-03-01 2003-02-14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645795B2 (ko)
KR (1) KR100966758B1 (ko)
CN (1) CN100389659C (ko)
AU (1) AU2003212002A1 (ko)
HK (1) HK1079399A1 (ko)
WO (1) WO2003073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6993A (zh) * 2015-09-02 2015-12-02 杭州满速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服装成品的处理方法
CN107988728B (zh) * 2017-12-27 2019-11-05 宁波高新区盛文途纺织品有限公司 一种纺织品清理方法
CN112585251B (zh) * 2018-08-23 2022-08-09 昭和工业株式会社 排水装置用清洗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75A (ja) * 1992-07-02 1994-01-25 Kao Corp アルカリイソアミラーゼ及びそれを生産する微生物並びに該アルカリイソアミラーゼの製造方法
WO1994024240A1 (en) * 1993-04-08 1994-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condary (2,3) alkyl sulfate surfactants in stable enzyme-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8825A (ko) * 1972-09-13 1974-05-11
JPS61280278A (ja) * 1985-06-06 1986-12-10 Lion Corp アルカリプロテア−ゼ
US4797362A (en) * 1985-06-06 1989-01-10 Lion Corporation Alkaline proteases and microorganisms producing same
JPH0832915B2 (ja) * 1987-03-23 1996-03-29 ピジヨン株式会社 おむつ用洗剤組成物
JPH01111986A (ja) * 1987-10-23 1989-04-28 Sanki Seikosho:Kk 穿孔方法および装置
JP2700465B2 (ja) * 1988-05-09 1998-01-21 関西酵素株式会社 塩化リゾチーム配合トイレタリー製品
JP3717538B2 (ja) * 1994-09-26 2005-11-16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効力増強剤組成物及び農薬組成物
TW474900B (en) * 1995-05-19 2002-02-01 Betzdearborn Inc Use of mannanases as slime control agents
JP3655359B2 (ja) * 1995-06-29 2005-06-02 株式会社サンコンタクトレンズ 含水性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および消毒用組成物
JPH09318615A (ja) * 1996-05-31 1997-12-12 Lion Corp 水溶液中の金属イオンの定量方法
JPH10195483A (ja) * 1996-12-28 1998-07-28 Lion Corp 自動食器洗浄機用洗剤
JP2001064695A (ja) * 1999-08-31 2001-03-13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JP4382953B2 (ja) * 2000-03-16 2009-12-16 花王株式会社 ポリガラクツロナー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75A (ja) * 1992-07-02 1994-01-25 Kao Corp アルカリイソアミラーゼ及びそれを生産する微生物並びに該アルカリイソアミラーゼの製造方法
WO1994024240A1 (en) * 1993-04-08 1994-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condary (2,3) alkyl sulfate surfactants in stable enzyme-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9659C (zh) 2008-05-28
HK1079399A1 (en) 2006-04-07
WO2003073859A1 (fr) 2003-09-12
KR20040089693A (ko) 2004-10-21
JPWO2003073859A1 (ja) 2005-06-23
JP4645795B2 (ja) 2011-03-09
AU2003212002A1 (en) 2003-09-16
CN1642431A (zh)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2826B2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US20090311136A1 (en) Enzymatic antibacterial cleaner having high pH stability
JP2004231671A (ja) 洗浄剤組成物及び除菌・洗浄力評価方法
JP2000512267A (ja) 抗微生物ペルオキシダーゼ組成物
WO2001041571A1 (fr) Compositions microbicides
CN100384973C (zh) 消毒组合物和方法
CN104877765A (zh) 一种洗衣机槽清洁剂
JP3983353B2 (ja) 硬質体用の固形殺菌洗浄剤
CN105886172A (zh) 一种含有氧离子除菌成分的皂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9156999A (ja) 洗浄剤組成物、スプレーボトル、ウェットワイパー及び消臭除菌洗浄方法
EP3342846B1 (en) Self-dissoluble capsule for preparation of washing solutions
JP4302975B2 (ja) 粉末漂白洗浄剤組成物
JP2009191098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883294B2 (ja) 漂白剤、洗浄漂白剤及び殺菌剤
JP6444104B2 (ja) 洗濯用液体殺菌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品の非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の不活化方法
JP2018035280A (ja) 洗濯用殺菌洗浄剤組成物
JP6093280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100966758B1 (ko) 제균처리 방법, 제균세정제 조성물 및 세탁 방법
JP3198079B2 (ja) 硬質表面用固形洗浄剤組成物
JP3607606B2 (ja) 殺菌方法
JP7158974B2 (ja) 義歯洗浄剤
JP6093279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603057B2 (ja) 洗濯槽用洗浄剤組成物
JP2003105389A (ja) 洗浄剤組成物及び洗濯方法
CN114621829B (zh) 一种含有溶菌酶的抑菌洗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